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80142B1 -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142B1
KR100980142B1 KR1020080014653A KR20080014653A KR100980142B1 KR 100980142 B1 KR100980142 B1 KR 100980142B1 KR 1020080014653 A KR1020080014653 A KR 1020080014653A KR 20080014653 A KR20080014653 A KR 20080014653A KR 100980142 B1 KR100980142 B1 KR 100980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ffer layer
buffer
layer
waterproof
flo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4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9222A (ko
Inventor
박연준
Original Assignee
박연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연준 filed Critical 박연준
Priority to KR1020080014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142B1/ko
Publication of KR200900892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92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14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5Underlayers in the form of studded or ribbed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6Layered panel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7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with connections using a special adhesiv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는, 마감모르타르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하중을 지지하면서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일측 둘레면은 상부 또는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하부 또는 상부는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돌출부와 함몰부가 맞물려 상호 조립되는 다수 개의 완충층과; 상호 조립되는 완충층의 연결부위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부로부터 물이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방수테이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테이핑 작업 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부위의 상부에서 압축력이 작용할 때 완충층의 변형을 억제하여 테이핑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되고, 완충층에 부착된 방수테이프가 분리되고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테이핑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방수 성능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별도의 지지를 위한 부재나 보강을 위한 부재 없이 돌출부와 함몰부를 서로 끼워 조립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완충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결국, 간단한 구조의 변형만으로 완충층의 연결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시공 비용을 감축시키는 것은 물론 완충층의 변형을 방지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건물, 바닥, 진동, 완충층, 방수, 접촉면적

Description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SHOCK-ABSORBING STRUCTURE INCREASING CONTACT AREA FOR BUILDING BOTTOM}
본 발명은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 완충층 간 연결부위에 테이핑하는 방수 테이프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방수 테이프의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완충층 연결부위의 구조적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 바닥의 완충층(4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 바닥의 콘크리트바닥층(10) 위에 형성되거나 콘크리트바닥층(10) 상부의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상부에 형성된다.
상부로는 마감모르타르층(30)이나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이 위치한다.
이러한 완충층(40)은 동탄성 계수를 낮춰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러한 완충층(40)에 관한 기술로, 본 발명의 발명자가 발명한 '방진용 고무 발포체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방진용 고무발포체'(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4148호)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은 공동주택과 같이 바닥의 두께를 충분히 두껍게 하기 어려운 상태에서 다수의 재료를 혼합함으로써 진동전달율을 낮춰 완충 효과를 향상시켰다.
이러한 완충층(40)은 수평 방향으로 다수 개를 서로 인접시켜 콘크리트바닥층(10) 위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완충층(40)의 시공 방법과 관련된 기술로는, 테이프(50)와 같은 이음부재를 이용하여 완충층(40)을 서로 연결하도록 한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20631호)가 공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고안을 살펴보면, 도 2와 도 3과 같이 테이프(5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완충층(40)은 그 특성상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어 완충층(40) 일측의 국부적인 압축력이 가해지게 되면 압축력이 가해지는 부분에서 국부적인 침하 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즉, 인접하여 여러 개의 완충층(40)을 바닥에 깔아놓은 상태에서 작업자가 작업을 위해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압축 하중으로 인해 완충층(40)에 압축변형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테이핑 작업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테이핑 작업을 한 후에도 작업장에서 왕래하는 사람으로 인해 국부적인 압축력이 반복적으로 인가되면, 테이프(50)가 완충층(40)에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처럼 완충층(40)을 서로 연결하는 테이프(50)가 떨어지게 되면 완충층(40)으로 수분이 스며들 수 있는 환경이 된다.
특히, 완충층(40)이 발포성 재료로 많이 형성되는 점을 감안하면, 이처럼 완충층(40)에 수분이 침투함으로 인해 완충특성이 악회되거나 또는 완충층(40)과 콘크리트바닥층(10)에 곰팡이를 형성시키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테이핑 작업 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부위에 상부에서 압축력이 작용할 때 완충층의 변형을 억제하여 테이핑 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또, 완충층에 부착된 방수테이프가 분리되고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테이핑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이때, 돌출부와 함몰부를 서로 끼워 조립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완충층의 변형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완충층의 연결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시공 비용을 감축시키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마감모르타르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하중을 지지하면서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일측 둘레면은 상부 또는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하부 또는 상부는 돌출부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가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돌출부와 함몰부가 맞물려 상호 조립되는 다수 개의 완충층과; 상호 조립되는 완충층의 연결부위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부로부터 물이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방수테이프;로 구성된다.
이때, 완충층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방수성 재질을 갖는 측면방수부와; 완충층의 저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방수성 재질을 갖는 하부방수부;가 추가로 설치되며, 각 완충층은 측면방수부와 하부방수부가 부착된 상태에서 돌출부와 함몰부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완충층은, 마감모르타르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판과; 지지판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도록 된 완충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의 완충부는, 지지판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된 다수 개의 완충돌기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완충부는 지지판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재와; 완충재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된 다수 개의 완충돌기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재 하부의 경량기포콘크리트층 또는 콘크리트바닥층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완충층은, 마감모르타르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와, 지지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된 다수 개의 완충돌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또는 콘크리트바닥층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완충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 으로 하기도 한다.
이때, 완충재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콘크리트바닥층과 완충재 사이의 열 전달을 줄이도록 되어 있는 단열재;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층은 마감모르타르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재와; 완충재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된 다수 개의 완충돌기와, 상기 완충돌기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로 구성된 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완충재의 상부에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추가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완충층은 다중으로 적채되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도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테이핑 작업 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부위에 상부에서 압축력이 작용할 때 완충층의 변형을 억제하여 테이핑 작업의 작업성이 향상된다.
또, 완충층에 부착된 방수테이프가 분리되고 틈이 벌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테이핑의 안정성을 향상시켜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돌출부와 함몰부를 서로 끼워 조립하는 방식을 이용하여 완충층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간단한 구조의 변형만으로 완충층의 연결 공정을 단순화시키고 시공 비 용을 감축시키는 것은 물론 완충층의 변형을 방지하여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는, 마감모르타르층(30)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하중을 지지하면서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일측 둘레면은 상부 또는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하부 또는 상부는 돌출부(110)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20)가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돌출부(110)와 함몰부(120)가 맞물려 상호 조립되는 다수 개의 완충층(100)과; 상호 조립되는 완충층(100)의 연결부위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부로부터 물이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방수테이프(200);로 구성된다.
여기서 특징은 각 완충층(100)이 각각 형성된 돌출부(110)와 함몰부(120)가 서로 맞물려 연결됨으로써 연결부위에 압축하중이 작용할 때 연결부위에 해당하는 지점의 벽형이 적어지도록 하고, 이로 인해 방수테이프(200)가 떨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조는 간단하게 방수 성능을 향상키시면서도 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완충층(100)은 도 1의 (A)와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콘크리트바닥층(10) 상부에 위치하거나, 도 1의 (B)와 같이 마감모르타르층(30)의 하부,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완충층(100)의 바람직한 위치는 도 1의 (A)와 같이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부의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이나 마감모르타르층(30)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완충층(100)은 도 2나 도 3과 같은 밋밋한 측면 구조를 갖는 것이 아니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 둘레면은 상부 또는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하부 또는 상부는 돌출부(110)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20)가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돌출부(110)와 함몰부(120)가 맞물려 상호 조립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4의 경우 완충층(100)의 좌측 상부에는 함몰부(120)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으며, 우측 상부에는 돌출부(110)가, 하부에는 함몰부(120)가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완충층(100)의 돌출부(110)와 함몰부(120)가 서로 맞물려 조립되게 된다.
완충층(100)의 돌출부(110)와 함몰부(120)가 맞물린 다음에는 도 4 및 도 5의 (C)에서와 같이 연결부위의 상부에 방수테이프(200)가 부착된다.
도 4의 완충층(100)은 하부가 평평한 형태를 갖는 예이고, 도 5의 완충층(100)은 하부에 다수의 완충돌기(102a)가 형성된 예이다.
도 6은 종래의 완충층 연결구조와 본 발명의 완충층 연결구조를 서로 비교한 그림이다.
도 6의 (A)를 보면 완충층(100)의 테두리를 평평하게 형성했을 경우 연결부위의 상부에 하중이 가해질 때 탄성을 갖는 완충층(100) 모서리 부분이 함몰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이처럼 완충층(100)의 둘레가 함몰되게 되면 상부에 부착된 방수테이프(200)가 완충층(100)으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방수테이프(200)가 이탈하게 되는 경우는, 완충층(100) 설치 작업시 완충층(100) 상부에서 이동하는 작업자의 하중에 의해 접착이 불완전하게 되는 경우, 완충층(100) 설치 후 상부의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이나 마감모르타르층의 시공을 위해 작업자의 하중이 가해질 때 완충층(100)의 연결 부위가 함몰되는 현상이 반복되면서 접착성이 떨어져 방수테이프(200)가 떨어지는 경우가 있다.
이처럼 방수테이프(200)가 떨어지게 되면 상부의 마감모르타르층이나 경량기포콘크리트층으로부터 수분이 완충층(100)으로 스며들게 되고, 결국 완충특성이 악화되거나 또는 완충층(100), 콘크리트바닥층(10)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에 곰팡이를 형성시키는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연결부분에 보강부재나 지지부재를 설치하는 것을 본 출원인이 제안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보강부재나 지지부재를 시공하기 위한 작업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보강부재나 지지부재 생산 비용이 추가되므로 시공비를 상승시키고 작업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도 6의 (B)와 같이 돌출부(110)와 함몰부(120)를 갖도록 완충층(100)을 형성하여 서로 맞물려 놓게 되면, 상부에서 압축하중이 작용하더라도 두 완충층(100) 간의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상부 하중에 저항하는 전체 응력이 커지게 되어 두 완충층(100) 간 연결 부위에서 완충층(100)이 하부로 함몰되지 않거다 함몰되더라도 그 정도가 미약해지게 된다.
이로 인해 방수테이프(200)가 잘 떨어지지 않게 되며, 결과적으로 완충층(100)에서의 방수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완충층(100)은 다양한 구조로 형성할 수 있다.
먼저, 마감모르타르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판(101)과;
지지판(10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도록 된 완충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완충부 역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으며,
지지판(101)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된 다수 개의 완충돌기(102a)로; 로 구성하거나,
지지판(101)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재(102)와; 완충재(102)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된 다수 개의 완 충돌기(102a)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서, 완충재(102) 하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또는 콘크리트바닥층(10)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103);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완충층(100)의 또다른 구성 예로, 마감모르타르층(30)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02b)와, 지지부(102b)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된 다수 개의 완충돌기(102a)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부로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또는 콘크리트바닥층(10)에 의해 지지되도록 된 완충재(102);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역시 완충재(102)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콘크리트바닥층과 완충재(102) 사이의 열 전달을 줄이도록 되어 있는 단열재(103);를 더 설치할 수도 있다.
완충층(100)의 또다른 구성 예로, 마감모르타르층(30)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재(102)와; 완충재(10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된 다수 개의 완충돌기(102a)와, 상기 완충돌기(102a)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지지부(102b)로 구성된 단열재(103);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때, 완충재(102)의 상부에 상부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판(101)이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완충층(100)은 상하로 다중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이러한 완충층(1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의 (A)의 경우는 지지판(101)에 완충 성능을 갖는 완충재(102)를 부착시킨 형태로 완충재(102)만으로 이루어진 구성에 지지판(101)을 설치함으로써 국부 하중에 의한 완충재(102)의 함몰을 방지하여 상부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이나 마감모르타르층이 부서지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완충층(100)의 구성 예보다는 도 7의 (B) 내지 도 8의 (L)에 도시된 것과 같은 중공부와 완충돌기(102a)를 갖는 구성을 적용하는 것이 훨씬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은 완충돌기(102a)가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로 중공부를 갖는 구성으로 완충층(100) 전체의 동탄성 계수를 낮춰 진동 차단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이처럼 중공부를 형성하는 구조는 완충층(100) 전체의 동탄성 계수를 낮춰주는 반면 완충층(100) 전체의 열관류율을 높여 단열성능을 감소시키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현상은 중공부를 갖는 완충돌기(102a)로 인해 완충층(100) 하부의 콘크리트바닥층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과 완충층(100) 하부면 사이에 대류 및 복사에 의한 열이 전달되어 열관류율을 높이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법으로, 도 7의 (D) 및 (E), 도 8의 (H) 내지 (L)과 같이 중공부가 하부의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이나 콘크리트바닥층과 직접 접촉하지 못하게 단열재(103)를 사용하거나 완충층(100)을 상하로 적층한 구조를 적 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는, 중공부에 의한 동탄성 계수 저감은 물론, 단열재(103)나 상하 이중 구조를 이용하여 열관류율을 낮춰주게 되므로 단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의 (A) 부터 도 8의 (L)까지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의 (A)는 상부에 지지판(10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완충재(102)가 설치된 형태이다.
도 7의 (B)는 상부에 지지판(10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스트립바 형태나, 다각형 기둥이나 원기둥형, 다각형이나 상협하광이나 하협상광 형태의 기둥 또는 다양한 타입의 완충돌기(102a)가 설치되어 동탄성 계수를 낮추도록 되어 있는 형태이다.
도 7의 (C)는 도 7의 (B)와 같이 구성하되 지지판(101)과 완충돌기(102a) 사이에 평판 형태의 완충재(102)를 설치한 구조로 도 7의 (B)에 비해 열관류율이 다소 낮으며,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적인 구조이다.
도 7의 (D)는 상부에 지지판(101)이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 중공부를 갖는 완충돌기(102a)가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로 단열재(103)가 설치된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는 완충층(100) 전체의 동탄성 계수를 낮춰줌은 물론, 열관류율을 낮춰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도록 되어 있는 구조이다.
도 7의 (E)는 도 7의 (D)와 같이 구성하되 지지판(101)과 완충돌기(102a) 사이에 완충재(102)를 설치한 구성으로 구조적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완충재(102)로 인해 동탄성계수를 보다 향상시켰다.
도 8의 (F)는 상부에 지지판(101)이 설치되고, 하부에 완충재(102)가 설치되되 완충재(102) 자체에 완충돌기(102a)와 중공부를 갖도록 한 구성으로 제조가 간단하면서도 동탄성 계수를 낮추도록 된 구성이다.
도 8의 (G)는 도 8의 (F)와 같이 구성하되 상부 지지판(101)을 제거한 구성으로 상부 국부 하중에 대해 완충층(100) 일측이 함몰될 가능성을 가지므로 완충층(100) 자체의 강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H)는 도 8의 (G)와 같이 구성하되 하부에 단열재(103)를 설치한 구성으로 동탄성 계수 및 열관류율이 양호하나 도 8의 (G)와 마찬가지로 상부 국부 하중에 대한 일측의 함몰 가능성을 가지므로 완충층(100)의 강도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의 (I)는 내지 도 8의 (L)는 완충층(100)을 다중으로 적재한 형태를 나타낸 것으로 하부 완충층(100)에 의해 상부 중공부가 하부의 경량기포콘크리트층이나 콘크리트바닥층과 접하지 않게 되어 단열 성능을 만족시키고, 중공부에 의해 동탄성계수를 낮춰 진동 차단 효과가 양호한다.
이때, 도 8의 (J) 내지 도 8의 (L) 처럼 상부나 하부, 각각의 완충층(100)마다 지지판(101)을 설치하여 상부 하중으로부터 완충층(100)이 국부 함몰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은 실시예 외에도 다양한 완충층(100)을 본 발명의 사상에 적용시킬 수 있음은 자명하나,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진동 차단 성능 또는 진동 차단 성능과 단열 성능 모두를 만족시키는 완충층(100)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서 지지판(101)은 폴리프로필렌이나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중 1 내지 3종을 원료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 합판이나, 바인더가 첨가된 목분 가압 성형판, 바인더가 첨가된 무기질 분말 가압 성형판, 바인더가 첨가된 목분 및 무기질 분말을 혼합하여 가압 성형한 가압 성형판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지지판(101)의 두께는 0.5 mm 내지 50 mm 사이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0.5 mm 보다 얇을 경우 지지 기능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국부변형이 발생하여 상부의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이나 마감모르타르층(30)을 잘 지지할 수 없게 된다.
또, 두께가 50 mm 보다 두꺼울 경우 경제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완충재(102)와 같은 부재를 설치할 공간을 좁히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러한 지지판(101)은 최대한 두께를 얇게 하면서도 강도를 유지해야 하며, 경제성까지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평판 형태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강도가 높은 부재를 이용하여 기둥을 갖는 다중벽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부와 하부에 평판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사이에 벽체부가 형성 된 다중벽 형태로 형성하여 강도가 높은 고가의 부재를 사용하더라도 재료가 적게 투입되어 경제성이 높은 부재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벽체부의 형태를 격자형 외에 일자형이나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원통형 등으로 형성하여 구조적 강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완충재(102)와 단열재(103)는 천연고무 또는 합성고무를 원료로 하여 발포된 것을 사용하거나, 천연고무와 합성고무의 혼합재료를 원료로 하여 발포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원료로 하거나 이들의 2 내지 6종을 혼합재료를 원료로 하여 발포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천연고무, 합성고무, 폴리우레탄,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플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중 선택된 1 내지 8종의 발포분쇄물을 혼합성형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을 완충재(102)로 사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중공부와 완충돌기(102a)는 각 부재의 재질, 전체 면적, 소요 두께 등을 감안하여 직경이나 폭, 두께, 접촉면적 등을 조절할 수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방수테이프(200)는 다수 개의 완충층(100) 연결부위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부로부터 물이 완충층(100) 내부 및 그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방수테이프(200)는 물에 의해 녹지 않는 공지의 비수용성 재질로 되 어 있는 방수테이프(200)를 적용하여 사용하면 된다.
아울러, 방수성 및 인접한 완충층(100)을 구조적으로 상호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접착력이 강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완충층 연결구조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면의 방수테이프(200)에 의해 완벽한 방수가 되지 못할 상황에 처해서도 방수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완충층(10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방수성 재질을 갖는 측면방수부(130)와; 완충층(100)의 저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방수성 재질을 갖는 하부방수부(140);를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측면방수부(130)와 하부방수부(140)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피브이씨, 발포 고무, 발포 고무 시트, 필름이 부착된 부직포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가 포함되어 구성된 것으로 부착형 또는 도포식으로 간단하게 시공할 수 있다.
이처럼 측면방수부(130)와 하부방수부(140)를 구성함에 있어 도 9와 같은 형태로 형성하여 각 완충층(100)은 측면방수부(130)와 하부방수부(140)가 부착된 상태에서 돌출부(110)와 함몰부(120)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면방수부(130)는 완충재(102)보다 높은 경도를 갖도록 하여 서로 인접한 완충층(100)이 돌출부(110)와 함몰부(120)에 의해 압축 하중에 대해 저항할 때 보다 강한 저항 응력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100) 연결구조의 시공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은 구조를 이루도록 완충층(100)을 설치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면, 먼저 콘크리트바닥층(10) 또는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의 상부에 다수 개의 완충층(100)을 서로 인접시켜 맞대어 배치한다.
그런 다음 각 완충층(100)의 돌출부(110)와 함몰부(120)가 서로 끼워지도록 조립한 후 연결부위의 상부에 방수테이프(200)를 부착하여 완충층(100)을 서로 고정시킴으로써 일련의 연결 시공이 마무리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됨에 따라 각 완충층(100)이 연결된 연결부위에 압축하중이 발생하더라도 경계부위의 압축 변형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위에 방수테이프(200)를 부착하기 쉽고, 방수테이프(200) 부착 후에도 방수테이프(200)가 잘 떨어지지 않아 방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중공부를 갖는 건물 바닥용 완충층 구조는 비단 바닥 구조에만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기계구조물의 진동차단과 같은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 건물의 바닥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A) 완충층이 경량기포콘크리트층 하부에 위치한 단면 개략도.
(B) 완충층이 마감모르타르층 하부에 위치한 단면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완충층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3은 종래의 또다른 완충층 연결 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를 나타낸 시공순서도.
(A) : 각 완충층을 배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B) : 각 완충층을 서로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C) : 연결부위의 상부에 방수테이프를 부착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종래의 완충층 연결구조와 본 발명의 완충층 연결구조를 비교하여 나타낸 비교도.
(A) : 종래의 완충층 연결부위에 압축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B) : 본 발명의 완충층 연결부위에 압축 하중이 가해졌을 때의 변형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완충층의 예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완충층 연결구조를 나타낸 단면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
10 : 콘크리트바닥층 20 : 경량기포콘크리트층
30 : 마감모르타르층 40 : 완충층
50 : 테이프 100 : 완충층
101 : 지지판 102 : 완충재
102a : 완충돌기 102b : 지지부
103 : 단열재 110 : 돌출부
120 : 함몰부 130 : 측면방수부
140 : 하부방수부 200 : 방수테이프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에 있어서,
    경량기포콘크리트층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된 지지판(101)과, 상기 지지판(101)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바닥 충격음을 차단하도록 된 완충부로 구성되어 있고, 일측 둘레면은 상부 또는 하부가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부(11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 하부 또는 상부는 돌출부(110)와 맞물릴 수 있도록 내측으로 함몰된 함몰부(120)가 형성되어 있어 인접한 돌출부(110)와 함몰부(120)가 맞물려 상호 조립되는 다수 개의 완충층(100)과;
    상기 완충층(100)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방수성 재질을 갖는 측면방수부(130)와;
    상기 완충층(100)의 저부에 부착되어 있으며, 방수성 재질을 갖는 하부방수부(140)와;
    상기 상호 조립되는 완충층(100)의 연결부위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부로부터 물이 하부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구성된 방수테이프(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되,
    각 완충층(100)은 측면방수부(130)와 하부방수부(140)가 부착된 상태에서 돌출부(110)와 함몰부(120)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판(101)은 인가되는 상부 하중으로부터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로 상부 하중을 지지하도록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비닐, 폴리에틸렌 중 1 내지 3종을 원료로 하여 형성된 판, 합판, 바인더가 첨가된 목분 가압 성형판, 바인더가 첨가된 무기질 분말 가압성형판, 바인더가 첨가된 목분 및 무기질 분말을 혼합하여 가압 성형한 가압성형판 중 선택된 어느 한 가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0.5 ~ 50 mm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지지판(101)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된 다수 개의 완충돌기(102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는,
    상기 지지판(101)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완충재(102)와;
    상기 완충재(102)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서로 이격되어 내측으로 중공부를 갖도록 된 다수 개의 완충돌기(102a);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102) 하부에 경량기포콘크리트층(20) 또는 콘크리트바닥층(10)에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단열재(103);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80014653A 2008-02-18 2008-02-18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Expired - Fee Related KR100980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653A KR100980142B1 (ko) 2008-02-18 2008-02-18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4653A KR100980142B1 (ko) 2008-02-18 2008-02-18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22A KR20090089222A (ko) 2009-08-21
KR100980142B1 true KR100980142B1 (ko) 2010-09-03

Family

ID=41207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465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80142B1 (ko) 2008-02-18 2008-02-18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403716A1 (de) * 2023-01-19 2024-07-24 Maria Leitl, Furniere und Laubschnittholz OG Wandelement zur wärmedämmung einer innenwandfläch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855Y1 (ko) * 2008-05-19 2011-03-25 박연준 지지판 연결부재를 이용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561A (ko) * 2003-05-28 2004-12-08 황봉규 공동주택의 바닥면 시공방법 및 그 바닥면 구조
KR20050051995A (ko) * 2003-11-28 2005-06-02 진금수 방음효과가 향상된 조립식 지지블록과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35742B1 (ko) * 2005-11-10 2006-10-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718701B1 (ko) 2005-11-29 2007-05-16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561A (ko) * 2003-05-28 2004-12-08 황봉규 공동주택의 바닥면 시공방법 및 그 바닥면 구조
KR20050051995A (ko) * 2003-11-28 2005-06-02 진금수 방음효과가 향상된 조립식 지지블록과 이를 이용한 바닥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635742B1 (ko) * 2005-11-10 2006-10-18 현대산업개발 주식회사 바닥충격음 저감 기능을 갖는 상,하 층간 소음방지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0718701B1 (ko) 2005-11-29 2007-05-16 주식회사 삼양수지 건축물의 층간 소음저감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403716A1 (de) * 2023-01-19 2024-07-24 Maria Leitl, Furniere und Laubschnittholz OG Wandelement zur wärmedämmung einer innenwandfläch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9222A (ko) 2009-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51422A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KR100624357B1 (ko) 띄움바닥 구조를 이루는 공동주택의 층간 바닥충격음완충재
KR20200106714A (ko) 배면에 결착홈이 형성된 박벽돌을 양각 테두리 돌출띠가 성형된 바탕쉬트의 걸림턱에 결합시켜서 제작된 단위 프리패브 유닛패널 및 이를 이용한 하지프레임 외벽마감공법
KR100980140B1 (ko) 지지부재를 이용한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KR100980142B1 (ko) 접촉면적을 증가시킨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KR100980143B1 (ko) 건물 바닥용 완충층의 방수구조
KR100817912B1 (ko) 건물외장용 어셈블리
KR101434805B1 (ko) 건축물의 벽체구조
KR101757059B1 (ko) 복층건물의 바닥충격음 완충재
KR200452855Y1 (ko) 지지판 연결부재를 이용한 인접한 완충층의 연결구조
KR20120020891A (ko) 건축용 마감재
KR20070014427A (ko) 이중바닥 방음장치
KR101373091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용 층간 차음재
KR101428760B1 (ko) 층간소음 바닥재
KR102443212B1 (ko) 시공이 용이한 건축물 벽체용 타일
JP2011032862A (ja) 水平スリット材を用いた外壁の施工方法および外壁構造
KR100980141B1 (ko) 보강판을 이용한 건물 바닥용 완충층 연결구조
JP3595929B2 (ja) 床下地用パネルおよびそれによる床構造
KR100462552B1 (ko) 바닥 충격음 차음을 위한 공동건물 바닥구조
KR100765178B1 (ko) 건축용 바닥시공재
JP4627593B2 (ja) 水平スリット材用支持具
KR100809369B1 (ko) 건축용 방음 및 단열시공재
KR101355696B1 (ko) 양면 요철구조를 이용한 층간소음 방지용 부상 바닥재
KR102753184B1 (ko) 요철을 구비한 층간차음재
KR102788062B1 (ko) 일체로 형성된 점지지 층간차음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3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