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962B1 - Jig for cutting workpiece - Google Patents
Jig for cutting workpie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1962B1 KR100981962B1 KR1020080059552A KR20080059552A KR100981962B1 KR 100981962 B1 KR100981962 B1 KR 100981962B1 KR 1020080059552 A KR1020080059552 A KR 1020080059552A KR 20080059552 A KR20080059552 A KR 20080059552A KR 100981962 B1 KR100981962 B1 KR 1009819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tting
- workpiece
- diagonal
- pedestal
- ji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bed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s or saw carriers; of frames
- B23D51/025—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bed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s or saw carriers; of frames of arrangements for guiding the saw blade
- B23D51/026—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bed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s or saw carriers; of frames of arrangements for guiding the saw blade by plural opposed guide surfa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1/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 B23D51/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bed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s or saw carriers; of frames
- B23D51/03—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working with straight blades, characterised only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particular parts; Carrying or attaching means for tools, covered by this subclass, which are connected to a carrier at both ends of beds; of guiding arrangements for work-tables or saw carriers; of frames with extensible or collapsible frames ; Frames with spare blade stor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vetailed Work, And Nailing Machines And Stapling Machines For Wood (AREA)
- Jig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판재나 프레임 등의 가공물을 절곡 부위에서 이음 결합할 때 서로 이음 결합되는 각 단부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물 절단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가공물을 지지하는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의 상부 방향으로 대향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12, 14);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12, 14) 중 제1 연장부(12)에는 사선형 절개홈(12a, 12b)이 형성되고, 제2 연장부(14)에는 상기 사선형 절개홈(12a, 12b)의 사선 절개 방향과 대응되게 사선형 절개홈(14a, 14b)이 각기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12)의 사선형 절개홈(12a, 12b)의 사선 절개 방향과 대응되게 상기 제2 연장부(14)의 사선형 절개홈(14a, 14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for cutting a workpiece, which allows to easily cut each end to be jointed with each other at a desired angle when jointing the workpiece, such as a plate or frame at the bent portion, the support 10 for supporting the workpiece ; A pair of extension parts 12 and 14 extending in an upward direction of the pedestal 10; a first cutout part 12 of the extension parts 12 and 14 is provided in a diagonal cut groove. 12a and 12b are formed, and in the second extension part 14, diagonal cut grooves 14a and 14b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diagonal cutting directions of the diagonal cut grooves 12a and 12b, respectively. The oblique incision grooves 14a and 14b of the second extension part 14 ar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oblique incision directions of the oblique incision grooves 12a and 12b of the first extension part 12.
몰딩 절단, 가공물 재단, 지그 Molding Cutting, Workpiece Cutting, Jig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공물 절단용 지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이음 결합되는 판재 등의 가공물의 양 단부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물 절단용 지그.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jig for cutting a workpiece, and more particularly, a jig for cutting a workpiece so that both ends of a workpiece, such as a plate material, which are jointly coupled to each other, can be easily cut at a desired angle.
벽면의 하부에는 벽면과 바닥면을 구분하거나 바닥면을 청소하기 위한 걸레 등에 의해 벽면에 이물질이 묻어 더러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닥면과 맞닿는 벽면을 따라 띠 형상의 판재가 부가적으로 부착되거나 볼트 등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판재는 알루미늄, PVC, WPC, 나무 등의 가공물로서 매우 다양한 색상과 문양을 가지고 있다.A strip-shaped plate is additionally attached along the wall contacted with the floor to prevent dirt from being stained on the wall by separating a wall from the floor or a mop for cleaning the floor. It is installed so that detachment is possible. The plate is a work piece of aluminum, PVC, WPC, wood and the like and has a wide variety of colors and patterns.
또 벽면의 상부에도 벽면과 천정면을 구분하거나 미려한 외관을 위하여 벽면과 천장면이 이루는 모서리에는 띠 형상의 판재가 부가 설치된다. In addition, a strip-shaped plate is attached to the top of the wall at the corner formed by the wall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to distinguish the wall surface and the ceiling surface or to have a beautiful appearance.
이와 같이 벽면을 따라 부착되거나 설치되는 판재는 모서리의 절곡 부위에서 서로 이음 결합되게 되는데, 이 이음부는 이음 결합되는 다른 판재의 단부와 상호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절단된 후 이어 붙여지게 된다.In this way, the plate is attached or installed along the wall is to be jointed to each other at the bent portion of the corner, this joint is cut to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end of the other plate to be bonded to each other and then joined.
대개 벽면 절곡면에 설치되는 판재의 이음부는 절곡 부위가 이루는 각도에 맞게 각기 절단된 후 서로 이음 결합되는 것이다.In general, the joints of the plate installed on the bent surface of the plate is jointed to each other after each cut to the angle formed by the bent portion.
또 삼각형이나 사각형 모양으로 된 액자틀을 구성하는 각 프레임도 서로 이음 결합되게 되는데, 각 프레임의 단부도 상기한 바와 같이 벽면의 절곡 부위에 이음 결합되는 판재와 같이 서로 이음 결합되는 다른 프레임의 단부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절단된 후 사용되게 된다. In addition, each frame constituting the frame of the triangle or square shape is also jointed with each other, the end of each frame is also joined to the end of the other frame jointed with each other, such as a plate jointed to the bent portion of the wall as described above It is used after being cut to have a corresponding shape.
그런데, 작업 현장의 작업자는 작업 과정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벽면의 절곡 부위가 나타나게 되면 단부를 판재를 절단할 때 절단 각도를 눈대중으로 계산한 뒤 톱날이나 커터칼을 이용하여 절단하게 되므로 판재의 단부를 원하는 각도로 절단하기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By the way, the worker at the work site, when the bending portion of the wall surface appears as described above in the course of the work, the end angle of the plate is cut using a saw blade or cutter knife after calculating the cutting angle as the eye mass when cutting the plate.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ot easy to cut at a desired angle.
예컨대, 90도로 절곡되는 절곡 부위에 서로 이음 결합되는 판재의 단부는 각기 45도로 절단되어야 양 단부가 서로 정확하게 맞닿게 되는데, 작업자가 눈대중으로 단부를 절단하기 때문에 단부가 서로 정확히 맞닿지 않게 되어 어긋나면서 원치 않는 공간부가 생기는 문제가 종종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For example, the ends of the plate jointed to each other at the bending portion bent 90 degrees to be cut each 45 degrees so that both ends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precisely, because the operator cuts the ends with the eyeball, the ends do not touch each other exactly Problems with unwanted spaces often occur.
이렇게 이음 결합되는 이음부가 서로 맞닿지 않게 되면 이음 부위가 투박하고 깔끔한 마감 처리가 되지 못하여 미관상 하자로 지적되는 것이다.If the joints that are joined like this do not come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he joints are pointed out as aesthetic defect because they are not coarse and have a clean finish.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판재나 프레임 등의 가공물을 절곡 부위에서 이음 결합할 때 서로 이음 결합되는 각 단부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하는 가공물 절단용 지그를 제공하고자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jig for cutting the workpiece to be able to easily cut each end to be jointed with each other at a desired angle when jointing the workpiece, such as a plate or frame at the bent portion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수단들을 구비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mean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본 발명은 가공물을 지지하는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의 상부 방향으로 대향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12, 14);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12, 14) 중 제1 연장부(12)에는 사선형 절개홈(12a, 12b)이 형성되고, 제2 연장부(14)에는 상기 사선형 절개홈(12a, 12b)의 사선 절개 방향과 대응되게 사선형 절개홈(14a, 14b)이 각기 형성되며, 상기 제1 연장부(12)의 사선형 절개홈(12a, 12b)의 사선 절개 방향과 대응되게 상기 제2 연장부(14)의 사선형 절개홈(14a, 14b)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a
또한 본 발명은 소정 폭을 가지는 사각면체 형상의 받침대(40); 상기 받침대(40)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는 제1, 제2 연장부(42, 44); 상기 받침대(40)의 타측 측부에 설치되는 제3, 제4 연장부(46, 48); 상기 제3, 제4 연장부(46, 48)의 사이에 개재되는 사선 축 조정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42, 44, 46, 48) 중 제1 연장부(42)와 제3 연장부(46)에는 서로 대응되는 사선형 절개홈(42a, 46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2 연장부(44)와 제4 연장부(48)에는 서로 대응되는 사선형 절개홈(44a, 48a)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rectangular
본 발명은 판재나 프레임 등의 가공물을 절곡 부위에서 이음 결합할 때 서로 이음 결합되는 각 단부를 원하는 각도로 용이하게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작업 효율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make it possible to easily cut and use each end to be jointed with each other at a desired angle when jointing the workpiece, such as a plate or frame at the bent portion, there is an effect to increase the work efficiency.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절단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지그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지그의 사용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절단용 지그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절단용 지그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가공물 절단용 지그의 결합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가공물 절단용 지그의 부적절한 결합 상태 예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for cutting a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the jig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n illustration of the use of the jig shown in Figure 1, Figure 4 is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cutting ji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orkpiece cutting jig according to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7 is an illustration of an inappropriate coupling state of the jig for cutting a workpiece shown in FIG. 6.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절단용 지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공물을 지지하는 받침대(10), 상기 받침대(10)의 상부 방향으로 대향되게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12, 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Jig for cutting the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상기 연장부(12, 14) 중 제1 연장부(12)에는 사선형 절개홈(12a, 12b)이 형성되고, 제2 연장부(14)에는 상기 사선형 절개홈(12a, 12b)의 사선 절개 방향과 대응되게 사선형 절개홈(14a, 14b)이 각기 형성되게 된다.
상기 제1 연장부(12)의 사선형 절개홈(12a, 12b)의 사선 절개 방향과 대응되게 상기 제2 연장부(14)의 사선형 절개홈(14a, 14b)이 형성되게 된다. The
또 상기 받침대(10)의 상부면(10a)에는 상기 사선형 절개홈(10a, 10b)과 사선 축(절개홈이 형성하는 사선의 방향을 나타냄)이 일치되도록 사선홈(10c)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상기 제1 연장부(12)의 사선형 절개홈(12a, 12b)과 상기 제2 연장부(14)의 사선형 절개홈(14a, 14b)의 사선 절개 방향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및 제2 연장부(12, 14)의 사선형 절개홈(12a, 12b, 14a, 14b)이 이루는 사선 방향은 30도, 40도, 50도, 60도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oblique incision direction of the
상기 받침대(10)의 상부 면(10a)은 미끄럼 방지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미끄럼 방지부재는 받침대(10)에 놓인 가공물이 절단 과정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The
또 상기 받침대(10)의 하부 면(10b)에도 미끄럼 방지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단 과정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그가 움직이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non-slip member is further provided on the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절단형 지그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workpiece-cutt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
즉, 본 발명에 따른 지그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10)와 제1, 제2 연장부(12, 14)가 일체로 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대(30)와 제3, 제4 연장부(32, 34)가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at is, the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상기 제3, 제4 연장부(32, 34)는 볼트(36)에 의해 받침대(30)에 고정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제4 연장부(32, 34)에는 볼트(36)에 대응되게 볼트구멍(36a)이 형성되고, 상기 받침대(30)에도 볼트(36)에 대응되는 볼트구멍(36b)이 형성되어 있어야 할 것이다.The third and
또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절단형 지그는 도 5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지그는 받침대(40)와 제5 내지 제8 연장부(42, 44, 46, 48), 사선 축 조정부재(50)가 구비되어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piece-cutt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as shown in FIGS. 5 and 6. That is, the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이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지그는, 소정 폭을 가지는 사각면체 형상의 받침대(40), 상기 받침대(40)의 일측 측부에 설치되는 제5, 제6 연장부(42, 44), 상기 받침대(40)의 타측 측부에 설치되는 제7, 제8 연장부(46, 48), 상기 제7, 제8 연장부(46, 48)의 사이에 개재되는 사선 축 조정부재(50)가 구비되고, 상기 연장부(42, 44, 46, 48) 중 제5 연장부(42)와 제7 연장부(46)에는 서로 대응되는 사선형 절개홈(42a, 46a)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6 연장부(44)와 제8 연장부(48)에는 서로 대응되는 사선형 절개홈(44a, 48a)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more detail, the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받침대(40)의 상부 면에는 상기 사선형 절개홈(42a와 46a 또는 44a와 48a)의 사선 축 방향과 동일한 사선 축을 가지는 사선 홈(40a, 40b)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가공물 절단 과정에서 절단기가 가공물을 관통하여 사선 홈(40a)까지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가공물 절단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It is preferable that
상기 제7, 제8 연장부(46, 48)의 일측부에는 각각 홈(46b, 46c, 48b, 48c)이 형성되고, 상기 사선 축 조정부재(50)의 양 측부에는 상기 제7, 제8 연장부(46, 48)의 홈(46b, 46c, 48b, 48c)에 대응되는 돌기(52a, 52b, 52c, 52d)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선 축 조정부(50)는 볼트 등에 의해 받침대(40) 또는 연장부(46, 48)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받침대(40)와 연장부들(42, 44, 46, 48)은 볼트 등에 의해 서로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이는 가공물의 폭에 적절하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가공물의 폭에 따라 받침대(40)의 폭 또는 받침대(40)의 양측에 고정되는 양 연장부(42와 46 또는 44와 48)의 간격도 넓어져야 가공물 절단 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On the other hand, the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받침대(40)의 폭이 넓어지게 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측의 연장부들(42와 46 또는 44와 48)에 형성된 사선형 절개홈들(42s와 46a 또는 44a와 48a)이 가지는 사선 축이 방향이 서로 어긋나게 되는 경우(이 사선 축을 2점 쇄선으로 도시하였음)가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Here, the important thing is that when the width of the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7, 제8 연장부(46, 48)의 사이에 서로 다른 폭을 가지는 사선 축 조정부재(50)를 개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사선 축 조정부재(50)는 상기 받침대(40)의 폭이 넓어지게 되면 이에 대응되게 넓어지는 사선 축 조정부재(50)를 개재할 수 있도록 하여 사선형 절개홈들(42와 46 또는 44와 48)이 이루는 사선 축이 서로 어긋나지 않게 정렬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agonal
상기한 바와 같이 가공물의 폭이 넓어짐에 따라 더 넓은 폭을 가지는 받침 대(40)를 사용하여 양측에 연장부들(42, 44, 46, 48)을 고정하였을 때 받침대(40)의 폭에 대응되는 폭을 가지는 사선 축 고정부재(50)를 개재함으로써 사선 축을 정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widths of the workpieces are widened, when the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절단용 지그는 제5 내지 제8 연장부(42, 44, 46, 48)의 사선형 절개홈(42a, 44b, 46a, 48b)이 이루는 사선 축 방향이 30도, 40도, 50도, 60도 등 다양하게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받침대(40)의 양측에 작업자의 의도에 맞는 사선형 절개홈이 형성된 연장부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cutting ji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diagonal axial direction formed by the
한편, 상기 제1 내지 제4 연장부(42, 44, 46, 48)의 사선형 절개홈(42a, 44a, 46a, 48a)의 사선 절개 방향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diagonal cutting direction of the
그리고 상기 받침대(40)의 상부 면과 하부 면은 미끄럼 방지부재가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nd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reciated that eggplant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are possib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공물 절단용 지그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for cutting a work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지그의 사용 예시도.FIG. 2 is a view illustrating use of the jig illustrated in FIG. 1. FIG.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지그의 사용 예시도.3 is an exemplary view of use of the jig shown in FIG. 1.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절단용 지그의 사시도.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jig for cutting a work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공물 절단용 지그의 분해 사시도.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jig for cutting a workpie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가공물 절단용 지그의 결합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upling of the jig for cutting the workpiece shown in FIG.
도 7은 도 6에 도시한 가공물 절단용 지그의 부적절한 결합 상태 예시도.Figure 7 is an illustration of an inappropriate coupling state of the jig for cutting the workpiece shown in FIG.
* 도면 주요부의 간단한 부호 설명* Brief description of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받침대 10a, 10b : 받침대 상하부면10:
10c : 받침대 사선홈 12, 14 : 제1, 제2 연장부10c: pedestal
12a, 12b, 14a, 14b : 사선형 절개홈12a, 12b, 14a, 14b: diagonal cut groove
16 : 절단기 18 : 가공 전 몰딩재16: cutting machine 18: molding material before processing
20 : 가공 후 몰딩재 22 : 절단면20: molding material after processing 22: cutting surface
30 : 받침대 32, 34 : 제3, 제4 연장부30:
36 : 볼트 36a : 볼트구멍36:
40 : 받침대 40a, 40b : 받침대 사선홈40:
42, 44, 46, 48 : 제5 내지 제8 연장부42, 44, 46, and 48: fifth to eighth extensions
42a, 44a, 46a, 48a : 사선형 절개홈42a, 44a, 46a, 48a: diagonal incision groove
46b, 46c, 48b, 48c : 홈46b, 46c, 48b, 48c: home
50 : 사선 축 조정부재 52a ~ 52d : 돌기50: diagonal
54 : 볼트 54a, 54b : 볼트구멍54: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9552A KR100981962B1 (en) | 2008-06-24 | 2008-06-24 | Jig for cutting workpie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9552A KR100981962B1 (en) | 2008-06-24 | 2008-06-24 | Jig for cutting workpie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162A KR20100000162A (en) | 2010-01-06 |
KR100981962B1 true KR100981962B1 (en) | 2010-09-14 |
Family
ID=41810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955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1962B1 (en) | 2008-06-24 | 2008-06-24 | Jig for cutting workpie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1962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9128B1 (en) | 2020-12-14 | 2023-08-21 | 김재봉 | A Punching Jig Apparatus for Cutting a portion of a Pip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00755A (en) | 1979-11-05 | 1981-11-17 | Potvin Alfred M | Miter box construction with clamp means |
US4461196A (en) | 1982-09-29 | 1984-07-24 | Schramm Ii William M | Mitre box system for cutting compound angles |
JPH0539902U (en) * | 1991-10-28 | 1993-05-28 | 山崎教育機材株式会社 | Assembled saw jig |
US5813306A (en) * | 1995-06-01 | 1998-09-29 | Great Neck Saw Manufacturers, Inc. | Mitre box or similar article |
-
2008
- 2008-06-24 KR KR1020080059552A patent/KR100981962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00755A (en) | 1979-11-05 | 1981-11-17 | Potvin Alfred M | Miter box construction with clamp means |
US4461196A (en) | 1982-09-29 | 1984-07-24 | Schramm Ii William M | Mitre box system for cutting compound angles |
JPH0539902U (en) * | 1991-10-28 | 1993-05-28 | 山崎教育機材株式会社 | Assembled saw jig |
US5813306A (en) * | 1995-06-01 | 1998-09-29 | Great Neck Saw Manufacturers, Inc. | Mitre box or similar artic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00162A (en) | 2010-0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485197B2 (en) | Flooring | |
RU2010114465A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NEL BEFORE THE WHOLE FLOOR PANEL | |
US20130192721A1 (en) | Method for Joining Workpieces Together and Product Made Thereby | |
US20110011026A1 (en) | Floor panels, floor covering composed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floor panels | |
KR101579965B1 (en) | Repairable deck clip | |
JP2820529B2 (en) | Frame and frame mold assembly equipment | |
JP2007009412A (en) | Floor material connecting metal fitting and floor material connecting method | |
CN109421253A (en) | Forming platform of three-dimensional printing device | |
KR100981962B1 (en) | Jig for cutting workpiece | |
KR101779674B1 (en) | Repairable a clip and use of the clip for repair of deck | |
KR102086283B1 (en) | Foldable worktable for cutting plate | |
US20030046881A1 (en) | Standardized arched jamb assembly and method | |
US10759040B2 (en) | Bar support for positioning a portion of a sheet material during sawing | |
KR20180000489U (en) | Moving zig for wood slitting machine | |
KR101952514B1 (en) | Foldable worktable for multipurpose | |
JP3848666B2 (en) | Floor material and laying structure of this floor material | |
CA2540905A1 (en) | Universal staircase tool | |
KR100321684B1 (en) | Table for woodworker | |
KR200296658Y1 (en) | A sectional floor | |
JP2020172753A (en) | Fence connector and fence | |
KR101451034B1 (en) | A coupling device for worktable | |
JP2681608B2 (en) | Construction member joining equipment | |
US2003010640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tongue and groove joints | |
JP2001146809A (en) | Floor framing structure of wooden building | |
WO2015063442A1 (en) | Improvements in worktop corner joint tri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2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0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90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