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045B1 - Short Range Digital Data Transceiver - Google Patents
Short Range Digital Data Transceiv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91045B1 KR100991045B1 KR1020080049458A KR20080049458A KR100991045B1 KR 100991045 B1 KR100991045 B1 KR 100991045B1 KR 1020080049458 A KR1020080049458 A KR 1020080049458A KR 20080049458 A KR20080049458 A KR 20080049458A KR 100991045 B1 KR100991045 B1 KR 1009910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ata
- interface unit
- interface
- bus
- baseban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7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H04B5/72—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local intradevice communic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9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 sending/receiving arrangement to establish a cordless communication link, e.g. radio or infrared link, integrated cellular phon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04B5/4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characterised by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near-field transmission
- H04B5/48—Trans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개시된다. RF 신호를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발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 소정의 유선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외부로 데이터를 발송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발송되는 데이터와,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한 베이스밴드 데이터 및 무선 인터페이스부에 전달되어 RF 신호로 변환될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베이스밴드 데이터로 인코딩하고,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프로토콜 처리부를 포함하여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를 구성한다. 따라서,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USB 등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장착되어 다양한 전자기기간의 연결을 무선화시킬 수 있다.
MOT, USB, 블루투스, 근거리 통신, RFID, 추상화
A short 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is disclosed. A wireless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the RF signal to generate baseband data, converts the baseband data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s the signal; And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received or sent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unit, baseband data received from the air interface unit, and baseband data transmitted to the air interface unit to be converted into an RF signal, and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unit. A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interface apparatus including a protocol processing unit for encoding the data stored in the baseband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decoding the baseband data received through the air interface unit, and storing the baseband data received in the memory unit. Constitute a. Therefore, it is possible to wirelessly connect various electromagnetic periods by being mounted on a universally used interface port such as USB.
MOT, USB, Bluetooth, Near field communication, RFID, Abstrac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근거리에 위치한 장치들 간에 디지털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컴퓨터 본체, 컴퓨터 주변장치, 가전기기, 광고기기,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장치들간의 무선(wireless) 인터페이스를 종래에 널리 이용되는 인터페이스 방식, 예컨대 USB 인터페이스, DVI 인터페이스의 방식으로 추상화(abstraction)시켜서 제공할 수 있는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gital data between devices located in a short distance, and more particularly, a wireless interface between various devices such as a computer body,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a home appliance, an advertisement device, a portable terminal, and the li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that can be provided by abstraction (abstraction) in a widely used interface method, for example, a USB interface or a DVI interface.
컴퓨터 본체, 컴퓨터 주변장치(예컨대, 프린터, 스캐너, 스피커, 키보드와 마우스 등의 입력장치, 외장 하드디스크, 모니터), 가전기기(예컨대, DVD 플레이어, 블루레이/HD-DVD 플레이어와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상호간 연결을 위하여 널리 보편화된 인터페이스 방식으로는 USB(Universal Serial Bus), DVI(Digital Video Interface) 인터페이스, IEEE-1394 등이 존재하고 있다.Computer body, computer peripherals (e.g. printers, scanners, speakers, input devices such as keyboards and mice, external hard disks, monitors), home appliances (e.g. DVD players, Blu-ray / HD-DVD players and display devices) Widely used interface methods for interconnection are USB (Universal Serial Bus), DVI (Digital Video Interface) interface, and IEEE-1394.
그러나, 이러한 인터페이스 방식의 경우에는 각 인터페이스 방식에 적합한 케이블을 통하여 각각의 기기를 유선으로 연결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하나의 컴퓨터 본체에 연결되는 키보드, 적어도 하나의 모니터, 스피커 시스템, 프린터 등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여러 개의 케이블이 컴퓨터 본체로부터 각각의 주변기기로 연장되어 있어야 한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n interface method, there is an inconvenience of connecting each device by wire through a cable suitable for each interface method. For example, in order to connect a keyboard, at least one monitor, a speaker system, a printer, and the like connected to one computer main body, several cables must extend from the computer main body to each peripheral device.
이와 같은 케이블 연결 방식을 통한 연결은 실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기기들의 배치 자유도를 제한하기도 하고, 케이블의 길이에 의해서 기기들 간의 거리가 제한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각각의 기기들간을 연결하는 케이블들이 적절히 배선되어야 하므로, 예를 들어 거실에 위치한 대형 디스플레이 장치와 서재에 위치한 컴퓨터 본체간의 연결을 위해서 케이블의 배선이 이루어진다거나, 거실 거치대에 위치한 비디오 플레이어와 거실 천장에 위치한 프로젝터(projector) 간에도 케이블의 배선이 이루어져야 하는 등 배치 자유도가 극히 제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connection through the cable connection method may limit the degree of freedom of arrangement of various devices existing in the room,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devices is limited by the length of the cable. In particular, the cables connecting the devices must be properly wired, so that the cables are routed for connection between a large display device in the living room and the computer body in the library, or a video player and a living room in the living room crad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degree of freedom of placement is extremely limited, such as cable wiring between projectors located on the ceiling.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기기들간의 연결을 무선화시키기 위한 무선 인터페이스들이 도입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의 경우에는 각각의 기기들이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계되어야 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wireless interfaces have been introduced to wirelessly connect each device.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n air interface method, each device has a problem in that it must be designed in advance to correspond to the air interface method.
예를 들면, 블루투스 무선 인터페이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기들이 블루투스를 지원하기 위한 블루투스 송수신칩, 안테나를 내장하고 있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무선 인터페이스들이 여러가지 다양한 장치들에 보편화되어 보급되지는 않고 있으며, 이동통신단말기와 헤드셋간의 연결과 같은 제한적인 응용에만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상술된 무선 인터페이스를 각각의 장치들이 지원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기 장치들이 새롭게 설계되고 생산되어야 하므로 상당한 단가의 상승을 가져오는 요인이 되고 있다.For example, in order to use a Bluetooth wireless interface, there is a problem that each device should have a Bluetooth transceiver chip and an antenna for supporting Bluetooth. Therefore, such wireless interfaces are not widely used in various devices and are only used for limited applications such as a connection betwee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headset. In addition, since each device device must be newly designed and produced in order to support the above-described air interface, it is a factor that leads to a significant increase in unit cost.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외부 인터페이스 규격을 이용하여 호스트 장치에 장착되고, 무선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전자기기에 장착되어 상호간의 연결을 무선화시키는 것이 가능한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mount to a host device using a universally used external interface standard, and to be equipped with a variety of electronic devices, to enable a wireless interface to wirelessly interconnect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RF 신호를 수신하여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발신하는 무선 인터페이스부; 소정의 유선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외부로 데이터를 발송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발송되는 데이터와,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한 베이스밴드 데이터 및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에 전달되어 RF 신호로 변환될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밴드 데이터로 인코딩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디코딩한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프로토콜 처리부를 포함한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adio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the RF signal to generate baseband data, converts the baseband data into an RF signal and transmits; An external interface unit which sends data to the outside through a predetermined wired external interface and receives data from the outside; A memory unit for storing data received or sent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unit, baseband data received from the air interface unit, and baseband data transmitted to the air interface unit to be converted into an RF signal; And a protocol processor configured to encode data received through the external interface unit and stored in the memory unit into the baseband data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protocol, and store decoded baseband data received through the air interface unit in the memory unit. It provides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terface device including a.
여기에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IEEE 802.11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의 규 격으로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베이스벤드 데이터와 RF 신호를 상호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in, the wireless interface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IEEE 802.11 wireless LAN, and to mutually convert baseband data and RF signal. Can be.
여기에서,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RF 신호를 수신하고 발신하는RF 송수신부; 및 상기 RF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여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생성하고,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상기 RF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출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ir interface unit, RF transceiver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the RF signal; And a baseband processor configured to generate baseband data by processing the RF signal received by the RF transceiver and to transmit baseband data through the RF transceiver.
여기에서,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는 소정의 프로토콜은 MOT(Multimedia Object Transfer)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Here, the MOT (Multimedia Object Transfer) protocol may be used as a predetermined protocol in which the protocol processor encodes and decodes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unit.
여기에서,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는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미리 지정된 고유한 장치 이름(equipment name)과 미리 지정된 고유 아이디(identifier)를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브로드캐스트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protocol process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broadcast, through the air interface unit, a predetermined unique device name and a predetermined unique identifier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여기에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는 USB(Universal Serial Bus) 및/또는 DVI(Digital Video Interface)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외부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external interface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data to and from the outside using a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 or a digital video interface (DVI) interface.
여기에서, 상기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메모리부 및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는 버스(bus)로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버스는 AHB(Advanced High-Performance Bus) 버스일 수 있다.Here, the protocol processor, the memory unit and the external interface may be connected by a bus, wherein the bus may be an Advanced High-Performance Bus (AHB) bus.
또한, 상기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브리지(bridge)를 통하여 상기 버스와 연결되는 2차 버스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2차 버스에는 상기 버스에 연결 된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보다 비교적 전송속도가 느린 외부 인터페이스부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차 버스는 APB(Advanced Peripheral Bus) 버스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비교적 전송속도가 느린 외부 인터페이스부는 패러럴 인터페이스 또는 UART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gital data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further includes a secondary bus connected to the bus via a bridge, and the secondary bus has an external transmission rate that is relatively slower than the external interface connected to the bus. The interface unit may be configured to be connected. In this case, the secondary bus may be an Advanced Peripheral Bus (APB) bus. In this case, the relatively slow external interface may be configured to support a parallel interface or a UART interfac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보편적으로 이용되는 외부 인터페이스 규격에 의해 호스트 장치에 장착되어 무선 인터페이스를 지원할 수 있다.When using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may be mounted on the host device by the external interface standard that is commonly used to support the wireless interface.
따라서, 가전기기, 컴퓨터 본체, 컴퓨터의 주변기기 등 가정이나 사무실내에 존재하는 다양한 전자 장치들간의 유선 연결을 간편한 착탈식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USB, IEEE-1394, DVI 등의 인터페이스 포트에 접속시키는 것만으로 무선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다.Therefore, by simply connecting a wired connection between various electronic devices existing in a home or office such as a home appliance, a computer main body, a computer peripheral device, etc. to an interface port such as USB, IEEE-1394, DVI, etc.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wireless.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As the invention allows for various changes and numerous embodiments, particular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written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Lik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like elements in describing each drawing.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 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and B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it may be understood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present in between.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other component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indicate that there is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exclud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the addition of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the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construed as having meanings consistent with the meanings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construed i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s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Do not.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110), 외부 인터페이스부(120-1 내지 120-4), 메모리부(130) 및 프로토콜 처리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이때,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는 RF(Radio Frequency) 신호를 수신하여 베이스밴드(baseband) 데이터를 생성하고,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RF 신호로 변환하여 발신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100)의 무선 인터페이스부(110)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연결되어 RF 신호를 송수신하는 안테나(antenna)에 연결된다.At this time, the
여기에서, 무선 인터페이스부는, 블루투스(Bluetooth), 알에프아이디(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및 IEEE 802.11 무선랜 중 적어도 하나의 규격으로 RF 신호를 송수신하고, 베이스벤드 데이터와 RF 신호를 상호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는RF 신호를 수신하고 발신하는RF 송수신부(transceiver; 111) 및RF 송수신부에서 수신된 RF 신호를 처리하여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 동작을 수행하고, RF 송수신부를 통하여 송출될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입력받아 베이스밴드 처리 동작을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baseband processor; 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Herein, the wireless interface unit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d receive an RF signal based on at least one of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d IEEE 802.11 wireless LAN, and convert baseband data and RF signal to each other. . That is, in more detail, the radio interface unit performs a processing operation of generating baseband data by processing an
즉,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는 후술될 프로토콜 처리부(140) 및 메모리부(130)로부터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전달받아 앞서 언급된 블루투스, 알에프아이디 및 IEEE 802.11 무선랜의 규격에 대응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RF 송수신부로 전달하고, RF 송수신부로부터 수신된 RF 신호에 대한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베이스밴드 데이터로 변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베이스밴드 처리부가 프로토콜 처리부(140)로부터 수신한 베이스밴드 데이터에 대하여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프로세싱은 예컨대, 코딩(coding), 암호화(encryption), 인터리빙(interleaving) 등의 처리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한편, 도 1에서 상술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SoC(System On Chip)으로 원칩화가 가능하다. Meanwhile,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may be one chip into a system on chip (SoC).
이 경우, 도 1에서 예시된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의 칩으로 원칩화하는 것도 가능하겠으나, 무선 인터페이스부(110)을 제외시키고 나머지 외부 인터페이스부(120-1 내지 120-4), 메모리부(130) 및 프로토콜 처리부(140)를 하나의 칩으로 원칩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In this case, although all the components illustrated in FIG. 1 may be one chip,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또한, 무선 인터페이스부(110) 중에서도, RF 송수신부(111)를 제외한 베이스밴드 처리부(112)는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함께 하나의 칩으로 원칩화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왜냐하면, RF 송수신부는 RF 신호를 처리하여야 하므로, 공정상 나머지 구성요소들과 하나의 칩으로 원칩화시키기 어려운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특성상 지원해야하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이 상황에 따라서 다양화될 수 있으므로, 무선 인터페이스부와,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과는 무관하게 설계 가능한 나머지 구성요소들을 별도로 모듈화시키는 것이 구현 상 바람직할 수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among 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SoC(System On Chip)으로 원칩화될 경우는, 상술되거나 후술될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기능블록(functional block, Intellectual Propery core)로서 설계되어 하나의 칩내에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ne-chip into a system on chip (SoC), each component to be described or described below is designed as one functional block (Intellectual Propery core) and one It can be placed in a chip.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들은 내부 버스(bus) 구조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이용될 수 있는 버스 구조로는 ARM 사에서 제안되어 임베디드(embedded) 장치나 SoC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AMBA(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를 채택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component may be connected by an internal bus structure, and as a bus structure that can be used, an Advanced Microcontroller Bus Architecture (AMBA) proposed by ARM and widely used in embedded devices or SoCs Can be adopted.
AMBA 버스는 AHB(Adavanced High-performance Bus), ASB(Advanced System Bus) 및 APB(Advanced Peripheral Bus)의 3 가지 버스 타입을 가지며, 파이프라인(pipe-line) 방식으로 동작하여 고속의 전송속도가 보장되는 AHB 버스가 상술된 구성요소들간의 버스(150)로 이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MBA bus has three types of buses: AHB (Adavance High-performance Bus), Advanced System Bus (ASB), and Advanced Peripheral Bus (APB), and operates in a pipelined manner to ensure high transmission speeds. AHB bus is preferably used as the
이외에, 후술될 외부 인터페이스부(120-1 내지 120-4) 중에서 저속의 전송속도를 지원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패러럴 인터페이스 및 UART 인터페이스)의 경우에는 APB 버스를 채택할 수도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an external interface unit (parallel interface and UART interface) supporting a low transmission rate among the external interface units 120-1 to 120-4 to be described later, an APB bus may be adopted,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외부 인터페이스부(120-1 내지 120-4)는 소정의 유선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외부로 데이터를 발송하고, 외부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요소이다.Next, the external interface units 120-1 to 120-4 are components that send data to the outside and receive data from the outside in a predetermined wired external interface.
상술된 본 발명의 목적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보편화된 유선 인터페이스 방식에 의하여 다양한 호스트에 장착되어 무선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Based on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ounted on a variety of hosts by a universal wired interface method to implement a wireless interfac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채택될 수 있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20-1 내지 120-4)는 범용직렬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 디지털비디오인터페이스(DVI: Digital Video Interface), DisplayPort, 병렬 인터페이스(Parallel), UART, RS-232C, IEEE-1394 등의 다양한 인터페이스 규격들을 채용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네가지 종류의 외부 인터페이스(USB, DVI, 병렬, UART)를 지원하기 위한 네가지 외부 인터페이스부(120-1 내지 120-4)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외부 인터페이스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존재하여야 하는 구성요소로서,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에 따라서는 하나의 외부 인터페이스부만을 가질 수도 있고, 복수개의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external interface unit 120-1 to 120-4 that can be adopted in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universal serial bus (USB) and a digital video interface (DVI). Various interface standards such as DisplayPort, Parallel Interface, UART, RS-232C, and IEEE-1394 can be adopted. In FIG. 1, four external interface units 120-1 to 120-4 for supporting four types of external interfaces (USB, DVI, parallel, and UART) are illustrated. However, at least one external interface unit may exist, and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have only one external interface unit or may include a plurality of external interface units.
한편, 비교적 고속의 전송속도를 지원하여야 하는 USB, DVI, IEEE-1394 등의 인터페이스 규격을 지원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는 AHB 버스를 통하여 상술된 구성요소들과 연결될 수 있으며, 비교적 저속의 전송속도를 지원하여야 하는 병렬 인터페이스, UART 인터페이스 등은 2차 버스(secondary bus), 예컨대 APB 버스(152)를 통하여 상술된 구성요소들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APB 버스는 버스간을 연결하는 브리지(bridge; 151)를 통하여 AHB 버스에 연결되도록 구성된다.On the other hand, the external interface that supports the interface standards such as USB, DVI, IEEE-1394, etc., which must support relatively high transmission speed can be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components through the AHB bus, and must support a relatively low transmission speed. The parallel interface, the UART interface, etc. may be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via a secondary bus, for example, the
메모리부(130)는 외부 인터페이스부(120-1 내지 120-4)를 통하여 수신되거나 발송될 데이터와,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한 베이스밴드 데이터 및 무선 인터페이스부에 전달되어 RF 신호로 변환될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The
즉, 메모리부(130)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장착된 호스트(host)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장착된 호스트로 발송될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또한, 메모리부는 무선 인터페이스부에서 수신한 베이스밴드 데이터 및 무선 인터페이스부에 전달되어 RF 신호로 변환될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 That is, the
따라서, 메모리부(130)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되거나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발송되어야 할 데이터와, 무선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되거나,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발송되어야 할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별개의 어드레스 영역으로 구분하는 등으로 구분 지어 저장하게 된다. Therefore, the
마지막으로, 프로토콜 처리부(140)는 상기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되어 메모리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밴드 데이터로 인코딩하고,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수신된 베이스밴드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하는 구성요소이다.Finally, the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소정의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을 이용하되,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들간의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과,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와 각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들이 장착된 장치들간의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간을 중재하는 프로토콜이 필요하다.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predetermined air interface method, but an external interface between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and devices equipped with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and respectiv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A protocol is needed to mediate between interface methods.
즉, 다양한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과 다양한 외부 인터페이스 방식들간의 변환을 중재하는 프로토콜로서, 각각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추상화(abstraction)시키는 중간 프로토콜이 필요하게 된다.That is, as a protocol for mediating conversion between various air interface methods and various external interface methods, an intermediate protocol for abstracting each interface method is needed.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로는 디지털 오디오 방송(DAB: Digital Audio Broadcasting) 및 우리나라의 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를 위하여 이용되는 MOT(Multimedia Object Protocol)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ltimedia object protocol (MOT) protocol used for digital audio broadcasting (DAB) and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DMB) in Korea may be used.
MOT 프로토콜은 ETSI EN 301 234에 규정된 프로토콜로서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확장성있게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도록 제정된 전송 프로토콜(transport protocol)이다. 이하, MOT 프로토콜과 관련된 설명은 ETST EN 301 234에서 정의된 내용을 기초로 한 것이다.The MOT protocol is a protocol defined in
도 2는 본 발명에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이용 가능한 MOT 프 로토콜의 패킷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 MOT protocol that can be used by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MOT 프로토콜에서 정의되는 패킷 구조가 설명된다. MOT 프로토콜에서 전송되는 파일이나 오브젝트는 여러 개의 패킷들(200-1 내지 200-N)로 분리되어 전송되며, 각각의 패킷들은 패킷 헤더(211), 패킷 데이터 필드(212) 및 패킷 CRC 필드(213)로 다시 분리된다.2, a packet structure defined in the MOT protocol is described. The file or object transmitted in the MOT protocol is divided into several packets 200-1 to 200 -N and transmitted, and each of the packets is a
다시 여러 개의 패킷들이 모여서 하나의 데이터 그룹(data group)을 형성한다. 즉, 여러 패킷들의 데이터 필드들이 모여서 하나의 데이터 그룹(220 또는 230)을 형성하게 된다. 데이터 그룹(220)은 다시 데이터 그룹 헤더(221), 데이터 그룹의 세션을 정의하는 세션 헤더(222), 데이터 그룹의 본체인 데이터 그룹 데이터 필드(223) 및 데이터 그룹 CRC 필드(224)로 분리된다. 또 다른 데이터 그룹(230)도 마찬가지로, 데이터 그룹 헤더(231), 데이터 그룹의 세션을 정의하는 세션 헤더(232), 데이터 그룹의 본체인 데이터 그룹 데이터 필드(233) 및 데이터 그룹 CRC 필드(234)로 분리된다.Again, several packets come together to form a data group. That is, data fields of several packets are gathered to form one
한편, 데이터 그룹의 헤더(221 또는 231)에서는 데이터 그룹의 유형(type)를 지정하게 된다. 데이터 그룹의 유형은 실제 전송되는 파일의 본체를 담고 있는 데이터 그룹과, 전송되거나 수신되는 파일이나 오브젝트의 정보를 지정하는 유형의 데이터 그룹으로 나뉘어 진다.The
실제 전송되는 파일의 본체를 담고 있는 데이터 그룹은 데이터 그룹 헤더에서 타입이 4 또는 5(암호화된 경우)로 지정된다.The data group containing the body of the file actually transferred is specified as 4 or 5 (if encrypted) in the data group header.
또한, MOT 프로토콜에서는 전송되거나 수신되는 파일이나 오브젝트의 정보를 지정하는 데이터 그룹의 타입으로 크게 두 가지 모드(mode)를 정의하고 있는데, 디렉토리 모드(MOT directory mode)와 헤더 모드(header mode)가 그것이다. In addition, the MOT protocol defines two modes as a type of data group that specifies the information of a file or an object to be transmitted or received. The MOT directory mode and the header mode are defined as will be.
디렉토리 모드는 컨텐트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 쪽에서 수신쪽에 위치하는 파일 및 오브젝트들의 MOT 디렉토리(MOT directory)라는 하나의 단일한 단위(entity)내에 결합시켜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다. 이때, MOT 디렉토리는 MOT 디렉토리에 의해서 기술되는 파일이나 오브젝트들과 병렬로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전송된다. 이때, MOT 디렉토리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그룹은 해당 데이터 그룹 헤더에서 타입을 6 또는 7 값으로 지정하여 전송된다. 반면에, 헤더 모드는 한번에 하나의 파일이나 객체를 이용하는 단일 사용자 어플리케이션에서 이용될 수 있는 모드로서, 파일이나 오브젝트를 전송하기 전에 전송되는 파일이나 오브젝트를 기술하는 MOT 헤더(MOT header)를 먼저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때, MOT 헤더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데이터 그룹은 해당 데이터 그룹 헤더에서 타입을 3 값으로 지정하여 전송된다.The directory mode is a method of managing a content provider by combining them in a single entity called a MOT directory of files and objects located at a receiving side. At this time, the MOT directory is transmitted from the sending side to the receiving side in parallel with the files or objects described by the MOT directory. At this time, the data group for transmitting the MOT directory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specifying a type of 6 or 7 in the corresponding data group header. Header mode, on the other hand, is a mode that can be used in a single user application that uses one file or object at a time, and transmits a MOT header that describes the file or object to be transmitted before transmitting the file or object. That's the way. At this time, the data group for transmitting the MOT head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by designating the type as 3 in the corresponding data group header.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다양한 호스트에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착탈되는 장치를 상정하고 있으므로, 한 쌍의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를 매개가 되어, 다양한 호스트를 수용하여야 하므로 헤더 모드가 보다 바람직할 수 있다. Therefore, since th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sumes a device detachable from an external interface unit to various hosts, a header mode may be more preferable since a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must be accommodated through a pair of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Can be.
한편, 도 2에서는 앞서 언급된 MOT 헤더를 전송하기 위한 타입 3의 데이터 그룹(230), 데이터 그룹을 뒤따라 전송되는 타입 4 또는 5의 데이터 그룹들(220)이 결합되어 전송의 대상이 된 실제 데이터(240)가 도시되어 있다.Meanwhile, in FIG. 2, the
타입 3의 데이터 그룹(230)의 데이터 그룹 데이터 필드(233)에 포함되어 있는 헤더 코어(241) 부분에서는 이후에 전송되는 데이터 본체(243)에 포함된 컨텐츠의 타입을 다양하게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6비트의 컨텐츠 상위 분류와 9비트의 컨텐츠의 하위 분류를 지정하여 전송되는 컨텐츠의 타입을 세부적으로 지정한다.The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 전송되는 컨텐츠의 타입을 정의한 예를 도시한 도표이다.Table 1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defining the type of content to be transmitted in th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표 1]TABLE 1
상위분류(6비트)contents
Higher classification (6 bits)
상위분류 설명contents
Top Category Description
하위분류(9비트)contents
Subclass (9 bit)
하위분류 설명contents
Subclass Description
표 1을 참조하면, 예컨대 6비트의 컨텐츠 상위 분류 필드를 이용하여 일반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MOT 전송, 시스템 등으로 컨텐츠를 상위 분류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예컨대 9비트의 컨텐츠 하위 분류 필드를 이용하여 각각의 컨텐츠 상위 분류에 속한 컨텐츠를 다시 세분화하여 지정하는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Referring to Table 1, for example, the content is classified by general data, text, image, audio, video, MOT transmission, system, etc. using a 6-bit content higher classification field. Similarly, for example, the content belonging to each content upper classification is further subdivided and specified using a 9-bit content lower classification field.
표 1에서 예시된 컨텐츠 상위 분류와 컨텐츠 하위 분류는 하나의 예시일 뿐으로, 표 1에서 정의되지 않은 유형의 컨텐츠의 경우에도 추가적으로 정의하여 확장성있게 지원이 가능하다.The content upper classification and the content sub classification illustrated in Table 1 are merely examples, and in the case of the type of content not defined in Table 1, the content upper classification and the content sub classification may be additionally defined and supported.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들간에는 서로를 식별하고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매커니즘이 필요하다.There is a need for a mechanism for identifying and recognizing each other between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devic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다양한 호스트에 장착되어 무선 환경을 형성될 수 있으므로,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부가 채택한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의 RF 신호 도달거리 내에 존재하는 많은 수의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들간에 각자를 구별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필요하다.That is, since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unted in various hosts to form a wireless environment, a large number of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existing within the RF signal reach distance of the radio interface method adopted by the corresponding air interface unit. We need a way to make each one unique.
예컨대, 소정의 시간 간격으로,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자신의 고유한 이름과 고유 아이디 정보를 브로드캐스트(broadcast)시키는 방식으로 자신의 통신 도달거리에 존재하는 다양한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 자신의 정보를 전달시켜 자신을 식별하도록 할 수 있다. For example,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broadcasts its own name and unique ID information to a variety of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present in its communication range. You can tell it to identify yourself.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 장치들의 식별 정보 전송 패킷의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s of devices in a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식별 정보 전송 패킷은 싱크 필드(301), 전송해야 하는 파라미터의 종류수만큼 반복되는 파라미터 필드(302-1 내지 302-N)와 각각의 파라미터 필드에서 지정한 파라미터 데이터 필드(303-1 내지 303-N)들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3,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 includes a
싱크 필드(301)는 연속적인 값을 가지는 비트열(예컨대, 12비트의 연속적인 '1' 값)로 구성되며, 송신측과 수신측의 동기를 획득하기 위해 전송되는 필드이다.The
파라미터 필드(302-1 내지 302-N)는 전송될 기기 정보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지정하기 위한 필드이다. 예컨대, 6 비트의 비트열로서 전송될 파라미터를 지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arameter fields 302- 1 through 302-N are fields for specifying parameters related to device information to be transmitted. For example, it may be configured to specify a parameter to be transmitted as a bit string of 6 bits.
표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 장치들의 식별 정보를 지정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는 파라미터를 정의한 도표이다.Table 2 is a table defining parameters that can be used to specify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devices in th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표 2] TABLE 2
표 2에서 예시된 도표는 장치의 이름(Equipment Name)과 장치의 고유 번호(Identification Number)를 파라미터로 정의한 것을 예시한 것으로, 파라미터 필드가 6비트로 정의되어 있으므로 추가적인 장치의 식별 정보 파라미터가 확장성있게 추가될 수 있다. 이때, 장치의 이름은 장치의 이름 파라미터 아이디가 기록된 파라미터 필드에 뒤따르는 파라미터 데이터 필드에 고유한 값이나 사용자가 입력한 값이 지정될 수 있으며, 장치의 고유 번호는 GUID 등의 고유 아이디나, 장치의 제조업체, 제조일자, 일련번호 등이 조합된 형태의 고유값이 정의되어 장치의 고유 번호 파라미터 아이디가 기록된 파라미터 필드에 뒤따르는 파라미터 데이터 필드에 지정될 수 있다. The table shown in Table 2 illustrates the definition of the device name and device identification number as parameters. Since the parameter field is defined as 6 bit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arameter of the additional device can be extended. Can be added. In this case, the device name may be assigned a unique value or a user input value in the parameter data field following the parameter field in which the name parameter ID of the device is recorded. The unique number of the device may be a unique ID such as a GUID, A unique value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of a device's manufacturer, date of manufacture, serial number, etc. may be defined and the unique number parameter ID of the device may be specified in the parameter data field following the recorded parameter field.
예컨대, 프린터 장치의 경우에는 장치의 이름을 'XXXPrinter'로 지정하고, 장치의 고유번호는 '0xFA88ED99'등의 소정 자릿수의 고유값이 지정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rinter device, the name of the device may be designated as 'XXXPrinter', and the unique number of the device may be assigned a unique number of predetermined digits such as '0xFA88ED99'.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소정의 시간 간격(예컨대, 1초당 1회)으로 상기 도 3에서 예시된 패킷을 브로드캐스팅하여 인접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들에 자신의 식별 정보를 인식시킬 수 있다. Accordingly, th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oadcasts the packet illustrated in FIG. 3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or example, once per second) to recognize it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adjacent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es. Can be.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이용예Example of the use of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이용되는 환경을 예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411, 421, 431, 441, 451, 461)는 데스크탑(desk-top) 컴퓨터(410), 노트북 컴퓨터(420), 상기 컴퓨터 장치(410, 420)들과 연결되어 사용되는 프린터(460), 디스플레이 모니터(450), 텔레비전 수상기(440) 등에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PDA, 셀룰러폰, PMP(Portable Media Player), MP3 플레이어등, 외부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는 휴대용 단말기(430)에도 장착되어 이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이때, 각각의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들간에는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송수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블루투스, RFID, IEEE 802.11 등의 무선 인터페이스 방식을 이용하여 무선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진다.At this time, each of the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es are configured to perform wireless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using the air interface method. For example, wireless data communication is performed using a wireless interface method such as Bluetooth, RFID, IEEE 802.11, or the like.
또한, 도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각각의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는 외부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외부 인터페이스부는 USB 인터페이스, DVI 인터페이스, 패러럴 인터페이스, UART 인터페이스 등의 통상적인 컴퓨터 본체와 주변기기간의 인터페이스 방식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1, each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includes an external interface unit, and the external interface unit is an interface method between a conventional computer main body and a peripheral device such as a USB interface, a DVI interface, a parallel interface, and a UART interface. It is configured to support.
예를 들면, 통상적으로, 컴퓨터 장치(410)와 프린터(460)는 USB 인터페이스 또는 패러럴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연결되므로, 프린터(460)는 프린터에 장착된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461)와 패러럴 인터페이스 또는 USB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되, 프린터에 장착된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461)는 컴퓨터(410)에 연결된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411)와는 블루투스 무선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For example, since the
마찬가지로, 통상적으로 컴퓨터 장치(410)와 모니터(450)는 DVI 인터페이스 방식을 통하여 연결되므로, 모니터(450)에 장착된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451)는 모니터와 DVI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하되, 모니터에 장착된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451)는 컴퓨터(410)에 연결된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411)와는 블루투스 무선 방식에 의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구성된다.Similarly, since the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응용예로서 광고장치와 광고장치로부터 광고정보를 입수하는 단말기의 환경을 예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of an advertisement device and a terminal for obtain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from the advertisement device a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521)가 장착된 휴대용 단말기(520)가 대중 교통수단, 공공장소, 길거리 등에 배치된 광고 장치(510)에 인접하는 순간, 광고 장치(510)로부터 광고 장치(510)에 장착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511)를 통하여 광고 상세 정보를 다운로드받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응용예가 예시된다.Referring to FIG. 5, when the
광고 장치(510)와 휴대용 단말기(520)에 장착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들(511, 521)은 RFID 또는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접속되고, 광고 장치(510)는 지속적으로 자신 RF 도달 거리에 존재하는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들을 검색하여, 검색된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들(도 5에서는 520)에 대하여 광고 장치(510)에서 현재 광고중인 광고 내용에 대응되는 상세정보를 휴대용 단말기(52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digital
이때, 휴대용 단말기(520)는 이동통신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노트북 컴퓨터등일 수 있으며, 광고장치는 길거리나 기차, 버스, 지하철 등의 설치된 광고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고장치는 소정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여, 동영상 또는 이미지 형태의 광고를 재생하도록 구성되고, 휴대용 단말기(520)의 사용자는 광고장치에서 재생되고 있는 광고의 내용중에서 자신이 상세정보를 원하는 광고를 선택하여, 선택 된 광고에 대한 광고 상세 정보를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들(511, 521)을 매개로 전송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이때, 광고의 상세 정보에는 광고내용을 게시한 광고주의 사업체 정보, 연락처, 업체의 약도 정보, 네비게이션용의 GPS 좌표값, 인터넷 홈페이지나 인터넷 쇼핑몰의 주소 등의 다양한 상세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detailed information of the advertisement may include various detailed information such as the business information, the contact information, the map information of the advertiser, the GPS coordinate value for navigation, the address of the Internet homepage or the Internet shopping mall, etc.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It can be understood tha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구성을 예시한 블록도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은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이용 가능한 MOT 프로토콜의 패킷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packet structure of a MOT protocol that can be used by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에서 장치들의 식별 정보 전송 패킷의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of identification information transmission packets of devices in a digital data transmission and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가 이용되는 환경을 예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in which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거리 디지털 데이터 송수신 장치의 응용예로서 광고장치와 광고장치로부터 광고정보를 입수하는 단말기의 환경을 예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n environment of an advertisement device and a terminal for obtaining advertisement information from the advertisement device as an application example of a short-range digital data transmission / recep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0: 무선 인터페이스부 111: RF 송수신부110: wireless interface unit 111: RF transceiver
112: 베이스밴드 처리부112: baseband processing unit
120-1 내지 120-4: 외부 인터페이스부120-1 to 120-4: external interface unit
130: 메모리부 140: 프로토콜 처리부130: memory unit 140: protocol processing unit
150: 버스 151: 브리지150: bus 151: bridge
152: 2차 버스152: secondary bus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9458A KR100991045B1 (en) | 2008-05-28 | 2008-05-28 | Short Range Digital Data Transceiv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9458A KR100991045B1 (en) | 2008-05-28 | 2008-05-28 | Short Range Digital Data Transceiv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3399A KR20090123399A (en) | 2009-12-02 |
KR100991045B1 true KR100991045B1 (en) | 2010-10-29 |
Family
ID=41685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9458A KR100991045B1 (en) | 2008-05-28 | 2008-05-28 | Short Range Digital Data Transceiv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91045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29736A1 (en) | 2002-03-05 | 2006-06-15 | Microsoft Corporation | Detachable radio module |
-
2008
- 2008-05-28 KR KR1020080049458A patent/KR100991045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29736A1 (en) | 2002-03-05 | 2006-06-15 | Microsoft Corporation | Detachable radio modu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3399A (en) | 2009-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10778B1 (en) | Method and system of bluetooth communication | |
US8213355B2 (en) |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setting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setting information obtain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 |
TW513872B (en) | 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ng method | |
US20060179109A1 (en) | Contents transmission system, method of playing contents using integration media play program, method of transmitting contents using media format transcoding function, and method of determining whether contents are transmitted | |
US20090170538A1 (en) | Mobile Location Sharing System | |
CN102685856B (en) |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Wi-Fi Direct (Wireless Fidelity Direct) communication system | |
US20080125039A1 (en) | Virtual short range interface for long range wireless communication | |
CN102349314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content based on user geolocation | |
EP2170001B1 (en) | Embedding graphic data in a WIFI beacon frame | |
CN103533093B (en) | A kind of data transmission method based on sound and system | |
US20080140313A1 (en) | Map-based guide system and method | |
CN102149047A (en)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 |
EP2492825A1 (en) | Efficient multiple identity system for media files | |
CN105809588A (en) | Earphone and scenic spot broadcasting system provided with earphone | |
US7805168B2 (en) | Portable digital device for providing digital broadcasting information through outer display unit and method thereof | |
KR100991045B1 (en) | Short Range Digital Data Transceiver | |
JP4718754B2 (en) | Data delivery through portable devices | |
AU2012290870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nformation | |
CN104794127B (en) | Data label delivery system and method based on audio | |
CN104766598A (en) | Karaoke device based on WiFi audio-video access | |
CN201210684Y (en) | Mobile positioning service advertisement system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 | |
CN100486141C (en) |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expanding digital information broadcasting range | |
CN204009894U (en) | Data label delivery system based on audio frequency | |
US20190097737A1 (en) | System, method and relay base station for transmitting data via acoustic internet of things | |
JP2002033753A (en) | Infrared ray and bluetooth based wireless network for data transmiss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0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