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465B1 - Splint for orthopedice - Google Patents
Splint for orthoped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7465B1 KR100987465B1 KR1020080006167A KR20080006167A KR100987465B1 KR 100987465 B1 KR100987465 B1 KR 100987465B1 KR 1020080006167 A KR1020080006167 A KR 1020080006167A KR 20080006167 A KR20080006167 A KR 20080006167A KR 100987465 B1 KR100987465 B1 KR 1009874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lint
- splint body
- cover member
- orthopedic
- affected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0399 orthoped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20000728 polyest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02209 hydrophobic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1723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6010017076 Fractur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730 Moisture cure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9549 Muscle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50031 Muscle str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0040 Sprains and Strain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628 ero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008 moisture c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4—Plaster of Paris bandages; Other stiffening bandag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long-term immobilising or pressure directing devices for treating broken or deformed bones such as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61F5/058—Splints
- A61F5/05825—Strips of substantially planar for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환부를 감싸서 지지해주는 정형외과용 부목에 있어서, 환부에 대응되게 성형하여 상기 환부에 밀착지지하는 부목 몸체와; 부목 몸체를 환자의 환부에 고정시키도록, 부목 몸체에 연결되는 다수의 고정밴드와; 부목몸체에 의해 감싸인 부분외에 노출된 부분을 덮어서 감싸도록 부목 몸체에 연결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용 부목이 개시된다.An orthopedic splint that wraps and supports the affected part, comprising: a splint body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affected part to closely support the affected part; A plurality of fixing bands connected to the splint body to fix the splint body to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Disclosed is an orthopedic splint comprising: a cover member connectable to a splint body to cover and cover an exposed portion outside the portion covered by the splint body.
정형외과, 부목, 고정밴드, 커버부재 Orthopedic Surgeons, Splints, Fixed Bands, Cover Elements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절 및 염좌와 같은 환부를 지지해주는 정형외과용 부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분 경화용 수지가 도포된 유리섬유 또는 폴리에스테르 지지체에 폴리프로필렌 부직포의 피부 접촉층과 그물 망 형태의 외피층을 사용하는 부목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rthopedic garment that supports the affected areas such as fractures and sprains, and more particularly, in the form of a skin contact layer and a mesh of polypropylene nonwoven fabric on a glass fiber or polyester support coated with a moisture curing resin. It relates to a splint using the outer layer.
일반적으로 종래의 정형외과용 부목은 신체의 골절 및 근육의 손상 또는 염좌 등의 부상에 석고붕대와 합성 붕대류가 사용되어 왔고, 최근에는 합성 부목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한 고정방법들이 발전되어 왔다.In general, conventional orthopedic splints have been used for gypsum bandages and synthetic bandages for body fractures, muscle damage or sprains, and recently, fix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synthetic splints.
이러한 부목의 구조는 이를 용이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수경화성 합성수지를 경화재료로 하여, 경화재료를 각종 섬유에 도포하여 지지체로 사용하고, 이를 패드로 감싸서 한번에 시술할 수 있으며, 탈부착이 용이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이다.The structure of the splint is made of a hardened synthetic resin as a hardening material for easy use thereof, and the hardening material is applied to various fibers to be used as a support, and it can be encapsulated in a pad and treated at a time. It is a product.
상기 정형외과용 부목에 사용되는 재료들은 굴곡진 부위를 쉽게 성형하기 위해 유연성이 있어야 하고, 2차 부상을 막기 위하여 기계적인 강도가 충분히 유지되어야 한다.The materials used in the orthopedic splint should be flexible to easily shape the curved area and maintain sufficient mechanical strength to prevent secondary injury.
또한, 성형 시에 균일한 경화시간이 유지되면서 작업시간이 적절해야 하며, 시술 후에는 건조가 잘 이루어져 환부의 진무름 등으로 인한 2차 부상이 없어야 한다.In addition, while maintaining a uniform curing time during molding, the working time should be appropriate, and after the procedure should be well dried, there should be no secondary injury due to the erosion of the affected area.
상기 석고 붕대의 경우, 오랫동안 부목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으나, 시술시 작업시간 및 경화시간이 길고 제품이 무거운 단점을 작고 있으며, 무게에 비하여 낮은 강도를 갖는 단점이 있다.In the case of the gypsum bandage, it has been used a lot as a splint material for a long time, the working time and curing time during the procedure is small and the disadvantages of heavy product,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has a low strength compared to the weight.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유리섬유 및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또는 폴리에스테르 편직물 등에 수경화성 수지를 도포한 지지체에 외피를 감싸서 제작한 부목이 개발되었다.In order to compensate for this, splints made of glass fibers and polyester non-woven fabrics or polyester knitted fabrics, etc. have been developed by wrapping the shell on a support body coated with a hydrocurable resin.
상기와 같은 부목은 포장된 상태로 공급되면, 병원 등에서는 포장을 풀고, 부목에 물을 적신 상태로 환자의 환부에 밀착시켜 성형한 뒤, 그 부목과 환부를 감싸도록 붕대를 감아서 고정시켜 사용하였다.When the splint is supplied in a packaged state, the package is unpacked in a hospital, and the splint is moistened with water to form a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and then the bandage is wrapped and fixed to cover the splint and the affected part. It was.
그런데, 상기와 같은 경우에도 붕대를 감아서 부목을 고정시켜야 하므로, 작업이 까다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However, even in the above case, because the bandage is to be wound around the splint, the operation is difficult and inconvenient.
또한, 부목을 포함하여 환부 전체를 붕대를 이용하여 감싸게 되면, 환부가 밀폐되어 통풍이 되지 않기 때문에, 특히 여름철에는 땀 등에 의해, 환자에게 매우 불편함을 주게 된다.In addition, if the entire affected area, including the splint, is wrapped with a bandage, the affected area is sealed and is not ventilated, which is particularly uncomfortable for the patient due to sweat or the like, especially in summe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환부에 쉽게 시술하여 설치할 수 있으며, 환부를 감싸면서도 통풍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정형외과용 부목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rthopedic splint with an improved structure so that it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affected part, and the ventilation is possible while covering the affected part.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정형외과용 부목은, 환부를 감싸서 지지해주는 정형외과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환부에 대응되게 성형하여 상기 환부에 밀착 지지하는 부목 몸체와; 상기 부목 몸체를 상기 환자의 환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부목 몸체에 연결되는 다수의 고정밴드와; 상기 부목몸체에 의해 감싸인 부분 외에 노출된 부분을 덮어서 감싸도록 상기 부목 몸체에 연결 가능한 커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Orthopedic spli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Orthopedic splint for wrapping and supporting the affected part, the splint body for forming a support corresponding to the affected part to closely support the affected part; A plurality of fixing bands connected to the splint body to fix the splint body to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And a cover member connectable to the splint body to cover and cover the exposed portion in addition to the portion wrapped by the splint body.
여기서, 부목몸체는, 지지체에 수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지지층과; 상기 지지층의 일면을 감싸서 덮는 피부 접촉층과; 상기 지지층의 타면을 감싸서 덮는 외피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splint body includes a support layer coated with a hydrocurable resin on a support; A skin contact layer covering and covering one surface of the support lay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the outer cover layer covering the other surface of the support layer.
또한, 상기 고정밴드는, 일단은 상기 부목몸체의 일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에는 환자의 환부를 감싸서 상기 부목몸체의 타측부에 연결되게 제1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부목 몸체의 타측부에는 상기 제1체결부가 연결되는 제2체결부가 마련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fixing band, one end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lint body, the other end wraps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to have a first fastening portion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plint body, the other side of the splint body It is good that a second fastening part is provided to which the first fastening part is connected.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일단은 상기 부목몸체의 타측부에 연결되고, 타단에 는 상기 환자의 노출된 환부를 덮은 상태로 감싸서 상기 부목몸체의 일측부에 연결되는 제3체결부를 가지며, 상기 부목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3체결부가 연결되는 제4체결부가 마련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one end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plint body, and the other end has a third fastening portion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plint body wrapped around the exposed part of the patient, the splint One side of the body may be provided with a fourth fastening portion to which the third fastening portion is connected.
또한, 상기 제2 및 제4체결부는 상기 부목몸체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second and fourth fastening portion is preferably formed integrally with the splint body.
또한, 상기 커버부재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may be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섬유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is preferably formed of a fiber material.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망사 재질로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is preferably formed of a mesh material.
또한, 상기 고정밴드 및 상기 커버부재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외피층 또는 상기 피부 접촉층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 좋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fixing band and the cover member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skin layer or the skin contact layer.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부목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is preferably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plint body.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은 환자의 환부에 밀착시켜 성형시킨 상태에서, 고정밴드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성이 좋다.The orthopedic spli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good workability because it can be easily fixed using a fixing band in a state in which the orthopedic splin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따라서, 시술자가 혼자서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그 고정 및 분리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operator can easily use alone, there is an advantage that easy to fix and detach.
또한, 별도의 커버부재를 더 구비함으로써, 부목몸체에 의해 지지되지 않은 노출부분을 덮어서 감쌀 수 있기 때문에, 신체가 노출되는 것을 감출 수 있고, 환부의 외관을 보기 좋게 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커버부재에 통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환부의 통기로 인한 쾌적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by further providing a separate cover member, since the exposed portion not supported by the splint body can be covered and wrapped, the body can be exposed and the appearance of the affected part can be improved. In addition, since the through hole is formed in the cover member, the comfort caused by the ventilation of the affected part can be maintained.
또한, 커버부재를 부목몸체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 가능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환부의 상태나 환자의 선호도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cover member has a structure that can be selectively detachably connected to the splint body,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electively used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the affected part or the preference of the patien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n orthopedic spl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은, 환부를 감싸서 지지해주는 정형외과용 부목에 있어서, 상기 환부에 대응되게 성형하여 상기 환부에 밀착 지지하는 부목 몸체(10)와, 상기 부목 몸체(10)를 상기 환자의 환부에 고정시키도록 상기 부목 몸체(10)에 연결되는 다수의 고정밴드(20)와, 상기 부목몸체(10)에 의해 감싸인 부분 외에 노출된 부분을 덮어서 감싸도록 상기 부목 몸체(10)에 연결되는 커버부재(30)를 구비한다.1 and 2 is an orthopedic spl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orthopedic splint to support the wound around the splint, molded to correspond to the affected part to support the splint body (10) ), And a plurality of
상기 부목 몸체(10)는 내부의 지지층(11)과, 외부의 피부 접촉층(13) 및 외피층(15)을 구비한다. 상기 지지층(11)은 후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수경화성 수지가 도포된 지지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로는 유리섬유, 부직포, 폴리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11)은 포장된 상태에서는 유연한 상태로 있다가, 수분이 첨가되면 경화되어 그 성형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환자의 환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The
상기 피부접촉층(13)은 소수성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부직포를 포함하며, 수경화성 수지가 피부에 직접 닿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The
그리고 상기 외피층(15)은 라셀기로 편직 된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더블메쉬를 사용하여 물의 침투와 빠짐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피부 접촉층(13)은 니들펀칭을 통하여 제작된 소수성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부직포를 사용하고, 예를 들어 100~400g의 중량을 유지한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The
니들펀칭으로 제작된 부직포를 사용함으로써 피부접촉 시 부드러운 느낌을 주며 환부를 지지층(11)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By using a nonwoven fabric produced by needle punching, the skin can be softly touched and the affected part can be protected from the
또한, 부직포는 소수성을 사용함으로 외피층(15)으로 침투한 물이 피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nwoven fabric may use hydrophobicity to protect the water penetrating into the
상기 지지층(11)의 경우 수경화성 수지가 지지체에 도포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지지체로는 3~8g/in·m 유리섬유직물 또는 폴리에스테르(Polyester)섬유 직물을 6~9겹 겹쳐서 사용하거나 300~1000g의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또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부직포를 사용하여도 된다.In the case of the
상기 섬유 또는 부직포의 중량이 적을 경우 지지체로서의 강도를 유지할 수 없으며 중량이 많을수록 성형이 어렵고 제품이 무거워지며, 통풍성이 떨어진다.When the weight of the fiber or nonwoven fabric is small, the strength as a support cannot be maintained, and the higher the weight, the more difficult the molding, the heavy the product, and the poor breathability.
상기 지지층(11)의 수경화성 수지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프리폴리머(Prepolymer)를 사용하며 점도가 25,000~60,000cps 이고 이보다 높을 경우 수지가 지지체에 완전히 도포되지 않아 강도를 떨어뜨리며 이보다 낮을 경우 수지의 흐름성이 좋아져 부직포 바깥쪽으로 수지가 흐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 수경 화성 수지는 NCO%가 10~15%정도로 이루어진 수지가 적당하며 이보다 NCO%가 높을 경우 물과의 반응 시 발열온도가 높아 2차 부상의 위험이 있으며, 수지의 점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NCO%가 이보다 낮을 경우 보관 시 저장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고 점도가 높아져 지지체에 도포가 어려워질 수도 있다. The hydraulic resin of the
상기 외피층(15)의 경우 물의 침투와 빠짐이 용이하도록 그물 망 형태(20~1000mesh)의 더블라셀(Double raschel) 직물을 사용하여 수분의 건조시간을 단축하였다. 그물 망 형태의 직물은 이중구조의 더블라셀 직물을 사용하여In the case of the
수지가 외피층(15)으로 흐르는 것을 방지하였다.Resin was prevented from flowing to the
상기 더블라셀 직물(15;외피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셀기로 편집한 그물망 구조인 두 개의 라셀직물(15a,15c) 사이에 모노사(mono)(15b)가 내재되어 직조된 것으로, 상기 라셀직물(15a,15c)은 물의 흐름과 통풍성을 유지하도록 하며, 모노사(15b)는 라셀직물(15a,15c)사에 공극을 주어 수지의 흐름 현상을 방지함과 아울러 원활한 통풍이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 수지가 외피층(15)으로 흐르는 현상이 있을 경우, 제품의 경화 후 제품 표면이 수지로 인해 거칠어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다른 피부 부위에 손상을 줄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double-lasel fabric 15 (envelope layer) is woven with a
상기 라셀직물(15a,15c) 사이에 모노사(15b)가 없을 경우에는 수경화성 수지가 외피층(15)으로 흘러 시술 시 손에 수지가 묻을 수 있다.When the
여기서 수지의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그물망 형태의 직물을 여러 장 겹쳐서 사용하여도 무방하며, 그물망 원사의 두께를 1000denier~10,000denier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prevent the flow of the resin may be used to overlap a plurality of mesh-type fabric,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e mesh yarn is about 1000denier ~ 10,000denier.
이와 같이, 그물망 형태의 외피층(15)을 사용하여 이를 해결하였으며, 이로 인해 환부의 짓무른 현상과 환자의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게 할 수 있다.As such, this has been solved by using the
상기 고정밴드(20)는 복수 개가 마련되며, 부목 몸체(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어느 한 쪽에 일단이 연결된다. 그리고 고정밴드(20)의 타단 즉, 자유 단부에는 제1체결부(21)가 마련된다. 그리고 부목몸체(10)의 외측 즉, 외피층(11)의 외부에는 제1체결부(21)에 대응되는 제2체결부(22)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체결부(22)는 외피층(11)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마련되어 외피층(15)에 접착 또는 박음질되어 고정될 수 있다.The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목몸체(10)를 환자의 환부(100)에 밀착시켜 성형시킨 다음에, 상기 고정밴드(20)를 이용하여 부목몸체(10)를 환자의 환부에 안정되고, 간편하게 고정 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as shown in FIG. 4, the
그리고 상기 커버부재(30)는 고정밴드(20)의 타측에 연결되어 고정밴드(20)로 부목몸체(1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환부를 덮어서 가리기 위한 것으로서, 일반적인 섬유가 가능하며, 예를 들어 붕대와 같은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커버부재(30)에는 다수의 통공(31)이 형성되어, 환부를 덮은 상태에서도 환부의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여, 환부의 쾌적함을 높일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상기 커버부재(30)의 일단은 외피층(15)에 접착되거나, 박음질에 의해 연결되고, 타단에는 제3체결부(32)가 마련되고, 상기 제3체결부(32)에 대응되게 상기 부목몸체(10)에는 제4체결부(33)가 마련될 수 있다.One end of the
여기서, 상기 커버부재(30)는 고정밴드(20)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기 전에 먼저 환부(100)의 노출된 부분을 덮은 상태에서, 상기 고정밴드(20)가 커버부재(30)의 외측을 감싸도록 감아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Here, the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밴드(20)와 커버부재(3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외피층(15)과 일체로 형성시킬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In addition, 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fixing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망사 재질로 형성된 커버부재(130)를 부목 몸체(10)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커버부재(130)는 환부(100)의 통풍을 원활하게 하면서도, 환부(100)를 덮을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환자에게 편안하고 안정감 있는 부목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5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도면의 구성요소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ure 5, 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내지 제4체결부는 벨크로부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4체결부는, 통상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클립, 패스터(fastener) 등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Meanwhile,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to fourth fastening parts have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of the Velcro par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first to fourth fastening portions may include clips, fasteners, and the like, which are commonly used.
또한, 고정밴드(20)의 경우에는 그 길이에 구애를 받지 않고, 환부(100) 및 부목몸체(10)를 포함하여 수회 감아서 체결할 수 있을 정도로 길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fixing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형 부목의 경우에는, 부목 몸체(10)에 대해 선택적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부재(230)를 포함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상기 커버부재(230)는 통풍을 위한 다수의 통공(231)을 가지며, 양측 테두리 부분에 부목 몸체(10)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는 체결부(232,233)가 마련된다. 상기 체결부(232,233)는 앞서 도 1 내지 도 5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벨크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른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커버부재(230)를 착탈 가능하게 구성함으로써, 환자의 환부의 상태에 따라서, 계절적인 요인에 따라서, 환자의 취향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조건에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6, the orthopedic spl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pedic spli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형외과용 부목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orthopedic splint shown in FIG.
도 3은 도 2 도시된 피부 접촉층의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kin contact layer shown in FIG. 2.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정형외과용 부목을 환자의 환부에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인 단면도.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rthopedic splint shown in Figure 1 fixed to the affected part of the patient.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pedic spl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정형외과용 부목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rthopedic splin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10..부목몸체 11..지지층10.
13..피부 접촉층 15..외피층13.
20..고정밴드 30,130,230..커버부재20.
100..환자의 환부100. Patient's return
Claims (1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80004941 | 2008-01-16 | ||
KR1020080004941 | 2008-01-1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9138A KR20090079138A (en) | 2009-07-21 |
KR100987465B1 true KR100987465B1 (en) | 2010-10-13 |
Family
ID=413370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616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7465B1 (en) | 2008-01-16 | 2008-01-21 | Splint for orthoped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7465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9636B1 (en) * | 2011-09-27 | 2013-09-17 | (주)에스앤에프 | A Splint for medical treatment |
KR20210021856A (en) | 2019-08-19 | 2021-03-02 |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 Swelling Relief Splint using Phase Change Material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4154B1 (en) * | 2012-06-25 | 2014-09-26 | 우삼의료기 주식회사 | Synthetic splint |
KR101332577B1 (en) * | 2013-04-16 | 2013-11-25 | (주)에스앤에프 | A splint protector for orthopedic |
KR200482448Y1 (en) | 2016-11-22 | 2017-01-24 | 에스에이치메디칼 주식회사 | Pediatric splint of the fixing and angle adjustment |
KR102705868B1 (en) * | 2023-10-06 | 2024-09-12 | (주)키메코 | Fixation Device for a Fractured Patient |
KR102787771B1 (en) * | 2024-04-25 | 2025-03-26 | 고미은 | Fixation Device for a Fractured Patien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045630A2 (en) * | 2000-12-07 | 2002-06-13 | Bsn Medical, Inc. | Custom-formable knee immobilizer product, knee immobilizer and method |
JP2006158833A (en) * | 2004-12-10 | 2006-06-22 | Aomori Prefecture | Brace for shinsplints |
KR20070105075A (en) * | 2006-04-25 | 2007-10-30 | 주식회사 티앤엘 | Orthopedic Splints |
-
2008
- 2008-01-21 KR KR1020080006167A patent/KR1009874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02045630A2 (en) * | 2000-12-07 | 2002-06-13 | Bsn Medical, Inc. | Custom-formable knee immobilizer product, knee immobilizer and method |
JP2006158833A (en) * | 2004-12-10 | 2006-06-22 | Aomori Prefecture | Brace for shinsplints |
KR20070105075A (en) * | 2006-04-25 | 2007-10-30 | 주식회사 티앤엘 | Orthopedic Splints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09636B1 (en) * | 2011-09-27 | 2013-09-17 | (주)에스앤에프 | A Splint for medical treatment |
KR20210021856A (en) | 2019-08-19 | 2021-03-02 | (주)티에이치케이컴퍼니 | Swelling Relief Splint using Phase Change Materi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79138A (en) | 2009-07-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90287B2 (en) | Orthopedic padding | |
KR100987465B1 (en) | Splint for orthopedice | |
EP1838254B1 (en) | Cast assembly with breathable double knit type padding | |
US5807295A (en) | Medical articles | |
US8025631B2 (en) | Water resistant undercast liner | |
US5102711A (en) | Breathable layered materials | |
EP1776493B1 (en) | Tubular spacer fabric | |
US5334442A (en) | Orthopedic sheet-like composition | |
US6042557A (en) | Orthopedic splints and methods of making same | |
WO2005052235A1 (en) | A soft, cushioning ans stiffening spacer fabric | |
US20080287852A1 (en) | Water resistant elasticized retention bandage and undercast liner | |
CN104739558B (en) | Orthopaedic srugery's product and its manufacture method | |
JPH07289582A (en) | Fixing outfit for orthopedics | |
US20040147859A1 (en) | Orthopedic cast construction | |
KR101903132B1 (en) | Splint for Medical Treatment | |
JP2014503245A (en) | Moldable injury treatment device and method | |
KR200399210Y1 (en) | Splint for orthopedice | |
WO2002067832A1 (en) | Orthopedic cast construction | |
HK1117378B (en) | Water resistant undercast lin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4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06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8 |
|
PR0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80711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1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