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9218B1 -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 - Google Patents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218B1
KR100979218B1 KR1020070088457A KR20070088457A KR100979218B1 KR 100979218 B1 KR100979218 B1 KR 100979218B1 KR 1020070088457 A KR1020070088457 A KR 1020070088457A KR 20070088457 A KR20070088457 A KR 20070088457A KR 100979218 B1 KR100979218 B1 KR 100979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s
girder
span
support
su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8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52303A (ko
Inventor
라덱 곤타지크
Original Assignee
에이버겔디 지 빔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2006906822A external-priority patent/AU2006906822A0/en
Application filed by 에이버겔디 지 빔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에이버겔디 지 빔 피티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52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2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지지대(18)에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12, 14)를 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들이 스팬 거더(20)의 단부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를 위치시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합식 거더(combined girder)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12, 14) 및 하나 이상의 스팬 거더(20)를 포함한다. 조합식 거더에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는 상기 스팬 거더의 양쪽에 위치하여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 영역이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들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Figure R1020070088457
스팬 거더, 지지 거더, 지지대, 조합식 거더

Description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CONTINUOUS SPAN STRUCTURE}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및 이러한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에 조합식 거더를 시공하는 것에 대해 서술한다.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은 교량과 같은 큰 스팬 애플리케이션(large span application)에서, 또는 주어진 단순한 지지 스팬 구조물을 깊이가 얕은 연속적인 구조물로 대체하는 데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프리캐스트 데크(precast deck)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방법에 대해 먼저 서술하겠지만, 이 방법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프리캐스트 요소로부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을 시공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으나, 이것은 프리캐스트 요소의 각각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세로 방향의 보강재를 복합 연결(접합(splicing))한 다음, 그 접합된 부분에 콘크리트를 캐스팅함으로써 성취된다. 이와 같은 "버트(butt)" 조인트를 사용하여 이 조인트에서 그리고 이 조인트 근처에서 생기는 모멘트(하중의 패턴에 따라, 네거티브 또는 포지티브 중 어느 하나)에 대항하는 "모멘트 능력"을 제공한다. 다른 방법으로서는, 접합된 양편의 요소의 버트 조인트를 횡단하여 들어가도록 되어 있는 시공된 덕트를 통해 "관통하는(threaded)" 포스트텐션 보강재(post-tensioned reinforcement)를 사용하는 것이 있다. 그렇지만, 어느 경우이든지 간에, 이러한 방법들은 어렵고 시간이 많이 걸린다.
호주에 널리 보급된 소위 슈퍼-T 스팬 거더는 단순한 지지 구조로 교량과 같은 큰 스팬 애플리케이션에 사용된다. 슈퍼-T 스팬 거더는 통상적으로 사다리꼴 박스 단면 구조를 가지도록 프리캐스트되고, 주 보강재는 거더의 바닥부(베이스)에 시공된다. 그렇지만, 슈퍼-T 스팬 거더는 일반적으로 연속적인 스팬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은 데, 그 이유는 거더가 단순한 지지 교량에서 사용될 때 발생하는 포지티브 모멘트에 대항하도록 거더의 단면을 설계해야 하기 때문이다. 슈퍼-T 스팬 거더는 거더의 상부 영역에 장력 보강재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슈퍼-T 스팬 거더의 폭넓은 이용 가능성, 보급성 및 제조의 용이함의 이점을 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관점에 따르면,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continuous span structure)의 시공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지지대에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support girder)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이 스팬 거더(span girder)의 단부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상기 스팬 거더 의 단부를 위치시켜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은 두가지 유형의 연결된(통상적으로 프리캐스트된) 거더들, 즉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에서 발생하는 포지티브 모멘트에 대항하도록 우선적으로 설계된 "스팬" 거더; 및 지지대 근처에서 발생하는 네거티브 모멘트에 대항하도록 우선적으로 설계된 "지지" 거더를 사용한다.
이러한 방법은 예를 들어, 서로 고정할 수 있도록 채택된 프리캐스트 거더들을 사용하여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연속적인 멀티 스팬 구조물의 시공을 가능하게 하지만, 또한 단순한 두개의 교각을 가진 교량 등과 같은, 단일의 스팬 구조물에도 적용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거더들은 통상적으로 프레임화된다(즉, 지지대에 단단하게 연결된다). 그러므로 "연속적인"이란 넓은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즉, 단순히 지지된 것이 아닌 정적으로 결정되지 않고 프레임화된 구조물을 포함하도록 해석되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물론 그외의 구조물 예를 들어, 후술되는 연속적으로 현수된 슬래브 등을 시공하는 데도 적용될 수 있다.
단순성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지지 거더 및 상기 스팬 거더 각각은 동일한 기본 구조(예를 들어, 단면)를 가진다. 이때, 지지 거더들은 네거티브 모멘트의 영역에서/영역에 인접하는 지지대 위에서 역 구조로 간단하게 배치될 수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 거더들 내의 주 보강잰는 역으로 될 수 있고(즉, 그 사용 중인 상부에 가까이 있게 되고), 그러므로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이 바람직하 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거더들의 고정을 더욱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스팬 거더 및 상기 지지 거더 각각은 그 단부에 (통상적으로 쌍으로 이루어진) 측면 돌출부들(lateral proje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돌출부들은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할 때 정렬되도록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정렬된 돌출부들을 통해 패스너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거더들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측면 돌출부들은,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팬 거더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의 각각의 측면 돌출부가 상기 지기 거더의 인접하는 측면의 돌출부 위에 겹쳐 놓여진다. 그런 다음 상기 패스너는 정렬된 상기 측면 돌출부를 통해 대략 수직으로 들어가서 끼워 넣어지고, 이때 이러한 수직적 배향은,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이 사용 중 한 세트의 스팬 거더로부터 한 세트의 지지 거더로 연속적인 구조물을 따르는 굴곡 모멘트를 전달할 수 있는 즉각적이고도 효과적인 저항력(통상적으로 포스 페어(a force pair))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각각의 패스너는 긴 볼트(예를 들어, "VSL 스트레스 바"와 같은 고 장력 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 긴 볼트는 상기 측면 돌출부들 내의 각각 정렬된 구멍을 통해 들어갈 때, 정렬된 상기 측면 돌출부들을 클램핑한다.
더욱 간략화 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측면 돌출부는 그 각각의 지지 거더 및 스팬 거더의 한 측면과 일체화된(예를 들어, 프리캐스트와 일체적으로 캐스트된) 러그(lug)일 수 있다. 통상적인 형태에서, 상기 제1 러그는 각 측면에서 상기 거더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고, 상기 제2 러그는 각 측면에서 상기 거더의 단부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있을 때, 상기 스팬 거더의 각 측면의 두개의 러그는 인접하는 상기 지지 거더의 측면으로부터 두개의 각각의 러그와 정렬할 수 있다.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각각의 상기 지지 거더 및 스팬 거더는 상기 지지대에 배치하기 전에 프리캐스트(precast)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상기 지지 거더 및 스팬 거더는 프리캐스트 슈퍼-T 거더(precast Super-T girder)일 수 있다. 그러므로 기존의 슈퍼-T 캐스팅 몰드(또는 형상)는 수정될 수 있고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을 위한 지지 거더 및 스팬 거더를 시공하는 데 용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서, 각각의 상기 스팬 거더는 직립형 슈퍼-T(upright super-T)로 구성되며, 각각의 지지 거더는 역 슈퍼-T(inverted super-T)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을 횡단면에서 보면,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대향하는 외측에 상기 역 슈퍼-T들이 위치하고, 대향하는 상기 외측의 상기 역 슈퍼-T들 사이에 N개의 상기 직립형 슈퍼-T들이 위치하며, 상기 직립형 슈퍼-T들 사이에 N-1개의 상기 역 슈퍼-T가 교대로 위치한다. 환언하면, 스팬 거더의 수는 N이고, 지지 거더의 수는 N+1이다.
그러므로 상기 방법은 상기 지지대에 n+1개의 지지 거더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n개의 스팬 거더는, 두개의 각각의 인접하는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 이에 형성된 각각의 스페이스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지지 거더들을 고정시키는 단부들을 가진다.
하나의 변형예에서, 상기 구조물의 대향하는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역 슈퍼-T들은, 단부에서는, 끝이 잘린 슈퍼-T 형상(truncated Super-T profile)을 가져, 평평한 외측 표면을 형성한다. 이에 의해 결과적인 스팬 구조물은 외관이 더욱 단정해지고 더욱 콤팩트하게 된다. 그렇지만, 다른 외관의 거더를 사용하면 이러한 외측의 지지 거더들에 생길 수 있는 높은 장력으로 인해 추가적인 공학적 설계가 필요하게 된다.
대안의 배치에서는 슈퍼-T에서의 보강재(즉, 거더의 베이스에 형성되는 보강재의 통상적인 위치를 유효하게 사용한다. 이와 관련해서, 지지 슈퍼-T 거더들은 이러한 보강재를 상부 거더 영역(즉, 슈퍼-T가 뒤집어진)에 배치하고, 스팬 슈퍼-T 거더들은 이러한 보강재를 결과적인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하부 거더 영역에 배치한다. 이것은 지지 (교각)에서의 네거티브 모멘트 및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포지티브 모멘트에 대항한다.
또한, 각각의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가 두개의 각각의 인접하는 상기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할 때, 슈퍼-T의 스팬 거더의 측면 플랜지들 중 하나 이상은, 인접하는 슈퍼-T의 스팬 거더의 세로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측면 플래지와 접하도록 또는 밀접하게 대향하도록 그 세로 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부 데크 구조물(upper deck structure)(예를 들어, 이 상부 데크 구조물 위에 도로나 보도가 시공될 수 있다)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지지대는 교각이며,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교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는 각각의 교각에 설치된 코벨(corbel)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법은 연속적인 스팬 교량을 시공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교량은 하나 이상의 교각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교각 각각에는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가 위치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 위에 데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데크는 도로 또는 보도의 일부를 구성한다.
제2 관점에 따르면, 적어도 두개의 기존 거더가 지지대에 나란히 위치하고 있는 기존 스팬 구조물의 강화 방법이 제공되며, 상기 방법은,
(ⅰ)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기존 거더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거하는 단계;
(ⅱ) 상기 제거된 부분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기존 거더들 사이에 새로운 거더를 위치시키는 단계;
(ⅲ) 상기 새로운 거더가 상기 지지대의 양쪽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새로운 거더와 상기 적어도 두개의 기존 거더들을 고정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여 기존의 (예를 들어, 서브 표준 강도) 거더 데크를 활용하여 연속적인 데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다.
제2 관점의 방법에서, 각각의 기존 거더는 슈퍼-T 거더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적어도 두개의 기존 거더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거하는 단계 (ⅰ)는 기존의 상기 슈퍼-T 거더들의 인접하는 측면 플랜지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새로운 거더는 슈퍼-T 거더일 수 있고, 상기 새로운 거더를 위치시키는 단계 (ⅱ)는 상기 새로운 슈퍼-T 거더를 상기 인접하는 기존의 슈퍼-T 거더들 사이에 위치시키기 전에 상기 새로운 슈퍼-T 거더를 뒤집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주어진 기존의 슈퍼-T 거더는 지지대에서 그 측면 각각에 위치하는 새로운 슈퍼-T 거더를 가질 수 있다.
제3 관점에 따르면,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합식 거더(combined girder)가 제공되며, 상기 조합식 거더는,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 내의 지지대에 위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 및 하나 이상의 스팬 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는, 상기 스팬 거더의 양쪽에 위치하여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 영역이 상기 두개의 지지 거더들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제1 관점의 방법에서와 같이, 상기 조합식 거더는 n개의 상기 스팬 거더 및 n+1개의 상기 지지 거더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 영역은 두개의 인접하는 상기 지지 거더들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스페이스 내에 위치하여 두개의 인접하는 상기 지지 거더들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 거더, 상기 스팬 거더 및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은 제1 관점에서와는 다르게 시공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상기 지지대가 교각일 때,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는 상기 교각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그런 다음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팬 거더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 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들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조합식 거더가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일부로서 시공된다.
요약서에 약술된 특징 중 일부 또는 전부를 병합하는 어떠한 다른 실시예에도 불구하고, 일련의 특정한 시공 방법, 거더 및 데크에 대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예를 들어서만 서술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슈퍼-T 스팬 거더는 거더의 상부 영역에 장력 보강재를 제공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슈퍼-T 스팬 거더를 폭넓게 이용함으로써,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다.
도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전에,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방법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거더의 튀어 나온 세로 방향의 보강재에 대해 공지의 접합을 수행하지 않고, 상보 측 아우트리거(브래킷(brackets))를 통해 삽입된 수직 볼트를 사용하여 겹치는 전체 거더들을 클램핑함으로써 스팬 연속성(span continuity)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음에 유념하다.
또한, 많은 공지의 스팬 시스템에서는, 거더들 사이에 어떠한 갭을 두지 않고 거더들을 나란히 위치시킨다. 그렇지만, 본 발명에서의 거더들의 겹침에서는, 교량 데크에 제공된 프리캐스트 거더들의 스템들(stems) 사이에 흔히 존재하는 스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 방법은 통상적으로 T형 거더를 포함하는 데크 구조물에 폭넓게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인은 두 그룹의 거더(스팬 거더 및 지지 거더)를 동일한 프리캐스팅 몰드로부터 시공할 수 있다는 것을 관찰하였다. 그렇지만, 이 방법은 프리캐스트 거더의 사용에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시공된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일부에 대해 설명하고, 이러한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에 시공된 조합식 거더의 일실시예를 포함하는 구조물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은, 교각(18) 형태의 지지대에 위치하는 역 슈퍼-T 거더 구조물 형태의 3개 지지 거더(12, 14, 16)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프리캐스트 데크(10)의 형태로 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속적인 프리캐스트 데크는 직립형 슈퍼-T 거더 형태의 2개 스팬 거더(20, 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역 슈퍼-T 거더 구조물(12 및 16)은 그 외관이 내부 거더(들)과는 다르고 이와 같은 프리캐스트 데크(10)에 대체적으로 평평한 측면 (외측) 표면을 제공하도록 되어 있다는 것을, 도 1c, 도 1d, 및 도 2c에서 가장 분명하게 알 수 있다. 그럼에도, 특별한 내부 슈퍼-T 거더(12 및 16)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그 내측으로 대향하는 측면 사이드에서, 인접하는 직립형 슈퍼-T 거더(20, 22)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역 슈퍼-T 거더 구조물(12 내지 16) 각각은, 그 아래 쪽에 위치하여 교각(18) 위에서의 위치선정(positioning)을 용이하게 하는 베어링(24)을 구비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도 1a, 도 1b, 도 1d, 도 2a에서, 역 슈퍼-T 거더 구조물은 격막(diaphragm)(26)으로부터 돌출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격막(26)은 (거더와 함께 캐스트되는) 사이드 아우트리거들(side outriggers)이 서로에 부딪치도록 볼트로 조임으로써 구성된다. 그런 다음 상기 아우트리거 및 격막은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스바(stressbars)에 의해 압박된다. 도 1d에 도시된 섹션("AT PIER")은 거더들 - 이것들은 격막과 아우트리거의 버트 조인트이다 - 사이의 두개의 수직선을 도시하고 있다. 이것들은 두개의 다른 격막을 격막(26)의 양측(즉, 스팬 거더와의 접합부(splice zone)에 바로 옆)에 적용한 것이다. 상기 격막들은 거더들에서 생기는, 특히 외측 지지 거더들에서 생기는, 일정하지 않은 하중 하에서 사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비틀림(torsion)을 바로잡는다는 점에서 본질적으로 구조적이다.
역 슈퍼-T 거더들은 통상적으로 상기 아우트리거들과 함께 캐스트되며 그런 다음 상기 아우트리거들은 스트레스바에 의해 상기 격막(26)에 연결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상기 구조물은 프리캐스트 데크(pre-cast deck)의 상부 표면의 연속성을 제공하기 위해, (도 1d 및 도 2b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은) 충전판(in-fill plates)(27, 28)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상부 데크 배리어들(barriers)(30)(도 1c, 도 1d, 도 1e를 참조하라)이 시공되어 상기 프리캐스트 데크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데크 배리어들을 교대로 프리캐스트할 수 있지만, 상기 상부 데크 배리어들은 도시된 바와 같은 상단 슬래브(topping slab)(즉, 섹션에 도시된 두개 의 상부 라인들 사이에 위치하는 슬래브)와 함께 통상적으로 제자리에서 캐스트된다.
구체적으로 도 1d(즉, 교각에서)를 참조하면, 역 슈퍼-T 거더 구조물(12 및 16)의 측면 플랜지(32 및 33)는 중앙의 역 슈퍼-T 거더 구조물(14)의 측면 플랜지(34 및 35)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이러한 접촉은 필요한 기능적 요건은 아니다. 이 접촉은, 충전판(27 및 28)이 설치될 것에 대비하여, (도 1b 및 도 2b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박스 섹션 구조물(box section structure)을 교각 위에 설치할 수 있게 하는 것이며, 이 교각에 의해 교각 위의 교량 데크의 연속성이 확보된다.
또한, 역 슈퍼-T 거더 구조물(12, 14, 16)의 주 보강재(main reinforcing)가 프리캐스트 데크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역 슈퍼-T 거더 구조물은, 그 스팬 영역(들) 위에 적재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에서 내부 교각들 위에서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네거티브 모멘트에 대항할 수 있다.
도 1e를 참조하면, 데크(10)의 스팬 영역들에서, 직립형 슈퍼-T 거더(20, 22)의 측면 플랜지들(36 및 37)이 (공인된 단순한 지지 교량 데크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접촉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지만, 도 1c의 직립형 거더와 역 거더의 접합과 관련해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이와 같은 조합식 거더에 의해, 직립형 슈퍼-T 거더(20, 22)는 인접하는 역 슈퍼-T 거더 구조물들 사이의 스페이스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 및 이와 같은 조합식 거더는 이러한 스페이스를 이용하는 이점이 있고, 이에 의해, 상 기 접합에 있어서, 스팬 거더(20, 22)는 지지 거더(12, 14, 또는 14, 16) 각각에 의해 양측에서 지지받는다.
프리캐스트 데크의 연속성을 달성하기 위해(즉,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거더는 각이 진 측면의 벽들(angled side walls)로부터 측면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포메이션(a pair of formation)을 구비하고, 이 돌출부들은 역 슈퍼-T 지지 거더(12, 14, 16)를 위해 각각 일체화된 러그 쌍(38, 39, 40, 41) 및 직립형 슈퍼-T 거더(20, 22)를 위해 각각 일체화된 러그 쌍(42, 43, 44, 45)의 형태로 되어 있다. 도 1c 및 도 2c에 적절히 도시된 바와 같이, 러그 쌍(42)은 러그 쌍(38) 위에 걸쳐 있고, 러그 쌍(43)은 러그 쌍(39) 위에 걸쳐 있고, 러그 쌍(44)은 러그 쌍(40) 위에 걸쳐 있고, 러그 쌍(45)은 러그 쌍(41) 위에 걸쳐 있다.
러그 각각에는 또한 사용 중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시추공(bore)이 미리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각의 보강 볼트(46, 47, 48, 49) 쌍은 결쳐 있는 상기 러그 쌍들을 통해 삽입되고 조여져서 상기 러그 쌍들을 고정시키며, 이에 의해 각각의 인접하는 직립형 슈퍼-T 거더 구조물 및 역 슈퍼-T 거더 구조물을 측면의 표면부를 따라 고정시킨다. 통상적으로 거더들은 약 50-60m까지의 폭을 갖는 프리캐스트 데크에서 약 2-2.5m만큼 그 길이를 따라 겹쳐진다.
거더 구조물 각각은, 일체화된 러그 쌍들의 프리캐스팅을 포함하여, 프리캐스트될 수 있기 때문에, 프리캐스트 데크의 구조물은 제자리에서 실제로 비교적 단순하게 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격막 및 아우트리거(26), 및 역 슈퍼-T 거더 구 조물은 주어진 교각에서 (비계(scaffolding)에 의해) 초기에 지지받고, 그런 다음 직립형 슈퍼-T 거더가 크레인으로 옮겨진다. 그런 다음 보강 볼트 쌍이 인접하는 거더들의 인접하는 러그 쌍들에 조여지고, 이에 의해 연속성이 구축된다. 그런 다음 상부 데크(배리어 및 상단 데크)(30)가 구축될 수 있다.
상기 러그들을 거더들과 함께 캐스트하는 것이 양호하지만, 각각의 러그를 별도의 캐스트 블리스터(cast blister)로서 제공할 수 있으며, 이 캐스트 블리스터는 주어진 거더의 메인 바디에 볼트로 조여진다.
도 1a 및 도 1b는 또한 12'와 같이 '를 포함하는,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 데크 구조물의 좌측을 도시하는 데, 이것은 데크 구조물의 우측 미러이다.
도 1a 및 도 2a에 적절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직립형 슈퍼-T 거더(20, 22)와 역 슈퍼-T 거더 구조물(12-16)의 접합에서, 직립형 슈퍼-T 거더(20, 22)의 측면 플랜지는 지지부(50, 51, 52, 53)(도 2a 참조)를 형성하는 안으로 만곡된(오목한)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슈퍼-T 거더 구조물(12, 14, 16)과 직립형 슈퍼-T 거더(20, 22)의 맞물림을 용이하게 한다(즉, 상기 직립형 슈퍼-T 거더들은 이러한 거더 구조물들의 "베이스"인데, 이제는 구조물의 "상부"이며, 인접하는 지지부들 사이에 그리고 지지부들에 형성된 오목부에 포개진다)
도 3 내지 도 6은 도 1 및 도 2에 설명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시공된 다양한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을 도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육교가 도시되어 있고, 이 육교는 두개의 직립형 지지대들(단일의 스팬) 사이를 연장하는 조합식 거더의 형태로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 으로, 도시된 육교는 지지대에 고정된 역 지지 거더에 (크레인에 의해) "내려 놓여"질 수 있는 직립형 슈퍼-T 거더(62)의 단일의 스팬을 포함한다.
육교 지지 구조물은 그라운드 G로부터 위로 연장하는 각각의 하부 구조물(66, 66')에 각각 설치되어 있는 두개의 역 (뒤집혀진) 슈퍼-T 지지 거더(64 및 65)를 포함한다. 이러한 하부 구조물은 경우에 따라서 리프트를 지지하여 들어올리는 타워(tower)이고, 보행자 계단(도시되지 않음)이다.
슈퍼-T 스팬 거더(62)는 도 1 및 도 2의 슈퍼-T 거더(20, 22)에 유사한 방식으로 적합되어, 일체화된 러그 및 보강 볼트를 사용하여 (일체화된 러그도 포함하는) 역 슈퍼- T 지지 거더(64, 65)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각각의 하부 구조물에서 쌍을 이루는 직립형 슈퍼-T 스팬 거더와 역 슈퍼-T 지지 거더를 결합하여 사용하면 단일의 스팬 육교를 시공하는 단순하고 신속한 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대향하는 단부를 갖는 3 직립형 슈퍼-T 스팬 거더(72, 72', 72")를 포함하는 3 스팬 육교(70)가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3 직립형 슈퍼-T 스팬 거더들 중 일부는 역 슈퍼-T 지지 거더(74, 75 또는 74', 75')의 각 쌍들 사이의 위치에 내려 놓여진다. 상기 역 슈퍼-T 지지 거더들은 차례로 하부 구조물(76, 76')에 탑재된다. 육교(70)는 "외측의" 슈퍼-T 스팬 거더들의 단부들이 얹혀져 있는 단부 지지 구조물(78, 78')을 더 포함한다. 다시, 스팬 거더와 지지 거더를 탑재하는 것에 대해 도 1 미 도 2에 서술되어 있으며, 도 3에서 약술한 동일한 효과(단순성 및 신속성)가 얻어진다.
도 5를 참조하면, 3 스팬 도로 플라이오버를 위한 지지 하부 구조물(80)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므로 상기 지지 하부 구조물의 각각의 스팬 영역은 나라히 배치되어 있는 4개의 직립형 슈퍼-T 스팬 거더(81 내지 84)(또는 81'-84' 또는 81"-84")를 포함한다. 스팬 거더들은 각각의 지지 거더 쌍들 사이에 내려 놓여지고, 하부 구조물(87, 87') 각각에는 5개의 역 슈퍼-T 지지 거더(86A 내지 86E)(또는 86A' 내지 86E')가 있다. 스팬 거더(81 내지 84 및 81" 내지 84")의 외측 단부들은 각각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지지 구조물(88 및 88')에 탑재된다.
다시, 지지 서브 구조물(80)에 의해, 탑재 방법 및 이와 같은 조합식 거더는 도 1 및 도 2에서 약술한 바와 같다. 지지 하부 구조물(80)을 사용하여, 협곡이나 계곡, 바위 틈이나 샛강, 강 등을 횡단하는 교량과 같이, 도로의 형태로 데크를 지지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5와 동일한 도면 부호을 사용하되 도면 부호 8은 도면 부호 9로 대치하고, 공중에 띄어진 3개의 스팬 플라이오버를 위한 지지 하부 구조물(90)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스팬을 갖는 혼치(haunch)를 달성하기 위해, 5개의 역 슈퍼-T 지지 거더 각각은 그 대향하는 단부들로부터 이동하면서 깊어지는 사이드 프로파일(side profile)을 가지고 있어서, 하부 구조물(97)에 탑재된 지지 거더의 최대 깊이를 달성한다. 이러한 혼칭은 스팬이 큰 경우에도 달성될 수 있다. 이 외에 있어서는, 지지 하부 구조물(90)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단일의 PSC 슈퍼-T 거더(도 7)를 사용하는 기존의 단일의 스팬 육교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의 육교(100)에 도시된 것과 같이 비교적 재설계되어 있다.
도 7의 기존의 육교에 있어서는, PSC 슈퍼-T 거더가 그 단부들에서 RC 코벨로부터 돌출하도록 탑재되고, 각각의 코벨도 차례로 계단, 리프트 샤프트(lift shaft)를 포함하는, 또한 상당한 토대를 갖는, 매우 실질적인 밑에 있는 하부 구조물에 탑재된다.
도 8의 육교(100)에서, 상기 코벨은 한 쌍의 역 슈퍼-T 지지 거더(101, 102)를 포함하도록 재시공된다. 그런 다음 치수가 작아진(즉, 깊이가 얕아진) 슈퍼-T 스팬 거더(104)를 지지 거더(101, 102 및 101', 102')의 대향하는 쌍들 사이에 내려 놓는다. 그 각각의 단부에서, 슈퍼-T 스팬 거더는 보강 볼트(105, 106)에 의해 지지 거더들에 고정되는 데, 상기 보강 볼트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도 1 및 도 2에 설명된 것과 유사한 방식 및 배치에 따라) 거더들의 각각의 겹치는 러그를 통해 들어가도록 되어 있다. 지지 거더(101, 102 및 101', 102')는 각각 지지 하부 구조물(108, 108')에 탑재된다.
그러므로 도 8의 육교(100)와 같은 육교를 재설계하는 데 적용되는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외관이 보다 우수하고 밝으며 거더들의 치수가 감소된다(즉, 깊이가 줄어들고 그래서 중량, 재료 요건 및 비용이 감소된다). 그렇지만,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육교의 각 단부에 적용된 지지 하부 구조물(108, 108')의 크기가 상당히 단순화되어 비용이 감소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9 내지 도 11의 "마이크로스트랜(microstran)" 그래프에 대해 예 2를 통해 설명한다.
연속적인 프리캐스트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시공 된 단순한 연속적인 구조물에서의 휨 모멘트(bending moment)의 계산, 및 기존의 구조물의 강화를 포함한, 제한적인 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예 1 - 연속적인 프리캐스트 구조물의 시공
2 세트의 단순한 거더들(예를 들어 표준 슈퍼-T 거더들)을 특별히 설계된 모듈로 시공하였다.
● 제1 세트 - 스팬 거더들 - 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데크 모멘트 엔벨로프(continuous deck moment envelope)의 포지티브 모멘트 영역들을 우선적으로 취한다.
● 제2 세트 - 지지 거더들 - 를 사용하여 네거티브 모멘트 영역들을 우선적으로 취급한다.
지지 거더들 사이의 거리는 2.5m 정도이다. 각 그룹에서의 거더들의 얼라인먼트가 그 스페이스의 절반만큼 오프셋되어 있어, 스팬 거더들의 단부들은 지지 거더들의 단부들 사이에 배치된다. 거더들은 약 2 내지 2.5m만큼 겹치게 된다.
각각의 거더의 단부에서 세로로 약 2m의 간격을 두고 있는 아우트리거 브래킷의 쌍들을 정렬시킴으로써 연속성이 달성된다. 지지 거더들은 자신들의 깊이 중 바닥 절반에 아우트리거들을 가지는 동시에, 자신들의 깊이 중 자신들의 상부 절반에 위치한 스팬 거더들의 아우트리거들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데크 스팬 내의 스팬 거더의 수를 "n"으로 할 때, 지지 거더의 수는 "n+1"이 된다.
시공 중에는 지지 거더들을 일시적으로 교각에 기대게 하거나 묶어 놓는다. 이러한 일시적인 작업은 일단 스팬 거더들을 설치하고 나면 끝나고 양 그룹의 거더들은 아우트리거들을 통해 연결되며 이에 따라 연속성이 구축된다.
이와 같은 구조물에는 버트 조인트(butt joint)가 존재하지 않는다. 세로 방향의 보강재를 접합함으로써 생기는 기존의 문제점이 개별의 보강 바에 의해서가 아닌, 전체적인 프리캐스트 요소를 겹치게 하고, 거더들 사이의 스페이스의 이점을 취함으로써 해결된다는 점에 유념하라.
버트 조인트에서 정상적으로 나타나는 하중 패턴(load pattern)으로 인한 모멘트는, 프리캐스트 요소들을 연결한 매칭 아우트리거들에서의 수직 보강재(예를 들어, 수직 스트레스 바들)에 의해 대신 취해졌다.
그러므로 프리캐스트 거더들로 이루어진 연속적인 교량 데크를 건설하는 데 본 발명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 1 - 관찰
대부분의 교량에 사용되는 단순한 지지 데크는, 포지티브 휨 모멘트(하나의 만곡 징후(one sign flexure))에 대항하도록 설계된 프리캐스트 거더들을 가지며 주 보강재가 바닥에 있는 단순한 거더들은 이러한 작업에 적합하다. 단순한 스팬 교량은 스팬 길이에 관해 제한이 있는데 왜냐하면 표준 단면들이 단지 약 35m만이 신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어진 깊이의 거더로 스팬의 길이를 길게 하거나 주어진 스팬 위에 더욱 얕은 거더를 놓이게 하는 방법은 데크를 연속적이게 하는 것이다.
연속적인 구조물은 스팬에는 포지티브 모멘트가 있고 지지 존에는 네거티브 모멘트가 있으며 그래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는 주 보강재가 스팬에서의 거더 바닥에 그리고 지지대 위의 거더 상부에 있게 된다는 것에 유념하라. 표준 프리캐스트 거더들을 사용하는 이러한 교량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두가지 유형의 거더가 필요한 데, 하나는 단순한 스팬과 유사한 포지티브 모멘트를 위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그 보강재가 상부에 있는 지지 존을 위한 것이다. 그런 다음 이러한 두가지 유형의 거더는, 예를 들어 거더들의 단부들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보강재를 접합함으로써, 어떻게든 접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지지 거더들은 스팬 거더들과 본질적으로 동일하지만 지지 존에 있을 필요가 있는 거더 상부 위에 있게 하도록 하기 위해 위와 아래의 위치가 바뀌어져 있다. 거더들의 단부들로부터 돌출하는 보강재를 겹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전체적인 거더들을 (나란히) 겹치게 하고 수직 볼트/보강재에 의해 묶여 있는 아우트리거들을 매칭시켜 상기 전체적인 거더들을 연결함으로써 접합의 문제점이 해결된다. 상기 아우트리거들을 통해 삽입된 수직 접합 볼트에 의해 데크의 연속성이 달성될 수 있다.
예 2 - 휨 모멘트의 계산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세 개의 그래프는 "마이크로스트랜(Microstran)" 구조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서 계산된 휨 모멘트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그래프는 휨 모멘트 다이어그램이 스팬 1(도 9에서 좌측 스팬) 위에 위치한 하중으로 인해 일어나는, 두개의 스팬 72m 길이의 육교에 대한 등각투시도 이다.
도 10의 그래프는 도 9의 거더 접합 존에 대한 상세도이다.
도 11의 그래프는 도 9의 모델의 측면도(2D)이다.
또한 도 11에는 표준적인 두 개의 스팬 연속 빔에 대한 모멘트 다이어그래의 형상이 점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지지 거더에서의 모멘트는 표준적인 두 개의 스팬 연속 빔에 대한 값의 절반임을 알 수 있다. 본 예에서, 이것은 두 개의 지지 거더가 있기 때문이다.
예 3 - 기존의 멀티 스팬 구조물의 강화
2004년에 교량 설계에 대한 호주 표준(Austroads 92 Bridge Design Code)이 새로운 표준 AS 5100. 2004로 대체되었다. 새로운 표준에 따르면, 계산된 생하중 효과(live load effect)(즉, 교량 구조물에서 내부의 힘)가 이전보다 상당히 크다. 이것은 새로운 설계 코드를 만족시키기 위해 몇몇 기존의 교량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는 호주 및 그밖의 지역의 도로 기관에 의해 판단될 것으로 추측된다.
단순한 표준 교량 거더(슈퍼-T들)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교량 데크 구조물을 건설하는 본 발명에 개시된 방법을 채택하여 기존의 하부 표준의 강력한 데크 거더를 사용함으로써 연속적인 데크 구조물을 건설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현재 능력이 되지 않는 기존의 교량 데크를 강화할 수 있다.
도 12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기존의 멀티-스팬 단순 지지 데크(도 12)의 강화가 도시되어 있고, 강화 방법론이 이하와 같이 설계된다.
● 외부의 역 거더를 지지하기 위해 교량의 양 측면 상에서 교각의 축받 이(headstock)를 연장한다.
● 근사적으로 1/4 지점에 기존의 데크에 임시 버팀목을 제공한다(도 13).
● 교각들 위의 교량 데크의 슬롯들을 절단한다 - 거더들의 상단 슬래브 플랜지를 제거하고 필요하다면 격막들을 제거한다(도 13).
● 프리스트레스드 보강재(pre-stressed reinforcement)를 내장하는 바닥 플랜지의 상부에 대해 기존의 거더 웹들(girder webs) 내의 오목부를 단축한다(도 13).
● 역 거더를 슬롯에 설치한다(도 14).
● 역 거더로부터 옆길로 돌출하는 브래킷과 함께 정렬된 격막을 제자리에서 형성, 보강 및 캐스트한다. 이러한 격막은 오래된 거더를 역 거더에 연결하는 슬리브에 볼트를 포함할 것이다(도 14 및 도 15).
● 오래된 거더, 새로운 거더 및 역 거더의 접합 영역 위에 상단 슬래브를 형성하고 캐스트한다(도 15).
이와 같은 연속적인 데크에서는 포지티브 모멘트가 철저하게 감소될 것이고 (검사될) 기존의 거더들은 자신들을 충분히 커버할 정도의 강도를 갖게 될 것이다. 연속적인 구조물의 교각 위의 네거티브 모멘트는 교각 위의 기존의 거더들 사이에서 슬라이딩된 새로운 역 거더에 의해 수용될 것이다(도 14 및 도 15).
단일의 스팬 교량 역시 이 방법을 사용하여 강화될 수 있지만, 역 거더들은 암석 또는 모래 앵커(rock or soil anchors)를 사용하여 교대(abutment) 뒤에 보관될 필요가 있다.
지지 거더들이 (도 1 내지 도 6 및 도 8의 이전의 실시예들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적소에 놓이 후에는 역 거더들을 볼트로 조여진 프리캐스트 격막에 의해 상호연결할 수 없다는 것에도 유념하라. 이들 격막은 특히 외측 거더들에서 생길 수 있는 비틀림을 바로잡는 데 있어서 중요하다. 제자리에서 격막들과의 연결을 위해 페룰(ferrules)을 역 거더들에 캐스팅하는 것이 역 거더들을 횡단하는 연결을 위한 방법으로서 제안되었다(도 15 참조).
일련의 방법 및 조합식 거더에 대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상기 방법 및 거더는 많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개시된 실시예들은 큰 스팬 애플리케이션에 통상적으로 적용되지만, 일반적인 구성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법은 그밖의 건설 애플리케이션(예를 들어, 기존 구조물의 보상)에 채택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각각 제1 실시예에 따른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일부에 대한 평면도 도 1a의 라인 A-A를 따라 절취한 측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의 라인 B-B를 따라 절취한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을 관통하는 한 부분으로서, 지지 거더와 스팬(슈퍼-T타입) 거더 사이의 중복 연결(overapping connection)을 나타낸다.
도 1d 및 도 1e는 각각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을 통하는 단면, 및 (교각 위의 ) 지지 거더를 통하고 스팬 거더들을 통하는 단면을 도시한다.
도 2a는 도 1a의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2b 및 도 2c는 각각 도 2a의 부분 평면의, 접합부를 통하는, 라인 A-A를 절취한 종단면도 및 라인 B-B를 절취한 횡단면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각각, 단일의 두개의 교각으로 프레임화된 육교 구조물의 평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4a 및 도 4b는 각각, 4 교각, 3 스팬 육교 구조물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각각, 2-교각, 3-스팬 도로 플라이오버 구조물(two-pier, three-span roadway flyover structure)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각각, 2-교각, 3-스팬 혼치드 도로 플라이오버 구조물(two-pier, three-span haunched flyover structure)에 대한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 c는 각각, 공지의 시공 방식 및 본 출원인에 의해 최근에 시공된 단일 스팬 도보 교량에 대한 측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각각,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재설계되고 조합식 거더를 적용한, 도 7의 2-교각으로 프레임화된 육교에 대한 측면도, 평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9,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마이크로스트랜(microstran)" 구조 해석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휨 모멘트를 나타내는 그래프들로서, 도 9의 그래프는 2 스팬, 길이 72m, 2 스팬 육교 모델 및 좌측 스팬 1 위에 위치한 하중으로 이한 휨 모멘트 다이어그램에 대한 등각 투상도이고, 도 10의 그래프는 도 9의 그래프의 거더 접합 존에 대한 상세 관찰도이고, 도 11의 그래프는 도 9의 그래프의 측면도(2D)를 나타낸다.
도 12a, 도 12b 내지 도 14a 및 도 14b는 각각, 기존의 멀티-스팬 단순 지지 데크의 강화 시에 연속적인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이와 같이 강화된 데크를 통하는 단면도이다.

Claims (27)

  1.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continuous span structure)의 시공 방법에 있어서,
    지지대에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support girder)를 위치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이 스팬 거더(span girder)의 단부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를 위치시켜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 각각은 상기 스팬 거더와 동일한 기본 구조를 가지는 거더를 포함하지만,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는 상기 스팬 거더에 대해 상기 지지대 위에 역 구조(inverted configuration)로 위치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팬 거더 및 상기 지지 거더 각각은 그 단부에 측면 돌출부들(lateral projections)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돌출부들은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할 때 정렬되도록 위치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시키는 단계는 정렬된 상기 측면 돌출부를 통해 패스너(fastener)를 끼워 넣음으로써 수행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돌출부들은,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스팬 거더의 각각의 측면으로부터의 각각의 측면 돌출부가 상기 지지 거더의 인접하는 측면의 돌출부 위에 겹쳐 놓여지며, 그런 다음 상기 패스너는 정렬된 상기 측면 돌출부를 통해 대략 수직으로 들어가서 끼워 넣어지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패스너는 정렬된 상기 측면 돌출부들을 통해 형성된 각각의 정렬된 구멍을 통해 들어가는 긴 볼트(elongate bolt)인,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측면 돌출부는 그 각각의 지지 거더 및 스팬 거더의 한 측면과 일체화된 러그(lug)이고,
    상기 러그는 각 측면에서 상기 거더의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제1 러그와,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가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있을 때, 상기 스팬 거더의 각 측면의 두개의 러그는 인접하는 상기 지지 거더의 측면으로부터 두개의 각각의 러그와 정렬하도록, 각 측면에서 상기 거더의 단부로부터 삽입되는 제2 러그를 포함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거더 및 스팬 거더는 상기 지지대에 배치하기 전에 프리캐스트(precast)된,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지지 거더 및 스팬 거더는 프리캐스트 슈퍼-T 거더(precast Super-T girder)인,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사용 시에, 상기 스팬 거더는 직립형 슈퍼-T(upright super-T)로 구성되며, 각각의 지지 거더는 역 슈퍼-T(inverted super-T)로 구성되어,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을 횡단면에서 보면,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대향하는 외측에 상기 역 슈퍼-T들이 위치하고, 대향하는 상기 외측의 상기 역 슈퍼-T들 사이에 N개의 상기 직립형 슈퍼-T들이 위치하며, 상기 직립형 슈퍼-T들 사이에 N-1개의 상기 역 슈퍼- T가 교대로 위치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의 대향하는 외측에 위치하는 상기 역 슈퍼-T들은, 단부에서는, 끝이 잘린 슈퍼-T 형상(truncated Super-T profile)을 가져, 평평한 외측 표면을 형성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n+1개의 지지 거더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n개의 스팬 거더는, 두개의 각각의 인접하는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스페이스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지지 거더들을 고정시키는 단부들을 가지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n+1개의 지지 거더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n개의 스팬 거더는, 두개의 각각의 인접하는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스페이스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지지 거더들을 고정시키는 단부들을 가지며,
    각각의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가 두개의 각각의 인접하는 상기 지지 거더의 단부들 사이에 위치할 때, 슈퍼-T의 스팬 거더의 측면 플랜지들 중 하나 이상은, 인접하는 슈퍼-T의 스팬 거더의 세로 측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측면 플래지와 접하도록 또는 밀접하게 대향하도록 그 세로 측면으로부터 돌출하여, 상부 데크 구조물(upper deck structure)을 형성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교각이며,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은 하나 이상의 교각을 포함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는 각각의 교각에 설치된 코벨(corbel)의 일부로서 구성되어 있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연속적인 스팬 교량을 시공하는 데 사용되며,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교량은 하나 이상의 교각을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교각 각각에는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가 위치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 위에 데크를 위치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공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는 도로 또는 보도의 일부를 구성하는,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시 공 방법.
  19. 적어도 두개의 기존 거더가 지지대에 나란히 위치하고 있는 기존 스팬 구조물의 강화 방법에 있어서,
    (ⅰ) 상기 지지대에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기존 거더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거하는 단계;
    (ⅱ) 상기 제거된 부분 각각에서 상기 적어도 두개의 기존 거더들 사이에 새로운 거더를 위치시키는 단계;
    (ⅲ) 상기 새로운 거더가 상기 지지대의 양쪽으로 연장되어 위치하도록 상기 새로운 거더와 상기 적어도 두개의 기존 거더들을 고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기존의 스팬 구조물의 강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각각의 기존 거더는 슈퍼-T 거더이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기존 거더의 일부를 노출시켜 제거하는 단계 (ⅰ)는 기존의 상기 슈퍼-T 거더들의 인접하는 측면 플랜지의 적어도 일부를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존의 스팬 구조물의 강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새로운 거더는 슈퍼-T 거더이고, 상기 새로운 거더를 위치시키는 단계 (ⅱ)는 상기 새로운 슈퍼-T 거더를 상기 인접하는 기존의 슈퍼-T 거더들 사이에 위치시키기 전에 상기 새로운 슈퍼-T 거더를 뒤집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존의 스팬 구조물의 강화 방법.
  22.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에서 사용하기 위한 조합식 거더(combined girder)에 있어서,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 내의 지지대에 위치시키기 위한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 및 하나 이상의 스팬 거더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는, 상기 스팬 거더의 양쪽에 위치하여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 영역이 상기 두개의 지지 거더들 사이에 위치하여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는, 조합식 거더.
  23. 제22항에 있어서,
    n개의 상기 스팬 거더 및 n+1개의 상기 지지 거더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스팬 거더의 단부 영역은 두개의 인접하는 상기 지지 거더들 사이에 형성된 각각의 스페이스 내에 위치하여 두개의 인접하는 상기 지지 거더들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는, 조합식 거더.
  24.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거더, 상기 스팬 거더 및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은 제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조합식 거더.
  25. 재2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교각이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는 상기 교각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그런 다음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팬 거더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들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조합식 거더가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일부로서 시공되는, 조합식 거더.
  26. 재2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교각이고,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는 상기 교각으로부터 돌출하도록 배치되고, 그런 다음 상기 하나 이상의 스팬 거더는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들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적어도 두개의 지지 거더들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조합식 거더가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의 일부로서 시공되는, 조합식 거더.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거더, 상기 스팬 거더 및 상기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은 제2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청구된 바와 같이 형성되는, 조합식 거더.
KR1020070088457A 2006-12-06 2007-08-31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 KR1009792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2006906822A AU2006906822A0 (en) 2006-12-06 Continuous span structure
AU2006906822 2006-12-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303A KR20080052303A (ko) 2008-06-11
KR100979218B1 true KR100979218B1 (ko) 2010-08-31

Family

ID=39580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8457A KR100979218B1 (ko) 2006-12-06 2007-08-31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9218B1 (ko)
AU (1) AU200723725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8662B (zh) * 2019-03-14 2024-04-02 中铁第四勘察设计院集团有限公司 跨越浅埋隧道的刚构槽型梁桥
CN114808765A (zh) * 2022-05-09 2022-07-29 中铁城建集团第三工程有限公司 既有铁路桥简支双t梁横向加固施工工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832A (ja) 1997-01-28 1998-08-04 Yokohama Rubber Co Ltd:The 感圧型接着剤を使用した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工法
KR100755946B1 (ko) 2006-03-02 2007-09-06 양난경 합성가설교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4832A (ja) 1997-01-28 1998-08-04 Yokohama Rubber Co Ltd:The 感圧型接着剤を使用した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工法
KR100755946B1 (ko) 2006-03-02 2007-09-06 양난경 합성가설교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2303A (ko) 2008-06-11
AU2007237252A1 (en) 2008-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08642B2 (ja) 合成パネル構造およびパネル橋梁構造ならびに連続合成桁橋の施工方法
JP3588325B2 (ja) 単径間及び多径間合成桁橋の施工法
KR10110782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slab)형 횡방향 연결 박스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34986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 아이빔 교량의 구조적 연속화 공법
JP3844743B2 (ja) 箱桁橋構造およびその構築方法
JP3331202B2 (ja) トラス構造橋の構築方法
KR101653803B1 (ko) 소하천 조립식 교량
JP4585614B1 (ja) 合成鋼床版橋の施工方法、並びにリブ付き鋼床版、及び合成鋼床版橋
JP2014105547A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固定構造
KR100785634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연속화 구조 및 그공법
KR100979218B1 (ko) 연속적인 스팬 구조물
KR200431821Y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아이형 거더교의 연속화 방법
JP4477467B2 (ja) 橋梁の構造およびその架け替え方法
KR102244029B1 (ko) 무교대 라멘교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693266B1 (ko) 하이브리드 거더
KR102207785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상판 일체형 교량 및 이의 시공 방법
Gordon et al. Precast deck systems for steel-concrete composite bridges
JP2012188814A (ja) プレキャスト合成床版架設方法
Culmo Rapid bridge deck replacement with full-depth precast concrete slabs
JP2005060964A (ja) 桁橋の構築方法
JPS5980809A (ja) 道路橋等における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ト床版の架設工法
KR100500382B1 (ko) 프리캐스트 거더의 연속화 시공방법 및 연결구조
KR101182541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i-거더 다경간 연속 교량 및 그 시공방법
CN114703735B (zh) 一种多跨上承式连续拱桥拱顶构造
Shushkewich Design of prestressed concrete bridges to accommodate future wide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831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711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7083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2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