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6045B1 -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6045B1
KR100986045B1 KR1020047001250A KR20047001250A KR100986045B1 KR 100986045 B1 KR100986045 B1 KR 100986045B1 KR 1020047001250 A KR1020047001250 A KR 1020047001250A KR 20047001250 A KR20047001250 A KR 20047001250A KR 100986045 B1 KR100986045 B1 KR 1009860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image
screen
control screen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1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4764A (ko
Inventor
콘도데쓰지로
오쿠무라유지
하가쓰기히코
무라카미데쓰야
타나카켄지
Original Assignee
소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소니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04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47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0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04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2Viewing or reading apparatus
    • G02B27/06Viewing or reading apparatus with moving picture effec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2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by providing first and second parallax images to an observer's left and right eyes
    • G02B30/34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 G02B30/35Stereoscopes providing a stereoscopic pair of separated images corresponding to parallactically displaced views of the same object, e.g. 3D slide viewers using reflective optical elements in the optical path between the images and the observ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 G02B30/5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 G02B30/54Optical systems or apparatus for producing three-dimensional [3D] effects, e.g. stereoscopic images the image being built up from image elements distributed over a 3D volume, e.g. voxels the 3D volume being generated by moving a 2D surface, e.g. by vibrating or rotating the 2D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8Reflectors in projection bea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2Screens moving during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6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for relief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5/00Stereoscopic photography
    • G03B35/18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 G03B35/20Stereoscopic photography by simultaneous viewing using two or more proj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49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 H04N13/354Multi-view displays for displaying three or more geometrical viewpoints without viewer tracking for displaying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사용자가,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움직임이 있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시청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한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회전시키고, 프로젝터(211 내지 21N)에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대해, 복수의 방향에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빛을, 그 방향에서 조사한다. 이 경우,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정면방향이, 프로젝터(21n)의 방향이 되었을 때, 그 프로젝터(21n)가 발생하는 빛에 대응하는 화상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표시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표시장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 프로젝터, 화상 데이터, 산란판, 광학필터

Description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를 들면, 다수의 사용자가,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움직임이 있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본 화상을 제시하는 다시점 제시를 행할 수 있는 공간 제시계로서는, 예를 들면, NHK(일본방송협회)가 개발한 IP(Integral Photography) 입체 화상시스템이 있다.
도 1은, IP 입체 화상시스템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IP 입체 화상시스템에서는, 카메라(비디오카메라)(202)에 의해, 피사체가, 복안렌즈(201)를 통해 촬상된다.
여기서, 복안렌즈(201)는, 도 2a의 평면도와, 도 2b의 단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소형렌즈를 평면형으로 배치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카메라(202)에서는, 이 다수의 소형렌즈 각각 너머로 본 피사체의 화상이 촬상된다.
그리고, IP 입체 화상시스템에서는, 카메라(202)로 촬상된 화상이,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203)에 표시된다. 표시장치(203)의 표시화면의 전면에는, 복안렌즈 201과 동일 구성의 복안렌즈 204가 배치되어 있고, 사용자는, 그 복안렌즈(204) 너머로, 표시장치(203)에 표시된 화상을 본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그 시점에서 본 피사체의 상을 볼 수 있다.
즉, 카메라(202)로 촬상되는 화상은, 복안렌즈 201을 구성하는 각 소형렌즈로부터 피사체를 본 것이기 때문에, 각 소형렌즈 너머로 보이는 피사체의 화상(이하, 적절히, 소형렌즈 화상이라 한다)의 집합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표시장치(203)에 표시되는 화상도, 소형렌즈 화상의 집합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을, 어떤 시점에서, 복안렌즈 201과 동일 구성의 복안렌즈(204)를 통해 보는 것에 의해, 그 시점에서 본 피사체의 화상(상)이, 복안렌즈 204를 구성하는 각 소형렌즈를 통해 보이는, 각 소형렌즈 화상을 구성하는 화소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IP 입체 화상시스템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본 화상을 제시할 수 있다.
그런데, IP 입체 화상시스템에서는, 간단히 설명하면(또는, 관념적으로 설명하면, 어떤 시점에서 본 피사체의 화상이, 그 화상을 구성하는 각 화소를, 복안렌즈 204를 구성하는 각 소형렌즈에 의해, 각 소형렌즈 화상으로부터 모으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화상의 해상도는, 복안렌즈 201 및 204를 구성하는 소형렌즈의 특성 및 밀도(properties and density)에 의해 결정되지만, 소형렌즈의 소형화나, 복안렌즈 201 및 204를 구성하는 소형렌즈의 개수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제시되는 화상을, 고해상도의 화상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래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본 화상을 제시하는 다시점 제시를 행할 수 있는 다른 공간 제시계로서는, 예를 들면, zebra imaging사의 zebra imaging이라고 불리는 것이 있다.
zebra imaging은, 홀로그래피를 이용한 방법으로,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본 고해상도의 화상을 제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렇지만, zebra imaging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은 홀로그램이기 때문에, 그것의 작성에 많은 연산량과 시간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움직임이 있는 화상을 표시하는 것은 곤란하였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다수의 사용자가,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움직임이 있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표시장치는, 빛을 수광하는 것에 의해, 빛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과, 스크린을,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또는 소정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스크린에 대해, 복수의 방향에서, 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조사하는 조사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표시방법은, 빛을 수광하는 것에 의해, 빛에 대응하는 화상 을 표시하는 스크린을,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하고, 스크린에 대해, 복수의 방향에서, 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표시장치는, 빛을 수광하여 산란하는 것에 의해, 그 빛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산란판과, 산란판에서 산란된 빛 중에서, 소정의 방향의 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광학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표시방법은, 수광한 빛을 산란하는 산란판에서, 빛을 수광하여 산란하는 것에 의해, 그 빛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고, 산란판에서 산란된 빛 중에서, 소정의 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있어서는, 빛을 수광하는 것에 의해, 빛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이,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되고, 그 스크린에 대해, 복수의 방향에서, 화상에 대응하는 빛이 조사된다.
본 발명의 제 2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에 있어서는, 수광한 빛을 산란하는 산란판에서 산란된 빛 중에서, 소정의 방향의 빛만이 투과되어, 그 빛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도 1은, IP 입체 화상시스템의 일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복안렌즈 201 및 204의 구성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b는, 복안렌즈 201 및 204의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표시장치의 제 1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촬상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촬상장치(1)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6은, 표시장치(2)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은,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제 1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광학필터 필름 55 및 56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광학필터 필름 55 및 56의 광학특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a는, 표시광학계(20)에서의 화상의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b는, 표시광학계(20)에서의 화상의 표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표시장치(2)의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12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제 2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제 3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4a는, 프로젝터(21n)와 사용자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프로젝터(21n)와 사용자의 위치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표시광학계(20)의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표시광학계(20)에 있어서의 광선의 궤적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신호처리부(22)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8은, 등거리 사영방식의 어안렌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어안렌즈(75)에 의해 사영된 광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광선 R의 광선 방향을 나타낸 각도 θ와 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신호처리부(12)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2는, 신호처리부(22)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표시시스템의 제 2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는, 촬상광학계 101과 102로 피사체 S1과 S2가 각각 촬상되어 있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는, 표시광학계(20)로 피사체 S1과 S2의 화상을 합성한 화상이 표시되어 있는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6은, 표시광학계(20)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을 적용한 컴퓨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표시시스템과, IP 입체 화상시스템 및 zebra imaging의 비교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b는,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표시시스템과, IP 입체 화상시스템 및 zebra imaging의 비교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c는,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표시시스템과, IP 입체 화상시스템 및 zebra imaging의 비교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d는,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표시시스템과, IP 입체 화상시스템 및 zebra imaging의 비교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표시시스템(시스템이란, 복수의 장치가 논리적으로 집합한 물체를 말하며, 각 구성의 장치가 동일 개체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불문한다)의 일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촬상표시시스템은, 촬상장치(1)와 표시장치(2)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장치(1)는, 피사체를 촬상하여, 그 결과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지상파, 위성회선, CATV(Cable Television)망, 전화회선, 인터넷, 그 밖의 전송매체(3)를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반도체 메모리, 광디스크, 자기디스크 등의 기록매체(4)에 기록한다.
표시장치(2)는, 전송매체(3)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화상 데이터, 또는 기록매체(4)로부터 재생되는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표시한다.
도 4는, 도 3의 촬상장치(1)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촬상장치(1)는, 촬상광학계(10)와 신호처리부(12)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광학계(10)는, 복수로서의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은, 피사체의 수평방향의 주위 360도에, 예를 들면, 등간격(등각도)으로 배치되어 있다. 더구나,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은, 예를 들면, 각각의 광축이, 동일 수평면 내에 포함되고, 그 수평면 내의 동일한 점에 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때,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의 배치위치는,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은, 예를 들면, 다른 간격으로 배치하는 것 등이 가능하다.
카메라 11n(n= 1, 2, …, N)은, 피사체를 촬상하고, 즉, 피사체로부터의 빛을 수광하여 광전변환함으로써,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얻고, 그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1 프레임(또는 1 필드) 단위로, 신호처리부(12)에 공급한다.
신호처리부(12)는, 카메라 111 내지 11N과 동일한 개수의 스토리지 311 내지 31N, 부호화부(32), 및 다중화부(33)로 구성되고, 카메라 11n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출력한다.
즉, 스토리지 31n은, 카메라 11n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일시기억한다. 부호화부(32)는, 스토리지 311 내지 31N 각각으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예를 들면, DV(Digital Video) 방식 등의 소정의 방식으로 압축부호화한다. 더구나, 부호화부(32)는, 화상 데이터를 압축부호화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부(33)에 공급한다. 다중화부(33)는, 부호화부(32)에서 공급되는,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 각각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1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전송매체(3)(도 3)를 통해 전송하거나, 또는 기록매체(4)(도 3)에 공급하여 기록한다.
다음에, 도 5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4의 촬상장치(1)의 처리에 관해 설명 한다.
우선 최초로, 스텝 S1에 있어서, 카메라(11n)는, 피사체를 촬상하고, 그 결과 얻어진 1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를, 신호처리부(12)의 스토리지(31n)에 공급하고, 스텝 S2로 진행한다. 스텝 S2에서는, 스토리지(31n)가, 카메라(11n)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스텝 S3로 진행한다. 스텝 S3에서는, 부호화부(32)가, 스토리지(31n)에 기억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여 부호화하고, 그 결과 얻어진 부호화 데이터를, 다중화부(33)에 공급한다.
그리고, 스텝 S4로 진행하여, 다중화부(33)는, 부호화부(32)로부터 공급되는,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 각각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부호화 데이터를, 1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출력한다. 다중화부(33)가 출력하는 데이터 스트림은, 전송매체(3)(도 3)를 통해 전송되거나, 또는 기록매체(4)(도 3)에 공급되어 기록된다.
그후, 스텝 S5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가, 화상 데이터의 촬상을 종료하도록 조작(이하, 적절히, 촬상 종료조작이라 한다)되었는지 아닌지가 판정된다.
스텝 S5에서, 촬상 종료조작이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으로 되돌아가, 이하,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S5에서, 촬상 종료조작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촬상장치(1)에서는,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에 의해, 피사체를, 그 주위의 N개의 시점에서 본 화상, 즉, 피사체를, 그것의 수평방향의 주위 360도에서 본 연속적인 화상이 촬상된다.
다음에, 도 6은, 도 3의 표시장치(2)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표시장치(2)는, 표시광학계(20), 신호처리부(22), 및 콘트롤러(23)로 구성되어 있다.
표시광학계(20)는, 촬상광학계(10)를 구성하는 카메라 111 내지 11N과 동일한 개수인 N개의 프로젝터 211 내지 21N, 구동부(24), 및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으로 구성되어 있다.
N개의 프로젝터 211 내지 21N은,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수평방향의 주위 360도에 배치되어 있고, 촬상광학계(10)(도 4)에 있어서의, 피사체에 대한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의 위치 각각 대응하는 방향 각각으로부터, 신호처리부(22)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빛을 발생하고, 이에 따라, 그 빛을,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조사한다.
즉, N개의 프로젝터 211 내지 21N은, 각각의 광축의 위치 관계가,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 각각의 광축의 위치 관계와 서로 유사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N개의 프로젝터 211 내지 21N은, 도 4에서 설명한 N개의 카메라 111 내지 11N과 마찬가지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주위 360도에, 예를 들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고, 더구나, 각각의 광축이, 동일 수평면 내에 포함되고, 그 수평면 내의 동일한 점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프로젝터 21n(n=1, 2, …, N)은, 신호처리부(22)에서 공급되는, 카메라(11n)에서 촬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선을 발생한다. 구동부(24)는, 콘트롤러(23)의 제어에 따라,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예를 들면, 등각 속도로 회전구동한다.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예를 들면, 직사각 형태의 스크린으로, 프로젝터 21n이 발생하는 광선을 수광함으로써, 그 광선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때,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그것을 좌우로 이등분하는 수직방향의 분할선을 따른 축(25A)을 회전축으로 하여, 구동부(24)에 의해 회전구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N개의 프로젝터 211 내지 21N은, 예를 들면, 각각의 광축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축(25A) 상의 동일한 점에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신호처리부(22)는, 스토리지(41), 분리부(42), 및 복호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리지(41)는, 전송매체(3)(도 3)를 통해 전송되어 오는 데이터 스트림, 또는 기록매체(4)(도 3)로부터 재생된 데이터 스트림을 일시기억한다. 분리부(42)는, 스토리지(41)에 기억된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고, 카메라 111 내지 11N에서 촬 상된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터 각각으로 분리하여, 복호부(43)에 공급한다. 복호부(43)는, 분리부(42)로부터 공급되는 부호화 데이터를, 카메라 111 내지 11N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 각각으로 복호하고, 카메라(11n)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프로젝터(21n)에 공급한다.
이때, 복호부(43)는, 카메라(11n)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예를 들면, 1 프레임 단위로, 프로젝터(21n)에 공급하지만, 그 공급은, 다른 카메라 11n'으로부터 다른 프로젝터 21n'에의 화상 데이터의 공급과 동기를 취해 행해진다.
콘트롤러(23)는, 복호부(43)로부터 프로젝터 211 내지 21N으로의 화상데이터의 공급 타이밍에 동기하여,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회전구동하도록, 구동부(24)를 제어한다.
다음에, 도 7은, 도 6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구성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양면 스크린(51), 및 광학필터 필름 55 및 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면 스크린(51)은, 평판 형상의 산란판 52 및 53, 및 차광판(54)으로 구성되고, 차광판(54)을, 산란판 52와 53의 사이에 끼운 구조(차광판(54)이, 산란판 52와 53에 샌드위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이때, 도 7의 실시예에서는, 양면 스크린(51)은, 산란판 53의 상부에, 차광 판 54가 배치되고, 차광판 54의 상부에, 산란판 53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양면 스크린(51)에 대해, 상부 방향(산란판 52측)에서 입사한 광선은, 산란판 52에서 수광, 산란되고, 이에 따라, 양면 스크린(51)을 A 방향에서 본 경우, 산란판 52에서, 그 광선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양면 스크린(51)을 B 방향에서 본 경우, 산란판 52의 앞에 차광판(54)이 배치되어 있고, 이 차광판(54)에 의해 산란판 52를 투과하는 빛이 차단되기 때문에, 산란판 52에서 산란된 광선에 대응하는 화상을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한, 양면 스크린(51)에 대해, B 방향(산란판 53측)에서 입사한 광선은, 산란판 53애서 수광, 산란되고, 이에 따라, 양면 스크린(51)을 B 방향에서 본 경우, 산란판 53에서, 그 광선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한편, 양면 스크린(51)을 A 방향에서 본 경우, 산란판 53의 앞에 차광판(54)이 배치되어 있고, 이 차광판(54)에 의해 산란판 53을 투과하는 빛이 차단되기 때문에, 산란판 53에서 산란된 광선에 대응하는 화상을 보는 것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양면 스크린(51)에 의하면, 산란판 52측의 면과, 산란판 53측의 면의 2개의 면 각각에 있어서, 말하자면 독립적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산란판 52 및 53으로서는, 예를 들면, 불투명 유리 등과 같이 빛을 산란시키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있어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양면 스크린(51)의 산란판 52측과 53측에, 광학필터 필름 53과 56을 각각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광학필터 필름 55 및 56은, 예를 들면, 도 8의 사시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위 루버(louver) 구조를 갖는 시이트 형태의 광학필터로, 차광성을 갖는 직사각형 형태의 다수의 미소필름을, 그 면끼리가 대향하도록, 미소 간격으로 배치함으로써 구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미소 필름끼리의 사이에 슬릿이 형성되어 있다.
지금, 광학필터 필름 55 및 56을 구성하는 다수의 미소 필름의 면과 평행한 방향, 요컨대 슬릿의 방향을, 정면방향으로 하면, 광학필터 필름 55 및 56은,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은 광학특성을 갖는다.
즉, 광학필터 필름 55 및 56은, 정면방향의 광선만을 그대로 투과시키고, 정면방향에서 어긋난 광선(미소 필름의 면과 교차하는 광선)일수록, 투과하는 광량을 작게 하는 광학특성을 갖는다. 따라서, 광학필터 필름 55나 56을, 정면에서 본 경우에는, 반대편이 보이지만, 정면에서 어긋난 방향(소위 경사 방향)에서, 광학필터 필름 55나 56을 본 경우에는, 반대편이 보이지 않게 된다.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은 광학특성을 갖는 광학필터 필름 55 및 56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미토모 쓰리엠사의 라이트 콘트롤 필름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7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있어서는, 양면 스크린(51)의 산란판 52측에, 전술한 바와 같은 광학특성을 갖는 광학필터 필름 55가, 그것의 슬릿이 수직방향(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축(25A)과 평행한 방향)에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양면 스크린(51)의 산란판 53 측에도, 전술한 바와 같은 광학특성을 갖는 광학필터 필름 56이, 그것의 슬릿이 수직방향에 나란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산란판 52에 입사한 광선이, 그 산란판 52에서 산란되는 것에 의해 얻어지는 산란광 중에서, 정면방향의 광선은, 광학필터 필름 55를 투과하지만, 다른 방향의 빛은, (이상적으로는, 그것의 전부가) 광학필터 필름 55에 의해 차단된다. 그 결과,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광학필터 필름 55의 정면방향을 시점으로 하여 본 경우에는, 산란판 52에서 산란된 빛 중에서, 시점을 향하는 빛은, 광학필터 필름 55를 투과하여, 시점에 도달하기 때문에, 화상을 볼 수 있다. 한편,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광학필터 필름 55의 정면방향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수평방향으로) 어긋난 위치를 시점으로서 본 경우에는, 산란판 52에서 산란된 빛 중에서, 시점을 향하는 빛은, 광학필터 필름 55에서 차단되어, 시점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볼 수 없다.
산란판 53에서도, 그곳에 입사한 광선이 산란되어, 그 산란광 중에서, 정면방향의 광선은, 광학필터 필름 56을 투과하지만, 다른 방향의 빛은, (이상적으로는, 그것의 전부가) 광학필터 필름 56에 의해 차단된다. 그 결과,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광학필터 필름 56의 정면방향을 시점으로 하여 본 경우에는, 산란판 53에서 산란된 빛 중에서, 시점을 향하는 빛은, 광학필터 필름 56을 투과하여, 시점에 도달하기 때문에, 화상을 볼 수 있다. 한편,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광학필터 필름 56의 정면방향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어긋난 위치를 시점으로서 본 경우에는, 산란판 53에서 산란된 빛 중에서, 시점을 향하는 빛은, 광학필터 필름 56에서 차단되어, 시점에 도달하지 않기 때문에, 화상을 볼 수 없다.
이상과 같이, 도 7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따르면, (이상적으로는) 그것의 정면방향에 위치하는 사용자에만, 화상이 제시되고, 정면방향에서 좌측 또 는 우측으로 어긋난 사용자에게는, 화상은 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지금,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있어서 화상이 표시되는 면을, 표시면으로 하면, 도 7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산란판 52측과 53측의 2개의 표시면을 갖지만, 이 표시면이, 프로젝터(21n)의 정면방향에 위치한 경우, 그 프로젝터(21n)가 발생하는 광선이, 광학필터 필름 55 또는 56을 통해, 산란판 52 또는 53에서 수광, 산란되는 것에 의해, 그 광선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면으로서의 산란판 52 또는 53에 표시된다. 그리고, 이 산란판 52 또는 53에 표시된 화상은, 표시면의 정면방향에 위치하는 사용자만이, 광학필터 필름 55 또는 56을 통해 관찰할 수 있고,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관찰할 수 없다.
또한, 프로젝터(21n)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카메라(11n)에서 촬상된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선이 발광된다. 따라서, 프로젝터(21n)가,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표시면의 정면방향에 위치한 경우에만, 그 정면방향에 위치하는 사용자만이, 카메라(11n)의 위치에서 본 피사체의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즉, N개의 프로젝터 211 내지 21N 각각이 발생하는 광선은, 도 10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축(25A)을 회전축으로서 회전하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표시면의 정면방향이, 프로젝터 211 내지 21N 각각의 광축방향과 일치하였을 때에,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표시면에서 결상되어, 카메라 111 내지 11N에서 촬상된 피사체의 화상이 각각 표시되고, 이 화 상은, 표시면의 정면방향에 있는 사용자만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서는, 그 표시면의 방향마다, 그 방향에서 본 피사체의 화상이 표시된다. 그 결과, 사용자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보는 위치마다, 그 위치에서 본 피사체의 화상을 관찰하는 것, 즉,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시점 위치에 따른 화상을 제시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예를 들면, 도 10a와 도 10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로젝터(21n)의 후방측에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보는 것에 의해, 그 표시면에 표시되는 화상을 관찰한다.
또한, 콘트롤러(23)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이, 그 표시면의 회전 레이트가 신호처리부(22)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레이트(또는 필드레이트) 이상이 되는 각속도로 회전하도록, 구동부(24)를 제어한다.
따라서, 신호처리부(22)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레이트(프로젝터(21n)가 투사하는 화상의 프레임레이트)가, 예를 들면, 30Hz라고 하면, 2개의 표시면을 갖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15Hz 이상의 각속도로 회전된다.
이 경우, 프로젝터(21n)는, 적어도, 프레임 주기 내에서 한번은,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표시면의 정면방향에 위치하게 되어, 소위 프레임 드롭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신호처리부(22)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레이트 미만의 각속 도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이 회전하는 경우, 어떤 프로젝터(21n)에 주목하면, 그 프로젝터(21n)가, 표시면의 정면방향에 위치하였을 때에, 그것의 표시면에서, 어떤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 뒤, 다음 프레임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선이 발생할 때까지의 사이에, 표시면의 정면방향이, 프로젝터(21n)의 방향을 향하지 않기 때문에, 다음의 프레임의 화상이 표시되지 않아, 그 프레임은, 프레임 드롭이 된다. 이러한 프레임 드롭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프로젝터(21n)가, 적어도, 프레임주기 내에 한번은,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표시면의 정면방향에 위치하 도록, 즉, 신호처리부(22)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의 프레임레이트 이상의 각속도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회전수는, 프로젝터(21n)가 투사하는 화상의 프레임레이트나, 1 프레임당의 투사시간 등에 의해 적절히 결정된다.
다음에, 도 11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6의 표시장치(2)의 처리에 관해 설명한다.
우선 최초로, 스텝 S11에서, 콘트롤러(23)는, 구동부(24)를 제어함으로써,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회전을 개시시키고, 스텝 S12로 진행한다.
스텝 S12에서는, 스토리지(41)가, 전송매체(3) 또는 기록매체(4)(도 3)로부터 공급되는, 예를 들면, 1 프레임분의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고, 스텝 S13으로 진행한다. 스텝 S13에서는, 분리부(42)가, 스토리지(41)에 기억된 데이터 스트림을 판독하고, 도 4의 촬상장치(1)의 카메라 111 내지 11N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터 각각으로 분리하여, 복호부(43)에 공급한다.
그리고, 스텝 S14로 진행하여, 복호부(43)는, 분리부(42)에서 공급된 부호화 데이터를, 카메라 111 내지 11N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 각각으로 복호하고, 카메라(11n)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프로젝터(21n)에 공급하여, 스텝 S15로 진행한다.
스텝 S15에서는, 프로젝터(21n)는, 복호부(43)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선을,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향해 발광하고, 이에 따라, 회전하고 있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표시면에서, 그 표시면의 정면방향에 위치하는 프로젝터(21n)가 발생한 광선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그후, 스텝 S16으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조작부가, 화상의 표시를 종료하도록 조작(이하, 적절히, 표시종료 조작이라 한다)되었는지 아닌지가, 콘트롤러(23)에 의해 판정된다.
스텝 S16에 있어서, 표시종료 조작이 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1로 되돌아간다. 그리고, 스텝 S11에서, 스토리지(41)가, 그곳에 공급되는, 다음의 1 프레임분의 데이터 스트림을 기억하고, 이하, 동일한 처리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 S16에 있어서, 표시종료 조작이 되었다고 판정된 경우, 스텝 S17로 진행하여, 콘트롤러(23)는, 구동부(24)를 제어함으로써,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회전을 정지시키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회전시켜, 그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대해, 복수의 방향에서 촬상한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빛을, 그 방향에서 조사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각 방향에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보는 것에 의해, 그 방향에서 본 피사체의 화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그 표시면에, 광학필터 필름 55 및 56을 갖기 때문에, 그 표시면의 정면방향 이외의 방향에 위치하는 사용자는, 표시면에 표시되고 있는 화상을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다수의 사용자가,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피사체를 보았을 때, 그 시각에 비치는 것과 동일한 화상을 시청할 수 있다.
더구나, 카메라(11n) 및 프로젝터(21n)로서, 고해상도의 것을 채용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고해상도의 화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화상의 움직임의 유무에 의해, 촬상장치(1) 및 표시장치(2)의 처리량은, 거의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움직임이 있는 화상이라도,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본 것 화상을 제시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2는, 도 6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제 2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면 중에서, 도 7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2의 실시예에서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반사형 스크린(61)과 광학필터 필름(55)으로 구성되어 있다.
반사형 스크린(61)은, 도 12에 있어서, 차광판(54)의 상부에 산란판(52)을 배치하고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산란판(52)의 상부에, 광학필터 필름(55)이 배치되어 있다.
즉, 도 12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도 7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산란판 53 및 광학필터 56을 제거한 것과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도 12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A측(산란판 52측)만으로 1개의 표시면을 갖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도 12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서는, A측으로부터 산란판(52)의 면을 향해 광선을 조사함으로써, 그 광선이 산란판(52)에서 산란되어, 그 광선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이 화상은, 광학필터 필름(55)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2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서는, 광선이 조사되는 산란판(52)의 면에만, 화상이 표시되고, 표시면은, 그 면 1개뿐이다.
여기서, 도 6 및 도 12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따르면, 그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서 반사된 광선이, 사용자의 망막에 결상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화상이 지각된다. 따라서, 도 6 및 도 12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반사형의 스크린이라고 말할 수 있다.
다음에, 도 13은, 도 6의 라이트 콘트롤 필름(25)의 제 3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면 중, 도 7 또는 도 12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13의 실시예에서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투과형 스크린(62)과 광학필터 필름(55)으로 구성되어 있다.
투과형 스크린(62)은, 산란판(52)으로 구성되어 있고, 도 13에 있어서, 그 산란판(52)의 A측에, 광학필터 필름(55)이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투과형 스크린(62)에서는, 하측 방향(산란판(52)측)에서 광선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 그 광선이 산란판(52)에서 산란되어, 그 광선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이 화상은, 상측 방향에서 광학필터 필름(55)을 통해 관찰할 수 있다. 이때, 도 13에서는, 산란판(52)에 표시된 화상은, 하측 방향에서도 관찰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 하측 방향에서는, 그것의 정면방향에서만이 아니라, 임의의 방향에서 화상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산란판(52)의 하측 방향의 면은, 표시면으로서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도 13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서는, 광선이 조사되는 산란판(52)의 면과 반대측의 면측에서만, 화상이 표시되고, 표시면은, 그 면 뿐이다.
여기서, 도 13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따르면, 그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투과한 광선이, 사용자의 망막에 결상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화상이 지각된다. 따라서, 도 13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투과형의 스크린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때, 도 7이나 도 12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사용하는 경우, 전술한 것과 같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서 반사되는 광선이, 사용자의 망막 상에 결상함으로써 화상이 지각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서 볼 때, 시청하려 하고 있는 화상에 대응하고 있는 광선을 발생하는 프로젝터(21n)와 동일 방향에 위치하면, 그 화상을 시청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 도 13의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사용하는 경우,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투과하는 광선이, 사용자의 망막 상에 결상함으로써 화상이 지각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화상을 시청하기 위해서는, 도 14a와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서 볼 때, 그 시청하려고 하고 있는 화상에 대응하고 있는 광선을 발생하는 프로젝터(21n)와 반대방향에 위치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도 14a에서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주위 360도 중의 180도의 범위의 각 위치에 프로젝터(21n)가 배치되어 있고, 사용자는, 나머지의 180도의 범위에 있어서의, 프로젝터(21n)의 반대측의 위치에서, 화상을 시청하게 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 위치를, 프로젝터(21n)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180도의 범위에서밖에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그 범위에서 본 피사체의 화상밖에 관찰할 수가 없다.
그래서, 프로젝터(21n)는, 예를 들면, 도 1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의 위치와 교대로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그 위치를, 360도의 범위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전술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전술한 구성의 것 이외에, 소정의 방향에서 입사하는 빛만을 수광하여 산란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이나, 빛을 수광하여 산란하는 것에 의해, 화상을 표시하고, 그 화상에 대응하는 빛 중의 소정 방향만의 빛을 사출하는 스크린이면, 어떠한 구성이 것이라도 상관없다.
다음에, 도 15는, 도 6의 표시광학계(20)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면중에서, 도 6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즉, 도 15의 표시광학계(20)는, N개의 프로젝터 211 내지 21N 대신에, 지지부(71), N개의 평면미러 721 내지 72N, 및 어안 프로젝터(73)가 설치되어 있는 것 이외는, 기본적으로, 도 6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단, 도 6의 표시광학계(20)에 있어서는, 구동부(24)가, 예를 들면, 마루 등에 고정되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회전구동하는 데 대해, 도 15의 표시광학계(20)에서는, 구동부(24)는, 예를 들면, 천장 등에 고정되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회전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지지부(71)는, 대략 원통형상을 하고 있고,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둘러싸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때, 지지부(71)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표시된 화상의 시청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보다 하부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원통형상의 지지부(71)의 내측에는, 그것의 법선방향(정면방향)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축(25A)의 방향을 향하도록, N개의 평면미러 721 내지 72N이 설치되어 있고, 지지부(71)는, 이 N개의 평면미러 721 내지 72N을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지지부(71)는, 평면미러(72n)를 유지하는 역할을 하는 이외에, 후술 하는 어안 프로젝터(73)가 발생하는 광선이, 직접, 사용자의 시각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한다.
어안 프로젝터(73)는, 프로젝터(74)와 어안렌즈(75)로 구성되어 있으며, 프로젝터(74)는, 신호처리부(22)로부터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선을 발생하고, 어안렌즈(75)는, 그 프로젝터(74)로부터의 빛을, 주위에, 광각으로 방사한다. 이때, 어안 프로젝터(73)는, 예를 들면, 그것의 광축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의 축(25A)과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어안 프로젝터(73)는, 지지부(71)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표시광학계(20)에서는, 어안 프로젝터(73)가, 신호처리부(22)에서 공급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선을, 어안렌즈(75)를 거치는 것에 의해 광각으로 발생한다. 어안 프로젝터(73)가 발생하는 광선은, 도 16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어안 프로젝터(73)의 광축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는 지지부(71)에 유지되어 있는 평면미러(72n)에 입사하고, 거기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향하여 반사된다.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서는, 이 광선이 수광되는 것에 의해, 그 광선에 대응하는 화상이 표시된다.
따라서, 도 15의 표시광학계(20)에서는, 평면미러(72n)가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향하여 반사하는 광선이, 도 6의 프로젝터(21n)가 발생하는 광선과 동일하면, 평면미러(72n)는, 프로젝터(21n)와 등가가 된다. 그 때문에, 도 15에 있어서도, 도 6의 표시광학계(20)에서의 경우와 동일한 화상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서 표시된다.
그래서, 도 17은, 표시광학계(20)가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의 도 6의 신호처리부(22)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면 중에서, 도 6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즉, 도 17의 신호처리부(22)는, 기하변환 합성부(4)가 새롭게 설치되는 것 이외는, 도 6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하변환 합성부(44)는, 복호부(43)에서 공급되는, 카메라 111 내지 11N 각각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기하변환하여 합성함으로써, 평면미러(72n)가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향하여 반사하는, 어안 프로젝터(73)로부터의 광선이, 도 6의 프로젝터(21n)가 발생하는 광선에 일치하는 것이 되도록 하는 화상 데이터(이하, 적절히, 기하변환 화상 데이터라 한다)를 생성하고, 어안 프로젝터(73)(도 15)에 공급한다.
즉, 여기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어안 프로젝터(73)의 어안렌즈(75)로서, 예를 들면, 도 18에 나타낸 것 같은 등거리 사영방식의 어안렌즈(소위 fθ의 어안렌즈)가 채용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서, 등거리 사영방식의 어안렌즈(75)에 따르면, 그 어안렌즈(75)의 광축에 대한 입사광의 입사각을 θ로 하는 동시에, 어안렌즈(75)의 초점거리를 f로 하면, 상 높이 y는, fθ로 표시된다.
따라서, 지금,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안렌즈(75)의 광축과 수직한 2차원 평면에 있어서, 그 광축과 교차하는 점을 기준점 P0로 나타낸 경우에 있어서, 입사각 θ1의 입사광 R1이 어안렌즈(75)에 입사하였을 때에, 그것의 입사광 R1 이 2차원 평면에서 수광되는 점 P1과, 기준점 P0 사이의 거리 r1은, fθ1 으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입사각 θ2의 입사광 R2가 어안렌즈(75)에 입사하였을 때에, 그 입사광 R2가, 2차원 평면에서 수광되는 점 P2와, 기준점 P0 사이의 거리 r2 는, fθ2로 표시된다. 그리고, 광선 R2의 입사각 θ2가, 광선 R1의 입사각 θ1의, 예를 들면 2배의 각도인 경우에는, 거리 r2도, 거리 r1의 2배가 된다.
그런데, 전술한 어안렌즈(75)의 광축과 수직한 2차원 평면 상에, 도 19에 나타낸 2차원 좌표계를 고려하여, 기준점 P0의 좌표를, (x0, y0)로 표시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이 기준점 P0를 중심으로 하는 타원을 상정한다. 이때, 이 타원의 장축 또는 단축 중의 한쪽은, 2차원 좌표계의 x축 또는 y축 중의 한쪽과 평행하게, 장축 또는 단축 중의 다른쪽은, 2차원 좌표계의 x축 또는 y축 중의 다른쪽과 평행하게, 각각 배치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우, 2차원 좌표계의 타원 내의 어느 점(화소) P의 좌표 (x, y)와, 어안렌즈(75)에 의해, 점 P에 사영되는 광선의 광선 방향의 관계는, 다음식으로 표시된 다.
Figure 112004003378650-pct00001
단, 식 (1)에 있어서, rx는, 2차원 좌표계로 상정한 타원의 긴 지름 또는 짧은 지름 중의, x축과 평행한 쪽의 1/2의 길이를 나타내고, ry는, 긴 지름 또는 짧은 지름 중의, y축과 평행한 쪽의 1/2의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식 (1)에 있어서, θ는, 도 20에 나타낸 것과 같은, 어안렌즈(75)의 광축을 z축으로 하는 동시에, x축과 y축으로서, 도 19의 2차원 좌표계의 원점을 기준점 P0로 하였을 때의, 그 2차원 좌표계의 x축과 y축을 채용한 3차원 좌표계에 있어서, 어안렌즈(75)에 입사하는 광선 R과, xy 평면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더구나, 식 (1)에 있어서, ψ는, 어안렌즈(75)에 입사하는 광선 R을 xy 평면에 사영한 선과, x축이 이루는 각도를 나타낸다. 이때, 식 (1)에 있어서, 각도 θ와 ψ의 단위는, 라디안이다.
식 (1)로부터, tanψ는, 식 (2)로 표시할 수 있다.
Figure 112004003378650-pct00002
식 (2)로부터, 각도 ψ는, 식 (3)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8038435386-pct00034
단, 식 (3)의 역정접(arctangent)(tan-1)을 계산하는데 있어서는, 점 P가 위치하는 상한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식 (1)과 식 (3)으로부터, 각도 θ는, 식 (4)에 의해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04003378650-pct00004
지금, 기하변환 합성부(44)가 어안 프로젝터(73)에 공급하는 기하변환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화소에 있어서의, 어떤 위치 (x, y)의 화소에 주목하면, 그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광선이, 어안 프로젝터(73)에서 사출되는 광선 방향(θ, ψ)는, 식 (3) 및 (4)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주목 화소에 대응하는 광선(이하, 편의상, 주목광선이라 한다)이, 평면미러(72n)에서 반사되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향하기 때문에, 평면미러(72n)의 위치에, 평면미러(72n) 대신에, 프로젝터(21n)가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한 경우에, 프로젝터(21n)가 발생하는 광선 중에서, 평면미러(72n)에서 반사된 주목광선과 일치하는 광선에 대응하는 화소(의 화소값)가, 주목화소와 일치하고 있으면, 평면미러(72n)에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에 대해, 프로젝터(21n)가 발생하 는 광선과 동일한 광선이 조사되게 된다.
그래서, 기하변환 합성부(44)(도 17)는, 복호부(43)에서 공급되는, 카메라 111 내지 11N 각각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전술한 것과 같이, 평면미러(72n)의 위치에, 평면미러(72n) 대신에, 프로젝터(21n)가 배치되어 있다고 가정한 경우에, 프로젝터(21n)가 발생하는 광선 중에서, 평면미러(72n)에서 반사된 주목광선과 일치하는 광선에 대응하는 화소가 주목화소와 일치하는 화상 데이터로서의 기하변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어안 프로젝터(73)에 공급한다.
이 경우, 어안 프로젝터(73)가 기하변환 합성부(44)로부터 공급되는 기하변환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여 발광하는 광선이, 평면미러(72n)에서 반사되면, 그 반사광은, 평면미러(72n)의 위치에 프로젝터(21n)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그 프로젝터(21n)가 발생하는 광선과 동일한 것으로 되기 때문에, 도 15의 표시광학계(20)에서는, 도 6의 표시광학계(20)에서의 경우와 동일한 화상의 표시가 행해지게 된다.
이때, 도 15의 표시광학계(20)에서는, 지지부(71)의 내측에, 평면미러(72n)를 지지하고, 그 평면미러(72n)에 의해, 어안 프로젝터(73)가 발생하는 광선을,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하였지만, 그 이외에, 예를 들면, 지지부(71)의 내측에, 평면미러(72n)를 설치하는 대신에, 지지부(71)의 내측을 미러로 구성하고, 그 미러에 의해, 어안 프로젝터(73)가 발생하는 광선을, 라이트 콘트 롤 스크린(25)을 향하여 반사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도 15에서는, 프로젝터(74)의 렌즈로서, 어안렌즈(75)를 채용하는 것에 의해, 프로젝터(74)가 발생하는 광선을 광각으로 사출하도록 하였지만, 프로젝터(74)의 렌즈로서는, 어안렌즈(75) 이외의, 광선을 광각으로 사출하는 렌즈를 채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도 21은, 도 4의 촬상장치(1)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부(12)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면 중, 도 4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즉, 도 21의 신호처리부(12)는, 기하변환 합성부(34)가 새롭게 설치되고, 다중화부(33)가 설치되지 않은 것 이외는, 도 4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기하변환 합성부(34)는, 스토리지 311 내지 31N으로부터, 카메라 111 내지 11N에서 촬상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그 화상 데이터를 사용하여, 도 17의 기하변환 합성부(44)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한 처리를 행하는 것으로, 기하변환 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 기하변환 화상 데이터는, 기하변환 합성부(34)로부터 부호화부(32)에 공급되고, 부호화부(32)에서, 부호화 데이터로 된 후, 전송매체(3) 또는 기록매체(4)(도 3)를 통해, 표시장치(2)에 공급된다.
다음에, 도 22는, 촬상장치(1)의 신호처리부(12)가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되는 경우의, 표시장치(2)에 있어서의 신호처리부(22)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면 중, 도 17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즉, 도 22의 신호처리부(22)는, 분리부(42) 및 기하변환 합성부(44)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것 이외는, 도 17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21의 신호처리부(12)에 따르면, 전술한 것과 같이, 기하변환 화상 데이터가 생성되고, 그 기하변환 화상 데이터를 부호화한 부호화 데이터가, 전송매체(3) 또는 기록매체(4)를 통해, 도 22의 신호처리부(22)에 공급된다. 도 22의 신호처리부(22)에서는, 스토리지(41)에서, 그 부호화 데이터가 일시기억되고, 더구나, 복호부(43)에서, 그 부호화 데이터가, 기하변환 화상 데이터로 복호되어, 도 15에 나타낸 표시광학계(20)의 어안 프로젝터(73)에 공급된다.
다음에, 도 23은, 본 발명을 적용한 촬상표시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면 중, 도 3, 도 4, 또는 도 6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촬상장치(1)가, 2개의 촬상광학계 101 및 102, 2개의 신호처리부 121 및 122, 및 다중화부(81)로 구성되어 있다.
촬상광학계 101과 102는, 어느 것도, 도 4의 촬상광학계(1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촬상광학계 101은, 피사체 S1을 촬상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화상 데이터를, 신호처리부 121에 공급한다. 또한, 촬상광학계 102는, 피사체 S1과는 다른 피 사체 S2를 촬상하여, 신호처리부 122에 공급한다.
즉,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촬상광학계 101에서는, 피사체 S1의 주위에 배치된 다수의 카메라(본 실시예에서는,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N개의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 S1이 촬상되고, 또한, 촬상광학계 102에서도, 피사체 S2의 주위에 배치된 다수의 카메라에 의해, 피사체 S2가 촬상된다.
신호처리부 121과 122는, 모두, 도 4의 신호처리부(12)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부 121과 122는, 촬상광학계 101과 102에서 공급되는 피사체 S1과 S2의 화상 데이터를, 도 4의 신호처리부(12)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각각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데이터 스트림을, 다중화부(81)에 공급한다.
다중화부(81)는, 신호처리부 121과 122 각각으로부터 공급되는 2개의 데이터스트림을, 1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다중화하여, 전송매체(3) 또는 기록매체(4)를 통해, 표시장치(2)에 공급한다.
도 23에 있어서, 표시장치(2)는, 표시광학계(20), 2개의 신호처리부 221 및 222, 콘트롤러(23), 분리부(91), 및 합성부(92)로 구성되어 있고, 촬상장치(1)(의 다중화부(81))에서 공급되는 데이터 스트림은, 분리부(91)에서 수신된다.
분리부(91)는, 촬상장치(1)로부터의 데이터 스트림을, 신호처리부 121과 122에서 얻어진 2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 분리하고, 각각을, 신호처리부 221과 222에 공급한다.
신호처리부 221과 222는, 모두, 도 6의 신호처리부(22)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신호처리부 221과 222는, 분리부(91)에서 공급되는, 신호처리부 121가 122 각각에서 얻어진 데이터 스트림을, 도 6의 신호처리부(22)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하고, 그 결과 얻어지는 피사체 S1과 S2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부(92)에 공급한다.
합성부(92)는, 신호처리부 221에서 공급되는 피사체 S1의 화상 데이터와, 신호처리부 222에서 공급되는 피사체 S2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수퍼임포즈)하여, 합성화상 데이터를 생성한다. 이때,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호처리부 221과 222에서 공급되는 피사체 S1과 S2의 화상 데이터는, 피사체 S1과 S2를, 그 주위에 배치된 다수의 카메라로 촬상된 것으로, 합성부(92)에서는, 예를 들면, 각 방향에서 촬상된 피사체 S1의 화상 데이터와, 그 방향과 동일방향에서 촬상된 피사체 S2의 화상 데이터가 합성된다.
여기서, 합성부(92)에서는, 각 방향에서 촬상된 피사체 S1의 화상 데이터와, 그 방향과 다른 방향에서 촬상된 피사체 S2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단, 이 경우, 합성하는 2개의 피사체 S1과 S2의 화상 데이터의 촬상방향은, 동일 각도만큼 어긋나 있을(동일 위상만큼 어긋나 있을) 필요가 있다.
합성부(92)에서 얻어진 합성화상 데이터는, 표시광학계(20)에 공급되고, 표시광학계(20)에서는, 도 6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하여, 합성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따라서, 도 23의 표시광학계(20)에서는, 예를 들면,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사체 S1의 화상과, 피사체 S2의 화상을 합성한 화상이 표시된다.
도 23의 촬상표시시스템에 따르면, 예를 들면, 피사체 S1의 화상 데이터로서, 프로골퍼가 스윙을 하고 있는 모양을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채용하는 동시에, 피사체 S2의 화상 데이터로서, 사용자가 프로골퍼의 스윙을 하고 있는 모양을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채용함으로써, 표시광학계(20)에서는, 그 2개의 화상 데이터를 합성한 화상 데이터가 표시된다. 이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스윙과, 프로골퍼의 스윙의 차이를, 상세히 체크할 수 있다.
여기서, 도 23의 실시예로서는, 촬상장치(1)에 있어서, 촬상광학계 101과 102 각각에서 얻어진 화상 데이터를, 다중화부(81)에서 다중화함으로써, 1개의 데이터 스트림으로서, 표시장치(2)에 공급하도록 하였지만, 표시장치(2)에는, 도 4에 나타낸 촬상장치(1)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복수의 촬상장치를, 원격지에 설치하고, 그 복수의 촬상장치 각각으로부터, 도 23의 표시장치(2)에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이 경우, 도 23의 표시장치(2)는, 분리부(91)를 설치하지 않고 구성할 수 있다. 단, 표시장치(2)에는, 신호처리부 22와 동일한 신호처리부를, 복수의 촬상장치와 같은 개수만큼 설치할 필요가 있다.
또한, 도 23의 실시예에서는, 합성부(92)에서, 피사체 S1과 S2의 화상 데이터 를 단순히 합성하도록 하였지만, 합성부(92)에서는, 피사체 S1과 S2의 화상 데이터를, 그 전후관계를 고려하여 합성하거나, 스케일을 바꿔 합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구나, 합성부(92)에서는, S1과 S2의 화상 데이터를, 그중의 한쪽 또는 양쪽의 위치를 시프트하여 합성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다음에, 도 26은, 도 6의 표시광학계(20)의 또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도면 중에서, 도 6에 있어서의 경우와 대응하는 부분에 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이하에서는, 그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즉, 도 26의 표시광학계(20)는, 1 세트의 구동부(24) 및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 대신에, 복수로서의, 예를 들면, 7 세트의 구동부 241 내지 247 및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 251 내지 257이 설치되는 것 이외는, 도 6에 있어서의 경우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구동부 241 내지 247은, 콘트롤러(23)(도 6)의 제어하에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 251 내지 257을, 예를 들면, 동일위상으로, 또한 동일한 각속도로 회전구동한다. 따라서,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 251 내지 257 중의 1개인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 25j(j=1, 2, …, 7)의 정면방향이, 어떤 프로젝터(21n)의 광축방향을 향한 경우, 다른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j,(j'=1, 2, …, 7: j≠j')의 정면방향도, 그 프로젝터(21n)의 광축방향을 향하게 된다.
또한, 구동부 241 내지 247 및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 251 내지 257 은,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 251 내지 257을, 그것의 정면방향에 위치하는 프로젝터(21n)의 위치에서 보았을 때에, 적어도 3개의 스크린의 단부가 중첩되고, 그것의 적어도 3개의 스크린을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한 것과 같은 정도의 크기의 스크린이 등가적으로 형성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26의 표시광학계(20)에 따르면,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 251 내지 257 각각의 크기가 작더라도, 등가적으로 형성되는 큰 스크린에, 큰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자가 행한 실험에 따르면, A5 사이즈의 길이방향을 회전축으로 한 스크린은, 시판의 모터에 의해, 8Hz 정도로 회전시킬 수 있었다.
다음에, 전술한 일련의 처리는, 하드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으며,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할 수도 있다. 일련의 처리를 소프트웨어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는, 그 소프트웨어를 구성하는 프로그램이, 범용의 컴퓨터 등에 인스톨된다.
그래서, 도 27은, 전술한 일련의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이 인스톨되는 컴퓨터의 일 실시예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프로그램은, 컴퓨터에 내장되어 있는 기록매체로서의 하드디스크(105)나 ROM(103)에 미리 기록해 놓을 수 있다.
또는, 프로그램은, 플렉시블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MO(Magneto Optical)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디스크, 반도체메모리 등의 리무버블 기록매체(111)에, 일시적 또는 영속적으로 격납(기록) 해 둘 수 있다. 이러한 리무버블 기록매체(111)는, 소위 패키지 소프트웨어로서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프로그램은, 전술한 것과 같은 리무버블 기록매체(111)로부터 컴퓨터에 인스톨하는 것 이외, 다운로드 사이트로부터, 디지털 위성방송용의 인공위성을 통해, 컴퓨터에 무선으로 전송하거나, LAN(Local Area Network), 인터넷이라고 하는 네트워크를 통해, 컴퓨터에 유선으로 전송하고, 컴퓨터에서는, 이와 같게 하여 전송되어 오는 프로그램을, 통신부(108)에서 수신하여, 내장하는 하드디스크(105)에 인스톨할 수 있다.
컴퓨터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102)를 내장하고 있다. CPU(102)에는, 버스(101)를 통해, 입출력 인터페이스(110)가 접속되어 있어, CU(102)는, 입출력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사용자에 의해, 키보드나, 마우스, 마이크 등으로 구성되는 입력부(107)가 조작되는 것 등에 의해 지령이 입력되면, 그것에 따라, ROM(Read Only Memory)(103)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는, 또한, CPU(102)는, 하드디스크(105)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 위성 또는 네트워크로부터 전송되고, 통신부(108)에서 수신되어 하드디스크(10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 또는 드라이브(109)에 장착된 리무버블 기록매체(111)로부터 판독되어 하드디스크(105)에 인스톨된 프로그램을, RAM(Random Access Memory)(104)에 로드하여 실행한다. 이에 따라, CPU(102)는, 전술한 흐름도로 따른 처리, 또는 전술한 블록도의 구성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CPU(102)는, 그 처리결과를, 필요에 따라,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는 출력부(106)로부터 출력, 또는, 통신부(108)로부터 송신, 더구나, 하드디스크(105)에 기록 등을 시킨다.
여기서, 본 명세서에서, 컴퓨터에서 각종의 처리를 행하게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술하는 처리스텝은, 반드시 흐름도로로서 기재된 순서에 따라 시계열로 처리할 필요는 없으며, 병렬적 또는 개별로 실행되는 처리(예를 들면, 병렬처리 또는 오브젝트에 의한 처리)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은, 1개의 컴퓨터에 의해 처리되는 것이어도 되고,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분산 처리되는 것이어도 된다. 더구나, 프로그램은, 원격지의 컴퓨터에 전송되어 실행되는 것이어도 된다.
이때, 도 3이나 도 23에 나타낸 촬상표시시스템과, 전술한 IP 입체 화상시스템, 및 zebra imaging을 비교하면, 도 28a 내지 도 28d에 나타낸 것과 같이 된다.
즉, IP 입체 화상시스템에서는, 도 28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본 화상을 제시할 수 있고, 그 제시하는 화상은, 움직임이 있는 것이어도 문제없다. 또한, IP 입체 화상시스템은, 사용자의 시점의 자유도도 높다. 그렇지만, IP 입체 화상시스템에서는, 전술한 것과 같이, 고해상도의 화상을 제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zebra imaging에서는, 도 28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사용자의 시점에서 본 화상을 제시할 수 있고, 그 제시하는 화상은, 고해상도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더구나, zebra imaging은, IP 입체 화상시스템과 마찬가지로, 사용자의 시점의 자유도도 높다. 그렇지만, zebra imaging에서는, 전술한 바 와 같이, 움직임이 있는 화상의 제시가 곤란하다.
이것에 대해, 도 3이나 도 23에 나타낸 촬상표시시스템에서는, 도 28c에 나타낸 것과 같이, 사용자의 시점의 자유도가, IP 입체 화상시스템이나 zebra imaging과 비교하여 다소 뒤떨어지지만,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본 화상을 제시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제시하는 화상은, 고해상도의 것으로 할 수 있고, 더구나, 움직임이 있는 화상이라도, 문제없다.
여기서, 본 출원인은,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를 촬상하였을 때의 광선의 궤적과 그 광선에 대응하는 화소값인 광선정보를 사용하여, 그 화상 데이터를, 사용자의 시점에서 보이는 피사체의 화상 데이터로 변환하는 방법에 관해서 앞서 제안하고 있다(일본국 특원 2002-161838). 이 방법에 따르면, 디스플레이에 있어서의 화상으로 표시된 피사체를 들여다보고, 사용자가 시점을 이동하면, 현실세계에서, 그 이동후의 시점에서 피사체를 본 경우에 시각에 비치는 것과 동일한 화상 데이터, 요컨대, 사용자가 들여다본 피사체의 부분이 보이는 상태가 된 화상 데이터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기 때문에, 「엿볼 수 있는 텔레비전」(임의 시점 화상표시 TV)으로 불린다. 이 「엿볼 수 있는 텔레비젼」에서는, 도 28d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해상도의 화상을 표시할 수 있고, 더구나, 사용자의 시점의 자유도도 높다. 단, 「엿볼 수 있는 텔레비젼」에서는, 표시면은 1개이기 때문에, 다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본 화상을 제시하는 것은 곤란하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을 1개의 스크린으로 구성하도록 하였지만,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은,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라이트 콘트롤 스크린(25)과 동일 구성의 3장의 스크린을, 그 표시면이 표면측을 향하도록, 3각 기둥 형태로 접속하여 구성하고, 그 저면의 3각형의 중심을 지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키는 것 등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사용자가, 각 사용자의 시점에서, 움직임이 있는 고해상도의 화상을 시청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빛을 수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스크린에 대해, 복수의 방향에서, 상기 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조사하는 조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사수단은,
    상기 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광각으로 발광하는 광각 발광수단과,
    상기 광각 발광수단이 발광한 빛을, 상기 스크린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7. 빛을 수광하는 것에 의해, 상기 광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을 소정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스크린에 대해, 복수의 방향에서, 상기 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조사하는 조사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조사수단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상기 피사체를 둘러싸도록, 동일평면 내에 배치된 복수의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수단은, 상기 피사체에 대한 상기 복수의 촬상수단의 위치 각각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방향 각각에서, 상기 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수단은, 상기 복수의 촬상수단 각각에 의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수단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수단은, 각각의 광축의 위치관계가, 상기 복수의 촬상수단 각각의 광축의 위치관계와 서로 유사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수단은,
    상기 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광각으로 발광하는 광각 발광수단과,
    상기 광각 발광수단이 발광한 빛을, 상기 스크린의 방향으로 반사하는 반사수단을 갖고,
    상기 반사수단에 의해 반사된 빛이 상기 스크린에서 수광되는 것에 의해 표시되는 화상이, 상기 복수의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이 되도록, 상기 복수의 촬상수단에 의해 촬상된 상기 피사체의 화상을 변환하는 변환수단을 더 구비하며,
    상기 광각 발광수단은, 상기 변환수단에 의해 변환된 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발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2 이상의 세트의 상기 복수의 촬상수단의 각 세트에서 촬상된 화상을 합성하여, 합성화상을 출력하는 합성수단을 더 구비하고,
    상기 조사수단은, 상기 합성화상에 대응하는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3.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촬상수단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빛을 수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빛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빛을 수광하여 산란하는 것에 의해, 그 빛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산란판과,
    상기 산란판에서 산란된 빛 중에서, 소정의 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광학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산란판은, 평판 형태의 것이고,
    상기 광학필터는, 상기 산란판의 양면 또는 1개의 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20. 빛을 수광하는 것에 의해, 상기 빛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방법에 있어서,
    수광한 빛을 산란하는 산란판에서, 빛을 수광하여 산란하는 것에 의해, 그 빛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고,
    상기 산란판에서 산란된 빛 중에서, 소정의 방향의 빛만을 투과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방법.
KR1020047001250A 2002-06-05 2003-06-05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0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63682 2002-06-05
JP2002163682A JP3787841B2 (ja) 2002-06-05 2002-06-05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PCT/JP2003/007100 WO2003104891A1 (ja) 2002-06-05 2003-06-05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4764A KR20050004764A (ko) 2005-01-12
KR100986045B1 true KR100986045B1 (ko) 2010-10-08

Family

ID=29727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125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6045B1 (ko) 2002-06-05 2003-06-05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8310409B2 (ko)
EP (1) EP1510857A4 (ko)
JP (1) JP3787841B2 (ko)
KR (1) KR100986045B1 (ko)
CN (1) CN100437339C (ko)
WO (1) WO20031048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3901B2 (ja) * 2004-02-05 2011-12-2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US7059733B2 (en) * 2003-03-18 2006-06-13 Hitachi, Ltd. Display apparatus
JP4826700B2 (ja) * 2004-02-18 2011-11-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立体表示装置
JP4643583B2 (ja) * 2004-09-10 2011-03-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4645885B2 (ja) * 2004-09-30 2011-03-0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4704739B2 (ja) * 2004-11-10 2011-06-22 直史 山内 スクリーン及びこれを用いた画像投影システム
JP4616673B2 (ja) * 2005-03-14 2011-01-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及び撮像装置
JP2009521010A (ja) 2005-12-23 2009-05-28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リアプロジェクタ及びリアプロジェクション方法
US7630002B2 (en) * 2007-01-05 2009-12-08 Microsoft Corporation Specular reflection reduction using multiple cameras
US7609906B2 (en) * 2006-04-04 2009-10-27 Mitsubishi Electric Research Laborator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acquiring and displaying 3D light fields
CN102413374A (zh) * 2006-08-18 2012-04-11 索尼株式会社 具有可换个性适配器的能自动重配置多媒体系统
JP2009055094A (ja) * 2007-08-23 2009-03-12 Sharp Corp 映像システム
KR101524680B1 (ko) 2008-11-13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향성 라이트 필드 3d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TWI406259B (zh) * 2008-11-28 2013-08-21 Innolux Corp 三維顯示系統與三維顯示方法
JP4598856B2 (ja) * 2008-12-22 2010-12-15 嘉彦 北村 立体表示方法
JP5187639B2 (ja) * 2009-08-28 2013-04-24 独立行政法人情報通信研究機構 立体ディスプレイ
US20160007014A1 (en) * 2013-03-15 2016-01-07 Matthew HENDERSHOT Equidistant stereo lens shader
CN103546672B (zh) * 2013-11-07 2016-09-07 苏州君立软件有限公司 一种图像采集系统
CN103616770B (zh) * 2013-12-12 2016-02-17 北京理工大学 基于多投影机和透射式散射屏幕的周视三维显示装置
CN108572460B (zh) 2017-03-09 2021-04-20 华为技术有限公司 图像显示系统
CA3125431A1 (en) * 2019-02-16 2020-08-20 Leia Inc. Horizontal parallax multiview display and method having light control film
CN112068327A (zh) * 2020-09-29 2020-12-11 雷文昌 一种按中心轴旋转的全息投影仪及其像素排列方式
CN114742591B (zh) * 2022-04-21 2023-07-18 艺壹佳文化科技(广东)有限公司 一种用于展览的广告展示系统及展示方法
US11977244B2 (en) * 2022-04-29 2024-05-07 Sony Interactive Entertainm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 visual representation of a real-world object in three physical dimensions
CN119053905A (zh) * 2022-04-29 2024-11-29 索尼互动娱乐股份有限公司 用于立体显示的设备和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3693A (ja) * 1993-03-23 1994-09-30 Sony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回転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15101B2 (ja) * 1986-06-27 1996-07-10 ヤマハ株式会社 映像および音響空間記録再生方法
US4853769A (en) * 1987-06-16 1989-08-01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Time multiplexed auto-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imaging system
US5678910A (en) * 1990-08-08 1997-10-21 Trutan Pty Limited Multiple angle projection for 3-D imagery
CA2089084A1 (en) 1990-08-08 1992-02-09 Donald Lewis Maunsell Martin Multiple angle projection for 3-d imagery
JP2833348B2 (ja) 1992-06-09 1998-12-09 日本電気株式会社 3次元画像表示装置及び3次元画像表示方法
US6095652A (en) 1995-09-15 2000-08-01 Richmond Holographic Research And Development, Ltd. Projection system
US6084979A (en) * 1996-06-20 2000-07-04 Carnegie Mellon University Method for creating virtual reality
US5854706A (en) * 1996-10-15 1998-12-29 Alb; Cristian I. System for viewing stereoscopic images
US6183088B1 (en) * 1998-05-27 2001-02-06 Actuality Systems, Inc. Three-dimensional display system
WO2000017844A1 (en) 1998-09-24 2000-03-30 Actuality Systems, Inc. Volumetric three-dimensional display architecture
US6561649B1 (en) * 1999-07-09 2003-05-13 Sarnoff Corporation Compact rear projection system using birefringent optics
JP3445536B2 (ja) * 1999-10-04 2003-09-08 三洋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2001242433A (ja) * 2000-02-29 2001-09-07 Sanyo Electric Co Ltd 投射型液晶表示装置
JP3677241B2 (ja) * 2000-04-14 2005-07-27 シー−360、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ビューシステムと、これを見る方法
US6669346B2 (en) * 2000-05-15 2003-12-30 Darrell J. Metcalf Large-audience, positionable imaging and display system for exhibiting panoramic imagery, and multimedia content featuring a circularity of action
JP2001356410A (ja) 2000-06-14 2001-12-26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投影型表示装置
US7193645B1 (en) * 2000-07-27 2007-03-20 Pvi Virtual Media Services, Llc Video system and method of operating a video system
US6873335B2 (en) 2000-09-07 2005-03-29 Actuality Systems, Inc. Graphics memory system for volumeric displays
JP4423777B2 (ja) 2000-09-26 2010-03-03 日本電気株式会社 パノラマプロジェクタ装置およびパノラマ撮影装置
US7102666B2 (en) * 2001-02-12 2006-09-05 Carnegie Mellon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stabilizing rotational images
US6822616B2 (en) * 2002-12-03 2004-11-23 Harris Corporation Multi-layer capacitive coupling in phased array antennas
US20060139447A1 (en) * 2004-12-23 2006-06-29 Unkrich Mark A Eye detec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 of a three-dimensional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73693A (ja) * 1993-03-23 1994-09-30 Sony Corp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回転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4012644A (ja) 2004-01-15
US20060152435A1 (en) 2006-07-13
CN1556938A (zh) 2004-12-22
US20090262185A1 (en) 2009-10-22
WO2003104891A1 (ja) 2003-12-18
US8310409B2 (en) 2012-11-13
EP1510857A4 (en) 2008-06-04
KR20050004764A (ko) 2005-01-12
JP3787841B2 (ja) 2006-06-21
CN100437339C (zh) 2008-11-26
EP1510857A1 (en) 2005-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045B1 (ko)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101009706B1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과, 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US5721585A (en) Digital video panoramic image capture and display system
US10397556B2 (en) Perspective altering display system
US7224382B2 (en) Immersive imaging system
EP1048167B1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panoramic images and movies
US20180309982A1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 navigable, three-dimensional virtual reality environment having ultra-wide field of view
US20060007301A1 (en) 3D television broadcasting system
US20130016181A1 (en) System and method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cinema quality panoramic images
JP3817020B2 (ja) 仮想空間における画像生成方法及び装置並びに撮像装置
WO2010008518A1 (en) Image capture and display configuration
US20060023065A1 (en) Multiple program and 3D display with high resolution display and recording applications
EP1892558A2 (en) 3d image capture camera and non-stereoscopic 3d viewing device that does not require glasses
US20060109202A1 (en) Multiple program and 3D display and 3D camera apparatus and process
Bogner An introduction to panospheric imaging
KR101889225B1 (ko) 입체 전방위 영상 획득 방법과 재생 방법 및 입체 전방위 카메라
Tanaka et al. Tornado: Omnistereo video imaging with rotating optics
KR20010046654A (ko) 단일 카메라 다방향 촬영장치
Bolhassan et al. VR_4U_2C: A Multiuser Multiperspective Panorama and Turnorama Browser Using QuickTime VR and Java Featuring Multimonitor and Stereographic Display
JP2006047690A (ja) 投射型ip方式による三次元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WO2022231482A1 (ru) Виртуальный транспорт и способ его функционирования
JP2009031533A (ja) 三次元画像表示装置、三次元画像表示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憶した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1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0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0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