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5265B1 -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 Google Patents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265B1
KR100985265B1 KR1020030028813A KR20030028813A KR100985265B1 KR 100985265 B1 KR100985265 B1 KR 100985265B1 KR 1020030028813 A KR1020030028813 A KR 1020030028813A KR 20030028813 A KR20030028813 A KR 20030028813A KR 100985265 B1 KR100985265 B1 KR 100985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rge gas
male
casing
gas supply
supply mea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88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6019A (ko
Inventor
진민식
엄주선
김영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288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265B1/ko
Publication of KR2004009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60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265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70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 H01R13/71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 H01R13/7132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switch the switch being a safety switch having ejecting mechanis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2Screw-ring or screw-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01R13/665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 H01R13/66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with built-in electronic circuit with built-in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제철공장의 각종 라인에 제공되는 센서들과 라인제어를 위한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때에 사용되면서 특히,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콘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는, 제어부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 접속핀이 내장되는 수 콘넥터;와, 라인의 센서들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수 접촉핀이 체결되는 암 접속핀이 내장되고 상기 수 콘넥터와 결합되는 암 콘넥터;와, 상기 수 콘넥터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안착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의 후단부에 탄성 연결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 및, 상기 암 콘넥터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수 및 암 콘넥터 접속시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의 케이싱을 통하여 삽입되면서 이동체를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작동체를 포함하는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수 및 암 콘넥터들의 접속시 상기 제1,2 퍼지가스 공급수단의 케이싱들과 이동체와 고정체 및 작동체에 각각 구비된, 개구들, 유입과 배출 개구, 주입 개구 및 공급 개구들을 통하여 통과되는 퍼지가스를 제어부에 제공토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콘넥터의 암,수 콘넥터 접속시 자동적으로 제어부의 내부에 퍼지가스를 공급시킴으로서, 제어부의 내부에 쌓이는 분진이나 유해가스를 외부 배출시키는 동시에, 내부온도를 낮출 수 있어 라인 제어부의 작동성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보다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igure R1020030028813
측정센서, 케이블 접속, 전기 콘넥터,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콘넥터, 제어판넬, 제어부, 분진

Description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ELECTRIC CONNECTOR HAVING PURGE FUNCTION}
도 1은 종래 전기 콘넥터를 도시한 부분절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를 도시한 부분절개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에서 제 1,2 퍼지가스 공급수단을 도시한 것으로서,
(a)는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b) 는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에서 제 1,2 퍼지가스 공급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10.... 수 콘넥터
12.... 수 접속핀 30.... 암 콘넥터
32.... 암 접속핀 50....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
52,72.... 케이싱 52a,72a.... 연결부
52b,72b.... 개구 52c.... 경사부
54.... 이동체 54a.... 유입개구
54b.... 배출개구 56.... 고정체
56a.... 스프링 56b.... 주입개구
70....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 72.... 케이싱
74.... 작동체 74a.... 공급개구
본 발명은 제철공장의 각종라인에 제공되는 센서들과 라인가동을 위한 제어부 (제어판넬)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때에 사용되는 전기콘넥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히는 가스 또는 분진등이 많이 발생되는 제철공장등에서 각종 라인설치되는 센서들과 라인 제어부(제어판넬)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전기 콘넥터의 암,수 콘넥터를 연결 접속시키는 동시에, 제어부의 내부로 퍼지가스가 공급됨으로서, 제어부의 내부에 쌓이는 분진이나 부품에 유해한 유입가스를 외부 배출시키면서, 제어부의 내부온도를 낮출 수 있어 라인 제어부의 작동성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한편, 제어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한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콘넥터에 관한 것이다.
제철공장에 설치된 각종 라인 예를 들어, 냉연, 압연라인등에는 라인가동시 여러 작동제어를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센서(센서류)들이 배치되는데, 이와 같은 센서들은 케이블을 통하여 라인의 제어부(제어판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각종 감지(측정)신호를 제어부에 보냄으로서 라인제어를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센서들의 신호 처리를 위한 케이블은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때, 통상 케이블들은 보수유지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제어부와 전기콘넥터를 사용하여 접속하게 되는데, 도 1에서는 통상 사용되는 종래의 전기 콘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제어판넬) 또는 기타 외부 고정구조물에 고정되는 수 콘넥터(110)에 케이블이 연결된 암 콘넥터(120)가 그 외주면 및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류(112)(122)에 의하여 체결 고정되고, 상기 암 및 수 콘넥터 (110)(120)에는 체결시 서로 접속되어 실질적인 전기적인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수 접속핀(114) 및 암 접속핀(124)이 각각 내장되어 있다.
그런데, 제철공장에 설치되는 각종 라인에는 라인가동시 분진, 가스 또는 고열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와 같은 제철공장의 각종 라인에 설치되는 센서들과 연결되어 라인의 가동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제어판넬)(미도시)의 내부로 상기 분진, 제어부 내부부품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유해한 가스가 손쉽게 유입되거나, 제어부의 내부 온도가 고열에 의하여 상승되게 되고, 이 경우 제어부의 작동성이 불안정하게 되거나 심한 경우 그 작동이 중단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제어부에는 제어부의 내부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 분진 또는 유입가스를 외부로 배츨 제거시키는 팬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팬이 설치되어 있는 종래 제어부의 경우 단순히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그 배출력이 크지않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어부의 내부에 쌓이는 분진이나 유입가스 또는, 온도상승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전기콘넥터(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암,수 콘넥터(120)(110)의 연결접속시 그 내부를 통하여 퍼지가스가 제어부의 내부에 공급되도록 하면 보다 바람직할 것인데, 지금까지는 전기콘넥터(100)의 사용시 자동적으로 제어부에 퍼지가스를 공급하도록 한 퍼지기능을 갖는 전기콘넥터가 제안된 바는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스 또는 분진등이 많이 발생되는 제철공장등의 각종 라인에 설치되는 센서들과 라인 제어부(제어판넬)와의 전기적인 연결시 사용되는 전기콘넥터의 암,수 콘넥터 접속시 자동적으로 라인제어부의 내부로 퍼지가스를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퍼지가스 공급수단을 제공하여, 전기 콘넥터 접속시 자동적으로 제어부의 내부에 퍼지가스가 공급됨으로서, 제어부의 내부에 쌓이는 분진이나 기타 유해가스를 제어부의 외부로 배출 제거시키는 동시에, 제어부의 내부온도를 낮출 수 있어 라인의 가동제어를 위한 제어부의 작동성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 그 수명을 연장시키는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발명은, 제어부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 접속핀이 내장되는 수 콘넥터;
라인의 센서들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수 접촉핀이 체결되는 암 접속핀이 내장되고 상기 수 콘넥터와 결합되는 암 콘넥터;
상기 수 콘넥터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안착되는 이동체 및 상기 이동체의 후단부에 탄성 연결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는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 및,
상기 암 콘넥터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수 및 암 콘넥터 접속시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의 케이싱을 통하여 삽입되면서 이동체를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작동체를 포함하는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
을 포함하여 상기 수 및 암 콘넥터들의 접속시 상기 제1,2 퍼지가스 공급수단의 케이싱들과 이동체와 고정체 및 작동체에 각각 구비된, 개구들, 유입과 배출 개구, 주입 개구 및 공급 개구들을 통하여 통과되는 퍼지가스를 제어부에 제공토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를 도시한 부분절개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에서 제 1,2 퍼지가스 공급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에서 제 1,2 퍼지가스 공급수단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구조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에서는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1)의 전체 구성을 부분 절개 분리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전기 콘넥터(1)는, 크게 수 콘넥터(10)와 암 콘넥터(30) 및, 제 1,2 퍼지가스 공급수단(50)(70)으로 나누어 질 수 있고, 이들 구성요소(10)(30)(50)(70)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1)의 상기 수 콘넥터(1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수 콘넥터(10)는, 라인 제어부(제어판넬)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 접속핀(12)이 내장되어 있고,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콘넥터(10)는 제어부(C)에 연결되는 케이블 접속편(12a)이 연결 접속될 수 있다.
다음, 도 2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1)의 상기 암 콘넥터(30)를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암 콘넥터(30)는, 라인의 센서들(센서부)(S)에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수 접촉핀(12)이 체결 접속되는 암 접속핀(32)이 내장되어 있고, 이때 상기 암 접속핀(32)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센서들 (S) 예를 들어, 근접센서와 같은 각종 센서들과 연결되는 케이블 접속편(32a)이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도 5에서는 하나의 접속핀(12)(32)들을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수 및 암 콘넥터(10)(30)의 내부에 여러개의 접속핀(12)(32)들이 내장되어 있고, 상기 수 및 암 콘넥터(10)(30)들을 외주면 및 내주면에 형성된 스크류(14)(34)들이 체결되어 서로 결합되고, 이때 수 및 암 접속핀(12)(32)들이 접속되어 센서(S)들의 감지(측정)신호는 제어부(C)에 전달되어 라인제어가 수행된다.
그런데, 상기 수 콘넥터(10)는 도면에서는 제어부(C)와 분리되어 도면에서 도시하지 않는 고정구조물에 볼팅작업으로 고정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수 콘넥터(10)가 제어부(C) 즉, 제어부의 케이스인 판넬(제어판넬)에 직접 설치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암 콘넥터(30)의 후방측에 형성된 다른 스크류(36)에는 도면에서 도시한 센서부(S)와 연결된 케이블 접속편 (32a)들을 감싸는 메인케이블의 끝단에 설치된 체결구가 체결 고정될 수 있다.
다음,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1)의 상기 제 1,2 퍼지가스 공급수단(50)(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2 퍼지가스 공급수단(50)(70)은, 상기 수 및 암 콘넥터(10)(30)의 내부에 각각 제공되고, 서로 협력하여 콘넥터(10)(30)들의 접속시 퍼지가스를 통과시키어 제어부에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먼저 상기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a, 도 4 및 도 5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은, 케이싱(52)과 이동체(54) 및 고정체(56)로 다시 나누어 질 수 있는데, 상기 케이싱(52)은 상기 수 콘넥터(10)의 내부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52)의 양측단부에는 제어부(C)와 연결되는 연결부(52a) 및 개구(52b)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와 같은 케이싱(52)의 선단부는 경사부(52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상기 이동체(54)는 상기 케이싱(52)의 내부에 안착되어 있고, 상기 이동체(54)의 선단부에는 상기 케이싱 경사부(52c)에 의하여 개폐되는 유입개구 (54a)가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은 이동체(54)의 후단부에는 배출개구(54b)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체(56)는, 상기 이동체(54)의 후단부에 스프링(56a)으로 탄성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52)의 내부에 고정되어 이동체 이동시 퍼지가스 (G)를 제어부(C)에 주입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주입개구(56b)들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겠지만,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음에 설명하는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70)이 상기 케이싱(52)의 개구(52b)를 통하여 진입되면 이동체(54)가 후방으로 스프링(56b)을 압축시키면서 이동하고, 이때 이동체(54)의 선단부에 형성된 유입개구(54a)가 케이싱(52)에서 이격되면서 공간이 형성되어 퍼지가스(G)는 이동체(54)의 배출개구(54b)와 고정체 (56)의 주입개구(56b)를 통하여 제어부(C)에 공급되게 된다.
다음, 도 3b 및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상기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70)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70)은, 다시 케이싱(72)과 작동체(74)로 나누어 질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싱(72)은 상기 암 콘넥터(30)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고, 상기 케이싱(72)의 양측단부에는 각각 퍼지가스 공급부(도 5의 P)와 연결되는 연결부 (72a)와 개구(7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작동체(74)는, 상기 케이싱(72)의 개구(72b)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상기 수 및 암 콘넥터(10)(30) 접속시 상기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의 케이싱 개구(52b)를 통하여 삽입되어 이동체(54)를 이동시키는 퍼지가스 공급개구 (74a)가 선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퍼지가스 공급개구(74a)는 상기 작동체(74)의 단부에 슬릿형태로 형성되어 이동체(54) 의 이동은 가능하게 하면서 퍼지가스(G)를 공급하도록 한다.
따라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된 퍼지가스(G)는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70))의 케이싱(72)과 작동체(74)의 공급개구(74a)를 통하여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측으로 퍼지가스가 공급되게 된다.
이때,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의 케이싱(52)에는 제어부(C)에 연결되는 제 1 퍼지가스관(호스)(90)의 체결구(90a)가 스크류형태로 체결 고정되게 되고, 상기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70)의 케이싱(72)에는 퍼지가스 공급부(P)에 연결되는 제 2 퍼지가스관(호스)(92)의 체결구(92a)가 스크류형태로 체결 고정되게 되어 공급되는 퍼지가스(G)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 및 암 콘넥터(10)(30)의 접속시 그 내부에서 제 1, 2 퍼지가스 공급수단 (50)(70)을 통하여 제어부(C)에 공급된다.
결국, 본 발명의 전기 콘넥터(1)를 사용하는 경우, 퍼지가스(G)가 자동적으로 제어부(C)에 공급되어 그 내부의 분진, 유해가스가 배출 제거되고 제어부(C)의 내부온도를 낮춤으로서 제어부(C)의 작동성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데, 이경우 퍼지가스는 고온에 영향이 적은 불활성가스 예를 들어, 질소가스 또는 아르곤가스를 상온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도 5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해 상기 제 1,2 퍼지가스관(호스)(90)(92)과 케이블 접속구(12a)(32a)를 분리하여 도시하였지만, 실제로는 하나의 보호용 고무로 된 보호덕트가 감싸여진 상태에서 라인에 배치될 것이다.
다음,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 접속핀(12)과 제 1 퍼지가스 공 급수단(50)은 제어부(C)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암 접속핀(32)과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수 및 암 콘넥터 (10)(30)의 접속핀(12)(32)들 및, 상기 제 1,2 퍼지가스 공급수단(50)(70)간의 접속유무가 제어부에 보내지도록 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스 또는 분진등이 많이 발생되는 제철공장의 각종 라인에 제공되는 센서들과 라인의 가동제어용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전기콘넥터의 접속 사용시 제어부의 내부에 자동적으로 퍼지가스가 공급됨으로서, 제어부 내부에 쌓이는 분진이나 유해가스를 강제적으로 외부 배출 제거시키는 동시에, 제어부의 내부온도를 낮출 수 있어 라인 제어부의 작동성을 안정시키면서 그 사용수명을 연장시킨 본 발명의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콘넥터(1)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철공장의 각종 라인에 설치되는 센서들(센서부)(S)을 가동시키기 위하여 센서들(S)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암 콘넥터 (30)에 라인제어용 제어부(C)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수 콘넥터(10)를 스크류형태로 접속 체결시키면, 이때 수 접속핀(12)은 암 접속핀(32)과 접속되어 센서들(S)의 감지(측정)신호는 제어부(C)에 전달된다.
동시에, 도 4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퍼지가스 공급 수단(70)의 케이싱(72) 선단부의 작동체(74)는 상기 콘넥터(1)의 수 및 암 콘넥터 (10)(30) 접속시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70)의 케이싱(52)의 개구(52b)를 통하여 진입하여 이동체(54)를 후방으로 스프링(56b)을 압축시키면서 이동시키면, 이때 상기 이동체(54)의 선단부에 형성된 유입개구(54a)가 케이싱(52)에서 이격되면서 공간이 형성되어 퍼지가스 공급부(P)에서 제 2 퍼지가스관(92)을 통하여 공급되는 퍼지가스(G)는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70)의 케이싱(72)과 작동체(74)를 통하여 상기 이동체(54)의 유입개구(54a)와 배출개구(54b) 및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의 고정체(56)의 주입개구(56b)를 통하여 제 1 퍼지가스관(90)을 통하여 제어부(제어판넬)(C)에 주입된다.
결국, 제철공장의 각종 라인에서 발생되는 분진, 유해가스가 제어부(C)의 내부에 쌓이거나 유입되고 열에 의하여 제어부(C)의 내부온도가 상승되는 열적영향을 받게되어도 본 발명의 전기 콘넥터(1)를 사용하면 센서들(S)의 제어부(C) 연결을 위한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콘넥터(1)의 사용과 동시에, 퍼지가스(G)가 제어부(C)에 고압으로 주입됨으로서, 그 내부의 분진, 유해가스가 배출 제거되고 온도를 낮춤으로서 제어부(C)의 작동성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는 한편, 제어부(C)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것이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콘넥터(1)에 의하면 제철공장등의 각종 라인에 라인제어용으로 또는 장치제어용으로 사용되는 제어부(C)의 내부에 분진, 가스 및 고온에 의한 작동시 오작동을 방지시키어 항상 제어부의 작동을 안정적으로 유지시키면서, 센서들(S)을 사용하는 때에만 퍼지가스(G)가 제어부(C) 의 내부에 주입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비용발생을 최대한 줄일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 접속핀(12)과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은 제어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암 접속핀(32)과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수 콘넥터(10)의 접속핀(12)이 암 콘넥터(30)의 접속핀(32)에 접속되면, 상기 암 콘넥터 접속핀(32)과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70)의 케이싱(72)이 납땜등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70)과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이 접속된 경우에만 그 신호가 제어부(C)에 전달되고, 결국 상기 수 및 암 콘넥터 접속핀 및 제 1,2 퍼지가스 공급수단들의 접속상태가 제어부(C)에 나타나게 되어 작업자는 본 발명의 전기 콘넥터(1)를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퍼지가스(도 4의 G)는 제철공장의 각종 라인설비가 고온상태인 것을 감안하여 불활성가스 예를 들어, 질소가스 또는 아르곤가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고, 제어부(C)의 냉각을 위하여 상온의 가스를 사용하면 될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인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에 의하면, 제철공장의 각종 라인에서 사용되는 센서들과 라인제어용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연결 접촉시키면 자동적으로 제어부의 내부에 퍼지가스가 공급됨으로서, 제어부의 내부에 쌓인 분진 이나 유해가스를 외부 배출 제거시키는 동시에, 제어부의 내부 온도를 낮출 수 있어 제어부의 작동을 항상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라인 제어부의 내부에 분진이나 유해한 가스가 센서부 사용즉시 제거되면서 그 내부의 온도상승이 차단되어 제어부의 작동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기 때문에, 각종 라인에 설치된 센서들의 작동 정밀성이 유지되고, 이에 따라 라인 가동율 자체를 향상시키는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부가적으로 전기 콘넥터 접속시 퍼지가스 공급수단간의 접속이 제대로 이루어 지고 있는 지가 자동적으로 신호처리되어 전기콘넥터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고, 특히 제어부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키는 잇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Claims (4)

  1. 제어부측에 연결되고 내부에 수 접속핀(12)이 내장되는 수 콘넥터(10);와,
    라인의 센서들과 연결되고 내부에 상기 수 접속핀(12)이 체결되는 암 접속핀 (32)이 내장되고 상기 수 콘넥터(10)와 결합되는 암 콘넥터(30);
    상기 수 콘넥터(10)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케이싱(52)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안착되는 이동체(54) 및 상기 이동체의 후단부에 탄성 연결되는 고정체(56)를 포함하는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 및,
    상기 암 콘넥터(30)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케이싱(72) 및, 상기 케이싱측에 일체로 고정되고, 수 및 암 콘넥터 접속시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의 케이싱 (52)을 통하여 삽입되면서 이동체(54)를 이동시키도록 제공되는 작동체(74)를 포함하는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70);
    을 포함하여 상기 수 및 암 콘넥터들의 접속시 상기 제1,2 퍼지가스 공급수단의 케이싱들과 이동체와 고정체 및 작동체에 각각 구비된, 개구들(52b)(72b), 유입과 배출 개구(54a)(54b), 주입개구(56b) 및 공급 개구(74a)들을 통하여 통과되는 퍼지가스를 제어부에 제공토록 구성된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 접속핀(12)과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은 제어부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암 접속핀(32)과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 (50)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수 및 암 콘넥터(10)(30)의 접속핀(12)(32)들 및, 상기 제 1,2 퍼지가스 공급수단(50)(70)간의 접속유무가 제어부에 보내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 콘넥터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상기 제 1 퍼지가스 공급수단(50)의 케이싱(52)의 양측 단부에는 제어부와 연결되는 연결부(52a) 및 상기 개구(52b)가 일체로 형성되고 선단부는 경사부(52c)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52)의 내부에 안착되는 상기 이동체(54)의 선단부에는 상기 케이싱 경사부(52c)에 의하여 개폐되는 상기 유입개구(54a)가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상기 배출개구(54b)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체(56)는, 상기 이동체(54)의 후단부에 스프링(56a)을 매개로 탄성 연결되고, 상기 케이싱(52)의 내부에 고정되고 이동체 이동시 퍼지가스를 제어부에 주입시키도록 하는 상기 주입 개구(56b)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암 콘넥터(30)의 내부 중앙에 장착되는 상기 제 2 퍼지가스 공급수단의 케이싱(72)의 양측 단부에는 퍼지가스 공급부와 연결되는 연결부(72a)와 상기 개구(72b)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72)의 개구(72b)측에 일체로 고정되는 상기 작동체(74)에는 상기 공급개구(74a)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지 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KR1020030028813A 2003-05-07 2003-05-07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Expired - Fee Related KR1009852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813A KR100985265B1 (ko) 2003-05-07 2003-05-07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8813A KR100985265B1 (ko) 2003-05-07 2003-05-07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019A KR20040096019A (ko) 2004-11-16
KR100985265B1 true KR100985265B1 (ko) 2010-10-05

Family

ID=37374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881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5265B1 (ko) 2003-05-07 2003-05-07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2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00472A (zh) * 2013-11-01 2015-05-06 上海空间电源研究所 供电供气接口
CN114221158A (zh) * 2021-11-15 2022-03-22 宋晶 一种电连接器及端子部件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8623A (ja) * 1995-08-31 1997-03-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コネクタ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クリーニング具
JPH10112348A (ja) * 1996-10-04 1998-04-28 Yazaki Corp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JPH10199608A (ja) 1997-01-10 1998-07-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68623A (ja) * 1995-08-31 1997-03-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コネクタ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クリーニング具
JPH10112348A (ja) * 1996-10-04 1998-04-28 Yazaki Corp 電気自動車用充電コネクタ
JPH10199608A (ja) 1997-01-10 1998-07-3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6019A (ko) 2004-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0915B1 (ko) 부식 방지 기능을 갖는 하수 처리장용 제어반
CN1209553C (zh) 带可更换传感器的燃料喷射器
KR100985265B1 (ko) 퍼지기능을 갖춘 전기 콘넥터
CN110221030B (zh) 废气浓度检测结构、废气浓度检测方法及废气监测装置
CN110267496A (zh) 一种电气控制柜
GB2421967A (en) Subsea excavation and suction device
EP1101506A3 (de) Vorrichtung zum Insufflieren von Gas
US5228523A (en) Pneumatic power tool
EP1706545B1 (en) Cooling system for a blower
JPH0994191A (ja) 電気掃除機
KR20040046834A (ko) 에어커튼이 구비된 로내 감시 카메라
KR100449896B1 (ko) 위치검출장치
WO2002053912A3 (en) Cooling air arrangement for compressor
CN211627661U (zh) 一种便于清理的万能表
US11811037B2 (en) Battery-operated working apparatus having a cooling air guide
JPH01236028A (ja) 電気掃除機
JP4624036B2 (ja) 除電器
CN202222087U (zh) 侧面进线式现场控制机柜
CN220699519U (zh) 一种防尘装置及其电动工具
CN112323372B (zh) 一种管线安装结构及包括其的衣物处理设备
KR200337255Y1 (ko) 에어구동 송풍기
CN218336723U (zh) 充气防尘防腐控制柜
CN222901574U (zh) 压电阀结构
CN215333083U (zh) 一种新型护风罩装置
JPH02145284A (ja) 産業用ロボットのミスト侵入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5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5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5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3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