KR100992463B1 -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phosphorous filtering tank and submerged membrane module - Google Patents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phosphorous filtering tank and submerged membrane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2463B1 KR100992463B1 KR20100036604A KR20100036604A KR100992463B1 KR 100992463 B1 KR100992463 B1 KR 100992463B1 KR 20100036604 A KR20100036604 A KR 20100036604A KR 20100036604 A KR20100036604 A KR 20100036604A KR 100992463 B1 KR100992463 B1 KR 1009924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ank
- phosphorus
- intermittent aeration
- nitrogen
- anaerobic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8—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36—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installations
- C02F3/1268—Membrane bioreactor systems
- C02F3/1273—Submerged membrane bioreac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0—Aerobic and anaerobic processes
- C02F3/302—Nitrification and denitrification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rification Treatments By Anaerobic Or Anaerobic And Aerobic Bacteria Or Animal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폐수 내의 유기물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탈질, 탈인의 효율을 배가시킴과 함께 MBR조의 막분리장치를 개선함으로써 유지관리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는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는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를 탈질하는 전탈질조와, 상기 전탈질조로부터 유입수를 공급받아 유입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하는 혐기조와, 상기 혐기조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혐기조로부터 방출되는 인을 회수하는 인 여과조 및 상기 인 여과조의 후단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인 여과조 내에 여재가 충전되며, 상기 여재는 혐기조로부터 방출되는 인을 흡착,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mproves the efficiency of denitrification and dephosphorization by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wastewater at a constant level, and improves the membrane separation device of the MBR tank to reduce maintenance costs. And a method for treating wastewater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 a total denitrification tank for denitrifying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nd the return sludge, and the inflow water from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 anaerobic tank receiving phosphorus and releasing phosphorus contained in the influent, a phosphorus filtering tank provided at the end of the anaerobic tank to recover phosphorus discharged from the anaerobic tank, and a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provided sequentially at the rear end of the phosphorus filtering tank; It consists of two intermittent aeration tank, the filter medium is filled in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Said, the filter medium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number of adsorption released from the anaerobic tank.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폐수 내의 유기물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탈질, 탈인의 효율을 배가시킴과 함께 MBR조의 막분리장치를 개선함으로써 유지관리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는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maintain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wastewater at a constant level, to double the efficiency of denitrification and dephosphorization, and to provide a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of an MBR tank.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that can reduce maintenance costs by improving.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하폐수 고도처리공정은 혐기조-무산소조-막분리조로 구성되는 A2O 공정이며, 수많은 변형 공정이 적용되고 있다. A2O 공정의 가장 큰 제한인자는 하폐수 중에 포함된 유기물의 농도가 질소 및 인보다 낮을 때 질소 및 인의 제거 효율이 낮아진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여러 형태의 변형 고도처리공정이 개발되고 있으나, 유기물 부족에 따른 탈질, 탈인의 효율 저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지는 못하고 있다. At present, the most widely used wastewater advanced treatment process is an A2O process consisting of an anaerobic tank, an anoxic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tank, and many modification processes are applied. The biggest limiting factor of the A2O process is that the removal efficiency of nitrogen and phosphorus is lowered when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contained in the sewage is lower than that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various types of modified advanced treatment processes have been developed, but they cannot fundamentally solve the problem of denitrification and dephosphorization efficiency due to the lack of organic matter.
일 예로, 분뇨나 음식물쓰레기 침출수 등을 첨가하여 유입수 중의 유기물 농도를 올리는 방법은 폐수 자체에 또 다른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오히려 고도처리공정 전체에 문제를 야기하기도 한다. 이 문제 해결에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유기물 부족분을 탈질시 메탄올 등으로 공급하거나 MLE(Modified Ludjack Ettinger) 공법처럼 생물학적 인 제거 부분을 포기하고 질소 제거만을 위한 공정을 구성한 뒤 미처리된 인은 방류 직전 처리수의 인을 응집시켜 제거한 후 방류하는 것이다. For example, the method of increasing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influent by adding manure or food waste leachate, etc. has another problem in the wastewater itself, rather it causes problems in the whole high-treatment process. The most common way to solve this problem is to supply the organic deficiency to methanol, etc. when denitrification or to give up the biological removal part such as MLE (Modified Ludjack Ettinger) method and to set up the process for nitrogen removal only. Phosphorus is agglomerated and removed and discharged.
한편, 최근 고도처리공정에 대한 기대가 커지고 처리수의 재이용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면서 침전조를 막분리장치로 대체하는 MBR(Membrane bio-reactor) 공법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MBR 공법은 설치 소요면적이 작고 자동운전이 용이하며, 별도의 침전조가 필요치 않아 슬러지 벌킹(sludge bulking)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잉여슬러지 발생량이 기존 방식보다 훨씬 적은 것이 장점이다. 그러나, MBR 공법은 막분리장치의 유지관리가 용이하지 않다. 막 폐색을 해소하기 위한 빈번한 막세정이 필요하며, 이는 막 수명을 단축시켜 유지관리비의 상승요인이 된다. 따라서, MBR 공법은 성능이 우수한 고도처리공정에 막분리장치가 결합되는 것도 중요하지만 막분리장치의 원활한 운전 및 막 수명 등도 매우 중요하다.
Meanwhile, as the expectation for the advanced treatment process increases and the demand for reuse of the treated water increases, MBR (Membrane bio-reactor) method for replacing the sedimentation tank with a membrane separator has been developed and used. The MBR method has a small installation area, easy to operate automatically, and does not require a separate settling tank to solve problems such as sludge bulking. In addition, the amount of excess sludge generated is much smaller than the conventional method. However, the MBR process is not easy to maintain the membrane separator. Frequent membrane cleaning is necessary to eliminate membrane blockage, which shortens membrane life and increases maintenance costs. Therefore, in the MBR method, it is important that the membrane separator be combined with a high performance process, which is excellent in performance, but the smooth operation and membrane life of the membrane separator are also importan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하폐수 내의 유기물 농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킴으로써 탈질, 탈인의 효율을 배가시킴과 함께 MBR조의 막분리장치를 개선함으로써 유지관리비용을 저하시킬 수 있는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maintaining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matter in the sewage water to a certain level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denitrification, dephosphorization and improve the membrane separation device of the MBR tank to lower the maintenance cost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는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를 탈질하는 전탈질조와, 상기 전탈질조로부터 유입수를 공급받아 유입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하는 혐기조와, 상기 혐기조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혐기조로부터 방출되는 인을 회수하는 인 여과조 및 상기 인 여과조의 후단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혐기조 내의 <인을 방출한 슬러지> 및 <인이 축적된 유출수>는 상기 인 여과조로 공급되며, 상기 인 여과조 내에 인을 흡착, 회수하는 여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the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total denitrification tank for denitrifying nitrite and nitrate nitrogen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nd the return sludge, and from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 anaerobic tank receiving influent and releasing phosphorus contained in the influent, a phosphorus filtering tank provided at the end of the anaerobic tank to recover phosphorus discharged from the anaerobic tank, and a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sequentially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phosphorus filtering tank; And a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wherein <phosphoride discharged sludge> and <phosphate accumulated effluent> in the anaerobic tank are supplied to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the media for adsorbing and recovering phosphorus in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is provided.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는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를 탈질하는 전탈질조와, 상기 전탈질조로부터 유입수를 공급받아 유입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하는 혐기조와, 상기 혐기조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혐기조로부터 방출되는 인을 회수하는 인 여과조 및 상기 인 여과조의 후단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혐기조 내의 원수는 고액분리과정에 의해 <인을 방출한 슬러지>와 <인이 축적된 상징액>으로 분리되며, 혐기조 하부의 <인을 방출한 슬러지>는 상기 제 1 간헐포기조로 공급되며, 혐기조 상부의 <인이 축적된 상징액>은 상기 인 여과조로 공급되며, 상기 인 여과조 내에 인을 흡착, 회수하는 여재가 구비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the membran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total denitrification tank for denitrifying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nd the return sludge, and the influent water is supplied from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 anaerobic tank for discharging phosphorus contained therein, a phosphorus filtering tank provided at the end of the anaerobic tank for recovering phosphorus released from the anaerobic tank, and a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a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sequentially provided at the rear ends of the phosphorus filtering tank; Raw water in the anaerobic tank is separated into <sludge discharged phosphorus> and <supernatant accumulated phosphorus> by the solid-liquid separation process, <slurry discharged phosphorus> under the anaerobic tank is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Supernatant accumulated phosphorus> in the upper anaerobic tank is supplied to the phosphorus filtering tank, the phosphorus is adsorbed, ash in the phosphorus filtering tank And that the filter material to be provided with other features.
상기 인 여과조 내의 여재는 황토여재로 구성될 수 있다. The filter medium in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may be composed of ocher filter media.
상기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 각각은 포기와 비포기상태로 교번 운전되며, 상기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의 운전 상태는 서로 반대이다. 또한, 상기 제 2 간헐포기조 내에 침지식 막분리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침지식 막분리장치는, 평막형 또는 중공사막형의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외면에 구비되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Each of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alternately operated in abandonment and aeration states, and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re opposite to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the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lat membrane or hollow fiber membrane filtration membrane, and a nonwoven fabric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have.
상기 침지식 막분리장치는 상기 제 2 간헐포기조의 포기상태에서만 동작하여 처리수를 생산하며, 상기 제 2 간헐포기조 내의 슬러지는 상기 전탈질조로 반송되며, 상기 슬러지의 반송은 상기 제 2 간헐포기조의 포기상태에서만 진행된다. The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operates only in the abandoned state of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to produce treated water, and sludge i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returned to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d the conveyance of the sludge is carried out i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Only in abandonment state.
상기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는, 포기상태에서 유기성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를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로 전환하며, 비포기상태에서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로 환원한다. 한편, 상기 제 2 간헐포기조의 후단에 막분리조가 더 구비되며, 상기 막분리조 내에 침지식 막분리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convert organic nitrogen and ammonia nitrogen to nitrite and nitrate nitrogen in aeration state, and reduce nitrite and nitrate nitrogen to nitrogen gas in an aeration state. Meanwhile, a membrane separation tank may be further provided at a rear end of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a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may be provided in the membrane separation tank.
본 발명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은 전탈질조, 혐기조, 인 여과조, 제 1 간헐포기조, 제 2 간헐포기조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하폐수처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탈질조에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가 공급된 상태에서,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의 탈질 과정이 진행되는 단계와, 상기 전탈질조로부터 상기 혐기조로 유입수가 공급되며, 유입수 내의 인이 방출되는 단계와, 상기 혐기조 내의 <인을 방출한 슬러지> 및 <인이 축적된 유출수>가 상기 인 여과조로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가 포기상태와 비포기상태로 교번 운전되며, 포기상태시 유기성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가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로 전환하며, 비포기상태시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가 질소 가스로 환원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In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 anaerobic tank,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a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state where the wastewater and the return sludge are supplied to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the denitrification process of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proceeds, and the inflow water is supplied from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to the anaerobic tank, and the phosphorus in the inflow water is discharged. And supplying <phosphorus discharged sludge> and <phosphate accumulated effluent> in the anaerobic tank to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re alternately operated in aeration state and aeration state. In the abandoned state, organic nitrogen and ammonia nitrogen are converted to nitrous and nitrate nitrogen, and in aerobic state, nitrous and nitrate nitrogen are nitrogen gas. It characterized in that comprises a step of reduc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은 전탈질조, 혐기조, 인 여과조, 제 1 간헐포기조, 제 2 간헐포기조가 순차적으로 배치된 하폐수처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탈질조에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가 공급된 상태에서,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의 탈질 과정이 진행되는 단계와, 상기 전탈질조로부터 상기 혐기조로 유입수가 공급되며, 유입수 내의 인이 방출되는 단계와, 상기 혐기조 내에서 고액분리에 의해 <인이 방출된 슬러지>와 <인이 축적된 상징액>으로 분리되고, 혐기조 하부의 인이 방출된 슬러지는 상기 제 1 간헐포기조로 공급되며, 혐기조 상부의 인이 축적된 상징액은 상기 인 여과조로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가 포기상태와 비포기상태로 교번 운전되며, 포기상태시 유기성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가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로 전환하며, 비포기상태시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가 질소 가스로 환원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in which a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 anaerobic tank,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a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state, the wastewater and the return sludge is supplied to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the denitrification process of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is in progress, the inflow water is supplied from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to the anaerobic tank, the phosphorus in the inlet water is discharged And the sludge discharged from the phosphorus by the solid-liquid separation in the anaerobic tank and <supernatant accumulated phosphorus>, the sludge discharged from the lower anaerobic tank is supplied to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The supernatant in which the upper phosphorus accumulates is supplied to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re alternated in aeration state and aeration state. Before and giving the state when and the organic nitrogen and ammonia nitrogen converted to nitrite and nitrate nitrogen, and the non-giving condition nitrite and nitrate is made by a step that is reduced to nitrogen gas by different features.
상기 제 2 간헐포기조 내에 침지식 막분리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2 간헐포기조가 포기상태시 상기 침지식 막분리장치에 의한 처리수 생산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간헐포기조가 포기상태시 제 2 간헐포기조 내의 슬러지는 상기 전탈질조로 반송될 수 있다.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and whe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abandoned, the treated water production process by the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may be performed. In addition, the sludge i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may be conveyed to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whe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abandoned.
본 발명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전탈질조를 혐기조 전단에 두어 반송슬러지 내에 있는 잔류 용존산소를 제거하고 질산성 질소를 질소 가스로 환원함으로써 혐기조에서 발생 가능한 탈질 미생물과 인 저장 미생물의 유기물 경쟁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혐기조에서의 원활한 인 방출을 가능하게 한다. A total denitrification tank is placed in front of the anaerobic tank to remove residual dissolved oxygen in the conveying sludge and reduce nitrate nitrogen to nitrogen gas, thereby eliminating organic competition between denitrifying microorganisms and phosphorus storage microorganisms that may occur in the anaerobic tank. Enables smooth phosphorus release.
또한, 혐기조 후단에 방출된 인을 흡착, 회수하는 인 여과조가 구비됨에 따라, 인을 회수함과 함께 잔존하는 인을 2단의 간헐포기조의 포기공정에서 인 기아상태인 미생물이 과잉 섭취토록 하여 제거함으로써 유입수 중에 포함되어 있는 대부분의 인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인 여과조에서 인이 흡착, 회수됨에 따라, 낮은 C/N비의 하폐수 처리시에도 유기물 부족 현상을 해소하여 고효율의 질소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as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for adsorbing and recovering the phosphorus released in the rear stage of the anaerobic tank is provided, the remaining phosphorus is recovered and the phosphorus starvation microorganisms are excessively ingested in the aeration process of the second stage intermittent aeration tank. This can remove most of the phosphorus in the influent. In addition, as phosphorus is adsorbed and recovered in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the organic matter shortage phenomenon can be eliminated even in the treatment of wastewater having a low C / N ratio, thereby enabling high-efficiency nitrogen removal.
이에 부가하여, 기존의 MBR의 장점을 유지함과 함께 여과막의 외면에 부직포를 구비시킴으로써 파울링 문제를 해결하고 일정한 유량을 유지시킴과 함께 유지관리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In addition, while maintaining the advantages of the existing MBR, by providing a nonwoven fabric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can solve the fouling problem, maintain a constant flow rate and reduce the maintenance cos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의 구성도. 1 is a block diagram of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of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및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는 크게 전탈질조(10), 혐기조(20), 제 1 간헐포기조(40) 및 제 2 간헐포기조(5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 1,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argely
상기 전탈질조(10)는 하폐수 및 상기 제 2 간헐포기조(50)로부터 반송되는 슬러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를 탈질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탈질조(10) 내에는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를 교반하는 교반기가 구비되며, 용존산소를 저감시키기 위해 전탈질조(10) 내에서의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의 체류시간은 30분 정도가 적합하다. 한편, 이와 같이 전탈질조(10)를 구비시키는 이유는, 탈질과 탈인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질소와 인의 동시 제거 공정에서 흔히 발생되는 유기물 쟁탈 경쟁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The
상기 혐기조(20)는 상기 전탈질조(10)로부터 유입되는 유입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혐기성 조건 하에 유입수 내의 유기물이 VFAs(volatile fatty acid)로 변환되고 인 저장 미생물(phosphorous storage micro-organism, Ancinetobactor)의 세포 내 PHB(Poly-β-Hydroxyl Butyrate)로 저장되는 과정에서 중합인산염(polyphosphate), 오르토인산염(orthophosphate)으로 변환되어 방출된다. 이 과정에서, 혐기조(20) 내의 유기물은 감소하고 PO4-P는 증가된다. 상기 혐기조(20)에서의 인 방출은 1시간 30분 정도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혐기조(20)에서 인 방출이 완료된 원수는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로 유출되는데, 다음의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로 유출될 수 있다. 첫 번째 경로는 다음과 같다. 혐기조(20)에서의 인 방출이 완료된 상태에서 고액분리에 의해 침전된 슬러지(인 농도가 상대적으로 작은)는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로 유출되고, 방출된 인이 다량 함유된 상징액은 상기 혐기조(20)의 말단에 구비된 인 여과조(30)로 유출된다. 이 때, 혐기조(20) 내에서의 고액분리는 혐기조(20)와 인 여과조(30)의 배치 설계를 통해서 구현하거나 일정 시간 정치를 통해 구현할 수 있다. 전자의 고액분리의 경우, 구체적으로 인 여과조(30)의 하부면을 혐기조(20)의 하부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구비시켜 인 여과조(30)의 하부 공간이 교반기의 영향으로부터 최소화되도록 함으로써 고액분리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인 여과조(30)에 유입된 원수는 자체 처리 과정 후 최종적으로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로 유출되며, 상기 인 여과조(30)의 자체 처리 과정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Raw water from which the phosphorus discharge is completed in the
두 번째 경로는, 상기 혐기조(20) 내에서 고액분리가 진행되지 않고 인 방출 과정이 완료된 원수가 곧바로 상기 인 여과조(30)로 공급되고 이어, 인 여과조(30)에서의 처리 과정을 거쳐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로 유출되는 경로이다. 두 번째 경로의 경우, 인을 방출한 슬러지 및 인이 포함된 유출수가 함께 상기 인 여과조(30)로 공급된다. The second path is supplied to the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혐기조(20)의 말단에 인 여과조(30)가 구비된다. 상기 인 여과조(30)는 혐기조(20)로부터 방출되는 인을 회수하여 궁극적으로 C/N(carbon/nitrogen)비가 낮은 하폐수의 처리시 유기물 농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혐기조(20)의 고액분리에 의해 분리된 혐기조(20) 상부의 상징액 즉, 인이 다량 함유된 혐기조(20) 상부의 상징액이 상기 인 여과조(30)에 유입되며, 상기 인 여과조(30)에 충전되어 있는 황토여재(31)에 인이 흡착되어 회수된다. 이 때, 상술한 바와 같이 두 번째 경로를 통해 혐기조(20)로부터 인 여과조(30)로 유출수가 공급되는 경우, 상기 인 여과조(30)는 인을 방출한 슬러지 및 인이 포함된 유출수를 대상으로 인 회수 과정을 진행한다. 참고로, 상기 상징액의 인 여과조(30)에서의 체류시간은 0.1시간 정도가 바람직하며, 인 여과조(30)의 유출수는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로 유입된다. As described above, a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와 제 2 간헐포기조(50)는 포기와 비포기가 교대로 운전되며,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와 제 2 간헐포기조(50)는 서로 반대 상태로 운전된다. 즉, 제 1 간헐포기조(40)의 포기시 제 2 간헐포기조(50)는 비포기상태로 교반만 진행되며, 반대로 제 1 간헐포기조(40)가 비포기상태로 교반만 진행될 때 상기 제 2 간헐포기조(50)는 공기가 유입되는 포기상태로 운전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간헐포기조(40)(50)의 체류시간은 유입수의 성상에 따라 다소 변화가 있을 수 있으나, 하폐수의 유입농도가 BOD 기준 200mg/l 일 때 각각 2시간 내의 범위에서 운전되며 유입농도가 증가되면 3시간 이내의 범위에서 운전될 수 있다. 또한, 포기와 비포기 시간 역시 BOD 기준 200mg/l 일 때 각각 30분으로 운전되며, 하폐수의 유기물과 질소의 농도에 따라 45분으로 운전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와 제 2 간헐포기조(50) 내에는 선택적으로 산소를 공급하는 산기관(70)과, 교반기가 구비된다. The first
한편,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와 제 2 간헐포기조(50)의 역할을 살펴보면, 먼저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는 포기상태에서 유기성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를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로 전환한다. 이 때,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에 유입된 유입수 내의 인은 인 기아상태에 있는 인 저장 미생물에 의해 대부분 섭취된다.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가 포기상태일 때 상기 제 2 간헐포기조(50)는 비포기로 무산소조의 형태가 되어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에서 유입된 질산성 질소가 질소 가스로 환원되어 제거되며, 이 때 잔존하는 유기물이 상기 질산성 질소의 환원 과정에서 소모된다. On the other hand, looking at the role of the first
상기 제 1 간헐포기조(40)의 포기상태가 비포기상태로 전환되면 포기상태에서 산화된 질산성 질소가 탈질되며, 상기 제 2 간헐포기조(50)는 비포기상태에서 포기상태로 전환되어 인을 섭취하여 제거한다. When the aeration state of the first
한편, 상기 제 2 간헐포기조(50) 내에는 침지식 막분리장치(60)가 구비된다. 상기 침지식 막분리장치(60)는 상기 제 2 간헐포기조(50) 내의 원수를 여과하여 처리수를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침지식 막분리장치(60)는 평막형 또는 중공사막형의 여과막(정밀여과막 또는 한외여과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여과막의 외면에는 막 파울링 현상을 완화시킴과 함께 막 차압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는 부직포가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침지식 막분리장치(60)는 상기 제 2 간헐포기조(50)의 포기 운전시에만 작동된다. 또한, 상기 제 2 간헐포기조(50) 내의 슬러지는 상기 전탈질조(10)로 반송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간헐포기조(40)(50) 내에 산기관(70)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 2 간헐포기조(50)에 있어서 상기 산기관(70)은 상기 침지식 막분리장치(6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여과막 표면에 슬러지가 침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상기 침지식 막분리장치(60)는 상기 제 2 간헐포기조(50) 내에 구비되는 것 외에, 별도의 막분리조(80) 내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탈질조(10), 혐기조(20), 인 여과조(30), 제 1 간헐포기조(40), 제 2 간헐포기조(50), 침지식 막분리장치(60)를 구비한 막분리조(80)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The submerg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 여과조(30) 및 막분리장치(60)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의 구성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탈질조(10)가 혐기조(20) 전단에 구비됨에 따라, 반송슬러지 내의 용존산소가 제거됨과 함께 탈인 과정이 활발히 일어나며, 방출된 고농도의 인이 인 여과조(30)에서 회수되는 과정을 거치도록 함으로써 탈질과 탈인 과정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여 탈질과 탈인 과정시 유기물의 효율적인 배분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여과막의 외면에 부직포가 구비된 침지식 막분리장치(60)를 이용함에 따라, 고농도 MLSS에 의한 막차압 발생을 방지하여 막 교체시기를 연장시키고 세척 주기를 증가시킴으로써 유지보수비용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
Above, the configuration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구비한 하폐수처리장치의 처리효율을 살펴보기로 한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처리장치의 처리효율을 나타낸 것이다. Next,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equipped with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able 1 below shows the treatment efficiency of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표 1>을 참고하면, 유입수의 평균 BOD 농도는 223.1mg/L이며, 처리수는 4.9mg/L로 97.8%의 제거효율을 보였으며, CODcr의 경우 처리수 농도가 8.3mg/L로 97.3%의 높은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부유물질(SS)은 공칭공경 0.4㎛ 평막(MF)을 통하여 완벽한 고액분리가 이루어져 청정한 수질을 확보하였다. 총 질소(T-N)는 평균 41.7mg/L로 유입되어 3.1mg/L로 배출되었으며, 평균 92.6%의 제거효율을 보였다. 또한, 5.1mg/L로 유입된 총 인(T-P)은 평균 0.2mg/L로 처리되어 94.2%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Referring to <Table 1>, the average BOD concentration of the influent was 223.1mg / L, the treated water was 4.9mg / L, which showed 97.8% removal efficiency, and for COD cr , the treated water concentration was 8.3mg / L. The removal efficiency was 97.3%. Sustained material (SS) through the nominal pore 0.4㎛ flat membrane (MF) was a complete solid-liquid separation to ensure clean water quality. Total nitrogen (TN) was introduced at an average of 41.7 mg / L and discharged at 3.1 mg / L, with an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92.6%. In addition, total phosphorus (TP) introduced at 5.1 mg / L was treated with an average of 0.2 mg / L, resulting in a removal efficiency of 94.2%.
10 : 전탈질조 20 : 혐기조
30 : 인 여과조 31 : 여재
40 : 제 1 간헐포기조 50 : 제 2 간헐포기조
60 : 침지식 막분리장치 70 : 산기관
80 : 막분리조10: total denitrification tank 20: anaerobic tank
30: phosphorus filtration tank 31: filter medium
40: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50: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60: submerged membrane separator 70: diffuser
80 membrane separation tank
Claims (14)
상기 전탈질조로부터 유입수를 공급받아 유입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하는 혐기조;
상기 혐기조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혐기조로부터 방출되는 인을 회수하는 인 여과조; 및
상기 인 여과조의 후단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간헐포기조 내에 침지식 막분리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혐기조 내의 <인을 방출한 슬러지> 및 <인이 축적된 유출수>는 상기 인 여과조로 공급되며, 상기 인 여과조 내에 인을 흡착, 회수하는 여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A total denitrification tank for denitrifying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nd the return sludge;
An anaerobic tank receiving influent from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d releasing phosphorus contained in the influent;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provided at the end of the anaerobic tank to recover phosphorus discharged from the anaerobic tank; And
It comprises a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a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sequentiall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Phosphorus discharged sludge> and <phosphate accumulated phosphate> in the anaerobic tank is supplied to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membrane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edium is provided with the adsorption, recovery Wastewater treatment device using the.
상기 전탈질조로부터 유입수를 공급받아 유입수 내에 포함되어 있는 인을 방출하는 혐기조;
상기 혐기조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혐기조로부터 방출되는 인을 회수하는 인 여과조; 및
상기 인 여과조의 후단에 순차적으로 구비되는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간헐포기조 내에 침지식 막분리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혐기조 내의 원수는 고액분리과정에 의해 <인을 방출한 슬러지>와 <인이 축적된 상징액>으로 분리되며,
혐기조 하부의 <인을 방출한 슬러지>는 상기 제 1 간헐포기조로 공급되며, 혐기조 상부의 <인이 축적된 상징액>은 상기 인 여과조로 공급되며,
상기 인 여과조 내에 인을 흡착, 회수하는 여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A total denitrification tank for denitrifying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contained in the wastewater and the return sludge;
An anaerobic tank receiving influent from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d releasing phosphorus contained in the influent;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provided at the end of the anaerobic tank to recover phosphorus discharged from the anaerobic tank; And
It comprises a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a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sequentially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further provided with a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Raw water in the anaerobic tank is separated into <sludge discharged phosphorus> and <supernatant accumulated phosphorus> by the solid-liquid separation process,
<Sludge which discharged phosphorus in the lower part of the anaerobic tank is supplied to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Supernatant accumulated phosphorus in the upper part of the anaerobic tank is supplied to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filter medium for adsorbing and recovering phosphorus is provided in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media in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is composed of ocher media.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re alternately operated in abandonment and aeration states, the operating state of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opposite to each other.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평막형 또는 중공사막형의 여과막과, 상기 여과막의 외면에 구비되는 부직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or 2, wherein the immersion membrane separator,
A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comprising a filtration membrane of a flat membrane type or a hollow fiber membrane type, and a nonwoven fabric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filtration membrane.
Th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apparatus operates only in the abandoned state of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to produce treated water.
3.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the membrane separation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sludge i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returned to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d the sludge is returned only in the abandoned state of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the device.
5.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convert organic nitrogen and ammonia nitrogen into nitrite and nitrate nitrogen in aeration state, and in the aeration sta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are converted into nitrogen.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a membrane separation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duction to gas.
상기 전탈질조에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가 공급된 상태에서,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의 탈질 과정이 진행되는 단계;
상기 전탈질조로부터 상기 혐기조로 유입수가 공급되며, 유입수 내의 인이 방출되는 단계;
상기 혐기조 내의 <인을 방출한 슬러지> 및 <인이 축적된 유출수>가 상기 인 여과조로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가 포기상태와 비포기상태로 교번 운전되며, 포기상태시 유기성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가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로 전환하며, 비포기상태시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가 질소 가스로 환원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간헐포기조 내에 침지식 막분리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2 간헐포기조가 포기상태시 상기 침지식 막분리장치에 의한 처리수 생산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
In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ewage treatment system in which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aerobic tank, phosphorus filtration tank,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re sequentially arranged,
Denitrification of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in a state in which wastewater and return sludge are supplied to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Inflow water is supplied from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to the anaerobic tank, and phosphorus in the inflow water is discharged;
Supplying <phosphorus released sludge> and <phosphate accumulated effluent> in the anaerobic tank to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re alternately operated in aeration state and aeration state, and in the abandonation state, organic nitrogen and ammonia nitrogen are converted into nitrous acid and nitrate nitrogen, and in the aeration state, nitrite and vaginal Acidic nitrogen is reduced to nitrogen gas,
A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is further provided i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whe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abandoned, a process for producing treated water by the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is performe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상기 전탈질조에 하폐수 및 반송슬러지가 공급된 상태에서, 아질산성 질소와 질산성 질소의 탈질 과정이 진행되는 단계;
상기 전탈질조로부터 상기 혐기조로 유입수가 공급되며, 유입수 내의 인이 방출되는 단계;
상기 혐기조 내에서 고액분리에 의해 <인이 방출된 슬러지>와 <인이 축적된 상징액>으로 분리되고, 혐기조 하부의 인이 방출된 슬러지는 상기 제 1 간헐포기조로 공급되며, 혐기조 상부의 인이 축적된 상징액은 상기 인 여과조로 공급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간헐포기조와 제 2 간헐포기조가 포기상태와 비포기상태로 교번 운전되며, 포기상태시 유기성 질소 및 암모니아성 질소가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로 전환하며, 비포기상태시 아질산성 및 질산성 질소가 질소 가스로 환원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 2 간헐포기조 내에 침지식 막분리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제 2 간헐포기조가 포기상태시 상기 침지식 막분리장치에 의한 처리수 생산 과정이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 여과조 및 막분리장치를 이용한 하폐수처리방법.
In the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ewage treatment system in which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anaerobic tank, phosphorus filtration tank,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re sequentially arranged,
Denitrification of nitrite nitrogen and nitrate nitrogen in a state in which wastewater and return sludge are supplied to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Inflow water is supplied from the total denitrification tank to the anaerobic tank, and phosphorus in the inflow water is discharged;
In the anaerobic tank, <liquid discharged from sludge> and <supernatant accumulated phosphorus> are separated by solid-liquid separation, and the sludge discharged from the lower anaerobic tank is supplied to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phosphorus at the top of the anaerobic tank is The accumulated supernatant is supplied to the phosphorus filtration tank; And
The first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re alternately operated in aeration state and aeration state, and in the abandonation state, organic nitrogen and ammonia nitrogen are converted into nitrous acid and nitrate nitrogen, and in the aeration state, nitrite and vaginal Acidic nitrogen is reduced to nitrogen gas,
An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is further provided i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and when the second intermittent aeration tank is abandoned, a process for producing treated water by the immersion type membrane separation device is performe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36604A KR100992463B1 (en) | 2010-04-20 | 2010-04-20 |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phosphorous filtering tank and submerged membrane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00036604A KR100992463B1 (en) | 2010-04-20 | 2010-04-20 |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phosphorous filtering tank and submerged membrane modu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2463B1 true KR100992463B1 (en) | 2010-11-08 |
Family
ID=43409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00036604A KR100992463B1 (en) | 2010-04-20 | 2010-04-20 |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phosphorous filtering tank and submerged membrane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2463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8579B1 (en) * | 2011-07-15 | 2011-09-3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Alternating Aera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Ceramic Membrane |
KR101076692B1 (en) * | 2011-08-04 | 2011-10-26 | 한라오엠에스 주식회사 | Series and Parallel Variable Operation Submerged Membrane Activated Sludge Apparatus and Method |
KR20190035277A (en) * | 2017-09-26 | 2019-04-0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granu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2438B1 (en) | 2004-11-18 | 2005-04-14 | 조창호 | A method for the rapid and efficient treatment of wastewater |
-
2010
- 2010-04-20 KR KR20100036604A patent/KR10099246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2438B1 (en) | 2004-11-18 | 2005-04-14 | 조창호 | A method for the rapid and efficient treatment of wastewater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68579B1 (en) * | 2011-07-15 | 2011-09-30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Alternating Aera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Ceramic Membrane |
US8980090B2 (en) | 2011-07-15 | 2015-03-17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 Apparatus and method for alternative aeration-effluent wastewater treatment using ceramic membrane |
KR101076692B1 (en) * | 2011-08-04 | 2011-10-26 | 한라오엠에스 주식회사 | Series and Parallel Variable Operation Submerged Membrane Activated Sludge Apparatus and Method |
KR20190035277A (en) * | 2017-09-26 | 2019-04-0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granule |
KR102057374B1 (en) * | 2017-09-26 | 2020-02-11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Sewage treatment system using granu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850851B2 (en) | Biological phosphorus removal | |
US6790347B2 (en) | Batch style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biological filtering process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using the same | |
CN108585385B (en) | MBBR sewage treatment system and treatment process | |
CA2542894C (en) | Multi-environment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
KR101018587B1 (en) |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membrane separation | |
KR101080812B1 (en) | Floatable filter module for advanced water treatment | |
KR100422211B1 (en) | Management Unit and Method of Foul and Waste Water | |
KR101068579B1 (en) | Alternating Aeratio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Ceramic Membrane | |
US7166220B2 (en) | Systems and methods for organic wastewater treatment | |
KR100992463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waste-water treatment with phosphorous filtering tank and submerged membrane module | |
KR102108870B1 (en) | Membrane Treatment Device for Eliminating Nitrogen and/or Phosphorus | |
JP2723369B2 (en) | Sewage septic tank | |
KR100540986B1 (en) |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Membrane | |
JPH01199694A (en) | Waste water treatment by activated sludge method | |
KR100669255B1 (en) | How to efficiently treat sewage water using rapid nitrification | |
KR100993265B1 (en) | Advanced Sewage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Using Circulating Membrane | |
KR100992321B1 (en) |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with membrane module | |
KR100398912B1 (en) | Nutrients removing method of sewage and industrial waste water | |
KR100709456B1 (en) |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Wastewater Treatment Method | |
KR20150088496A (en) | Method for maintaining activity of sludge in mbr process | |
KR100624768B1 (en) | Advanced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Microorganisms and Membranes | |
KR100469641B1 (en) | advanced wast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a submerged type membrane | |
JP4390959B2 (en) | Wastewater treatment equipment | |
KR200283062Y1 (en) | Advanced Treatment Equipment and Process for Nitrogen and Phosphate Removal in Sewage and Wastewater | |
KR100456346B1 (en) | The sewage and waste water treatment plant by microorganism contact oxid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4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1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