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91851B1 -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851B1
KR100991851B1 KR1020100085580A KR20100085580A KR100991851B1 KR 100991851 B1 KR100991851 B1 KR 100991851B1 KR 1020100085580 A KR1020100085580 A KR 1020100085580A KR 20100085580 A KR20100085580 A KR 20100085580A KR 100991851 B1 KR100991851 B1 KR 100991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frame
brick wall
reinforcement
fix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5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석
Original Assignee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filed Critical 신성종합건축사사무소(주)
Priority to KR1020100085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85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02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built-up from layers of build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C) 및 보(B)로 둘러싸인 벽돌벽체(BW)가 형성된 조적조에서,
건물내부에서 상기 벽돌벽체(BW)가 상기 기둥(C) 및 보(B)에 접촉하는 접촉면까지 벽돌벽체(BW)에 밀착하여 부착되는 보강재(100); 건물내부에서 상기 벽돌벽체(BW)가 상기 기둥(C) 및 보(B)에 접촉하는 접촉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다수 개의 앵커구멍이 천공된 다수 개의 프레임(200); 및, 상기 앵커구멍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상기 기둥(C), 보(B) 및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다수 개의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보강재(100)를 물면서 상기 벽돌벽체(BW)에 프레임 고정앵커(30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100)를 벽돌벽체(BW)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호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보강재(100)는 선형부재로써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인 대각선으로 2열 이상을 한 단위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다수 개를 배치하여 그리드(grid)를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의 교점에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 중 프레임(200)을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앵커(300)와 보강재 고정앵커(400)는 상기 벽돌벽체(BW)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 및 보(B)의 철근 배근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와 보강재(100)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준비단계; (2) 상기 보강재(100)를 상기 벽돌벽체(BW)에 부착하는 보강재 부착단계; (3) 상기 (1) 준비단계에서 결정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200)에 다수 개의 앵커구멍을 천공하는 프레임 앵커구멍 천공단계; 및, (4)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프레임 고정앵커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Earthquake Retrofit Structure For Brick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공동주택 등 RC구조에서 구조체로 흔히 사용되는 기둥 및 보 등의 골조로 둘러싸인 벽돌벽체가 형성된 조적조에서, 보강재를 사용하여 벽돌벽체를 구조체에 일체로써 단단히 결속함으로써 내진성능을 갖도록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동주택 등 RC구조에서 구조체의 부피를 줄이기 위해 근래에는 내력벽을 이용한 시공이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내부 공간의 확장 등 융통성을 지향하기 위하여 여전히 외부치장벽돌과 내부벽돌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한 벽돌벽체를 이용한 조적조의 시공이 병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조적조의 경우 외부치장벽돌과 내부벽돌 사이에 단열재를 설치하므로 벽돌벽체 내부에 빈공간인 중공이 형성된다.
상기 중공으로 인하여 상기 외부치장벽돌과 내부벽돌 그리고 단열재는 상호간에 서로 분리되어 설치되므로 독립적으로 거동한다.
따라서 지진 등의 수평하중이나 지반침하 또는 구조체의 수축팽창 등의 변위가 발생할 경우에는 벽돌벽체의 균열뿐만 아니라 벽돌벽체 자체의 전도 등이 유발되는 등 구조적으로 심각한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이유로 기둥 및 보와 같은 구조체가 아닌 비구조체인 벽돌벽체라 하더라도 지진 등의 외부충격이나 구조체의 변위에 용통성있게 대응하는 구조적 안정성의 확보가 요구된다. 또한 기존 구조물의 내진성능을 향상을 위하여 보, 기둥 등의 구조부재는 물론이고 벽체에도 내진보강을 실시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제시되는 것이다. 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벽돌벽체의 외부 및 내부를 하나로 묶어 보강하여 구조체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기존 건축물의 보수 또는 리모델링 등의 공사에서 별도의 장비없이 간단히 적용하여 조적조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규격화된 부재를 공업화된 결속방법으로 시공하므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을 유지하며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우수한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기둥(C) 및 보(B)로 둘러싸인 벽돌벽체(BW)가 형성된 조적조에서,
건물내부에서 상기 벽돌벽체(BW)가 상기 기둥(C) 및 보(B)에 접촉하는 접촉면까지 벽돌벽체(BW)에 밀착하여 부착되는 보강재(100); 건물내부에서 상기 벽돌벽체(BW)가 상기 기둥(C) 및 보(B)에 접촉하는 접촉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다수 개의 앵커구멍이 천공된 다수 개의 프레임(200); 및, 상기 앵커구멍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상기 기둥(C), 보(B) 및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다수 개의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보강재(100)를 물면서 상기 벽돌벽체(BW)에 프레임 고정앵커(30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100)를 벽돌벽체(BW)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호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거나, 상기 보강재(100)는 선형부재로써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인 대각선으로 2열 이상을 한 단위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다수 개를 배치하여 그리드(grid)를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의 교점에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 중 프레임(200)을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앵커(300)와 보강재 고정앵커(400)는 상기 벽돌벽체(BW)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제공한다.
더불어 상기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 및 보(B)의 철근 배근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와 보강재(100)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준비단계; (2) 상기 보강재(100)를 상기 벽돌벽체(BW)에 부착하는 보강재 부착단계; (3) 상기 (1) 준비단계에서 결정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200)에 다수 개의 앵커구멍을 천공하는 프레임 앵커구멍 천공단계; 및, (4)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프레임 고정앵커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첫째, 벽돌벽체의 외부 및 내부를 하나로 묶어 보강하여 구조체에 일체로 결합시키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둘째, 기존 건축물의 보수 또는 리모델링 등의 공사에서 별도의 장비없이 간단히 적용하여 조적조의 내진성능을 향상시키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셋째, 규격화된 부재를 공업화된 결속방법으로 시공하므로 미숙련공도 소정의 품질을 유지하며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경제적이고 시공성이 우수한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A-A`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B-B`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중 프레임의 다른 실시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에서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에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개념이 바람직하게 구현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1.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A-A`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B-B`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는 기둥(C) 및 보(B)로 둘러싸인 벽돌벽체(BW)가 형성된 조적조에서,
건물내부에서 상기 벽돌벽체(BW)가 상기 기둥(C) 및 보(B)에 접촉하는 접촉면까지 벽돌벽체(BW)에 밀착하여 부착되는 보강재(100); 건물내부에서 상기 벽돌벽체(BW)가 상기 기둥(C) 및 보(B)에 접촉하는 접촉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다수 개의 앵커구멍이 천공된 다수 개의 프레임(200); 및, 상기 앵커구멍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상기 기둥(C), 보(B) 및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다수 개의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보강재(100)를 물면서 상기 벽돌벽체(BW)에 프레임 고정앵커(30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강재(100)를 벽돌벽체(BW)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호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보강재(100)는 선형부재로써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인 대각선으로 2열 이상을 한 단위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다수 개를 배치하여 그리드(grid)를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의 교점에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 및 보강재 고정앵커(400)는 상기 벽돌벽체(BW)를 관통하여 설치되거나, 관통되지 않고 충전제로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200)은 고정슬롯(221)과 앵커슬롯(223)이 형성된 본체(220) 및, 다수개의 앵커구멍(213)이 형성되어 상기 앵커구멍(213) 중 일부에 너트가 접합된 받침판(210)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220)와 받침판(210)은 서로 볼트로써 결합되되,
상기 본체(220)와 받침판(210) 사이에 보강재(100)가 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보강재(100)는 건물내부에서 상기 벽돌벽체(BW)가 상기 기둥(C) 및 보(B)에 접촉하는 접촉면까지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가접착 내지 본접착되도록 벽돌벽체(BW)에 밀착하여 부착되는 것으로, 통상적인 보강재로 사용되는 일반적인 탄소섬유(carbon fiber), 아라미드섬유(aramid fiber), 유리섬유판 등의 강화섬유 소재를 이용할 수도 있고 내구성 및 시공성이 보장되는 것이라면 금속 또는 합성수지 등의 소재도 이용가능하다.
상기 보강재(100)는 와이어 등의 선형부재로 구성하여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인 대각선으로 2열 이상을 한 단위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다수 개를 배치하여 그리드(grid)를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의 교점에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는 것이 구조적 성능 및 시공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에만 최소한의 상기 선형부재인 보강재(100)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여 불필요한 보강재(100)의 낭비를 막을 수 있으며, 보강재(100)가 상호 교차하는 지점에만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여 보강재의 성능을 한층 더 증가 시킬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0)은 다수 개의 앵커구멍이 형성된 것으로 건물내부에서 상기 벽돌벽체(BW)가 상기 기둥(C) 및 보(B)에 접촉하는 접촉면에 밀착되어 다수 개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보강재(100)를 물면서 상기 벽돌벽체(BW)에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로 고정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200)은 도 4와 같이 고정슬롯(221)과 앵커슬롯(223)이 형성된 본체(220) 및, 다수개의 앵커구멍(213)이 형성되어 상기 앵커구멍(213) 중 일부에 너트가 접합된 받침판(210)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220)와 받침판(210)은 서로 볼트로써 결합되되, 상기 본체(220)와 받침판(210) 사이에 보강재(100)가 물리게 할 수 있으며 결속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본체(220)와 받침판(210)의 접촉면을 거칠게 마감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는 상기 앵커구멍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상기 기둥(C), 보(B) 및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것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앵커볼트, 앵커너트 및 와셔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는 상기 보강재(100)를 벽돌벽체(BW)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호간에 일정간격으로 다수 개가 설치되며, 설치 부속물인 앵커볼트, 앵커너트 및 와셔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와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는 상기 벽돌벽체(BW)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보강재(100) 및 벽돌벽체(BW)의 결속력이 더욱 향상된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건물의 외관에 프레임 고정앵커(300)와 보강재 고정앵커(400)가 노출되어 미관상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경우를 대비하여 도 2의 하단 확대도와 같이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 및 보강재 고정앵커(400)가 상기 벽돌벽체(BW)중 외부치장벽돌을 관통하지 않도록 하고 충전제로 고정하는 케미컬 앵커 방식을 채택하면 구조적 성능이 우수하면서 건물의 외부에 프레임 고정앵커(300)와 보강재 고정앵커(400)가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2.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
도 5는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에서 제1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에서 제2실시예 및 제3실시예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에서 제1실시예는 상기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 및 보(B)의 철근 배근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와 보강재(100)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준비단계; (2) 상기 보강재(100)를 상기 벽돌벽체(BW)에 부착하는 보강재 부착단계; (3) 상기 (1) 준비단계에서 결정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200)에 다수 개의 앵커구멍을 천공하는 프레임 앵커구멍 천공단계; 및, (4)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프레임 고정앵커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준비단계는 상기 기둥(C) 및 보(B)의 철근 배근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와 보강재(100)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단계를 말한다. 이때 후에 설치될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가 상기 기둥(C) 및 보(B)의 철근과 간섭되지 않도록 하며 구조적 성능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의 정착길이를 정하여 앵커구멍을 천공한다
상기 (2) 보강재 부착단계는 상기 보강재(100)를 상기 벽돌벽체(BW)에 부착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100)로 선형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인 대각선으로 2열 이상을 한 단위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다수 개를 배치하여 그리드(grid)를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의 교점에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는 것이 구조적 성능 및 시공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상기 (3) 프레임 앵커구멍 천공단계는 상기 (1) 준비단계에서 결정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200)에 다수 개의 앵커구멍을 천공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기 프레임(200)의 앵커구멍은 공장제작시 천공되어 제작될 수도 있으나, 공사현장의 사정에 맞추어 현장에서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4) 프레임 고정앵커 설치단계는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단계를 말한다.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에서 제2실시예는 상기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 및 보(B)의 철근 배근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와 보강재(100)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준비단계; (2) 상기 보강재(100)를 상기 벽돌벽체(BW)에 부착하는 보강재 부착단계; (3) 상기 (1) 준비단계에서 결정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200)에 다수 개의 앵커구멍을 천공하는 프레임 앵커구멍 천공단계; (4)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프레임 고정앵커 설치단계; 및, (5)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여 보강재(100)를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보강재 고정앵커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1) 내지 (4) 단계는 제1실시예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5) 보강재 고정앵커 설치단계는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여 보강재(100)를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단계를 말하며,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는 상기 벽돌벽체(BW)를 관통하여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에서 제3실시예는 상기 본 발명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 및 보(B)의 철근 배근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와 보강재(100)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준비단계; (2) 상기 보강재(100)를 상기 벽돌벽체(BW)에 부착하되,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인 대각선으로 2열 이상을 한 단위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다수 개를 배치하여 그리드(grid)를 형성하도록 하는 보강재 부착단계; (3) 상기 (1) 준비단계에서 결정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200)에 다수 개의 앵커구멍을 천공하되,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 중 프레임(200)을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앵커(300)가 설치될 앵커구멍은 상기 벽돌벽체(BW)를 관통하여 천공하는 프레임 앵커구멍 천공단계; (4)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프레임 고정앵커 설치단계; 및, (5)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상기 벽돌벽체(BW)를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여 보강재(100)를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보강재 고정앵커 설치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 보강재 부착단계를 제외한 다른 단계는 상술한 제1 및 2 실시예와 중복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2) 보강재 부착단계는 상기 보강재(100)를 상기 벽돌벽체(BW)에 부착하되,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인 대각선으로 2열 이상을 한 단위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다수 개를 배치하여 그리드(grid)를 형성하도록 하는 단계를 말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보강재(100)로 선형부재를 사용할 경우에는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인 대각선으로 2열 이상을 한 단위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다수 개를 배치하여 그리드(grid)를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의 교점에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는 것이 구조적 성능 및 시공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이건 발명의 진정한 범위 내에 속하는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한다.
B: 보
C; 기둥
BW: 벽돌벽체
100: 보강재
200: 프레임
210: 받침판
211: 너트
213: 앵커구멍
220: 본체
221: 고정슬롯
223: 앵커슬롯
300: 프레임 고정앵커
400: 보강재 고정앵커

Claims (6)

  1. 기둥(C) 및 보(B)로 둘러싸인 벽돌벽체(BW)가 형성된 조적조에서,
    건물내부에서 상기 벽돌벽체(BW)가 상기 기둥(C) 및 보(B)에 접촉하는 접촉면까지 벽돌벽체(BW)에 밀착하여 부착되는 보강재(100);
    건물내부에서 상기 벽돌벽체(BW)가 상기 기둥(C) 및 보(B)에 접촉하는 접촉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되 다수 개의 앵커구멍이 천공된 다수 개의 프레임(200); 및,
    상기 앵커구멍을 통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상기 기둥(C), 보(B) 및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다수 개의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프레임(200)은 상기 보강재(100)를 물면서 상기 벽돌벽체(BW)에 프레임 고정앵커(300)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2. 제1항에서,
    상기 보강재(100)를 벽돌벽체(BW)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상호간에 일정간격으로 설치되는 다수 개의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3. 제2항에서,
    상기 보강재(100)는 선형부재로써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인 대각선으로 2열 이상을 한 단위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다수 개를 배치하여 그리드(grid)를 형성하고 상기 그리드의 교점에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고,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 및 보강재 고정앵커(400)는 상기 벽돌벽체(BW)를 관통하여 설치되거나, 관통되지 않고 충전제로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200)은 고정슬롯(221)과 앵커슬롯(223)이 형성된 본체(220) 및, 다수개의 앵커구멍(213)이 형성되어 상기 앵커구멍(213) 중 일부에 너트가 접합된 받침판(210)으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220)와 받침판(210)은 서로 볼트로써 결합되되,
    상기 본체(220)와 받침판(210) 사이에 보강재(100)가 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4. 제1항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 및 보(B)의 철근 배근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와 보강재(100)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준비단계;
    (2) 상기 보강재(100)를 상기 벽돌벽체(BW)에 부착하는 보강재 부착단계;
    (3) 상기 (1) 준비단계에서 결정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200)에 다수 개의 앵커구멍을 천공하는 프레임 앵커구멍 천공단계; 및,
    (4)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프레임 고정앵커 설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
  5. 제2항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 및 보(B)의 철근 배근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와 보강재(100)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준비단계;
    (2) 상기 보강재(100)를 상기 벽돌벽체(BW)에 부착하는 보강재 부착단계;
    (3) 상기 (1) 준비단계에서 결정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200)에 다수 개의 앵커구멍을 천공하는 프레임 앵커구멍 천공단계;
    (4)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프레임 고정앵커 설치단계; 및,
    (5)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설치하여 보강재(100)를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보강재 고정앵커 설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
  6. 제3항의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를 시공하기 위한 방법에서,
    (1) 상기 기둥(C) 및 보(B)의 철근 배근상태를 고려하여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설치하기 위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와 보강재(100) 설치위치를 결정하는 준비단계;
    (2) 상기 보강재(100)를 상기 벽돌벽체(BW)에 부착하되, 벽돌벽체(BW)에 인장응력이 발생하는 방향인 대각선으로 2열 이상을 한 단위로 하여 서로 교차하도록 다수 개를 배치하여 그리드(grid)를 형성하도록 하는 보강재 부착단계;
    (3) 상기 (1) 준비단계에서 결정된 앵커구멍의 천공위치에 맞추어 상기 프레임(200)에 다수 개의 앵커구멍을 천공하되,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 중 프레임(200)을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프레임 고정앵커(300)가 설치될 앵커구멍은 상기 벽돌벽체(BW)를 관통하여 천공하는 프레임 앵커구멍 천공단계;
    (4) 상기 프레임 고정앵커(300)를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0)을 설치하는 프레임 고정앵커 설치단계; 및,
    (5) 상기 보강재 고정앵커(400)를 상기 벽돌벽체(BW)를 관통하여 설치되도록 하여 보강재(100)를 벽돌벽체(BW)에 고정하는 보강재 고정앵커 설치단계;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의 시공방법.
KR1020100085580A 2010-09-01 2010-09-01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91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580A KR100991851B1 (ko) 2010-09-01 2010-09-01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5580A KR100991851B1 (ko) 2010-09-01 2010-09-01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851B1 true KR100991851B1 (ko) 2010-11-04

Family

ID=43409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558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91851B1 (ko) 2010-09-01 2010-09-01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851B1 (ko)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9048B1 (ko) 2011-07-07 2011-11-03 전경랑 치장용 벽돌 벽체의 보수 보강공법
KR101090314B1 (ko) * 2011-05-16 2011-12-07 비코비엔주식회사 절곡패널을 이용하여 보강된 조적조 및 절곡패널을 이용한 조적조 보강방법
KR101192717B1 (ko) 2012-08-01 2012-10-18 비코비엔주식회사 단계별 하중저항이 가능한 개구부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93734B1 (ko) * 2011-04-06 2013-08-07 대한민국 조적조 건축물용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90990B1 (ko) 2012-11-05 2014-05-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선사용 프리텐션 허리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허리벽체 보강방법
KR101508751B1 (ko) 2013-11-07 2015-04-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KR101522390B1 (ko) * 2013-11-06 2015-05-21 주식회사고려이엔시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CN104775544A (zh) * 2015-03-04 2015-07-15 安徽新华学院 一种配筋灌孔砌块复合连梁消能型联肢抗震墙及制作方法
KR101723515B1 (ko) * 2016-09-20 2017-04-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적조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 보강 공법
KR101939178B1 (ko) 2018-05-24 2019-04-11 서정희 조적조 칸막이 벽체의 내진보강장치
CN110158809A (zh) * 2019-05-19 2019-08-23 北京工业大学 一种具有自复位功能且内藏双向阻尼颗粒的减振墙体
KR20200142352A (ko) 2019-06-12 2020-12-22 신성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KR102198913B1 (ko) * 2020-03-26 2021-01-05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조적 보강 장치
BE1027575B1 (de) * 2020-03-30 2021-04-06 Univ Hainan Selbstrückstellungsrahmen-Energiedissipationsverbindungs-Füllwandstruktur
KR102265882B1 (ko) 2020-10-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리드 보강재 및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치장벽돌을 보강한 외벽 구조체 및 그 보강 방법
KR102307118B1 (ko) * 2021-04-28 2021-09-30 (주)한국방재기술 보강용 구조물을 이용한 비내력벽의 내진 보강 방법
KR20210156988A (ko) 2020-06-19 2021-12-28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KR102362716B1 (ko) * 2021-09-13 2022-02-14 주원씨엔시 주식회사 조적벽체의 면외전도 방지를 위한 보강재 시공방법
CN114809369A (zh) * 2022-06-10 2022-07-29 上海市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sma-ecc复合加固rc框架结构砌体填充墙及其施工方法
KR102685140B1 (ko) * 2023-09-07 2024-07-15 최송 섬유패널을 이용한 조적벽 구조물의 내진보강 및 구조보강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159A (ja) 2004-01-23 2005-08-04 Yuhaso Engineers:Kk 連続繊維シート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JP2005330758A (ja) 2004-05-21 2005-12-02 Yasutoshi Yamamoto 既設コンクリート壁の増し打壁工法及び増し打壁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07159A (ja) 2004-01-23 2005-08-04 Yuhaso Engineers:Kk 連続繊維シート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JP2005330758A (ja) 2004-05-21 2005-12-02 Yasutoshi Yamamoto 既設コンクリート壁の増し打壁工法及び増し打壁構造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734B1 (ko) * 2011-04-06 2013-08-07 대한민국 조적조 건축물용 내진 보강 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090314B1 (ko) * 2011-05-16 2011-12-07 비코비엔주식회사 절곡패널을 이용하여 보강된 조적조 및 절곡패널을 이용한 조적조 보강방법
KR101079048B1 (ko) 2011-07-07 2011-11-03 전경랑 치장용 벽돌 벽체의 보수 보강공법
KR101192717B1 (ko) 2012-08-01 2012-10-18 비코비엔주식회사 단계별 하중저항이 가능한 개구부 보강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390990B1 (ko) 2012-11-05 2014-05-0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강선사용 프리텐션 허리벽체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허리벽체 보강방법
KR101522390B1 (ko) * 2013-11-06 2015-05-21 주식회사고려이엔시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벽체의 내진보강방법
KR101508751B1 (ko) 2013-11-07 2015-04-08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조적벽체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조적벽체의 보강방법
CN104775544A (zh) * 2015-03-04 2015-07-15 安徽新华学院 一种配筋灌孔砌块复合连梁消能型联肢抗震墙及制作方法
KR101723515B1 (ko) * 2016-09-20 2017-04-06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조적조 보강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조적조 건축물 보강 공법
KR101939178B1 (ko) 2018-05-24 2019-04-11 서정희 조적조 칸막이 벽체의 내진보강장치
CN110158809A (zh) * 2019-05-19 2019-08-23 北京工业大学 一种具有自复位功能且内藏双向阻尼颗粒的减振墙体
KR20200142352A (ko) 2019-06-12 2020-12-22 신성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내진보강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조적식 벽체의 붕괴 방지용 마감구조체
KR102198913B1 (ko) * 2020-03-26 2021-01-05 (주)에이엠지그룹건축사사무소 조적 보강 장치
BE1027575B1 (de) * 2020-03-30 2021-04-06 Univ Hainan Selbstrückstellungsrahmen-Energiedissipationsverbindungs-Füllwandstruktur
KR20210156988A (ko) 2020-06-19 2021-12-28 재단법인 서울특별시 서울기술연구원 강선을 이용한 조적조 내진보강 구조 및 이를 위한 내진보강 공법
KR102265882B1 (ko) 2020-10-06 2021-06-1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그리드 보강재 및 숏크리트를 이용하여 치장벽돌을 보강한 외벽 구조체 및 그 보강 방법
KR102307118B1 (ko) * 2021-04-28 2021-09-30 (주)한국방재기술 보강용 구조물을 이용한 비내력벽의 내진 보강 방법
KR102362716B1 (ko) * 2021-09-13 2022-02-14 주원씨엔시 주식회사 조적벽체의 면외전도 방지를 위한 보강재 시공방법
CN114809369A (zh) * 2022-06-10 2022-07-29 上海市建筑科学研究院有限公司 一种sma-ecc复合加固rc框架结构砌体填充墙及其施工方法
KR102685140B1 (ko) * 2023-09-07 2024-07-15 최송 섬유패널을 이용한 조적벽 구조물의 내진보강 및 구조보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1851B1 (ko)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8225578B2 (en) Flexible interlocking mortarless wall unit and construction method
KR102310267B1 (ko) 유닛블록 시스템
WO1997037090A1 (en) Unitized post and panel building system
US20060236627A1 (en) Combination lift and anchor connector for fabricated wall and floor panels
JP6815183B2 (ja) 複合建物
KR101670553B1 (ko) Pc벽체가 기존 건축물 외면에 접합되는 내진보강구조
KR101106259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연결구조
KR101240283B1 (ko) 벽체 구조물의 내진보강공법
JP4472726B2 (ja) 免震建物構造
KR102312319B1 (ko) 자력 조립형 몰드패널
JP6122740B2 (ja) 耐震補強構造体
JP6873302B2 (ja) 複合建物
KR101466683B1 (ko) 노후 철근콘크리트 보-기둥 구조물을 위하여 피씨부재를 활용한 리모델링 내진보강 접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JP2010156177A (ja) 既存建物の耐震補強構造および耐震補強工法
KR10111501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건물 리모델링 시공 방법 및 리모델링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연결구조
JP2006132150A (ja) 制震柱とその構築方法
JP5207078B2 (ja) 制震間柱の施工方法
JP403998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躯体を用いた建築物並びにその建設工法
KR101057667B1 (ko) 보강부재 및 이를 이용한 건물의 내진보강공법
JP6120438B2 (ja) 接合構造
US8341907B1 (en) Structurally reinforced modular buildings
JP2009215750A (ja) 木造家屋の室単位補強構造
KR100651606B1 (ko) 피씨 구조 지하구조물의 피씨 기둥-보 접합부 구조 및 그시공방법
KR102157288B1 (ko) 조적조 건물의 내진 보강용 고정모듈 및 이를 이용하는 내진 보강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7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1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