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1776B1 -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 Google Patents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776B1
KR100981776B1 KR1020080125318A KR20080125318A KR100981776B1 KR 100981776 B1 KR100981776 B1 KR 100981776B1 KR 1020080125318 A KR1020080125318 A KR 1020080125318A KR 20080125318 A KR20080125318 A KR 20080125318A KR 100981776 B1 KR100981776 B1 KR 100981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a
frame
door
drive link
lin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833A (ko
Inventor
고경호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1253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77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8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8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7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5Housing aspects of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10Mechanical details
    • G07D11/14Inlet or outlet por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는 프레임(30)에 도어(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30)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한다. 상기 프레임(30)에는 트레이구동원(70)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링크(74)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74)의 회전에 연동하여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60)에는 상기 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가 일면에 집적되며, 상기 트레이베이스(60)는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링크(74)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되어 회수함(90)으로 매체를 회수시킨다. 한편, 상기 도어(40)에는 스토퍼(80)가 설치되어 상기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74)에 형성된 스토핑슬롯(78)의 일단에 스토핑돌기(82)가 걸어져 상기 구동링크(74)의 회전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트레이베이스가 회전되어 회수함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베이스를 회전시키는 구동링크가 스토퍼 및 록킹링크에 걸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는 과정에서 회수함이 개방되어 고객이 회수함에 집적된 매체를 수취할 수 없으므로 매체자동지급기의 보안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매체자동지급기, 고객접근, 회수함

Description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A customer access module for media dispenser}
본 발명은 매체자동지급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체를 고객이 수취하여 가져가도록 하기 위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 관한 것이다.
매체자동지급기는 현금, 수표, 전표, 영수증, 각종 용지 등의 매체를 지급하거나 수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매체자동지급기의 일예로서, 금융자동화기기(Automated-Teller Machine)를 들 수 있다.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창구를 거치지 않고 고객이 직접 현금이나 수표 등을 입금 또는 출금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금융자동화기기는, 은행 업무의 효율화와 고객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측면구성도이고,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서 매체가 회수함으로 회수되는 것을 보인 측면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1)에는 매체보관함(도시되지 않음), 상기 매체보관함에서 매체(m)를 인출하여 이송하는 피드모듈(도시되지 않음), 상기 피드모듈를 지나온 매체(m)를 이송하는 딜리버리모듈(3)과, 딜리버리모듈(3)를 통과한 매체(m)를 모아 고객에게 전달하는 고객접근모듈(10)을 포함한다. 상기 딜리버리모듈(3)과 피드모듈등에서는 매체(m)를 이송롤러(5)와 벨트(7) 등을 사용하여 이송한다.
여기서, 고객접근모듈(10)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고객접근모듈(10)의 외관을 프레임(12)이 형성한다. 상기 프레임(12)은 매체자동지급기(1) 전체의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2)에 의해서는 고객접근모듈(10)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2)에는 도어(14)가 설치되는데, 상기 도어(14)는 고객접근모듈(10) 내부의 공간을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고객접근모듈(10)의 전면에 형성된 입구부(13)를 선택적으로 차폐한다. 상기 도어(14)는 그 회전중심에 설치된 도어모터(15)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도어모터(15)는 정역회전하면서 상기 도어(14)를 개폐한다.
상기 도어(14)에 의해 개폐되는 공간에는 트레이베이스(16)가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16)는 대략 장방형의 사각판 형상으로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12)측에 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양단 중간부에는 구동돌기(17')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기(17')는 상기 프레임(12) 측에 구비되는 가이드채널(18)을 따라 안내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구동을 위한 트레이모터(20)가 상기 프레임(12) 측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모터(2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2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21)와 치합되게 종동기어(22)가 구비된다.
상기 종동기어(22)에는 구동링크(2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링크(24)는 그 일단부가 상기 종동기어(22)의 회전중심과 동심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타단부에는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구동돌기(17')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연동슬롯(24')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트레이베이스(16)를 구동하기 위한 구성은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양단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고객접근모듈(10)의 하부에는 회수되는 매체(m)를 모으는 회수함(26)이 구비된다. 상기 회수함(26)에는 상기 트레이베이스(16)로 전달되었으나 고객이 가져가지 않은 매체(m)를 회수하는 부분이다.
도면부호 28은 트레이베이스(16)의 초기위치 및 매체(m)를 회수함(26)으로 비운 후 리턴되는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28'는 트레이베이스(16)가 매체(m)를 비우기 위해 완전히 회전된 상태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매체보관함에서 피드모듈과 딜리버리모듈(3)을 통과하여 전달된 매체(m)는 상기 트레이베이스(16) 상에 적층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16)에 원하는 매수의 매체(m)가 적층되면, 상기 도어모터(15)가 구동하여 상기 도어(14)를 개방시킨다. 상기 도어(14)가 상부로 회전되어 올라가면 상기 입구부(13)가 개방되면서 상기 트레이베이스(16)에 적층된 매체(m)에 고객의 손이 접근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트레이베이스(16)에 적층된 매체(m)를 고객이 일정 시간 이상 수취하지 않게 되면, 상기 도어(14)가 폐쇄된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베이스(16)에 적층된 매체(m)는 상기 회수함(26)으로 보낸다.
즉, 상기 도어(14)를 닫은 후, 상기 트레이모터(20)가 구동되어 상기 구동링크(24)가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트레이베이스(16)를 상기 힌지축(17)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링크(24)의 동작에 의해 상기 구동돌기(17')가 상기 연동슬롯(24')과 가이드채널(18)을 동시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트레이베이스(16)를 회전시킨다.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회전은 상기 센서(28')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계속되고,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회전에 의해 상기 매체(m)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수함(26)으로 낙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16)의 회전이 상기 센서(28')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트레이모터(20)는 반대방향으로 구동되기 시작한다.
상기 트레이모터(20)의 반대방향 구동에 의해 상기 트레이베이스(16)는 힌지축(17)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 센서(28)에 의해 감지될 때까지 회전된다. 그리고, 고객접근모듈은 다시 상기 피드모듈과 딜리버리모듈(3)에 의해 매체(m)를 전달받는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고객의 매체 수취가 끝난 후에 상기 트레이베이스(16)는 상기 센서(28)에 감지될 때까지 회전된다. 이때, 상기 센서(28)에 노이즈 등의 이상이 발생하면 상기 트레이베이스(16)가 제 위치까지 회전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고객의 수취 요청이 있게 되어 상기 도어(14)가 개방되어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베이스(16)가 가이드슬롯(18)을 따라 회전되어 회수함(26)이 개방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트레이베이스(16)에 집적된 매체가 회수함(26)으로 빠지게 되고, 고객이 회수함(26)에 집적된 매체를 회수해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트레이베이스가 회전되어 회수함을 개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트레이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가 일면에 집적되며,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링크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되어 회수함으로 매체를 회수시키는 트레이베이스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에 형성된 스토핑슬롯의 일단에 스토핑돌기가 걸어져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제 2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록킹링크가 설치되 고, 상기 록킹링크의 일단에 구비된 록킹핀은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토핑슬롯은,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핑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스토핑슬롯과; 상기 트레이베이스가 상기 회수함을 향하여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핑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스토핑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트레이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가 일면에 집적되며,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링크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되어 회수함으로 매체를 회수시키는 트레이베이스와; 상기 프레임에 별도의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걸어져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을 방지하는 록킹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킹링크의 일단에는 록킹핀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트레이베이스가 회전되어 회수함이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베이스를 회전시키는 구동링크가 스토퍼 및 록 킹링크에 걸어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는 과정에서 회수함이 개방되어 고객이 회수함에 집적된 매체를 수취할 수 없으므로 매체자동지급기의 보안이 강화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서 구동링크가 스토핑된 상태를 보인 측면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매체자동지급기의 선단 측에는 고객접근모듈이 설치된다. 상기 고객접근모듈은 고객이 원하는 매체(m)를 고객이 수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객접근모듈에는 프레임(3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30)은 일반적으로 판상의 것이 양단에 그 사이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고, 각각의 프레임(30)과 상기 공간에는 매체(m)를 방출하기 위한 각종 부품이 설치된다.
상기 고객접근모듈로 이송되는 매체(m)는 이송롤러(32)와 시트롤러(34)에 의해 상기 프레임(30)의 공간으로 인입된다. 상기 시트롤러(34)의 회전축에는 다수개의 스태킹휠(36)이 구비되어 상기 매체(m)를 밀어 상기 공간으로 잘 집적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프레임(30)의 선단에는 도어(4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40)는 상기 프레임(30)의 선단에 형성되는 입구를 개폐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도어(4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부채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도어(40)의 내면 일측에는 걸림돌기(41)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30)에는 상기 도어(40)의 내측에 인접하게 도어레버(42)가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도어레버(42)는 상기 도어(40)의 걸림돌기(41)에 선택적으로 걸어져 도어(40)를 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돌기(41)에 걸어져 도어(40)가 개방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한다.
상기 도어레버(42)의 일측에는 레버슬롯(42')이 형성되고, 상기 레버슬롯(42')에는 상기 프레임(30)에 구비된 레버핀(44)이 삽입되어 안내된다.
상기 도어(40)는 도어모터(46)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도어모터(46)는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도어(40)를 개폐시켜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도어모터(46)에는 감지휠(50)이 구비된다. 상기 감지휠(50)은 상기 도어모터(46)의 구동에 의해 도어(40)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감지휠(50)은 상기 도어(40)가 과도하게 회전되거나 덜 회전되는 지 여부를 확인한다.
상기 프레임(30)에는 제 1솔레노이드(52)가 구비된다. 상기 제 1솔레노이드(52)는 상기 도어(40)의 록킹에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솔레노이드(52)에는 제 1플런저(53)가 제 1솔레노이드(52)의 구동에 의해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플런저(53)의 선단 일측은 상기 도어레버(42)의 일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1플런저(53)는 제 1솔레노이드(52)의 구동에 의해 상기 도어레버(42)와 함께 이동되면서 도어레버(42)가 도어(40)에 록킹/언록킹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30)에는 제 2솔레노이드(54)가 구비된다. 상기 제 2솔레노이드(54)는 아래에서 설명될 구동링크(74)를 록킹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솔레노이드(54)에는 제 2플런저(55)가 제 2솔레노이드(54)의 구동에 의해 내외부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플런저(55)의 선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록킹링크(56)의 일측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제 2플런저(55)는 상기 제 2솔레노이드(54)의 구동에 의해 상기 록킹링크(56)와 함께 이동되면서 구동링크(74)가 록킹/언록킹되도록 한다.
상기 록킹링크(56)는 상기 프레임(30)의 일측에 상기 제 2플런저(55)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링크(56)의 일측에는 연동슬롯(56')이 형성되고, 상기 연동슬롯(56')에는 상기 프레임(30)에 구비된 연동핀(57)이 삽입되어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록킹링크(56)의 일측에는 구동링크(74)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지는 록킹핀(58)이 구비된다. 상기 록킹핀(58)은 매체(m)의 회수시에 상기 제 2플런저(55)와 함께 이동되면서 걸림이 해제되어 상기 구동링크(74)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프레임(30)에는 트레이베이스(60)가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60)는 대략 장방형의 사각판 형상으로 그 양단이 상기 프레임(30) 측에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60)의 양단 중앙부에는 구동돌기(64)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돌기(64)는 상기 프레임(30)에 형성된 가이드슬롯(66)에 삽입되어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슬롯(66)은 대략 소정의 중심각을 가진 원주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베이스(60)의 구동을 위한 트레이모터(70)가 상기 프레임(30) 측에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모터(70)의 회전축에는 구동기어(71)가 구비되고, 상기 구동기어(71)와 맞물리는 종동기어(72)가 구비된다.
상기 종동기어(72)에는 구동링크(74)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링크(74)는 일단부가 상기 종동기어(72)의 회전중심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74)의 타단부에는 상기 구동돌기(64)가 삽입되는 구동슬롯(76)이 형성된다. 상기 구동슬롯(76)은 상기 트레이베이스(60)와의 연동을 위해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구동링크(74)가 회전되면 상기 구동돌기(64)는 상기 구동슬롯(76)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이에 연동하여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링크(74)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토퍼(80)의 스토핑돌기(82)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스토핑슬롯(78)이 형성된다. 상기 스토핑슬롯(78)은 도 3에 잘 도시되어 있듯이 제 1스토핑슬롯(78a)과 제 2스토핑슬롯(78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1스토핑슬롯(78a)은 상기 도어(40)가 개폐될 때 상기 스토핑돌기(82)가 안내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스토핑슬롯(78b)은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어 매체(m)가 회수함(90)으로 회수될 때 상기 스토핑돌기(82)가 안내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 1스토핑슬롯(78a)과 제 2스토핑슬롯(78b)은 대략 서로 직교하게 형성된다.
상기 도어(40)의 일측에는 스토퍼(80)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80)는 상기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지 않도록 스토핑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기 위해서는 상기 구동링크(74)가 회전되어야 하는데, 상기 구동링크(74)가 상기 스토핑돌기(82)에 의해 회전이 규제되므로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지 않는 것이다(도 5b 참조).
그리고, 상기 프레임(30)에는 상기 트레이베이스(60)의 회전을 감지하기 위한 센서(84)가 구비된다. 상기 센서(84)에서 트레이베이스(60)의 회전이 감지되면 상기 센서(84)는 트레이모터(70)가 반대방향으로 구동되도록 신호를 전달한다.
한편, 상기 프레임(30)의 하부에는 회수되는 매체(m)가 집적되는 회수함(90)이 구비된다. 상기 회수함(90)은 상기 트레이베이스(60)로 전달되었으나 고객이 수취하지 않은 매체(m)를 회수하는 부분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 의해 매체가 회수함으로 회수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고객접근모듈이 동작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도 5a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어(40)는 입구를 닫고 있고, 딜리버리모듈에서 전달된 매체(m)는 상기 이송롤러(32)와 시트롤러(34)의 사이를 통과한다. 상기 이송롤러(32)와 시트롤러(34)의 사이를 통과한 매체(m)는 스태킹휠(36)에 의해 밀어져 한 장씩 상기 트레이베이스(60)에 집적된다. 이와 같은 동작은 고객이 원하는 매수의 매체(m)가 집적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고객의 원하는 매수의 매체(m)가 트레이베이스(60)에 집적되면 상기 제 1솔레노이드(52)가 구동된다. 그러면, 상기 제 1플런저(53)는 상기 제 1솔레노이드(52)의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도어레버(42)는 제 1플런저(53)와 함께 이동되어 상기 도어(40)의 걸림돌기(41)와의 걸림이 해제되고, 도어(40)가 개방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도어모터(46)가 구동되어 상기 도어(40)가 프레임(30)의 하부로 회전되게 한다. 이때, 상기 스토퍼(80)의 스토핑돌기(82)는 제 1스토핑슬롯(78a)을 따라 안내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도어(40)의 개방이 완료된다. 이 상태는 도 5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구동링크(74)는 상기 록킹핀(58)에 일측이 걸려 있고, 상기 스토핑돌기(82)는 제 1스토핑슬롯(78a)의 일단에 걸어지기 때문에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구동링크(74)의 일측은 록킹링크(56)의 록킹핀(58)에 걸어져 회전되지 않는다. 따라서,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하는 과정에서 상기 트레이베이스(60)가 센서(84)의 이상 또는 외력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어(40)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객이 매체(m)를 수취하면 상기 도어(40)가 닫혀 입구가 폐쇄된다. 그리고, 고객이 일정 시간동안 매체(m)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는 일단, 상기 도어(40)를 닫는다. 즉, 도 5a의 상태로 다시 돌아간다.
상기 도어(40)가 닫힌 상태에서 제 2솔레노이드(54)가 구동된다. 상기 제 2솔레노이드(54)가 구동되면 상기 제 2플런저(55)가 상기 제 2솔레노이드(54)의 내부로 이동되고 상기 록킹링크(56)는 제 2플런저(55)와 함께 이동된다. 상기 록킹링크(56)가 이동되면 상기 록킹핀(58)의 걸림이 해제되고 상기 구동링크(74)가 회전가능상태가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트레이모터(70)가 구동되고, 구동기어(71) 및 종동기어(72)를 통해 상기 구동링크(74)가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구동링크(74)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트레이베이스(60)는 힌지축(62)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도 5c 참조). 이와 같이 트레이베이스(60)가 회전되어 트레이베이스(60)에 집적된 회수함(26) 쪽으로 낙하되어 집적된다. 이때, 상기 스토퍼(80)의 스토핑돌기(82)는 제 2스토핑슬롯(78b)을 따라 안내되어 이동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측면구성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서 매체가 회수함으로 회수되는 것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측면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서 구동링크가 스토핑된 상태를 보인 측면구성도.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의한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에 의해 매체가 회수함으로 회수되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 프레임 32 : 이송롤러
34 : 시트롤러 36 : 스태킹휠
40 : 도어 41 : 걸림돌기
42 : 도어레버 42' : 레버슬롯
44 : 레버핀 46 : 도어모터
50 : 감지휠 52 : 제 1솔레노이드
53 : 제 1플런저 54 : 제 2솔레노이드
55 : 제 2플런저 56 : 록킹링크
56' : 연동슬롯 57 : 연동핀
58 : 록킹핀 60 : 트레이베이스
62 : 힌지축 64 : 구동돌기
66 : 가이드슬롯 70 : 트레이모터
71 : 구동기어 72 : 종동기어
74 : 구동링크 76 : 구동슬롯
78 : 스토핑슬롯 78a : 제 1스토핑슬롯
78b : 제 2스토핑슬롯 80 : 스토퍼
82 : 스토핑돌기 84 : 센서
90 : 회수함

Claims (5)

  1.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트레이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가 일면에 집적되며,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링크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되어 회수함으로 매체를 회수시키는 트레이베이스와;
    상기 도어에 설치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에 형성된 스토핑슬롯의 일단에 스토핑돌기가 걸어져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제 2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록킹링크가 설치되고, 상기 록킹링크의 일단에 구비된 록킹핀은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슬롯은,
    상기 도어가 개방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핑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1스 토핑슬롯과;
    상기 트레이베이스가 상기 회수함을 향하여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스토핑돌기의 이동을 안내하는 제 2스토핑슬롯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4. 내부에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공간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된 트레이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링크와;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공간으로 인입되는 매체가 일면에 집적되며, 고객이 매체를 수취하지 않으면 상기 구동링크에 의해 일방으로 회전되어 회수함으로 매체를 회수시키는 트레이베이스와;
    상기 프레임에 별도의 구동원의 구동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걸어져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구동링크의 회전을 방지하는 록킹링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링크의 일단에는 록킹핀이 구비되어 상기 구동링크에 일측에 선택적으로 걸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1020080125318A 2008-12-10 2008-12-10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Active KR100981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18A KR100981776B1 (ko) 2008-12-10 2008-12-10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318A KR100981776B1 (ko) 2008-12-10 2008-12-10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833A KR20100066833A (ko) 2010-06-18
KR100981776B1 true KR100981776B1 (ko) 2010-09-13

Family

ID=42365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318A Active KR100981776B1 (ko) 2008-12-10 2008-12-10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7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67549B (zh) * 2017-11-07 2021-08-24 山东新北洋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闸门机构及存取款设备
CN109448223A (zh) * 2019-01-11 2019-03-08 上海古鳌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票据机的退票通道结构及其工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50667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장치 및 방법
KR100509032B1 (ko) 2002-11-30 2005-08-1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100533279B1 (ko) 2003-10-21 2005-12-05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20060006672A (ko) * 2004-07-16 2006-01-1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 및 그 매체회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032B1 (ko) 2002-11-30 2005-08-1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20040050667A (ko) * 2002-12-10 2004-06-16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매체회수장치 및 방법
KR100533279B1 (ko) 2003-10-21 2005-12-05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KR20060006672A (ko) * 2004-07-16 2006-01-19 엘지엔시스(주) 매체자동지급기 및 그 매체회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833A (ko) 201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90507C (en) Note holding and dispensing device with cassette
AU2006202508A1 (en) Bill handling device and control system thereof
JP5950839B2 (ja) 搬送制御装置
KR20060006672A (ko) 매체자동지급기 및 그 매체회수방법
JP5615391B2 (ja) 紙葉還流庫
KR100981776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고객접근모듈
JP6547344B2 (ja) 媒体収納庫、及び、媒体取扱装置
RU2746443C1 (ru)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кассовая машина, имеющая блок хранения носител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ей
KR101261060B1 (ko) 지폐 입출금기
KR101016460B1 (ko) 회수기능을 포함하는 금융자동화기기 및 회수함
JP3604603B2 (ja) 紙幣入出金装置
WO2010046992A1 (ja) 硬貨処理装置
JP2004139189A (ja) 紙幣処理装置
KR101072163B1 (ko) 매체카세트박스의 해제장치
KR102063616B1 (ko) 매체저장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08032B1 (ko) 매체자동지급기의 스테킹모듈 및 그 제어방법
KR102463167B1 (ko) 매체저장부를 구비한 금융자동화기기
JP4838998B2 (ja) 紙幣入出金機
KR101041297B1 (ko) 지폐입출금부의 스택플레이트 구동장치
KR100600400B1 (ko) 지폐류 입출금기에서 입금기의 셔터걸림 감지장치 및 그방법
JP4795558B2 (ja) 紙幣処理装置
JP4321513B2 (ja) 紙幣収納装置および紙幣処理装置
JP4095633B2 (ja) 紙幣処理装置
JP3490199B2 (ja) 紙幣出金機
JP3604602B2 (ja) 紙幣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5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9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