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384B1 - Character input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Character input method of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80384B1 KR100980384B1 KR1020080097992A KR20080097992A KR100980384B1 KR 100980384 B1 KR100980384 B1 KR 100980384B1 KR 1020080097992 A KR1020080097992 A KR 1020080097992A KR 20080097992 A KR20080097992 A KR 20080097992A KR 100980384 B1 KR100980384 B1 KR 1009803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ord
- foreign language
- input
- consonant
- hangu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3—Character input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정확한 철자를 알지 못하더라도 외국어 단어를 발음상의 한글로 입력해주게 되면 입력하고자 하였던 외국어 단어를 정확히 입력 및 디스플레이하며, 더욱 쉽고 빠르게 원하는 외국어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Even if a user does not know the correct spelling, when a foreign language word is input in the phonetic Korean, the desired foreign language word can be input and displayed correctly and quickly. It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be inpu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 외국어 단어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용 키패드에서 외국어 단어를 발음나는 대로 한글로 입력하는 단계와; (b) 휴대용 단말기 내의 제어부가 한글로 입력된 단어를 인식하여 이를 정해진 분리 규칙에 따라 분리하는 단계와; (c) 분리된 한글 자소(字素)들을 정해진 변환 규칙에 따라 외국어 단어의 자소들로 변환하는 단계와; (d) 한글 자소의 순서에 따라 변환된 외국어 단어의 자소들을 조합하여 복수의 조합된 외국어 단어들을 얻는 단계와; (e) 미리 저장된 유효 단어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조합된 외국어 단어들 중 유효 단어를 검출하여 터치스크린의 보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 (f) 사용자가 보조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유효 단어 중 입력하고자 했던 외국어 단어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 터치하게 되면 선택된 외국어 단어를 메인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최종 문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이 개시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a user inputs a foreign language word in Korean as it is pronounced on a Korean input keypad of a portable terminal for input of a foreign language word; (b) the controller in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ing a word input in Korean and separating the wor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paration rule; (c) converting the separated Hangul characters into phonemes of a foreign language wor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version rule; (d) combining the phonemes of the foreign language words conver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Hangul characters to obtain a plurality of combined foreign language words; (e) detecting valid words among the combined foreign language words based on previously stored valid word data and displaying the valid words on an auxiliary screen of a touch screen; (f) when the user selects a foreign language word to be input from the valid words displayed on the sub-screen and touches the screen, displaying the selected foreign language word on the main screen to perform final character input; An input method is disclosed.
휴대용 단말기, PDA, 휴대폰, 문자 입력, 터치스크린, 키패드 Handheld Terminals, PDAs, Mobile Phones, Text Entry, Touch Screens, Keypads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폰, PDA, 네비게이션, PMP 등의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서 외국어 단어를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quickly and accurately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word in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a mobile phone, PDA, navigation, and PMP.
최근 정보통신분야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휴대폰, PDA, 웹 패드 등과 같은 소형 정보통신기기의 사용이 대중화되고 있고, 또한 이러한 소형 정보통신기기를 통해 제공되는 뉴스, 주식, 날씨, 증권, 교통정보, 인터넷 등 정보 제공을 위주로 하는 각종 통신서비스가 더욱 보편화되고 있다. Recently, with the remarkable developments in the field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he use of sm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mobile phones, PDAs, web pads, etc. has become popular, and news, stocks, weather, securities, traffic information, and the Internet provided through such small information communication devices. Various communication services focused on providing information are becoming more common.
상기와 같은 정보를 이용하기 위해, 그리고 각종 새로운 정보나 데이터를 입력 및 저장하기 위해 단어 또는 단어들로 이루어진 문장을 전자기기에 입력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최근 자신의 휴대폰에 문자를 입력하여 그 문자를 상대방의 휴대폰으로 전송하는 문자 전송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SMS)의 이용이 대중화 되면서 소형 전자기기에서의 문자 입력이 일상화되고 있다.In order to use the above information and to input and store various new information or data, a word or a sentence composed of words has been frequently input to the electronic device. As the use of a short message service (SMS) for transmitting a message to a mobile phone of a counterpart is popularized, text input on a small electronic device is becoming more common.
특히, 단문 메시지를 주로 전송하는 상기한 문자 전송 서비스뿐만 아니라 인터넷 접속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에서 메일(mail) 등의 장문 입력을 요하는 메일 서비스가 가능해짐에 따라 한글 또는 영어, 기타 여러 언어를 사용한 문자 메시지 또는 텍스트의 입력 기능이 한층 더 중요성을 가지게 된다.In particular, as well as the above-mentioned text transmission service which mainly transmits short messages, mail service requiring long text input such as mail is possible in a portable terminal with internet access, thus enabling the use of Korean, English, and other languages. The input function of a message or text becomes more important.
첨부한 도 1은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용 키패드를 예시한 도면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휴대폰이나 PDA 등의 휴대용 단말기(100)에는 문자 입력부로서 누름 조작 방식의 기계식 버튼들로 이루어진 키패드가 구비되거나,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키패드(110)가 구비된다. 1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racter input keypad in a conventional portable terminal. As is well known, a
최근 휴대폰이나 PDA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터치스크린의 사용이 일반화되는 추세이고, 사용자가 손가락 또는 펜을 가지고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는 키패드를 화면 터치하여 문자 등을 입력하게 된다.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 입력 방식은 기존 누름 조작 방식의 기계식 버튼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다.Recently, the use of the touch screen is becoming more common in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and PDAs, and a user inputs text by touching a keypa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with a finger or a pen. The character input method using the touch screen is not much different from that of the mechanical button of the conventional push operation method.
한편, 휴대폰이나 PDA 등 문자 입력이 가능한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한글이 아닌 영어 및 일본어 등 외국어의 단어나 문장을 입력하기 위해서는 해당 단어의 철자를 모두 알아야 정확한 입력이 가능하다.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enter a word or sentence of a foreign language such as English and Japanese rather than Korean in a personal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text input such as a mobile phone or a PDA, all the spelling of the word can be accurately input.
예를 들면, 터치스크린상의 키패드에서 'space'를 입력하고자 할 경우, 손가락이나 펜을 사용해 해당 입력키를 화면 터치하여, 단어를 구성하는 각 알파벳 철자를 순서대로 정확히 입력해야만 'space'라는 단어의 입력이 가능하다.For example, if you want to enter 'space' from the keypad on the touch screen, you must use your finger or pen to touch the corresponding input screen and type each letter of the alphabet correctly. Input is possible.
하지만, 우리나라 사람의 경우 단말기에서 우리 말을 우리 문자인 한글로 입 력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사용자가 한글 입력을 주로 사용하므로 한글 입력에는 어느 정도 익숙해져 있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한글의 경우 자신의 단말기에서 대부분의 사용자가 자판 배열을 습관적으로 익혀 사용하므로 보다 빠르고 쉽게 문자 입력이 가능하다.However, most Koreans enter Korean words as Korean characters. In this way, since most users mainly use Hangul input, it is true that they are somewhat familiar with Hangul input.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Hangul, most users habitually learn and use the keyboard layout in their terminal, so that text input is faster and easier.
이에 비해 알파벳 입력은 우리가 자주 사용하지 않는 관계로 자판 배열이 익숙해져 있지 않고, 따라서 우리나라의 보통 사용자에게는 알파벳 입력이 어렵다. 영어 단어의 입력시 누구나 한 번쯤은 키패드에서 입력하려는 알파벳을 찾느라 애먹은 일을 경험하였을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alphabet input is not familiar with the keyboard layout because we do not use it frequently,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input the alphabet for ordinary users in Korea. When entering English words, everyone may have had a hard time finding the alphabet you want to type on the keypad.
이와 같이 한글 입력을 주로 사용하는 사용자들이 외국어 단어나 문장을 입력하는 데는 어려움과 불편함이 있고, 입력 속도 및 시간에 있어서 한글 입력에 비해 불리하다. As such, users who mainly use Hangul input have difficulty and inconvenience in entering foreign language words or sentences, and are disadvantageous compared to Hangul input in terms of input speed and time.
특히, 입력 오류가 자주 발생할 수 있음은 물론 오류시마다 해당 문자를 지우는 일을 반복해야 하므로 불편하고, 또한 단어의 철자를 모두 알지 못하면 정확한 입력이 불가한 문제가 있다. In particular, an input error may occur frequently, and since an error must be repeated every time an error occurs, it is inconvenient, and accurate input is impossible without knowing all the spelling of words.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정확한 철자를 알지 못하더라도 입력하고자 하였던 외국어 단어를 정확히 입력 및 디스플레이하며, 더욱 쉽고 빠르게 원하는 외국어 단어를 입력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portable terminal that can accurately input and display the foreign language words to be entered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correct spelling, and can enter the desired foreign language words more easily and quickly. Its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of character input.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a) 외국어 단어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의 한글 입력용 키패드에서 외국어 단어를 발음나는 대로 한글로 입력하는 단계와;(a)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word in Korean as the user pronounces the foreign language word on a keypad for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in order to input a foreign language word;
(b) 휴대용 단말기 내의 제어부가 한글로 입력된 단어를 인식하여 이를 정해진 분리 규칙에 따라 분리하는 단계와; (b) the controller in the portable terminal recognizing a word input in Korean and separating the wor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separation rule;
(c) 분리된 한글 자소(字素)들을 정해진 변환 규칙에 따라 외국어 단어의 자소들로 변환하는 단계와;(c) converting the separated Hangul characters into phonemes of a foreign language word according to a predetermined conversion rule;
(d) 한글 자소의 순서에 따라 변환된 외국어 단어의 자소들을 조합하여 복수의 조합된 외국어 단어들을 얻는 단계와;(d) combining the phonemes of the foreign language words converted according to the order of the Hangul characters to obtain a plurality of combined foreign language words;
(e) 미리 저장된 유효 단어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조합된 외국어 단어들 중 유효 단어를 검출하여 터치스크린의 보조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와;(e) detecting valid words among the combined foreign language words based on previously stored valid word data and displaying the valid words on an auxiliary screen of a touch screen;
(f) 사용자가 보조화면상에 디스플레이된 유효 단어 중 입력하고자 했던 외 국어 단어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 터치하게 되면 선택된 외국어 단어를 메인화면에 디스플레이하여 최종 문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단계;(f)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foreign words to be input from the valid words displayed on the sub-screen and touches the screen, displaying the selected foreign language word on the main screen to perform final character input;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문자 입력 방법을 제공한다.It provides a character input method of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바람직하게는, 상기 (c) 단계에서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규칙 테이블을 이용하여 분리된 한글 자소(字素)들을 외국어 단어의 자소들로 변환하되, 상기 규칙 테이블은 각 한글 자소를 특정 외국어 단어의 자소로 변환하는 상기 변환 규칙을 데이터화하여 정의한 테이블로서 각 한글 자소별로 변환 가능한 알파벳들을 규정한 것이고,Preferably, in step (c), the control unit converts the separated Hangul alphabets into the phonemes of foreign language words using a rule tabl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rule table specifies each Hangul alphabet. A table defined by converting a conversion rule for converting a foreign word into a phoneme to define alphabets that can be converted for each Hangul phoneme,
상기 (b) 단계에서 제어부는 입력된 한글 단어를 상기 규칙 테이블에서 이용 가능한 한글 자소들로 분리해주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b), the control unit separates the input Hangul word into available Hangul characters available in the rule table.
또한 상기 규칙 테이블은,In addition, the rule table,
분리된 한글 자소들 중 초성자음과 이에 연이어 오는 모음에 대해 변환 가능한 외국어 단어의 자소들을 규정한 규칙 테이블1과;A rule table 1 for defining the phonemes of foreign language words that can be converted into consonants and subsequent vowels among the separated Hangul characters;
분리된 한글 자소들 중 '초성자음 + ㅡ'에 대해 변환 가능한 알파벳들을 규정한 규칙 테이블2와;A rule table 2 for defining alphabets convertible for 'consonant consonant + ㅡ' among the separated Hangul characters;
분리된 한글 자소들 중 종성자음에 대해 변환 가능한 와국 문자의 자소들을 규정한 규칙 테이블3과;A rule table 3 for defining the phonemes of Korean characters that can be converted to the final consonants among the separated Hangul characters;
한글 단어로 설정된 예외 단어 및 이 예외 단어에 대해 변환 가능한 외국어 단어의 자소들을 규정한 규칙 테이블4;A rule table 4 which defines the phoneme of an exception word set as a Hangul word and a foreign language word convertible to this exception word;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상기 규칙 테이블1에는 초성자음에 대해 변환 가능한 외국어 단어의 자소가 규정되어 있되, 각 초성자음의 변환 가능한 것으로 규정된 외국어 단어의 자소 중 상기 초성자음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한글 단어의 첫 글자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변환 규칙의 적용 여부가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ule table 1 defines the phoneme of the foreign language word convertible to the consonant, and the consonant of the foreign language word defined as convertible for each consonant belongs to the first letter of the Hangul word input by the user. Whether or not to apply the conversion rul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escribed.
또한 상기 규칙 테이블1에서 초성자음에 연이어 오는 모음으로서 각각 변환 가능한 외국어 단어의 자소들이 규정된 모음으로는 받침이 없는 앞글자의 모음과, 그 뒤에 오는 뒷글자의 초성자음 'ㅇ'과, 상기 뒷글자의 모음이 조합인 복모음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rule table 1, as a vowel following the initial consonant, the vowels of the first letter without the support are defined as the vowels of the foreign language words that can be converted, and the trailing vowels of the latter letter and the back Characterized in that the vowels of the combination includes a double vowel.
또한 상기 규칙 테이블1에서 상기 초성자음에 연이어 오는 것으로서 각각 변환 가능한 외국어 단어의 자소들이 규정된 모음으로는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ㅣ, ㅐ, ㅔ, ㅖ, ㅘ, ㅝ, ㅟ, ㅞ, ㅏ이, ㅏ우, ㅏ워, ㅏ이어, ㅑ이, ㅔ어, ㅔ이, ㅐ이, ㅗ어, ㅗ우, ㅗ이, ㅠ어, ㅘ이, ㅞ이, ㅞ어, ㅣ어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in the rules table 1, the vowels of the foreign language words that can be converted into each other following the initial consonant are defined as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ㅣ, ㅐ, ㅔ, ㅖ, ㅘ, ㅝ, ㅟ, ㅞ, ,, ㅏ, ㅏ, ㅏ, ㅑ, ㅔ, ㅔ, ㅐ, ㅗ, ㅗ, ㅗ, 어, ㅘ, ㅞ, ㅞ, 어 It is characterized by.
또한 상기 규칙 테이블2에는 '초성자음 + ㅡ'에 대해 변환 가능한 외국어 단어의 자소가 규정되어 있되, 각 '초성자음 + ㅡ'의 변환 가능한 것으로 규정된 외국어 단어의 자소 중 상기 '초성자음 + ㅡ'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한글 단어의 첫 글자에 속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변환 규칙의 적용 여부가 규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rule table 2 defines the phoneme of a foreign language word convertible to 'consonant consonant + ㅡ', and the 'first consonant + ㅡ' of the phoneme of a foreign language word that is defined as convertible for each 'consonant + ㅡ'. Whether or not the conversion rule is applied is defin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it belongs to the first letter of the Hangul word input by the user.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제어부는 입력된 한글 단어의 각 글자를 초성자음, 모음, 종성자음(받침)으로 분리하되, 모음으로 'ㅡ'를 사용하는 '초성자음 + ㅡ'에 대해서는 초성자음과 모음인 'ㅡ'를 분리하지 않고 묶어서 나머지 자소들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b), the control unit separates each letter of the input Hangul word into an initial consonant, a vowel, and a final consonant (support), but for the 'first consonant + ㅡ' using 'ㅡ' as a vowel It is characterized by separating the vowels 'ㅡ' without separating them from the rest of the phonemes.
또한 상기 (b) 단계에서 제어부는 입력된 한글 단어의 각 글자를 초성자음, 모음, 종성자음(받침)으로 분리하되, 받침이 없는 앞글자의 모음과, 그 뒤에 오는 뒷글자의 초성자음 'ㅇ'과, 상기 뒷글자의 모음이 조합인 복모음에 대해서는 자소로 분리하지 않고 묶어서 나머지 자소들과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step (b), the control unit separates each letter of the input Hangul word into an initial consonant, a vowel, and a final consonant (support), but does not have a vowel of the first letter and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back letter following it. 'And, the vowels of the back vowel combina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separated from the rest of the phonemes by tying up rather than separating them into phonemes.
또한 상기 초성자음 및 종성자음과 분리되는 모음으로는 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ㅣ, ㅐ, ㅔ, ㅖ, ㅘ, ㅝ, ㅟ, ㅞ, ㅏ이, ㅏ우, ㅏ워, ㅏ이어, ㅑ이, ㅔ어, ㅔ이, ㅐ이, ㅗ어, ㅗ우, ㅗ이, ㅠ어, ㅘ이, ㅞ이, ㅞ어, ㅣ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owels separated from the initial consonants and the final consonants ㅏ, ㅑ, ㅓ, ㅕ, ㅗ, ㅛ, TT, ㅠ, ㅣ, ㅐ, ㅔ, ㅖ, ㅘ, ㅝ, ㅟ, ㅞ, ㅏ, ㅏ우,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horse, a tire, a tire, a horse, a horse, a horse, a horse, a horse, a horse, a horse, a horse, a horse, a horse, a horse.
또한 상기 유효 단어 데이터는 올바른 철자들의 외국어 단어들로 이루어진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alid word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ata consisting of foreign language words of the correct spelling.
또한 상기 유효 단어 데이터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사전(事典) 데이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valid word data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ctionary data stored in the storage unit.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에 의하면, 사용자가 정확한 철자를 알지 못하더라도 외국어 단어, 예컨대 영어 단어를 발음상의 한글로 입력해주게 되면 입력하고자 하였던 영어 단어를 단말기에 정확히 입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특히 영어 단어의 입력을 위해 자판 입력이 익숙하지 못한 알파벳 대신 발음상의 한글로 간편히 입력할 수 있으므로 더욱 쉽게 원하는 영어 단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correct spelling, if a foreign language word, for example, an English word is input into the phonetic Korean, the English word to be input can be correctly input and displayed on the terminal. In particular, for input of English words, the keyboard input can be easily input in the phonetic Hangul instead of the unfamiliar alphabet, so it is easier to enter the desired English words.
이러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은 정확도 및 속도 측면에서, 그리고 편의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y advantageous advantage in terms of accuracy, speed, and convenience.
이하,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Hereinafter,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of the principle that the inventor can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his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본 발명은 휴대폰, PDA, 네비게이션, PMP 등의 각종 휴대용 단말기에서 보다 신속하고 정확하게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표시부 및 입력부로서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에 유용하게 적용 가능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more quickly and accurately in various portable terminals such as mobile phones, PDAs, navigation devices, PMPs, and the like, and is particularly useful for portable terminals having a touch screen as a display unit and an input unit.
본 명세서에서 휴대용 단말기라 함은 사용 용도나 기능, 구성 등에 있어서 어떠한 제한 없이 이동통신단말기, 개인정보단말기 등 한글과 알파벳, 기타 외국어 문자의 입력을 필요로 하는 단말기를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ortable terminal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terminals that require input of Korean, alphabet, and other foreign language characters such as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personal information terminal without any limitation in use, function, or configuration.
첨부한 도 2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로서,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휴대용 단말기의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for performing the text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a touch scree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sent invention.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및 키패드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touch screen and a keypad of a portable terminal for text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통상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101)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창(LCD)(102)과 상기 액정 표시창 위에 설치되는 터치판넬(10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터치스크린은 화면을 통해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다양한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하고, 화면 터치에 따른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 즉 터치신호를 출력하게 된다.Typically, the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100)에서 터치스크린(101)은 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와 입력된 문자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의 역할을 모두 하게 되는데, 문자 입력을 위한 입력부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문자들이 할당된 입력키(111)들을 포함하는 키패드(110)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In the
이때, 터치스크린은 키패드(110)의 각 입력키(111) 내에서 그에 할당된 문자들을 디스플레이하고, 입력키(111)들의 화면 터치에 따른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displays characters assigned thereto within each
또한 터치스크린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문자를 디스플레이해주는 표시부로서 동작되며, 특히 본 발명에서 터치스크린의 디스플레이 화면은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한 문자를 디스플레이해주는 메인화면(120)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의 문자 입력시에 검출된 유효 단어들을 리스팅하여 디스플레이해주는 보조화면(121)으로 구분된다.In addition, the touch screen is operated as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characters input by the user,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screen of the touch screen is a
또한 도 2에서, 제어부(MPU:Micro-processor Unit)(105)는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데이터 처리 및 통신(이동통신단말기의 경우)을 위한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터치스크린(101)에 디스플레이된 키패드를 사용자가 터치하여 문자를 입력할 경우 오류 없이 문자를 입력 및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기능을 처리한다. In addition, in FIG. 2, a control unit (MPU: Micro-processor unit) 105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a user performs control for data processing and communication (in the case of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a user touches a keypad displayed on the
저장부(106)는 프로그램 구동 및 데이터 저장 등을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으로, 추가로 별도 데이터 저장수단인 하드 디스크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프로그램 메모리 및 데이터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그램 메모리는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를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이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데이터 메모리는 램(Ram Access Memory)을 사용할 수 있으며, 휴대용 단말기 동작 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비휘발성 메모리는 각종 데이터 및 시스템 파라미터 등을 저장하며, EEPROM을 사용할 수 있다. The
또한 터치신호 수신부(104)를 포함하는데, 터치스크린(101)이 화면 터치에 따른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출력하면, 터치신호 수신부(103)는 터치스크린(101)으로부터 출력된 전기적인 아날로그 신호를 제어부(105)에서 사용 가능한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105)로 출력한다.In addition, the touch
통상의 문자 입력이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한글 및 숫자, 다양한 특수 기호 입력과 더불어 외국어 문자도 입력 가능하도록 제작되는 바, 보통 한글 입력과 영문 입력을 위한 알파벳 입력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구비하고 있다. 문자입력 모드, 세부적으로는 한글입력모드와 영문(알파벳)입력모드, 숫자입력모드, 기호입력모드 등을 별도로 구비해두고, 사용자가 이를 선택하기 위해 키패드상에 미리 설정된 특정 입력키들을 조작하면, 원하는 문자입력모드의 선택은 물론 각 문자입력모드로의 상호 전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예, 한글 ↔ 영문, 영문 ↔ 숫자 등).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inputting a normal character is made to be able to input a foreign language character as well as inputting Korean and numeric characters and various special symbols, and is generally equipped with alphabet input functions for Korean input and English input. If you have a character input mode, specifically Korean input mode, English (alphabet) input mode, numeric input mode, symbol input mode, etc., and the user manipulates certain input keys preset on the keypad to select them, It is possible to select the desired character input mode as well as to switch between each character input mode (eg Korean ↔ English, English ↔ Number, etc.).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문자 입력 과정에 대해 영어 단어의 입력 예를 들어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an example of inputting an English word for the character input proces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은 사용자가 키패드(110)상에서 외국어 단어, 일 예로 영어 단어의 입력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입력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영어 단어의 입력을 위해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100)의 한글 입력용 키패드(110)에서 영어 단어를 발음나는 대로 한글로 입력하는 과정, 휴대용 단말기 내의 제어부(105)가 입력된 한글 단어를 인식하여 이를 정해진 분리 규칙에 따라 분리하는 과정, 분리된 한글 자소(字素)들을 정해진 변환 규칙에 따라 알파벳으로 변환하는 과정, 한글 자소의 순서에 따라 변환된 알파벳들을 조합하여 복수의 조합된 영어 단어들을 얻는 과정, 미리 저장된 유효 단어 데이터를 토대로 상기 조합된 영어 단어들 중 유효 단어를 검출하여 터치스크린의 보조화면(121)에 디스플레이하는 과정, 및 사용자가 보조화면(121)상에 디스플레이된 유효 단어 중 입력하고자 했던 영어 단어 하나를 선택하여 화면 터치하게 되면 선택된 영어 단어를 메인화면(120)에 디스플레이하여 최종 문자 입력이 이루어지는 과정을 포함한다.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allows a user to input a foreign language word, for example, an English word more easily, quickly and accurately on the
상기와 같이 영어 단어와 같은 외국어 단어 입력을 위한 본 발명의 문자 입 력 방법은, 발음상의 한글로 입력하기 때문에, 휴대용 단말기에 외국어로 된 문장을 입력할 때 이에 필요한 단어들을 입력하는 경우는 물론, 사전 검색시 검색하고자 하는 외국어 단어를 입력하는 경우 등 외국어 단어 입력이 필요할 때, 철자를 모두 알지 못하더라도 쉽고 정확하게 원하는 입력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word, such as an English word, is input in Korean in pronunciation, and thus, when inputting a sentence in a foreign language into a portable terminal, necessary words are input. When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word, such as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word to search for a dictionary search,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esired input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even if the spelling is not known.
본 발명에 따라 외국어 단어를 입력하게 되는 모드로는 문자나 메일 등의 문자 입력을 위한 모드나 사전 검색시 검색 단어를 입력하는 모드가 될 수 있으며, 단어를 발음나는 대로 한글로 입력하게 되면 목적했던 단어를 정확히 입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mode for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word may be a mode for inputting a character such as a letter or an e-mail, or a mode for inputting a search word during a dictionary search. You will be able to enter the word correctly.
이러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과정이 한글 입력용 키패드(110)를 이용해 최종적으로는 영어 단어를 입력 및 디스플레이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라 영어 단어를 입력하기 위해 사용자가 키패드의 특정 입력키를 조작하면, 기존 영문입력모드와는 별도로,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이용한 본 발명의 문자입력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Since the character input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inally input and display English words by using the
이때, 상기한 본 발명의 문자입력모드와는 별도로, 특정 입력키를 조작하면 알파벳 입력용 키패드가 디스플레이되면서 그 이후부터 알파벳 입력용 키패드의 입력키들을 이용해 알파벳을 바로 입력할 수 있는 기존의 영문입력모드가 구동될 수 있게 한다.In this case, apart from the above-described text inpu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pecific input key is operated, an alphabet input keypad is displayed, and an existing English input that can directly enter an alphabet using the input keys of the alphabet input keypad thereafter. Allow the mode to be driven.
본 발명의 문자입력모드에서는 궁극적으로는 영어 단어를 입력하기 위한 모드이지만 터치스크린상에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110)가 디스플레이되며, 이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이용해 사용자가 원하는 영어 단어를 발음나는 대로 한글로 입력 해야 한다.In the character inpu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de for ultimately entering English words i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but a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첫 번째 단계로, 본 발명의 문자입력모드(영문입력모드임)에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영어 단어를 발음나는 대로 한글로 입력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05)는 터치스크린(101)상의 화면에 한글 입력용 키패드(110)를 디스플레이하며, 사용자는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이용하여 통상의 한글 입력과 동일한 방법으로 영어 단어를 발음상의 한글로 직접 입력한다.In more detail, as a first step, in the character input mode (English input mode)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glish word to be input by a user is input in Korean as it is pronounced. At this time, the
한글 입력 방식으로는 기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방식들이 적용될 수 있다.As the Hangul input method, various methods used in existing portable terminals may be applied.
첨부한 도 4a 및 도 4b는 "seesaw"의 영어 단어를 입력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의 보조화면(121)에 검출된 유효 단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화면(120)에 유효 단어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최종 입력된 상태의 도면이다.4A and 4B show an example of inputting an English word of “seesaw”, and FIG. 4A shows a state in which a valid word detected on the sub-screen 121 of the
도 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용자가 "seesaw"의 입력을 위해 한글 입력용 키패드(110)에서 발음이 나는 '시소'를 한글 입력 방식대로 그대로 입력을 하게 된다. As shown in FIG. 4A, a user inputs a 'seesaw' which is pronounced by the
물론, 영어 단어를 발음상의 한글로 옮기는 경우 다양한 한글 표현이 있을 수 있는 바, '시소', '씨쏘', '시이소', '시이소우', '씨이쏘', '씨이쏘우' 등 한글 표현이 다양하게 입력될 수 있으며,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다양한 표현의 한글 단어를 영어 단어로 모두 처리할 수 있다.Of course, if you translate English words into Hangeul in pronunciation, there can be a variety of Hangeul expressions, such as 'Seesaw', 'Sisso', 'Siiso', 'Siiso', 'Si Isso', 'Si Isso' Various inputs may be made, an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Korean words of the various expressions may be processed as English words.
상기와 같이 사용자는 '시소' 또는 '시이소' 등 입력하고자 하는 영어 단어의 발음상 한글 표기를 자신의 단말기에서 채용하고 있는 한글 입력 방식 그대로 이용하여 입력하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inputs the Hangul notation in the pronunciation of the English word to be input such as 'seesaw' or 'shiiso' using the Hangul input method adopted by the terminal.
한글 입력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어부(105)는 키패드 부분의 터치판넬(103)에서 출력되는 터치신호를 터치신호 수신부(104)를 통해 입력받아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을 인식하게 되며, 이때 입력된 한글 단어를 터치스크린의 메인화면(120)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While the Hangul input is performed, the
다음 단계로서, 제어부(105)는 입력된 한글 단어를 미리 정의된 분리 규칙에 따라 분리하게 된다.As a next step, the
이때, 제어부(105)는 입력된 한글 단어가 미리 정해진 예외 단어인지 여부를 우선 판단한 뒤, 미리 정해진 예외 단어가 아닌 경우 기본적으로는 한글 단어의 각 글자를 초성자음, 모음, 종성자음(받침)으로 분리하는데, 한글 단어를 분리 규칙에 따라 분리함에 있어서 그 밖의 몇 가지 추가적인 분리 규칙들이 정의되어 적용된다.At this time, the
상기한 분리 규칙은 다음 단계에서 규칙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글 단어를 상기 규칙 테이블에서 이용 가능한 한글 자소들로 분리해주기 위한 규칙이다. 여기서, 상기 규칙 테이블이 변환 규칙을 규정한 테이블로서 상기와 같이 분리된 한글 자소들을 맵핑된 데이터와 매칭하여 한글 자소별 알파벳으로 변환시키는 테이블이므로, 상기 분리 규칙은 입력된 한글 단어를 규칙 테이블에서 이용 가능한, 즉 알파벳 매칭이 가능한 자소들로 분리해주는데 적용되는 규칙이다.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rule is a rule for separating the Hangul word into the Hangul characters available in the rule table so that the rule table can be used in the next step. In this case, the rule table is a table that defines a conversion rule and converts the separated Hangul alphabets into mapped alphabets by matching the mapped data with the mapped data. Thus, the separation rule uses the input Hangul word in the rule table. This rule applies to separating possible, i.e., alphabetical, possible phonemes.
분리 규칙에서 한글 단어의 각 글자를 초성자음, 모음, 종성자음(받침)으로 분리하되, 추가적으로는 적용되는 몇 가지 규칙으로는, 모음으로 'ㅡ'를 사용하는 '그', '느', '드', ..., '스', ... 의 경우['초성자음 + ㅡ'], 초성자음과 모음인 'ㅡ'를 분리하지 않는다. 다만, 받침이 있을 경우 받침만 따로 분리한다.In the separation rule, each letter of a Hangul word is divided into a consonant, a vowel, and a final consonant (support), but some additional rules apply: 'G', 'ne', ' In the case of de, ..., 's', ... ['consonant + ㅡ'], the consonant and the vowel 'ㅡ' are not separated. However, if there is a stand, separate the stand separately.
그리고, 'ㅏ이', 'ㅏ우', 'ㅏ워', 'ㅔ이', ... 등과 같은 복모음은 서로 분리하지 않고 묶어서 나머지 자소들과 분리한다. 상기의 복모음은 받침이 없는 앞글자의 모음과, 그 뒤에 오는 뒷글자의 초성자음 'ㅇ'과, 상기 뒷글자의 모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들을 함께 묶어서 나머지 자소(예, 상기 뒷글자의 종성자음)들과 분리한다.The vowel vowels such as ㅏ, ㅏ, ㅏ, ㅔ, ... are not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separated from the rest. The vowel vowels consist of a vowel of the first letter without a backing, the initial consonant 'ㅇ' of the back letter following it, and the vowels of the back letter, which are tied together and the rest of the phonemes (eg, the final letter of the back letter). Separate from the fields.
상기와 같이 제어부(105)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한글을 미리 정의된 분리 규칙에 따라 여러 한글 자소들로 분리하는 과정을 거친다.As described above, the
이후 분리된 한글 자소들을 규칙 테이블(한글 자소별 알파벳 변환의 규칙을 규정한 테이블)을 이용하여 알파벳으로 변환하는 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은 규칙 테이블에 맵핑된 데이터를 토대로 분리 과정에서 분리된 각 한글 자소를 규칙 테이블의 규칙(규칙 테이블에 규정된 변환 규칙)에 따라 데이터 매칭하여 특정 알파벳으로 변환하는 과정이다. After that, the separated Hangul characters are converted into alphabets using a rule table (a table that defines the rules of alphabet conversion by Hangul characters). This process is based on the data mapped to the rule table. This method converts Hangul characters into specific alphabets by matching data according to the rules of the rules table (conversion rules defined in the rules table).
이와 같이 규칙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는 한글 자소별 알파벳 매칭 및 변환 과정에 대해서 첨부한 도 5a ~ 도 8에 나타낸 규칙 테이블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alphabet matching and conversion process for each Hangul alphabet based on the rule tabl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rule table shown in FIGS. 5A to 8.
우선, 분리된 한글 자소들을 데이터 매칭하여 규정된 알파벳으로 변환시키는 데 이용되는 규칙 테이블(한글 자소별로 알파벳으로의 변환 규칙을 정의한 테이블)은 도 5a ~ 도 8과 같이 복수의 테이블로 미리 데이터화되어 저장부에 저장되는데, 본 발명의 문자 입력시 프로그램에 의해 각 규칙 테이블이 램에 상주하는 상태로 활용되게 된다.First, a rule table (a table that defines a conversion rule for alphabetical characters for each Korean letter) used for data matching and converting the separated Hangul alphabets into a prescribed alphabet is pre-formatted and stored in a plurality of tables as shown in FIGS. 5A to 8. It is stored in the unit, and when the character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rule table is utilized in a state resident in the RAM.
우선, 한글 자소들을 알파벳으로 변환하는데 사용하는 규칙 테이블의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도 5a ~ 도 8과 같이 총 4개의 규칙 테이블이 제공되어 사용될 수 있는데, 도 5a ~ 도 5d는 분리된 한글 자소들 중 초성자음과 연이어 오는 모음에 대한 알파벳 변환을 위한 규칙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초성자음 + ㅡ'의 알파벳 변환을 위한 규칙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종성자음(받침)의 알파벳 변환을 위한 규칙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서 예외 단어 처리를 위한 규칙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여기서, 도 5a ~ 도 5d는 하나의 규칙 테이블이며, 각 부분별로 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도 6a 및 도 6b 역시 하나의 규칙 테이블이며, 두 부분을 취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First,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ule table used to convert Hangul alphabets into alphabets, a total of four rule tables can be provided and used as shown in FIGS. 5A to 8, and FIGS. FIG. 6A and 6B are views showing a part of the rule table for alphabet conversion of the initial consonant + ㅡ, and FIG. 7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art of a rule table for alphabet conversion of final consonants (support), and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rule table for exception word proces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5A to 5D show one rule table, which is shown for each part. Similarly, Figs. 6A and 6B are also one rule table and show two parts.
도 5a ~ 도 5d의 규칙 테이블에서는 초성자음과 그 뒤에 오는 모음으로부터 상기 초성자음에 해당하는 알파벳들과 뒤의 상기 모음에 해당하는 알파벳들이 추출되어, '한글 자소 → 알파벳'의 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rules table of FIGS. 5A to 5D, alphabets corresponding to the initial consonants and alphabets corresponding to the later vowels are extracted from the initial consonants and the vowels following the first consonants, and the conversion of 'Korean alphabet → alphabet' is performed. .
예시된 바와 같이, 도 5a ~ 도 5d의 규칙 테이블에서는 한글의 각 초성자음(제1열)에 대해 변환되는 알파벳(제2열)이 규정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각 초성자음별 뒤에 오는 모음(제1행)에 대해 알파벳(제2행)이 규정되어 있다. As illustrated, in the rules table of FIGS. 5A to 5D, an alphabet (second column) to be converted for each first consonant (first column) of Hangul is defined, and a vowel following each respective first consonant is defined. The alphabet (line 2) is prescribed for line 1).
이때, 한글의 각 초성자음에 대해 규정된 변환 가능한 알파벳 중 상기 초성자음이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 단어의 첫 글자에 속하는지의 여부, 즉 첫 글자의 초성자음인지의 여부에 따라 변환되는 알파벳과 변환되지 않는 알파벳이 추가로 규정되어 있다.In this case, among the convertible alphabets defined for each consonant of the Hangul alphabet, the consonant is converted according to whether the first consonant belongs to the first letter of the Hangul word input by the user, that is, whether it is the first consonant of the first letter. The non-alphabetic alphabet is additionally defined.
즉, 규칙 테이블에서, 'WordFirst'에 해당 초성자음이 입력된 한글 단어의 첫 글자의 초성자음일 경우에 변환 규칙의 적용 여부를 'O', 'X'로 정의한 것이다. 'WordFirst'에 'O'가 표기된 것은 규칙을 적용하는 것이고, 'X'로 표기된 것을 규칙을 적용하지 않는 것(해당 초성자음이 그 알파벳으로는 변환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특정 초성자음에 여러 개의 알파벳이 규정되어 있다면, 'WortFirst'에 'O'로 표기된 알파벳이 규칙에 적용되는 것이며, 'X'로 표기된 알파벳의 경우 규칙에 적용되지 않고 매칭 과정에서 아예 배제되는 것이다.That is, in the rule table, 'O' and 'X' are defined whether or not the conversion rule is applied when the first consonant of the first word of the Hangul word input to the word first is 'first'. The word 'O' in 'WordFirst' means that the rule applies, and that the letter 'X' does not apply the rule (the initial consonant is not converted to the alphabet). If multiple alphabets are specified for a particular consonant, the letter 'O' in 'WortFirst' applies to the rule, and the letter 'X' does not apply to the rule and is excluded from the matching process.
예를 들면, 'ㅂ'의 경우 첫 글자의 초성자음으로 사용된 경우라면 'bb', 'bv'는 규칙을 적용하지 않으며, 'v'만이 변환 가능하다. 단,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 단어의 첫 글자만 아니라면, 초성자음으로 사용된 그 'ㅂ'의 경우 'bb', 'bv', 'v'가 모두 규칙 적용이 가능하여 뒤에 오는 모음에 해당하는 알파벳들과 함께 추출될 수 있다.For example, if 'ㅂ' is used as the first consonant of the first letter, 'bb' and 'bv' do not apply the rule, and only 'v' can be converted. However, if it is not the first letter of the Hangul word entered by the user, 'bb' used as an initial consonant, 'bb', 'bv' and 'v' can be applied to the rule, so that the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following vowel Can be extracted with them.
또한 'ㅅ'의 경우 첫 글자의 초성자음으로 사용된 경우라면 'c', 'ch', 등은 규칙을 적용하나 'cc', 'ss'는 규칙을 적용하지 않으며, 이후의 매칭 과정에서 아예 배제된다. 단, 'ㅅ'이 첫 글자의 초성자음이 아니라면, 다시 말해 두 번째, 세 번째 등 나머지 글자의 초성자음으로 입력된 경우라면, 'cc', 'ss' 등도 모두 규칙을 적용하여 변환 과정에서 사용된다. In the case of 'ㅅ', if it is used as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first letter, 'c', 'ch', etc. apply the rule, but 'cc', 'ss' do not apply the rule, and in the subsequent matching process Excluded. However, if 'ㅅ' is not the first consonant of the first letter, that is, if it is entered as the first consonant of the second and third letters, 'cc' and 'ss' are all used in the conversion process. do.
또한 한글의 각 초성자음에 규정된 각 알파벳에 대해 뒤에 오는 한글의 모음에 따라 알파벳이 규정되어 있는데, 한글의 각 모음별 알파벳 밑에 'O'로 표기된 경우에만 해당 초성자음에 해당하는 알파벳과 함께 그 모음에 해당하는 알파벳이 함께 추출된다.In addition, for each alphabet defined in each consonant of the Hangul, the alphabet is def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vowels of the Hangul. The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vowel is extracted together.
즉, 'ㅂ'에 대해 'v'가 추출되고, 'ㅂ' 뒤에 오는 모음이 'ㅗ'인 경우 'vau', 'vo', 'vor', 'vore'가 추출될 수 있는 것이다. That is, 'v' is extracted for '에', and 'vau', 'vo', 'vor', and 'vore' may be extracted when the vowel following 'ㅂ' is 'ㅗ'.
또 다른 예로, 초성자음이 'ㅅ'에 대해 's'가 추출되고, 'ㅅ' 뒤에 오는 모음이 'ㅗ'인 경우 'sa', 'sau', 'saw', 'so', 'soa', 'soar' 등이 추출될 수가 있는 것이다. In another example, if the consonant is extracted with 's' for 'ㅅ', and the vowel following 'ㅅ' is 'ㅗ', 'sa', 'sau', 'saw', 'so', 'soa' 'soar' can be extracted.
도 5a ~ 도 5d의 규칙 테이블에는 맵핑된 모든 데이터들을 나타내지는 못하였으나, 모음의 경우에 아래와 같은 각 모음별로 추출 및 변환이 가능한 알파벳을 규정해 놓을 수 있다. 또한 동일 모음이라 하더라도 추출 및 변환이 가능한 알파벳을 복수로 규정해 놓을 수 있다.Although not all mapped data is shown in the rule table of FIGS. 5A to 5D, in the case of vowels, alphabets that can be extracted and converted for each vowel as described below may be defined. In addition, even if the same vowel, a plurality of alphabets that can be extracted and converted can be defined.
예)ㅏ ㅑ ㅓ ㅕ ㅗ ㅛ ㅜ ㅠ ㅣ ㅐ ㅔ ㅖ ㅘ ㅝ ㅟ ㅞ ㅏ이 ㅏ우 ㅏ워 ㅏ이어 ㅑ이 ㅔ어 ㅔ이 ㅐ이 ㅗ어 ㅗ우 ㅗ이 ㅠ어 ㅘ이 ㅞ이 ㅞ어 ㅣ어Example) ㅏ ㅑ ㅓ ㅕ ㅣ ㅣ ㅐ ㅔ ㅔ ㅘ ㅝ ㅟ ㅞ ㅞ ㅏ ㅏ ㅏ ㅏ ㅏ ㅏ ㅏ ㅏ ㅏ ㅏ ㅗ ㅗ ㅗ ㅗ ㅠ ㅠ
그리고, 도 6a 및 도 6b의 규칙 테이블에서는 분리된 '그', '느', '드', ..., '스', ...(제1열) 등에 대해 추출될 수 있는 알파벳(제2열)이 규정되어 있는데, 각 한글에 대해 복수의 알파벳이 규정되어 있다. 6A and 6B, the alphabets that can be extracted for the separated 'he', 'ne', 'de', ..., 's', ... (first column), etc. Column 2), and a plurality of alphabets are defined for each Hangul.
즉, '스'만을 본다면, 'ce', 's', 'se', 'ss', 'so', 'ci' 등이 추출 가능하 며, 분리된 '스'가 'ce', 's', 'se', 'ss', 'so', 'ci' 등으로 변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In other words, if you see only 's',' ce ',' s', 'se', 'ss',' so ',' ci ', etc. can be extracted, and the separated' s' is' ce ',' s It can be converted to ',' se ',' ss', 'so', 'ci', etc.
다만, 'WordFirst'는 '그', '느', '드' 등이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 단어의 첫 글자에 속한 경우 변환 규칙의 적용 여부를 'O', 'X'로 정의한 것이며, 예로 '스'가 사용자가 입력한 한글 단어의 첫 글자에 포함된 것이라면, 'WordFirst'에 'O'가 표기된 알파벳 's'가 규칙 적용되고 나머지 'X'가 표기된 알파벳 'ce', 'ci', 'se' 등은 규칙에 적용되지 않는다.However, 'WordFirst' defines 'O' and 'X' as to whether the conversion rule is applied when 'G', 'N', 'De', etc. belong to the first letter of the Hangul word entered by the user. If 's' is included in the first letter of the Hangul word entered by the user, the letter' s' with 'O' in 'WordFirst' is applied, and the letters' ce ',' ci ',' se 'does not apply to rules.
또한 '그', '느', '드' 등에 규정된 알파벳들에 대해 뒤에 올 수 있는 알파벳 자음(제1행)이 규정되어 있는데, 예를 들어 제1행의 알파벳 자음들 중 'O'로 표기된 것은 '그', '느', '드' 등에 규정된 알파벳(제1열) 뒤에 올 수 있는 알파벳 자음이 될 수 있음을 규정하는 것이고, 'X'는 해당 알파벳 자음은 알파벳 변환에서 배제함을 규정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alphabetic consonants (first line) that follow may be defined for the alphabets specified in the letter 'G', 'ne', 'de', and so on. It is written that it can be an alphabetic consonant that can follow the alphabet (column 1) specified in 'G', 'ne', 'de', etc., and 'X' excludes the alphabetic consonant from the alphabet conversion. To define.
예를 들면, '스'의 경우 's' 뒤에 모든 알파벳 자음이 올 수 있으나, '즈'의 경우 's' 뒤에 'b', 'd', 'm', 'n' 만이 올 수 있으며, 도 6a 및 도 6b의 규칙 테이블에서 '즈'에 대해 's'가 추출될 때('s'로 변환된다고 할 때) 그 뒤에 오는 한글 자음은 'b', 'd', 'm', 'n' 중 어느 하나가 도 5a ~ 도 5d의 규칙 테이블의 변환 규칙이 적용되어 변환된다.For example, 's' can contain all alphabetic consonants after 's', but 's' can only contain 'b', 'd', 'm', and 'n', When the 's' is extracted ('converted to' s ') for' z 'in the rules table of FIGS. 6A and 6B, the Hangul consonants following it are' b ',' d ',' m ',' Any one of n 'is converted by applying the conversion rule of the rules table of FIGS. 5A to 5D.
'스페이스'의 경우, '스'가 입력된 한글 단어의 첫 글자이므로 도 6a 및 도 6b의 규칙 테이블에서 'WordFirst'에 'O'가 표기된 's', 'st', 'th' 만이 추출 가능하고, 's', 'st', 'th'에 대해 테이블의 제1행에 나열된 알파벳 자음들 중 'O'가 표기된 알파벳 자음만이 도 5a ~ 도 5d의 규칙 테이블의 변환 규칙을 적용하게 된다. In the case of 'space', only 's', 'st', and 'th' with 'O' in 'WordFirst' can be extracted from the rules table of FIGS. 6A and 6B since 'S' is the first letter of a Hangul word. In addition, among the alphabetic consonants listed in the first row of the table for 's', 'st', and 'th', only the alphabetic consonants marked with 'O' will apply the conversion rule of the rules table of FIGS. 5A to 5D. .
여기서, 'ㅍ'은 초성자음이므로 도 5d의 규칙 테이블의 규칙을 적용받게 되는데, 도 5d의 규칙 테이블에서 'ㅍ'에 규정된 알파벳들 중, 도 6b의 규칙 테이블로부터 추출된 알파벳 자음('O'로 표기된 알파벳 자음)만을, 도 5d의 규칙 테이블의 규칙에 적용하며, 이때 'ㅍ' 뒤에 오는 모음('ㅔ이'가 됨)에 따라 모음에 규정된 알파벳들이 'ㅍ'으로 규정된 알파벳들과 함께 추출된다.Here, the letter 't' is a consonant, so that the rule of the rule table of FIG. 5d is applied. Among the alphabets defined in the letter 'ct' of the rule table of FIG. Only alphabetic consonants denoted '' apply to the rules of the rules table of FIG. 5D, wherein the alphabets defined in the vowels are defined as 'ㅍ' according to the vowels following the word 'c'. Is extracted together.
물론, 모음으로 'ㅡ'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라면, 도 6a 및 도 6b의 규칙 테이블은 사용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소'의 경우 'ㅅ', 'ㅣ', 'ㅅ', 'ㅗ'에 대해서 도 5a ~ 도 5d의 규칙 테이블만을 적용하여 알파벳 변환을 하며, 변환된(규칙 테이블에서 추출된) 알파벳들을 조합하여 '시소'에 해당하는 복수의 영어 단어들을 추출하게 된다.Of course, if '-' is not used as a vowel, the rule table of FIGS. 6A and 6B is not used. For example, in the case of 'seesaw', alphabet conversion is performed by applying only the rules table of FIGS. 5A to 5D to 'ㅅ', 'ㅣ', 'ㅅ', and 'ㅗ', By combining the alphabets, a plurality of English words corresponding to 'seesaw' are extracted.
도 7의 규칙 테이블은 종성자음(받침)에 해당하는 한글 자소에 대해 알파벳 변환을 위해 적용되는 규칙 테이블로서, 연이어 입력된 'ㄹ' + 'ㄹ', 'ㄱ'+'ㅅ', 'ㄱ'+'ㅈ'에 대해서는 별도의 알파벳으로 규정되어 있다. 일 예로, 앞글자의 종성자음(받침)이 'ㄹ'이고 다음 글자의 초성자음이 'ㄹ'인 경우, 알파벳 'l'로 변환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The rule table of FIG. 7 is a rule table applied for alphabetic conversion of Hangul alphabet corresponding to the final consonant (support), and is sequentially entered 'ㄹ' + 'ㄹ', 'ㄱ' + 'ㅅ', 'ㄱ' + 'ㅈ' is defined by a separate alphabet. For example, when the final consonant (back) of the first letter is 'ㄹ' and the first consonant of the next letter is 'ㄹ', the alphabet may be converted to 'l'.
아울러, 도 8의 규칙 테이블은 예외 단어 처리를 위한 별도의 테이블로, 한글 단어로 미리 설정된 예외 단어 및 이 예외 단어에 대해 변환 가능한 알파벳들을 규정한 규칙 테이블이다. 한글로 입력된 단어가 도 8의 규칙 테이블에 포함된 단 어라면, 도 8의 규칙 테이블만 적용이 되어 각 예외 단어에 대해 이에 규정된 영어 단어가 변환되어 입력되게 된다.In addition, the rule table of FIG. 8 is a separate table for exception word processing, and is a rule table that defines an exception word preset as a Hangul word and alphabets convertible to the exception word. If a word input in Korean is a word included in the rule table of FIG. 8, only the rule table of FIG. 8 is applied, and the English word defined therein is converted and input for each exception word.
도 8의 규칙 테이블은 도 5a ~ 도 7의 규칙 테이블이 적용될 수 없는 예외 단어에 대해서만 규정하여 데이터 크기를 최소로 하되, 반드시 필요한 예외 단어는 필히 규정이 되어 있어야 하고, 도 5a ~ 도 7의 규칙이 적용될 수 없는 신조어 등 새로이 요구되는 단어에 대해서는 추가로 업데이트하여 확장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rule table of FIG. 8 defines only the exception words to which the rule table of FIGS. 5A to 7 can be applied to minimize the data size, but the necessary exception words must be prescribed and the rules of FIGS. 5A to 7 must be defined. It is possible to update and expand newly required words such as new words that cannot be applied.
다음으로, 제어부(도 2에서 도면부호 105임)는 상기와 같이 규칙 테이블에 정의된 변환 규칙을 이용하여 앞서 분리된 각 한글 자소들에 대해 알파벳 매칭 및 변환 과정을 수행하고 나면 매칭된 알파벳들을 조합하는 과정을 거치게 된다.Next, the control unit (denoted by
이 과정에서는 분리된 한글 자소들을 알파벳으로 변환한 뒤 한글 단어에서의 한글 자소의 순으로 단순 조합하여 복수의 영어 단어들을 얻게 되는데, 규칙 테이블의 맵핑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앞서 분리된 한글 자소들을 발음에 따라 가능성이 있는 모든 알파벳 문자들로 변환한 뒤 조합하여 영어 단어를 얻은 것이므로, 이 과정에서 조합된 모든 영어 단어들이 올바른 철자의 영어 단어들은 아니다. 즉, 조합된 모든 단어들이 실제 사용되고 있는 올바른 영어 단어들이 아니다.In this process, a plurality of English words are obtained by converting the separated Hangul characters into alphabet and then simply combining them in the order of Hangul characters in the Hangul word, based on the mapping data in the rules table. All English words combined in this course are not correct spellings, because they are converted to all possible alphabetic letters and then combined to obtain English words. That is, not all words combined are actually valid English words used.
따라서, 제어부(105)는 조합된 단어들 중 유효 단어(단수 또는 복수가 될 수 있음)들을 검출하는 과정을 마지막으로 거치게 되며, 여기서 검출된 유효 단어들을 터치스크린의 보조화면(121)에 디스플레이하여 추천하게 된다.Accordingly, the
이에 마지막으로 사용자는 보조화면(121)에 리스팅된 추천 유효 단어들을 검색하여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였던 영어 단어를 최종 선택하게 된다. 최종 선택 과정에서 보조화면(121)에 리스팅된 유효 단어들을 화면 터치하여 선택하게 되는데, 제어부(105)는 화면 터치된 영어 단어를 인식하여 입력 메인화면(120)에 디스플레이하게 된다.Finally, the user searches the recommended valid words listed on the sub-screen 121 and finally selects the English word that he or she wished to input. In the final selection process, the valid words listed on the
상기한 유효 단어 추출 과정에서 알파벳 변환 후 단순 조합된 다수의 영어 단어들 중 철자가 올바른 유효 단어들을 검출하기 위해서, 상기 제어부(105)는 저장부(106)에 미리 저장된 유효 단어 데이터를 사용하며, 조합된 영어 단어들을 저장부의 유효 단어 데이터와 매칭하여 동일한 철자의 영어 단어들이 있는 경우 그 영어 단어들을 추출하여 보조화면(121)에 리스팅해주게 된다.In order to detect valid words that are correctly spelled among a plurality of English words that are simply combined after alphabet conversion in the valid word extraction process, the
본 발명에서 유효 단어 데이터는 올바른 철자들의 영어 단어들로 이루어진 데이터로서, 일 예로서 사전(事典) 기능을 가진 휴대용 단말기의 경우 저장부(106)에 저장된 사전 데이터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effective word data is data consisting of English words of correct spelling, an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ortable terminal having a dictionary function, the dictionary data stored in the
즉, 제어부(105)가 유효 단어 데이터로서 저장부(106)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사전 데이터를 사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조합된 영어 단어들 중 사전 데이터를 참조하여 올바른 철자의 영어 단어들만 검출하여 보조화면에 리스팅하도록 하는 것이다. That is, the
다음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에 따라 'space'라는 영어 단어를 입력하는 과정을 간단하게 정리한 것이다.The following briefly summarizes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English word 'space' according to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1. 사용자가 터치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된 한글 입력용 키패드를 이용하여 원하는 영어 단어를 발음나는 대로 한글 입력한다. 1. Using the Korean input keypad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the user inputs the desired English word as it is pronounced.
→스/ 페 / 이 / 스 를 차례로 입력→ Enter S / P / E / S
2. 휴대용 단말기 내에서 제어부가 미리 정의된 분리 규칙에 따라 입력된 한글을 규칙 테이블에서 사용 가능한 한글 자소들로 분리한다.2. Within the portable terminal, the controller divides the input Hangul into Korean characters available in the rule table according to a predefined separation rule.
→ 스 / ㅍ / ㅔ이 / 스→ ス / プ / / / ス
여기서, 'ㅔ이'는 하나의 자소로 묶어서 분리한다. 이는 도 5a ~ 도 5d의 규칙 테이블에 'ㅔ이'를 하나의 자소로 하여 복수의 알파벳들을 규정해놓았기 때문이다(도 5d 참조).Here, the chopsticks are separated by grouping them into one phoneme. This is because a plurality of alphabets are defined in the rule table of FIGS. 5A to 5D with one letter as a letter (see FIG. 5D).
3. 제어부가 분리된 각 한글 자소별로 미리 정의된 변환 규칙에 의거 알파벳 매칭 및 변환을 수행하며, 알파벳 매칭 및 변환은 변환 규칙을 정의한 규칙 테이블을 기반으로 하여 수행된다. 각 한글 자소들을 알파벳으로 변환한 결과 중의 일부를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3. The controller performs alphabet matching and conversion based on a predefined conversion rule for each separated Hangul alphabet, and the alphabet matching and conversion is performed based on a rule table that defines the conversion rule. Some of the results of converting each Hangul alphabet to the alphabet are as follows.
스 : s / st /thS: s / st / th
ㅍ : p / fP: p / f
ㅔ이 : a / ai / ayㅔ: a / ai / ay
스 : ci / s / sc / se / sh / so / ss / sso / st / th / theS: ci / s / sc / se / sh / so / ss / sso / st / th / the
위에서 '스'의 경우 'ㅡ'를 모음으로 가지는 한글에 대해 변환이 가능한 알파벳들을 정의해놓은 규칙 테이블을 이용하며, '스'가 첫 번째 글자이므로 'WordFirst'에서 'O'로 표기된 알파벳들만이 도 6a 및 도 6b의 규칙 테이블에서 추출된다. In the case of 'su' above, a rule table that defines the alphabets that can be converted for Hangul with 'ㅡ' as a vowel is used. Extracted from the rules table of FIG. 6A and FIG. 6B.
's'의 경우는 뒤에 모든 알파벳 자음들이 올 수 있으나(맵핑된 'O', 'X' 데이터에서 'O'로 표기), 'st'나 'th'는 일부 알파벳 자음들이 올 수 있으며, 뒤에 올 수 있는 알파벳 자음들에 대해서 도 5a ~ 도 5d의 규칙 테이블을 적용한다. 단, 여기서 추출된 'th'는 뒤에 'ㅍ'에 해당하는 'p'와 'f'가 조합될 수 없으므로, 이후 과정에서 규칙을 적용하지 않고 배제한다. 's' can be followed by all alphabetic consonants (indicated by 'O' in the mapped 'O', 'X' data), while 'st' or 'th' can be followed by some alphabetic consonants. The rule table of FIGS. 5A-5D applies to alphabetic consonants that may come. However, 'th' extracted here cannot be combined with 'p' and 'f', which correspond to 't', and thus excluded without applying the rule in the subsequent process.
'스' 다음에 'ㅍ'이 왔으므로 도 6a 및 도 6b의 규칙 테이블에서 'O'로 표기된 'p'와 'f에 대해 도 5d의 규칙 테이블의 변환 규칙을 적용한다. 이때, 'p'와 'f에 대해 뒤에 오는 모음이 'ㅔ이'인 알파벳들을 추출하고, 마지막 글자의 '스'에 대해서는 도 6a 및 도 6b의 규칙 테이블을 이용하되, 이 '스'가 첫 번째 글자가 아니므로 'WordFirst'의 'O', 'X'와 관계없이, 그리고 마자막 글자이므로 뒤에 오는 알파벳의 제한 없이, '스'에 정의된 모든 알파벳들을 추출한다.Since 'x' follows 'p', the conversion rule of the rule table of FIG. 5D is applied to 'p' and 'f' denoted by 'O' in the rule tables of FIGS. 6A and 6B. At this time, the alphabets with vowels followed by 'p' and 'f' are extracted. For the 'letter' of the last letter, the rules table of FIGS. 6A and 6B is used. Since it is not the first letter, it extracts all the letters defined in 's' regardless of the 'O' and 'X' of 'WordFirst' and the last letter, without limitation of the following alphabet.
4. 이후 제어부는 한글 자소별로 상기와 같이 변환된 알파벳들을 한글 자소의 순으로 조합하여 각각의 영어 단어들을 만들어낸다. 4. Then, the controller combines the alphabets converted as described above for each Hangul alphabet in order of Hangul alphabet to generate respective English words.
spaci, spas, .... , space, ... , stpaci, ... 등 spaci, spas, ...., space, ..., stpaci, ... etc
5. 마지막으로 제어부는 조합된 단어들 중에 유효 단어 데이터를 토대로 하여 유효 단어를 추출하고, 이를 최종적으로 보조화면에 리스팅하여 추천한다. 5. Finally, the controller extracts valid words based on the valid word data among the combined words, and finally lists them on the sub screen and recommends them.
space space
상기의 예에서는 유효 단어가 'space' 1개만이 존재하나, 사용자가 입력하고자 하는 단어가 'space'가 아닌 경우에 유효 단어는 규칙 테이블에 의해 복수개가 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는 복수개가 최종적으로 보조화면에 디스플레이되면 이 중 자신이 입력하고자 하였던 올바른 영어 단어를 화면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사용자가 유효 단어들 중 하나의 영어 단어를 선택하게 되면 이 선택 된 영어 단어가 메인화면에 입력 및 디스플레이되게 된다.In the above example, there is only one valid word 'space', but if the word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is not 'space', the valid word may be plural by the rules table, and the user may finally assist the plurality. If it is displayed on the screen, you can touch the screen to select the correct English word you want to enter. Of course, when the user selects one English word among the valid words, the selected English word is input and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위에서 사용자가 '스페이스'를 입력한 경우의 예를 들었으나, '스페이스' 대신 '스패이스'를 입력하더라도 보조화면에 디스플레이되는 유효 단어들 중에는 'space'가 포함될 것이므로, 이를 선택하여 올바른 'space' 입력이 가능해진다. In the above example, the user inputs 'space', but even if the user inputs 'space' instead of 'space', the valid words displayed on the sub screen will include 'space', so select the correct 'space' input. This becomes possible.
상기와 같은 'space'의 예 외에, 도 4a 및 도 4b는 'seesaw'의 입력 예를 보여주고 있는데, 한글로 '시소'를 입력하는 경우에 최종적으로 보조화면에 검출된 유효 단어를 디스플레이해주며, 사용자가 보조화면에 디스플레이된 유효 단어들 중 입력하고자 하였던 'seesaw'를 화면 터치하여 선택하게 되면, 메인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한 'seesaw'가 입력 및 디스플레이된다. In addition to the above example of 'space', FIGS. 4A and 4B show an example of input of 'seesaw'. In the case of inputting 'seesaw' in Korean, finally, the valid word detected on the sub screen is displayed. When the user touches and selects 'seesaw', which the user wants to input among the valid words displayed on the sub-screen, the 'seesaw' selected by the user is input and displayed on the main screen.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정확한 철자를 알지 못하더라도 영어 단어를 발음상의 한글로 입력해주게 되면 입력하고자 하였던 영어 단어를 단말기에 정확히 입력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특히 영어 단어의 입력을 위해 자판 입력이 익숙하지 못한 알파벳 대신 발음상의 한글로 간편히 입력할 수 있으므로 더욱 쉽게 원하는 영어 단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은 정확도 및 속도 측면에서, 그리고 편의성 측면에서 매우 유리한 장점을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user does not know the correct spelling, when the English word is input in the phonetic Korean, the English word that the user wants to input can be correctly input and displayed on the terminal. Instead of the alphabet that can not be easily pronounced Hangul Hangul so you can easily enter the desired English words.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ery advantageous advantage in terms of accuracy, speed, and convenience.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영어 단어를 입력하는 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영어 외에 다른 외국어 단어의 입력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이 동일한 원리에 의해 적용될 수 있으며, 외국어 단어의 입력을 위해 자판 입력이 익숙하지 못한 외국어 단어의 자소 대신 발음상의 한글로 간편히 입력한다 면 쉽게 원하는 외국어 단어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xample of inputting an English word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but the character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pplied by the same principle when inputting a foreign language word other than English. In order to easily input the desired foreign language word, if the user inputs easily the phonetic Korean instead of the phoneme of the foreign language word that the keyboard input is not familiar with.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실시예가 본 발명의 원리를 응용한 다양한 실시예의 일부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In the above, a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However,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merely represent a part of various embodiments to whic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pplied.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may make various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도 1a ~ 도 1c는 통상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용 키패드를 예시한 도면,1A to 1C are diagrams illustrating a keypad for text input in a typical portable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문자 입력 방법을 수행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performing a text input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문자 입력을 위한 휴대용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및 키패드의 예를 나타낸 도면,3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ouch screen and a keypad of a portable terminal for text inpu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보조화면에 검출된 유효 단어가 디스플레이된 상태의 도면,4A is a view of a valid word detected on an auxiliary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의 메인화면에 유효 단어 중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가 최종 입력된 상태의 도면.4B is a view of a state in which a word selected by a user is finally input among valid words in a main screen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 도 5d는 본 발명에서 초성자음의 알파벳 변환을 위한 규칙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5a to 5d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rules table for the alphabet conversion of initial consonants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서 '자음 + ㅡ'의 알파벳 변환을 위한 규칙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6a and 6b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rule table for the alphabet conversion of 'consonant + ㅡ'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서 종성자음(받침)의 알파벳 변환을 위한 규칙 테이블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7 is a view showing a part of the rules table for the alphabet conversion of the final consonant (support)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서 예외 단어 처리를 위한 규칙 테이블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8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rule table for exception word processing in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단말기 101 : 터치스크린100: terminal 101: touch screen
102 : 표시창 103 : 터치판넬102: display window 103: touch panel
104 : 터치신호 수신부 105 : 제어부104: touch signal receiving unit 105: control unit
106 : 저장부 110 : 키패드106: storage unit 110: keypad
111 : 입력키 120 : 메인화면111: input key 120: main screen
121 : 보조화면 121: subscreen
Claims (12)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7992A KR100980384B1 (en) | 2008-10-07 | 2008-10-07 | Character input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7992A KR100980384B1 (en) | 2008-10-07 | 2008-10-07 | Character input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8853A KR20100038853A (en) | 2010-04-15 |
KR100980384B1 true KR100980384B1 (en) | 2010-09-07 |
Family
ID=42215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799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0384B1 (en) | 2008-10-07 | 2008-10-07 | Character input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80384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57719B1 (en) | 2018-11-21 | 2021-05-28 | 오세호 | Writing program, and character input device equipped with the program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8116A (en) * | 2007-02-22 | 2008-08-27 | 엔에이치엔(주) | Method of mapping English and Korean foreign languages and system performing the above method |
-
2008
- 2008-10-07 KR KR1020080097992A patent/KR100980384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78116A (en) * | 2007-02-22 | 2008-08-27 | 엔에이치엔(주) | Method of mapping English and Korean foreign languages and system performing the above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8853A (en) | 2010-04-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377664C2 (en) | Text input method | |
KR100377432B1 (en) | Creation method for characters/words and th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ervice method thereby | |
KR20120006503A (en) | Improved text input | |
US20120209591A1 (en) | Handhel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oggle of a selected data source, and associated method | |
KR100579814B1 (en) | Character Inputting System for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CN100418040C (en) | text messaging device | |
JP2003256115A (en) | Character input device, character input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 |
WO2011079417A1 (en) | Method and device for character entry | |
CN101788879A (en) | Soft keyboard layout and scan input method | |
KR100599873B1 (en) | Multi-character input device using Hangul alphabet and its method | |
KR100980384B1 (en) | Character input method of portable terminal | |
KR20070075113A (en) | Character input device and method using initial consonant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same | |
JP2002207728A (en) | Phonetic character generation device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program for realizing the same | |
KR101249329B1 (en) | Keyboard with descendants and typing method thereof | |
Alnfiai et al. | Improved Singeltapbraille: Developing a Single Tap Text Entry Method Based on Grade 1 and 2 Braille Encoding. | |
JP2021168020A (en) | Voice input device | |
KR100397509B1 (en) | Korean input device with telephone keyboard and its method | |
KR20210057900A (en) | Device and method for inputting and displaying characters combining korean and latin | |
KR101665374B1 (en) |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board | |
RU2344564C2 (en) | Layouts of signs, methods of input and input device | |
CN101868772A (en) | Method for accelerating candidate selection in Chinese input | |
KR200318329Y1 (en) | The way of inputting Korean Character through Numeric Keypad | |
KR101665372B1 (en) | Method of inputting characters using keyboard | |
JP3109642U (en) | Portable Korean input device | |
JP4500353B2 (en) | Character input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0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9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8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8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8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2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0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