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6066B1 - Body Glass Mounting Device - Google Patents
Body Glass Mounting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6066B1 KR100986066B1 KR1020080043941A KR20080043941A KR100986066B1 KR 100986066 B1 KR100986066 B1 KR 100986066B1 KR 1020080043941 A KR1020080043941 A KR 1020080043941A KR 20080043941 A KR20080043941 A KR 20080043941A KR 100986066 B1 KR100986066 B1 KR 1009860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body
- glass
- unit
- base frame
- mount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6—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the sub-units or components being doors, windows, openable roofs, lids, bonnets, or weather strips or seals there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 B25J15/0616—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with vacuum or magnetic holding means with vacuum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2—Transferring or handling sub-units or components, e.g. in work stations or between workstations and transportation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4—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026—Positioning of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by using a jig or the like; Positioning of the ji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5/00—Designing, manufacturing, e.g. assembling, facilitating disassembly, or structurally modifying 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5/02—Joining sub-units or components to, or positioning sub-units or components with respect to, body shell or other sub-units or components
- B62D65/18—Transportation, conveyor or haulage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otor vehicle or trailer assembl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Robotic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는, 작업장 상부에 차체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레일에 구성되어 상기 차체에 글라스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슬라이더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작동 실린더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유닛과, ⅱ)상기 이동유닛에 연결되게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으로 각각 연결되게 장착되고 상기 차체의 이송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으로서 이루어지는 프레임유닛과, ⅲ)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 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한 쌍의 제2 작동 실린더를 통하여 상기 각 회전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틸팅유닛과, ⅳ)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글라스를 진공 흡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공컵과, ⅴ)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상기 글라스의 로딩시,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글라스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제1 위치규제유닛과, ⅵ)상기 차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상기 글라스의 로딩 및 장착시, 제3 작동 실린더를 통하여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상기 글라스와 차체의 위치를 각각 규제하기 위한 제2 위치규제유닛과, ⅶ)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실질적으로 고정되게 구성되어 제4 작동 실린더를 통하여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그 차체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제3 위치규제유닛을 포함한다.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a guide rail disposed along a convey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an upper part of a workplace, and to mount the glass to the vehicle body. A mobile unit movably mounted to the slide unit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lider through a first working cylinder; ii) a base frame mounted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unit, and to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A frame unit consisting of a pair of rotating frames each connected to each other and rotatably configur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 mounted on the base frame and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respective rotating frames. Tilting unit for rotating the respective rotating frame through a second working cylinder At least one vacuum cup mounted on each of the rotating frames to suck the glass in vacuum, and iv) fixed to each of the rotating frames so that the glass can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hen the glass is loaded. A first position regulating unit for regulating position, and iii) being fixed to each of the rotating fram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rough a third working cylinder when loading and mounting the glass. A second position regulating unit for regulating positions of the glass and the vehicle body, respectively; and iii)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fixed to the base frame to regulate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rough a fourth working cylinder. And a third position control unit.
차체, 글라스, 장착장치, 위치, 규제, 센터링 Body, Glass, Mounting, Position, Regulation, Center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폭과 높이를 지닌 차체에 대응하여 글라스 및 차체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차체와 글라스의 갭 조정이 필요 없고, 다차종에 대응하여 글라스를 차체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는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and more particularly,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glass and the vehicle body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body having different widths and heights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 the gap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glass is adjust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that can be mounted on a vehicle body accurately in accordance with multiple vehicle models.
일반적으로, 자동차 메이커에서 자동차를 생산하기까지의 모든 양산라인은 수만 여 개의 부품을 수많은 조립 공정을 통하여 조립함으로써 이루어진다.In general, all mass production lines from automobile makers to automobiles are made by assembling tens of thousands of parts through numerous assembly processes.
이러한 차량의 양산라인에 있어, 차량용 글라스의 장착 공정에서는 대차를 통하여 투입된 글라스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송되는 차체에 장착하게 된다.In the mass production line of such a vehicle, in the mounting process of the vehicle glass, the glass introduced through the trolley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transferred through the conveyor.
특히, 상기 글라스 장착 공정에서는 작업자의 수작업으로서 글라스를 차체에 장착하고, 그 차체와 글라스 간의 갭을 조정하게 된다.In particular, in the glass mounting step, the glass is mounted on the vehicle body by the operator's manual work, and the gap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glass is adjusted.
그런데, 종래 기술에서는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한 글라스 리페어 공정 및 글라스 로딩 작업의 반복으로 인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야기시키고, 차체와 글라스의 갭 조정이 어려워 차체와 글라스 간의 장착 산포로 인해 품질 문제가 발생 하게 되고, 글라스의 수동 투입 및 리페어 공정에 따른 작업자의 작업 공수가 증가하게 된다는 등의 문제점들을 내포하고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the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worker are caused by the glass repair process and the glass loading operation by the worker's manual work, and the gap between the car body and the glass is difficult to be adjusted, resulting in quality problems due to the scattering between the car body and the glass. In addition, the manual work of the glass and the repair process of the operator due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 involves the problems.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는 상기에서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폭과 높이를 지닌 차체에 대응하여 글라스 및 차체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차체와 글라스의 갭 조정이 필요 없고, 다차종에 대응하여 글라스를 차체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도록 하는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glass and the body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body having different widths and heights according to the vehicle model, the gap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glass is adjuste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that enables the glass to be accurately mounted on a vehicle body in correspondence with multiple vehicle model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는, 작업장 상부에 차체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 가이드 레일에 구성되어 상기 차체에 글라스를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ⅰ)슬라이더를 통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제1 작동 실린더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동유닛과, ⅱ)상기 이동유닛에 연결되게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으로 각각 연결되게 장착되고 상기 차체의 이송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으로서 이루어지는 프레임유닛과, ⅲ)상기 베이스 프레임 상에 장착되고, 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게 구성되어 한 쌍의 제2 작동 실린더를 통하여 상기 각 회전 프레임을 회전시키기 위한 틸팅유닛과, ⅳ)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글라스를 진공 흡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진공컵과, ⅴ)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상기 글라스의 로딩시,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상기 글라스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제1 위치규제유닛과, ⅵ)상기 차체의 폭 방향을 따라 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게 구성되어 상기 글라스의 로딩 및 장착시, 제3 작동 실린더를 통하여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상기 글라스와 차체의 위치를 각각 규제하기 위한 제2 위치규제유닛과, ⅶ)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실질적으로 고정되게 구성되어 제4 작동 실린더를 통하여 상기 차체의 상하 방향으로 그 차체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제3 위치규제유닛을 포함한다.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nfigured to be mounted on the guide rail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n the upper part of the workplace, to mount the glass on the vehicle body, Iii) a mobile unit mounted reciprocally to the guide rail via a slider, and configured to be rotatable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lider via a first operating cylinder; ii) a base frame mounted to be connected to the mobile unit. And a frame unit formed as a pair of rotating frames each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and rotatably configur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ii) mounted on the base frame, respectively; Each rotation through a pair of second working cylinder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A tilting unit for rotating the lame, and iii) at least one vacuum cup mounted on each rotating frame to vacuum-adsorb the glass, and iii) being fixed to each rotating frame so as to load the glass. A first position regulating unit f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he glass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ii) a third working cylinder configured to be fixed to each of the rotating frames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when the glass is loaded and mounted. A second position regulating unit for regulating positions of the glass and the vehicle body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rough the second position; and i) configured to be substantially fixed to the base frame in a vertic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rough a fourth working cylinder. And a third position control unit for regulating the position of the vehicle body.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롤러유닛을 통해 상기 가이드 레일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In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the vehicle body, the slider may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to the guide rail through a roller unit.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동유닛은 상기 슬라이더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작동 실린더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고정 브라켓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1 작동 실린더의 작동 로드 선단이 힌지 결합되는 회동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the vehicle body, the mobile unit is fixedly installed on the slider, the fixed bracket is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first working cylinder, and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xed bracket, the first operation The working rod tip of the cylinder may comprise a pivoting bracket hingedly coupled.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회동 브라켓에 하향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차체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the vehicle body, the base frame is a first portion which is fixedly fixed to the pivot bracket downward, and a second portion which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portion and disposed alo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Can be done.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회전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 부분과, 상기 제3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 부분을 따라 배치되는 제4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the vehicle body, each of the rotating frame is a third portion rotatably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and a fourth portion formed along the second portion integrally formed with the third portion Can be made.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에 각각 대응하는 상기 제2 작동 실린더의 일측이 힌지 결합되는 제1 장착 브라켓과, 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게 장착되어 상기 제2 작동 실린더의 작동 로드 선단에 힌지 결합되는 제2 장착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the vehicle body, the tilting unit is mounted to the base frame and the first mounting bracket is hinged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second working cylinder corresponding to the rotating frame, respectively, to be connected to each of the rotating frame And a second mounting bracket which is mounted and hinged to the tip of the working rod of the second working cylinder.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치규제유닛은 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차체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3 장착 브라켓과, 상기 제3 장착 브라켓의 선단에 장착되어 상기 글라스를 지지하는 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the vehicle body, the first position control unit is fixed to each of the rotating frame, the third mounting bracket is disposed along the transport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nd is attached to the tip of the third mounting bracket It may be made to include a support member for supporting the glass.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위치규제유닛은 상기 각 회전 프레임에 상기 차체의 폭 방향으로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3 작동 실린더가 제1 실린더 베이스를 통해 고정되게 장착되는 제4 장착 브라켓과, 상기 제4 장착 브라켓 상의 제1 가이드 레일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3 작동 실린더의 작동 로드 선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이동 블록과, 상기 제1 이동 블록에 제5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 롤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the vehicle body, the second position control unit is fixed to the respective rotation fram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the fourth working cylinder is fixedly mounted through the first cylinder base A first moving block reciprocally coupled to a mounting bracket, a first guide rail on the fourth mounting bracket, the first moving block being fixed to a working rod tip of the third working cylinder, and a fifth to the first moving block. It may include a support roller that is rotatably installed through the mounting bracket.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3 위치규제유닛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며, 상기 제4 작동 실린더가 제2 실린더 베이스를 통해 고정되게 장착되는 제6 장착 브라켓과, 상기 제6 장착 브라켓 상의 제2 가이드 레일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4 작동 실린더의 작동 로드 선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2 이동 블록과, 상기 제2 이동 블록에 제7 장착 브라켓을 통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규제 브라켓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In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the vehicle body, the third position control unit is installed so as to be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base frame, respectively, the sixth mounting bracket is fixed to the fourth operating cylinder is fixed through the second cylinder base, A second moving block reciprocally coupled to a second guide rail on the sixth mounting bracket, the second moving block being fixed to a working rod tip of the fourth working cylinder, and a seventh mounting bracket to the second moving block. It may be made to include a regulatory bracket fixedly installed.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구성되어 작업자의 스위칭 조작으로서 상기 장착장치의 전반적인 구동을 컨트롤하는 조작반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vehicle glass mounting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on panel configured in the base frame to control the overall driving of the mounting apparatus as a switching operation of the operato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의하면,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폭과 높이를 지닌 차체에 대응하여 글라스 및 차체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차체와 글라스의 갭 조정이 필요 없고, 다차종에 대응하여 글라스를 차체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으므로,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글라스 리페어 공정 및 수동 로딩 반복 작업으로 인한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으며, 수동 장착시 차체와 글라스의 장착 산포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문제를 개선함과 아울러, 작업자의 수작업을 통한 차체와 글라스의 갭 무조정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작업 공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glass and the vehicle body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body having a different width and height according to the vehicle model, the gap between the vehicle body and the glass is adjusted Since it is not necessary, and the glass can be accurately mounted on the vehicle body in correspondence with multiple model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musculoskeletal disorder of the worker due to the glass repair process and the manual loading repeated operation as in the prior art, and when the manual installation of the body and the glass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quality problems that can occur due to the scattering of the mounting,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body and the glass by the operator's manual work can reduce the labor of the operator.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가 적용되는 글라스 장착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lass mounting process to which a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의한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 치(100)는 대차(미도시)를 통하여 투입된 글라스(G)를 로딩하고, 컨베이어(미도시)를 통해 이송되는 차체(B)에 상기 글라스(G)를 장착하기 위한 차량용 글라스 장착 공정에 적용된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vehicle body
여기서,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100)는 작업장 상부에서 차체(B)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가이드 레일(10)에 구성되는 바, 더욱 구체적으로는 그 가이드 레일(10)에 롤러유닛(15)을 통하여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더(17)에 장착된다.Here, the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100)는 차체(B)에 대한 글라스(G) 장착시 차체(B)와 글라스(G) 간의 센터링을 맞추기 위한 것으로서,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폭과 높이를 지닌 차체(B)에 대응하여 글라스(G) 및 차체(B)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차체(B)와 글라스(G)의 갭 조정이 필요 없고, 다차종에 대응 가능한 구조로서 이루어진다.The
이를 위해 상기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100)는 기본적으로 이동유닛(20)이 구비되고, 도 2에서와 같이 프레임유닛(30)과, 틸팅유닛(40)과, 진공컵들(50)과, 제1 위치규제유닛(60)과, 제2 위치규제유닛(70)과, 제3 위치규제유닛(80)을 더욱 포함하여 구성된다.To this end,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유닛(20)은 도 1에서와 같이 슬라이더(17)에 장착되며, 제1 작동 실린더(C1)를 통해 슬라이더(17)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In this embodiment, the moving
이러한 이동유닛(20)은 슬라이더(17)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고정 브라켓(21) 과, 고정 브라켓(2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 브라켓(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ving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21)은 제1 작동 실린더(C1)의 일측(후단)이 힌지 결합된다.Here, the
그리고 상기 회동 브라켓(23)은 힌지핀(미도시)을 통하여 고정 브라켓(21)에 힌지 결합되며, 제1 작동 실린더(C1)의 작동 로드(미도시) 선단이 힌지 결합된다.The
이 때, 상기 제1 작동 실린더(C1)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1st operation cylinder C1 consists of a pneumatic cylinder which makes an operating pressure pneumatic.
본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유닛(30)은 이동유닛(20)에 연결되게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임(31)과, 베이스 프레임(31)의 양측으로 각각 연결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회전 프레임(35)을 구비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베이스 프레임(31)은 이동유닛(20)의 회동 브라켓(23)에 하향하여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1 부분(32)과, 제1 부분(32)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차체(B)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제2 부분(33)으로 이루어진다.The
그리고 상기 각 회전 프레임(35)은 베이스 프레임(31)에 대하여 차체(B)의 이송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Each of the
이러한 회전 프레임(35)은 베이스 프레임(31)의 양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 부분(36)과, 제3 부분(36)과 일체로 형성되면서 베이스 프레임(31)의 제2 부분(33)을 따라 배치되는 제4 부분(37)으로 이루어진다.The rotating
본 실시예에서, 틸팅유닛(40)은 한 쌍의 제2 작동 실린더(C2)를 통하여 상기 한 회전 프레임(35)을 차체(B)의 이송 방향을 따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상기 틸팅유닛(40)은 베이스 프레임(31) 상에 장착되고, 각 회전 프레임(35)에 연결되게 구성된다.The
이러한 틸팅유닛(40)은 베이스 프레임(31)에 장착되는 제1 장착 브라켓(MB1)과, 각 회전 프레임(35)에 연결되게 장착되는 제2 장착 브라켓(MB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상기 제1 장착 브라켓(MB1)은 베이스 프레임(31)의 제2 부분(33)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되며, 회전 프레임(35)에 각각 대응하는 제2 작동 실린더(C2)의 일측이 힌지 결합된다.The first mounting bracket MB1 is mounted in a vertical direction to the
그리고 상기 제2 장착 브라켓(MB2)은 제2 작동 실린더(C2)의 작동 로드(R2) 선단에 힌지 결합된다.The second mounting bracket MB2 is hinged to the front end of the operating rod R2 of the second operating cylinder C2.
여기서, 상기 제2 작동 실린더(C2)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2nd operation cylinder C2 consists of a pneumatic cylinder which makes an operating pressure pneumatic.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진공컵들(50)은 글라스(G)를 진공 흡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 회전 프레임(35)의 제4 부분(37)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한 쌍으로서 구비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상기 진공컵(50)은 진공장치(미도시)를 통해 별도로 제공되는 진공압으로서 글라스(G)를 진공 흡착할 수 있는 통상적인 구조의 진공 흡착판으로서 이루어진다.The
이러한 진공컵(50)은 당 업계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지 기술의 진공컵으로서 이루어지므로, 본 명세서에서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Since 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위치규제유닛(60)은 글라스(G)의 로딩시, 차체(B)의 상하 방향으로 그 글라스(G)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이러한 제1 위치규제유닛(60)은 상기 각 회전 프레임(35)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제3 장착 브라켓(MB3)과, 제3 장착 브라켓(MB3)의 선단에 장착되는 지지부재(6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여기서, 상기 제3 장착 브라켓(MB3)은 각 회전 프레임(35)의 제3 부분(36)에 고정되게 장착되며, 차체(B)의 이송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Here, the third mounting bracket MB3 is fixedly mounted to the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61)는 글라스(G)의 로딩시, 차체(B)의 상하 방향으로 글라스(G)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 제3 장착 브라켓(MB3)의 선단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발포 우레탄 소재로서 이루어진다.The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위치규제유닛(70)은 글라스(G)의 로딩 및 장착시, 제3 작동 실린더(C3)를 통하여 차체(B)의 폭 방향으로 그 글라스(G)와 차체(B)의 위치를 각각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상기 제2 위치규제유닛(70)은 차체(B)의 폭 방향을 따라 각 회전 프레임(35)에 고정되게 구성된다.The second
이러한 제2 위치규제유닛(70)은 도 3에서와 같이, 각 회전 프레임(35)에 설치되는 제4 장착 브라켓(MB4)과, 제4 장착 브라켓(MB4)에 설치되는 제1 이동 블록(72)과, 제1 이동 블록(72)에 설치되는 지지 롤러(7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3, the second
상기 제4 장착 브라켓(MB4)은 각 회전 프레임(35)의 제4 부분(37) 즉, 한 쌍의 진공컵(50) 사이에서 제4 부분(37)에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fourth mounting bracket MB4 is installed to be fixed to the
여기서, 상기 제4 장착 브라켓(MB4)은 제3 작동 실린더(C3)가 제1 실린더 베이스(71)를 통해 고정되게 장착된다.Here, the fourth mounting bracket MB4 is fixedly mounted to the third working cylinder C3 through the
상기 제1 이동 블록(72)은 제4 장착 브라켓(MB4) 상의 제1 가이드 레일(73)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3 작동 실린더(C3)의 작동 로드(R3) 선단에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first moving
그리고 상기 지지 롤러(75)는 제1 이동 블록(72)에 제5 장착 브라켓(MB5)을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발포 우레탄 소재로서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
이 때, 상기 제3 작동 실린더(C3)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3rd operation cylinder C3 consists of a pneumatic cylinder which makes an operating pressure pneumatic.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3 위치규제유닛(80)은 제4 작동 실린더(C4)를 통하여 차체(B)의 상하 방향으로 그 차체(B)의 위치를 규제하기 위한 것이다.In this embodiment, the third
이러한 제3 위치규제유닛(80)은 베이스 프레임(31)에 실질적으로 고정되게 구성되는 바, 도 4에서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31)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게 설치되는 제6 장착 브라켓(MB6)과, 제6 장착 브라켓(MB6)에 설치되는 제2 이동 블록(82)과, 제2 이동 블록(82)에 설치되는 규제 브라켓(8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hird
여기서, 상기 제6 장착 브라켓(MB6)은 베이스 프레임(31)의 제2 부분(33) 단부 양측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되며, 제4 작동 실린더(C4)가 제2 실린더 베이스(81)를 통해 고정되게 장착된다.Here, the sixth mounting bracket MB6 is fixedly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상기 제2 이동 블록(82)은 제6 장착 브라켓(MB6) 상의 제2 가이드 레일(83)에 왕복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4 작동 실린더(C4)의 작동 로드(R4) 선단에 고 정되게 설치된다.The second moving
그리고 상기 규제 브라켓(85)은 제2 이동 블록(82)에 제7 장착 브라켓(MB7)을 통하여 고정되게 설치된다.The regulating
이 때, 상기 제4 작동 실린더(C4)는 작동압을 공압으로 하는 공압 실린더로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aid 4th operation cylinder C4 consists of a pneumatic cylinder which makes an operating pressure pneumatic.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100)는 베이스 프레임에 구성되는 조작반(90)을 더욱 포함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조작반(90)은 작업자의 스위칭 조작으로서 본 장치(100)의 전반적인 구동을 컨트롤 하기 위한 것으로서, 언급한 바 있는 진공컵(50) 및 작동 실린더들(C1, C2, C3, C4)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조작 스위치들(S)을 구비하고 있다.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100)의 작동을 도 5a 내지 도 5i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실시예에 의한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100)의 작동 및 작용은 차체(B)가 컨베이어(미도시)를 통해 이송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짐을 미리 밝혀둔다.The operation and action of the
우선, 본 장치(100)는 작업장 상부의 가이드 레일(10)을 통해 작업장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으며, 도 5a에서와 같이 회전 프레임(35)은 제2 작동 실린더(C2)의 전진 작동으로서 일측 방향 즉, 차체(B)의 이송 방향으로 회전된 상태에 있다.First, the
이 경우, 진공컵들(50)은 이들의 진공 흡착면이 상측을 향하고 있으며, 제2 위치규제유닛(70)의 지지 롤러(75)는 제3 작동 실린더(C3)를 통하여 차체(B)의 폭 방향으로 전진된 상태에 있다.In this case, the vacuum cups 50 have their vacuum suction surfaces facing upwards, and the
다음, 도 5b에서와 같이 글라스(G)는 제1 위치규제유닛(60)에 의해 차체(B)의 상하측 방향으로 규제된 상태로, 진공컵들(50)의 진공 흡착면 위로 로딩된다.Next, as shown in FIG. 5B, the glass G is loaded on the vacuum suction surfaces of the vacuum cups 50 in a state regul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B by the first
이어서, 제2 위치규제유닛(70)의 지지 롤러(75)는 제3 작동 실린더(C3)를 통해 차체(B)의 폭 방향으로 후진하면서 그 글라스(G)의 위치를 차체(B)의 폭 방향으로 규제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상기 글라스(G)는 제2 위치규제유닛(70)을 통해 센터링이 조정된다.Subsequently, the
다음, 진공컵들(50)을 통하여 글라스(G)를 진공 흡착한 상태로, 본 장치(100)는 가이드 레일(10)을 통해 차체(B)의 글라스 장착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Next, while the glass G is vacuum-adsorbed through the vacuum cups 50, the
이어서, 도 5c에서와 같이 회전 프레임(35)은 진공컵들(50)을 통해 글라스(G)를 진공 흡착한 상태로, 제2 작동 실린더(C2)의 후진 작동으로서 다른 일측 방향 즉, 차체(B)의 이송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Subsequently, as shown in FIG. 5C, the
여기서, 제1 위치규제유닛(60)의 지지부재(61)는 회전 프레임(35)의 회전으로서 글라스(G)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제2 위치규제유닛(70)의 지지 롤러(75)는 제3 작동 실린더(C3)를 통하여 차체(B)의 폭 방향으로 전진하게 된다.Here, the
다음, 글라스(G)는 이동유닛(20)을 통해 차체(B) 측으로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이동유닛(20)은 도 5d에서와 같이 제1 작동 실린더(C1)의 전진 작동으로서 글라스(G)를 차체(B) 측으로 하강시킨다.Next, the glass G is moved to the vehicle body B side through the moving
이 경우, 제3 위치규제유닛(80)의 규제 브라켓(85)은 차체(B)의 차종에 따라 그 규제 브라켓(85)이 제4 작동 실린더(C4: 이하 도 4 참조)를 통해 그 차체(B)의 상하 방향으로 조정된다.In this case, the regulating
이어서, 도 5e에서와 같이 글라스(G)가 차체(B)에 근접한 상태로, 제2 위치규제유닛(70)의 지지 롤러(75)는 제3 작동 실린더(C3: 이하 도 3 참조)를 통해 차체(B)의 폭 방향으로 후진하면서 그 차체(B)를 규제하게 되는 바, 이에 따라 차체(B)는 제2 위치규제유닛(70)을 통해 글라스(G)와의 센터링이 조정된다.Subsequently, in a state in which the glass G is close to the vehicle body B as shown in FIG. 5E, the
다음, 도 5f에서와 같이 상기한 이동유닛(20)을 통해 글라스(G)를 차체(B)에 셋팅한 상태로, 도 5g에서와 같이 제3 위치규제유닛(80)의 규제 브라켓(85)은 제4 작동 실린더(C4)를 통해 하강하면서 차체(B)에 밀착된다.Next, in the state in which the glass (G) is set to the vehicle body (B) through the moving
다음, 도 5h에서와 같이 진공컵(50)에 가해지는 진공압을 해제한 상태로, 제2 위치규제유닛(70)의 지지 롤러(75)는 제3 작동 실린더(C3)를 통해 차체(B)의 폭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차체(B)를 언클램핑시키게 된다.Next, in a state in which the vacuum pressure applied to the
이어서, 본 장치(100)는 도 5i에서와 같이 이동유닛(20)을 통해 상측 방향으로 상승하게 되고, 가이드 레일(30)을 통하여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Subsequently, the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일련의 작용을 통하여 차종에 따라 서로 다른 폭과 높이를 지닌 차체(B)에 대응하여 글라스(G) 및 차체(B)의 위치를 규제함으로써 차체(B)와 글라스(G)의 갭 조정이 필요 없고, 다차종에 대응하여 글라스(G)를 차체(B)에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vehicle body B and the vehicle body B are regulated by regulating the positions of the glass G and the vehicle body B corresponding to the vehicle body B having different widths and heights according to the vehicle types through the series of operations described above. It is not necessary to adjust the gap of the glass G, and the glass G can be correctly attached to the vehicle body B in correspondence with multiple vehicle types.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and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Naturally, it belongs to the scope of the invention.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된다.Since these drawings are for reference in describing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가 적용되는 글라스 장착 공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glass mounting process to which a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적용되는 제2 위치규제유닛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position control unit portion applied to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에 적용되는 제3 위치규제유닛 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third position control unit portion applied to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내지 도 5i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차체용 글라스 장착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작동 상태도이다.5A to 5I are operation stat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glass mounting apparatus for a vehicle body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3941A KR100986066B1 (en) | 2008-05-13 | 2008-05-13 | Body Glass Mounting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3941A KR100986066B1 (en) | 2008-05-13 | 2008-05-13 | Body Glass Mounting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8257A KR20090118257A (en) | 2009-11-18 |
KR100986066B1 true KR100986066B1 (en) | 2010-10-07 |
Family
ID=4160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3941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066B1 (en) | 2008-05-13 | 2008-05-13 | Body Glass Mounting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6066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3096B1 (en) | 2022-10-14 | 2023-08-31 | 주식회사 토시스 | Glass mounting apparatus |
KR20240043979A (en) | 2022-09-28 | 2024-04-04 | 주식회사 토시스 | Glass auto-mounting system and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6926B1 (en) * | 2011-06-21 | 2012-03-20 | 박욱 | A tinting apparatus for a car window |
KR101459919B1 (en) * | 2013-06-14 | 2014-11-07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Glass grip device of vehicle |
KR101534747B1 (en) * | 2014-05-27 | 2015-07-07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 Glass mounting device and method |
KR101688890B1 (en) * | 2015-10-02 | 2017-01-02 | 유도스타자동화 주식회사 | Universal gripper for pick-up vehicle bumper |
CN108825610B (en) * | 2018-08-08 | 2024-01-26 | 福耀集团(沈阳)汽车玻璃有限公司 | Glass base positioning and bonding equipment |
CN115139035A (en) * | 2022-05-18 | 2022-10-04 | 安徽巨一科技股份有限公司 | Floating flat-bed machine of inhaling of door installation construct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42043A (en) * | 1995-12-22 | 1997-07-24 | 석진철 | Glass gripping device |
KR100305348B1 (en) | 1999-06-03 | 2001-09-24 | 이계안 | Device for dismounting wind shield/rear glass of scrapped automobile |
KR20030033461A (en) * | 2001-10-23 | 2003-05-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sition setting device of door window glass coupler for vehicles |
KR100828694B1 (en) | 2007-07-06 | 2008-05-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Glass Mounting Device |
-
2008
- 2008-05-13 KR KR1020080043941A patent/KR10098606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70042043A (en) * | 1995-12-22 | 1997-07-24 | 석진철 | Glass gripping device |
KR100305348B1 (en) | 1999-06-03 | 2001-09-24 | 이계안 | Device for dismounting wind shield/rear glass of scrapped automobile |
KR20030033461A (en) * | 2001-10-23 | 2003-05-0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osition setting device of door window glass coupler for vehicles |
KR100828694B1 (en) | 2007-07-06 | 2008-05-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Vehicle Glass Mounting Device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43979A (en) | 2022-09-28 | 2024-04-04 | 주식회사 토시스 | Glass auto-mounting system and method |
KR102573096B1 (en) | 2022-10-14 | 2023-08-31 | 주식회사 토시스 | Glass mount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8257A (en) | 2009-11-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6066B1 (en) | Body Glass Mounting Device | |
KR100709310B1 (en) | Sheet Cutting Machine | |
KR101924141B1 (en) | Gasket assembly device | |
KR100974597B1 (en) | Vehicle Door Mount | |
KR101729575B1 (en) | Riveting machine which is available for plural angle rotation | |
KR20090109003A (en) | Car Tire Loading Device | |
KR100282474B1 (en) | Fender mounted jig of vehicle | |
KR101091623B1 (en) | Hanger device for removing vehicle body | |
US5878641A (en) | Cutting apparatus | |
CN112692401A (en) | Open arc welding mobile system for on-line rail vehicle wheel set remanufacturing treatment | |
CN218745548U (en) | Steel member laser spot welding equipment | |
EP3842198B1 (en) | Moving system for moving a roller for working or cleaning a piece | |
CN216179370U (en) | Upper row system for aluminum surface treatment | |
KR20090064033A (en) | Slat Conveyor Synchronous Transfer Device | |
KR101163697B1 (en) | Gripper for door of vehicle | |
KR100623281B1 (en) | Flexible Door Mount | |
CN212095678U (en) | Adjustable glass chamfering machine for conveying belt | |
JP2781896B2 (en) | Transfer press | |
CN211681442U (en) | Side polishing mechanism | |
CN220278633U (en) | Welding device with adjustable welding angle | |
CN221292687U (en) | Automatic rust removal of shaped steel spouts mark machine | |
JP6121932B2 (en) | Door holding device | |
CN217776031U (en) | Outer positioning device for on-line track of white automobile body of automobile | |
KR100903332B1 (en) | Car sunroof feeder | |
CN111376139A (en) | Adjustable glass chamfering machine for conveying bel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8-oth-X00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
|
P11-X000 |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
|
P13-X000 | Application amended |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22-X000 | Classification modified |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
|
R18-X000 |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221002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2210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