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6087B1 - 연료 유통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유통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087B1
KR100986087B1 KR1020080115636A KR20080115636A KR100986087B1 KR 100986087 B1 KR100986087 B1 KR 100986087B1 KR 1020080115636 A KR1020080115636 A KR 1020080115636A KR 20080115636 A KR20080115636 A KR 20080115636A KR 100986087 B1 KR100986087 B1 KR 1009860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vehicle
fuel tank
connection pipe
blocking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5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56708A (ko
Inventor
박동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5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6087B1/ko
Publication of KR201000567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67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0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08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77Fuel tanks with means modifying or controlling distribution or motion of fuel, e.g. to prevent noise, surge, splash or fuel starv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앞쪽과 뒤쪽에 배치된 연료탱크 사이에서 차량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연료가 적절히 유통될 수 있도록,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앞쪽 연료탱크와 뒤쪽 연료탱크를 연통하는 연료라인에 설치되는 연결관과, 이 연결관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플레이트,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발란서를 포함하는 연료 유통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80115636
연료라인, 연결관, 회동발란서, 지지체, 차단플레이트

Description

연료 유통 제어 장치{DEVICE FOR CONTROLLING FLOW OF FUEL}
본 발명은 차량의 연료탱크 유통라인 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상태에 따라 연료의 흐름을 제어하는 연료 유통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와 같은 대형 차량은 적재되는 연료의 양이 많으므로 대용량의 연료탱크가 사용된다. 상기 연료탱크는 복수개로 나뉘어지고 각 연료탱크는 서로 연결되어 연료가 유통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장거리 운행이 요구되는 차량의 경우 보다 많은 연료 적재량이 요구된다. 이에 상기 차량의 경우 연료탱크의 개수도 증가하게 된다. 통상 각 연료탱크는 차량의 폭방향으로의 배치된다. 그러나 차량의 폭방향으로는 연료탱크가 설치될 공간이 협소하여 연료탱크가 늘어나는 경우 설치가 불가능하다. 이에 증가된 연료탱크는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된다.
그런데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료탱크가 배치됨에 따라 차량의 앞쪽 연료탱크와 뒤쪽 연료탱크 사이에 연료를 적절히 유통시킬 필요성이 발생된다.
즉, 차량이 경사면을 등판하는 경우 앞쪽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뒤쪽 연료탱크쪽으로 흘러나가게 된다. 통상 엔진으로의 연료 피딩은 앞쪽 연료탱크에서 이루 어지므로 이와같이 뒤쪽 연료탱크로 연료가 쏠리게 되면 시동이 꺼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반대로 내리막길 주행시에는 뒤쪽 연료탱크의 연료가 앞쪽 연료탱크로 적절히 피딩되어야한다.
이에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앞쪽과 뒤쪽에 배치된 연료탱크 사이에서 차량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연료가 적절히 유통될 수 있도록 된 연료 유통 제어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본 장치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앞쪽 연료탱크와 뒤쪽 연료탱크를 연통하는 연료라인에 설치되는 연결관과, 이 연결관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플레이트,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발란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발란서는 상기 차단플레이트을 관통하여 양면으로 연장되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선단에 설치되어 무게추 역할을 하는 하중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경사져 설치된 구조일 수 있다. 이에 차체가 수평상태인 경우에는 지지체 또한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지지체에 경사지게 설치된 차단플레이트는 수평상태의 연결관 상에서 기울어져 연결관을 개방하게 된다. 반대로 차체가 기울어지게 되면 지지체가 회동되고, 지지체에 기울어지게 설치된 차단플레이트가 연결관에 수직으로 놓여져 연결관을 폐쇄시키게 된다.
상기 하중부재는 내부에 유체가 채워진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유체는 수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체는 양 선단의 하중부재를 연통하여 유체와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유체통로와 공기통로가 더욱 형성될 수 있다.
본 장치는 상기 연료라인 상에 설치되는 연료라인을 추가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이차차단부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차차단부는 상기 연료라인 상에 설치되는 차단밸브와, 상기 하중부재에 설치되는 감지편,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 회동시 감지편을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 감지센서의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차단밸브를 제어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지지체가 회동되어 지지체에 설치된 차단플레이트가 일차적으로 연결관을 차단하게 된다. 그리고 지지체 선단의 하중부재에 설치된 감지편이 감지센서에 접하게 되면 감지센서의 검출신호에 따라 연료라인 차단밸브가 제어작동되어 2차적으로 연료라인을 폐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장치는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료탱크가 배치된 구조에 있어서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연료탱크 내의 연료가 비정상적으로 흘러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연료의 유동을 최소화하고, 차량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이 원활하고 정상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다른 실시예에서 대응하거나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 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매우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댐핑장치가 설치된 차량의 하부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도면에 의하면 본 차량은 차량의 폭방향(도면상 X축 방향)으로 3개의 연료탱크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3개의 연료탱크와 별도로 차량의 길이방향(도면상 Y축 방향)을 따라 한 개의 연료탱크가 설치된다. 이하 도면상 Y축 방향을 차량의 앞쪽이라 한다. 이에 차량의 길이방향(Y축 방향)에 대해 앞쪽에 위치한 한 개의 연료탱크를 앞쪽 연료탱크(10)라 하고, 뒤쪽에 위치한 3개의 연료탱크를 뒤쪽 연료탱크(12)라 칭한다. 엔진으로의 연료 피딩은 안쪽 연료탱크로부터 이루어진다.
본 장치는 상기 앞쪽 연료탱크(10)와 뒤쪽 연료탱크(12)를 연결하는 연료라인(14) 상에 설치되어 연료탱크 사이의 연료의 흐름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연료라인(14) 상에는 연료라인(14)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20)가 설치되고, 상기 차단밸브(20)는 컨트롤러(26)의 신호에 따라 제어작동된다. 차단밸브(20)와 컨트롤러(26)의 구조와 작용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장치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장치는 상기 앞쪽 연료탱크(10)와 뒤쪽 연료탱크(12)를 연통하는 연료라인(14)에 설치되는 연결관(30)과, 상기 연결관(30)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관(3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플레이트(32), 상기 차단플레이트(32)에 설치되어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차단플레이트(32)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발란서(34)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관(30)은 상기 연료라인(14)과 동일한 지름을 갖는 관구조물이다. 상기 연결관(30)의 선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연료라인(14) 선단에 형성된 플랜지와 볼트 등을 매개로 체결된다.
상기 차단플레이트(32)는 상기 연결관(30)의 내경과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판 구조물이다. 상기 차단플레이트(32)는 중앙을 지나는 회동축이 측단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연결관(30)에 회동가능하게 축결합된다. 이에 상기 차단플레이트(32)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어 연결관(30)에 직각으로 세워지게 되면 연결관(30)의 관로가 차단된다. 반대로 차단플레이트(32)가 연결관(30)에 대해 기울어지게 되 면 연결관(30)이 개방되어 연결관(30)과 차단플레이트(32) 사이 틈새를 통해 연료가 유통된다.
상기 연결관(30)의 내주면에는 상기 차단플레이트(32)의 회동각도를 제한하기 위한 스토퍼부재(40)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부재(40)는 차단플레이트(32)가 연결관(30)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졌을 때 차단플레이트(32)와 접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상기 스토퍼부재(40)는 차단플레이트(32)가 연결관(30)에 수직으로 회동되어 연결관(30)을 폐쇄한 상태에서 더 이상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동발란서(34)는 상기 차단플레이트(32)을 관통하여 양면으로 연장되는 지지체(36)와, 상기 지지체(36)의 선단에 설치되어 무게추 역할을 하는 하중부재(38)를 포함한다. 상기 하중부재(38)는 내부가 빈 중공형 부재로 상기 지지체(36) 양 선단에 연통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중부재(38)의 내부에는 유체(도 6의 50 참조)가 대략 절반 가량 채워진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하중부재(38)의 내부에 채워지는 유체는 수은이 이용된다. 이는 수은이 비중과 점성이 높으며 어는점이 낮기 때문에 차량의 진동이나 유동 및 외부 환경에 보다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지지체(36)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두 개의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두 개의 통로는 지지체(36)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상부에 위치한 통로는 하중부재(38)와 연통되어 공기가 유통되는 공기통로(44)이다. 하부에 위치한 통로는 하중부재(38)와 연통되어 유체가 유통되는 유체통로(42)이다. 상기 하중부재(38) 내에는 유체가 절반 가량 채워져 있으므로 지지체(36) 하부에 형성된 유체 통로(42)로는 유체가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하중부재(38) 내의 공기는 지지체(36) 상부에 형성된 공기통로(44)를 통해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체(36)는 상기 차단플레이트(32)의 중앙을 관통하여 설치되며, 차단플레이트(32)에 대해 각도를 두고 기울어져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체(36)는 차단플레이트(32)에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고 일정 각도를 두고 설치된다. 이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36)가 연결관(30)에 수평인 상태에서는 지지체(36)에 기울어져 설치된 차단플레이트(32)는 연결관(30)에 비스듬하게 기울어져 배치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차체가 수평상태인 경우에는 지지체(36) 또한 수평을 유지하게 되고, 지지체(36)에 경사지게 설치된 차단플레이트(32)는 수평상태의 연결관(30) 상에서 기울어져 연결관(30)을 개방하게 된다. 반대로 차체가 기울어지게 되면 지지체(36)가 회동되고, 지지체(36)에 기울어지게 설치된 차단플레이트(32)가 연결관(30)에 수직으로 놓여져 연결관(30)을 폐쇄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중부재(38)의 일측에는 하중부재(38)로 유체를 투입 또는 배출시키기 위한 구멍(46)이 형성된다. 상기 구멍에는 볼트(도 3의 48 참조)나 별도의 마개가 체결되어 구멍을 선택적으로 개방시키게 된다.
또한, 본 장치는 상기 연료라인(14) 상에 설치되는 연료라인(14)을 추가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이차차단부를 더욱 포함한다.
상기 이차차단부는 상기 연료라인(14) 상에 설치되는 차단밸브(20)와, 상기 하중부재(38)에 설치되는 감지편(22), 상기 연결관(30)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 체(36) 회동시 감지편(22)을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24), 감지센서(24)의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차단밸브(20)를 제어작동시키는 컨트롤러(26)를 포함한다.
상기 차단밸브(20)는 앞쪽 연료탱크(10)와 뒤쪽 연료탱크(12)를 연결하는 연료라인(14) 상에 설치된다. 이에 차단밸브(20) 작동시 앞쪽 연료탱크(10)로부터 뒤쪽 연료탱크(12)로 연료가 유출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감지편(22)은 상기 하중부재(38)의 구멍을 차단하는 볼트를 매개로 하중부재(38)에 고정설치된다. 상기 감지센서(24)는 차단플레이트(32)가 연결관(30)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시 감지편(22)의 회동반경과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에 하중부재(38)에 설치된 감지편(22)이 감지센서(24)에 접하게 되면 감지센서(24)의 검출신호에 따라 연료라인(14) 차단밸브(20)가 제어작동되어 이차적으로 연료라인(14)을 폐쇄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차량의 평지 주행시 연결관(30)의 개폐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료라인(14)에 설치된 연결관(30)은 차량과 더불어 수평 상태이고, 상기 차단플레이트(32)에 설치된 지지체(36)는 지지체(36) 역시 수평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지지체(36) 양 선단의 하중부재(38) 내에 들어있는 유체는 지지체(36)의 유체통로(42)를 통해 서로 유통되어 상호 동일한 수위를 유지하여 균형을 이루고 있게 된다.
이와같이 지지체(36)가 연결관(30)에 대해 수평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지지체(36)에 기울어지게 설치된 차단플레이트(32)는 연결관(30)에 대해 기울어져 연결관(30)의 관로를 개방하게 된다.
따라서 앞쪽 연료탱크(10)는 뒤쪽 연료탱크(12)와 연결관(30)을 통해 연통된 상태로 연료는 정상적으로 뒤쪽 연료탱크(12)에서 앞쪽 연료탱크(10)로 유통된다.
이 상태에서 차량이 경사면을 오르는 등판 주행을 하게 되면 도 7과 같이 연결관(30)은 관로가 차단된다.
즉, 차량의 앞쪽이 들어올려지게 되면 연결관(30) 역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연결관(30)에 설치된 지지체(36) 역시 뒤쪽으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차량 앞쪽에 위치한 하중부재(38) 내의 유체는 지지체(36)에 형성된 유체통로(42)를 통해 뒤쪽 하중부재(38)로 유입된다.
차량 뒤쪽에 위치한 하중부재(38) 내부의 공기는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공기통로(44)를 통해 앞쪽 하중부재(38)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와같이 유체가 이동함에 따라 지지체(36)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하중부재(38)의 무게가 달라져 지지체(36)는 더욱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지체(36)에 설치된 차단플레이트(32)가 연결관(30)에 대해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차단플레이트(32)가 연결관(30)에 수직한 상태로 회동되면 연결관(30) 내에 설치된 스토퍼부재(40)에 차단플레이트(32)가 접하면서 더 이상의 회동이 제어된다. 이와같이 차단플레이트(32)가 연결관(30)에 수직으로 회동됨으로써 연결관(30)의 관로를 차단하여 연결관(30)을 폐쇄시키게 된다.
연결관(30)이 차단플레이트(32)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앞쪽 연료탱크(10) 내의 연료는 연결관(30)을 통해 뒤쪽 연료탱크(12)로 유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차량의 경사면 등판시 앞쪽 연료탱크(10) 내의 연료 유출을 방지하여 엔진 정지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지지체(36)가 회동되면 하중부재(38)에 설치된 감지편(22)이 이동하여 감지센서(24)에 접하게 된다. 이에 감지센서(24)는 감지편(22) 검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 검출신호는 컨트롤러(26)로 인가되고 컨트롤러(26)는 이 검출신호를 연산하여 연료라인(14) 상에 설치된 차단밸브(20)를 제어작동하게 된다.
차단밸브(20)가 작동됨에 따라 연료라인(14)을 통한 연료의 유통이 원천적으로 차단되어 앞쪽 연료탱크(10)로부터의 연료 유출을 이중으로 차단하게 된다.
도 8 차량이 내리막길을 주행함에 따라 차량 앞쪽이 하향 기울어진 경우에 있어서 연결관(30)의 개폐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앞쪽이 밑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연결관(30) 역시 기울어지게 된다. 이에 연결관(30)에 설치된 지지체(36) 역시 앞쪽으로 기울어진다. 따라서 차량 뒤쪽에 위치한 하중부재(38) 내의 유체는 지지체(36)에 형성된 유체통로(42)를 통해 앞쪽 하중부재(38)로 유입된다.
차량 앞쪽에 위치한 하중부재(38) 내부의 공기는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공기통로(44)를 통해 뒤쪽 하중부재(38)로 흘러나가게 된다. 이와같이 유체가 이동함에 따라 지지체(36)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 하중부재(38)의 무게가 달라져 지지체(36) 는 더욱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지지체(36)에 설치된 차단플레이트(32)가 연결관(30)에 대해 도면상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에 차단플레이트(32)는 연결관(30)에 대해 더욱 기울어진 상태가 되고 연결관(30) 사이의 틈새가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뒤쪽 연료탱크(12) 내의 연료는 더욱 개방된 연결관(30)을 통해 앞쪽 연료탱크(10)로 보다 원활하게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통 제어장치의 설치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와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통 제어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통 제어장치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도 4의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연료 유통 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앞쪽 연료탱크 12 : 뒤쪽 연료탱크
14 : 연료라인 20 : 차단밸브
22 : 감지편 24 : 감지센서
26 : 컨트롤러 30 : 연결관
32 : 차단플레이트 34 : 회동발란서
36 : 지지체 38 : 하중부재
40 : 스토퍼부재 42 : 유체통로
44 : 공기통로

Claims (7)

  1.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앞쪽 연료탱크와 뒤쪽 연료탱크를 연통하는 연료라인에 설치되는 연결관과,
    상기 연결관 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연결관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차단플레이트,
    상기 차단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차량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회동시키기 위한 회동발란서
    를 포함하는 연료 유통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발란서는 상기 차단플레이트을 관통하여 양면으로 연장되는 지지체와, 이 지지체의 선단에 설치되어 무게추 역할을 하는 하중부재를 포함하는 연료 유통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에 대해 상기 차단플레이트는 경사져 설치된 구조의 연료 유통 제어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중부재는 내부에 유체가 채워진 구조의 연료 유통 제어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양 선단의 하중부재를 연통하여 유체와 공기를 유통시키기 위한 유체통로와 공기통로가 더욱 형성된 연료 유통 제어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라인 상에 설치되는 연료라인을 추가적으로 차단시키기 위한 이차차단부를 더욱 포함하는 연료 유통 제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차단부는 상기 연료라인 상에 설치되는 차단밸브와, 상기 하중부재에 설치되는 감지편, 상기 연결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 회동시 감지편을 감지하여 검출신호를 출력하는 감지센서, 감지센서의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차단밸브를 제어작동시키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연료 유통 제어 장치.
KR1020080115636A 2008-11-20 2008-11-20 연료 유통 제어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0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636A KR100986087B1 (ko) 2008-11-20 2008-11-20 연료 유통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5636A KR100986087B1 (ko) 2008-11-20 2008-11-20 연료 유통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708A KR20100056708A (ko) 2010-05-28
KR100986087B1 true KR100986087B1 (ko) 2010-10-07

Family

ID=42280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563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087B1 (ko) 2008-11-20 2008-11-20 연료 유통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608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5611A (ko) * 1995-12-27 1997-07-22 한승준 자동차용 연료공급관 역류방지장치
KR19980030185A (ko) * 1996-10-29 1998-07-25 김영귀 보조연료탱크가 설치된 차량용 연료탱크
KR100534789B1 (ko) 2003-10-24 2005-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탱크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5611A (ko) * 1995-12-27 1997-07-22 한승준 자동차용 연료공급관 역류방지장치
KR19980030185A (ko) * 1996-10-29 1998-07-25 김영귀 보조연료탱크가 설치된 차량용 연료탱크
KR100534789B1 (ko) 2003-10-24 2005-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연료탱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6708A (ko) 2010-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43446B1 (en) Fuel tank
CN102686790B (zh) 不平衡载荷被平衡的洗衣机
US20120118401A1 (en) Fuel tank
JP2007314004A (ja) 作業車両の姿勢制御装置
US20140318505A1 (en) Liquid fuel trap device
US6845782B2 (en) Multiple tank circulating fuel system
CN104677216A (zh) 输送散装炸药的移动式平台
KR101497420B1 (ko) 증발가스 저감용 액화천연가스 수송장치
KR100986087B1 (ko) 연료 유통 제어 장치
US11352735B2 (en) Flushing device and method for an evaporator of dryer and dryer
AU2016322237A1 (en) Mixer vehicle
AU2008340757A1 (en) Guiding device for submersible motor agitators
JP6659860B2 (ja) 溢流防止を有するサドルタンク
JP5138339B2 (ja) 液化ガス充填装置
JP4684202B2 (ja) コリオリ流量計による流量計測と流量制御装置
CN115556568A (zh) 压力容器
JP2011020643A (ja) 建設機械の燃料タンク
CN102597736A (zh) 工程机械的燃料性状检测装置及具有其的工程机械
JP2017100560A (ja) 燃料タンクシステム
KR101868709B1 (ko) 증발 연료 처리 장치
KR102013697B1 (ko) 연료유 이송장치
JP2004042899A (ja) 燃料タンクの燃料流出規制装置
US20110233225A1 (en) Fuel tank structure of vehicle
JP6833282B2 (ja) 荷役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タンクローリ
KR101904608B1 (ko) 연료 공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7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