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90B1 - Automatic Separation Mechanism of Corrugated Box Forming Machine - Google Patents
Automatic Separation Mechanism of Corrugated Box Forming Machin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1390B1 KR100981390B1 KR1020080049233A KR20080049233A KR100981390B1 KR 100981390 B1 KR100981390 B1 KR 100981390B1 KR 1020080049233 A KR1020080049233 A KR 1020080049233A KR 20080049233 A KR20080049233 A KR 20080049233A KR 100981390 B1 KR100981390 B1 KR 10098139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ross beam
- spike
- box
- paper
- molding mach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39000000123 pap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9000011265 semifinished produ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023 w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026 adhesive bo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86 cumul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2—Feeding or positioning sheets, blanks or webs
- B31B50/04—Feeding sheets or blanks
Landscapes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컨베이어(14) 상의 스파이크(15)로 원지의 선단을 찍어 이송하면서 전개된 상자 형태(상자 반제품)로 절단하는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15)에 접근하여 원지를 맞물도록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빔(34); 상기 크로스빔(34)을 전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래크치형(36a)을 구비하는 지지봉(36); 상기 크로스빔(34)의 일측에 조절판(32)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지지봉(36) 상에서 크로스빔(34)을 전후진하도록 회동되는 조절레버(42); 및 상기 크로스빔(34)의 설정된 일단 위치에서 접촉하여 상하운동력을 제공하는 요동기구(5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골판지 원지를 연속적으로 블랭킹한 이후에 필요한 부재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골판지, 상자, 블랭킹, 전개도, 분리, 절단
The present invention is a molding machine for cutting into a developed box form (box semi-finished product) while cutting the tip of the base paper with the spike 15 on the main conveyor 14: vertical movement to approach the spike 15 to engage the base paper. A cross beam 34 possibly installed; A support rod (36) supporting the crossbeam (34)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having a rack tooth form (36a); An adjustment lever 42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ross beam 34 via a control plate 32 and rotated to support the cross beam 34 back and forth on the support rod 36; And a swinging mechanism 52 which contacts the set beam at the one end position of the cross beam 34 and provides vertical movement force.
Accordingly, the member can be quickly separated after blanking the corrugated cardboard base continuously,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Cardboard, Box, Blanking, Flat Pattern, Separate, Cut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판지 상자의 성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판지 원지를 연속적으로 블랭킹한 이후에 필요한 부재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골판지 상자 성형기의 자동분리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machine of a cardboard box,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separation mechanism of a cardboard box molding machine capable of quickly separating the necessary member after continuously blanking the cardboard base paper.
통상적으로 골판지를 주재료로 하는 상자는 완충성을 요하는 제품의 포장용도로 주로 활용된다. 이러한 골판지 상자를 성형기로 제조함에 있어서 전개도 형태의 커터를 이용하여 원지를 연속적으로 블랭킹하고 절취된 상자 반제품(전개된 형태)을 분리하는 공정이 수행된다. 이때 원지에서 상자 반제품을 분리하는 공정의 자동화 여부는 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하나이다.Typically, a box made of corrugated cardboard is mainly used for packaging of products requiring cushioning properties. In manufacturing such a cardboard box with a molding machine, a process of blanking the base paper continuously using a cutter in the form of a developed view and separating the cut box semi-finished product (developed form) is performed. The automation of the process of separating semi-finished products from the base paper is one of the factors that greatly affect productivity.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91053호는 인쇄된 골판지 가공원지에 본괘선 및 슬로팅을 가하는 괘선/슬로팅수단과, 슬로팅된 골판지 가공원지를 가공물의 형태로 절곡 접착하는 폴딩/글루잉수단을 구비하며 상자체 가공시 골편차에 따르는 누적오차로 인해 발생되는 치수불안정의 원인을 해소하여 생산성 향상을 구현하는 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골판지 가공원지에서 원하는 상자의 전개도 형태로 절단하는 수 단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 명확하지 않아 골판지 상자제조의 생산성을 향상하는데 있어 한계성이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91053 has a ruler / slotting means for applying a ruled line and slotting to a printed cardboard processing base, and a folding / gluing means for bending and bonding the slotted cardboard processing base in the form of a workpiece. Disclosed is a device that solves the cause of dimensional instability caused by cumulative error due to bone deviation during box processing, and implements an improvement in productivity. However, the specific configuration for cutting the desired box in the form of development of the desired box in the cardboard processing base is not clear, and thus, there is a limit in improving the productivity of the cardboard box manufacturing.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07961호는 컨베이어 방식에 의하여 연속제조하는 장치를 개시하기는 하지만 원지가 절곡부를 기준으로 설정된 각 만큼만 절곡되도록 각도 조절 및 조절된 각도를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여 작업의 용이성과 작업 불량률의 감소를 목적으로 하고 연속 블랭킹과 관련된 공정을 다루지 않는다.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0207961 discloses an apparatus for continuous manufacturing by a conveyor method, but has a means for maintaining the angle and adjusting the angle so that the original paper is bent only by the angle set based on the bending part. It is aimed at reducing defect rates and does not cover processes involving continuous blanking.
종래기술의 문헌정보Literature Information of the Prior Art
[문헌1]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191053호 “예비괘선을 이용한 골판지상자 성형장치”[Document 1]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191053 “Corrugated Cardboard Box Forming Device Using Pre-Railed Line”
[문헌2]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0207961호 “포장용상자 성형기의 원지 양측부 절곡장치”[Document 2] 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0207961 “Bending Machine for Both Sides of Paper of Packaging Box Forming Machine”
본 발명은 골판지 원지를 연속적으로 블랭킹한 이후에 필요한 부재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골판지 상자 성형기의 자동분리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tomatic separation mechanism of a cardboard box molding machine in which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by quickly separating a member necessary after continuously blanking a cardboard base paper.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인컨베이어 상의 스파이크로 원지의 선단을 찍어 이송하면서 전개된 상자 형태(상자 반제품)로 절단하는 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스파이크에 접근하여 원지를 맞물도록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크로스빔; 상기 크로스빔을 전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래크치형을 구비하는 지지봉; 상기 크로스빔의 일측에 조절판을 개재하여 설치되고, 지지봉 상에서 크로스빔을 전후진하도록 회동되는 조절레버; 및 상기 크로스빔의 설정된 일단 위치에서 접촉하여 상하운동력을 제공하는 요동기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olding machine for cutting into a developed box shape (box semi-finished product) while transporting the tip of the paper with the spike on the main conveyor: installed to vertically move to approach the spike to engage the paper. Crossbeams; A support rod supporting the cross beam so as to be movable back and forth and having a rack tooth type; An adjustment lever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cross beam via a control plate and pivoted to move the cross beam forward and backward on a supporting rod; And a rocking mechanism for contacting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cross beam to provide a vertical movement forc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크로스빔은 상단에 스파이크의 침을 수용하는 다수의 절개홈을 구비하고, 하단에 요동기구의 롤러와 접하는 가압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ross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having a plurality of incision grooves for accommodating spikes at the upper end, and having a pressing piece in contact with the roller of the swinging mechanism at the lower en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절레버는 일측에 탄성편을 구비하여 조절판의 2지점에 형성된 요홈에 선택적으로 안착되고, 안착 위치에 따라 요동기구에 의한 크로스빔의 상하운동이 단속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lever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iece on one side is selectively seated in the groove formed at the two points of the adjustment pl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motion of the crossbeam by the rocking mechanism is intermittent depending on the seating position do.
본 발명에 따른 골판지 상자 성형기의 자동분리기구는 골판지 원지를 연속적으로 블랭킹한 이후에 필요한 부재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automatic separation mechanism of the cardboard box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being able to quickly separate the necessary members after the blanking of the cardboard base continuously to improve productivity.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판지 상자 성형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도 1에서 분리기구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기구를 정면과 측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의 우측단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다.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ardboard box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separation mechanism in Figure 1, Figure 3 is a configuration showing the sepa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front and side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nlarged portion of the right end of the front view of FIG. 3.
본 발명은 메인컨베이어(14) 상의 스파이크(15)로 원지의 선단을 찍어 이송하면서 전개된 상자 형태(상자 반제품)로 절단하는 성형기에 관련된다. 성형기 본체(10)의 전면에는 로딩승강대(12)가 설치되어 골판지 원지를 상승시키며 공급하고, 후면에는 언로딩승강대(18)가 설치되어 완성된 상자 반제품를 하강시키며 배출한다. 로딩승강대(12)와 언로딩승강대(18)의 사이에는 원지를 이송하기 위한 메인컨베이어(14)가 설치되고, 메인컨베이어(14) 상에는 다수의 침(또는 핀)으로 원지의 일단을 찍어 물기 위한 스파이크(15)가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lding machine which cuts the tip of the base paper into the
미설명 부호 22는 전개된 상자 형태의 커터를 지닌 상태로 고정되는 절단목형이고, 부호 24는 투입된 원지를 지지한 상태로 절단목형(22) 측으로 밀어 올리는 지지강판이고, 부호 26은 절단목형(22)과 지지강판(24) 사이에서 절단된 원지로부 터 반제품을 인출하기 위한 스트리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빔(34)이 상기 스파이크(15)에 접근하여 원지를 맞물도록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크로스빔(34)은 메인컨베이어(14)와 직교하는 방향, 즉 본체(10)의 폭 방향으로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크로스빔(34)의 상승시에는 스파이크(15)의 침의 하단과 맞물리며 원지의 이탈을 방지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래크치형(36a)을 구비하는 지지봉(36)이 상기 크로스빔(34)을 전후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설치된다. 지지봉(36)은 양단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본체(10)의 폭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봉(36) 상에 크로스빔(34)이 고정된다. 지지봉(36)의 중간에 형성된 래크치형(36a)은 후술하는 도 6에 상세하게 드러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upporting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봉(36) 상에서 크로스빔(34)을 전후진하도록 회동되는 조절레버(42)가 상기 크로스빔(34)의 일측에 조절판(32)을 개재하여 설치된다. 본체(10)의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조절판(32)이 고정되고, 조절판(32) 상에 조절레버(42)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조절레버(42)는 후술하는 것처럼 위치 변경에 따라 크로스빔(34)의 상하운동이 단속되도록 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크로스빔(34)의 설정된 일단 위치에서 접촉하여 상하운동력을 제공하는 요동기구(52)가 구비된다. 요동기구(52)는 메인컨베이어(14)의 스파이크(15)가 크로스빔(34) 상측으로 통과하는 타이밍에 맞추어 크로스빔(34)이 상승하여 맞물리도록 작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왕복 회동운동(크랭크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모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나 메인컨베이어(14)와 기구 적으로 연결하는 것이 유리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이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크로스빔(34)은 상단에 스파이크(15)의 침을 수용하는 다수의 절개홈(34a)을 구비하고, 하단에 요동기구(52)의 롤러(54)와 접하는 가압편(34b)을 구비한다. 스파이크(15)의 상단에 형성된 절개홈(34a)은 각각 스파이크(15)의 침보다 큰 치수로 형성되어 수용이 가능하다. 스파이크(15) 상에 원지가 물린 상태에서 배출실린더(28)가 원지에 충격을 작용하면 원지가 하방향으로 탈락한다. 그러나 스파이크(15) 상에 크로스빔(34)이 접근한 상태라면 배출실린더(28)가 작동하여도 원지는 탈락하지 않고 계속 메인컨베이어(14)를 타고 다음 공정으로 이동된다. 이에 대한 상세한 작동은 후술한다.3 and 4, the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기구에서 조절레버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절레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nter of the control lever in the separa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trol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상기 조절레버(42)는 일측에 탄성편(46)을 구비하여 조절판(32)의 2지점에 형성된 요홈(32a)에 선택적으로 안착되고, 안착 위치에 따라 요동기구(52)에 의한 크로스빔(34)의 상하운동이 단속되도록 한다. 조절판(32)은 조절레버(42)의 회전 위치에서 2지점에 요홈(32a)을 구비한다. 요홈(32a)은 관통홈이어도 무방하다. 조절레버(42)는 요홈(32a)에서 정지할 수 있도록 탄성편(46)을 구비한다. 탄성편(46)은 스프링으로 지지되는 구체나 핀을 사용할 수 있다. 조절레버(42)의 위치 변동으로 피니언기어(44)가 회전하면 래크치형(36a)을 지닌 지지봉(36)이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크로스빔(34)도 연동한다. 크로스빔(34)의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요동기구(52)의 롤러(54)가 크로스빔(34)에 접촉상태를 유지하거나 분리상태를 유 지한다. 요동기구(52)의 롤러(54)에 의한 접촉은 크로스빔(34)의 하단에 형성된 가압편(34b)을 통하여 이루어진다.The
작동에 있어서, 본체(10)의 로딩승강대(12)에 골판지 원지를 투입하면 메인컨베이어(14)가 회전하면서 스파이크(15)가 한 장의 원지를 찍어서 이송하고, 전개형 상자 모양으로 절단하는 제1공정과 부분적 스트리핑을 수행하는 제2공정을 거쳐 원지에서 반제품을 분리 배출하기 위한 제3공정에 이른다. 만일 조절레버(42)를 후진 상태(수동모드)로 두면 크로스빔(34)이 요동기구(52)에 접촉하지 않아 상승되지 않으므로 배출실린더(28)가 충격력을 작동하면 원지(잔류지와 반제품)가 모두 낙하된다. 이 경우에는 낙하된 원지에서 잔류지와 반제품을 분리하는 공정을 수작업으로 처리해야 한다. 그러나 조절레버(42)를 전진 상태(자동모드)로 회동하면 크로스빔(34)이 수평 이동하여 요동기구(52)에 접하므로 상승운동이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크로스빔(34)이 상승하여 원지를 지지한 상태에서 배출실린더(28)가 작동하므로 반제품만 분리 낙하되고 잔류지는 계속 이동하여 배출구(60)에서 별도의 보조컨베이어(64)를 타고 수집된다. 낙하된 반제품은 한 단계씩 하강하는 언로딩승강대(18)에 적층상태로 배출된다.In operation, when the corrugated sheet of paper is put into the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골판지 상자 성형기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1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whole cardboard box mol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에서 분리기구가 설치된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2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ortion in which a separation mechanism is installed in FIG. 1;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분리기구를 정면과 측면으로 나타내는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separation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 front and side view,
도 4는 도 3의 정면도의 우측단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구성도,4 is an enlarged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part of the right end of the front view of FIG. 3;
도 5는 본 발명의 분리기구에서 조절레버를 중심으로 나타내는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enter of the control lever in the separation mechanis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조절레버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식도이다.Figure 6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control l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Description of the major signs in the drawings
10: 본체 14: 메인컨베이어10: main body 14: main conveyor
15: 스파이크 28: 배출실린더15: spike 28: discharge cylinder
32: 조절판 32a: 요홈32:
34: 크로스빔 34a: 절개홈34:
36: 지지봉 36a: 래크치형36:
42: 조절레버 44: 피니언기어42: adjusting lever 44: pinion gear
46: 탄성편 52: 요동기구46: elastic piece 52: swinging mechanism
60: 배출구 64: 보조컨베이어60: outlet 64: auxiliary conveyo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9233A KR100981390B1 (en) | 2008-05-27 | 2008-05-27 | Automatic Separation Mechanism of Corrugated Box Forming Machin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49233A KR100981390B1 (en) | 2008-05-27 | 2008-05-27 | Automatic Separation Mechanism of Corrugated Box Forming Machin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3256A KR20090123256A (en) | 2009-12-02 |
KR100981390B1 true KR100981390B1 (en) | 2010-09-10 |
Family
ID=4168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492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1390B1 (en) | 2008-05-27 | 2008-05-27 | Automatic Separation Mechanism of Corrugated Box Forming Machin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139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493Y1 (en) | 2012-07-16 | 2013-12-18 | 주식회사 국제기계 | Portable box erector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90500A (en) | 1981-11-06 | 1983-05-30 | ハインリツヒ・グレ−ヴエ・ゲ−エムベ−ハ− | Device for removing unnecessary section of edge of pasteboard punched |
JPH03261546A (en) * | 1990-03-12 | 1991-11-21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Product separation method after sheet punching |
KR19990004982U (en) * | 1997-07-10 | 1999-02-05 | 박상호 | Waste removal device of box wrapping paper |
KR200191053Y1 (en) | 1999-12-21 | 2000-08-16 | 대영포장주식회사 | Corrugated Paper Box Produce Apparatus Using Pre-creasing |
-
2008
- 2008-05-27 KR KR1020080049233A patent/KR10098139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890500A (en) | 1981-11-06 | 1983-05-30 | ハインリツヒ・グレ−ヴエ・ゲ−エムベ−ハ− | Device for removing unnecessary section of edge of pasteboard punched |
JPH03261546A (en) * | 1990-03-12 | 1991-11-21 | Mitsubishi Plastics Ind Ltd | Product separation method after sheet punching |
KR19990004982U (en) * | 1997-07-10 | 1999-02-05 | 박상호 | Waste removal device of box wrapping paper |
KR200191053Y1 (en) | 1999-12-21 | 2000-08-16 | 대영포장주식회사 | Corrugated Paper Box Produce Apparatus Using Pre-creasing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70493Y1 (en) | 2012-07-16 | 2013-12-18 | 주식회사 국제기계 | Portable box er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3256A (en) | 2009-12-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473138B2 (en) | Counter ejector | |
KR0174641B1 (en) | Waste stripping station in machine that die-cuts plate-like workpieces | |
CN103420598B (en) | The break-up device of sheet glass material | |
CN108381719B (en) | Cut off full-automatic timber rotary-cut equipment of convenient type | |
CN107696150A (en) | A kind of drop perforating device of automatic loading/unloading | |
CN108941333A (en) | The production mould and its production method of GBT mounting plate component | |
CN104289600B (en) | Supporting part multi-station progressive di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30044424A (en) | Ornament chain manufacturing machine and its used ornament chain manufacturing method for scratch removement and process reduction | |
KR100981390B1 (en) | Automatic Separation Mechanism of Corrugated Box Forming Machine | |
JP2000198097A (en) | Method for forming stack of small sheet material and processing the same afterward | |
JP2000198098A (en) | Planer cutter for cutting stacked sheet-like material | |
JPH0752090A (en) | Stacked sheet material cutting device with front pusher for aligning material in supply device | |
KR101275130B1 (en) | The sheet blanking method that used cutting machine | |
KR102116625B1 (en) | A gripping device for holding the insert seats, a loading device, a station for receiving blanks and a mechanical device for processing elements in the form of seats | |
KR20120117179A (en) | Scrap remover for die cutting | |
CN202206737U (en) | Reshaping plug-in mechanism for plug-in machine | |
CN109604439B (en) | A busbar automated processing system | |
CN205733231U (en) | Four cutter numerical controls turn to cutting machine | |
CN100446887C (en) | Tandem pressing device | |
KR101035030B1 (en) | Bearing Cap Cutting Machine | |
JP3221293U (en) | Substrate edge material cutting device | |
CN103056216B (en) | A kind of automobile guide rail automatic die cutter | |
KR100832739B1 (en) | Lead Bending and Cutting Device of ABS Sensor Element | |
CN107030799B (en) | Wood rotary cutting equipment for producing thin sheets with fixed length, fixed width and fixed thickness | |
JP2010052105A (en) | Semiautomatic plate punching machin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90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9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29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3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3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