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427B1 - Stepless part divider - Google Patents
Stepless part divid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6427B1 KR100986427B1 KR1020080044707A KR20080044707A KR100986427B1 KR 100986427 B1 KR100986427 B1 KR 100986427B1 KR 1020080044707 A KR1020080044707 A KR 1020080044707A KR 20080044707 A KR20080044707 A KR 20080044707A KR 100986427 B1 KR100986427 B1 KR 1009864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nent
- holder
- locator
- parts
- endles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4—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co-ordinated in production l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7/00—Arrangements for handling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e.g. for conveying, loading, positioning, discharging, sorting
- B23Q7/16—Loading work on to conveyors; Arranging work on conveyors, e.g. varying spacing between individual workpie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 조립 라인에서 소물 부품을 취출하는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분할을 위한 링크장치가 동기화되어 동작하도록 한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less loading part splitting apparatus for taking out a small part from a vehicle assembly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dless loading part splitting apparatus for synchronously operating a link device for splitting parts.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차체 조립 라인에서 적재된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취출하는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에 있어서,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endless stacked parts splitting apparatus for separately taking out the parts loaded in the body assembly line,
상기 부품이 취출되는 취출구가 형성되어 회전동작하는 원터치 디스크와, 상기 원터치 디스크의 하단에 장착되어 금회 취출할 부품을 규제하는 다수의 취출 부품 로케이터와, 상기 원터치 디스크의 상단에 장착되어 차회 취출할 대기 부품을 규제하는 다수의 대기 부품 홀더와, 상기 취출 부품 로케이터와 대기 부품 홀더에 연결되는 동기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를 제공한다.A one-touch disk having a ejection opening through which the component is ejected is formed to rotate; A plurality of atmospheric part holders for regulating parts, and a synchronization member connected to the take-out part locator and the atmospheric part holder is provided.
부품, 링크, 로케이터, 홀더, 동기화 Parts, links, locators, holders, synchroniza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체 조립 라인에서 소물 부품을 취출하는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분할을 위한 링크장치가 동기화되어 동작하도록 한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ndless loading part splitting apparatus for taking out a small part from a vehicle assembly l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ndless loading part splitting apparatus for synchronously operating a link device for splitting parts.
일반적으로 차체 공장에서는 F/FILLER HS'G과 같은 소물 부품의 취출을 목적으로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In general, car body factories use a lot of stepless parts dividers for the purpose of taking out small parts such as F / FILLER HS'G.
첨부한 도 1은 종래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endless loading part divider.
통상적인 종래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의 구성부품으로는 부품 적재시 쏠림을 방지하는 규제 가이드(4)와, 부품을 개별적으로 취출할 수 있도록 하는 링크장치 등이 있으며, 이러한 링크장치는 부품 취출시 하나씩 취출되도록 차회 취출될 대기 부품을 받쳐주는 상부 로케이터(2)와 금회 취출할 부품을 받치는 하부 로케이터(3) 그리고 상기 상부 로케이터(2) 및 하부 로케이터(3)와 연동되는 레버(1)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부품 취출은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로 이루어진다.Components of the conventional conventional stepless loading part divider includes a regulation guide (4) to prevent the tipping when loading the parts, and a linking device for taking out the parts individually, these linking devices are one at a time Including an
작업자가 규제 가이드(4)를 따라 부품을 적재한 다음, 실린더의 직선운동으로 상기 레버(1)가 장치의 중심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부품 취출 작업이 진행된다.After the worker loads the parts along the regulation guide 4, the
도 2는 종래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동작도로서, 차회 취출을 위해 대기중인 부품을 받쳐주는 상부 로케이터(2)가 전진하면서 취출 대기 부품을 받쳐주게 되고, 상기 하부 로케이터(3)가 후진하면서 취출 부품(P)의 규제를 해지함에 따라 상기 취출 부품(P)이 자중에 의해 취출되게 된다.2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tepless loading part divider step by step, the upper locator (2) for supporting the parts waiting for the next take-out is to support the take-out waiting parts, the lower locator ( As 3) reverses the regulation of the takeout part P, the takeout part P is taken out by its own weight.
이와 같이 종래 일반적인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는 간단한 링크 구조로서 부품의 취출을 용이하게 하지만, 반면 분할장치의 좌우에 설치되는 링크장치가 동기화되어 동작하지 않으므로 인해 부품의 분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Thus, the conventional general stepless part divider is a simple link structure to facilitate the extraction of parts, while the link devic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of the divider does not operate in synchronization, so the division of parts is not smooth. have.
또한, 이로 인해 부품 취출시 양측 하부 로케이터의 후진속도가 상이하여 부품의 안착불량을 야기하게 되며, 상부 로케이터의 부품 간 끼임 현상이 잦음으로 인해 생산가동율이 저해되는 문제가 발생한다.In addition, due to this, the reverse speed of both lower locators are different when the parts are taken out, which causes a failure in mounting of the parts, and the production operation rate is inhibited due to frequent pinching between the parts of the upper locator.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한 것으로서, 차체 조립 라인에서 특정 형상의 부품을 적재 분할함에 한정되지 않고, 적재한 부품을 분할하 여 취출시 규제를 위한 링크장치의 동작이 동기화되어 부품 취출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s not limited to the division of the load of parts of a specific shape in the vehicle assembly line, the operation of the link device for regulation when taking out the divided parts of the loaded parts are synchronize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ndless stacking part dividing device which improves the stability of taking out parts.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체 조립 라인에서 적재된 부품들을 개별적으로 취출하는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에 있어서,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pparatus for unloading parts divided by individually extracting the parts loaded in the body assembly line,
상기 부품이 취출되는 취출구가 형성되어 회전동작하는 원터치 디스크와, 상기 원터치 디스크의 하단에 장착되어 금회 취출할 부품을 규제하는 다수의 취출 부품 로케이터와, 상기 원터치 디스크의 상단에 장착되어 차회 취출할 대기 부품을 규제하는 다수의 대기 부품 홀더와, 상기 취출 부품 로케이터와 대기 부품 홀더에 연결되는 동기화 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를 제공한다.A one-touch disk having a ejection opening through which the component is ejected is formed to rotate; A plurality of atmospheric part holders for regulating parts, and a synchronization member connected to the take-out part locator and the atmospheric part holder is provided.
그리고, 상기 취출구의 원주를 따라 상기 원터치 디스크 상에 내측으로 다수의 회전홀이 형성되고, 상기 취출 부품 로케이터는 상기 회전홀을 관통하는 로케이터 이동핀과 상기 원터치 디스크의 가장자리를 관통하는 로케이터 고정핀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rotation holes are formed inward on the one-touch disk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ejection opening, and the ejection part locator includes a locator moving pin penetrating the rotation hole and a locator fixing pin penetrating an edge of the one-touch disk.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ounting.
또한, 상기 대기 부품 홀더는 상기 로케이터 이동핀과 서로 다른 회전홀을 관통하는 홀더이동핀과, 상기 원터치 디스크의 가장자리에 장착되는 홀더고정핀이 장착되어 금회 취출할 부품과 무간섭 영역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tmospheric component holder is located in the interference-free area and the component to be taken out this time is equipped with a holder moving pin penetrating through the rotation hole different from the locator moving pin, and a holder fixing pin mounted to the edge of the one-touch disk It features.
바람직하게, 상기 동기화 부재는 상기 로케이터 이동핀과 홀더고정핀에 연결 되는 탄성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Preferably, the synchronization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connected to the locator moving pin and the holder fixing pin,
상기 취출 부품 로케이터 및 대기 부품 홀더는 각각 대칭구조로 구성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take-out component locator and the standby component holder are characterized in that each is installed in a symmetrical structur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대기 부품 홀더는 부품 취출시 상기 원터치 디스크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고,More preferably, the standby part holder is formed to be ben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one-touch disk when taking out the part,
상기 회전홀은 상기 취출구의 원주를 따라 곡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otating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in a curved shape along the circumference of the outlet.
본 발명에 따른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는 부품 분할을 위한 취출 부품 로케이터와 대기 부품 홀더가 동기화되어 동작함에 따라 부품 취출의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endless part splitting apparatus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stability of taking out parts as the takeout part locator and the stand-by part holder are synchronized with each ot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분할장치는 기존과 같은 직선운동의 찌르는 타입이 아니라, 부품을 규제하는 로케이터 및 홀더가 회전운동을 통해 부품을 규제함으로써 부품과 장치 간에 끼임 현상을 대폭 감소시켜 차체 공장의 가동율 안정화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vid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linear type of stabbing type as in the past, the locator and the holder for regulating the parts to regulate the parts through the rotational movement to significantly reduce the jamming between the parts and the device, the operation rate of the body shop Stabilization can be expected.
또한, 기존에는 각각 분리된 실린더의 직선운동으로 힘을 받아 구동하였으나, 본 발명은 모든 로케이터 및 홀더가 동기화되어 동작함으로 인해 하나의 실린더만으로 작동하여 초기 투자비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n the past, the driving force is driven by the linear movement of the separate cylind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itial investment by operating only one cylinder because all the locator and the holder is synchroniz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xample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and the singular forms “a”, “an” and “the” include plural for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 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설명에 있어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되는 것도 있다.There may be a plurality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of the same parts as in the prior art may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는 적재되어 있는 부품의 취출을 규제하는 링크장치의 동작이 동기화되어 부품의 취출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진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pless loading part divider, which is preferab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ynchronized with the operation of a link device that regulates taking out of a loaded part,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stably take out the part.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는 실린더(미도시)의 동작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원터치 디스크(10)와, 상기 원터치 디스크(10)의 상단에 장착되는 대기 부품 홀더(30)와 하단에 장착되는 취출 부품 로케이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stepless mounting part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one-
상기 원터치 디스크(10)는 적재된 부품의 취출을 위한 취출구(11)가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취출구(11)의 원주를 따라 원터치 디스크(10) 상에 내측으로 다수의 회전홀(12)이 형성된다.The one-
도 3의 왼쪽 상부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상기 취출 부품 로케이터(20)는 금회 취출할 부품을 가이드하는 장치로서, 원터치 디스크(10)의 하단에 대칭구조로 배치되어 상기 취출구(11)에 위치하도록 다수로 구성되되, 상기 회전홀(12)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로케이터 이동핀(22)과 상기 원터치 디스크(10)의 가장자리를 관통하여 구성되는 로케이터 고정핀(21)이 장착되어 상기 원터치 디스크(10) 상에 설치된다.As shown in the upper left section of FIG. 3, the
그리고, 상기 대기 부품 홀더(30)는 차회 취출할 대기 부품을 가이드하는 장치로서, 금회 취출할 부품(P)과의 무간섭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The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기 부품 홀더(30)는 하단부가 원터치 디스크(10)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굴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원터치 디스크(10) 상에 대칭구조로 배치되며, 홀더고정핀(31)과 홀더이동핀(32)을 이용하여 상기 원터치 디스크(10) 상에 장착된다. In more detail, as shown in FIG. 3, the
상기 홀더고정핀(31)은 대기 부품 홀더(3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상기 원터치 디스크(10)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며, 상기 홀더이동핀(32)은 대기 부품 홀더(30)의 중부를 관통하여 상기 회전홀(12)에 설치된다.The
여기서, 상기 로케이터 이동핀(22)과 홀더이동핀(32)은 서로 다른 회전홀에 위치하게 되며, 곡면형으로 형성된 회전홀(1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취출 부품 로케이터(20)와 대기 부품 홀더(30)의 동작을 동기화하기 위하여, 상기 로케이터 이동핀(22)과 홀더고정핀(31)은 동기화 부재인 스프링(40)으로 연결되어 구성된다.And, in order to synchronize the operation of the take-
상기에 로케이터 이동핀(22)과 로케이터 고정핀(21), 홀더고정핀(31) 및 홀더이동핀(32)은 모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터치 디스크(10)가 회전되면 취출 부품 로케이터(20)와 대기 부품 홀더(30)를 각각 로케이터 고정핀(21) 및 홀더고정핀(3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한다.The
그리고, 상기 취출 부품 로케이터(20)와 대기 부품 홀더(30)는 적어도 3개 이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부품을 안정적으로 규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 예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operation state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첨부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동작도이다.4 is an operation diagram illustrating step by step opera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에 <A> 평면도는 다수의 부품들이 적재된 상태로서, 원터치 디스크(10)가 동작하기 전이다. 이때, 취출 부품 로케이터(20)는 금회 취출할 부품(P)을 받치고 있으며, 대기 부품 홀더(30)는 상기 부품(P)과 무간섭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4 is a state in which a plurality of parts are stacked, before the one-
실린더가 작동(전진)하여 상기 원터치 디스크(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하게 되면, 상기 홀더고정핀(31)과 홀더이동핀(32)이 상기 원터치 디스크(10)와 함께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스프링(40)이 인장되고 상기 홀더이동핀(32)이 회전홀(12)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대기 부품 홀더(30)와 취출 부품 로케이터(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게 되어 도 4에 <B1>과 같은 상태가 된다.When the cylinder is operated (advanced) and the one-
이에 따라 상기 취출 부품 로케이터(20)가 부품(P)에 대한 규제를 해제하게 되어 상기 부품(P)이 자중에 의한 자유낙하로 취출되고, 동시에 대기 부품 홀더(30)는 도 4에 <B2>와 같이, 다음 취출 대상인 대기 부품(P1)을 규제하는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Accordingly, the
다음, 상기 원터치 디스크(10)가 실린더의 작동(후진) 및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하면, 상기 대기 부품 홀더(30)에 규제되어 있던 대기 부품(P1)이 자중에 의해 도 4에 <C>와 같이 상기 취출 부품 로케이터(20)에 안착되어 규제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대기 부품 홀더(30)는 다시 상기 대기 부품(P1)과의 간섭이 없는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Next, when the on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는 금번 취출 부품(P)을 규제하는 다수의 취출 부품 로케이터(20)와 차회 취출할 부품(P1)을 규제하는 다수의 대기 부품 홀더(30)가 상기 원터치 디스크(10) 상에 장착되고, 상기 취출 부품 로케이터(20)와 대기 부품 홀더(30)가 쌍을 이뤄 스프링(40)으로 각각 연결됨으로써 모두 동시에 동작하게 되어 동기화된다.As described above, the stepless loading part divi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이로써 취출되는 부품이 안정적으로 낙하되어 안착되고, 차체 공장이 원활하게 가동된다.As a result, the parts to be taken out fall stably and are seated, and the body shop operates smoothly.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들을 모두 포함한다.While the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with respect to certain preferred embodiments,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laim the invention as claimed in the appended claims. It includes all embodiments of the various forms that can be carried ou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도 1은 종래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endless loading component divider,
도 2는 종래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동작도,2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a step-by-step operation of the conventional stepless loading parts divider,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바람직하게 구현된 무단적재 부품 분할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구성도,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n endless loading component splitting device preferably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의 동작을 단계별로 도시한 동작도.4 is an operation diagram showing step by step operation of an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원터치 디스크 11 : 취출구10 one-touch disk 11: ejection port
12 : 회전홀12: rotating hole
20 : 취출 부품 로케이터 21 : 로케이터 고정핀20: ejection part locator 21: locator fixing pin
22 : 로케이터 이동핀 22: Locator moving pin
30 : 대기 부품 홀더 31 : 홀더고정핀30: standby part holder 31: holder fixing pin
32 : 홀더이동핀 40 : 스프링32: holder moving pin 40: spring
Claims (7)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4707A KR100986427B1 (en) | 2008-05-14 | 2008-05-14 | Stepless part divid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4707A KR100986427B1 (en) | 2008-05-14 | 2008-05-14 | Stepless part divid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8740A KR20090118740A (en) | 2009-11-18 |
KR100986427B1 true KR100986427B1 (en) | 2010-10-08 |
Family
ID=41602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4707A Active KR100986427B1 (en) | 2008-05-14 | 2008-05-14 | Stepless part divid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642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12531A (en) * | 1991-12-11 | 1993-07-20 | 강진구 | Tube Loading Method of Parts Supply System Using Vibration |
KR940001166A (en) * | 1992-06-22 | 1994-01-10 | 가나이 쯔도무 | Semiconductor memory |
KR0174952B1 (en) * | 1995-07-31 | 1999-05-01 | 배순훈 |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arts |
KR0181590B1 (en) * | 1996-11-15 | 1999-05-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uto parts supply |
-
2008
- 2008-05-14 KR KR1020080044707A patent/KR10098642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30012531A (en) * | 1991-12-11 | 1993-07-20 | 강진구 | Tube Loading Method of Parts Supply System Using Vibration |
KR940001166A (en) * | 1992-06-22 | 1994-01-10 | 가나이 쯔도무 | Semiconductor memory |
KR0174952B1 (en) * | 1995-07-31 | 1999-05-01 | 배순훈 |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parts |
KR0181590B1 (en) * | 1996-11-15 | 1999-05-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Auto parts supply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8740A (en) | 2009-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702037B2 (en) | Translating stowage bin and method of assembly | |
CN102535995B (en) | Drawer interlocking mechanism | |
EP2476337A3 (en) | Luggage expansion system | |
EP2778076B1 (en) | Device for strapping packing units | |
EP2716550A1 (en) | Box-packing device | |
EP2948308B1 (en) | Printer | |
CN104342744A (en) | Clamper and holding jig including same | |
WO2013141697A3 (en) | Tubulars storage device | |
EP3486117B1 (en) | Table unit | |
KR100986427B1 (en) | Stepless part divider | |
JP2003026120A (en) | Paper enclosing device and paper enclosing method | |
CN109414753A (en) | Station and method for being inserted into component in component to be assembled | |
US9359149B2 (en) | Conveyor work station | |
US6748984B2 (en) | Supply apparatus for spouts or bags with spouts | |
JP2008044728A (en) | Cargo transfer device and cargo transfer method | |
JP5394591B1 (en) | Chariot | |
EP2275365A1 (en) | Support and guiding system for curved conveyor belts | |
JP2000318717A (en) | Packaging machine | |
US7377375B2 (en) | Continuous motion product transfer system with conveyors | |
JP6033178B2 (en) | Home door device | |
JP2017074663A (en) | Transport device | |
ITMC20000050A1 (en) | JOINT FOR THE QUICK COUPLING OF THE SIDE SIDES OF THE DRAWERS IN THE FRONT WOOD PANEL | |
KR20150097003A (en) | Opening and closing device for sliding type door | |
WO2016045296A1 (en) | Synchronizer for level-dividing apparatus for carriage | |
KR101003146B1 (en) | Interlocking Device for Sliding Do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1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2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7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