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126B1 - Surface member for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urface member for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7126B1 KR100987126B1 KR1020080021103A KR20080021103A KR100987126B1 KR 100987126 B1 KR100987126 B1 KR 100987126B1 KR 1020080021103 A KR1020080021103 A KR 1020080021103A KR 20080021103 A KR20080021103 A KR 20080021103A KR 100987126 B1 KR100987126 B1 KR 10098712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taining wall
- vegetation retaining
- anchor
- coupled
- coupl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조합에 의해 심부에 식생공(1)이 형성된 식생옹벽을 형성하는 표면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심부에 상기 식생공(1)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된 측면지지부(100); 측면지지부(100)의 사이에 설치된 토사유출방지부재(200); 측면지지부(100)의 하단에 결합한 기초지지부(110); 배후토사에 매립된 앵커(10)와 결합하는 앵커결합부(300);를 포함하는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시공의 용이성, 미적 외관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까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 member for forming a vegetation retaining wall in which a vegetation hole (1) is formed in a core by a plurality of combinations. ); Soil leakage preventing member 200 installed between the side support portion 100; A base support part 110 coupled to the bottom of the side support part 100; By presenting a structure comprising a; anchor coupling portion 300 coupled to the anchor 10 embedded in the rearing soil, not only the ease of construction, excellent aesthetic appearance, but also to ensure sufficient structural stability.
옹벽, 식생, 표면부재, 앵커 Retaining wall, vegetation, surface member, anchor
Description
본 발명은 식생옹벽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배후토사의 붕괴를 방지하는 구조물인 옹벽의 전면에 식물이 성장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자연친화력 및 미관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ucture capable of improving the natural affinity and aesthetics by forming a structure in which plants can grow on the front surface of the retaining wall, which is a structure that prevents the collapse of the earth and sand. will be.
'식생'이란 나무가 심어진 상태를 말하고, '녹생'이란 잔디 등 풀이 심어진 상태를 말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하에서는 상기 '녹생'을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식생'을 사용하고자 한다.The term 'vegeta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trees are planted, and 'greenness' refers to a state in which grass, such as grass, is planted. Hereinafter, 'vegetation' is used as a concept including the 'greenness'.
옹벽이란, 배후토사의 토압력(土壓力)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못하게 만든 벽체(壁體)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서, 경사지에 타 구조물의 건설을 위한 대지의 조성, 용수로나 하천 부근에서 붕괴의 주원인이 되는 토사 유출의 방지, 아파트 단지 조성, 사면의 안정성 확보 등의 목적으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Retaining wall refers to a wall structure that prevents soil from collapsing due to earth pressure of the earth and sand. It is common to be constructed for the purpose of preventing the leakage of sediment, building an apartment complex, ensuring the stability of the slope.
이러한 옹벽은 콘크리트 등의 재질에 의해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일체식, 블럭 등의 재료에 의해 축조식으로 설치되는 조적식으로 크게 나누어 볼 수 있으며, 어떠한 구조를 선택하는가에 따라 옹벽의 전면에 나타나는 외관이 달라진다.These retaining walls can be broadly divided into one-piece installations that are integrally installed by materials such as concrete, and masonry installations that are installed by construction such as blocks, and the appearance that appears on the front of the retaining walls depends on which structure is selected. Different.
최근, 시공의 용이성, 미적 외관의 우수성 등의 이유로 후자의 구조가 널리 채택되고 있으나, 나아가 구조적 안정성까지 충분히 확보한 구조에 관하여는 아직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실정이다.Recently, the latter structure has been widely adopted for reasons of ease of construction, excellence in aesthetic appearance, etc. However, it is pointed out that research is still required regarding the structure that sufficiently secures structural stabilit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시공의 용이성, 미적 외관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까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식생옹벽용 표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식생옹벽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urface member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to ensure the structural stability as well as the ease of construction, excellence of aesthetic appearance, The purpose.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조합에 의해 심부에 식생공(1)이 형성된 식생옹벽을 형성하는 표면부재에 있어서, 심부에 상기 식생공(1)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된 측면지지부(100); 상기 측면지지부(100)의 사이에 설치된 토사유출방지부재(200); 상기 측면지지부(100)의 하단에 결합한 기초지지부(110); 배후토사에 매립된 앵커(10)와 결합하는 앵커결합부(300);를 포함하는 식생옹벽용 표면부재를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urface member for forming a vegetation retaining wall in which a vegetation hole (1) is formed in a core by a plurality of combinations, so that the vegetation hole (1) is formed in a core.
상기 앵커결합부(300)는 상기 측면지지부(100)와 결합하는 표면부재 결합부(310); 상기 표면부재 결합부(310)에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가 결합하도록 심부에 보강재 결합공(321)이 형성된 보강재 결합부(3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표면부재 결합부(310)는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 결합부(32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The surface
상기 토사유출방지부재(200)는 상하방향으로 복수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 다.The soil
상기 앵커결합부(300)는 상기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가 결합하도록 상기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심부에 형성된 보강재 결합공(33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앵커결합부(300)는 상기 토사유출방지부재(200)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가 결합하도록 심부에 보강재 결합공(341)이 형성된 토사유출방지부재 결합부(3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앵커결합부(300)는 상기 복수의 토사유출방지부재(20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한 중간지지부(120); 상기 중간지지부(120)에 결합함과 아울러, 상기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가 결합하도록 심부에 보강재 결합공(351)이 형성된 중간앵커결합부(3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토사유출방지부재(200)는 심부에 관통공(201)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부(120)는 상기 관통공(201)을 관통하여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soil
상기 중간앵커결합부(350)에는 심부에 중간지지부 결합공(352)이 형성되고, 상기 중간지지부(120)가 상기 중간지지부 결합공(352)을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Intermediate support
상기 토사유출방지부재(200)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를 갖도록 형성된 경사판(21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oil
상기 측면지지부(100)는 판 구조이고, 상기 복수의 토사유출방지부재(200)는 상기 측면지지부(100)의 내면에 일체로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토사유출방지부재(200)는 상기 경사판(210)의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형성된 수직판(220)을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soil
상기 복수의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경사판(210)의 하단 심부에는 배면지지부(130)가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배면지지부(130)는 폭이 좁은 판 구조이고, 상기 복수의 토사유출방지부재(200)는 상기 배면지지부(130)의 정면에 일체로 결합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기 기초지지부(11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식생옹벽용 표면부재의 측면지지부(100a)와 상기 측면지지부(100)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는 ㄱ 자형 절곡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2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상기 앵커결합부(300)의 보강재 결합공(321)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einforcing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는 ㄱ 자형 절곡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2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상기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보강재 결합공(330)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einforcing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는 ㄱ 자형 절곡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2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상기 토사유출방지부재 결합부(340)의 보강재 결합공(341)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reinforcing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는 ㄱ 자형 절곡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보강재(20)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상기 중간앵커결합부(350)의 보강재 결합공(351)에 결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수단으로서, 상기 표면부재 결합부(31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식생옹벽용 표면부재의 측면지지부(100a)와 상기 측면지지부(100)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생옹벽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other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surface
본 발명은 시공의 용이성, 미적 외관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까지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식생옹벽용 표면부재 및 이를 이용한 식생옹벽을 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vegetation retaining wall surface member and a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to ensure sufficient structural stability as well as ease of construction and superior aesthetic appearance.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이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복수의 조합에 의해 심부에 식생공(1)이 형성된 식생옹벽을 형성하는 표면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심부에 상기 식생공(1)이 형성되도록, 간격을 두고 양측에 설치된 측면지지부(100); 측면지지부(100)의 사이에 설치된 토사유출방지부재(200); 측면지지부(100)의 하단에 결합한 기초지지부(110); 배후토사에 매립된 앵커(10)와 결합하는 앵커결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shown in FIG. 1 or l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rface member for forming a vegetation retaining wall in which a vegetation hole (1) is formed in a core by a plurality of combinations, wherein the vegetation hole (1) is formed in a core.
이는 토사유출방지부재(200)에 의해 식생공(1)을 통한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기초지지부(110)에 의해 저면에 지지되며, 앵커결합부(300)에 의해 배후토사의 앵커(10)와 결합하여 후방으로 지지되므로, 이러한 구조의 표면부재를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결합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이 우수한 옹벽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is prevents the outflow of soil through the
이하, 앵커결합부(300)의 구체적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a specific embodiment of the
도 1 내지 3은 앵커결합부(300)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1 to 3 show a first embodiment of the
이는 측면지지부(100)와 결합하는 표면부재 결합부(310); 표면부재 결합부(310)에서 연장형성됨과 아울러,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가 결합하도록 심부에 보강재 결합공(321)이 형성된 보강재 결합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a surface
즉, 앵커결합부(300)가 표면부재 결합부(310)와 보강재 결합부(320)에 의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표면부재와의 결합 및 보강재와의 결합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the
여기서, 표면부재 결합부(310)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고, 보강재 결합부(32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구성을 취하는 경우,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로 절곡된 보강재(20)를 보강재 결합공(321)에 삽입함으로써, 결합을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Here, when the surface
나아가, 이 경우 하나의 보강재(20)가 복수의 앵커결합부(300)의 보강재 결합공(321)에 결합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면서도 더욱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Furthermore, in this case, since one reinforcing
도 4는 앵커결합부(300)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4 shows a second embodiment of the
이는 토사유출방지부재(200)가 상하방향으로 복수 설치된 구조를 전제로 하여,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가 결합하도록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심부에 보강재 결합공(330)이 형성된 구조에 관한 것이다.This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a plurality of soil
본 실시예는 제1실시예에 비해, 구조적 안정성은 다소 떨어지나, 별도의 표면부재 결합부(310), 보강재 결합부(320) 등의 부재 없이도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Compared to the first embodiment, the present embodiment has a somewhat inferior structural stability, but there is an advantage that a simple construc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a member such as a separate surface
이 경우에도, 하나의 보강재(20)가 복수의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보강재 결합공(330)에 결합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면서도 더욱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Even in this case, since one reinforcing
도 5는 앵커결합부(300)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이는 토사유출방지부재(200)에 결합함과 아울러,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가 결합하도록 심부에 보강재 결합공(341)이 형성된 토사유출방지부재 결합부(340)를 포함하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It is coupled to the soil
위 제2실시예의 경우,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보강재 결합공(330)에 응력집중이 발생하는바, 본 실시예는 이를 방지하고자 별도의 토사유출방지부재 결합부(340)가 토사유출방지부재(200)에 결합한 구성을 취한 것이다.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stress concentration occurs in the reinforcing
이 경우에도, 하나의 보강재(20)가 복수의 토사유출방지부재 결합부(340)의 보강재 결합공(341)에 결합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면서도 더욱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Even in this case, since one reinforcing
도 6은 앵커결합부(300)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6 shows a fourth embodiment of the
이는 복수의 토사유출방지부재(200)에 상하방향으로 결합한 중간지지부(120); 중간지지부(120)에 결합함과 아울러, 앵커(10)에 연결된 보강재(20)가 결합하도록 심부에 보강재 결합공(351)이 형성된 중간앵커결합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t is an
본 실시예는 위 실시예들과 관계없이 표면부재에 독자적으로 적용될 수도 있으나, 위 제1실시예와 함께 적용되는 경우, 더욱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다.This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member independently irrespective of the above embodiments, but when applied in conjunction with the first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obtain more excellent structural stability.
중간지지부(120)와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결합구조는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겠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심부에 관통공(201)이 형성되고, 중간지지부(120)가 그 관통공(201)을 관통하여 결합한 구성을 취하는 것이 시공의 용이성, 구조적 안정성 측면에서 모두 바람직하다.Coupling structure of the
중간앵커결합부(350)와 중간지지부(120)의 결합구조 또한 다양한 예가 적용될 수 있겠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앵커결합부(350)의 심부에 중간지지부 결합공(352)이 형성되고, 중간지지부(120)가 중간지지부 결합공(352)을 관통하여 결합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구조를 취하는 것이 구조의 통일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Although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intermediate
이 경우에도, 하나의 보강재(20)가 복수의 중간앵커결합부(350)의 보강재 결합공(351)에 결합한 구조를 취할 수 있으므로, 경제적이면서도 더욱 우수한 구조적 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는 효과가 추가된다.Also in this case, since one reinforcing
이하, 타 구성요소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xample regarding other components is demonstrated.
본 발명에 의한 표면부재의 토사유출방지부재(200)는 식생공(1)을 통한 배후토사의 유출을 방지하고, 적절한 크기의 식생공간을 확보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soil
옹벽(100)의 심부에 식생공(1)이 형성된 경우, 그 식생공(1)의 단면의 크기가 일정 정도를 초과하기 전까지는 별도의 구조가 첨가되지 않더라도 배후토사가 식생공(1)을 통해 유출되지 않는데, 이를 소일 아칭(soil arching) 효과라 한다(도 9 참조).When the
이는 식생공(1) 후방의 토사 중, 상부영역의 토사와 하부영역의 토사 상호간의 마찰력이 토압력에 비해 크게 작용하기 때문이며, 식생공(1)의 크기가 일정 한도를 초과하면 소일 아칭 효과에 불구하고 토압력에 의해 배후토사의 유출이 시작된다.This is becau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earth and sand in the upper region and the soil in the lower region is greater than the earth pressure. So, if the size of the
본 발명에 있어서 토사유출방지부재(200)는 이와 같이 식생공(1)의 크기를 일정 한도 이하로 제한함으로써, 토사의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도 10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arth and sand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경사판(210)은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하향경사를 갖도록 설치되는데, 이는 식생공(1)의 상부 영역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고자 하는 토사가 경사판(210)의 상향경사(배후토사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볼 때)에 의해 저지되도록 하는 효과를 얻도록 한다.The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수직판(220)은 위 경사판(210)과 일체로 결합하여 강성을 부여하므로, 배후토사의 토압에 의한 경사판(210)의 변형,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The
즉, 토사유출방지부재(200)가 일반적인 판상 구조를 취하는 경우, 토압에 의한 휨 및 비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을 것이나, 본 발명과 같이 토사유출방지부재(200)가 경사판(210), 수직판(220)에 의해 형성되고, 이것이 측면지지부(100)의 내면에 일체로 결합하는 경우, 전체구조의 강성이 극대화하여 위와 같은 휨 및 비틀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the soil
토사유출방지부재(200)는 표면부재마다 하나씩 설치될 수도 있으나, 복수가 설치되는 것이 시공의 용이성, 구조의 안정성 측면에서 더욱 바람직하다.The soil
토사유출방지부재(200)와 측면지지부(100)의 결합구조는 다양한 예에 의해 구현될 수 있겠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지지부(100)가 판 구조를 취하고, 복수의 토사유출방지부재(200)가 측면지지부(100)의 내면에 일체로 결합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전체 체적을 줄이면서도 강성을 증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Coupling structure of the soil
이러한 효과는 위 구조의 표면부재를 강재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 더욱 극대화하여 얻을 수 있다.Such an effect can be further maximized when the surface member of the above structure is formed of steel.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양단 거리가 길 경우, 토압에 의한 변형 가능성이 높아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토사유출방지부재(200)의 경사판(210)의 하단 심부에 배면지지부(130)가 결합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the distance between both ends of the soil
이러한 배면지지부(130)는 폭이 좁은 판 구조로 형성하고, 복수의 토사유출방지부재(200)는 배면지지부(130)의 정면에 일체로 결합한 구조를 취하는 것이 전체 체적을 줄이면서도 강성을 증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바람직하다.The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부재가 타 식생옹벽용 표면부재와 인접하여 설치되는 경우, 기초지지부(110)는 인접하여 설치되는 타 식생옹벽용 표면부재의 측면지지부(100a)와 표면부재의 측면지지부(100)에 공통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s shown in FIG. 8, when the surface member is installed adjacent to the other vegetation retaining wall surface member, the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Since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only with respect to some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that can be implemented by the present inventio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s well know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will be said that both the technical idea and the technical idea which together with the base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10은 본 발명에 의한 표면부재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1 to 10 show an embodiment of the surface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제1실시예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rst embodiment.
도 2는 제1실시예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embodiment.
도 3은 제1실시예의 주요부 사시도.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the first embodiment;
도 4는 제2실시예의 사시도.4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cond embodiment;
도 5는 제3실시예의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of a third embodiment;
도 6은 제4실시예의 사시도.6 is a perspective view of a fourth embodiment.
도 7은 제5실시예의 사시도.7 is a perspective view of a fifth embodiment.
도 8은 제6실시예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ixth embodiment;
도 9는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1개념도.9 is a first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제2개념도.10 is a second conceptual diagram for explaining the principl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 : 식생공 10 : 앵커1: vegetation ball 10: anchor
20 : 보강재 100 : 측면지지부20: reinforcement 100: side support
110 : 기초지지부 120 : 중간지지부110: foundation support 120: intermediate support
130 : 배면지지부 200 : 토사유출방지부재130: rear support 200: soil leakage prevention member
201 : 관통공 210 : 경사판201: through hole 210: inclined plate
220 : 수직판 300 : 앵커결합부220: vertical plate 300: anchor coupling portion
310 : 표면부재 결합부 320 : 보강재 결합부310: surface member coupling portion 320: stiffener coupling portion
321 : 보강재 결합공 330 : 보강재 결합공321: reinforcing material joining hole 330: reinforcing material joining hole
340 : 토사유출방지부재 결합부 341 : 보강재 결합공340: soil leakage prevention member coupling 341: reinforcing material coupling hole
350 : 중간앵커결합부 351 : 보강재 결합공350: intermediate anchor coupling portion 351: reinforcing member coupling hole
352 : 중간지지부 결합공352: intermediate support coupling hole
Claims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1103A KR100987126B1 (en) | 2008-03-06 | 2008-03-06 | Surface member for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1103A KR100987126B1 (en) | 2008-03-06 | 2008-03-06 | Surface member for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5884A KR20090095884A (en) | 2009-09-10 |
KR100987126B1 true KR100987126B1 (en) | 2010-10-11 |
Family
ID=4129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110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7126B1 (en) | 2008-03-06 | 2008-03-06 | Surface member for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712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779989B1 (en) * | 2024-11-26 | 2025-03-12 | (주)엔티에스기초 | Plate type vegetation retaining wall which is included in order to cover the incision surfa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64705A (en) | 2001-08-24 | 2003-03-05 | Takuo Yukimoto | Large-sized retaining-wall greening block and greening structure of retaining wall |
KR100467234B1 (en) | 2001-12-21 | 2005-01-24 | 주식회사 포스코 |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panel |
KR100603141B1 (en) | 2003-05-14 | 2006-07-20 | 이정수 | reinforced earth wall for planting and construction/reconstruction method of it |
KR20060133738A (en) * | 2005-06-21 | 2006-12-27 |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Vegetation retaining wall |
-
2008
- 2008-03-06 KR KR1020080021103A patent/KR10098712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064705A (en) | 2001-08-24 | 2003-03-05 | Takuo Yukimoto | Large-sized retaining-wall greening block and greening structure of retaining wall |
KR100467234B1 (en) | 2001-12-21 | 2005-01-24 | 주식회사 포스코 | Retaining wall and its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panel |
KR100603141B1 (en) | 2003-05-14 | 2006-07-20 | 이정수 | reinforced earth wall for planting and construction/reconstruction method of it |
KR20060133738A (en) * | 2005-06-21 | 2006-12-27 | 레이코엔지니어링 주식회사 | Vegetation retaining wal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95884A (en) | 2009-09-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7504B1 (en) |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for plants with easy installation | |
KR102395328B1 (en) | Embankmen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panel | |
KR100987126B1 (en) | Surface member for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vegetation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1300770B1 (en) | Multi-stage retaining wall planted tree | |
JP5953137B2 (en) | Foundation structure | |
JP4698437B2 (en) | Masonry retaining wall using retaining wall unit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0758601B1 (en) | Gusset Retaining Wall Block | |
KR100636085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structure | |
KR101366837B1 (en) | Vegetation block and retaing wall structure using that | |
KR101065726B1 (en) |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 |
KR102273710B1 (en) | 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with Improved Construction and Support | |
KR100794221B1 (en) | Eco-friendly vegetation retaining wall | |
KR20220017145A (en) | Concrete retaining wall | |
KR20100026042A (en) | A reinforcing device of slope for permanence of vegetation block type | |
KR100593181B1 (en) | Axis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645600B1 (en) | Multi-binding construction block and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is construction block | |
KR102755450B1 (en) | Horizontal and vertically reinforced integrated vegetated cut retaining wall | |
KR101095991B1 (en) | Vegetation retaining wall and blocks used therein | |
KR101589287B1 (en) | Joint structure of the bank protector brocks for grass growing | |
KR101407503B1 (en) |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retaining wall by using of it) | |
KR20130001219U (en) | Drainage panel | |
KR101095990B1 (en) | Reinforcement retaining wall | |
KR20120113521A (en) | Anchor and reinforced retainaing wall using the same | |
KR101070701B1 (en) | Retaing wall for planting using frame structure | |
KR20120051299A (en) | Drainage pane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