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339B1 -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Google Patents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1339B1 KR100981339B1 KR1020090103005A KR20090103005A KR100981339B1 KR 100981339 B1 KR100981339 B1 KR 100981339B1 KR 1020090103005 A KR1020090103005 A KR 1020090103005A KR 20090103005 A KR20090103005 A KR 20090103005A KR 100981339 B1 KR100981339 B1 KR 1009813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racket
- sound insulation
- coupled
- shock absorber
- shock absorb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7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4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3016 damp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2783 reinforcing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37 period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4 disappearanc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69 flowa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17—Plate-like el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 F16F1/12—Attachments or mountings
- F16F1/125—Attachments or mountings where the end coils of the spring engage an axial inser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7—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of foam-like material, i.e. microcellular material, e.g. sponge rubb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Description
Claims (20)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콘크리트 기초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세워지는 지주(10);상기 각 지주(10) 사이에 배치되는 차음판(20); 및상기 차음판(20)의 적어도 4곳 이상을 상기 지주(10)에 결합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지주(10) 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차음판(20) 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음판(20)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을 완충하도록 작동되는 완충수단(30)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완충수단(30)은,일단이 상기 지주(10)에 구비된 지지부재(12)에 결합되는 제 1브라켓(32);일단이 상기 차음판(20)에 결합되는 제 2브라켓(34); 및외력을 완충하거나 흡수하기 위한 가변성을 구비하여 상기 제 1브라켓(32)과 제 2브라켓(34)이 간격을 유지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 1브라켓(32)과 제 2브라켓(34)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완충부재(36)를 포함하되,상기 완충부재(36)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상기 제 1브라켓(32)과 제 2브라켓(34)은 코일 스프링의 각 단부가 삽입되도록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며,상기 제 1브라켓(32) 및 제 2브라켓(34)의 내주면에는 코일 스프링의 외주면 일부가 삽입되어 안착되기 위한 안착홈(33)이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체결구조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수단(30)은, 상기 차음판(20)에 형성되는 관통공(22) 양측에 상기 관통공(22)에 비하여 큰 면적을 갖는 원판형의 지지플레이트(37A,37B)가 각각 배치되고, 체결볼트(37C)가 상기 외측의 지지플레이트(37A)와 관통공(22) 및 내측의 지지플레이트(37B)를 통하여 상기 제 2브라켓(34)에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6)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확장된 부분은 제 1브라켓(32)에 결합되고, 축소된 부분은 제 2브라켓(3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6)에는 방진고무재로 이루어진 보조 완충부재(40)가 소정의 두께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6)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방진고무재로 이루어진 보조 완충부재(40)가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6)에는 방진고무재로 이루어진 보조 완충부재(40)가 소정의 두께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6)의 내부 또는 외부에는 방진고무재로 이루어진 보조 완충부재(40)가 체결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콘크리트 기초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세워지는 지주(10);상기 각 지주(10) 사이에 배치되는 차음판(20); 및상기 차음판(20)의 적어도 4곳 이상을 상기 지주(10)에 결합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지주(10) 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차음판(20) 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음판(20)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을 완충하도록 작동되는 완충수단(30)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완충수단(30)은,일단이 상기 지주(10)에 구비된 지지부재(12)에 결합되는 제 1브라켓(32);일단이 상기 차음판(20)에 결합되는 제 2브라켓(34); 및외력을 완충하거나 흡수하기 위한 가변성을 구비하여 상기 제 1브라켓(32)과 제 2브라켓(34)이 간격을 유지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 1브라켓(32)과 제 2브라켓(34)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완충부재(36)를 포함하되,상기 완충부재(36)는 방진고무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6)는 원추형으로 형성되어 확장된 부분은 제 1브라켓(32)에 결합되고, 축소된 부분은 제 2브라켓(34)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6)의 외주면에는 소정깊이의 완충홈(38)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여 독립적으로 각각 형성되거나 나선형으로 연이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콘크리트 기초에 간격을 유지하여 각각 세워지는 지주(10);상기 각 지주(10) 사이에 배치되는 차음판(20); 및상기 차음판(20)의 적어도 4곳 이상을 상기 지주(10)에 결합시키도록 일단은 상기 지주(10) 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차음판(20) 측에 결합되어 상기 차음판(20)에 작용하는 풍압에 의해 발생되는 외력을 완충하도록 작동되는 완충수단(30)으로 이루어지는 완충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완충수단(30)은,일단이 상기 지주(10)에 구비된 지지부재(12)에 결합되는 제 1브라켓(32);일단이 상기 차음판(20)에 결합되는 제 2브라켓(34); 및외력을 완충하거나 흡수하기 위한 가변성을 구비하여 상기 제 1브라켓(32)과 제 2브라켓(34)이 간격을 유지하여 간접적으로 결합되도록 상기 제 1브라켓(32)과 제 2브라켓(34)에 양단이 각각 결합되는 완충부재(36)를 포함하되,상기 완충부재(36)는 감쇠력을 갖는 쇽 업소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으로 된 완충부재(36)의 내측에는 보조 완충부재(40)로서 감쇠력을 갖는 쇽 업소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7항에 있어서, 코일 스프링으로 된 완충부재(36)의 내측에는 보조 완충부재(40)로서 감쇠력을 갖는 쇽 업소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6)의 외측에 보조 완충부재(40)로서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 1브라켓(3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브라켓(3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36)의 외측에 보조 완충부재(40)로서 코일 스프링이 설치되되,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제 1브라켓(32)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2브라켓(34)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차음판(20)은 내부에 강화섬유(50)가 간격을 유지하여 배치된 상태로 성형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3005A KR100981339B1 (ko) | 2009-10-28 | 2009-10-28 |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03005A KR100981339B1 (ko) | 2009-10-28 | 2009-10-28 |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81339B1 true KR100981339B1 (ko) | 2010-09-14 |
Family
ID=4300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03005A Active KR100981339B1 (ko) | 2009-10-28 | 2009-10-28 |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133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011B1 (ko) * | 2013-01-31 | 2015-02-04 | 박춘종 |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
KR101797374B1 (ko) * | 2016-07-14 | 2017-11-13 | 김성윤 | 멀티 가변형 방음패널 |
KR101789932B1 (ko) * | 2016-07-14 | 2017-11-20 | 김성윤 | 가변형 방음패널 |
KR101860808B1 (ko) * | 2016-04-29 | 2018-05-25 | 에이치엔테크 주식회사 | 방진용 방음벽 시스템 |
KR102015994B1 (ko) * | 2018-11-28 | 2019-08-29 | 도경건설 주식회사 | 아스콘 온도 저하 방지용 적재함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40014A (ja) * | 1998-07-24 | 2000-02-08 | Toyota Motor Corp | Ecu機能検査装置の評価システム |
JP2003293326A (ja) * | 2002-03-29 | 2003-10-15 | Toray Ind Inc |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複合パネル |
KR20060111687A (ko) * | 2004-02-09 | 2006-10-27 | 룀 게엠베하 | 방음 부재용 스프링 지지 서스펜션 |
-
2009
- 2009-10-28 KR KR1020090103005A patent/KR10098133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040014A (ja) * | 1998-07-24 | 2000-02-08 | Toyota Motor Corp | Ecu機能検査装置の評価システム |
JP2003293326A (ja) * | 2002-03-29 | 2003-10-15 | Toray Ind Inc |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複合パネル |
KR20060111687A (ko) * | 2004-02-09 | 2006-10-27 | 룀 게엠베하 | 방음 부재용 스프링 지지 서스펜션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90011B1 (ko) * | 2013-01-31 | 2015-02-04 | 박춘종 | 방음패널의 설치구조 |
KR101860808B1 (ko) * | 2016-04-29 | 2018-05-25 | 에이치엔테크 주식회사 | 방진용 방음벽 시스템 |
KR101797374B1 (ko) * | 2016-07-14 | 2017-11-13 | 김성윤 | 멀티 가변형 방음패널 |
KR101789932B1 (ko) * | 2016-07-14 | 2017-11-20 | 김성윤 | 가변형 방음패널 |
KR102015994B1 (ko) * | 2018-11-28 | 2019-08-29 | 도경건설 주식회사 | 아스콘 온도 저하 방지용 적재함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1339B1 (ko) | 완충장치를 갖는 차음벽 | |
CN100575610C (zh) | 吸隔声屏障 | |
EP1948878B1 (en) | Structure with increased damping by means of fork configuration dampers | |
KR101916806B1 (ko) | 복합충격완충기능과 방음 방진기능을 갖는 내진기능의 바닥구조 | |
KR101321224B1 (ko) | 전단벽형 제진장치 | |
CN101781880B (zh) | 吸隔声屏障 | |
KR100927737B1 (ko) | 건축 구조물의 내진보강 복합장치 및 내진 보강구조 | |
KR101935522B1 (ko) | 진동 완충형 구조물 | |
KR20150049750A (ko) | 복합적 방진수단을 가지는 철도궤도 슬래브의 구조 | |
JP2004533970A (ja) | キャブ懸架装置 | |
KR101218343B1 (ko) | 누음 방지와 진동 흡수가 가능한 방음벽 | |
KR101403125B1 (ko) | 단위 모듈러 지진하중 흡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골구조물 보강방법 | |
EA025977B1 (ru) | Шумозащитная стена со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ими конструктивными элементами | |
JP5399096B2 (ja) |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 |
JP5128969B2 (ja) | 床支持吸振具、及び、床構造 | |
CN108973908B (zh) | 一种带有下沉式缓冲功能的汽车前保险杠 | |
JP5781387B2 (ja) | 減震装置 | |
KR101791997B1 (ko) | 완충 구조를 겸비한 충격흡수가드레일 | |
KR100514503B1 (ko) | 철도차량 종점부의 한계 방호책의 구조 | |
CN112323716B (zh) | 一种对抗泥石流冲击的防护装置及方法 | |
JP2002294638A (ja) | 遮音壁の制振構造 | |
JP4289271B2 (ja) | 既存建物の制震改修方法 | |
KR100679260B1 (ko) | 도로 구조물 상에서의 베이스플레이트의 고정구조 | |
KR20060022450A (ko) | 방음판넬 | |
KR20220072598A (ko) | 유지 보수형 투명방음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0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3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82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8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901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9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9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2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2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2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903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