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2514B1 -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514B1
KR100982514B1 KR1020030080548A KR20030080548A KR100982514B1 KR 100982514 B1 KR100982514 B1 KR 100982514B1 KR 1020030080548 A KR1020030080548 A KR 1020030080548A KR 20030080548 A KR20030080548 A KR 20030080548A KR 100982514 B1 KR100982514 B1 KR 100982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a prediction
block
sub
prediction mode
input blo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8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46929A (ko
Inventor
이재헌
이남숙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80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514B1/ko
Publication of KR20050046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46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514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03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 H04N19/11Selection of coding mode or of prediction mode among a plurality of spatial predictive coding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video transcoding, i.e. partial or full decoding of a coded input stream followed by re-encoding of the decoded outpu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85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 H04N19/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processing or post-processing specially adapted for video compression involving reduction of coding artifacts, e.g. of blockin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은,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예측 모드의 빈도수가 소정 문턱값 Tha 보다 적으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트라 예측 부호화 성능의 저하없이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데 소요되는 계산량을 줄임으로써 보다 고속으로 영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ve intra coding for image data}
도 1의 (a) 내지 (i)는 H.264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인트라 4x4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의 (a) 내지 (d)는 H.264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인트라 16x16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보다 고속으로 결정할 수 있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영상 신호의 압축 표준 중 하나인 H.264/MPEG-4 AVC(Advanced Video Coding) 에서는 현재 매크로 블록을 인트라 부호화 (Intra coding)하는 경우, 주변의 이미 부호화된 픽셀 값들을 이용하여 공간적 예측을 통해 부호화를 수행한다. 이 때, 인트라 모드는 크게 인트라 4x4 모드와 인트라 16x16 모드로 나뉘어진다. 인트라 4x4 모드는 예측 방향에 따라 다시 도 1의 (a) 내지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9가지 모드로 나뉘어지고, 인트라 16x16 모드는 도 2의 (a) 내지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4가지 모드로 나뉘어진다.
예를 들어, 도 1의 (a)에 도시된 수직 방향 4x4 모드에 따라, 4x4의 현재 블록의 예측 부호화 동작을 설명하면, 4x4 크기의 현재 블록의 위쪽에 인접한 픽셀 A 내지 D의 픽셀 값을 4x4 현재 블록의 픽셀 값으로 예측한다. 즉, 픽셀 A의 값을 4x4 현재 블록의 첫번째 열에 포함된 4개의 픽셀 값으로 예측하고, 픽셀 B의 값을 4x4 현재 블록의 두번째 열에 포함된 4개의 픽셀 값으로 예측하고, 픽셀 C의 값을 4x4 현재 블록의 세번째 열에 포함된 4개의 픽셀 값으로 예측하고, 픽셀 D의 값을 4x4 현재 블록의 네번째 열에 포함된 4개의 픽셀 값으로 예측한다. 그 후 4x4의 현재 블록에 포함된 픽셀의 실제 값과 예측된 값을 감산하여 차이 값을 구한 후 그 차이 값을 부호화한다.
H.264 인코더는 현재 매크로블록에 대해 전술한 인트라 4x4 모드와 인트라 16x16 모드의 총 13가지 모드로 부호화한 후 그 중 가장 코스트(cost)가 작은 모드로 인트라 부호화를 수행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현재 매크로블록에 대해서 4가지의 인트라 16x16 예측 모드를 수행하여 cost가 가장 작은 모드를 선택한다. 그 후, 4x4 서브 블록 단위로 16개의 서브 블록들에 대해서 차례대로 9가지의 인트라 4x4 예측 모드를 수행하여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cost가 가장 작은 모드를 선택한다. 최종적으로, 인트라 16x16 예측 모드의 cost와, 16개의 서브 블록들의 cost들을 합한 인트라 4x4 예측 모드의 cost를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cost가 가장 작은 모드를 선택한다.
코스트는 예측 부호화의 정확성 및 발생 비트량의 대소를 나타내는 함수값이다. 코스트의 측정을 위한 함수로는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SATD(sum of absolute transformed difference), SSD(sum of squared difference), MAD(mean of absolute difference) 또는 라그란지 함수(Lagrange function) 등이 있다.
실제 동영상을 H.264로 부호화할 경우, 인트라 4x4 예측 모드에 비해 인트라 16x16 예측 모드의 선택 비율이 현저히 작다. 픽쳐 내에 포함된 모든 매크로블록을 인트라 부호화하는 I Picture내의 매크로블록들 중 70~80%의 매크로블록들이 인트라 4x4 모드로 선택된다. 이 것은 인트라 16x16 예측 모드를 도입한 이유가 영상에서 매우 flat(smooth)한 영역을 효과적으로 부호화하기 위해서이고, 일반적인 영상에서 매우 flat(smooth)한 영역은 전체 영상의 일부분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인트라 부호화되는 모든 매크로 블록에 대해 항상 9가지의 4x4 모드와 4가지의 인트라 16x16 모드의 총 13가지 모드로 부호화를 수행한 후 그 중 가장 코스트(cost)가 작은 모드를 결정하므로 계산량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인트라 예측 모드를 보다 간단하게 그리고 보다 고속으로 결정할 수 있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은,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예측 모드의 빈도수가 소정 문턱값 Tha 보다 적으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은,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서로 다른 예측 모드의 개수가 소정 문턱값 Thb 보 다 크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는,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인트라 예측부호화부;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예측 모드의 빈도수가 소정 문턱값 Tha 보다 적으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는,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인트라 예측부호화부;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서로 다른 예측 모드의 개수가 소정 문턱값 Thb 보다 크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를 포 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호화 성능의 저하없이 인트라 4x4 예측 결과를 이용하여 인트라 16x16 예측 과정을 스킵(skip)함으로써 인트라 부호화에 소요되는 계산량을 줄인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동영상 부호화 장치는 Transform/Quantizer(110), Dequantizer/Inverse transform(131), Deblocking filter(133), 픽쳐 재현부(135), Motion compensated predictor(137), Intra prediction부(139), Motion estimator(150), 감산부(170) 및 Entropy coding부(190)를 포함한다.
16x16 화소로 이루어진 매크로 블록 단위로 영상 데이터가 동영상 부호화 장치로 입력된다. Transform/Quantizer(110)는 입력 매크로 블록을 소정 방식에 따라 변환한 후 양자화한다. 대표적인 영상 변환 기법으로는 DCT(Discrete Cosing Transform)이 있다.
Dequantizer/Inverse transform(131)는 Transform/Quantizer(110)로부터 변환 후 양자화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역양자화 및 역변환한다. Deblocking filter(133)는 Dequantizer/Inverse transform(131)로부터 역양자화 및 역변환된 영상 데이터를 입력받아 블록킹(blocking) 효과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링을 수행한다.
픽쳐 재현부(135)는 필터링된 영상 데이터를 Deblocking filter(133)로부터 입력받아 픽쳐(picture) 단위로 영상을 재현하여 저장한다. 픽쳐는 프레임 단위의 영상이거나 필드 단위의 영상이다. 픽쳐 재현부(135)는 다수의 픽쳐를 저장할 수 있는 버퍼(도시되지 않음)를 구비한다. 버퍼에 저장된 다수의 픽쳐는 움직임 추정을 위해 제공되는 픽쳐로서 참조 픽쳐라 한다.
Motion estimator(150)는 픽쳐 재현부(135)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참조 픽쳐를 제공받아 입력 매크로 블록의 움직임 추정을 수행하여 모션 벡터, 참조 픽쳐를 나타내는 인덱스 및 블록 모드를 포함한 모션 데이터를 출력한다.
Motion compensated predictor(137)는 Motion estimator(150)로부터 입력된 모션 데이터에 따라, 픽쳐 재현부(135)에 저장된 다수의 참조 픽쳐들 중 움직임 추정에 이용된 참조 픽쳐로부터, 입력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매크로 블록을 추출하여 출력한다.
감산부(170)는 입력 매크로 블록을 픽쳐간 예측 부호화하는 경우, Motion compensated predictor(137)로부터 입력 매크로 블록에 대응하는 참조 픽쳐 내의 매크로 블록을 입력받아 입력 매크로 블록과의 차분 연산을 수행하여 잔차 신호(residue signal)를 출력한다.
감산부(170)로부터 출력된 잔차 신호는 다시 Transform/Quantizer(110)에 의해 변환 및 양자화되고, Entropy coding부(190)에 의해 엔트로피 부호화되어 출력 비트 스트림이 생성된다.
Intra prediction부(139)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동영상 부호화 장치에 의해 생성된 비트 스트림을 복호화하는 동영상 복호부(decoder)(130)는 Dequantizer/Inverse transform(131), Deblocking filter(133), 픽쳐 재현부(135), Motion compensated predictor(137) 및 Intra prediction부(139)를 포함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는 도 3에 도시된 Intra prediction부(139)에 대응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는 인트라 예측 부호화부(139a) 및 예측모드 결정부(139b)를 포함한다.
인트라 예측 부호화부(139a)는 예측 부호화할 현재 매크로 블록을 입력받아 도 1의 (a) 내지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트라 4x4 모드 또는 인트라 16x16 모드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
예측모드 결정부(139b)는 인트라 예측 부호화부(139a)로부터 각 서브 블록 또는 현재 매크로블록의 예측 모드 또는 코스트를 입력받아 현재 매크로 블록의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를 결정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의 구조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의 흐름도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인트라 예측 부호화부(139a)는 예측 부호화할 현재 매크로 블록을 입력받아 도 1의 (a) 내지 (i)에 도시한 바와 같이 9가지의 인트라 4x4 모드로 현재 매크로 블록에 대한 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제510 단계). 그 결과, 현재 매크로블록에 포함된 16개의 4x4 서브 블록 각각에 대해 도 1의 (a) 내지 (i)에 도시한 바와 같은 9가지의 인트라 4x4 모드들 중 코스트가 가장 작은 하나의 인트라 4x4 모드가 결정된다.
코스트는 예측 부호화의 정확성 및 발생 비트량의 대소를 나타내는 함수값이다. 코스트의 측정을 위한 함수의 예로는 SAD(sum of absolute difference), SATD(sum of absolute transformed difference), SSD(sum of squared difference), MAD(mean of absolute difference) 또는 라그란지 함수(Lagrange function)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코스트 측정을 위한 함수 중 예컨대 SAD함수를 이용한 코스트는 현재 서브 블록(또는 매크로 블록)의 각 픽셀의 예측값과 실제 픽셀 값들의 차이의 절대값을 모두 더한 값이다.
예측모드 결정부(139b)는 인트라 예측 부호화부(139a)로부터 제510 단계에서 결정된 각 서브 블록의 인트라 4x4 모드의 cost들을 입력받아 모두 더하여 intra4x4cost를 구한 후 intra4x4cost와 소정의 문턱값 Th4x4를 비교한다(제520 단계).
만약, intra4x4cost가 소정의 문턱값 Th4x4 이상이면, 예측모드 결정부(139b)는 인트라 16x16 예측을 스킵(skip)하고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인트라 4x4모드를 결정한다(제580 단계). intra4x4cost가 소정의 문턱값 Th4x4 이상이라면, 인트라 16x16 예측을 수행해도 intra16x16cost가 intra4x4cost보다 일반적 으로 높기때문에 인트라 16x16 예측을 스킵(skip)한다.
그러나, intra4x4cost가 소정의 문턱값 Th4x4 보다 작으면,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16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예측 모드의 빈도수 Na가 소정 문턱값 Tha 이상인지 또는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16개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서로 다른 예측 모드의 개수 Nb가 소정 문턱값 Thb 이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제530 단계).
제530 단계는 현재 매크로블록의 영상 데이터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평탄(flat)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이다. 영상이 평탄(flat)하다는 의미는 픽셀값들의 변화가 크지 않다는 의미이다. 현재 매크로블록의 영상 데이터가 일정한 방향성을 가지고 평탄하지 않다면 인트라 16x16 예측을 수행할 필요없이 스킵하고, 평탄하다면 인트라 16x16 예측을 수행한다. 한편, 소정 문턱값 Tha 의 일 실시예로는 12(현재 매크로 블록에 포함된 서브 블록의 75%)이고, 다른 소정 문턱값 Thb 의 일 실시예는 3(현재 매크로 블록에 포함된 서브 블록의 약 19%)이다.
만약, Na가 소정 문턱값 Tha 이상이거나 Nb가 소정 문턱값 Thb 이하가 아니라면, 예측모드 결정부(139b)는 인트라 16x16 예측을 스킵(skip)하고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인트라 4x4모드를 결정한다(제580 단계).
그러나, Na가 소정 문턱값 Tha 이상이거나 Nb가 소정 문턱값 Thb 이하이면, 예측모드 결정부(139b)는 인트라 16x16 예측을 수행하도록 인트라 예측 부호화부(139a)를 제어하고, 예측모드 결정부(139b)는 4가지 인트라 16x16 모드에 따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한다(제540 단계). 예측모드 결정부(139b)는 4가지 인트라 16x16 모드로 예측한 결과 얻어진 각각의 코스트를 비교하여 코스트가 가장 적은 하나의 인트라 16x16 모드를 결정한다.
예측모드 결정부(139b)는 인트라 예측 부호화부(139a)로부터 제540 단계에서 결정된 현재 매크로 블록의 인트라 16x16 모드의 cost인 intra16x16cost를 입력받아 intra16x16cost와 소정의 문턱값 Th16x16를 비교한다(제550 단계).
만약, intra16x16cost가 소정의 문턱값 Th16x16 보다 작으면, 예측모드 결정부(139b)는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인트라 16x16모드를 결정한다(제560 단계). 인트라 16x16모드의 경우, 전송할 모드 정보의 개수가 하나인데 비해 인트라 4x4 모드의 경우에는 16개의 서브 블록별로 하나의 모드를 전송해야 하므로 전송할 모드의 개수가 16개이다. 따라서, intra4x4cost가 소정의 문턱값 Th4x4 보다 작고 intra16x16cost가 소정의 문턱값 Th16x16 보다 작다면, 인트라 16x16모드의 경우가 intra4x4 모드의 경우보다 전송할 모드 정보가 적어서 비트레이트 측면에서 이득이 있으므로 더 이상의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인트라 16x16모드를 결정한다.
그러나, intra16x16cost가 소정의 문턱값 Th16x16 이상이면, 예측모드 결정부(139b)는 제520 단계에서 구한 intra4x4cost와 intra16x16cost의 크기를 비교한다(제570 단계).
intra16x16cost가 intra4x4cost보다 작다면,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인트라 16x16모드를 선택하고(제560 단계), intra16x16cost가 intra4x4cost 이상이면, 현재 매크로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로서 인트라 4x4모드를 선택한다(제580 단계).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인트라 예측 부호화 성능의 저하없이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데 소요되는 계산량을 줄임으로써 보다 고속으로 영상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Claims (14)

  1.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예측 모드의 빈도수가 소정 문턱값 Tha 보다 적으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블록을 상기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 수행한 후, 상기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한 경우의 코스트가 소정 문턱값 Th1 이상이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한 경우의 코스트가 상기 문턱값 Th1 보다 작으면, 상기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예측 모드의 빈도수와 상기 문턱값 Tha 의 비교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예측 모드의 빈도수가 상기 문턱값 Tha 이상이면, 상기 입력 블록 사이즈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입력 블록 사이즈 단위 예측 모드들 중에서,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블록 사이즈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한 경우의 코스트가 소정 문턱값 Th2 보다 작으면, 상기 결정된 입력 블록 사이즈 단위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서로 다른 예측 모드의 개수가 소정 문턱값 Thb 보다 크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블록을 상기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 수행한 후, 상기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한 경우의 코스트가 소정 문턱값 Th1 이상이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한 경우의 코스트가 상기 문턱값 Th1 보다 작으면,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서로 다른 예측 모드의 개수와 상기 문턱값 Thb 의 비교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서로 다른 예측 모드의 개수가 상기 문턱값 Thb 이하이면, 상기 입력 블록 사이즈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입력 블록 사이즈 단위 예측 모드들 중에서,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블록 사이즈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한 경우의 코스트가 소정 문턱값 Th2 보다 작으면, 상기 결정된 입력 블록 사이즈 단위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인트라 예측부호화부;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예측 모드의 빈도수가 소정 문턱값 Tha 보다 적으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에 있어서,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인트라 예측부호화부;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서로 다른 예측 모드의 개수가 소정 문턱값 Thb 보다 크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예측 모드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예측 모드의 빈도수가 소정 문턱값 Tha 보다 적으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14. 입력 블록을 소정 사이즈의 서브 블록 단위로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수행하여, 다수의 서브 블록 단위 예측 모드들 중, 상기 입력 블록에 포함된 각각의 서브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 모드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각 서브 블록 별로 결정된 다수의 인트라 예측 모드들 중, 서로 다른 예측 모드의 개수가 소정 문턱값 Thb 보다 크면, 상기 서브 블록 별 인트라 예측 모드를 상기 입력 블록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를 위한 최종적인 예측 모드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을 실현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030080548A 2003-11-14 2003-11-14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0982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548A KR100982514B1 (ko) 2003-11-14 2003-11-14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80548A KR100982514B1 (ko) 2003-11-14 2003-11-14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929A KR20050046929A (ko) 2005-05-19
KR100982514B1 true KR100982514B1 (ko) 2010-09-16

Family

ID=37246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8054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2514B1 (ko) 2003-11-14 2003-11-14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5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686A1 (ko) * 2016-12-26 2018-07-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31448B2 (en) 2006-12-22 2012-12-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fficient spatial intra predictabilty determination (or assessment)
KR101439847B1 (ko) * 2008-01-02 2014-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부호화 정보의 압축률 향상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 복호화방법 및 장치
KR100960807B1 (ko) * 2008-01-03 2010-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영상의 외곽 경계에 위치한 블록의 부호화 장치
KR101306834B1 (ko) 2008-09-22 2013-09-1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트라 예측 모드의 예측 가능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HUE038963T2 (hu) * 2010-08-17 2018-12-28 M&K Holdings Inc Eljárás intra predikció mód helyreállítására
KR101334587B1 (ko) * 2012-10-05 2013-11-29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트라 예측 모드의 예측 가능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복호화 장치 및 방법
KR101600714B1 (ko) * 2014-11-17 2016-03-08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속 인트라 모드 결정 방법 및 그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845A (ko) * 2001-03-16 200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H.26l에서의 b 픽쳐 모드 결정 방법
KR20030024411A (ko) * 2001-09-18 200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H.26l에서의 b 픽쳐 코딩 방법
KR20040039805A (ko) * 2002-11-05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3845A (ko) * 2001-03-16 2002-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H.26l에서의 b 픽쳐 모드 결정 방법
KR20030024411A (ko) * 2001-09-18 2003-03-26 엘지전자 주식회사 H.26l에서의 b 픽쳐 코딩 방법
KR20040039805A (ko) * 2002-11-05 2004-05-12 엘지전자 주식회사 동영상 부호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24686A1 (ko) * 2016-12-26 2018-07-0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인트라 예측을 이용한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46929A (ko) 2005-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1665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US8948243B2 (en) Image encoding device, image decoding device, image encoding method, and image decoding method
KR100727972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1431545B1 (ko) 영상의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716999B1 (ko) 영상의 대칭성을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이를 이용한영상의 복호화,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739714B1 (ko)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0667808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JP5400798B2 (ja) 動画像復号化方法及び装置、動画像符号化方法及び装置
KR101394209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KR20080088042A (ko) 영상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727969B1 (ko)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와, 그 방법, 및 이를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US2006015935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dicting 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s in video codec, video encoder and decoder having the apparatus, and encoding and decoding method using the method
JP2007053561A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画像符号化方法
KR20110073263A (ko)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부호화 방법, 그리고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인트라 예측 부호화 장치 및 인트라 예측 복호화 장치
KR20060008523A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방법 및 그 장치
KR100727990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부호화 장치
CN101554058A (zh) 基于帧内预测进行编码和解码的方法和装置
KR100982514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20070077609A (ko)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20070077955A (ko) 인트라 예측 모드 결정 방법 및 장치
KR101204788B1 (ko) 영상의 공간 예측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복호화 방법및 복호화 장치
JP2009049969A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方法並びに動画像復号化装置及び方法
KR20150105347A (ko) 잔차 변환을 이용한 인트라 예측 방법 및 장치
KR100727991B1 (ko) 영상의 인트라 예측 부호화 방법 및 그 방법을 사용하는부호화 장치
KR101366088B1 (ko) 인트라 예측 부호화, 복호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111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11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11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