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0760B1 -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760B1
KR100980760B1 KR1020100002936A KR20100002936A KR100980760B1 KR 100980760 B1 KR100980760 B1 KR 100980760B1 KR 1020100002936 A KR1020100002936 A KR 1020100002936A KR 20100002936 A KR20100002936 A KR 20100002936A KR 100980760 B1 KR100980760 B1 KR 100980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hole
block
slope
reinfor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환
Original Assignee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7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7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41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reinforced earth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5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modular blocks, e.g. pre-fabric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06Pla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it Excavations, Shoring, Fill Or Stabilisation Of Sl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블록 체결된 T자형 보강철근을 이용하여 절토부에는 커플러를 통해 사면보강공인 쏘일네일링 및 락볼트를 원터치 로 체결하고, 성토부에는 수동저항블록으로 직접 체결하므로 설치 작업이 쉽고 간편할 뿐 아니라 시공성이 뛰어나고 품질 관리가 용이하다.
또한, 전면블록에 체결된 합성수지 보강재는 커플러에 형성된 체결날개에 견고하게 고정한 후에 다른 전면블록에 체결하므로 혼자서도 쉽고 간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
또, 보강철근을 T자형 체결구 및 중간커플러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바로 조립 작업하여 T자형 보강철근을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The front block of rock bolt union structure and construction work method}
본 발명은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면블록에 체결된 T자형 보강철근 및 합성수지 보강재를 커플러 및 수동저항블록을 통해 절토부와 성토부에 모두 적용할 수 있어 설치작업이 쉽고 용이한 것이다.
또한, 커플러를 통하여 보강철근과 사면보강공을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므로 단독으로 설치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합성수지 보강재는 사면보강공에 원터치로 체결되어 있는 커플러의 체결날개로 고정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항상 수평상태로 체결하므로 그 시공성이 뛰어나고 품질 관리가 용이한 것이다.
종래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 축조용 블록은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와 같이, 옹벽의 표면을 형성하는 전면 및 보강토체에 접하는 배면과, 인접하는 블록끼리 적어도 일부가 맞닿는 좌,우 측면과, 보강재 또는 보강재를 연결하기 위한 앵커가 끼워지는 보강재 삽입홈이 전후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면과, 이 상면과 대응되는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하면의 좌,우측에는 상,하 블록간의 연결핀 체결을 위한 연결핀 삽입구멍이 상하로 관통 형성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내측에는 관통공(60)이 상면(40)에서부터 하면(50)까지 관통 형성되되 이 관통공(60)은 블록의 엇쌓기 축조시 상부 블록의 연결핀 삽입구멍(h)에 끼워진 연결핀이 걸리는 위치에 형성되고, 이 관통공(60)의 측부로는 보강재의 선단부가 직접 걸리는 보강재 삽입홈(44)이 배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양측 관통공(60) 사이의 격벽(62) 전방에는 하나의 보강재가 양측의 보강재 삽입홈(44)을 통해 후방으로 연결되도록 보강재의 중간부가 끼워져 지나가는 보강재 삽입홈(44)이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블록은 성토부에 설치되고, 보강재를 이용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블록의 후방으로 토사나 쇄석 등을 포설 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 블록은 절토부에 사용이 불가할 뿐아니라 성토부에서도 암석을 포설하여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수 개의 블록을 보강재로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수의 사람이 동원되어 작업해야 하므로 작업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지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한 것으로, 그 목적은 T자형 보강철근 및 합성수지 보강재를 이용하여 절토부에 설치된 전면블록으로 쉽고 용이하게 설치하며, 성토부에 설치된 수동저항블록에는 직접 T자형 보강철근을 설치하여 절토부 및 성토부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 후방에 보강철근 및 합성수지 보강재가 겸용으로 체결되는 이단삽입홈을 가로 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중간 부분에 T자형 삽입홈이 형성된 전면블록과; 상기 전면블록의 삽입홈에 설치되며 2개의 철근을 T자형 체결구를 이용하여 원터치 결합된 T자형 보강철근과; 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전면블록에 체결된 T자형 보강철근이 원터치로 체결되는 별도의 보강철근체결구가 체결되고, 하측에는 사면보강공이 원터치로 체결되도록 보강공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로 구성한다.
또, 상면에 ㄷ자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된 전면블록과; 상기 전면블록의 삽입홈으로 체결되며 절반이 자유롭게 접혔다 펼쳐지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된 합성수지 보강재와; 절토사면의 사면보강공에 설치되며 중앙에 보강공체결구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공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있는 체결날개를 갖는 커플러;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의 효과가 있다.
첫째는 전면블록에 체결된 T자형 보강철근과 절토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인 쏘일네일링 및 락볼트를 커플러를 통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고, 전면블록에 체결된 합성수지 보강재는 사면보강공에 원터치로 체결되어 있는 커플러의 체결날개로 고정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항상 수평상태로 체결할 수 있어 그 시공성이 뛰어나고 품질 관리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둘째는 전면블록에 설치되는 보강철근을 T자형 체결구 및 중간커플러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바로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는 전면블록과 사면보강공의 체결작업을 커플러를 통해 혼자서도 가능하여 체결 시간 및 인건비를 대폭 줄일 수 있어 물류비 및 가공비를 줄일 수 있어 시공 단가를 낮추는 효과가 있다.
넷째는 전면블록에 설치된 보강철근 및 합성수지 보강재를 커플러에 체결된 사면보강공이 견고하게 잡아주고 있어 전면블록이 외부 환경에 의해 흔들리거나 기울어지는 현상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
다섯째는 성토부에 설치된 수동저항블록으로 T자형 보강철근을 체결하여 암석을 포설할 수 있어 견고하게 전면블록을 축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종래 고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4~5는 본 발명인 전면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도 6~7은 본 발명인 T자형 체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인 연결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인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보강철근체결구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인 모노콘의 고정돌기를 다르게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커플러를 구성을 나태낸 분해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보강공체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라쳇렌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인 전면블록의 다른 구성을 나태낸 평면도
도 16~18은 본 발명의 전면판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용상태도
도 22는 본 발명의 시공순서를 나타낸 블록도
도 23은 본 발명인 수동앵커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24~28은 본 발명인 수동저항블록의 구성을 나태낸 단면도 및 사시도
도 29은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인 합성수지 보강재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0은 본 발명인 전면블록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 31~33은 본 발명인 커플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34은 본 발명인 커플러의 체결날개에 형성된 걸림홈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5는 본 발명인 보강공체결구가 일체로 형성된 커플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6는 본 발명의 다른 시공순서를 나태낸 블록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인 전면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이며, 도면 부호 200은 본 발명인 전면블록과 사면보강공을 체결하는 체결구조의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200)는 상면에 이단삽입홈(111)과 중앙에 T자형 삽입홈(113)이 형성된 전면블록(110)과, 상기 전면블록(110)의 이단삽입홈(111)과 삽입홈(113)에 체결되는 다양한 형태의 보강철근(120)과, 상기 보강철근(120)과 절토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1)을 원터치로 체결하여 수평상태가 되도록 하는 커플러(150)로 구성한다.
상기 전면블록(110)은 첨부된 도면 도 4 및 도 5와 같이 상면 후방에 T자형 보강철근(120) 및 합성수지 보강재가 겸용으로 체결되는 이단삽입홈(111)을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이단삽입홈(111)의 중간 부분에는 T자형 삽입홈(113)을 형성한다.
또한, 이단삽입홈(111)의 양측 단에도 후방으로 길게 삽입홈(1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단삽입홈(111)은 상측에는 보강철근(120)이 삽입되도록 보강철근 삽입홈(111a)을 형성하고 그 하측에는 합성수지 보강재가 삽입되는 합성수지 보강재 삽입홈(111b)을 형성한다.
상기 보강철근 삽입홈(111a)의 그 폭을 넓게 형성하고 합성수지 보강재 삽입홈(111b)은 그 폭을 보강철근 삽입홈(111a) 보다 작게 형성한다.
그리고 이단삽입홈(111)의 중간 부분에 T자형 삽입홈(113)을 형성하고, 그 하측면을 라운드(R)로 형성하여 보강철근(120)의 삽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보강철근(120)는 2개의 철근을 T자형 체결구(130)를 이용하여 T자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한다.
상기 T자형 체결구(130)는 첨부된 도면 도 6과 같이 상측 외주면에 가로 방향의 철근(121)이 삽입되는 삽입공(131)을 관통되게 형성하고, 내부에는 웨찌(132)가 삽입되는 웨찌삽입공(133)이 경사지면서 관통되게 형성한다.
그리고 웨찌(132)의 후방면으로 중앙에 구멍(134)을 갖는 보강판(135)을 밀착되게 설치하고, 보강판(135)의 전방으로 압축스프링(136)이 안쪽으로 돌출된 걸림턱(137)의 지지를 받으며 원터치로 설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측의 삽입공(131)으로 가로 방향의 철근(121)이 관통되게 설치한 후에, 세로 방향의 철근(122)을 웨찌(132)의 내부로 삽입하여 후방으로 밀게 되면, 웨찌(132)가 웨찌삽입공(133)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압축스프링(136)이 압축을 받으면서 웨찌(132)가 외부로 벌어지면서 세로 방향 철근(122)이 웨찌(132) 내로 체결됨 동시에 압축스프링(136)의 압축이 풀리면서 견고하게 원터치로 고정된다.
상기 T자형 체결구(130)를 통해 형성된 T자형 보강철근(120)은 전면블록(110)의 이단삽입홈(111)과 중앙에 형성된 T자형 삽입홈(113)으로 체결한다.
또한, 길게 형성된 세로 방향의 철근(122)을 첨부된 도면 도 7와 같이 세로 방향의 철근(122)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연결커플러(140)를 이용하여 2개의 철근을 서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상기 연결커플러(140)는 첨부된 도면 도 8과 같이 내부에는 관통공(141)이 형성되고 외주면의 양측에는 나사산(142)이 형성된 중간연결구(143)를 형성하고, 중간연결구(143)의 양측으로 내부에 세로 방향 철근(122)을 고정하는 고정웨찌(144)을 삽입 설치한다.
그리고 중간연결구(143)의 양측으로 내주면에 나사산(145)이 형성되면서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공(146)을 갖는 고정구(147)를 설치한다.
이와 같이 세로 방향의 철근(122)의 길이를 작업 현장에서 바로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어 길이 조절이 용이하며, 분리된 부품을 사용하므로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커플러(150)는 첨부된 도면 도 9 및 도 12와 같이 상측에는 전면블록(110)에 체결된 T자형 보강철근(120)이 원터치로 체결되는 보강철근체결구(160)가 체결되는 삽입공(151)이 형성되고, 하측에는 사면보강공(1)이 원터치로 체결되는 보강공체결구(170)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면에 나사산(152)이 형성된 결합공(15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철근체결구(160)는 모노콘(164), 웨찌(165), 오링판(166), 압축스프링(167), 캡(169)로 이루어진다.
이는 첨부된 도면 도 10과 같이 전방에 외부로 돌출되어 연결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라운드 형태를 갖는 고정돌기(161)가 형성되고 후방 외주면에는 나사산(162)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경사면을 갖는 웨찌삽입공(163)이 관통되게 형성된 모노콘(164)을 구비한다.
그리고 모노콘(164)의 웨찌삽입공(163)으로 세 조각으로 분할된 웨찌(165)를 체결하고, 웨찌(165)의 후방면에는 중앙에 구멍(166a)이 형성된 오링판(166)을 설치한다.
상기 캡(169)은 전방 내주면에 나사산(168)이 형성되고 내부에 압축스프링(167)이 설치되는 삽입공(169a)을 형성한다.
상기 캡(169)은 모노콘(164)의 후방 외주면으로 나사 결합되며, 재질을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그 무게가 경량이다.
또한, 상기 모노콘(164)의 고정돌기(161)는 첨부된 도면 도 11과 같이 전방으로 돌출된 원형의 결합구(161a)를 형성하여 사용하게도 된다.
상기 원형의 결합구(161a)는 커플러(150)의 삽입공(151)으로 삽입 설치되고 후방에 형성된 라운드 형태를 갖는 고정돌기(161)를 회전시키면서 원하는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공체결구(170)는 커플러(150)의 결합공(153)의 전방으로 체결되며 하우징(171)과 웨찌(174)와 오링판(175)과 압축스프링(176)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우징(171)은 외주면에 나사산(172)이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경사면을 갖는 웨찌삽입공(173)을 관통되게 형성한다.
상기 웨찌삽입공(173)으로는 세 조각으로 분할되어 있고 내주면에 나사산(174a)을 갖는 웨찌(174)를 삽입 설치한다.
상기 웨찌(174)의 후방면에 중앙에 구멍(175a)을 갖는 오링판(175)을 밀착되게 설치한다.
그리고 압축스프링(176)과 오링판(175)을 커플러(150)의 삽입공(153) 내측으로 삽입한 후에 웨찌(174)가 체결된 하우징(171)을 삽입공(153)으로 나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커플러(150)의 상측 삽입공(151)의 전방 면에는 보강철근체결구(160)의 고정돌기(161) 전면이 밀착되게 결합되고, 하측 삽입공(153)으로는 보강공체결구(170)가 나사 결합된다.
상기 커플러(150)에 체결되는 보강공체결구(170)는 첨부된 도면 도 13과 같이 커플러(150)의 하측에 분리형이 아닌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공체결구(170)에 원터치로 체결된 사면보강공(1)의 후단으로 첨부된 도면 도 14와 같이 밀착공구인 라쳇렌치(177)를 체결하여 커플러(150)의 후방 면과 맞닿도록 한 후에 라쳇렌치(177)를 회전하게 되면, 라쳇렌치(177)가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커플러(150)를 밀게되므로 커플러(150)도 전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지압판(3)을 강하게 밀어 사면(4)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사면보강공(1)의 후방에는 웨찌(2)가 체결되어 있어 라쳇렌치의 이동을 흔들리지 않고 진행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웨찌(2)를 제거한후에 라쳇렌치(177)를 사면보강공(1)에서 분리하면 된다.
상기 전면블록(110)은 첨부된 도면 도 15와 같이 전면블록(110)에 형성된 보강철근 삽입홈(111a)을 양측 끝까지 길게 형성하여 사용한다.
이는 다수 개의 전면블록(110)을 일렬로 설치한 후에 T자형 체결구(130)를 통해 T자형으로 형성된 보강철근(120)를 체결하여 고정하므로 전면블록(110)을 일체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절토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의 위치가 전면블록(110)과 전면블록(110)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게 되면, 보강철근(120)의 중간 부분에 T자형 체결구(130)을 체결한 후에 보강철근(120)을 원터치로 체결한다.
그리고 보강철근(120)과 사면보강공을 커플러(150)로 체결하여 수평상태가 되도록 한다.
상기 전면블록을 첨부된 도면 도 16 내지 도 18과 같이 전면판(180)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80)은 후방 면 양측에는 외부로 돌출되면서 외면에 구멍(181)이 형성된 두 개의 고정판(182)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판(182)는 수직 및 수평 상태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두 개의 고정판(182) 사이 공간으로 T자형 체결구(130)를 끼우고, 체결구(130)의 삽입공(131)과 고정판(180)의 구멍(181)을 일치시킨 후에 가로 방향의 철근(121)이 관통되게 체결한다.
그런 다음, 세로 방향의 철근(122)을 웨찌(132)의 내부로 삽입하여 후방으로 밀게 되면, 웨찌(132)가 웨찌삽입공(133)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압축스프링(136)이 압축을 받으면서 웨찌(132)가 외부로 벌어지면서 세로 방향 철근(122)이 웨찌(132) 내로 체결됨 동시에 압축스프링(136)의 압축이 풀리면서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3 및 도 21와 같이 먼저, 2개의 철근을 T자형 체결구(130)를 이용하여 T자형 보강철근(120)으로 형성한 후에 전면블록(110)의 이단삽입홈(111)과 삽입홈(113)으로 체결한다.
그리고 T자형 보강철근(120)의 세로 방향 철근(122)의 끝부분으로 연결커플러(140)을 체결하고, 연결커플러(140)로 다른 철근을 체결하여 길게 연장한다.
그런 다음, 절토 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1)인 쏘일네일링 및 락볼트의 후단으로 커플러(150)에 형성된 보강공체결구(170)를 결합한다.
그러면, 보강공체결구(170)의 하우징(171) 내부에 설치된 웨찌(174)가 후방으로 밀리게 됨과 동시에 웨찌(174)에 밀착된 오링판(175)이 압축스프링(176)을 압축하게 되고, 이때 웨찌(174)가 외부로 벌어지게 되면서 사면보강공(1)을 잡고 있게 된다.
그리고 압축을 받은 압축스프링(176)이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늘어났던 웨찌(174)를 조여주므로 사면보강공(1)을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보강공체결구(170)에 설치된 하우징(171)의 전방에 나사 결합된 사각 형태의 지압판을 커플러(150) 자체를 회전시키면서 지압판을 절토 사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또한, 커플러(150)에 보강공체결구(17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쳇렌치(177)를 이용하여 커플러(150)를 전방으로 밀면서 지압판이 절토 사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커플러(150)의 상측 삽입공(151)을 통과한 보강철근(120)의 끝을 보강철근체결구(160)의 모노콘(164) 내측에 설치된 웨찌(165)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웨찌(165)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압축스프링(167)이 압축을 받게 되고 이때, 웨찌(165)가 외부로 벌어지면서 보강철근(120)을 잡고 있게 된다.
그리고 탄성을 받은 압축스프링(167)이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늘어났던 웨찌(165)를 조여주므로 보강철근(120)을 원터치로 체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전면블록과 사면보강공을 체결하는 시공방법은 첨부된 도면 도 3 과 도 22와 같이 전면블록 설치단계와 다짐 단계, 보강철근 설치단계, 커플러 설치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블록 설치단계는,
상면 후방에 T자형 보강철근(120) 및 합성수지 보강재가 겸용으로 체결되는 이단삽입홈(111)을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이단삽입홈(111)의 중간 부분으로 T자형 삽입홈(113)이 형성된 전면블록(110)을 적층한다.
상기 다짐 단계는,
상기 전면블록(110)의 후방으로 암석, 쇄석, 흙을 채운 후에 포설 및 다짐장비를 이용하여 채워진 암석, 쇄석, 흙을 평평하게 다져주게 된다.
상기 보강철근 설치단계는,
상기 다짐 단계 후에 전면블록(110)의 이단삽입홈(111)과 삽입홈(113)으로 T자형 보강철근(120)을 체결한다.
상기 T자형 보강철근(120)은 두 개의 철근을 T자형 체결구(130)를 이용하여 T자형 형성한다.
그리고 T자형 보강철근(120)의 세로 방향 철근(122)으로 연결커플러(140)를 체결하여 그 길이를 조절하면서 별도의 철근을 연결한다.
이와 같이 현장에서 두 개의 철근을 이용하여 바로 T자형으로 제작한 후에 설치할 수 있어 작업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기 커플러 설치단계는,
커플러(150)에 설치된 분리 가능한 보강공체결구(170)의 하우징(171)으로 사각 형태의 지압판을 나사 결합한 후에, 절토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1)으로 커플러(150)의 보강공체결구(170)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한다.
그러면, 보강공체결구(170)의 하우징(171) 내부에 설치된 웨찌(174)가 후방으로 밀리게 됨과 동시에 웨찌(174)에 밀착된 오링판(175)이 압축스프링(176)을 압축하게 된다.
이때 웨찌(174)가 외부로 벌어지게 되면서 사면보강공(1)을 잡고 있게 되며, 압축을 받은 압축스프링(176)이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늘어났던 웨찌(174)를 조여주므로 사면보강공(1)이 원터치 방식으로 한번에 체결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커플러(150) 자체를 회전시키면서 지압판을 절토 사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또한, 커플러(150)에 보강공체결구(17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쳇렌치(177)를 이용하여 커플러(150)를 전방으로 밀면서 지압판이 절토 사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면블록(110)에서 배출된 보강철근(120)의 끝단을 커플러(150)의 삽입공(151)을 통과시킨 후, 보강철근체결구(160)의 모노콘(164) 내측에 설치된 웨찌(165) 내부로 밀어 넣게 되면, 웨찌(165)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압축스프링(167)이 압축을 받게 되고 이때, 웨찌(165)가 외부로 벌어지면서 보강철근(120)을 잡고 있게 된다.
그리고 탄성을 받은 압축스프링(167)이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늘어났던 웨찌(165)를 조여주므로 보강철근(120)을 원터치로 체결하게 된다.
상기 보강철근체결구(160)의 라운드 형태를 갖는 고정돌기(161)는 커플러(150)의 삽입공(151)의 후면에 밀착되어 있어 원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어 보강철근(120)의 설치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전면블록(110)에 설치된 T자형 보강철근(120)과 절토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1)을 커플러(150)를 통해 쉽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항상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시공 및 품질 관리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전면블록(110)에 설치된 T자형 보강철근(120)을 이용하여 성토부에 수동앵커(210)와 수동블록(220)을 설치하여 전면블록(110)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수동앵커(210)는 평철로 형성되며 첨부된 도면 도 23과 같이 보강철근(120)의 끝부분에 설치되며 일정한 각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배가 나온 곡선부(211)를 형성하고 곡선부(211)의 양쪽 끝에는 구멍(212)을 갖는 고정판(213)을 형성한다.
상기 고정판(213)의 전방과 후방에는 와샤(214)를 체결하고 너트(215)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수동앵커(210)의 전방으로는 암석이나 쇄석을 포설하여 수동앵커(210)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한다.
이때, 길게 형성된 보강철근(120)은 연결커플러(140)를 통해 분리 결합할 수 있어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수동블록(220)은 첨부된 도면 도 24 및 도 25와 같이 상면에 끝부분이 절곡된 보강철근(120)이 삽입 설치되도록 ㄱ자 형태의 절곡홈(221)을 형성하고, 절곡홈(221)의 전방 면에는 매입철근(222)이 매입 설치되어 있다.
상기 매입철근(222)은 보강철근(120)이 수동블록(200)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결합부분이 파손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홈(221)의 양측에는 이단으로 형성된 ㄷ자 쐐기홈(223)을 형성한다.
상기 이단 쐐기홈(223)으로 양측이 이단으로 돌출되고 한쪽 면에 반원형의 홈(224a)이 형성된 십자형 쐐기(224)를 체결한다.
상기 쐐기(224)의 양측이 이단 쐐기홈(223)으로 삽입되어 좌우로 흔들림이 없고, 반원형의 홈(224a)이 철근의 감싸고 있어 보강철근(12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수동블록(220)의 절곡홈(221)은 사용자가 임의로 다양한 모양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수동블록(220)은 일체형인 아닌 첨부된 도면 도 26 및 도 27과 같이 상,하로 분리하여 정착블록(226)과 덮개블록(227)으로 형성하여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정착블록(226)은 상면에 절곡홈(221)과 L자형 연결볼트(225)가 삽입되는 삽입구멍(226a)을 형성하고 하면에 하향 돌출된 결합돌기(226b)를 다수 개 형성한다.
상기 덮개블록(227)은 정착블록(226)의 결합돌기(226b)가 체결되도록 상면에 다수 개의 결합홈(227a)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은 정착블록(226)과 덮개블록(227)의 삽입구멍(226a)으로 L자형 연결볼트(225)를 설치하고 상면에 와샤(225a)와 너트(225b)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하여 서로 한 몸이 되도록 한다.
상기 수동블록(220)은 설치되는 수동블록(220)의 전방으로 포설되는 재료에 따라 다르게 설치하여 사용하게 된다.
먼저, 토사인 경우에는 수동블록(220)의 절곡홈(221)이 상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한 후에 절곡홈(221)으로 끝부분이 절곡된 보강철근(120)을 체결한다.
그리고 절곡홈(221)의 양측에 형성된 쐐기홈(223)으로 십자형 쐐기(224)를 체결하여 보강철근(120)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반면에, 포설되는 재료가 암석인 경우에는 수동블록(220)의 절곡홈(221)으로 끝부분이 절곡된 보강철근(120)을 체결하고, 쐐기홈(223)으로 십자형 쐐기(224)를 체결한 후에 뒤집어서 설치한다.
이와 같이 포설되는 재료가 암석인 경우에는 보강철근(120)을 강하게 가압하여 보강철근(120)이 휘어지면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하여 절곡홈(221)을 하측 면으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수동저항블록은 첨부된 도면 도 28과 같이 재생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각 형태의 판재(228)를 형성하고, 판재(228)의 중앙 부분에 보강철근(120)이 삽입되는 삽입구멍(228a)을 형성한다.
상기 판재(228)의 삽입구멍(228a)으로 보강철근(120)을 삽입한 후에 보강철근(120)의 후단의 웨찌가 장착된 모노콘(229)을 체결하여 수동저항블록이 좌우로 흔들리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수동저항블록을 고정시키는 고정장치는 모노콘(229) 이외에 라이너스크류나 압착식 그립을 사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30은 본 발명의 전면블록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 부호 300은 본 발명인 전면블록과 사면보강공을 체결하는 체결구조의 다른 구성을 갖는 본체를 표시하고 있다.
상기 본체(300)은 체결홈(231)이 형성된 전면블록(230)과, 절반이 자유롭게 접혔다 펼쳐지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된 합성수지 보강재(240)와, 중앙에 형성된 삽입홈으로 보강철근체결구(250)가 나사 결합되며, 도 28과 같이 양측면에는 고정볼트(260)가 체결되어 있는 체결날개(272)를 갖는 커플러(270)로 구성한다.
상기 전면블록(230)은 상면에 합성수지 보강재(240)가 체결되는 ㄷ자 형태의 삽입홈(231)을 형성한다.
상기 합성수지 보강재(240)는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되고 절반이 자유롭게 접혔다 펼쳐지도록 제작한다.
상기 커플러(270)는 첨부된 도면 도 31 및 도 32와 같이 중앙에 보강공체결구(250)가 나사 체결되도록 체결공(271)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상하에 서로 대응되도록 2개가 형성된 체결날개(272)를 형성한다.
상기 체결날개(272)의 상면에는 ㄴ자 형태의 가이드공(273)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공(273)으로는 고정볼트(260)를 삽입한 후에 고정볼트(260)의 하측으로 너트(264)를 체결하여 고정한다.
상기 고정볼트(260)는 상단에 볼트머리(261)가 형성되고 그 중간 부분에 너어링 처리된 밀림방지돌기(262)가 형성되며 하측 외주면에는 나사산(26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공체결구(250)는 첨부된 도면 도 33과 같이 하우징(251)과 웨찌(257)와 오링판(258) 및 압축스프링(259)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51)은 외주면에 나사산(252)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경사면(253)을 갖는 웨찌삽입공(254)이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251)은 외주면에는 사각 형태의 지압판을 나사 결합한다.
상기 웨찌삽입공(254)은 전방 구멍(254a)의 지름이 후방 구멍(254b)의 지름보다 넓게 형성되어 있고, 후방 구멍(254b)은 삽입된 웨찌(257)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웨찌(257)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51)의 웨찌삽입공(254)으로는 세조각으로 분할되어 있는 웨찌(257)를 체결한다.
그리고 웨찌(257)의 전방 면에는 중앙에 구멍(258a)이 형성된 오링판(258)을 밀착시켜 결합한다.
상기 오링판(258)의 전방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지름이 작아지는 경사형 압축스프링(259)을 밀착되게 결합한다.
상기와 같은 보강봉체결구(250)는 내부에 체결된 압축스프링(259)이 전방으로 오도록 한 후에 커플러(270)의 체결공(271)으로 나사 결합하여 고정한다.
상기 커플러(270)에 합성수지 보강재(240)를 연결하는 다른 형태는 첨부된 도면 도 34와 같이 체결날개(272)의 상면 중앙에 합성수지 보강재(240)를 절반으로 접은 상태로 삽입할 수 있을 정도의 걸림홈(272a)을 형성한다.
이는 걸림홈(272a)에 삽입된 합성수지 보강재(240)가 V자 형태로 벌어지더라고도 걸림홈(272a)의 양측으로 걸리게 되므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상기 커플러(270)에 체결되는 보강공체결구(250)은 분리형이 아닌 일체형으로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커플러(270)의 보강공체결구(250)에 나사 결합된 지압판의 압착은, 보강공체결구(250)가 분리형인 경우에는 보강공체결구(250)로 사면보강공(1)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고, 커플러(270) 자체를 회전하면서 지압판을 절토 사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보강공체결구(2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쳇렌치(177)를 이용하여 커플러(270)를 전방으로 밀면서 지압판이 절토 사면에 압착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 도 29 및 도 35와 같이 먼저, 절토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1)인 쏘일네일링 및 락볼트의 후단으로 전방에 지압판이 나사 결합되어 있는 보강공체결구(250)를 삽입하여 체결한다.
이때, 상기 사면보강공(1)은 하우징(251)의 내부에 설치된 웨찌(257)의 내면으로 삽입되면서 웨찌(257)를 전방으로 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웨찌(257)는 오링판(258)에 밀착된 압축스프링(259)을 밀게 되고 이때, 웨찌(257)가 외부로 벌어지면서 사면보강공(1)이 원터치 방식으로 쉽게 체결된다.
그리고 탄성을 받은 압축스프링(259)이 원상태로 회복되면서 늘어났던 웨찌(257)를 조여주므로 사면보강공(1)을 견고하게 잡아주고 있는 상태가 된다.
그런 다음, 커플러(27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지압판이 절토 사면에 견고하게 압착되도록 한다.
또한, 커플러(270)와 보강공체결구(2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쳇렌치(177)를 이용하여 커플러(270)를 전방으로 밀면서 지압판이 절토사면에 견고하게 압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체결날개(272)의 가이드공(273)에 설치된 고정볼트(260)로 합성수지 보강재(240)를 반으로 접어서 감싸 연결한 후에, 전방쪽으로 합성수지 보강재(240)를 강하게 잡아당기면 고정볼트(260)가 가이드공(273)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면서 합성수지 보강재(240)를 체결날개(272)의 내측 한쪽으로 강하게 압착시킨후 너트(264)를 조여서 고정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합성수지 보강재(240)의 한쪽은 한쪽 전면블록(230)의 삽입홈(231)으로 절반을 접은 상태로 체결한다.
그리고 다른 한쪽은 다른 전면블록(230)의 삽입홈(231)으로 위에서 설명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체결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은 첨부된 도면 도 36과 같이 같이 전면블록 설치단계와 다짐 단계, 커플러 설치단계, 합성수지 보강재 연결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전면블록 설치단계는,
상면에 합성수지 보강재(240)가 반으로 접혀서 체결되는 ㄷ자 형태의 삽입홈(231)이 형성된 전면블록(230)을 다양한 형태로 적층한다.
상기 다짐 단계는,
상기 전면블록(230)의 후방으로 쇄석, 흙을 포설한 후에 포설 및 다짐 장비를 이용하여 채워진 쇄석, 흙을 평평하게 다져주게 된다.
상기 커플러 설치단계는,
절토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1)인 쏘일네일링 및 락볼트를 커플러(270)의 체결공(271)에 설치된 보강공체결구(250)의 내부로 사면보강공(1)을 밀어 넣어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한다.
그런 다음, 커플러(270)를 전방으로 회전시키면서 지압판이 절토사면에 견고하게 압착되도록 한다.
또한, 커플러(270)와 보강공체결구(250)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라쳇렌치(177)를 이용하여 커플러(270)를 전방으로 밀면서 지압판이 절토사면에 견고하게 압착되도록 한다.
상기 보강재 연결단계는,
사면보강공(1)의 후단에 체결되어 있는 커플러(270)의 고정볼트(260)로 합성수지 보강재(240)를 절반으로 접어 연결한 상태에서 전방으로 강하게 잡아당기게 되면 고정볼트(260)가 합성수지 보강재(240)를 강하게 압박하면서 한쪽면에 고정되도록 한다.
그런 다음, 합성수지 보강재(240)의 한쪽을 전면블록(230)의 삽입홈(231)으로 절반을 접어서 체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 진행하면서 다수 개의 전면블록(230)으로 합성수지 보강재(240)를 혼자서 단독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200,300:본체 110,230:전면블록
111:이단삽입홈 113:삽입홈
120:보강철근 121:가로방향 철근
122:세로방향 철근 130:T자형 체결구
131,151:삽입공 132:웨찌
133:웨찌삽입공 134:구멍
135:보강편 136:압축스프링
137:걸림턱 140:연결커플러
141,146:관통공 142:나사산
143:중간연결구 147:고정구
150:커플러 152,168:나사산
153:결합공
160:보강철근체결구 161:고정돌기
162,172:나사산 163,173:웨찌삽입공
164:모노콘 165,174:위찌
166,175:오링판 167,176:압축스프링
169:캡 170:보강공체결구
171:하우징 177:라쳇렌치
180:전면판 181:구멍
182:고정판 210:수동앵커
220:수동저항블록 221:절곡홈
222:매입철근 223:쐐기홈
224:쐐기 225:연결볼트
226:정착블록 227:덮개블록
228:판재 229:모노콘
240:합성수지 보강재 250:보강철근체결구
251:하우징 252,263:나사산
253:경사면 254:웨찌삽입공
257:웨찌 258:오링판
259:압축스프링 260:고정볼트
261:볼트머리 262:밀림방지돌기
264:너트 270:커플러
271:체결공 272:체결날개

Claims (20)

  1. 상면 후방에 보강철근 및 합성수지 보강재가 겸용으로 체결되는 이단삽입홈을 가로 방향으로 형성하고, 그 중간 부분에 T자형 삽입홈이 형성된 전면블록과;
    상기 전면블록의 삽입홈에 설치되며 2개의 철근을 T자형 체결구를 이용하여 원터치 결합하여 형성된 T자형 보강철근과;
    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의 후단에 설치되며 상측에는 전면블록에 체결된 T자형 보강철근이 원터치로 체결되는 별도의 보강철근체결구가 체결되고, 하측에는 사면보강공이 원터치로 체결되도록 보강공체결구가 형성되어 있는 커플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T자형 체결구는 내부에 경사지게 형성된 웨찌 삽입공을 가지며 상측에는 철근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게 형성되고,
    중앙에는 내부에 웨찌가 삽입되며 웨찌의 전방으로 중앙에 구멍을 갖는 보강판을 설치하고 보강판의 전방으로 압축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상측에 별도의 보강철근체결구가 설치되는 삽입공을 형성하고, 하측에는 사면보강공이 원터치로 체결되는 보강공체결구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면에 나사산을 갖는 결합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체결구는,
    전방에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후방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내부에는 경사지게 웨찌삽입공을 갖는 모노콘과,
    상기 모노콘의 웨찌삽입공에 체결되는 웨찌와,
    상기 웨찌의 전방면에 설치되는 오링판과,
    상기 모노콘의 후방 외주면에 설치되며 내부에 압축스프링이 설치되는 체결공을 갖는 캡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콘의 고정돌기는 전방으로 돌출된 결합구를 갖는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보강공체결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9. 상면 후방에 보강철근 및 합성수지 보강재가 겸용으로 체결되는 이단삽입홈을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그 양측과 중앙에 세로 방향으로 삽입홈이 형성된 전면블록을 적층하는 전면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전면블록의 후방으로 암석,쇄석,흙을 채운 후에 포설 및 다짐하는 다짐 단계와;
    상기 다짐 단계 후에 전면블록의 삽입홈으로 T자형 보강철근을 설치하는 보강철근 설치단계와;
    절토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인 쏘일네일링이나 락볼트의 후단을 커플러의 하측에 형성된 보강공체결구을 원터치식으로 체결하고, 전면블록에서 배출되는 T자형 보강철근을 상측에 형성된 보강철근체결구로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는 커플러 설치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시공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의 후방 끝에는 성토부에 설치되는 수동앵커를 설치하고, 수동앵커의 전방 면으로 암석이나 쇄석 및 흙을 포설하여 수동앵커가 전방으로 밀리지 않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앵커는 일정한 각을 가지면서 후방으로 배가 나온 곡선부를 형성하고 곡선부의 양쪽 끝에는 구멍을 갖는 고정판을 형성하며, 상기 고정판의 구멍으로 보강철근을 삽입하고, 와샤와 너트를 이용하여 수동앵커를 고정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철근의 후방 끝에는 성토부에 설치되는 수동저항블록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저항블록은 상면에 끝부분이 절곡된 보강철근이 삽입 설치되도록 ㄱ자 형태의 절곡홈을 형성하고 절곡홈의 전방 면에는 매입철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절곡홈의 양측에 쐐기홈을 형성하고 쐐기홈으로 십자형 쐐기를 체결하여 삽입된 보강철근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저항블록은 상면에 절곡홈과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되고 하면에 하향 돌출된 결합돌기가 다수 개 형성된 정착블록을 형성하고,
    상기 정착블록의 결합돌기가 체결되도록 상면에 다수 개의 결합홈이 형성되고 연결볼트가 삽입되는 삽입구멍이 형성된 덮개블록을 형성하여, 이들을 서로 연결볼트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16. 상면에 ㄷ자 형태의 삽입홈이 형성된 전면블록과;
    상기 전면블록의 삽입홈으로 체결되며 절반이 자유롭게 접혔다 펼쳐지도록 합성수지로 형성된 합성수지 보강재와;
    절토사면의 사면보강공에 설치되며 중앙에 보강공체결구가 나사 결합되도록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삽입공을 형성하고 양측면에는 고정볼트가 체결되어 있는 체결날개를 갖는 커플러;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중앙에는 보강철근이 삽입 설치되는 보강철근체결구가 나사 체결되도록 삽입공이 형성되고 있고, 양측면에는 상하에 서로 대응되면서 가이드공이 형성된 체결날개를 갖는 몸체와;
    상기 가이드공에 삽입되어 가이드공의 안내를 받으며 이동하는 고정볼트와 너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날개에 상면 중앙에 걸림홈을 형성하고, 걸림홈으로 합성수지 보강재를 반으로 접어 삽입 설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과 사면보강공의 체결구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는 보강철근체결구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20. 상면 후방에 하단에 합성수지 보강재가 체결되는 삽입홈을 가로 방향으로 길게 형성하고 양측에는 세로 방향으로 체결홈이 형성된 전면블록을 쌓는 전면블록 설치단계와;
    상기 전면블록의 후방으로 쇄석,흙을 채운 후에 포설 및 다짐하는 다짐 단계와;
    절토사면에 설치된 사면보강공사면보강공에 형성된 보강공체결구를 원터치 방식으로 체결하는 커플러 설치단계와;
    상기 전면블록의 삽입홈으로 합성수지 보강재를 반으로 접어서 삽입하고 커플러의 체결날개에 설치된 고정볼트로 합성수지 보강재를 감싸 설치한 후에 전방으로 강하게 잡아당겨 합성수지 보강재를 고정 설치하는 합성수지 보강재 체결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하는 시공방법.
KR1020100002936A 2010-01-13 2010-01-13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980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936A KR100980760B1 (ko) 2010-01-13 2010-01-13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2936A KR100980760B1 (ko) 2010-01-13 2010-01-13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0760B1 true KR100980760B1 (ko) 2010-09-10

Family

ID=430098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936A KR100980760B1 (ko) 2010-01-13 2010-01-13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76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89B1 (ko) 2011-11-10 2014-03-07 (주)에스오씨산업 절토부 보강토 옹벽 연결바의 길이조절용 커플러
KR101555052B1 (ko) * 2014-12-24 2015-09-22 주식회사 동명건설엔지니어링 식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22563B1 (ko) * 2018-11-02 2019-09-18 주식회사 위더스건설이엔씨 철근용 결속헤드를 이용한 성토구간 설치장치
KR20230121413A (ko) * 2022-02-11 2023-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연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170B1 (ko) * 2002-01-25 2005-01-24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KR100495782B1 (ko) * 2002-12-06 2005-06-16 (주)유경기술단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0872197B1 (ko) * 2007-03-28 2008-12-09 이정오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0930829B1 (ko) * 2009-05-04 2009-12-10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7170B1 (ko) * 2002-01-25 2005-01-24 (주)토인종합건축사사무소 보강토옹벽 축조공법
KR100495782B1 (ko) * 2002-12-06 2005-06-16 (주)유경기술단 블록조립식 보강토옹벽 패널과 이 패널을 사용한보강토옹벽의 시공방법
KR100872197B1 (ko) * 2007-03-28 2008-12-09 이정오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암거
KR100930829B1 (ko) * 2009-05-04 2009-12-10 브사렐건설 주식회사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089B1 (ko) 2011-11-10 2014-03-07 (주)에스오씨산업 절토부 보강토 옹벽 연결바의 길이조절용 커플러
KR101555052B1 (ko) * 2014-12-24 2015-09-22 주식회사 동명건설엔지니어링 식생옹벽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22563B1 (ko) * 2018-11-02 2019-09-18 주식회사 위더스건설이엔씨 철근용 결속헤드를 이용한 성토구간 설치장치
KR20230121413A (ko) * 2022-02-11 2023-08-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연결방법
KR102586027B1 (ko) * 2022-02-11 2023-10-0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절토부 옹벽의 보강재와 앵커 연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보강재 연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387B1 (ko) 지오그리드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절토 사면의 보강토 옹벽블록 시공방법
KR100980760B1 (ko) 전면블록을 사면보강공 및 수동저항블록과 체결하는 체결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675985B1 (ko) 버팀보 수평수직 보강용 브레이싱
KR100985817B1 (ko) 절토부의 옹벽 고정장치
KR100930829B1 (ko) 락볼트 연결용 커플러를 갖는 판넬
KR101873313B1 (ko) 기능별 전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시공성과 시공 안정성을 증대한 조립식 지오셀 및 이의 시공 공법
KR101793099B1 (ko) 사면 전방 성토부 벽체 연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면 전방 성토 공법
KR101370954B1 (ko) 소일네일과 연계시공되는 지표면 압박 보강 구조 및 공법
KR101510297B1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1402267B1 (ko) 근접병설터널 필라부 보강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EP3396069A1 (en) Anchoring head for an anchoring rod
KR101855402B1 (ko) 철근연결용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연결방법
KR200378292Y1 (ko) 인장식 쏘일네일 강화구
KR20090020082A (ko) 사면안정용 텐션 소일네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블록의시공방법
KR100671927B1 (ko) 네일 긴장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일네일링공법
KR101000915B1 (ko) 전면부와 보강체의 직접 연결형 옹벽
KR101480416B1 (ko) 보강토 옹벽 시공구조
GB2421521A (en) Tie for linking filled sandbags and the like
KR102159398B1 (ko) 소일네일링공법을 적용한 옹벽 구조물 고정장치
JP2003034912A (ja) 防護柵
KR20110021293A (ko) 수동인장기 및 정착유닛을 이용한 제거식 소일네일링 공법
JP4931766B2 (ja) ロックボルト用ナット
KR100690014B1 (ko) 나선판을 갖는 강재 구조
KR20060100790A (ko) 사면보강공사용 스크루 앵커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공법
KR100497796B1 (ko) 바형 그리드 및 그를 이용한 블럭옹벽의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2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9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9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0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0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9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90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