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2612B1 -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612B1
KR100982612B1 KR1020090084898A KR20090084898A KR100982612B1 KR 100982612 B1 KR100982612 B1 KR 100982612B1 KR 1020090084898 A KR1020090084898 A KR 1020090084898A KR 20090084898 A KR20090084898 A KR 20090084898A KR 100982612 B1 KR100982612 B1 KR 100982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hemical liquid
flow path
gate chamber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8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효남
Original Assignee
박효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효남 filed Critical 박효남
Priority to KR10200900848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612B1/ko
Priority to PCT/KR2010/006064 priority patent/WO2011031052A2/ko
Priority to EP10815597.9A priority patent/EP2476454A4/en
Priority to CN2010800367218A priority patent/CN102470238A/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04Flow controllers
    • A61M5/16813Flow controllers by controlling the degree of opening of the flow l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8Means for controlling media flow to the body or for metering media to the body, e.g. drip meters, counters ; Monitoring media flow to the body
    • A61M5/16877Adjusting flow; Devices for setting a flow rate
    • A61M5/16881Regulating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정밀약액 주입량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절장치는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시작지점부터 끝지점까지 깊이가 다르게 설정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몸체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3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및 상기 제3몸체의 중앙에는 제1중앙홀이 형성되는 조절노브,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2몸체가 삽입되어 둘러싸이며, 벽면 일측에 상기 유로로 약액을 투입하는 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홀의 반대측 벽면에 상기 유로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유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단차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과 직접 맞닿으며 상기 배출홀까지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의 회전에 따른 유로의 회전에 의해 약액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관통홀로 배출되며, 상기 단차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중앙홀에 대응되는 제2중앙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게이트실 및 상기 게이트실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1중앙홀과 상기 제2중앙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노브 및 상기 게이트실을 결합시키는 돌출기둥이 형성되고, 벽면에 상기 투입홀로 약액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배출홀에 대응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벽면에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바디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Apparatus for minutely regulating liquid medicine}
본 발명은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약액이 안정적이고 정확하게 환자에게 주입되도록 미세 조절이 가능한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 입원한 환자 또는 소화기능이 저하된 병약자들에게는, 흔히 수액이라 불리는 영양제, 포도당 등의 약물 등이 투여된다. 이때, 수액은 병원 등의 장소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약액조절장치를 통하여 환자에게 주입되는데, 약액조절장치는 링거병 또는 팩에 연결된 호스의 끝단과, 환자의 혈관에 삽입되는 주사바늘을 연결하여 링거병 또는 팩에 담긴 약액이 환자의 혈관으로 투여되는 양을 조절한다.
현재 의료기관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링거장치는 중력을 이용한 방식으로 수액이 들어있는 팩이나 병을 주사 위치보다 높게 들어올려 위치에너지를 확보하고 그 압력차를 이용하여 주사하는 방식으로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
첫째, 주사바늘과 연결되는 호스를 약액조절장치 내측에 수용되도록 설치하고, 경사진 홈 내에서 유동하는 가압롤러를 움직여 호스를 누름으로써 호스의 유동 단면을 변화시켜 호스의 단면적이 축소 또는 확대되도록 함으로써 약액의 유양이 조절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제작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연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고무재로 이루어지는 호스의 복원력에 의해 호스를 가압하는 가압롤러가 원래의 가압위치에서 서서히 변동되어 호스의 단면적이 확장됨에 따라 약액이 과다하게 투여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에 따라 환자에게 위급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 약액의 유량의 오차범위가 크며 정확한 미세조절을 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에 때문에 보호자나 간호사가 매우 세심하게 관찰하여야 하며, 연속해서 약액이 투여되는 경우에는 링거병(또는 팩) 교환 시 약액의 주입량을 재차 조정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전과 동일하게 주입량을 설정하기 어려운 문제점도 있다.
둘째, 약액조절장치의 유량조절밸브 내에 미세 유로를 구성하여 유체의 유동저항을 이용하여 약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방식으로 상기 첫번째 방식에 비해 비교적 정확한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두번째 방식은 첫번째 방식에 비하여 그 정밀도는 향상되었으나, 부분적으로 사용상의 불편요소와 안전상의 미비점이 발견된다.
즉, 사용자가 유량조절을 위해서 조작밸브를 조작할 때, 사용자의 손에 의해 회전하는 조작밸브와 유로를 회전시키는 유량조절밸브가 직접 연결되어 있어 정지상태에서 조작밸브를 회전시킬 경우, 정지마찰력 이상의 힘을 주어야 하기 때문에 세밀한 눈금 조절이 어렵다. 또한, 조작밸브를 조작시 사용자의 회전력이 비교적 크게 요구된다. 그리고, 호스에 존재할 수 있는 공기를 빼기위한 기능이 조작밸브를 완전히 끝까지 회전시켜야 하므로 불편하며, 필요한 유량의 설정 후에도 실수로 조작밸브가 회전하여 유량이 달라질 수 있는 등 의료사고의 문제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약액조절장치의 구성부품의 수가 많고 복잡하여 잔 고장이 자주 발생하고 단가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약액이 안정적이면서도 정확하게 미세조절되어 환자에게 주입될 수 있으며, 구성부품의 수를 줄여 제작이 용이하고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는 조절노브, 게이트실 및 바디를 구비한다.
조절노브는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시작지점부터 끝지점까지 깊이가 다르게 설정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몸체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3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및 상기 제3몸체의 중앙에는 제1중앙홀이 형성된다.
게이트실은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3몸체가 삽입되어 둘러싸이며, 벽면 일측에 상기 유로로 약액을 투입하는 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홀의 반대측 벽면에 상기 유로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유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단차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과 직접 맞닿으며 상기 배출홀까지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의 회전에 따른 유로의 회전에 의해 약액 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관통홀로 배출되며, 상기 단차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중앙홀에 대응되는 제2중앙홀이 형성되며 원통형상이다.
바디는 상기 게이트실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1중앙홀과 상기 제2중앙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노브 및 상기 게이트실을 결합시키는 돌출기둥이 형성되고, 벽면에 상기 투입홀로 약액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배출홀에 대응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벽면에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노브의 제1몸체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유로는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로 형성되고, 시작지점부터 시작해서 상기 끝지점까지 진행하면서 점점 그 깊이가 깊어지는 제1부분 및 상기 제1부분의 폭보다 크고 깊이가 깊으며, 상기 제1부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퍼지부분을 구비한다.
상기 조절노브의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측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제1회전기어부 및 상기 제1회전기어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기어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측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면에 약액의 양을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되는 제2회전기어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회전기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게이트실의 벽면의 상측면과 맞닿는 부분을 압박하여 약액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기어부의 바닥면의 상기 제1돌기부 외측이면서 상기 퍼지부분의 반대쪽에 는, 상기 바디의 상기 삽입부의 외측벽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상기 제2몸체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가 돌출된다.
상기 정지부의 바닥면 일측에는 퍼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바디의 외측벽면의 상기 투입구 상측에는 상기 정지부가 걸려서 상기 제2몸체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정지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정지돌기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상기 바디의 외측벽면에는 상기 퍼지홈에 체결되는 퍼지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약액의 양이 최대로 배출되는 퍼지상태임을 인지시키고, 상기 정지부가 정지돌기에 걸리는 순간에 상기 퍼지돌기가 상기 퍼지홈에 걸린다.
상기 제3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게이트실의 단차부와 맞닿는 부분을 압박하여 약액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중앙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3몸체의 내측벽면에는 상기 돌출기둥과 결합하기 위하여 끝단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기둥들이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측으로 연장형성 된다.
상기 게이트실의 상기 단차부는, 상기 게이트실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1단차와, 상기 제1단차 하부로 상기 제1단차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3몸체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2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차의 직경은 상기 제1단차의 직경보다 작다.
상기 제1단차의 상면에는 상기 제1단차의 상면의 다른부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과 직접 맞닿으며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돌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을 제외한 상기 제1단차의 상면의 다른부분과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 사이는 공간이 형성되어 약액이 차며, 상기 관통홀은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배출홀과 연결된다.
상기 게이트실의 바닥면은, 상기 제2중앙홀을 둘러싸는 주변부가 상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주변부에서 상기 바닥면 외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된다.
상기 바디의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게이트실의 바닥면의 고정홈에 삽입결합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돌출기둥을 둘러싸며 상기 게이트실의 바닥면의 주변부를 압박하여 상기 게이트실을 고정시키는 제3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회전기어부의 측면 톱니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노브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는, 상기 톱니에 삽입되는 스토퍼손잡이와 상기 스토퍼손잡이 하측으로 형성되는 착탈부를 구비하는 상부본체 및 상기 파지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착탈부가 압박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안착홈부를 구비한다.
상기 게이트실의 상기 단차부는, 상기 게이트실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1단차와, 상기 제1단차 하부로 상기 제1단차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3몸체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2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차의 직경은 상기 제1단차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단차의 상면에는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의 상기 유로에 대응되며 상기 약액이 차는 유로홈이 상기 제1단차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유로홈의 시작지점과 끝지점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져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차의 상면과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이 직접 맣닿으면서 상기 유로홈과 유로에 차있는 약액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유로홈은 상기 투입홀과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은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배출홀과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는,
첫째로, 기존의 제품들은 투입구를 유로에 매칭시켜 투입되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 입구조절방식으로서, 약액이 투입된 후 배출될 때까지 유로의 전체길이가 길기 때문에, 약액의 입장에서는 그만큼 저항이 크므로 약액의 미세조절이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절장치는 배출홀과 연결되는 돌출면의 관통홀이 유로 표면을 이동하면서 배출되는 약액의 양을 직접조절하는 출구조절방식을 취함으로써, 약액의 입장에서 저항이 매우 적게되어 미세량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둘째로, 유로가 제1몸체의 바닥면에 형성되므로, 금형 형성시 금형에 발생하는 분리선이 없어서 균일한 크기의 유로의 사출성형이 가능하며, 조절노브, 게이트실, 바디 및 스토퍼의 4가지 구성요소로만 이루어져서 기존의 조절장치에 비하여 구성요소의 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금형비, 사출성형비, 조립작업비를 낮춤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로, 본 발명의 조절장치는 유로의 시작점에서 역회전을 하면 신속하게 호스 내의 공기를 모두 배출함과 동시에 호스내에 약액을 채울 수 있는 퍼지기능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로, 스토퍼의 조립시 원터치로 체결이 되고, 스토퍼의 상부에 관통 홈을 내어 현재 유량의 눈금이 직접 보이도록 구현하여 별도로 현재 눈금을 지시하는 지시선등의 인쇄가 필요 없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100)는 조절노브(110), 게이트실(130) 및 바디(170)를 구비한다.
바디(170)에 게이트실(130)이 삽입되고 게이트실(130)에 조절노브(110)가 삽입되며, 투입구(175)를 통해서 들어오는 약액이 조절노브(110)를 회전시킴에 의해서 배출구(173)를 통해서 그 양이 조절되면서 배출된다.
조절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4개의 구성부품으로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고, 또한 잔고장도 없으며 제조단가도 낮출 수 있다.
도 3은 조절노브의 측면도이고, 도 4는 조절노브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 이며, 도5는 조절노브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조절노브(110)는 제1몸체(B1), 제2몸체(B2) 및 제3몸체(B3)로 구성된다.
제1몸체(B1)는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시작지점부터 끝지점까지 깊이가 다르게 설정되는 유로(125)가 형성된다. 제2몸체(B2)는 제1몸체(B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제1몸체(B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몸체(B1)와 함께 회전한다. 제3몸체(B3)는 제1몸체(B1)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제1몸체(B1)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제1몸체(B1)와 함께 회전한다.
그리고, 제1몸체(B1), 제2몸체(B2) 및 제3몸체(B3)의 중앙에는 제1중앙홀(CH1)이 형성된다.
도 6은 게이트실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7은 게이트실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8은 게이트실의 저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게이트실(130)은 제1몸체(B1) 및 제3몸체(B3)가 삽입되어 둘러싸이며, 벽면 일측에 유로(125)로 약액을 투입하는 투입홀(INH)이 형성되고 투입홀(INH)의 반대측 벽면에 유로(125)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유출시키는 배출홀(OUTH)이 형성된다.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단차부(135)의 상면에는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과 직접 맞닿으며 배출홀(OUTH)까지 연결되는 관통홀(131)이 형성되어 제1몸체(B1)의 회전에 따른 유로(125)의 회전에 의해 약액의 양이 조절되어 관통홀(131)로 배출된다.
단차부(135)의 중앙에는 제1중앙홀(CH1)에 대응되는 제2중앙홀(CH2)이 형성되며 원통형상이다.
도 9는 바디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조절노브와 게이트실 및 바디가 결합된 우측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바디(170)는 삽입부(177)와 파지부(180)를 구비한다.
삽입부(177)는 게이트실(130)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바닥면 중앙에 제1중앙홀(CH1)과 제2중앙홀(CH2)에 삽입되어 조절노브(110) 및 게이트실(130)을 결합시키는 돌출기둥(171)이 형성되고, 벽면에 투입홀(INH)로 약액을 투입하는 투입구(175)와 배출홀(OUTH)에 대응되는 배출구(173)가 형성된다. 파지부(180)는 삽입부(177)의 외측벽면에서 일방향으로 길게 연장형성된다.
이하, 도 1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100)의 구조 및 동작이 상세히 설명된다.
조절노브(110)의 제1몸체(B1)는 원통형상이며, 유로(125)는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로 형성되고, 시작지점부터 시작해서 끝지점까지 진행하면서 점점 그 깊이가 깊어지는 제1부분(121) 및 제1부분(121)의 폭보다 크고 깊이가 깊으며, 제1부분(12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퍼지부분(123)을 구비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은 원통형상이며 원통형상의 둘레를 따라 원형상으로 유로(125)가 형성된다. 유로(125)의 시작지점과 끝지 점은 서로 맞닿아 있지 않으며, 일정한 간격만큼 떨어져 있다. 제1부분(121)은 퍼지부분(123)으로 진행할수록 깊이가 점점 깊어지게 형성되어, 제1몸체(B1)의 회전에 따라 약액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퍼지부분(123)은 폭이 제1부분(121)보다 크고 깊어서 많은 양의 약액이 한번에 흐르게 할 수 있다. 이를 퍼지(purge) 기능이라고 한다.
조절노브(110)의 제2몸체(B2)는, 제1몸체(B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몸체(B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측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제1회전기어부(G1) 및 제1회전기어부(G1)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1회전기어부(G1)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측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면(G2US)에 약액의 양을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되는 제2회전기어부(G2)를 구비한다.
제2회전기어부(G2)는 사용자가 손으로 회전시키는 부분으로서, 측면에 톱니를 형성하여 사용자의 손가락과 마찰이 잘 일어나도록 한다. 도 5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제2회전기어부(G2)의 상면(G2US)에는 눈금이 표시된다.
제1회전기어부(G1)의 바닥면(G1LS)에는 게이트실(130)의 벽면의 상측면과 맞닿는 부분을 압박하여 약액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돌기부(OT1)가 형성되고, 제1회전기어부(G1)의 바닥면(G1LS)의 제1돌기부(OT1) 외측이면서 퍼지부분(123)의 반대쪽에는, 바디(170)의 삽입부(177)의 외측벽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제2몸체(B2)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STP)가 돌출된다.
제1회전기어부(G1)의 측면 톱니에는 스토퍼(190)가 삽입되어 조절노브(110)를 고정시켜 회전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돌기부(OT1)가 게이트실(130)의 벽면의 상측면을 눌러주면, 게이트실(130)의 재질이 고무로 되어 있으므로 제1돌기부(OT1)에 의해서 압박된 부분은 눌려지고, 제1돌기부(OT1)에 의해서 눌려진 부분 이외의 부분은 반대로 돌출되는 효과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약액이 게이트실(130)과 제1회전기어부(G1)의 바닥면(G1LS)의 사이로 유출되지 못하도록 방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정지부(STP)의 바닥면 일측에는 퍼지홈(PHM)이 형성되고, 바디(170)의 외측벽면의 투입구(175) 상측에는 정지부(STP)가 걸려서 제2몸체(B2)가 더 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정지돌기(176)가 돌출형성된다.
조절노브(110)를 회전시켜 눈금(미도시)에 따라 약액의 양을 조절하는데 최소량의 약액부터 시작해서 약액의 양을 점점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조절노브(110)를 반대로 조금만 회전시키면 배출구(173)에 연결된 호스의 공기를 빼고 약액을 한번에 채우는 퍼지기능이 수행되도록 퍼지부분(123)이 관통홀(131)과 만나게 된다.
하지만, 퍼지부분(123)까지 회전시킨 조절노브(110)를 계속해서 같은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유로(125)의 제1부분(121)의 시작지점으로 다시 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조절노브(110)가 한바퀴를 완전히 돌지 않도록 퍼지부분(123)의 반대측에 정지부(STP)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한, 정지돌기(176)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바디(170)의 외측벽면에는 퍼지홈(PHM)에 체결되는 퍼지돌기(178)가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약액의 양이 최대로 배출되는 퍼지상태임을 인지시킨다.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정지부(STP)의 끝단과 퍼지홈(PHM) 사이의 간격은 정지돌기(176)와 퍼지돌기(178)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다. 따라서, 정지부(STP)가 정지돌기(176)에 걸리는 순간에 퍼지돌기(178)가 퍼지홈(PHM)에 "딸각" 하고 걸리게 된다. 즉, 조절노브(110)의 제2회전기어부(G2)의 상면(G2US)의 눈금을 참조하면서 조절노브(110)를 퍼지상태에 맞추면 퍼지돌기(178)가 퍼지홈(PHM)에 걸리면서 사용자는 눈으로 퍼지상태임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손의 느낌으로도 퍼지상태임을 느낄 수 있도록 하여 퍼지상태를 명확하게 하고, 또한 퍼지상태에 눈금이 맞춰지면 더 이상 조절노브(110)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동시에 정지부(STP)가 정지돌기(176)에 걸리도록 한 것이다.
제3몸체(B3)의 바닥면(B3LS)에는 게이트실(130)의 단차부(135)와 맞닿는 부분을 압박하여 약액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돌기부(OT2)가 형성된다.
즉, 후술되겠지만, 제3몸체(B3)의 바닥면(B3LS)은 게이트실(130)의 단차부(135)의 제2단차(145)와 맞닿게 되고, 제1단차(140)와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 사이에는 약액이 차는 공간이 형성되는데, 제3몸체(B3)의 바닥면(B3LS)에 형성된 제2돌기부(OT2)는 게이트실(130)의 제2단차(145)를 압박하여 공간에 차있는 약액이 제2돌기부(OT2)와 제2단차(145) 사이로 빠져나가지 않고 제1단차(140)의 돌출면(133)의 관통홀(131)로만 빠져나가도록 한다.
제1중앙홀(CH1)을 형성하는 제3몸체(B3)의 내측벽면에는 바디(170)의 돌출기둥(171)과 결합하기 위하여 끝단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COT)가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기둥들(COTD)이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측으로 연장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조절노브(110)의 제2회전기어부(G2)의 상면(S2US)과 평행한 높이까지 결합기둥들(COTD)이 제1중앙홀(CH1)을 형성하는 제3몸체(B3)의 내측벽면에서부터 상측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바디(170)의 돌출기둥(171)이 도 5에 도시된 결합돌기(COT)들 사이로 삽입되면서 결합된다.
이와 같이, 조절노브(110)는 제1몸체(B1), 제2몸체(B2) 및 제3몸체(B3)가 일체로 형성되어 함께 회전하고, 유로(125) 및 약액의 양을 지시하는 눈금이 형성되며, 제1몸체(B1) 및 제3몸체(B3)가 게이트실(13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사용자가 조절노브(110)를 회전시키면서 약액의 양을 조절하여 배출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게이트실(130)의 단차부(135)는, 게이트실(130)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과 대응되는 제1단차(140)와, 제1단차(140) 하부로 제1단차(140)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제3몸체(B3)의 바닥면(B3LS)과 대응되는 제2단차(145)가 형성된다. 제2단차(145)의 직경은 제1단차(140)의 직경보다 작다. 제1단차(140)와 제2단차(145)의 중앙은 제2중앙홀(CH2)을 형성한다.
제1단차(140)의 상면에는 제1단차(140)의 상면의 다른부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과 직접 맞닿으며 관통홀(131)이 형성된 돌출면(133)이 형성되고, 돌출면(133)을 제외한 제1단차(140)의 상면의 다른부분과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 사이는 공간이 형성되어 약액이 찬다. 돌출면(133)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게이트실(130)의 중심으로부터 약 60도 각도의 범위를 가지는 정도이다.
그리고, 돌출면(133)에 형성된 관통홀(131)은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게이트실(130)의 바닥면에서 배출홀(OUTH)과 연결된다. 이는 도 8에 도시된다.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제1단차(140)의 돌출면(133)은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과 맞닿으므로 유로(125)와 직접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제1단차(140)의 돌출면(133)이외의 다른 부분은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과 직접 접촉하지 않고 돌출면(133)의 높이만큼 떨어지게 되므로 자연히 공간이 형성된다. 게이트실(130)의 투입홀(INH)은 제1단차(140)보다 높은위치의 게이트실(130)의 벽면에 형성되므로, 투입홀(INH)을 통해서 약액이 투입되면 제1단차(140)와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 사이의 공간에 약액이 가득차게 되고 유로(125)에도 약액이 차게된다.
그리고, 조절노브(110)가 회전하면, 돌출면(133)이 유로(125)에 밀착되고 돌출면(133)의 양끝에서 유로(125)의 홈을 타고 약액이 흐르면서 관통홀(131)을 지나가게 되며, 관통홀(131)은 유로(125)에 차있는 약액을 배출홀(OUTH)로 전송한다. 즉, 관통홀(131)과 유로(125)가 맞닿는 위치에 따라 관통홀(131)을 통해 배출홀(OUTH)로 전송되는 약액의 배출양이 정해진다. 만일 관통홀(131) 위에 유로(125)의 퍼지부분(123)이 오게되면 퍼지부분(123)에 가득차있던 약액이 한꺼번에 배출홀(OUTH)로 배출된다.
기존의 조절장치들이 대부분 입구조절방식(유로가 배출구가 아닌 투입구와 닿으면서 들어오는 약액의 양을 조절하고 배출되는 약액의 양은 들어오는 양에 따르게 하는 방식)에 의해서 약액의 배출양을 조절하지만, 본 발명의 조절장치(100)는 배출홀(OUTH)과 연결되는 돌출면(133)의 관통홀(131)이 유로(125) 표면을 이동 하면서 배출되는 약액의 양이 조절되므로, 본 발명의 조절장치(100)는 약액의 유량을 출구조절방식에 의해서 조절한다고 할 수 있다.
입구조절방식의 조절장치는 대부분 약액이 투입된 후 배출될때까지 유로의 전체길이가 길기 때문에, 약액의 입장에서는 그만큼 저항이 크므로 약액의 미세조절이 어렵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절장치(100)는 일단 투입된 약액이 공간에 차있다가 유로(125)가 관통홀(131)과 직접 접촉하면서 바로 약액이 배출되므로 약액의 입장에서 저항이 매우 적게되어 미세량 조절이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돌출면(133)의 양 끝단중에서 한쪽 끝단부분에 돌기를 만들어 한쪽 유로를 막으면, 돌출면(133)의 양쪽으로 유로(125)를 타고 들어가던 약액이 한쪽 방향에서만 들어가게 되므로 배출되는 약액의 양의 더욱 세밀한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돌출면(133)이 고무로 만들어져 있으므로, 돌출면(133)의 한쪽 끝단부분을 고무를 이용하여 약간 돌출시키면 돌출면(133)에 맞닿은 유로(125)의 한쪽 부분이 자연스럽게 막힐 수 있다.
도 7및 도 8을 참조하면, 게이트실(130)의 바닥면은, 제2중앙홀(CH2)을 둘러싸는 주변부(150)가 상측으로 함몰되고, 주변부(150)에서 바닥면 외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151)이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바디(170)의 삽입부(177)의 바닥면에는, 게이트실(130)의 바닥면의 고정홈(151)에 삽입결합되는 고정돌기(179) 및 돌출기둥(171)을 둘러싸며 게이트실(130)의 바닥면의 주변부(150)를 압박하여 게이트실(130)을 고정시키는 제3돌기부(OT3)가 형성된다.
즉, 바디(170)의 삽입부(177)는 게이트실(130)이 삽입되는데, 바디(170)의 고정돌기(179)가 게이트실(130)의 고정홈(151)에 삽입결합되고, 바디(170)의 제3돌기(OT3)가 게이트실(130)의 주변부(150)를 압박하여 게이트실(130)이 바디(170)의 삽입부(177)에 확실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바디(170)의 파지부(18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게되는 부분이며, 파지부(180)의 상면에는 제1회전기어부(G1)의 측면 톱니에 삽입되어 조절노브(110)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시키는 스토퍼(190)가 설치된다.
도 2와 도 9를 참조하면, 스토퍼(190)는 제1회전기어부(G1)의 톱니에 삽입되는 스토퍼손잡이(191)와 스토퍼손잡이(191) 하측으로 형성되는 착탈부(193)를 구비하는 상부본체(195) 및 파지부(180)에 일체로 형성되며 착탈부(193)가 압박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안착홈부(197)를 구비한다.
상부본체(195)는 스토퍼손잡이(191)와 착탈부(193)로 구성되는데, 스토퍼손잡이(191)는 앞단에 제1회전기어부(G1)의 톱니에 삽입됨으로써 제1회전기어부(G1)가 회전할 수 없도록 고정시키는 톱니고정부(200)가 형성되고, 그 위로 제2회전기어부(G2)의 상면(G2US)의 눈금을 정확히 인식할 수 있는 눈금확인부(210)가 형성된다. 눈금확인부(210)는 도 1에서 보듯이, 돌출된 앞부분의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그 홀을 통해서 보이는 눈금이 약액의 양이 되는 것이다.
안착홈부(197)는 도 9에 도시된 것처럼, 내측으로 돌출되는 안착돌출부(199)가 내측에 형성되는 U자형 구조를 가지는데, 안착돌출부(199)는 착탈부(193)가 안착홈부(197)에 삽입된 후 뒷편으로 빠지지 않도록 하고, 안착돌출부(199)에 의해서 착탈부(193)가 압박되면서 이동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조절장치(100)는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고 미세한 약액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은 게이트실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돌출면(133)은 제1단차(140)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된다. 그러나, 도 11의 게이트실(140)은 제1단차(140)의 상면에 돌출된 돌출면과 같은 구성을 같지 아니한다. 오히려, 제1단차(140)의 상면에는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의 유로(125)에 대응되며 약액이 차는 유로홈(137)이 제1단차(140)의 상면을 따라 형성된다. 즉, 제1단차(140)의 상면에 음각으로 형성된 유로홈(137)이 유로(125)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유로홈(137)은 제1단차(140)의 원주를 따라 둥그렇게 형성되지만 시작지점과 끝지점이 만나지 않고 떨어져 있다. 그리고, 유로홈(137)은 투입홀(INH)과도 연결되어 투입홀(INH)을 통해 들어오는 약액이 유로홈(137)에 차게된다.
유로홈(137)의 시작지점과 끝지점 사이에는 관통홀(131)이 시작과 끝지점에서 일정간격 떨어져서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게이트실(130)의 제1단차(140)의 상면과 제1몸체(B1)의 바닥면(B1LS)이 직접 맣닿으면 유로홈(137)과 유로(125)에 약액이 차게되고, 제1몸체(B1)가 회전하면서 유로(125)가 관통홀(131)의 위치로 오게 되면 약액이 관통홀(131)을 통해 배출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조절노브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조절노브를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5는 조절노브를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게이트실을 위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7은 게이트실을 아래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8은 게이트실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바디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조절노브와 게이트실 및 바디가 결합된 우측면도이다.
도 11은 게이트실의 다른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Claims (9)

  1. 바닥면의 중심으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시작지점부터 끝지점까지 깊이가 다르게 설정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제1몸체와, 상기 제1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몸체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2몸체와, 상기 제1몸체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며 상기 제1몸체의 하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와 함께 회전하는 제3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몸체, 상기 제2몸체 및 상기 제3몸체의 중앙에는 제1중앙홀이 형성되는 조절노브 ;
    상기 제1몸체 및 상기 제3몸체가 삽입되어 둘러싸이며, 벽면 일측에 상기 유로로 약액을 투입하는 투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투입홀의 반대측 벽면에 상기 유로에서 배출되는 약액을 유출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며,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는 단차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과 직접 맞닿으며 상기 배출홀까지 연결되는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제1몸체의 회전에 따른 유로의 회전에 의해 약액의 양이 조절되어 상기 관통홀로 배출되며, 상기 단차부의 중앙에는 상기 제1중앙홀에 대응되는 제2중앙홀이 형성되는 원통형상의 게이트실 ; 및
    상기 게이트실이 삽입되어 고정되고, 바닥면 중앙에 상기 제1중앙홀과 상기 제2중앙홀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노브 및 상기 게이트실을 결합시키는 돌출기둥이 형성되고, 벽면에 상기 투입홀로 약액을 투입하는 투입구와 상기 배출홀에 대응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외측벽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바디를 구비하며,
    상기 조절노브의 제1몸체는 원통형상이며,
    상기 유로는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로 형성되고,
    시작지점부터 시작해서 상기 끝지점까지 진행하면서 점점 그 깊이가 깊어지는 제1부분 ; 및
    상기 제1부분의 폭보다 크고 깊이가 깊으며, 상기 제1부분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는 퍼지부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노브의 제2몸체는,
    상기 제1몸체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측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제1회전기어부 ; 및
    상기 제1회전기어부의 상측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회전기어부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측면에 톱니가 형성되고 상면에 약액의 양을 표시하는 눈금이 표시되는 제2회전기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회전기어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게이트실의 벽면의 상측면과 맞닿는 부분을 압박하여 약액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1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회전기어부의 바닥면의 상기 제1돌기부 외측이면서 상기 퍼지부분의 반대쪽에는, 상기 바디의 상기 삽입부의 외측벽면을 따라 회전하다가 상기 제2몸체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정지부가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부의 바닥면 일측에는 퍼지홈이 형성되고, ,
    상기 바디의 외측벽면의 상기 투입구 상측에는 상기 정지부가 걸려서 상기 제2몸체가 더이상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정지돌기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정지돌기에서 일정간격 떨어진 상기 바디의 외측벽면에는 상기 퍼지홈에 체결되는 퍼지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에게 약액의 양이 최대로 배출되는 퍼지상태임을 인지시키고,
    상기 정지부가 정지돌기에 걸리는 순간에 상기 퍼지돌기가 상기 퍼지홈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몸체의 바닥면에는 상기 게이트실의 단차부와 맞닿는 부분을 압박하여 약액이 새어나가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제2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중앙홀을 형성하는 상기 제3몸체의 내측벽면에는 상기 돌출기둥과 결합하기 위하여 끝단에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돌기가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기둥들이 원통형상을 이루며 상측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실의 상기 단차부는,
    상기 게이트실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1단차와, 상기 제1단차 하부로 상기 제1단차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3몸체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2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차의 직경은 상기 제1단차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단차의 상면에는 상기 제1단차의 상면의 다른부분보다 상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과 직접 맞닿으며 상기 관통홀이 형성된 돌출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면을 제외한 상기 제1단차의 상면의 다른부분과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 사이는 공간이 형성되어 약액이 차며,
    상기 관통홀은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실의 바닥면은,
    상기 제2중앙홀을 둘러싸는 주변부가 상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주변부에서 상기 바닥면 외측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의 삽입부의 바닥면에는,
    상기 게이트실의 바닥면의 고정홈에 삽입결합되는 고정돌기 ; 및
    상기 돌출기둥을 둘러싸며 상기 게이트실의 바닥면의 주변부를 압박하여 상기 게이트실을 고정시키는 제3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파지부의 상면에는 상기 제1회전기어부의 측면 톱니에 삽입되어 상기 조절노브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설치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톱니에 삽입되는 스토퍼손잡이와 상기 스토퍼손잡이 하측으로 형성되는 착탈부를 구비하는 상부본체 ; 및
    상기 파지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착탈부가 압박 삽입되어 전후로 이동되는 안착홈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실의 상기 단차부는,
    상기 게이트실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1단차와, 상기 제1단차 하부로 상기 제1단차의 내측벽면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제3몸체의 바닥면과 대응되는 제2단차가 형성되고, 상기 제2단차의 직경은 상기 제1단차의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1단차의 상면에는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의 상기 유로에 대응되며 상기 약액이 차는 유로홈이 상기 제1단차의 상면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유로홈의 시작지점과 끝지점 사이에 일정간격 떨어져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차의 상면과 상기 제1몸체의 바닥면이 직접 맣닿으면서 상기 유로홈과 유로에 차있는 약액이 상기 관통홀을 통해 배출되고,
    상기 유로홈은 상기 투입홀과 연결되고, 상기 관통홀은 수직하방으로 형성되어 상기 게이트실의 바닥면에서 상기 배출홀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20090084898A 2009-09-09 2009-09-09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0982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98A KR100982612B1 (ko) 2009-09-09 2009-09-09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PCT/KR2010/006064 WO2011031052A2 (ko) 2009-09-09 2010-09-07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EP10815597.9A EP2476454A4 (en) 2009-09-09 2010-09-07 APPARATUS FOR ACCURATELY REGULATING A DOSAGE OF LIQUID DRUG INJECTION
CN2010800367218A CN102470238A (zh) 2009-09-09 2010-09-07 精确调节药液注射剂量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898A KR100982612B1 (ko) 2009-09-09 2009-09-09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612B1 true KR100982612B1 (ko) 2010-09-15

Family

ID=43010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898A KR100982612B1 (ko) 2009-09-09 2009-09-09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2476454A4 (ko)
KR (1) KR100982612B1 (ko)
CN (1) CN102470238A (ko)
WO (1) WO2011031052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519B1 (ko) * 2017-12-22 2018-03-13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KR101838953B1 (ko) * 2017-12-22 2018-03-15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KR101873579B1 (ko) * 2017-12-22 2018-07-02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56956A1 (en) 2015-02-12 2017-12-20 Koninklijke Philips N.V. Robust classifier
CN106110440A (zh) * 2016-06-08 2016-11-16 刁春林 一种用于微量麻醉的多流量调节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83A (ko) * 1993-03-15 1994-10-17 피터 지. 스트링거 투약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13904A (en) * 1984-07-13 1992-05-19 Aslanian Jerry L Flow control device for administration of intravenous fluids
WO1991001155A1 (en) * 1989-07-25 1991-02-07 Sorex Medical, Inc. Infusion rate regulator device
US5674192A (en) * 1990-12-28 1997-10-07 Boston Scientific Corporation Drug delivery
ATE430595T1 (de) * 1995-06-07 2009-05-15 Oneil Christine Vom patienten gesteuerte vorrichtung zur arzneimittelabgabe
US7335186B2 (en) * 1998-03-13 2008-02-26 Alexander George Brian O'Neil Patient controlled drug delivery device
US6435175B1 (en) * 2000-08-29 2002-08-20 Sensormedics Corporation Pulmonary drug delivery device
FR2833175B1 (fr) * 2001-12-06 2004-05-14 Sobem Dispositif de controle de debit, a usage medical
KR100468222B1 (ko) * 2004-07-16 2005-01-26 메인텍 주식회사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US9220837B2 (en) * 2007-03-19 2015-12-29 Insuline Medical Ltd. Method and device for drug deliver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083A (ko) * 1993-03-15 1994-10-17 피터 지. 스트링거 투약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7519B1 (ko) * 2017-12-22 2018-03-13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KR101838953B1 (ko) * 2017-12-22 2018-03-15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KR101873579B1 (ko) * 2017-12-22 2018-07-02 (주)메디라인액티브코리아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31052A3 (ko) 2011-07-14
CN102470238A (zh) 2012-05-23
EP2476454A2 (en) 2012-07-18
WO2011031052A2 (ko) 2011-03-17
EP2476454A4 (en) 2013-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0433B1 (ko) 유체의 유량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장치
KR100982612B1 (ko) 정밀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KR100468222B1 (ko) 약액 주입량 조절장치
US9839748B2 (en) IV flow regulator
KR100749266B1 (ko) 약액 주입장치
KR101695453B1 (ko) 셀렉터
JP5878479B2 (ja) 薬注入のための挿入体
KR100909342B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JP2022168261A (ja) 薬液注入器具
KR101952322B1 (ko) 수액세트용 유량조절장치
EP2355878B1 (en) Intravenous set with an automatic stopping mechanism in the drip chamber
KR102405751B1 (ko) 스마트화 모니터링이 가능한 수액세트용 유량조절기
US20090112149A1 (en) Variable rate fluid dispenser
KR101868055B1 (ko) 약액의 안정적인 주입 및 약액의 잔존을 방지하기 위해 개선시킨 약액 주입용 여과기의 주입부구조
KR101440065B1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KR20100129026A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약액조절장치
KR100399643B1 (ko) 주사 수액 공급 조절 장치
KR100805556B1 (ko) 약액 조절 장치
CN111526901A (zh) 具备丸药计数器的药液注入器
KR20200110686A (ko) 액체 유동 조절 디바이스
KR101581743B1 (ko) 약액 공급량 조절장치
KR102307988B1 (ko) 약액 유량 조절 장치
WO2010090709A2 (en) Iv flow rate regulator
KR20100085282A (ko) 약액 플로우레이트 조절장치
KR20230112518A (ko) 주입량 설정 기능을 갖는 의료용 레귤레이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2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427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2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0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