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213B1 - Manual linkage for tractor implements - Google Patents
Manual linkage for tractor implement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1213B1 KR100981213B1 KR1020080103470A KR20080103470A KR100981213B1 KR 100981213 B1 KR100981213 B1 KR 100981213B1 KR 1020080103470 A KR1020080103470 A KR 1020080103470A KR 20080103470 A KR20080103470 A KR 20080103470A KR 100981213 B1 KR100981213 B1 KR 1009812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le
- work machine
- coupling
- loader
- shaft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3604—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 E02F3/3609—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 E02F3/3645—Devices to connect tools to arms, booms or the like of the quick acting type, e.g. controlled from the operator seat with auto-engagement means for automatic snap-on of the tool coupler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기(A)와 로더(C)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에 있어서, 전방 일측에는 상기 작업기(A)의 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구(B)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111)을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는 걸림홈(112)을 구비하며 하부 일측에는 통공(113)을 형성하는 연결부재(110)와, 하부에는 삽입공(124)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C)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123)을 구비하는 몸체(121)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홈(112)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걸림구(122)를 구비하고 하부 일측에는 통공(125)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125)의 지름보다 더 작은 넓이를 갖는 절개부(126)가 상기 통공(125)의 일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20)와, 상기 결합부재(120)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부재(130)와, 하부에는 상기 삽입공(124)과 통공(113)을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고정축(14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축(141)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브라켓(142)을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142)의 상부에는 상기 통공(125)을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확경부(143)를 구비하되 상기 확경부(143)의 일측에는 상기 절개부(126)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축경부(144)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21)와 축경부(144)의 사이에는 탄성체(145)가 설치되는 고정부재(140)로 구성되는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하여 작업기와 로더의 탈부착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 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돌 또는 각종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파손 또는 변형을 최소화하여 작업기와 로더의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원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작업기와 로더의 연결위치에 따라서 좌우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트랙터, 로더, 작업기, 연결, 수동식, 탈착, 장치
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al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that is formed between the work machine (A) and the loader (C) to enable detachment, the front one side of the pair of connectors (B)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work machine (A) Form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11) for coupling with the upper side has a locking groove 112 and the lower one side connecting member 110 to form a through hole 113, and the lower insertion hole 124 And a body 121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holes 123 for coupling with the loader C at a rear side thereof, and the engaging groove 112 is form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1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It is provided with a locking hole 122 to be fitted to the lower side to form a through hole 125 and a cutout portion 126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25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 one side of the through hole 125 A pair of coupling member 120 extending to have, and the coupling member 12 Support member 130 for connecting between the horizonta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having a fixed shaft 141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penetrate the insertion hole 124 and the through hole 113 in the lower fixed shaft The bracket 142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side 141, and the enlarged diameter part 143 is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acket 142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penetrate the through hole 125. On one side of the fixing member is formed in the inside of the incision 126 to form the shaft diameter portion 144 to move and between the body 121 and the shaft diameter portion 144 is an elastic body 145 is installed ( To provide a manual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consisting of 140,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because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detachable work of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by minimizing damage or deformation caused by the inflow of stones or various foreign matters, so that the cause of the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the scope of application because the left and right interval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Tractor, Loader, Work Tool, Coupl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작업기를 트랙터의 로더에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사용효율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작업기의 규격 및 형태에 관계없이 로더에 효율적으로 탈부착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coupl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and more particularly, the operator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work machine to the loader's loader, thereby increasing the use efficiency and efficiently for the loader regardless of the size and shape of the work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al linkage device for a tractor work tool that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to maximize a range of applications.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전방에는 로더가 설치되고, 상기 로더의 선단에는 농가의 사용목적 및 용도에 따라서 여러 종류의 작업기가 선택적으로 탈부착된다.Generally, a loader is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tractor, and various types of work machines are selective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tip of the loader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purpose of the farm.
이러한 로더와 작업기는 제작사에 따라서 규격 및 탈부착방식이 서로 상이하므로, 부득이하게 동일한 제작사의 로더 및 작업기를 구입하거나 또는 별도의 개조작업을 진행한 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Since the loader and the working machine have different specifications and detachable methods depending on the manufacturer, there is an inevitable problem of purchasing the loader and the working machine of the same manufacturer or using separate modifications.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국내실 용신안등록 제0413755호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를 안출한 바가 있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or has devised a domestic utility model registration No. 0413755 "connector for tractor work machine" as a solu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그러나 전술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작업자가 일측에 형성된 레버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시켜 작업기를 로더에 용이하게 탈부착시킬 수는 있으나, 이와 달리 상기 레버의 반복적인 회동으로 결합부재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프레임에 부하가 집중되면서 변형을 초래하게 되는 폐단을 갖게 되었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connector for tractor work machine" can be easily attached or detached to the loader by the operator rotates the lever formed on one side to the front or rear, on the contrary, between the engaging member by the repeated rotation of the lever The load is concentrated on the connecting frame for connecting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ich leads to deformation.
또한, 전술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작업기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돌 또는 각종 이물질 등이 연결프레임에 부딪히게 되므로, 이로 인해 연결프레임이 파손되거나 레버의 회동과정에서 간섭을 유발시켜 작동효율이 제한되는 단점을 갖게 되었다.In addition, the above-mentioned "connector for tractor work machine" is a stone or various foreign materials, etc. in the process of using the work machine hits the connection frame, this causes the connection frame is broken or cause interference during the rotation of the lever operating efficiency is It has a limited disadvantage.
특히 전술한 "트랙터 작업기용 연결장치"는 연결프레임이 쉽게 손상 및 파손되므로 중량물인 작업기가 로더와의 결속력이 해지되면서 지면으로 추락하는 안전사고의 원인을 제공하게 되었다.In particular, the aforementioned "connector for tractor work machine" is a connection frame is easily damaged and broken to provide a cause of the safety accident that the heavy work machine falls to the ground as the binding force with the loader is terminat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하여 작업기를 로더에 탈부착시킬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al linkage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that allows the operator to easily operate and detach the work machine to the load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업기와 로더의 규격 또는 형태에 따라서 설치간격 및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al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that can adjust the installation interval and position according to the size or shape of the work machine and loader.
본 발명은 작업기(A)와 로더(C)의 사이에 형성되어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는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에 있어서,The present invention is a manual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is formed between the work machine (A) and the loader (C), to enable the detachable,
전방 일측에는 상기 작업기(A)의 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구(B)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111)을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는 걸림홈(112)을 구비하며 하부 일측에는 통공(113)을 형성하는 연결부재(110)와, 하부에는 삽입공(124)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C)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123)을 구비하는 몸체(121)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홈(112)이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끼워지도록 걸림구(122)를 구비하고 하부 일측에는 통공(125)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125)의 지름보다 더 작은 넓이를 갖는 절개부(126)가 상기 통공(125) 의 일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20)와, 상기 결합부재(120)의 사이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지지부재(130)와, 하부에는 상기 삽입공(124)과 통공(113)을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고정축(141)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축(141)의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브라켓(142)을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142)의 상부에는 상기 통공(125)을 관통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확경부(143)를 구비하되 상기 확경부(143)의 일측에는 상기 절개부(126)의 내부에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축경부(144)를 형성하고 상기 몸체(121)와 축경부(144)의 사이에는 탄성체(145)가 설치되는 고정부재(140)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front side forms a plurality of
본 발명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조작하여 작업기와 로더의 탈부착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work efficiency because the operator can easily operate the detachable work of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또한, 본 발명은 돌 또는 각종 이물질 등의 유입으로 발생하는 파손 또는 변형을 최소화하여 작업기와 로더의 결속력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안전사고의 원인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the binding force between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by minimizing damage or deformation caused by the inflow of stones or various foreign matters, so that the cause of the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특히 본 발명은 작업기와 로더의 연결위치에 따라서 좌우간격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is very useful invention that can increase the scope of application because the left and right interval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onnection position of the work machine and the loader.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 음과 같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as follows.
도 1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nual linkage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nual linkage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line AA of Figure 2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2,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ual linkage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other view of the manual linkage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n Example,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of FIG.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공(111)은 연결핀(미 도시됨)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구(B)에 견고하게 결합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걸림홈(112)은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고리형상을 갖는 것으로, 이는 상기 걸림구(122)가 내부에 걸리도록 유도함으로써 작업기(A)의 하중을 지지함으로써 작업기(A)가 지면을 추락하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1, the
상기 통공(113)은 상기 고정축(141)이 관통 또는 이탈되면서 상기 연결부재(110)와 결합부재(120)가 서로 탈부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through
본 발명에서 상기 결합부재(120)는 상기 로더(C)의 선단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부재(110)와 효율적인 탈부착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구성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구(122)는 상기 걸림홈(112)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부재(110)를 들어올릴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4, the
특히 상기 결합공(123)은 수직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함이 바람 직한데, 이는 로더(C)의 규격에 따라서 결합위치를 조절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the
한편, 상기 삽입공(124)은 상기 통공(113)과 수평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삽입공(124)과 통공(113)을 동시에 관통 또는 이탈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상기 통공(125)은 상기 확경부(143)가 관통할 수 있도록 유도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삽입공(124)과 통공(113)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게 된다.The through
특히 상기 절개부(126)는 상기 확경부(143)의 지름보다 더 작은 넓이로 형성된 특성상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삽입공(124)과 통공(113)을 관통한 상태에서는 상기 절개부(126)에 맞닿아 일측으로 회동할 수 없으며, 반대로 상기 고정축(141)을 상기 통공(113)에서 이탈시킬 경우에는 작업자가 상기 브라켓(142)을 잡아서 상기 축경부(144)가 상기 절개부(126)의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위치까지 당긴 후 상기 절개부(126)를 따라서 회동시키면 된다.In particular, the
이때 회동된 상기 확경부(143)는 상기 절개부(126)에 맞닿아 걸리게 되므로, 이로 인해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통공(113)을 관통할 수 없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enlarged
한편, 상기 삽입공(124)과 통공(125)의 외측에는 돌기(124a,125a)가 각각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상기 브라켓(142)이 상기 돌기(124a,125a)에 맞닿게 되면서 발생하는 상기 몸체(121)와의 빈틈으로 작업자가 손을 넣어 상기 브라켓(142)을 잡을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ojections (124a, 125a) may be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재(130)는 상기 결합부재(120)의 사이를 지지 및 연결함은 물론 작업기(A) 및 로더(C)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상기 결합부재(120)의 좌우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구성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재(130)는 중앙을 기준으로 양분하되 일측의 지지부재(130)의 내부에 타측의 지지부재(131)가 삽입되어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형성하여 상기 결합부재(120)의 좌우간격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To this end, the
이때 상기 지지부재(1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재(110)와 맞닿아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통공(113)과 삽입공(124) 및 고정축(14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도록 유도하게 된다.In this case, as shown in FIG. 4, the
본 발명에서 상기 고정부재(140)는 상기 연결부재(110)와 결합부재(120)가 탈부착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구성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고정축(141)은 상기 삽입공(124)과 통공(113)을 동시에 관통 또는 이탈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특히 상기 브라켓(142)은 작업자가 손으로 잡아서 이동 및 회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삽입공(124)과 통공(113)을 동시에 관통됨은 물론 상기 통공(113)에서 이탈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In particular, the
한편, 상기 확경부(143)는 상기 통공(125)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삽입공(124)과 통공(113)을 동시에 관통할 수 있도록 보조함은 물론 작업자가 상기 절개부(126)를 따라서 회동시킨 상태에서는 상기 절개부(126)의 넓이보다 더 큰 지름을 갖는 특성상 맞닿게 되어 더 이상 일측으로 이동할 수 없게 되므 로, 이로 인해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통공(113)에 이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nlarged
상기 탄성체(145)는 상기 연결부재(110)와 결합부재(120)를 고정할 경우에는 인장력을 발생시켜 상기 축경부(144)를 상기 몸체(121)의 내측으로 자연스럽게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삽입공(124)과 통공(113)을 관통하게 된다.The
반대로 작업자가 상기 브라켓(142)을 잡아서 상기 절개부(126)를 따라서 회동시킬 경우에는 상기 축경부(144)가 상기 몸체(121)의 외측으로 이동하므로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통공(113)에서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몸체(121)와 축경부(144)의 사이에서 압축상태를 유지하게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worker grasps the
이때 상기 탄성체(145)는 공지의 인장스프링을 사용하였다.At this time, the
특히 상기 축경부(144)의 선단에는 상기 탄성체(145)와 맞닿아 지지함은 물론 이탈현상을 사전에 방지하기 위한 스톱퍼(146)가 형성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a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10)와 결합부재(120)의 다른 실시예를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일측에는 상기 작업기(A)의 후방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구(B)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111)을 형성하고 상부 일측에는 양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축(112a)을 구비하며 하부 일측에는 통공(113)을 형성하는 연결부재(110)와, 하부에는 삽입공(124)을 형성하고 후방에는 상기 로더(C)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개의 결합공(123)을 구비하는 몸체(121)를 형성하되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는 상기 걸림축(112a)이 내부에 삽입되도록 삽입홈(122a)을 구비하고 하부 일측에는 통공(125)을 형성하며 상기 통공(125)의 지름 보다 더 작은 넓이를 갖는 절개부(126)가 상기 통공(125)의 일측으로 일정길이를 갖도록 연장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120)로 이루어진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이때 상기 걸림축(112a)은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삽입홈(122a)의 내부에 삽입되므로 상기 결합부재(120)가 상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10)를 들어올릴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since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100)의 작동상태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If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operating state of the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타내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8 to 10 show a flow chart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nual linkage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을 참조하면, 작업기(A)의 후방과 로더(C)의 선단에 각각 연결부재(110)와 결합부재(120)가 설치된 상태에서 로더(C)를 작동시켜 상기 결합부재(120)가 상부로 이동하면서 상기 걸림홈(112)의 내부로 상기 걸림구(122)를 삽입하도록 유도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8, the
이때 상기 고정부재(140)는 작업자가 상기 브라켓(142)을 잡고 상기 절개부(126)를 따라서 회동시켜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통공(113)에서 이탈된 상태를 유지해야함은 당연하다.In this case, it is obvious that the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걸림홈(112)의 내부로 상기 걸림구(122)가 삽입된 상태에서 로더(C)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통공(113)과 삽입공(124) 및 고정축(141)의 중심이 서로 일치하게 된다.Referring to FIG. 9, the loader C moves forward while the catching
도 10을 참조하면, 작업자가 상기 브라켓(142)을 잡고 상기 통공(125)으로 회동시키게 되면 상기 탄성체(145)의 인장력으로 상기 확경부(143)가 내측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축(141)이 상기 통공(113)과 삽입공(124)을 관통하게 되므로 작업기(A)와 로더(C)의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Referring to FIG. 10, when the worker grasps the
이처럼 본 발명은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규격 및 형태를 갖는 작업기(A)를 로더(C)에 용이하게 탈부착을 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효율 및 활용범위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ttach and detach the work machine A having various specifications and shapes to the loader C, as shown in FIGS. 11 to 14, thereby increasing work efficiency and application range.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균등의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포함되는 것은 당연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t is natural tha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luded to be substantially equivalent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omething to do.
도 1 -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1-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nual linkage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manual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 도 2의 A-A선 단면도.3-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도 4 - 도 2의 B-B선 단면도.4-2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도 5 -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Figure 5-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ual coupling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 -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기 위한 결합 사시도.Figure 6-Combined perspective view for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manual linkage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 도 6의 C-C선 단면도.7-6 C-C cross-sectional view.
도 8 내지 도 10 -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작동상태를 타내기 위한 순서도.8 to 10-a flow chart for indicat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nual linkage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 내지 도 14 -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참고도.11 to 14-reference diagram for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manual connection device for a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본 발명 트랙터 작업기용 수동식 연결장치100: manual connection device for the tractor work machine of the present invention
110: 연결부재 110: connecting member
111: 결합공 112: 걸림홈111: engaging hole 112: locking groove
112a: 걸림축 113: 통공112a: hanging shaft 113: through hole
120: 결합부재120: coupling member
121: 몸체 122: 걸림구121: body 122: latch
122a: 삽입홈 123: 결합공122a: insertion groove 123: coupling hole
124: 삽입공 124a: 돌기124:
125: 통공 125a: 돌기125: through
126: 절개부126: incision
130,131: 지지부재130,131: support member
140: 고정부재140: fixing member
141: 고정축 142: 브라켓141: fixed shaft 142: bracket
143: 확경부 144: 축경부143: enlarged diameter portion 144: shaft diameter portion
145: 탄성체 146: 스톱퍼145: elastomer 146: stopper
A: 작업기 B: 연결구A: Work Machine B: End Connection
C: 로더 D: 트랙터C: Loader D: Tractor
Claims (3)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3470A KR100981213B1 (en) | 2008-10-22 | 2008-10-22 | Manual linkage for tractor implement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103470A KR100981213B1 (en) | 2008-10-22 | 2008-10-22 | Manual linkage for tractor implement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4365A KR20100044365A (en) | 2010-04-30 |
KR100981213B1 true KR100981213B1 (en) | 2010-09-10 |
Family
ID=42219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103470A KR100981213B1 (en) | 2008-10-22 | 2008-10-22 | Manual linkage for tractor implement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1213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2010038469A1 (en) * | 2010-07-27 | 2012-04-05 | Deere & Company | Front loaders arrangement |
KR101497677B1 (en) * | 2012-12-12 | 2015-03-03 | (주)송현 | Snow removal device |
KR102473137B1 (en) * | 2020-09-23 | 2022-11-30 | 남기성 | One-touch multi-connection device for bucket |
CN113575005B (en) * | 2021-08-27 | 2022-06-28 |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 Modifier injection equipment and modifier injection method for winter frozen soil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62210B1 (en) * | 2002-12-12 | 2005-11-08 | Hagie Manufacturing Co. | Agricultural implement connection system |
KR200413756Y1 (en) * | 2006-01-10 | 2006-04-13 | 김문수 | Hydraulic couplings for tractor implements |
-
2008
- 2008-10-22 KR KR1020080103470A patent/KR100981213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962210B1 (en) * | 2002-12-12 | 2005-11-08 | Hagie Manufacturing Co. | Agricultural implement connection system |
KR200413756Y1 (en) * | 2006-01-10 | 2006-04-13 | 김문수 | Hydraulic couplings for tractor implemen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44365A (en) | 2010-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81213B1 (en) | Manual linkage for tractor implements | |
KR200413755Y1 (en) | Attachment for tractor implements | |
CN106809506B (en) | Transportation fixing device of washing machine and fixing method thereof | |
US20080100034A1 (en) | Draw pin hitches | |
UA122660C2 (en) | WEAR PARTS ASSEMBLY FOR USE WITH LAND EQUIPMENT | |
KR102114269B1 (en) | Farm working machinery connecting device for tractor | |
KR20100025670A (en) | Device coupling hand operated type for tractor work machine | |
KR100942115B1 (en) | Jack up mechanism fixture | |
US20070183121A1 (en) | Post puller and method | |
KR101826075B1 (en) | Safety pins are formed integrally linked excavators | |
KR200357855Y1 (en) | Link work for connector of tractor and farm machinery | |
DE112014000182T5 (en) | Work vehicle and rotating beacon | |
JP6508936B2 (en) | Pile driving machine | |
JP6264558B2 (en) | Vehicle towing structure | |
CN216306607U (en) | But fast assembly's traction tow chain | |
KR100855757B1 (en) | Grass cutter and its detachment device | |
JP6394238B2 (en) | Pin coupling device, construction machine with pin coupling device and pin holder for pin coupling device | |
CN217177288U (en) | But quick assembly disassembly's traction drag chain | |
KR20150122817A (en) | Mounting device for agricultural working tool | |
KR200269560Y1 (en) | working machine connecting device of tractor | |
KR20130035441A (en) | Chain pin disassembling zig | |
KR101951626B1 (en) | Apparatus for reducing weight of harrow | |
KR101378570B1 (en) | Attachment quick changer for backhoe | |
KR101431976B1 (en) | A harrow with superior efficiency using | |
KR20130142712A (en) | Front harrow for tra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