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411B1 - First aid belt - Google Patents
First aid bel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9411B1 KR100979411B1 KR1020080037118A KR20080037118A KR100979411B1 KR 100979411 B1 KR100979411 B1 KR 100979411B1 KR 1020080037118 A KR1020080037118 A KR 1020080037118A KR 20080037118 A KR20080037118 A KR 20080037118A KR 100979411 B1 KR100979411 B1 KR 1009794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elt
- coupling buckle
- stretcher
- fixed
- buck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10000004013 groi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194 climb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544 pos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29 di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56 surgical procedur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9 upper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00—Stretchers
- A61G1/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e.g. head-, foot-, or like rests specially adapted for stretchers
- A61G1/044—Straps, bands or bel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A61G2203/78—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for clamp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들것에 장착되는 구급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들것의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슴벨트의 가장자리 부근에 꼬임밴드고리가 고정되면서 끝단에 고정결합버클이 구비되는 상부수단을 장착하되, 상기 고정결합버클은 시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봉을 감아서 상기 꼬임밴드고리에 삽입장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들것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수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거들패드와 고정결합버클이 고정되고 양측에는 판형유동고리가 구비되는 타원형 벨트를 상기 시트의 중앙에 위치시키면서 상기 판형유동고리에는 고정결합버클과 체결되는 견인벨트가 각각 연결장착되는 하부수단을 구성하여, 응급환자나 노약자의 이송시 상기 견인벨트의 유동결합버클을 하부수단의 고정결합버클에 체결하여 신체가 좌우 및 하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belt mounted on a stretcher, wherei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etcher is equipped with an upper means having a fixed coupling buckle at the end while the twist band is fixed near the edge of the chest bel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fixed coupling buckle is formed to wind the handle rod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to be inserted into the twisted band ring, and the girdle pad and the fixed coupling buckle are fixed to both sides of the stretc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stretcher. The elliptical belt having a plate-shaped flow ring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seat, and the plate-shaped flow ring constitutes a lower means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fixed coupling buckle and fastening belt. The body is pushed to the left and right and to the bottom by fastening the belt's floating coupling buckle to the fixed coupling buckle of the lower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an prevent that.
들것, 구급벨트, 상부수단, 가슴벨트, 하부수단, 타원형 벨트, 판형유동고리, 견인벨트, 사타구니벨트, 거들패드. Stretcher, first aid belt, upper means, chest belt, lower means, oval belt, plate flow ring, tow belt, groin belt, girdle pad.
Description
본 발명은 들것에 장착되는 구급벨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들것의 상부에 상체를 지지할 수 있는 상부수단을 장착하고 하부에는 하체를 지지할 수 있는 하부수단을 장착하여 환자나 기타 신체가 불편한 노약자들의 이송시 신체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밀림방지형 구급벨트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rst aid belt mounted on a stretcher, and more particularly, the upper portion of the stretcher is equipped with an upper means capable of supporting the upper body and the lower portion is equipped with a lower means capable of supporting the lower bod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rolling first aid belt that prevents the body from being pushed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uncomfortable elderly people.
일반적으로 들것은 생활 주변에서 발생한 응급환자의 이송이나 산악지역 등에서 등산중 조난사고를 당한 환자의 이송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In general, stretchers are widely used for the transportation of emergency patients around the life, or for transporting patients in distress during mountain climbing.
이러한 들것은 질긴 천의 양쪽에 봉 형태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손잡이로 사용하는 재래식 형태의 들것과 최근 일선 구조구급 현장에서 널리 쓰이는 분리형 들것 등의 다양한 형태의 들것이 있다. These stretchers have various types of stretchers, such as conventional stretchers used as handles by combining rod-shaped frames on both sides of tough fabrics, and detachable stretchers that are widely used in first-aid rescue sites.
그리고 상기와 같은 들것에는 환자의 후송시 이를 지지하기 위한 구급벨트가 장착되는 되는데 이를 도시된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상기 들것(10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시트(200)나 질긴 천의 양측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봉(300)이 대칭장착되되, 상기 시트(200)나 질긴 천의 도중에는 이송시 구급자가 봉(300)을 들 어올릴 수 있도록 손잡이 부분(220)이 형성되고 상/하부에는 상기 들것(100)의 이동시 환자를 고정하기 위한 벨트(400)가 장착된다. And the stretcher as described above is equipped with an ambulance belt for supporting the patient when transporting i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1 shown, the
즉, 종래의 들것(100)에 장착되는 구급벨트(400)는 상기 시트(200)나 천의 상부와 하부의 손잡이 부분(220)에 벨트(420)가 수평으로 고정장착되거나 분리형성되는 벨트(420)의 끝단에 버클(440)을 장착한 후 환자를 상기 시트(200)와 벨트(4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에 환자를 고정시킨 후 이송을 하였다. That is, the
그러나 종래의 구급벨트는 환자나 노약자 등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상/하 또는 좌/우의 흔들림과 특히 계단이나 경사면에서 환자의 신체가 하부로 밀려 내려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first-aid belt has a problem that the body of the patient is pushed to the lower side in the step of moving up and down or left and right and particularly in the step or slope in the process of carrying the patient or the elderly.
즉, 환자를 지지하는 벨트의 위치가 달라짐에 따라 상체를 지지하는 벨트가 환자나 노약자의 가슴이나 겨드랑이를 누르고 하체를 지지하는 벨트가 하복부를 누름으로써 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키고, 이송 중 경사로가 변할 때마다 이송자는 환자의 신체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무거운 환자를 든 상태로 손의 높낮이를 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ther words, as the position of the belt supporting the patient changes, the belt supporting the upper body presses the chest or armpit of the patient or the elderly, and the belt supporting the lower body presses the lower abdomen, worsening the symptoms of the patient and changing the slope during transportation. Each time the transporter had to change the height of the hand with a heavy patient in order to prevent movement of the patient's bod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들것의 상부에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수단을 장착하고 하부에는 하체를 지지하는 하부수단을 장착하면서 상기 상부수단의 고정결합버클에 견인벨트의 유동결합버클이나 사타구니 벨트의 유동결합버클을 체결하여 환자나 기타 신체가 불편한 노약자들의 이송 시 신체 밀림을 방지하고, 가슴벨트의 고정결합버클이 손잡이 봉을 감아서 상체의 조임시 인장력을 상쇄시키며, 다양한 자세와 행동 상황에 따라 적합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밀림방지형 구급벨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upper means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retcher and the lower means for supporting the lower body while moun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traction belt to the fixed coupling buckle of the upper means The fastening buckle of the buckling belt or the groin belt is fastened to prevent body slack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elderly or inconvenient, and the fastening buckle of the chest belt wraps the handle bar to offset the tension when tightening the upper body. The purpose is to provide an anti-surgery first aid belt that can be appropriately supported by various postures and behavio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시트와 상기 시트의 양측에 장착되는 손잡이 봉으로 구성되는 들것의 상/하부에 각각 장착되어 환자나 노약자의 이송시 신체를 지지하는 구급벨트에 있어서 상기 들것의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슴벨트의 가장자리 부근에 꼬임밴드고리가 고정되면서 끝단에 고정결합버클이 구비되는 상부수단을 장착하되, 상기 고정결합버클은 시트의 양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봉을 감아서 상기 꼬임밴드고리에 삽입장착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들것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수단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거들패드와 고정결합버클이 고정되고 양측에는 판형유동고리가 구비되는 타원형 벨트를 상기 시트의 중앙에 위치시키면서 상기 판형유동고리에는 고정결합버클과 체결되는 유동결합버클이 구비된 견인벨트가 각각 연결장착되는 하부수단을 구성하여, 응급환자나 노약자의 이송시 상기 견인벨트의 유동결합버클을 X자 나 V자 방향으로 교차시켜 상부수단의 고정결합버클이나 하부수단의 고정결합버클에 체결하여 신체가 하부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each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tretcher consisting of a sheet having a predetermined area and a handle rod mounted on both sides of the sheet is mounted on the first-aid belt to support the body during transportation of the patient or the elderly The upper portion of the stretcher is equipped with an upper means having a fixed coupling buckle at the end while the twisted band ring is fixed near the edge of the chest belt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the fixed coupling buckle is a handle rod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eat It is formed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twist band ring, and the lower part of the stretcher is fixed to the girdle pad and the fixed coupling buckl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 the upper means and the elliptical belt is provided with a plate-shaped flow ring on both sides of the sheet While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plate-shaped flow ring is provided with a fluid coupling buckle is fastened to the fixed coupling buckle The lower belt means that the towing belts are connected and mounted respectively, so that the floating coupling buckle of the towing belt crosses the X or V direction in case of the emergency patient or the elderly and the fixed coupling buckle of the upper means or the fixed coupling buckle of the lower mean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to prevent the body from being pushed downward.
본 발명에 따르면, 들것의 상부에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수단을 장착하고 하부에는 하체를 지지하는 하부수단을 장착하면서 상기 상부수단의 고정결합버클에 견인벨트의 유동결합버클이나 사타구니 벨트의 유동결합버클을 체결하여 환자나 기타 신체가 불편한 노약자들의 이송시 신체 밀림을 방지하면서 그에 따른 상처나 통증부위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unting the upper means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retcher and the lower means for supporting the lower body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coupling buckle of the upper means of the fluid coupling buckle or the fluid coupling buckle of the groin belt By tightening the prevention of physical discomfort during the transfer of the elderly or the elderly patients who are uncomfortable, there is an effect that can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wound or pain.
또한,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수단의 양측에 꼬임밴드고리가 형성되어 환자의 신체가 하부로 쏠릴 때 견인벨트에 발생하는 인장력을 차단할 수 있어 이송시 환자에 압박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wist band ring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means for supporting the upper body can block the tension force generated in the towing belt when the body of the patient is lowered there is an effect that does not put pressure on the patient during transport.
또한, 신체의 중심인 골반을 하부 수단의 거들패드로 감싼 상태에서 이와 연결된 타원형 벨트 및 판형유동고리, 견인벨트, 사타구니 벨트와 상부수단의 가슴벨트의 연결에 따른 힘의 분산에 의해 다양한 자세와 행동 상황에 적합하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body's pelvis is wrapped with the girdle pad of the lower means, and various postures and behaviors are caused by the distribution of the force due to the connection of the elliptical belt and the plate-shaped flow ring, the traction belt, the groin belt and the chest belt of the upper means.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appropriately supported in the situation.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형 구급벨트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형 구급벨트의 상부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슴벨트의 가장자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형 구급벨트의 하부수단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anti-roll first aid belt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ure 3 is an upper means of the anti-first aid belt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a) and 4 (b)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edge portion of the ches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means of the anti-roll emergency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밀림방지형 구급벨트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들것(10)과 상기 들것(10)의 상부에 장착되고 환자나 노약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수단(30)과 상기 들것(10)의 하부에 장착되고 환자나 노약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부수단(40)으로 대별할 수 있다. The anti-roll first aid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the
여기서, 상기 들것(10)은 여러 가지 형상 및 구조를 가지고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상기 들것(1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시트(12)와 상기 시트(12)의 양측에 장착되는 손잡이 봉(14)으로 구성되되, 상기 시트(1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환자나 노약자의 이송시 이송자가 손잡이 봉(14)을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 회피공간(12a)이 형성된다. Here, the
상기 들것(10)의 상부에 장착되고 환자나 노약자 등의 상체를 지지하는 상부수단(3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가슴벨트(32)와, 상기 가슴벨트(32)의 가장자리 부분에 고정되는 꼬임밴드고리(34)와, 상기 가슴벨트(32)의 양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결합버클(36a)로 구성된다. The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좌우 2부분으로 분리 형성되는 가슴벨트(32)는 중앙부에 위치한 조임버클(38)에 의하여 연결되되, 분리형성되는 가슴벨트(32)의 중앙부의 일측 끝단에는 조임버클(38)이 고정 장착되고 반대 측에는 버클이 없는 벨트의 끝단이 상기 조임버클(38)과 걸어감김되어, 상기 가슴벨트(32)의 길이를 조절하거나 상기 시트(12)에 안착되는 환자나 노약자의 상체 지지를 위하여 상기 가슴벨트(32)를 조일 수 있도록 한다.The
상기 가슴벨트(32)의 가장자리 부근에 장착되는 꼬임밴드고리(34)는 소정의 폭을 가지는 천이나 밴드를 소정의 각을 두고 장착함으로써 신체의 상부 조임시 인장력을 상쇄시키면서 고정결합버클(36a)의 위치이탈방지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The
이때, 상기 꼬임밴드고리(34)는 필요에 따라서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it is revealed that the
그리고 상기 꼬임밴드고리(34)를 소정의 각을 두고 장착하는 것은 후설 할 하부수단(40)의 견인벨트, 사타구니 벨트와 결합위치 안내 및 이송시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And the mounting of the
상기 가슴벨트(32)의 양끝단에 각각 장착되는 고정결합버클(36a)은 후술하는 하부수단(40)의 사타구니 벨트의 유동결합버클과 결합하여 상기 시트(12)에 안착되는 환자나 노약자의 이송 시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The fixed
상기 들것(10)의 하부에 장착되고 환자나 노약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하부수단(40)은 중앙부분에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원형 벨트(41)와, 상기 타원형 벨트(41)의 양측에 장착되는 판형유동고리(42)와, 상기 판형유동고리(42)에 각각 연결장착되고 도중에 유동결합버클(43a)이 구비되는 견인벨트(43)와, 상기 타원형 벨트(41)의 하부 중앙에 장착되는 한 쌍의 사타구니 벨트(44)와, 상기 타원형 벨트(41)에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는 거들패드(45)과, 상기 거들패드(45)에 연결된 타원형벨트(41) 양측에 장착되는 제2 고정결합버클(36b)로 구성된다. The
상기 하부수단(40)의 중앙부분에 장착되는 타원형 벨트(41)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형성되는 끈이나 천 등을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한 것이다. The
그리고 상기 타원형 벨트(41)의 양측에 장착되는 판형유동고리(42)는 환자의 신체에 따른 타원형 벨트(41)의 폭을 조절하면서 상기 견인벨트(43)를 연결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And the plate-
상기 타원형 벨트(41)와 판형유동고리(42)에 대해서 좀더 보충설명하면, 상기 타원형 벨트(41)는 상기 들것(10)에 안착되는 환자나 노약자의 이송시 양측에 장착되는 판형유동고리(42)와 연결되는 끈의 위치변경을 통해서 환자나 노약자의 하체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supplementary description of the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형유동고리(42)에 소정의 길이를 가지고 장착되는 견인벨트(43)는 도중에 형성되는 유동결합버클(43a)이 상기 하부수단(40)의 후방측으로 손잡이 봉(14)을 감아 돌아 나오는 제2 고정결합버클(36b)과 체결되는 것이다. As shown in Figure 6, the
즉, 상기 견인벨트(43)는 환자나 노약자의 상태에 따라 고정결합/조임버클(36a, 36b)에 체결되면서 신체에 따라서 유동결합버클(43a)의 위치를 조절하여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상기 타원형 벨트(41)의 하부중앙에 한 쌍으로 장착되는 사타구니 벨트(44)는 상기 상부수단(30)에 형성되는 고정결합버클(36a)에 X자형이나 V자형으로 사타구니 벨트(44)의 도중에 장착되는 유동결합버클(44a)을 체결하여 환자나 노약자의 흔들림 및 전, 후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The
즉, 상기 타원형 벨트(41)의 중앙에 장착되는 사타구니 벨트(44)는 환자나 노약자의 사타구니 부분에서 돌출되어 환자나 노약자의 허벅지를 감싸면서 상기 상부수단(30)의 고정결합버클(36a)에 체결되어 신체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That is, the
이때, 상기 사타구니 벨트(44)는 환자나 노약자의 상태에 따라 한 곳 또는 양측 모두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로 사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상기 사타구니 벨트(44)의 상부에는 환자나 노약자의 이송시 하체를 고정할 수 있도록 양끝단에 벨크로(442b)가 형성되는 하체고정벨트(44b)가 더 형성하여 이송시 환자나 노약자의 신체가 밀리는 것을 더욱더 제한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upper part of the
그리고 상기 타원형 벨트(41)에 형성되는 공간(S)에 장착되는 거들패드(45)는 환자나 노약자의 후송시 신체의 중심이 되는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되, 상기 거들패드(45)는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상부패드(45a)와 하부패드(45b)의 사이에 외부의 충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라스틱 판(46)을 삽입장착한 후 상기 타원형 벨트(41)에 고정장착한 것이다. And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구급벨트(10)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형 구급벨트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 of the
먼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시트(12)와 상기 시트(12)의 양측에 장착되는 손잡이 봉(14)으로 구성되되, 상기 시트(12)의 가장자리 부분에는 환자나 노약자의 이송시 이송자가 손잡이 봉(14)을 잡을 있도록 손잡이 회피공간(12a)이 형성되는 들것(10)을 구성한다. First, it consists of a
그리고 상기 들것(10)의 상부에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가슴벨트(32)가 분리형성되며 가장자리 부근에 꼬임밴드고리(34)가 고정되면서 끝단에 고정결합버클(36a)이 구비되는 상부수단(30)을 장착하되, 상기 고정결합버클(36a)은 시트(12)의 양측에 형성되는 손잡이 봉(14)을 감아서 상기 꼬임밴드고리(34)에 삽입장착한다. And the upper part of the
이때, 분리형성되는 가슴벨트(32)의 일측 끝단에는 조임버클(38)이 장착되어, 반대 측의 가슴벨트(32)가 걸어감김되어 결합되고 꼬임밴드고리(34)는 중앙부가 1회 꼬임된 후 소정의 각을 두고 경사지게 고정된다. At this time, one side end of the
다음으로 상기 들것(10)의 하부에 중앙부분에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원형 벨트(41)와, 상기 타원형 벨트(41)의 양측에 장착되는 판형유동고리(42)와, 상기 판형유동고리(42)에 각각 연결장착되고 도중에 유동결합버클(43a)이 구비되는 견인벨트(43)와, 상기 타원형 벨트(41)의 하부 중앙에 장착되는 한 쌍의 사타구니 벨트(44)와, 상기 타원형 벨트(41)에 형성되는 공간에 장착되는 거들패드(45)와, 상기 거들패드(45)의 측방의 타원형벨트(41)의 후면에 장착되는 제2 고정결합버클(36b)로 구성되는 하부수단(40)을 장착하면 밀림방지형 구급벨트(10)의 조립은 완료된다. Next, an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화재, 등산사고, 긴급사고에 따른 환자나 노약자 등을 아송할 경우에는, In case of refusing a patient or elderly person due to fire, mountain climbing accident or emergency accident in the above state,
먼저, 환자나 노약자의 하체를 상기 타원형 벨트(41)에 수용한 후 누워있는 환자나 노약자의 상체를 일측 가슴벨트(32)를 이용해서 고정하는데 즉, 일측 끝단에는 조임버클(38)에 반대 측의 벨트 끝단을 걸어감김하는 정도에 따라 가슴벨 트(32)의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First, the lower body of the patient or the elderly are accommodated in the
다음으로 상기 타원형 벨트(41)의 양측에 장착되는 판형유동고리(42)를 조절하여 환자나 노약자의 하체를 지지한 후 상기 견인벨트(43)의 유동결합버클(43a)을 X자 형상으로 상부수단(30)의 고정결합버클(36a)에 체결하거나 타원형 벨트(41)의 하부중앙 양측에 장착되는 사타구니 벨트(44)의 유동결합버클(44a)을 상부수단(30)의 고정결합버클(36a)에 체결한 후 이송자가 상기 들것(10)을 들고 이송을 하면 되는 것이다. Next, after adjusting the plat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구급벨트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first-aid first-aid bel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형 구급벨트를 나타낸 개략 사시도. Figure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showing an anti-roll emergency bel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형 구급벨트의 상부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upper means of the anti-roll first aid belt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가슴벨트의 가장자리 부분을 나타낸 사시도. Figure 4 (a) and 4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edge portion of the chest bel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형 구급벨트의 하부수단을 나타낸 평면도. Figure 5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means of the anti-roll emergency belt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밀림방지형 구급벨트의 장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the mounting state of the anti-speech first aid belt according to the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 of drawing.
10 : 들것 10: stretcher
30 : 상부수단, 32 : 가슴벨트, 30: upper means, 32: chest belt,
34 : 꼬임밴드고리, 36a : 고정결합버클, 34: twist band ring, 36a: fixed coupling buckle,
36b : 제2 고정결합버클 38 : 조임버클36b: second fastening buckle 38: fastening buckle
40 : 하부수단, 41 : 타원형 벨트, 40: lower means, 41: oval belt,
42 : 판형유동고리, 43 : 견인벨트, 42: plate-shaped flow ring, 43: towing belt,
44 : 사타구니 벨트, 45 : 거들패드. 44: groin belt, 45: girdle pad.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7118A KR100979411B1 (en) | 2008-04-22 | 2008-04-22 | First aid bel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7118A KR100979411B1 (en) | 2008-04-22 | 2008-04-22 | First aid bel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1482A KR20090111482A (en) | 2009-10-27 |
KR100979411B1 true KR100979411B1 (en) | 2010-09-02 |
Family
ID=41539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7118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9411B1 (en) | 2008-04-22 | 2008-04-22 | First aid bel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9411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48134A (en) | 1989-04-21 | 1991-09-17 | Dennill Wayne R | Restraining device |
JPH0724009A (en) * | 1993-07-12 | 1995-01-27 | Hidehiro Douyanai | First-aid mat |
JPH09154888A (en) * | 1995-12-06 | 1997-06-17 | Nagasaki Tenmaku Kk | Liftable stretcher |
US5787529A (en) | 1997-09-24 | 1998-08-04 | Landes; Raymond J. | Rescue carrier device |
-
2008
- 2008-04-22 KR KR1020080037118A patent/KR10097941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048134A (en) | 1989-04-21 | 1991-09-17 | Dennill Wayne R | Restraining device |
JPH0724009A (en) * | 1993-07-12 | 1995-01-27 | Hidehiro Douyanai | First-aid mat |
JPH09154888A (en) * | 1995-12-06 | 1997-06-17 | Nagasaki Tenmaku Kk | Liftable stretcher |
US5787529A (en) | 1997-09-24 | 1998-08-04 | Landes; Raymond J. | Rescue carrier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11482A (en) | 2009-10-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1149251A (en) | Spinal restraint device | |
JP5425625B2 (en) | Rescue and transport equipment | |
US20080028516A1 (en) | Sling seat | |
US20140053335A1 (en) | Rescue stretcher with securement straps | |
US9827152B1 (en) | Rescue harness with protective drag sheet | |
JP5444575B1 (en) | Human body lifting harness | |
US20120284925A1 (en) | Infant rolling prevention back panel to promote crawling | |
KR100979411B1 (en) | First aid belt | |
US9107789B2 (en) | Invalid toileting safety sling | |
KR200498713Y1 (en) | Body fixation device for preventing pressure sore | |
US20150366742A1 (en) | Ambulation shorts | |
CA2655439C (en) | Safety restraint with thigh cuffs | |
JP5350113B2 (en) | Pillar safety belt skirt belt | |
CN210277432U (en) | Joint rehabilitation fixator | |
JP3135405U (en) | Simple stretcher | |
JP3124647U (en) | Assistive device | |
CN207506677U (en) | Chest shoulder four limbs integral type restraint device | |
RU222238U1 (en) | Device for fixing a patient on a sanitary stretcher | |
JP2019084135A (en) | stretcher | |
AU2016102460A4 (en) | Rescue apparatus | |
RU233511U1 (en) | EMERGENCY EVACUATION MEANS FOR A LYING PERSON | |
JP4221482B2 (en) | Portable stretcher | |
CN210932378U (en) | M-shaped pillow for preventing foot and knee pressure sores | |
CN215875133U (en) | Traction bed capable of preventing patient from backward sliding | |
CN215190560U (en) | Baby carri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42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82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