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1980B1 - 소음기 모듈 - Google Patents

소음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980B1
KR100981980B1 KR1020080054576A KR20080054576A KR100981980B1 KR 100981980 B1 KR100981980 B1 KR 100981980B1 KR 1020080054576 A KR1020080054576 A KR 1020080054576A KR 20080054576 A KR20080054576 A KR 20080054576A KR 100981980 B1 KR100981980 B1 KR 1009819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case
baffle
outlet tube
end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700A (ko
Inventor
양도령
강정규
김영식
양재욱
Original Assignee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종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종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4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98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8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98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 F01N3/08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 F01N3/1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 F01N3/24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having means for purifying, rendering innocuous, or otherwise treating exhaust for rendering innocuous by thermal or catalytic conversion of noxious components of exhaust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converting apparatus
    • F01N3/28Construction of catalytic rea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00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 F01N1/24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method of silencing by using sound-absorbing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18Construction facilitating manufacture, assembly, or disassembly
    • F01N13/1805Fixing exhaust manifolds, exhaust pipes or pipe sections to each other, to engine or to vehicle body
    • F01N13/1827Sealings specially adapted for exhaus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30/00Combination of silencers and other devices
    • F01N2230/04Catalytic conver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촉매컨버터가 내장되고,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소음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소음기 모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복수의 배플, 및 복수의 배플을 관통하여 설치된 아웃렛튜브 및 하나 이상의 촉매컨버터를 가진 제1조립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된 단부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배플, 상기 배플을 관통하여 설치된 이상의 인렛튜브 및 테일파이프, 상기 단부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된 장착용 보강판을 가지고, 상기 배플은 복수의 소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조립체의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조립체; 및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된 단부플레이트, 상기 단부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된 배플, 상기 단부플레이트 및 배플 사이에 개재된 흡음재를 가지고, 상기 제1조립체의 타단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조립체를 포함한다.
소음기, 모듈, 촉매컨버터, 배플, 아웃렛튜브, 인렛튜브

Description

소음기 모듈{MUFFLER MOUDLE}
본 발명은 소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부에 촉매컨버터가 내장되고,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한 소음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배기시스템은 차량의 플로어 하부면에 배치되어 기관에서 발생하는 각종 배기가스의 소음 및 불순물 등을 제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장치로서, 기관의 실린더헤드 등에 연결된 배기다기관과, 기관으로부터 토출되는 배기가스에 유동저항을 부여하여 소음을 감소시키는 하나 이상의 소음기와, 배기가스 중의 유해물질인 탄화수소, 일산화탄소 및 질소산화물을 산화 및 환원작용에 의해 인체에 해가 없는 이산화탄소, 물, 질소 및 산소 등으로 전환시키는 촉매컨버터로 이루어지고, 상술한 배기다기관, 소음기 및 촉매변환기는 배기파이프에 의해 연통되고, 소음기의 최종단에는 외부로 연통되는 테일파이프가 결합된다.
일반적인 배기시스템의 구성은, 엔진의 배기매니폴드에 연결된 프론트소음기, 프론트소음기의 후방에 연결되어 배기가스의 유해성분을 산화 및 환원시키는 촉매컨버터, 상기 촉매컨버터의 후방에 배치되어 배기가스의 유동소음을 감소시키는 센터소음기 및 메인소음기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소음기에는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테일파이프가 연결된다.
한편, 대형 트럭 등과 같은 대형 상용 차량의 경우 차량의 플로어 하부에 장착공간이 부족함에 따라, 내부에 산화촉매 및/또는 입자상물질 흡장촉매 등과 같은 촉매컨버터가 내장된 소음기 모듈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소음기 모듈은 그 내부에 촉매컨버터, 흡음재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레이아웃에 따른 비기계의 레이아웃에 대한 적응성이 우수하고, 그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이 있었다.
그리고, 소음기 모듈은 촉매컨버터, 흡음재 등과 같은 내부부품의 교체 및 수리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분리 및 조립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소음기 모듈의 내부에서 아웃렛튜브와 테일파이프가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특히, 아웃렛튜브와 테일파이프 사이의 밀봉성이 확실하게 보장되지 않을 경우 가스의 누설이 발생하여 소음기 모듈의 잦은 고장 원인이 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촉매컨버터, 흡음재, 인렛튜브, 아웃렛튜브, 테일파이프 등의 교체 내지 수리가 매우 용이한 소음기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렛튜브와 테일파이프의 분리가능한 조립부분에 대한 밀봉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소음기 모듈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음기 모듈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복수의 배플, 및 복수의 배플을 관통하여 설치된 아웃렛튜브 및 하나 이상의 촉매컨버터를 가진 제1조립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된 단부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배플, 상기 배플을 관통하여 설치된 이상의 인렛튜브 및 테일파이프, 상기 단부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된 장착용 보강판을 가지고, 상기 배플은 복수의 소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조립체의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조립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된 단부플레이트, 상기 단부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된 배플, 상기 단부플레이트 및 배플 사이에 개재된 흡음재를 가지고, 상기 제1조립체의 타단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제1조립체의 양단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조립체의 타단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제3조립체의 타단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조립체의 각 플랜지에 제2조립체의 플랜지 및 제3조립체의 플랜지가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테일파이프의 단부와 아웃렛튜브의 단부는 상호 소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테일파이프의 단부 및 아웃렛튜브의 단부는 상호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테일파이프의 단부 및 아웃렛튜브의 단부 사이에는 환형의 실링부재가 개재된다.
상기 환형의 실링부재는 탄성을 가진 금속재질의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촉매컨버터를 내장한 제1조립체측에 제2 및 제3 조립체가 분리가 용이하게 결합됨으로써, 촉매컨버터, 흡음재, 인렛튜브, 아웃렛튜브, 테일파이프 등의 교체 내지 수리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아웃렛튜브와 테일파이프의 분리가능한 조립부분에 대한 밀봉성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소음기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음기 모듈은 내부에 촉매컨버터(15)가 설치된 제1조립체(10), 제1조립체(10)의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조립체(20), 제1조립체(10)의 타단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조립체(30)를 포함한다.
제1조립체(10)는 케이스(11), 케이스(11) 내에 구비된 복수의 배플(12, 13, 14), 복수의 배플(12, 13, 14)을 관통하여 설치된 아웃렛튜브(16) 및 하나 이상의 촉매컨버터(15) 등을 구비하고, 케이스(11)의 양단 가장자리에는 플랜지(11a, 11b)가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배플(12, 13, 14)들은 아웃렛튜브(16) 및 하나 이상의 촉매컨버터(15)를 지지하고, 촉매컨버터(15)는 디젤산화촉매(15a, Diesel Oxidation Catalyst), 입자상물질 흡장촉매(15b) 등으로 이루어진다. 아웃렛튜브(16)는 그 일측 외주면에 외측튜브(16a)가 구비되고, 이 외측튜브(16a)와 아웃렛튜브(16) 사이에는 흡음재(16b)가 내장되며, 아웃렛튜브(16)의 일측 외주면에는 흡음재(16b)와 소통하는 복수의 제1미세공(16c)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웃렛튜브(16)의 하류에는 소음 내지 진동의 감쇄를 위한 복수의 제2미세공(16d)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조립체(20)는 케이스(21), 케이스(21)의 일단에 구비된 단부플레이트(22), 케이스(21)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배플(23), 배플(23)을 관통하여 설치된 이상의 인렛튜브(24) 및 테일파이프(25), 단부플레이트(22)의 외측에 배치된 장착용 보강판(26), 케이스(21)의 타단 가장자리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 플랜지(21a) 등을 구비한다.
배플(23)은 복수의 소통공(23a)을 가지고, 인렛튜브(24)를 통해 유입된 배기 가스는 배플(23)의 소통공(23a)을 통과함으로써 촉매컨버터(15)측에 균일하게 분배되어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배플(23)은 단부플레이트(22) 및 인렛튜브(24) 등을 지지할 수 있다.
인렛튜브(24)는 그 일단이 개방됨으로써 배기가스의 유입구(24a)를 형성하고, 그 타단(24b)은 폐쇄된다. 인렛튜브(24)의 일측 외주면에는 복수의 소통공(24c)이 형성되며, 인렛튜브(24)를 통해 유입된 배기가스는 인렛튜브(24)의 소통공(24c) 및 배플(23)의 소통공(23a)을 통과하여 촉매컨버터(15)로 유입되며, 이와 같이 배기가스가 소통공(24c, 23a)을 통과하는 도중에 각종 소음 내지 진동이 저감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일파이프(25)의 단부(25a)와 아웃렛튜브(16)의 단부(16f)는 상호 소통되게 연결되고, 테일파이프(25)의 단부(25a) 및 아웃렛튜브(16)의 단부(16f)는 상호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테일파이프(25)의 단부(25a) 및 아웃렛튜브(16)의 단부(16f)에는 환형의 실링부재(19)가 설치된다. 환형의 실링부재(19)는 스테인레스 등과 같이 탄성을 가진 금속재질의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실링부재(19)에 의해 아웃렛튜브(16)와 테일파이프(25)의 연결부분(25a, 16f)은 견고한 결합력 및 밀봉성이 확실하게 보장될 수 있다.
제3조립체(30)는 케이스(31), 케이스(31)의 일단에 구비된 단부플레이트(32), 단부플레이트(32)의 내측에 배치된 배플(33), 단부플레이트(32) 및 배플(33) 사이에 개재된 흡음재(34), 케이스(31)의 타단 가장자리에 용접에 의해 결 합된 플랜지(31b) 등을 구비한다. 흡음재(34)은 촉매컨버터(15)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아웃렛튜브(16)로 유입되는 도중에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소음 내지 진동을 흡수하여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배플(33)에는 복수의 소통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흡음재(34)의 흡음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1조립체(10)와 제2조립체(20)는 상호 접촉하는 플랜지(11a, 21a)가 체결구(46)에 의해 볼팅됨으로써 결합되며, 제1조립체(10)와 제3조립체(30)는 그 상호 접촉하는 플랜지(11b, 31b)가 체결구(47)에 의해 볼팅됨으로써 결합되고, 테일파이프(24)는 아웃렛 튜브(16)측에 실링재(24a) 등을 통해 밀봉적으로 결합된다.
이러한 제1조립체(10), 제2조립체(20), 제3조립체(30)의 결합에 의해 소음기 모듈(100)의 조립이 완료되고, 이 소음기 모듈(100)의 외면에는 히트쉴드(미도시)가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 모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기 모듈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화살표 C를 따라 도시한 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제1조립체 20: 제2조립체
15: 촉매컨버터 30: 제3조립체

Claims (5)

  1. 삭제
  2.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복수의 배플, 및 복수의 배플을 관통하여 설치된 아웃렛튜브 및 하나 이상의 촉매컨버터를 가진 제1조립체;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된 단부플레이트, 상기 케이스 내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배플, 상기 배플을 관통하여 설치된 이상의 인렛튜브 및 테일파이프, 상기 단부플레이트의 외측에 배치된 장착용 보강판을 가지고, 상기 배플은 복수의 소통공을 가지며, 상기 제1조립체의 일단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2조립체; 및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 구비된 단부플레이트, 상기 단부플레이트의 내측에 배치된 배플, 상기 단부플레이트 및 배플 사이에 개재된 흡음재를 가지고, 상기 제1조립체의 타단에 분리가능하게 조립되는 제3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조립체의 양단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조립체의 타단 가장자리에는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제3조립체의 타단 가장자리에 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제1조립체의 각 플랜지에 제2조립체의 플랜지 및 제3조립체의 플랜지가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파이프의 단부와 아웃렛튜브의 단부는 상호 소통되게 연결되고, 상기 테일파이프의 단부 및 아웃렛튜브의 단부는 상호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테일파이프의 단부 및 아웃렛튜브의 단부 사이에는 환형의 실링부재가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의 실링부재는 탄성을 가진 금속재질의 와이어메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기 모듈.
KR1020080054576A 2008-06-11 2008-06-11 소음기 모듈 Expired - Fee Related KR100981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576A KR100981980B1 (ko) 2008-06-11 2008-06-11 소음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576A KR100981980B1 (ko) 2008-06-11 2008-06-11 소음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700A KR20090128700A (ko) 2009-12-16
KR100981980B1 true KR100981980B1 (ko) 2010-09-13

Family

ID=41688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57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1980B1 (ko) 2008-06-11 2008-06-11 소음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9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51483B1 (en) * 2010-03-23 2017-06-14 Yanmar Co., Ltd. Exhaust gas purification device
US9828898B2 (en) 2015-10-29 2017-11-28 Hyundai Motor Company Optimized structure for integrated catalytic muffle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905A (ja) 2001-04-27 2002-11-08 Mitsubishi Motors Corp 排気マフラー
KR100525771B1 (ko) * 2004-11-01 2005-11-02 세종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정화장치 삽입형 소음기
JP2006189007A (ja) 2005-01-07 2006-07-20 Sankei Giken Kogyo Co Ltd エンジン用マフラ
KR20070072620A (ko) * 2004-11-25 2007-07-0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내연기관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22905A (ja) 2001-04-27 2002-11-08 Mitsubishi Motors Corp 排気マフラー
KR100525771B1 (ko) * 2004-11-01 2005-11-02 세종공업 주식회사 배기가스 정화장치 삽입형 소음기
KR20070072620A (ko) * 2004-11-25 2007-07-04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내연기관의 배기 가스 정화 장치
JP2006189007A (ja) 2005-01-07 2006-07-20 Sankei Giken Kogyo Co Ltd エンジン用マフ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700A (ko) 2009-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85751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538700B2 (ja) エンジン装置
WO2011118527A1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285366B2 (ja) エンジン装置
JP2010071184A5 (ko)
WO2010032648A1 (ja) エンジン装置
JP2009091982A (ja) 排気浄化装置
KR100981980B1 (ko) 소음기 모듈
JP4963304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09091983A (ja) 排気浄化装置
JP2010071207A5 (ko)
JP5468106B2 (ja) エンジン装置
JP5164762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0071182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285369B2 (ja) エンジン装置
JP5550958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285368B2 (ja) エンジン装置
JP5235575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923543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2013064408A (ja) エンジン装置
JP2013100829A (ja) 排気ガス浄化装置
JP5509258B2 (ja) エンジン装置
JP5269007B2 (ja) エンジン装置
KR100525767B1 (ko) 내연기관용 배기계의 보호판
JP5443530B2 (ja) 排気ガス浄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90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