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3348B1 - Metal stent for ureter - Google Patents

Metal stent for ure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348B1
KR100983348B1 KR1020080119976A KR20080119976A KR100983348B1 KR 100983348 B1 KR100983348 B1 KR 100983348B1 KR 1020080119976 A KR1020080119976 A KR 1020080119976A KR 20080119976 A KR20080119976 A KR 20080119976A KR 100983348 B1 KR100983348 B1 KR 100983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nt
ureter
ureters
normal
me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97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3327A (en
Inventor
정환훈
Original Assignee
정환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환훈 filed Critical 정환훈
Priority to PCT/KR2009/00501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0032931A2/en
Publication of KR201000333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32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348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4Hollow or tubular parts of organs, e.g. bladders, tracheae, bronchi or bile ducts
    • A61F2002/047Urethra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Prosthese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관용 금속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요관은 다른 장기와는 달리 금속스텐트를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 의학계의 정설로 되어 있고 따라서 임상적 사용이 전무한 실정이었으나, 본 발명자는 종래의 의학적 상식을 타파하고 요관에서도 금속스텐트의 사용을 제한하는 여러 가지 요소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도록 피복하여 제작한 요관용 금속스텐트를 개시하고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stent for ureters, unlike the other organs, the ureters can not use a metal stent in the orthodox system of the medical system, and thus there is no clinical use, the present inventors break the conventional medical common sense In the ureter, there is disclosed a metal stent for ureters fabricated to effectively overcome various factors limiting the use of the metal stent.

요관, 스텐트, 피복 Ureters, stents, sheaths

Description

요관용 금속스텐트{Metalic stent for ureter}Metal stent for ureters {Metalic stent for ureter}

본 발명은 요관용 금속스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테트나 플루오르에틸렌(Polytetra fluoro ethylene;PTFE)재질로 직조한 섬유재로 감싼 금속스텐트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al stent for ureters,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al stent wrapped with a fiber material woven from polytetra or fluoroethylene (PTFE) material.

이와 같은 구조의 금속스텐트는 성장한 살이 금속스텐트 관내로 밀고 들어와 막는 것을 방지하며 요관의 굴곡에 잘 적응하여 요관의 꺾임현상이나 스텐트가 요관 하부로 이동됨이 없이 요관기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는 특징이 있다. The metal stent of such a structure prevents the growth of the pushed into the metal stent tube and prevents it, and adapts well to the bending of the ureter is characterized by effectively exhibiting the ureter function without the bending of the ureter or the stent is mov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ureter.

금속재 스텐트는 혈관의 협착이나 동맥류, 식도 및 위장관의 협착, 담도의 협착, 요도의 협착, 기도의 협착을 방지하기 위해 임상에서 활발히 사용되고 있으며 상기 장기 및 환자의 상태에 맞게 비피복 및 피복 스텐트가 사용되어 왔다. Metallic stents are actively used in the clinic to prevent narrowing of blood vessels, aneurysms, narrowing of the esophagus and gastrointestinal tract, narrowing of the bile ducts, narrowing of the urethra, and narrowing of the airways, and use of an uncoated and coated stent to suit the condition of the organ and patient. Has been.

그러나, 요관(ureter)은 다른 장기와는 달리 여러 가지 장애물들이 있어 요관에서의 금속제 스텐트의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의학계의 정설로 받아 들여져 있으며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도 이에 대한 별단의 연구는 전무한 상태이며 외국에서 부분적으로 연구들이 있었지만 임상적으로 성공적이지 못하여 실제 임상에서는 전혀 사용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However, the urinary ureter, unlike other organs, has various obstacles, and it is accepted as a medical orthodoxy that the use of metal stents in the ureter is impossible. Although there have been studies, it is not clinically successful and is not used at all in clinical practice.

따라서, 암 조직증식에 의한 협착이 있는 경우 담관이나 위장관등의 협착에는 금속제 스텐트가 유용하게 쓰여 한번의 스텐트 삽입술로 담관의 협착에 따른 황달의 치료나 위장관 협착에 따른 음식물섭취 장애등이 해결될 수 있어 대개 환자가 사망할 때까지 불편함 없이 지내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암종등에 의한 요관의 협착의 경우에는 위 장기와 같이 금속 스텐트를 쓸 수가 없어 배액관을 피부를 통해 직접 신장에 삽입하여 소변을 몸밖으로 빼내야 하며 이 관을 사망시까지 착용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삶의 질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stenosis caused by cancer tissue proliferation, metal stents are useful for narrowing of bile ducts or gastrointestinal tracts, and a single stent can be used to treat jaundice due to stenosis of the bile ducts or food intake disorder due to gastrointestinal stenosis. In most cases, the patient stays without discomfort until death.However, in the case of stenosis of the ureter due to carcinoma, a metal stent cannot be used as in the above organs, so the drainage tube should be inserted directly into the kidney through the skin to drain urine And this tube is worn until death, the quality of life is significantly reduced.

이에 부응하여, double J 관(또는 double J스텐트라 불림)이라는 플라스틱 관을 협착부위에 삽입하여 일시적 요관개통을 해주고 몸밖으로 거치 되어 있는 관을 제거하는 경우도 있으나 double J 관은 몸 안에 있는 동안 조기폐색, 골절, 이동, 요석형성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어 추가적인 시술을 필요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위의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도 요도를 통해 내시경을 삽입하여 2-3개월 마다 한번씩 갈아주여야 한다. In response to this, a plastic tube called a double J tube (or double J stent) is inserted into the stenosis to temporarily open the ureter and remove the tube from the outside of the body. Occasionally, additional procedures are required because of problems such as occlusion, fracture, movement, and urolithiasis. Even when there are no complications above, the endoscope should be inserted through the urethra and changed every 2-3 months.

게다가, 암종에 의한 협착인 경우에는 암종에 의한 협착이 시간이 지나감에 따라 점점 심해져서 처음 한 두번은 요도내시경을 통해 갈아줄 수 있지만 그후에는 double J 도관을 제거 한 후에 다시 삽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여 어쩔수 없이 몸밖으로 거치하는 관을 신장에 직접 삽입하는 시술을 다시 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carcinoma of the carcinoma, the carcinoma of the carcinoma becomes more and more severe over time, so that the first one or two can be changed through the urethoscopy, but after that, it cannot be reinserted after the double J conduit is removed. There are many cases where a procedure that occurs inevitably goes out of the body and inserts a tube directly into the kidney.

이처럼 요관의 협착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다른 장기와는 달리, 환자의 증상을 완화 하고 환자의 삶의 질도 향상시킬수 있는 마땅한 방법이 없어서 환자들이 엄청난 고통과 불편함을 호소하며 지낼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Unlike other organs, when ureteral stenosis occurs, there is no proper way to alleviate the symptoms of the patient an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 .

따라서, 본 발명자는 요관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고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의학적 상식을 뛰어 넘어 요관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금속스텐트를 개발하여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s aim to develop and provide a metal stent that can be usefully used in ureters, beyond the common medical knowledge commonly known that it cannot be used in ureters.

요관용 금속제 스텐트가 다른 장기에서와 달리 그 사용이 불가능 했던 요인을 들면, For factors where ureter metal stents were not available unlike other organs,

첫째, 스텐트 설치부위에서 정상요관세포 과증식에 의한 스텐트 자체가 폐색된다는 점이다. First, the stent itself is blocked by normal ureter cell overgrowth at the stent site.

요관은 다른 장기와 달리 외부 물질에 대한 과민반응으로 정상적인 요관세포가 과증식하는 요관세포과증식이 있다(도1). 다른 장기에서도 약간정도는 정상상피세포의 증식이 일어 날수는 있지만 그 정도가 미약하여 스텐트를 사용하는 데는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 Unlike other organs, the ureter is a ureter cell hyperproliferation in which normal ureter cells proliferate due to hypersensitivity to foreign substances (FIG. 1). In other organs, the growth of normal epithelial cells may occur to some extent, but it is not so big that the use of stents is weak.

따라서, 각장기의 협착을 일으킨 원인인 암종등에 의한 협착만을 효과적으로 확장하고 이를 유지 하면 되지만 요관의 경우에는 그 정상세포의 반응정도가 굉장히 심하고 광범위하게 발생함으로 인해 스텐트가 조기 폐색하게 된다. Therefore, only the stenosis caused by carcinoma, which causes the stenosis of each organ, needs to be effectively expanded and maintained. However, in the case of ureters, the stent is prematurely occluded because the reaction rate of the normal cells is very severe and widespread.

본 발명자가 실시한 동물실험에서도 일반적인 스텐트의 경우에는 스텐트가 정상요관세포 과증식에 의해 모두 막혀 버리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In the animal experiment conducted by the present inventors, it was observed that in the case of a general stent, all of the stents were blocked by normal ureter cell hyperproliferation.

따라서, 요관에서는 다른 장기와 같이 암종에 의한 협착뿐아니라 정상요관세포의 심한 과증식을 효과적으로 막아야 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in the ureter, as with other organs, there is a problem that effectively prevents severe overgrowth of normal ureter cells as well as stenosis by carcinoma.

둘째, 스텐트양끝단 주위에서 발생하는 정상요관이 폐색된다는 문제이다. 요관세포의 과증식은 스텐트가 설치되어있는 부위 뿐아니라 스텐트 끝이 정상요관조직과 만나게 되는 스텐트의 원위부와 근위부주위의 정상요관에서도 스텐트의 자극에 의해 현저히 발생할 수 있으며 스텐트의 자극이 심할 수록 그 정도는 더 심하게 발생한다. Second, normal ureters that occur around both ends of the stent are blocked. Hyperproliferation of ureter cells can occur not only in the area where the stent is installed, but also in the distal and proximal ureters where the end of the stent meets normal ureteric tissues by stimulation of the stent. Occurs more severely.

이 부위는 스텐트가 설치되어 있는 범위를 벗어난 부위에서 발생하는 폐색이므로 첫 번째 문제 해결(스텐트 자체의 폐색)을 위한 효과적인 해결방법이 있다고 하여도 이 문제까지 해결해주지는 못한다. Because this area is an occlusion that occurs outside the area where the stent is installed, even if there is an effective solution for the first problem (the occlusion of the stent itself), it does not solve this problem.

이 문제의 원인은 결국 스텐트 끝부위의 자극으로 인한 요관세포의 과증식이므로 스텐트 끝부위의 디자인을 어떻게 하면 스텐트에 의한 정상요관세포로의 자극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할 것인지가 해결의 관건이라 하겠다. The cause of this problem is the overproliferation of ureter cells due to the stimulation of the end of the stent, so how to design the end of the stent to minimize the stimulation of normal ureter cells by the stent is the key to the solution.

셋째는 요관의 연동운동에 의하여 스텐트가 이동한다는 문제점이다. Third, the stent is moved by the peristalsis of the ureter.

요관의 연동운동은 인체의 어느 장기보다 심하여 연동운동으로 인해 정상적으로 스텐트가 설치 되었다 하더라도 연동운동에 의해 스텐트의 위치가 심하게 이동 해버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Peristalsis of the ureter is more severe than any organ of the human body, even if the stent is normally installed due to the peristaltic movement will cause the position of the stent to move badly.

Barbalias GA등이 2002년에 연구한 바에 의하면 16개의 스텐트중 13개가 연 동운동에 의해 이동하는 바람에 연구에 실패하였다고 하였다.In 2002, Barbalias GA et al. Reported that 13 of 16 stents failed to study because they were moved by interlocking motion.

넷째는 스텐트의 경직성에 의해 발생하는 스텐트 끝과 정상요관의 예각형성 및 호흡운동 또는 자세변화에 의한 자극이 일어난다는 점이다. Fourth, stimulation is caused by acute angle formation of the stent tip and normal ureter and stimulation by respiratory movement or posture change caused by the rigidity of the stent.

요관은 아주 얇은 직경의 연약한 관 조직이며 주위에 지지가 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지 않다. The ureter is a very thin diameter soft tubular tissue with no supporting structure around it.

따라서, 만약 스텐트가 굴곡성이 없는 경우에는 스텐트의 직선을 유지하려는 성상에 의해 요관의 양끝부위가 스텐트의 끝과 예각을 이루게 되고 스텐트의 끝이 정상요관을 찌르는 형태의 접촉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것이 정상요관을 심하게 자극하게 되어 요관세포 과증식에 의한 요관의 막힘을 초래하게 된다. Therefore, if the stent is not flexible, both ends of the ureter become acute with the tip of the stent, and the end of the stent pierces the normal ureter by contact to maintain the straight line of the stent. Severe stimulation leads to blockage of the ureters caused by ureter cell hyperproliferation.

그 각도가 더 심한경우에는 스텐트와 요관이 만나는 부위에서 꺽임 현상이 일어나 그 자체만으로도 요관폐색을 일으키게 된다. 특히 이러한 꺽임 형성은 상부요관에서 주로 문제가 되는 데 그 이유는 신장과 근접한 상부요관은 호흡운동 및 환자의 자세변화에 의해 신장과 같이 움직이므로 정상요관의 각이 펴졌다 오무라졌다를 반복하면서 계속적으로 스텐트의 끝단과 마찰을 일으키게 되기 때문이다. If the angle is more severe, bending occurs at the site where the stent and ureter meet, causing ureter blockage by itself. In particular, the formation of this bending is mainly a problem in the upper ureter because the upper ureter close to the kidney moves with the kidney due to respiratory movements and changes in the patient's posture, so that the angle of the normal ureter is expanded and retracted. This causes friction with the tip of the stent.

따라서, 요관용스텐트의 말단부에서의 스텐트의 경직성은 절대 없어야 하며 요관의 곡선에 맞게 설치되어야 하며 환자의 호흡운동이나 자세 변화에 의한 요관의 움직임에 따라 동조하여 움직이는 구조를 가져야 한다. therefore, The stiffness of the stent at the distal end of the ureteral stent should never be, it should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curve of the ureter, and have a structure that moves in synchronization with the ureter movement caused by the patient's breathing or posture change.

이상 설명한 점들이 요관내에 금속스텐트를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는 요소들이며 이중 어느 한가지라도 극복되지 않으면 금속스텐트는 요관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없다. The points described above are factors that prevent the efficient use of the metal stent in the ureter and if none of them are overcome, the metal stent cannot be effectively used in the ureter.

국내 등록특허 제 10-561713호는 초탄성 형상기여 합금을 이용하여 현재 식도 및 위장관의 협착, 혈관의 협착 및 동맥류의 차단 기관, 담관의 협착에 임상적으로 사용되어 오던 가변형스텐트에 과한 구조이나 상기 설명한 요인들에 의하여 요관에는 직접 사용할수 없음이 임상적으로 확인되었다. Korean Patent No. 10-561713 uses a superelastic shape-contributing alloy, which is a structure of the variable stent that has been used clinically for narrowing of the esophagus and gastrointestinal tract, narrowing of blood vessels and blocking of aneurysms, and bile ducts. The factors described clinically confirmed that the ureters could not be used directly.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다음과 같다.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s follows.

첫째, 스텐트 설치부위에서 정상요관세포 과증식에 의한 스텐트 자체의 폐색방지 First, to prevent occlusion of the stent itself by overproliferation of normal ureter cells in the stent site

둘째, 스텐트양끝단 주위에서 발생하는 정상요관의 폐색방지Second, to prevent the occlusion of normal ureter around the end of stent

셋째, 요관의 연동운동에 의한 스텐트의 이동억제Third, the stent movement inhibition by peristalsis of the ureter

끝으로, 스텐트의 경직성에 의해 발생하는 스텐트끝과 정상요관의 예각형성 및 호흡운동 또는 자세변화에 의한 자극 억제Finally, acute angle formation of the stent tip and normal ureter caused by the rigidity of the stent and suppression of stimulation by respiratory movement or posture change

상기 첫째 과제는 상기 등록특허 등의 구조에 포함되어 있는 PTFE 피막이 효과적으로 정상요관세포의 과증식에 의한 스텐트 자체 폐색을 막아주는 효과가 있다. The first problem is that the PTFE coating included in the structure of the registered patent effectively prevents the stent itself from clogging due to overproliferation of normal ureter cells.

삭제delete

삭제delete

그리고, 세번째 과제는 상기 특허문헌 등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는 스텐트자체의 철사(wire)구조가 직접 요관상피세포와 닿게 되고 따라서 상피세포 과형성이 스텐트철사구조를 잡아주는 역할을 하므로써 스텐트의 이동을 억제 하였다. 위 두 과제는 상기 등록 특허의 구조에 의해 해결될 수 있었으나 기 등록 특허는 식도 및 위장관의 협착, 혈관의 협착 및 동맥류의 차단, 기관, 담관의 협착용으로 제작되어 사용되어온 구조로 이 구조가 다른 인체장기와 다른 독특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어 현재 임상에서 스텐트가 사용되지 않고 있는 요관에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지는 연구된 바가 없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이 구조를 실험견에 삽입하여 위의 두 효과를 비피복 스텐트의 효과에 대비 하여 증명하였다 (Cardio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gy, springer, New York. 2008.05.31).
하지만, 두번째 과제인 스텐트양끝단 주위에서 발생하는 정상요관의 폐색 및 네 번째 과제인 스텐트의 경직성에 의해 발생하는 스텐트 끝과 정상요관의 꺽임형성 및 호흡운동 또는 자세변화에 의한 자극의 억지는 본 연구자가 동물실험에 이어 실행한 인체를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상 기존 특허문헌에 기재된 스텐트로서는 극복할 수가 없었다. 이는 실험결과 인체 사이에 신장 및 요관의 구조적 차이가 있다는 점(인체는 직립동물이므로 직립동물이 아닌 실험견에서는 볼 수 없는 체위변화에 의한 신장및 요관의 움직임이 훨씬 크다) 및 스텐트의 자극에 대한 인체요관의 반응이 실험견 요관의 반응보다 더 크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위 두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추가적인 구조변화가 필요하였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극복 할 수 있었다.
In addition, the third problem is that the wire structure of the stent itself, which is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patent document, is directly in contact with the ureteric epithelial cells, and thus, the epithelial cell hyperplasia serves to hold the stent wire structure, thereby suppressing the movement of the stent. It was. The above two problems could be solved by the structure of the registered patent, but the registered patent has been manufactured and used for the narrowing of the esophagus and gastrointestinal tract, narrowing of blood vessels and aneurysms, and narrowing of organs and bile ducts. It has not been studied whether human organs and other unique features can be effectively used for ureters that are not currently used in clinical practice. Therefore, the inventor inserted this structure into the test dog and demonstrated the above two effects in preparation for the effect of the uncoated stent (Cardio vascular and interventional Radiolgy, springer, New York. 2008.05.31).
However, the second task, the occlusion of normal ureters around both ends of the stent, and the fourth task, the stenosis caused by the stiffness of the stent and the ureters, and the suppression of stimulation due to breathing movement or posture change In clinical trials involving humans conducted following animal experiments, the stent described in the existing patent literature could not be overcome. This suggests that there are structural differences in the kidneys and ureters between the human body (the human body is an upright animal, so the movement of the kidneys and ureters is much greater due to the positional changes that are not seen in non-upright animals) and the stent stimulation. It is presumed that the response of the ureter is larger than that of the test dog.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two problems, additional structural changes were necessary and could be overcome by the following method.

제 2번 과제의 문제점과 극복방법Problems and Solutions to Task 2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스텐트의 구조는 양끝단까지 완전히 두겹으로 되어있고 내부에 PTFE피막이 있어 3겹으로 디자인 되어 있으므로 스텐트가 확장하려는 힘이 한겹으로만 되어 있는 일반 스텐트에 비해 훨씬 크므로 스텐트 끝부분이 심하 게 정상적인 요관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structure of the stent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is completely doubled to both ends and is designed in three layers with a PTFE coating inside so that the stent end is much larger than the general stent having only one layer to expand. There is a problem that can severely stimulate normal ureter cells.

게다가,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스텐트의 구조는 제일 바깥 부위에 스텐트의 철사가 위치하게 되어 있고 이 제일 바깥에 위치해 있는 스텐트의 철사부위가 스텐트의 중간부위에서는 요관세포와 맞닿아 엉겨붙음으로 해서 스텐트자체의 이동을 방지해주는 좋은 역할을 하기는 하지만 스텐트의 말단부위에서는 정상요관세포와 직접 맞닿게 되면 부드러운 피막이 정상요관과 닿는 경우보다 훨씬 자극을 많이 가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해 원하지 않는 스텐트 말단 부위 주위의 정상요관에 심한 요관세포 과형성을 일으켜 결국 요관의 폐색을 일으키게 된다는 점이다.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stent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is that the stent's wire is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and the stent itself is intertwined with the ureter cells at the middle part of the stent. Although it plays a good role in preventing the movement of the stent, the direct contact with normal ureter cells at the distal end of the stent can cause much more irritation than if the soft coat is in contact with the normal ureter. It causes severe ureter cell hyperplasia, which eventually leads to occlusion of the ureter.

이와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금속스텐트를 전체적으로 두겹의 스텐트 구조로 하되 각 양끝단으로부터 약 1.5cm 부위까지는 바깥쪽 스텐트를 제거 하여 안쪽 한겹의 스텐트와 바깥쪽 피복으로만 이루어진 구조로 변화시켰고 이렇게 함으로서 두개의 스텐트가 아닌 한개의 스텐트만의 확장력이 정상요관에 전달되어 정상요관에 대한 자극을 줄일 수 있었으며 나아가 이와 같은 구조의 스텐트 전체 구조중 피막부위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스텐트의 자극을 많이 하는 철사부위가 정상요관과 닿지 않고 부드러운 피막이 정상요관과 닿게 되어 자극을 최소화 할 수 있었다(도2 및 도5).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metal stent has a two-stage stent structure as a whole, but the outer stent is removed from each end to about 1.5 cm by changing the inner stent and the outer sheath. The expansion force of only one stent, rather than the stent of the stent, was transmitted to the normal ureter, thereby reducing the stimulation of the normal ureter. Furthermore, as the coating part is located at the outermost part of the entire structure of the stent, the stent stimulates the wire. The site was not in contact with the normal ureter, but the soft film was in contact with the normal ureter, thereby minimizing irritation (Figures 2 and 5).

상기 구조의 다른 장점으로는 요관의 폐색근위부가 확장되어 있는 것과는 달리 폐색원위부는 정상요관의 작은 직경(2-3mm)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 기존의 구조는 단면상 한쪽 벽면이 3겹씩이므로 결국 양쪽 벽면 6겹의 스텐트구조가 작은 정상 요관의 직경을 꽉 채워서 소변이 흐를수 있는 요관의 직경이 현저히 감소하는 단점이 있으며, 너무 작은 직경안에 스텐트가 채워져 있어 스텐트 진입시 사용되는 Olive tip(스텐트 진입시 스텐트진입이 용이하도록 스텐트 보다 먼저 삽입되고 스텐트를 펼친후에 나중에 제거하게 되는 부위)이 걸려서 빠지지 않을수 있다.  Another advantage of the above structure is that the proximal occlusion of the ureter is expanded, whereas the distal obstruction often has a small diameter (2-3 mm) of the normal ureter. As a result, the six-stage stent structure of both walls completely fills the diameter of the small ureter, which significantly reduces the diameter of the ureter through which urine can flow.In addition, the olive tip used when entering the stent is filled with a stent in too small a diameter. When entering the stent is inserted before the stent to facilitate the entry and the stent is unfolded after the stent unfolds later) may not be caught.

따라서, 본 발명 스텐드 구조는 바깥족 스텐트부위를 제거함으로서 부피를 줄여서 소변이 흐르는 공간을 더 확보할 수 있고 시술중 Olive tip의 제거가 용이하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Therefore, the stent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that the urine flow can be further secured by reducing the volume by removing the outer foot stent, and the olive tip can be easily removed during the procedure.

제 4번 과제의 문제점 및 극복방법 Problems and Solutions to Task 4

상기 기존의 등록특허에서의 스텐트는 양끝단에서 피막과 두개의 스텐트를 고정하였는데 이 때 polyurethane으로 접착하는 방식을 취하였다. The stent in the existing registered patent was fixed to the film and the two stents at both ends at this time was taken to adhere with polyurethane.

그러나, 이런 디자인에서는 접착이 이루어진 구조의 양끝단부위의 철사들은 서로 붙어 있게 되어 자유롭게 움직이지 않고 경직성을 가지고 된다. However, in this design, the wires at both ends of the bonded structure are stuck together so that they do not move freely and have rigidity.

그러나, 요관은 아주 얇은 벽을 가지고 있는 관 형태의 기관이며 주위에 지지 되어 있는 구조가 없어 스텐트의 끝부위가 부드럽지 못하고 경직성이 있으면 요관과 스텐트사이에서 요관의 꺽임 현상이 발생하여 요관의 폐색이 발생할 수 있으며, 또 요관과 스텐트사이에 심한 각이 생기게 되면 스텐트의 끝이 정상요관을 찌르는 형태의 접촉을 형성하게 되어 정상요관을 자극하게 되어 요관세포 과형성을 심하게 일으키게 된다.However, the ureter is a tube-shaped organ with a very thin wall, and because there is no structure supported around it, if the end of the stent is not smooth and stiff, ureteral bending occurs between the ureter and the stent. In addition, if a severe angle between the ureter and the stent is generated, the end of the stent forms a contact in the form of stabbing the normal ureters and stimulates the ureters, causing severe ureter cell hyperplasia.

특히 신장과 근접한 상부요관은 호흡운동 및 환자의 자세변화에 의해 신장과 같이 움직이므로 스텐트의 끝과 요관이 만나는 부위에서 각이 퍼졌다 오무라졌다를 반복하면서 계속적으로 스텐트의 끝단과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In particular, the upper ureter close to the kidney moves with the kidney due to respiratory movements and changes in the patient's posture, so that the angle spreads at the end of the stent and the ureter meets and repeats, causing friction with the end of the stent.

이와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의 등록특허의 스텐트에 있어서는 그 양 끝단이 접착되어 구조의 경직성을 유발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접착이 아닌 봉합의 방법으로 스텐트와 피막을 붙이는 디자인을 체택하였으며 구조의 원위부와 근위부 그리고 원위부와 근위부에서 각각 1.5cm 떨어져 있는 부위 (즉 내 외부 스텐트의 끝과 피막이 만나는 4곳)을 봉합사를 이용하여 피막과 스텐트를 봉합하여 스텐트의 마지막 한 마디까지도 최대한 굴곡성을 유지하도록 하여 스텐트의 끝이 정상요관과 예각을 형성하지 않도록 하였으며 상부요관의 호흡운동에 의한 움직임에도 호흡에 따라 스텐트의 끝이 공조하여 움직일수 있도록 하였다. In order to overcome this problem, in the existing patented stents, both ends are bonded to overcome the disadvantage of causing rigidity of the structure. In the distal and proximal parts of the structure, 1.5cm away from each of the distal and proximal parts (ie, four locations where the tip of the inner and outer stents meet and the membrane meet), the suture and the stent are sealed to the end of the stent. The end of the stent did not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normal ureter, and the end of the stent was able to cooperatively move according to the breathing even by the movement of the upper ureter.

또, 중간 부위의 봉합은 각 마디를 각각 봉합하는 형식으로 하였고, 스텐트 양끝단에서의 봉합은 각 마디를 각각 봉합하는 방법 또는 하나의 실로 전체를 둥글게 엮는 형태로 봉합하여 정상요관세포에 자극을 줄 수 있는 매듭의 수를 줄이는 방법을 채택하였다.(도3 및 도4) In addition, the suture of the middle part was made in the form of suture of each node, and the sutures at both ends of the stent were sutured in the form of suture of each node or in the form of a single thread in the form of round weaving to give stimulation to normal ureter cells. A method of reducing the number of possible knots was adopted (FIGS. 3 and 4).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른 장기와 달리, 요관만의 특성으로 인해 발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을 효과적으로 극복하여 요관의 폐색의 방지또는 억지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unlike the other organs, the present invention effectively overcomes various problems cau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eter alone, and thus has an excellent effect that can be usefully used for preventing or inhibiting the occlusion of the ureter.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 실험예 또는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the following experimental examples or examples.

삭제delete

동물실험:
본 발명자는 30 ~ 40kg중의 7마리의 개(mongrel dog)에게 14개의 금속제 스텐트를 사용하여 하기와 같은 계획으로 실험하였다(표1).
Animal testing:
The present inventors experimented with the following scheme using 14 metal stents in 7 dogs (mongrel dog) of 30 ~ 40kg (Table 1).

6마리의 개의 우측요관에는 피복이 없는 스텐트(non-couered stent), 좌측요관에는 PTFE피복을 씌운 스텐트(covered stent)를 삽입하여 요관상피세포의 과증식에 의해 요관이 폐색되는 정도를 확인하였고 요관폐색의 정도를 병리 조직학 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실험견을 추적검사후 희생시키기 전에는 X 선 검사를 시행하여 최초 삽입한 스텐트의 이동이 발생하였는지를 확인하였다. Six dogs had a non-couered stent in the right ureter, and a covered stent in the left ureter was inserted to confirm the degree of ureter occlusion due to overproliferation of ureteric epithelial cells. The degree of was compared histopathologically. Before sacrifice of the test dogs, X-ray examination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movement of the first inserted stent.

스텐트의 삽입은 개의 복부를 개복하여 하부 요관을 박리하여 일부를 절개하여 시행되었고, 이 절개부위를 통해 스텐트삽입 기구를 삽입하였고 x-ray유도 하에 실험견의 중간부 요관에 설치하였다. Stent insertion was performed by opening the dog's abdomen, removing the lower ureter, and cutting a portion. A stent insertion device was inserted through the incision and placed in the middle ureter of the test dog under x-ray induction.

6마리의 개는 제5, 제10, 제15주에 각각 두 마리씩 희생시켜 병리 조직소견을 었었다. 7번째 개는 양쪽 요관에 모두 피복스텐트를 삽입하여 30주까지 생존시켜 병리조직소견을 분석하였다. Six dogs were sacrificed at the 5th, 10th, and 15th week for pathologic findings. The seventh dog survived for 30 weeks by inserting a coated stent into both ureters.

Figure 112008082446590-pat00001
실험결과, 본 발명의 동물실험에서 비피복 스텐트들은 전실험예에서 요관세포의 과성장에 의해 스텐트내부가 막혔으나, PTFE 피복스텐트에서는 추적기간에 관계없이 전실험예에서 스텐트의 폐색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었다.
Figure 112008082446590-pat00001
As a result, in the animal exper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covered stents were blocked inside the stent due to overgrowth of the ureter cells in the previous experiment, but in the PTFE coated stent, the occlusion of the stent was prevented in the previous experiment regardless of the follow-up period. There was.

실험견을 희생시킨후에 병리조직학적으로 협착정도를 측정하였고, 요관의 협착율을 보면 5주째 비피복스텐트를 삽입한 두 마리의 실험견에서 각각 79.8%와 77.7%로 평균 78.8%이었는데 반해 피복스텐트의 경우에는 각각 38.55%와 35.3%로서 평균 36.9%에 불과하였다.After sacrifice, the stenosis was measured pathologically. The stenosis rate of the ureters was 79.8% and 77.7% for the two dogs inserted with an uncoated stent at week 5, respectively, on average 78.8%. In the case of 38.55% and 35.3%, the average was only 36.9%.

10주째 비피복스텐트에 대한 요관협착율은 82.0%와 78.6%로 평균 80.3%가 좁아졌음에 반하여 피복스텐트를 삽입한 개의 요관의 협착율은 38.4%와 44.4% 좁아져 평균 41.4%가 좁아졌다.(도7 및 도8)At 10 weeks, the ureter stenosis rate for uncoated stents was 82.0% and 78.6%, an average of 80.3%, whereas the stenosis rate of dogs with a coated stent narrowed to 38.4% and 44.4%, an average of 41.4%. 7 and 8)

15주째에는 종래의 비피복스텐트의 협착율 각각 72.0%와 76.5%로 평균 74.3%좁아졌으며 피복스텐트에서는 각각 40.4%, 45.7%로 평균 43.1%였다.At week 15, the average stenosis of the uncovered stents was 72.0% and 76.5%, respectively, narrowing by 74.3%, and the average of 43.1%, 40.4% and 45.7%, respectively.

30주째 희생한 실험견은 양측모두 피복형스텐트를 삽입하였고 양측 각각 30.4%와 37.0%좁아져 있었다.(도7 및 도8)
실험기간중 시행한 추적검사상 실험에 사용하였던 8개의 피복형 스텐트는 모두 최초 삽입한 위치에서 이동 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자가 실시한 실험결과 비피복스텐트에서는 스텐트가 폐색된 반면에 피복스텐트는 요관에서 발생하는 심한 요관세포 과형성을 효과적으로 막아 스텐트의 협착을 방지 하였으며 요관의 연동운동에 의한 스텐트의 이동도 발생하지 않았다.
At 30 weeks, the test dog was inserted both sides of the coated stent and narrowed by 30.4% and 37.0%, respectively (Figs. 7 and 8).
During the follow-up period, all eight coated stents used in the experiment did not move from the initial insertion position.
Therefore,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conducted by the inventors, while the stent was blocked in the uncoated stent, the coated stent effectively prevented severe ureter cell hyperplasia occurring in the ureter and prevented the stenosis and also caused the movement of the stent by the ureter's peristaltic movement. Did.

삭제delete

삭제delete

임상비교실험 예 1; 요관의 움직임이 있는 협착된 상부요관의 개통 실험Clinical comparison example 1; Opening experiment of the narrowed upper ureter with ureter movement

60세 여자환자로 위암전이에 의한 요관협착으로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기존의 스텐트를 삽입한 증례로 기존의 스텐트를 삽입한 후 찍은 조영제 주입사진에서 상기 기존스텐트의 말단부위의 경직성과 과도한 팽창력으로 인해 스텐트와 요관사이의 꺽임 현상이 발생하였다(도9a). A case of a 60-year-old female patient with a ureteral stenosis caused by gastric cancer metastasis, which is a case of inserting an existing stent disclosed in the patent document. A break between the stent and the ureters occurred (FIG. 9A).

이 현상은 특히 환자가 서있는 상태 즉 신장과 상부요관이 아래로 떨어지려는 상태나 환자가 들어마시는 호흡을 하는상태(이때, 신장이 밑으로 내려가게 된다)에서 더 심하게 일어나게 되어 꺽임자체로 요관의 폐색이 일어날 수있으며, 환자의 호흡에 따라 스텐트와 요관이 계속적으로 마찰을 하게 되어 자극이 계속적으로 정상요관세포에 전달되게 되어 요관세포 과다증식을 일으키게 되며 이 환자의 경우에도 스텐트의 설치는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으나 스텐트 말단부 경직성 및 과도한 팽창력에 의한 꺽임 현상과 그와 동반된 요관세포 증식에 의해 요관이 조기 폐색되어 결국 스텐트의 기능이 상실되었다(도9b). This phenomenon is particularly severe when the patient is standing, that is, when the kidneys and upper ureters are falling down, or when the patient is breathing (the kidneys are lowered down). This can happen, and the stent and ureter continue to rub against the patient's breath, causing stimulation to be delivered to normal ureter cells, leading to over-proliferation of ureter cells. However, the ureter was prematurely occluded due to stiffening of the distal end of the stent and excessive swelling and associated ureter cell proliferation, resulting in the loss of the function of the stent (FIG. 9B).

9a는 시술직후 촬영한 사진으로 스텐트의 위쪽 끝부위에서 요관의 꺽임 현상이 심하게 발생하였으며, 9b는 시술후 15일 후에 찍은 사진으로 스텐트 근위부 상방정상부위 요관에 폐색의 소견이 관찰되고 있다(화살표참조). 요관 꺽임현상과 과 도한 스텐트팽창력에 의한 자극으로 인해 요관세포의 과증식이 심하게 발생되었기 때문이다. 9a is a photograph taken immediately after the procedure. The ureter was severely broken at the upper end of the stent. 9b was taken 15 days after the procedure. Obstruction was observed in the upper lateral ureter of the proximal stent (see arrow). ). This is because ureter breakage and excessive stent dilatation caused severe proliferation of ureter cells.

따라서 기존의 스텐트로 요관의 개통을 유지하는데 실패하였다. Therefore, the existing stent failed to maintain the opening of the ureter.

한편, 본 발명의 스텐트 시술의 성공예로서 상부요관폐색이 있었던 71세의 암환자에서 본 발명의 스텐트를 삽입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시술직후 촬영한 사진도와 같이(도10a) 상부요관의 꺽임 현상이 없이 정상 요관에 잘 적응되어 있는 모습을 보였으며(도10a), 이 환자의 경우에는 시술 후 7개월이 지난 현재 까지 스텐트의 개통이 잘 유지되어 증상없이 지내고 있으며 시술후 6개월에 시행한 경정맥 신우조영술상 스텐트시술이 시행된 우측신장에 수신증의 소견이 없으며(도10b) 이 전예와는 달리 스텐트 근위부 주위 요관에 요관세포 과형성 소견이 거의 보이지 않고 폐색소견이 없이 요관의 개통성이 유지되어 있는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 On the other hand, as a successful example of the stent treat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periment in which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nserted in a 71-year-old cancer patient with upper ureter occlusion was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as shown in the photograph taken immediately after the procedure (Fig. 10a), the ureter was well adapted to the normal ureter without bending of the upper ureter (Fig. 10a). The stent patency was well maintained and maintained without any symptoms. There was no evidence of hydronephrosis in the right kidney where the stent procedure was performed on jugular vein angiography performed 6 months after the procedure (Fig. 10b). Almost no cell hyperplasia and no obstructive findings maintained the patency of the ureter.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임상비교실험 예 2; 요관의 움직임이 없는 중부 및 하부요관의 개통 실험Clinical comparison example 2; Opening test of middle and lower ureters without ureter movement

49세 여자환자로 대장암의 재발에 의해 중부요관의 폐색이 발생하여 기존의 스텐트를 삽입하였던 증례로 시술 3개월후 시행한 경정맥 신우조영술상 스텐트의 근위부의 정상요관이 폐색되어 있는 소견을 관찰할 수 있었다. A 49-year-old fe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obstruction of the central ureter due to recurrence of colorectal cancer, and we observed the normal ureter of the proximal stent of the stent on the intravenous neoplasia performed three months after the procedure. Could.

하부요관의 경우에는 호흡운동이나 자세 변화에 의한 움직임이 없는 곳으로서 스텐트의 꺽임 현상이 주원인이라기 보다는 스텐트의 근위부의 과다한 자극에 의해 요관세포 증식이 요관폐색의 원인인 것으로 추정되며 발명번호 스텐트가 2겹의 스텐트로 이루어져 있어 요관을 확장하려는 힘이 일반 스텐트보다 강하며, 가장 바깥쪽의 스텐트의 철사부위가 직접 요관세포에 닿게 됨으로서 자극을 극대화함으로서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In the case of the lower ureter, the ureter cell proliferation is presumed to be the cause of ureter obstruction due to excessive stimulation of the proximal part of the stent, rather than the main cause of the stent bending. It is composed of layers of stents, and the force to expand the ureter is stronger than that of the general stent, and it was judged that the wire part of the outermost stent directly touches the ureter cells, thereby maximizing the stimulation.

시술후 3개월에 시행한 경정맥신우조영술상 스텐트가 삽입되어 있는 우측 신장의 신우 및 요관이 정상인 좌측 신장에 비해 심하게 확장 되어 있는 것이 보여 소변이 원활히 스텐트를 통해 방광으로 들어 가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며 스텐트의 근위부 직상방의 요관이 심하게 좁아져 있는 소견이 관찰되고 있다(도11, 화살표참조).The jugular vein angiography performed three months after the procedure showed that the right renal and ureters of the right kidney where the stent was inserted were significantly enlarged compared to the normal left kidney, indicating that urine did not smoothly enter the bladder through the stent. Severe narrowing of the ureters directly above the proximal part of the stent has been observed (see FIG. 11, arrows).

이 부위가 스텐트의 말단부의 자극에 의한 요관세포 과다증식부위로 판단되며 폐색의 원인이었다. 참고로 스텐트의 원위부에는 요관세포의 과다형성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스텐트의 원위부는 요관세포에 직접자극을 안주기 위해 방광안 까지 삽입하여 스텐트의 원위부 끝은 방광안에 떠 있는 형태가 되도록 삽입 하였기 때문이다. This site was considered to be the ureter cell hyperproliferation site caused by stimula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stent and was the cause of occlusion. For reference, there was no ureter cell hyperplasia in the distal part of the stent, because the distal part of the stent was inserted into the bladder to prevent direct stimulation of the ureter cell, so that the distal end of the stent was inserted into the bladder. Because.

결국, 도11에 따르면 기존 스텐트로 시술후 3개월에 찍은 경정맥 신우조영술 소견으로 신장의 신우 및 요관이 정상인 좌측 신장에 비해 심하게 확장 되어 있는 것이 보이며 스텐트의 근위부 직상방의 요관이 심하게 좁아져 있는 소견이 보이고 있다.As a result, according to FIG. 11, jugular vein angiography findings taken three months after the procedure with the existing stent showed that the renal pelvis and ureters were significantly enlarged compared to the normal left kidney, and the ureters in the proximal part of the stent were narrowly narrowed. It is showing.

한편, 본 발명 피복스텐트의 적용예로서 신경내분비암의 전이에 의해 좌측신장의 수신증이 발생된 49세의 남자환자에 대하여(도12a) 본 발명의 스텐트를 삽입한 증예로서 스텐트 말단부위의 팽창력을 최소화 하기 위해 기존의 스텐트의 구조 중 말단부부터 각 1.5cm은 바깥쪽 스텐트를 제거 하여 스텐트 한겹의 팽창력만이 요관세포에 전달되도록 했으며, 또 이렇게 함으로서 자극을 많이 유발하는 스텐트의 철사부위가 직접 요관세포에 닿지 않고 부드러운 피막이 요관세포에 닿도록 하여 스텐트의 과다자극을 최소화 할 목적으로 시술하였던 바, 스텐트 설치 후 9개월에 경정맥 신우조영술상 스텐트 근위부의 폐색이 발생되지 않았으며(도12b), 본 발명 스텐트 시술 11개월인 현재까지 스텐트 재개통을 위한 어떤 이차적인 시술도 하지 않았으며 요관재폐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어떤 증상도 호소하지 않고 있다. On the other hand, as an application example of the coated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49-year-old male patient whose left kidney was developed due to metastasis of neuroendocrine cancer (Fig. 12a) was a case in which the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inserted. In order to minimize the stent, each 1.5cm from the distal end of the structure of the stent removed the outer stent to ensure that only one layer of swelling force is transferred to the ureter cells, and by doing so, the wire part of the stent that causes a lot of stimulation is directly ureter cells In order to minimize the over-stimulation of the stent by allowing the soft film to contact the ureter cells without touching the bar, 9 months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stent, the occlusion of the proximal stent did not occur in jugular vein angiography (Figure 12b). To date, 11 months after the stent operation, no secondary procedure has been performed to reopen the stent. It does not appeal to any symptoms that may be caused by.

도12a는 시술전 신경내분비세포암의 전이에 의해 좌측 중하부 요관이 완전폐색을 보이며 소변의 원활한 배출이 되지 않아 신우가 부풀어 올라있는 모습을 보이며, 도12b는 본 발명 스텐트 설치후 9개월 경정맥 신우조영술상 기존의 스텐트와는 달리 신우가 부풀어 오르지 않고 반대측 정상신장과 같은 모양을 보이고 있으며 시술 11개월인 현재까지 요관재폐색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어떤 증상도 호소하지 않 고 있음을 보인다. Figure 12a shows the left middle lower ureter completely obstructed by the metastasis of neuroendocrine cell carcinoma before the procedure and the kidney is swollen due to the smooth discharge of urine, Figure 12b is a 9-month jugular vein after the stent instal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nlike conventional stents, the renal pelvis does not swell and show the same shape as the normal kidney on the contrary, and does not complain of any symptoms that may be caused by ureteral occlusion up to 11 months after the procedure.

인체내 요관외 다른 장기의 협착에서 금속스텐트가 효과적으로 환자의 증상 개선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요관에서는 협착부위를 효과적이면서 지속적으로 치료할 만한 방법 또는 스텐트가 없어 수 많은 환자들이 고통과 불편함을 호소하며 지낼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본 발명 피복스텐트의 구조는 요관에서 다른 장기와 같이 그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요관폐색환자의 치료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므로 의료기구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Whereas metal stents are used to effectively improve patients' symptoms and improve quality of life in stenosis of organs other than the ureters in the human body, many patients suffer from the lack of effective and continuous treatment or stents in the ureters. The structure of the coating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ituation that is compelled to complain and discomfort can play a role like other organs in the ureter and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treatment of ureter obstruction patients is a very useful invention in the medical device industry.

도 1은 요관세포의 과현성을 보여주는 병리조직사진이다. 요관이 외부작을 받아 요관세포 과형성이 발생하였고 내부를 가득 채워 남아 있는 내강이 거의 없다.1 is a pathological picture showing the phenomena of ureter cells. The ureters received an external operation, causing ureter cell hyperplasia, and almost no lumen that remained inside.

도 2는 본 발명 피복스텐트의 가장 바람직한 구조의 단면도이다. 중간 부위는 두겹의 스텐트사이에 PTFE재질의 피막을 삽입하였으며, 양쪽 끝으로부터 1.5㎝는 바깥쪽의 스텐트를 제거하여 안쪽 한겹의 스텐트와 바깥쪽 피막의 구조를 되어있다.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ost preferred structure of the coating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iddle part, PTFE coating was inserted between two layers of stents, and 1.5cm from both ends removed the outer stent to form the inner one and the outer one.

도 3 및 도 4는 스텐트이 봉합 위치와 봉합방법을 보여주는 그림이다. 3 and 4 are views showing the position of the stent and the method of closure.

바깥쪽 스텐트의 끝과 피막이 만나는 곳은 각각 스텐트의 마디와 피막을 한 바늘씩 봉합하여 부착하였고 안쪽 스텐트의 끝과 피막이 만나는 부위인 구조전체의 말단부위는 각 마디를 각각 봉합하는 방법(도3) 또는 하나의 실로 전체를 둥글게 엮는 형태로 봉합하여 매듭의수를 줄이는 형태(도4)를 취하였다.Where the tip of the outer stent and the film meet each other, the stitches and the film of the stent are stitched together by one needle, and the ends of the entire structure, which is the site where the tip of the inner stent meets the film, are stitched separately (Fig. 3). Or take the form of reducing the number of knots by suture in the form of weaving the whole round with a single thread (Fig. 4).

도 5는 본 발명 피복스텐트의 가장 바람직한 구조를 보인 실물 사진도이다.5 is a real photograph showing the most preferable structure of the coating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개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우측요관에는 피복이 없는 비피복스텐트(non covered)를 좌측요관에는 PTFE피막을 입힌 피복스텐트(covered)를 삽입한 x-ray 사진도이다.FIG. 6 is an x-ray photograph of a non-coated stent without a covering in the right ureter and a PTFE-coated covered stent in the left ureter in an animal experiment using a dog.

도 7a는 10주째 희생시킨 실험견의 우측요관에 있던 비피복형 스텐트의 육안소견(a)과, 도 7b는 15주째 히생시킨 실험견의 비피복형 스텐트의 병리조직소견(b)으로 내부가 요관세포과형성에 의해 거의 완전히 폐색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7A is a macroscopic finding (a) of an uncoated stent in the right ureter of a test dog sacrificed at 10 weeks, and FIG. 7B is a pathological finding of an uncoated stent of a test dog at 15 weeks. The ureter cell hyperplasia is almost completely occluded.

도 8a는 10주째 희생시킨 실험견의 좌측요관에 있던 본 발명 피복 스텐트의 육안소견과 도 8b는 15주째 히생시킨 실험견의 본 발명 피복 스텐트의 병리조직수견으로 내부가 요관세포 과형성으로부터 보호되어 내강이 유지되어 잇다는 것을 육안적, 병리조직학적으로 확인 할 수 있다. 8A is a macroscopic finding of the coated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left ureter of a test dog sacrificed at 10 weeks, and FIG. 8B is a pathology of the coated s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15-week sacrificed test dog. It can be confirmed grossly and pathologically that it is maintained.

도 9a는 기존스텐트로 시술직후 촬영한 사진도로 스텐트 위쪽 끝부위에서 요관의 꺽임현상이 심한 것을 보이고 도 9b는 시술후 15일에 직은 사진으로 스텐트 근위부 상방 정상부위 요관에 폐색을 보인것이다.Figure 9a is a photograph taken immediately after the procedure with a conventional stent rupture of the ureter at the upper end of the stent is severe, Figure 9b is a photograph of the right side of the proximal stent stenosis in the proximal upper stent on the 15th postoperative procedure.

도 10a는 시술 직후 찍은 사진으로 상부요관의 꺽임없이 정상 요관에 잘 적응되어 있는 모습을 보인다. 도 10b는 시술후 6개월에 시행한 경정맥 신우조영술사진으로 스텐트시술이 시행된 우측신장에 수신증의 소견이 없으며 폐색소견이 없이 요관의 개통성이 유지되어 있다. 환자는 시술 후 7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스텐트의 개통이 잘 유지되어 증상없이 지내고 있다.Figure 10a is a photograph taken immediately after the procedure shows a state that is well adapted to the normal ureter without bending the upper ureter. Fig. 10B is a jugular vein renal angiogram performed 6 months after the procedure. There is no sign of hydronephrosis in the right kidney, which is performed by stent surgery, and the patency of the ureter is maintained without occlusion findings. The patient has been without symptoms because the stent has been well maintained until seven months after the procedure.

도 11은 기존 스텐트로 시술하여 3개월 후 촬영한 경정맥 신우조영술 소견으로 스텐트 근위부 직상방의 요관이 폐색된 모습의 사진도이다. 11 is a photographic view of the ureter occlusion immediately above the stent with jugular vein neoplasia findings taken three months after the operation with the existing stent.

도 12a는 시술전 중하부 촤측 요관이 완전 폐색된 소견을 보인 사진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 피복스텐트로 시술 9개월 후, 경정맥 신우조영술상 스텐트 근위부의 폐색의 발생이 없고 정상 신장과 같은 모양을 보인 사진도이다. 12A is a photograph showing the complete occlusion of the mid-lower left ureter before the procedure. FIG. 12B is a normal kidney-like appearance without occlusion of the proximal stent on the jugular neoplasia after 9 months. It is a photograph showing.

Claims (6)

삭제delete 삭제delete 금속스텐트에 피복을 씌우거나 두 개의 금속스텐트 사이에 피복을 삽입하여 요관의 개통을 위해 사용하는 요관용피복 스텐트에 있어서,In the ureter coating stent that is used for opening the ureter by covering the metal stent or inserting the coating between the two metal stents, 상기 금속스텐트의 끝단까지 경직성이 발생하지 않고 굴곡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접착이 아닌 봉합을 통하여 부착하고,It is attached through the suture rather than adhesive to maintain the flexibility without the rigidity to the end of the metal stent, 상기 금속스텐트의 중간부분은 두겹의 스텐트와 내부의 피복으로 양쪽끝 일부분은 바깥쪽 스텐트를 제거하여 안쪽스텐트와 바깥쪽의 피복으로만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요관용 피복 스텐트.The middle portion of the metal stent is a two-layer stent and the inner coating portion of both ends of the ureter coating stent,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only the inner and outer coating to remove the outer stent. 청구항 3에 있어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3, 상기 금속스텐트의 내부스텐트의 끝과 피막이 만나는 전체구조의 양끝단에서 피막과 각 스텐트 마디 각각을 따로 따로 봉합하거나 또는 하나의 실로 전체를 둥글게 엮는 형태로 봉합하여 고정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요관용 피복 스텐트. A ureter-covered stent, characterized in that each end of the entire structure where the end of the inner stent and the film of the metal stent and the film and each of the stent nodes separately sewn or sutured and fixed in the form of round weaving with a single thread.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80119976A 2008-09-19 2008-11-28 Metal stent for ureter Expired - Fee Related KR10098334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09/005015 WO2010032931A2 (en) 2008-09-19 2009-09-04 Metal stent for the uret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92191 2008-09-19
KR1020080092191 2008-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327A KR20100033327A (en) 2010-03-29
KR100983348B1 true KR100983348B1 (en) 2010-09-20

Family

ID=42182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9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3348B1 (en) 2008-09-19 2008-11-28 Metal stent for ure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34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29484A (en) * 2022-08-09 2022-12-06 上海玮琅医疗科技有限公司 Braided superior vena cava tectorial membrane sten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2428A (en) * 1992-10-13 1996-03-19 ボストン・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コーポレイション Stent for body lumen showing peristaltic motion
JPH0910318A (en) * 1995-04-01 1997-01-14 Variomed Ag Stent for transluminal insertion to hollow organ
KR20050091040A (en) * 2002-12-30 2005-09-14 안지오테크 인터내셔날 아게 Silk-containing stent graf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02428A (en) * 1992-10-13 1996-03-19 ボストン・サイエンティフィック・コーポレイション Stent for body lumen showing peristaltic motion
JPH0910318A (en) * 1995-04-01 1997-01-14 Variomed Ag Stent for transluminal insertion to hollow organ
KR20050091040A (en) * 2002-12-30 2005-09-14 안지오테크 인터내셔날 아게 Silk-containing stent graf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327A (en)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01647B2 (en) Use of a gastrointestinal sleeve to treat bariatric surgery fistulas and leaks
AU2004305450B2 (en) Intestinal sleeve
CN106255467B (en) anastomotic device
EP1569582B1 (en) Bariatric sleeve
JP4234588B2 (en) Prosthesis with sleeve valve
US9539127B2 (en) Ureteral endoluminal abrasion device
US20020032487A1 (en) Prosthesis having a sleeve valve
AU2002324563A1 (en) Prosthesis having a sleeve valve
EP2112912A1 (en) Prosthesis having a sleeve valve
US20130173016A1 (en) Ureteral stent
EP1843719A1 (en) Prosthesis having a sleeve valve
CN202554170U (en) Covered stent for minimally invasive interventional therapy for lesion of descending part of aortic arch of patient
JP2005312896A (en) Kidney curl stent
CN115461097A (en) Medical systems,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20230087452A1 (en) Devices and methods for attaching non-connected anatomical structures
EP4281019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duodenal exclusion and stomach capacity reduction
KR100983348B1 (en) Metal stent for ureter
CN108635092B (en) Stomach divertor and alimentary canal support thereof
WO2010032931A2 (en) Metal stent for the ureter
US20240065868A1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implantable medical devices
JP2025506021A (e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FOR ENGAGEABLE STENTS - Patent applic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8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2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11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3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811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1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1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6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