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6879B1 -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879B1
KR100986879B1 KR1020080027729A KR20080027729A KR100986879B1 KR 100986879 B1 KR100986879 B1 KR 100986879B1 KR 1020080027729 A KR1020080027729 A KR 1020080027729A KR 20080027729 A KR20080027729 A KR 20080027729A KR 100986879 B1 KR100986879 B1 KR 100986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roof
fixed
cell
inclined roof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77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2346A (ko
Inventor
김동욱
장성완
Original Assignee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코앤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7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879B1/ko
Publication of KR2009010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2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879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Cultivation Of Plants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지붕의 녹화방법에 있어서, 경사 지붕면에 여과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여과포 상에 천공부를 가지는 셀이 하니컴 형태로 고정된 지지틀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된 지지틀상에 식생기반재를 충진하고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사지붕의 녹화방법을 제공한다.
경사지붕, 녹화, 하니컴

Description

경사지붕의 녹화방법{Preparation method of green sloped loof}
본 발명은 지붕의 녹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진 지붕의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붕녹화는 건물의 경사가 완만한 지붕에 흙을 덮고 잔디 등으로 녹화하는 것을 말한다. 지붕녹화시에는 사람이 지붕으로 올라가 관리하는 것이 쉽지 않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불필요한 것이 바람직하고 키가 작은 식물들과 잔디 등을 주로 심는다.
지붕녹화를 하게 되면 지붕에 있는 흙으로 인해 겨울에는 보온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여름에는 시원한 느낌을 부여할 수 있다. 현재 지붕녹화와 관련하여서는 독일을 포함한 유럽 등지에서는 많은 예를 찾아볼 수 있다.
하지만 경사지붕녹화는 경사면에 흙을 도포하고, 그 위에 잔디 등으로 녹화하여야 하므로 항상 토양이 무너져 내리는 것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건물의 지붕에 녹화를 수행할 경우 건물 하중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므로 대개 인공경량토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들은 바람에 취약하여 인근 주택에 날라가 주민들에게 피해를 입힐 수도 있어 대개 여기에 마사토 등을 적용하여 사용하고는 있지만 태풍이나 폭풍과 같은 악천후 속에서는 이 역시도 효용을 거두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경사지붕의 녹화시 악조건에서도 토양을 지지시켜 줄 수 있는 새로운 공법의 요청이 있어 왔지만 아직까지 이를 명확하게 해결해 줄 수 있는 공법은 개발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경사지붕의 녹화방법에 있어서 설치가 간편하며, 경사 식재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배수가 용이하여 지붕에 하중으로 인한 부담을 주지 않는 신규한 경사지붕의 녹화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른 다음과 같은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1) 경사지붕의 녹화방법에 있어서, 경사지붕면에 여과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여과포 상에 천공부를 가지는 셀이 하니컴 형태로 고정된 지지틀을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된 지지틀상에 식생기반재를 충진하고 덮는 단계를 포함하는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2) 상기 (1)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의 각 셀들은 상단이 고정된 와이어에 의해 내부면이 관통되어 삽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3) 상기 (1)에 있어서, 형태 유지를 위해 셀내에 고정구를 삽입하여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본 발명의 상기 구성에 의하면, 설치가 간편하며, 경사 식재면 토양의 유실을 방지하고, 배수가 용이하여 지붕에 하중으로 인한 부담을 주지 않는 신규한 경 사지붕의 녹화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경사지붕의 녹화방법에 있어서, 경사지붕면에 여과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여과포 상에 천공부를 가지는 셀이 하니컴 형태로 고정된 지지틀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된 지지틀을 이루는 셀내에 식생기반재를 충진하는 단계; 및
물, 목섬유 및 식물종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상기 식생기반재가 충진된 지지틀 상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붕의 녹화방법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셀(1)은 2개의 스트립이 양단부가 부착된 상태이고, 스트립상에 다수개의 천공부(2)가 존재한다. 이러한 구멍을 통하여 수분이나 양분이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셀(1)은 하나의 단위체가 되어 지지틀을 구성한다. 지지틀은 이러한 셀들이 다수개가 상호 부착되어 형성되며, 양단을 스테플러 등으로 고정하여 가로방향으로 인장시 전체적으로 하니컴 형태 (벌집모양)로 된다.
도 2는 지지틀을 고정하기 위한 일 실시 태양을 보여주고 있다.
각 셀들을 세로방향으로 고정하기 위해 스트립상에 와이어(3)가 관통할 홀을 형성한다. 상기 홀에 단부가 앵커(4)에 고정된 와이어를 관통시켜 각 셀들을 고정하고 타 단부도 동일한 방법으로 앵커 등으로 고정하거나 고정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지지틀을 이용하여 경사지붕면을 녹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도 2와 같은 구성의 지지틀을 경사면에 도포하기 이전에 지붕경사면에 우선 이물질이나 흙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포를 도포한다. 이는 여과포를 통해 물만 배수구로 흘러들어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지붕경사면에 여과포를 깐 다음, 그 위에 도 2의 구성과 같은 지지틀을 설치한다. 지지틀의 상단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앵커(4) 등에 의해 지붕상단에 고정설치하고, 이어 와이어(3)를 지붕경사면의 아래로 고정시켜 각 셀들을 세로방향으로 나란하게 정렬시킨다. 가로방향은 병풍과 같은 구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단순히 잡아 늘려주면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가로 방향도 고정할 수 있다. 이때 내부의 각 셀들은 모두 양단부가 인접하는 셀과 접착되어 있으므로 양 단의 최외각 셀들에 대하여 고정쇠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여 주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지지틀의 전체적인 형상은 하니컴 (벌집형상)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과포 위에 지지틀이 설치된 경우 여기에 식생기반재로 사용될 토양을 매설한다. 각 토양은 셀들의 공극들을 채우게 되며, 일정한 형태를 유지할 수 있어 바람이나 비가 많이 내리더라도 셀(1)내에 갇혀 유실되는 경우는 없다.
상기 지지틀 상부에 토양을 전부 매설한 이후에는 식재하고자 하는 식물을 식재한다. 이때 종자를 파종하고자 할 경우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로멀칭이나 하이드로씨딩법을 적용할 수 있다.
하이드로멀칭에 사용되어질 혼합물은 통상은 슬러리상태로 존재하며, 30 ~ 60m 길이의 호스를 통해 말단의 노즐을 통해 분사되어질 수 있다. 이때 혼합물을 담을 탱크는 통상적으로는 3000~10,000 리터 용량의 것이 이용되어질 수 있다. 물의 함량과 목섬유의 함량은 사용되는 분사장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목섬유는 천연 점착제로서 기능하며, 파종되는 씨앗을 토양에 견고하게 부착될 수 있게 해주어 바람에 강한 특성을 부여한다. 바람직하게는 목섬유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평방미터당 0.1 ~0.3 kg 정도가 적용되어지도록 분사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목섬유를 혼합물에 포함하는 것만으로도 점착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지만, 악천후에 보다 잘 견디게 하기 위해 점착제가 더 포함되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조성은 특히 투입되는 목섬유 뿐만 아니라 각종 식물들의 종자들을 토양에 보다 잘 부착될 수 있게 해주는 효과가 있다.
목섬유를 분사시킬 때 분사된 영역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기 용이하게 하고 고르게 분사하기 위해 상기 목섬유는 소정의 염료로 염색되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염료는 초록색으로 하여 마치 잔디를 도포한 것과 같은 미관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식물의 종자는 탱크내에 바람직하게는 30분 이상 존치시키지 않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식물종자는 미리 혼합물에 포함하는 것보다는 토양에 분사하기 직전에 탱크내에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사용되는 종자의 종류는 특별한 한정을 요하지는 않지만 지피식물과 초화류의 종자가 10:90 ~ 90:10 중량비, 또는 잔디류와 세덤류가 10:90 ~ 90: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종자들은 질소고정을 위해 질소고정균이 접종된 펠렛형태로 제공되어지는 것이 좋다.
펠렛의 제조는 탈크, 규조토, 제올라이트 등의 광물질이나, 셀룰로오즈 등의 분해가 어려운 고분자 유기물을 첨가제로 하고, 하이드로에틸렌셀룰로오즈,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즈 등의 결착제가 사용될 수 있다.
펠렛은 먼저 상기 결착제 등을 메탄올 등의 적당한 유기용매에 녹인 후 4℃하에서 10 ~ 15시간 정도 방치하여 콜로이드 상태로 만든 후, 120℃ 정도에서 끓여 완전히 녹인 후에 여기에 탈크, 셀룰로오즈 등의 첨가물을 혼합한 것을 종자에 처리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식물종자들은 살균제, 살충제 및 지베렐린 등과 같은 발아촉진제 등을 생분해성 폴리머 소재를 이용하여 얇게 도포한 코팅종자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종자의 처리는 발아율을 개선할 수 있어 옥상녹화시 발아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커버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도 3은 지지틀의 형태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시키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의하면 지지틀 내부를 구성하는 일정 개수의 셀에 대하여 소정간격을 두어 고정구(5)를 삽입하는 것에 의해 보다 견고하게 형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사용된 지지틀 셀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사용된 지지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사용된 지지틀을 구성하는 단위 셀에 고정구를 삽입하여 고정한 구조를 나타낸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셀 2: 천공부
3: 와이어 4: 앵커
5: 고정구

Claims (3)

  1. 경사지붕의 녹화방법에 있어서, 경사지붕면에 여과포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여과포 상에 천공부를 가지는 셀이 하니컴 형태로 고정된 지지틀을 고정하는 단계;
    상기 고정된 지지틀을 이루는 셀내에 식생기반재를 충진하는 단계; 및
    물, 목섬유 및 식물종자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노즐을 통해 분사하여 상기 식생기반재가 충진된 지지틀 상에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의 각 셀들은 상단이 고정된 와이어에 의해 내부면이 관통되어 삽입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형태 유지를 위해 셀내에 고정구를 삽입하여 형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KR1020080027729A 2008-03-26 2008-03-26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729A KR100986879B1 (ko) 2008-03-26 2008-03-26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7729A KR100986879B1 (ko) 2008-03-26 2008-03-26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346A KR20090102346A (ko) 2009-09-30
KR100986879B1 true KR100986879B1 (ko) 2010-10-08

Family

ID=4135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7729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879B1 (ko) 2008-03-26 2008-03-26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87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3315Y1 (ko) * 2001-03-20 2001-10-08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지반 보강재
KR20020033315A (ko) * 2000-10-30 2002-05-06 이계안 변속 기어 시프트의 바아 지지장치
KR100485907B1 (ko) * 1995-11-01 2005-06-16 레이놀즈 컨서머 프러덕츠 인코퍼레이티드 셀구속구조체
KR100736847B1 (ko) * 2006-06-29 2007-07-06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옥상녹화용 식물식재 방법 및 그 포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907B1 (ko) * 1995-11-01 2005-06-16 레이놀즈 컨서머 프러덕츠 인코퍼레이티드 셀구속구조체
KR20020033315A (ko) * 2000-10-30 2002-05-06 이계안 변속 기어 시프트의 바아 지지장치
KR200233315Y1 (ko) * 2001-03-20 2001-10-08 한림에코텍 주식회사 지반 보강재
KR100736847B1 (ko) * 2006-06-29 2007-07-06 대전보건대학 산학협력단 옥상녹화용 식물식재 방법 및 그 포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2346A (ko) 2009-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79558A (zh) 紫皮石斛网膜架床横木种植方法
CN107232003B (zh) 耐水湿乔木水中建植的施工方法
KR20200042230A (ko) 비탈면 녹화 구조
CN108243807A (zh) 一种植生护坡的稻草覆盖技术
CN207331716U (zh) 一种双网植生棒生态护坡结构
CN212506332U (zh) 坡面锚钉挂网结构
KR100986879B1 (ko) 경사지붕의 녹화방법
CN205143011U (zh) 带有灌水和排水装置的满覆土屋面种植装置
KR101768764B1 (ko) 황마네트를 이용한 식생매트 제조방법 및 그 식생매트와 상기 식생매트를 이용한 녹화 시공방법
CN109618741B (zh) 一种岩石边坡的绿化网格装置及其施工方法
CN111576453A (zh) 坡面锚钉挂网及使用其的裸露岩体生态修复方法
JP5960759B2 (ja) 柱状体への緑化工法
KR20150134255A (ko) 식물이 자랄 수 있는 건축 구조물 및 그 구성방법
CN205143010U (zh) 轻型满覆土屋面种植装置
CN101775808B (zh) 植生网护坡方法
JP2006304760A (ja) 雨水貯溜層の貯溜水を毛管現象で基盤層が吸水し緑化基盤、放熱基盤とする軽質炭酸カルシウムを主要基盤材に使用した建築物屋上,壁面のヒートアイランド現象軽減工法
JPH06207413A (ja) 斜面緑化工法
KR100988953B1 (ko) 옥상녹화의 조성방법
CN208949832U (zh) 一种高强快速植生垫护坡结构
JP3106569U (ja) 法面の緑化基材
JP3109861U (ja) 支柱網付植生植栽装置
CN210562230U (zh) 一种高陡边坡绿化种植结构
CN204326084U (zh) 一种土工格室
CN207749527U (zh) 一种抗冲防虫护坡生态垫
JP7576365B1 (ja) 緑化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0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