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664B1 -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united by tensible force - Google Patents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united by tensible for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1664B1 KR100991664B1 KR1020100062455A KR20100062455A KR100991664B1 KR 100991664 B1 KR100991664 B1 KR 100991664B1 KR 1020100062455 A KR1020100062455 A KR 1020100062455A KR 20100062455 A KR20100062455 A KR 20100062455A KR 100991664 B1 KR100991664 B1 KR 1009916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ecast block
- precast
- shear key
- block
- retaining wal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E02B11/005—Drainage condu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07—Production methods using a mold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46—Production methods using prestressing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절토부를 절취하여 절토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토면에 설치되는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에 있어서, 직사각 형태로 거푸집 내에 철근이 배근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내부에 "U"자, "J"자 형태의 정착구가 매설되는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거푸집 내에 철근이 배근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경사면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배면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정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직선 형태의 쉬스관이 설치되어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상면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 및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정착구와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쉬스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 및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일체화된 경사벽 축성이 가능하고, 전단키를 이용하여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 및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간에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절토부와 앵커로 체결하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각각의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관통하여 강관 및 긴장재를 삽입한 후 강관 내부를 통해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강관과, 긴장재를 통해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화시킴으로써 토압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a tension force, and particularly, to cut a cut portion to form a cut surface, and in a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stalled on the cut surface, reinforcing bars are disposed in a form in a rectangular shape, and the formwork is removed. A concrete precast block in which concrete is poured into the precast block, and a fixing unit of a “U” and “J” shape is embedded therein; Reinforcing bar in the formwork,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is made of precas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horizontally at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bottom, the space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A slanted precast block having a straight sheath tu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chorage and stacked in multiple stages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ic precast block; And a tension member inserted through a sheath tube of the anchoring precast block and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to introduce prestress into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and the slope precast bloc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 inclined wall layering, and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se precast block, the inclined precast block and the inclined precast block by using the shear key, and the inclined precast block to the cut portion and the anchor After inserting steel pipe and tension material through the basic precast block and each inclined precast block, and inserting grout material through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and the slope precast block are made through the steel pipe and the tension material. By integrating,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resist the earth pressure.
Description
본 발명은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일체화된 경사벽 축성이 가능하고, 전단키를 이용하여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 및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간에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절토부와 앵커로 체결하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각각의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관통하여 강관 및 긴장재를 삽입한 후 강관 내부를 통해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강관과, 긴장재를 통해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 및 절토면을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and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 inclined wall accumulation, and to enhanc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sic precast block, the inclined precast block, and the inclined precast block by using the shear key, and the inclined precast. The block is fastened to the cut section and the anchor, and the steel pipe and the tension material are inserted through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and the respective inclined precast blocks, and then grout material is injected through the steel pipe to form the steel pipe and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through the tension material. And a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a tension force for integrating the inclined precast block and the cut surface.
일반적으로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로, 땅깎기 또는 흙 쌓기를 한 비탈면이 흙의 압력으로 무너지는 것을 막기 위한 벽체를 말한다.In general, a retaining wall is a wall that prevents soil from falling down due to soil pressure, and refers to a wall to prevent the slope of the soil cut or piled up from falling under the pressure of the soil.
이런 옹벽은 시공지역의 토사를 절토하거나 또는 산간지역의 계곡부 및 낮은 지역을 메우기 위해 철근 및 패널 등으로 거푸집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다음 그 배면에 토사 및 쇄석을 채워 축조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이러한 철근콘크리트의 옹벽은 성형 및 양생 등으로 인하여 비용 및 공기 측면에서 바람직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역학적 허용응력의 확보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도 있다.These retaining walls form formwork with rebars and panels to cut soil from construction areas or fill valleys and lower areas in mountainous areas. In addition, after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 it is generally constructed by filling the soil and crushed stone on the rear surface thereof. However, the retaining wall of such reinforced concrete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cost and air due to molding and curing, and also to allow mechanical stress. May not be easy to secure.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외관상 미려한 외관을 제공하게 되는 블록형 옹벽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On the other hand, recently, a block retaining wall that solves the above problems and provides a beautiful appearance in appearance is widely us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블록형 옹벽구조는 옹벽이 상호 결합 됨에 있어서, 상호 간의 결합력을 높여주기 위한 별도의 구조가 없는 것에 의하여 구조물이 불안정한 상태를 갖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block-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retaining walls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tructure has an unstable state because there is no separate structure for increasing the mutual bonding force.
또한, 블록형 옹벽의 중량감이 없으며 블록형 옹벽 간의 상하·좌우 결합이 약하고 불안정하여 수평 토압을 견디기 어려움으로써 전체적인 경사벽 축성은 거의 불가능하므로, 계단벽 형태의 축성으로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re is no weight of the block retaining wall, and the up, down, left and right coupling between the block retaining walls is weak and unstable, and thus it is difficult to withstand horizontal earth pressure, the overall slope wall layering is almost impossible, and thus there is a problem of being limited to the step wall forming layer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체화된 경사벽 축성이 가능하고, 전단키를 이용하여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 및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간에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절토부와 앵커로 체결함으로써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 및 절토면을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 inclined wall layering, using the shear key to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se precast block and the slope precast block and the slope precast block, the slope precast block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a tension force for integrating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the inclined precast block, and the cut surface by fastening with the cut portion and the anchor.
또한, 본 발명은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각각의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관통하여 강관 및 긴장재를 삽입한 후 강관 내부를 통해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강관과, 긴장재를 통해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화시킴으로써 토압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하도록 하는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nserts the steel pipe and the tension material through the basic precast block and each inclined precast block, and then injected the grout material through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the basic precast block, the slope precast through the tension material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a tension force that effectively resists earth pressure by integrating the block.
또,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옹벽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 내부에 사석을 채움으로써 이동 및 인양이 용이하도록 하는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a tension force that forms a space inside the precast retaining wall and fills the sandstone inside the space to facilitate movement and lifting.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절토부를 절취하여 절토면을 형성하고, 상기 절토면에 설치되는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에 있어서, 직사각 형태로 거푸집 내에 철근이 배근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내부에 "U"자, "J"자 형태의 정착구가 매설되는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거푸집 내에 철근이 배근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경사면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배면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정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직선 형태의 쉬스관이 설치되어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상면에 다단으로 적층되는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 및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정착구와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쉬스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 및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ut the cut section to form a cut surface, in the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installed on the cut surface, the reinforcing bar is placed in the formwork in a rectangular shap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is made of precast, "U" inside A basic precast block in which anchorages of the "J" shape are embedded; Reinforcing bar in the formwork,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is made of precas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horizontally at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bottom, the space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A slanted precast block having a straight sheath tube install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chorage and stacked in multiple stages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ic precast block; And a tension member inserted through a sheath tube of the anchoring precast block and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to introduce prestress into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and the slope precast block.
여기에서,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은 저면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관이 내부에 설치되는 날개판과; 상기 날개판의 저면에 역 사다리꼴로 돌출 형성되는 밀림 방지턱과; 중공상의 강재 재질로 상기 정착구의 양단에서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경사면과 동일 각도로 돌출되는 제 1전단키; 및 상기 날개판의 가이드관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일체화시키는 제 1강관을 더 포함한다.Here, the base precast block is formed on the bottom protruding to both sides, the wing plate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guide tub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rolling prevention jaw protruding in an inverted trapezoidal shape on a bottom surface of the wing plate; First shear keys protruding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of the inclined precast block from both ends of the anchorage with a hollow steel material; And a first steel tube penetrating the guide tube of the wing plate and integrated with a neighboring basic precast block.
여기에서 또한,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은 상기 경사면 내측 중앙부에서 상기 바닥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벽체와; 중공상의 강재 재질로 상기 경사면의 상면에서 상기 경사면과 동일 각도로 돌출되되, 상기 제 1전단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전단키와; 중공상의 강재 재질로 상기 경사면의 저면에서 상기 제 2전단키와 동일 선상으로 내측으로 삽입 형성되되, 상기 제 1전단키 또는 상기 제 2전단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3전단키; 및 상기 경사면에서 상기 수직 벽체를 관통하여 1개 이상 삽입 형성되는 앵커 가이드관을 더 포함한다.Here, the inclined precast block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wall extending from the inward central portion to the bottom surface side; A second shear ke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by a hollow steel material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ear key; A third shear key formed of a hollow steel material and inserted into the same line as the second shear key on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ear key or the second shear key; And at least one anchor guide tube inserted into the vertical wall from the inclined surface.
여기에서 또한, 상기 제 3전단키는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 1전단키 또는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 2전단키가 삽입되는 관경을 갖는다.Here, the third shear key has a diameter in which the first shear key of the basic precast block or the second shear key of the inclined precast block is inserted.
여기에서 또,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은 상부에 위치하는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본체와 서로 엇갈린 형태로 적층된다.Here, the inclined precast block is stacked in a staggered form with the main body of the inclined precast block located above.
여기에서 또,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 1전단키와,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 2전단키와, 쉬스관 및 제 3전단키에는 제 2강관을 삽입하여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화시킨다.Here, a second steel pipe is inserted into the first shear key of the basic precast block, the second shear key of the inclined precast block, the sheath pipe and the third shear key to insert the basic precast block and the inclined precast block. Integrate.
여기에서 또, 상기 제 1, 2강관은 내부로 주입된 그라우트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복수의 제 1, 2배출홀이 형성된다.Here,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s are formed with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discharge holes to discharge the grout material injected into the outside.
여기에서 또, 상기 앵커 가이드관에는 앵커가 삽입 관통되어 상기 절토면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절토면에 고정시킨다.Here, the anchor guide tube is inserted through the anchor is fixed to the cut surface to fix the main body to the cut surface.
여기에서 또, 상기 긴장재는 어느 하나의 제 2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정착구를 관통한 후 다른 하나의 제 2강관 내부를 통해 배출된 후 긴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강관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된 그라우트재에 의해 정착된다.Here, the tension member is inserted into one of the second steel pipe and penetrates the anchorage of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second steel pipe inside and then into the second steel pipe in a tense state. It is fixed by the grout material which flows in and out.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인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에 따르면, 일체화된 경사벽 축성이 가능하고, 전단키를 이용하여 기초 프리캐시트 블록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간에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경사 프르캐스트 블록을 절토부와 앵커로 결합함으로써 절토부와 프리캐스트 옹벽간에 결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ituted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integrate the inclined wall layering, strengthen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asic pre-catalytic block and the inclined precast block using the shear key, and cut the inclined precast block By combining with the anchor can strengthen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ut portion and the precast retaining wall.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각각의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관통하여 강관 및 긴장재를 삽입한 후 강관 내부를 통해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강관과, 긴장재를 통해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화시킴으로써 토압력에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serting the steel pipe and the tension material through the basic precast block and each inclined precast block, the grout material is injected through the inside of the steel pipe, the basic precast block through the tension material, and the slope precast block. By integrating the cast block, the earth pressure can be effectively resisted.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프리캐스트 옹벽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고, 공간부 내부에 사석을 채움으로써 이동 및 인양이 용이하여 작업 시간 및 공사 비용을 단축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space portion inside the precast retaining wall and filling the sandstone inside the space portion, it is easy to move and lift, thereby reducing work time and construction cos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중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중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의 축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의 축조 완료후의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of the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the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A of FIG.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inclined precast block of the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the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CC of FIG. 2.
6 is an explanatory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of constructing a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a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after completion of construction of the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the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of the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the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following terms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intentions or customs of the user, the operator,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중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중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2의 C-C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of the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the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ure 1 AA, Figure 3 is integrated by the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shows the structure of the inclination precast block of a gravity type precast retaining wall, FIG. 4 is sectional drawing BB of FIG. 2, and FIG. 5 is sectional drawing CC of FIG.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100)은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과, 긴장재(130)로 이루어진다.1 to 5, the gravity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은 직사각 형태로 거푸집 내에 철근이 배근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내부에 "U"자, "J"자 형태의 정착구(111)가 매설된다. 즉, "U"자 형태의 정착구가 중앙에 설치되고, "J"와 "역 J"자 형태의 정착구가 양측에서 이격 설치된다.
The
그리고,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은 저면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관(112a)이 내부에 설치되는 날개판(112)과, 날개판(112)의 저면에 역 사다리꼴로 돌출 형성되는 밀림 방지턱(113)과, 중공상의 강재 재질로 정착구(111)의 양단에서 하기에서 설명할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경사면(121)과 동일 각도로 돌출되는 제 1전단키(114)와, 날개판(112)의 가이드관(112a)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과 일체화시키는 제 1강관(115)을 더 구비한다. 이때, 제 1전단키(114)는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을 제작시 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1강관(115)은 외측면에 복수의 제 1배출홀(115a)이 형성되고, 내부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이웃하는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일체화시킨다. 또, 제 1강관(115) 내부에 긴장재(미도시)를 삽입한 후 양단을 정착구를 이용하여 정착시킬 수도 있다.
The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은 거푸집 내에 철근이 배근되고,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전면에 경사면(121)이 형성되고, 저면에 경사면(121)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바닥면(122)이 형성되고, 배면에 공간부(123)가 형성되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정착구(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직선 형태의 쉬스관(124)이 설치되어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상면에 다단으로 적층된다.The
그리고,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은 경사면(121) 내측 중앙부에서 바닥면(122)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벽체(125)와, 중공상의 강재 재질로 경사면(121)의 상면에서 경사면(121)과 동일 각도로 돌출되되,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제 1전단키(114)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전단키(126)와, 중공상의 강재 재질로 경사면(121)의 저면에서 제 2전단키(126)와 동일 선상으로 내측으로 삽입 형성되되,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제 1전단키(114) 또는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제 2전단키(126)가 삽입되는 관경을 갖으며 제 1전단키(114) 또는 제 2전단키(126)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3전단키(127)와, 경사면(121)에서 수직 벽체(125)를 관통하여 1개 이상 삽입 형성되는 앵커 가이드관(128)을 더 포함한다. 이때, 쉬스관(124)은 제 2전단키(126)와 제 3전단키(127) 사이에서 내부로 하기에서 설명할 긴장재(130) 및 제 2강관(14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이들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을 제작시 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 2전단키(126)와, 제 3전단키(127) 및 앵커 가이드관(128)도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을 제작시 기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또한,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은 상부에 위치하는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과 서로 엇갈린 형태로 적층되고,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에 한 쌍이 거치되도록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1/2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긴장재(130)는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정착구(111)와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쉬스관(124)을 통해 삽입되어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 및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한다. 이때, 긴장재(130)는 하기에서 설명할 어느 하나의 제 2강관(140)의 내부에 삽입되어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정착구(111)를 관통한 후 다른 하나의 제 2강관(140) 내부를 통해 배출된 후 정착판(미도시)을 이용하여 긴장된 상태로 고정된 상태에서 제 2강관(140) 내부로 유입되는 그라우트재에 의해 정착된다.
The
한편,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제 1전단키(114)와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제 2전단키(126)와 쉬스관(124) 및 제 3전단키(127)에는 제 2강관(140)이 삽입되어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을 일체화시킨다. 이때, 제 2강관(140)은 외측면에 복수의 제 2배출홀(141)이 형성되고, 내부로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과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을 일체화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second shear pipe (140) on the
또한,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앵커 가이드관(128)에는 앵커(150)가 관통하여 절토면(A)에 고정되어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을 절토면(A)에 고정시킨다.
In addition, the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의 축조 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struction process of the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the tens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의 축조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의 축조 완료후의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6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the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ate after completion of the construction of the gravity-type precast retaining wall integrated by the tension for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de cross section view.
먼저, 옹벽을 시공하고자 하는 경계선을 따라 절토부를 절취하여 절토면(A)을 형성하고, 지반을 수평 정리한다. 이때, 절토면(A)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유공관(미도시)을 설치하여 원활한 배수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rst, the cut portion is cut along the boundary line for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to form a cut surface A, and the ground is horizontally arranged.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o install a perforated pipe (not show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cut surface A to perform a smooth drainage treatment.
이러한 상태에서, 절토면(A)의 전면 지반에 터파기를 한 후 사석을 채워 배수층(미도시)을 형성하고,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을 지반에 위치시켜 일렬로 배열한다. 이때,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날개판(112)은 지반으로 하중이 전달되는 것을 분산시키고, 밀림 방지턱(113)은 절토면(A)의 배압에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이 전면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한다.In this state, after digging into the front ground of the cut surface (A) to fill the sandstone to form a drainage layer (not shown), the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배열이 완료되면, 각각의 날개판(112)의 가이드관(112a)에 제 1강관(115)을 관통시킨 다음, 제 1강관(115) 내부에 그라우트재를 주입하여 이웃하는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일체화시킨다.When the arrangement of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110 is completed, the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설치가 완료되면,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상면에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을 설치하는 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제 1전단키(114)와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제 3전단키(127)가 상호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하나의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 위에 두 개의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이 적층된다. 여기에서,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공간부(123)에는 사석(S)이 채워져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중량을 증대시킨다.When the installation of the
그런 다음, 기설치된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상부에 다시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을 적층하는 데, 이때 수직 벽체(125)의 중심선에 각각의 끝단이 위치하도록 상호 엇갈리도록 설치한다.Then, the
또한, 기설치된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상부에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을 적층시 경사면(111)이 동일 선상으로 위치하도록 하고, 기설치된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제 2전단키(126)와 설치될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제 3전단키(127)가 상호 조립되도록 한다. 이때, 설치된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공간부(123)에는 다시 사석(S)이 채워진다.Further, when the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설계 높이까지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적층이 완료되면, 최상단에 위치한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에 구비된 제 2전단키(126)와 쉬스관(124) 및 제 3전단키(127)에 제 2강관(140)을 삽입한 후 제 2강관(140)의 끝단을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제 1전단키(114)에 고정시킨다.When the stacking of the
그런 다음, 어느 하나의 제 2강관의 내부에 긴장재(130)를 삽입하여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의 정착구(111)를 통해 다시 다른 하나의 제 2강관을 통해 배출시킨 다음, 긴장재(130)를 긴장시킨다. 이때, 긴장재(130)는 3가닥을 이용하여 4개의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을 고정하는 형태이다.Then, the
그런 다음, 그라우트재를 제 2강관(140) 내부로 주입하여 제 2전단키(126)와, 쉬스관(124)과, 제 1전단키(114)와, 정착구(111) 내부로 배출되도록 하여 긴장재(130)를 이들 내부에 정착시킨다.Then, the grout material is injected into the
그리고,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110) 및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과 절토면(A) 사이에 토사(G)를 뒷채움한다.Then, the earth and sand G is backfilled between the
한편, 앵커 가이드관(128)에 앵커(150)를 삽입하여 앵커(150)를 절토면(A)에 고정시키는 데, 앵커 가이드관(128)을 통해 앵커(150)가 삽입될 천공홀(101)을 천공하거나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120)의 적층시 해당 위치에 천공홀(101)을 미리 천공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s referred to in the description, but rather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110 :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 120 :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
130 : 긴장재 140 : 제 2강관
150 : 앵커 A : 절토면
G : 토사 S : 사석110: basic precast block 120: inclined precast block
130: tension member 140: second steel pipe
150: anchor A: cut surface
G: Tosa S: Buddhism
Claims (9)
직사각 형태로 거푸집 내에 철근이 배근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내부에 "U"자, "J"자 형태로 매설되는 정착구와, 저면에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가이드관이 내부에 설치되는 날개판과, 상기 날개판의 저면에 역 사다리꼴로 돌출 형성되는 밀림 방지턱과, 중공상의 강재 재질로 상기 정착구의 양단에서 돌출되는 제 1전단키와, 상기 날개판의 가이드관을 관통하여 이웃하는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일체화시키는 제 1강관으로 이루어지는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거푸집 내에 철근이 배근되고, 상기 거푸집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되, 전면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저면에 상기 경사면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형성되는 바닥면이 형성되고, 배면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정착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직선 형태의 쉬스관이 설치되어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상면에 다단으로 적층되되, 상부에 위치하는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본체와 서로 엇갈린 형태로 적층되는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 및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정착구와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쉬스관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 및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긴장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에 의해 일체화된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In the cut-off section to form a cut surface, the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provided on the cut surface,
Reinforcing bars in the formwork in a rectangular shape,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is made of precast, the anchorage is embedded in the form of "U", "J" inside, and protruding on both sides on the bottom, the length A wing plate in which a guide tube is installed in a direction, a thrust prevention protrusion protruding in an inverted trapezoid shape on a bottom surface of the wing plate, first shear keys protruding from both ends of the anchorage by hollow steel material, and A basic precast block made of a first steel tube which penetrates the guide tube and integrates with the neighboring basic precast block;
Reinforcing bar in the formwork, concrete is poured into the formwork is made of precast,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front surface, the bottom surface is formed horizontally at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on the bottom, the space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A slanted precast block is installed in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nchorage, and a straight sheath tube is stacked in multiple stage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and is stacked in a staggered form with the main body of the inclined precast block positio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 And
And a tension member inserted through the anchorage of the inclined precast block and the sheath tube of the basic precast block to introduce prestress into the basic precast block and the inclined precast block. Retaining wall.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은,
상기 경사면 내측 중앙부에서 상기 바닥면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수직 벽체와;
중공상의 강재 재질로 상기 경사면의 상면에서 상기 경사면과 동일 각도로 돌출되되, 상기 제 1전단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2전단키와;
중공상의 강재 재질로 상기 경사면의 저면에서 상기 제 2전단키와 동일 선상으로 내측으로 삽입 형성되되, 상기 제 1전단키 또는 상기 제 2전단키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 3전단키; 및
상기 경사면에서 상기 수직 벽체를 관통하여 1개 이상 삽입 형성되는 앵커 가이드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적용되는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The method of claim 1,
The inclined precast block,
A vertical wall extending from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inclined surface to the bottom surface side;
A second shear key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inclined surface at the same angle as the inclined surface by a hollow steel material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ear key;
A third shear key formed of a hollow steel material and inserted into the same line as the second shear key on the bottom of the inclined surface and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hear key or the second shear key; And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to which the tension force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n anchor guide tube inserted into the at least one through the vertical wall in the inclined surface.
상기 제 3전단키는,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 1전단키 또는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 2전단키가 삽입되는 관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적용되는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third shear key is,
A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to which tension is applied, wherein the first shear key of the basic precast block or the second shear key of the inclined precast block is inserted therein.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 1전단키와,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의 제 2전단키와, 쉬스관 및 제 3전단키에는,
제 2강관을 삽입하여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과 상기 경사 프리캐스트 블록을 일체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적용되는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In the first shear key of the basic precast block, the second shear key of the inclined precast block, the sheath pipe and the third shear key,
A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to which a tension force is applied, wherein a second steel pipe is inserted to integrate the foundation precast block and the inclined precast block.
상기 제 1, 2강관은,
내부로 주입된 그라우트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복수의 제 1, 2배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적용되는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first and second steel pipes,
A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to which tension is applied, wherein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discharge holes are formed to discharge the grout material injected into the outside.
상기 앵커 가이드관에는,
앵커가 삽입 관통되어 상기 절토면에 고정되어 상기 본체를 상기 절토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적용되는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The method of claim 1,
In the anchor guide tube,
A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to which a tension force is applied, wherein an anchor is inserted and fixed to the cut surface to fix the main body to the cut surface.
상기 긴장재는,
어느 하나의 제 2강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기초 프리캐스트 블록의 정착구를 관통한 후 다른 하나의 제 2강관 내부를 통해 배출된 후 긴장된 상태에서 상기 제 2강관 내부로 유입되어 배출된 그라우트재에 의해 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긴장력이 적용되는 중력식 프리캐스트 옹벽.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tension material,
The grout material is inserted into one of the second steel pipes, penetrates through the anchorage of the basic precast block, and is discharged through the other second steel pipe, and then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steel pipe in a tense state and discharged into the grout material.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to which tension is applied,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ttled b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2455A KR100991664B1 (en) | 2010-06-30 | 2010-06-30 |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united by tensible for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62455A KR100991664B1 (en) | 2010-06-30 | 2010-06-30 |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united by tensible for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91664B1 true KR100991664B1 (en) | 2010-11-04 |
Family
ID=43409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62455A Active KR100991664B1 (en) | 2010-06-30 | 2010-06-30 |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united by tensible for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166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82479A (en) * | 2021-03-23 | 2021-06-18 | 中铁第六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Prestressed cantilever typ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40010573A (en) * | 2022-04-15 | 2024-01-23 | 유한회사 에스씨 | System blocks and building structures constructed using them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5014B1 (en) * | 2006-12-01 | 2008-08-28 | 김범수 |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s Introduce Tensile Force |
KR100946161B1 (en) * | 2009-04-30 | 2010-03-11 | 박규완 | Retaining wall |
-
2010
- 2010-06-30 KR KR1020100062455A patent/KR10099166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55014B1 (en) * | 2006-12-01 | 2008-08-28 | 김범수 | Precast Concrete Retaining Walls Introduce Tensile Force |
KR100946161B1 (en) * | 2009-04-30 | 2010-03-11 | 박규완 | Retaining wall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82479A (en) * | 2021-03-23 | 2021-06-18 | 中铁第六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 Prestressed cantilever type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20240010573A (en) * | 2022-04-15 | 2024-01-23 | 유한회사 에스씨 | System blocks and building structures constructed using them |
KR102657512B1 (en) * | 2022-04-15 | 2024-04-15 | 유한회사 에스씨 | System blocks and building structures constructed using them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54145B1 (en) | Gravity type concrete precast modular retaining wall utilizing shear key and connected steel ba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0414010B1 (en) | Retaining wall block | |
KR101652163B1 (en) | Concrerte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20090093556A (en) | Panel , Wall Structure with panels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764135B1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862385B1 (en) | Square board piles and wall structures using them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1077348B1 (en) |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211469B1 (en) |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prefabricated block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0998502B1 (en) | Gravity precast retaining wall with shear key and steel pipe | |
KR100583294B1 (en) | Block-assembl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pane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and panel support reinforcement | |
KR101145393B1 (en) | Big Block Type Reinforced Retaining Wall | |
CN201891130U (en) | Flexible precast block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100991664B1 (en) | Gravitational precast retaining wall united by tensible force | |
KR100799848B1 (en) | Site-pouring top pile with reinforced coupling structure | |
KR101054450B1 (en) | Precast structures | |
JP6860895B2 (en) |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2302152B1 (en) | Retaining wall block unit consists of prefab blocks with field-adjustable length and modular gravity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it | |
JP2015183366A (en) |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anking structure | |
KR102490872B1 (en) |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ensile force of steel rod piles | |
KR100626718B1 (en) |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its installation method | |
KR101065726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 |
KR100998501B1 (en) | Gravity-precast retaining wall for intimate contact with collapse nets and wires | |
CN111511992A (en) | Thin and stable segmented wall block and soil stabilization system and method | |
KR102016974B1 (en) | Retaining Wall using Continuous Precast Panel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 |
KR10148386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Underground Structure using Composite Wal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6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8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2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0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102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2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11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1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7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1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