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8848B1 -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 Google Patents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848B1
KR100978848B1 KR1020080005211A KR20080005211A KR100978848B1 KR 100978848 B1 KR100978848 B1 KR 100978848B1 KR 1020080005211 A KR1020080005211 A KR 1020080005211A KR 20080005211 A KR20080005211 A KR 20080005211A KR 100978848 B1 KR100978848 B1 KR 1009788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ar
passage blocking
vehicle passage
blocking 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5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9324A (ko
Inventor
정웅선
Original Assignee
정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웅선 filed Critical 정웅선
Priority to KR1020080005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848B1/ko
Publication of KR20090079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9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8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84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차량 통과 저지바 내에서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자동 구동에 의해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각각 하측 및 상측으로 회전되어 세로 방향으로도 저지 바가 형성된 것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써, 멀리서도 식별이 용이해져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는, 작동부 수납 지주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에 그 일단부가 구동 축을 경유하여 상하로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 통과 저지 바와;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에 수직으로 이격하여 힌지축에 의해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과; 상기 각 힌지축에 동시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의 내측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로드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에 수납되며, 상기 개폐 로드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 수평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진다.
통과, 저지, 차량, 바

Description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VEHICLE PASSAGE BLOCKING BAR STRUCTURES}
본 발명은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통상의 차량 통과 저지바 내에서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자동 구동에 의해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각각 하측 및 상측으로 회전되어 세로 방향으로도 저지 바가 형성된 것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써, 멀리서도 식별이 용이해져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입하는 차량을 저지하거나 통제하기 위하여 고속도로 톨게이트나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에는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는, 지주(支柱)와, 상기 지주에 그 일단부가 구동 축을 경유하여 상하로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대략 막대 형상의 하나의 차량 통과 저지 바로 이루어져,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에 의해 진입하는 차량을 저지하거나 통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에서는, 막대 형상의 차량 통과 저 지 바가 단순히 가로방향으로 하나만 형성되어 있음으로, 고속도로 톨게이트나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의 진입로로부터 떨어진 거리에서는 막대 형상의 차량 통과 저지 바가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워서, 진입하는 주행 차량이 고속도로 톨게이트나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 또는 주차장의 진입로에 설치된 차량 통과 저지 바를 확인하지 못하고 그냥 지나쳐 버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상의 차량 통과 저지바 내에서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자동 구동에 의해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각각 하측 및 상측으로 회전되어 세로 방향으로도 저지 바가 형성된 것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써 멀리서도 식별이 용이해져 시인성이 보다 향상된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는, 작동부 수납 지주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에 그 일단부가 구동 축을 경유하여 상하로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 통과 저지 바와;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에 수직으로 이격하여 힌지축에 의해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과; 상기 각 힌지축에 동시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의 내측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로드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에 수납되며, 상기 개폐 로드의 일단 부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 수평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개폐 로드가 좌우 수평 구동되고, 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각 힌지축에 의해 상하 회전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 내로 삽입 및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 각각은 상기 개폐로드의 상하단에 이격하여 탄성 수단에 의해 탄성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는 그 상하단에, 내측 공간부를 통해 대향하여 관통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는 다수의 장홀이 형성되어, 상기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삽입되거나 회전에 의해 하부 및 상부로 인출되는 공간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의 상기 내측 공간부의 측부의 일정 위치에는 상하로 대향하여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 턱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은 각각 다른 힌지축에 의해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에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복수개의 상측 세로 작동간에 연결된 각 힌지축만이 상기 개폐로드에 동시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가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가 상기 구동 축을 통해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의 종류로는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내에 장착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에 의하면, 통상의 차량 통과 저지바 내에서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자동 구동에 의해 삽입 및 인출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각각 하측 및 상측으로 회전되어 세로 방향으로도 저지 바가 형성된 것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써 멀리서도 식별이 용이해져 시인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차량 통과 저지 바(bar)가 들여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의 상하측 세로 작동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로서, 편의상 함께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도시된 예에서는, 주행차량을 저지 및 통제하기 위하여 고속도로 톨게이트나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주차장) 등에 설치되는 차량 주행 저지 바에 적용되는 예를 나타내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 그 적용분야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1)는, 작동부 수납 지주(20)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20)에 그 일단부가 구동 축(11-1)을 경유하여 상하로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 통과 저지 바(11)와;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11)에 수직으로 이격하여 힌지축(14)에 의해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과; 상기 각 힌지축(14)에 동시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11)의 내측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로드(15)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20)에 수납되며, 상기 개폐 로드(15)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 수평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21)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구동장치(21)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개폐 로드(15)가 좌우 수평 구동되고, 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각 힌지축(14)에 의해 상하 회전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11) 내로 삽입 및 인출된다. 즉, 종래에는 차량 통과 저지바(11)가 단일개 형성되어 있어, 고속도로 톨게이트나 아파트 단지의 출입구(주차장 포함)의 차량 통과 저지 바를 멀리서 용이하게 확인하기 어려웠으나,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각각 하측 및 상측으로 회전되어 세로 방향으로도 이격되어 저지 바가 형성된 것처럼 보이도록 함으로써 멀리서도 식별이 용이해져 시인성이 향상된다.
한편, 도시된 예에서는 단일개의 차량 통과 저지바(11)인 경우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차량 통과 저지바(11)가 두 개 이상인 경우도 본 발명에 속하는 것 임은 물론이다.
또한, 차량 통과 저지바(11)의 일단부는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20)에 구동 축(11-1)을 경유하여 상하로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구동축(11-1)은 다른 구동 수단(미도시)에 의해 피벗 운동가능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한 다른 구동 수단의 종류로는 구동축(11-1)에 키(key) 결합되는 구동 모터일 수도 있으며, 차량 통과 저지바(11)가 상하회전 가능한 구조라면, 그 구동 수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차량 통과 저지바(11)는 상기 복수개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내측 공간부(도면 번호 미부여)를 갖는 대략 막대형상이며, 그 재질로는 강성을 갖는 스틸 또는 스테인레스 등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나 강성을 갖는 것이라면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기한 차량 통과 저지바(11)는 그 상하단에는 대향하여 관통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형성되는 다수의 장홀(11-2)이 형성되어 복수개의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삽입되거나 회전에 의해 하부 및 상부로 인출되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물론, 상기한 차량 통과 저지바(11)의 내측에는 복수개의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삽입될 수 있고, 길이 방향으로 개폐 로드(15)가 좌우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내측 공간부(도면 번호 미부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 각각은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11)내에 설치된 개폐로드(15)의 상하단에 탄성 수단(12-1)(13-1)에 의해 탄성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의 일단부와 상기한 차량 통과 저지바(11)내에 설치된 개폐로드(15)의 상하단에 탄성 수단(12-1)(13-1)에 의해 탄성 결합됨으로써, 평상시에는 탄성 수단(12-1)(13-1)의 탄성력에 의해 대향하는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해당 장홀(11-2)내로 삽입되어 외부에 노출되지 않게 되지만, 상기 구동장치(21)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개폐 로드(15)가 우측으로 구동되고, 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각 힌지축(14)의 우측으로 당겨짐으로써, 탄성 수단(12-1)(13-1)의 탄성력에 의해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각각 하측 및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해당 장홀(11-2)을 통해 인출되어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대략 상하로 대향하면서 돌출되어진다.
한편,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11)의 내측 공간부의 측부의 소정 위치에는 상하로 대향하여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 턱(11-3)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어, 하측 세로 작동간(12) 및 상측 세로 작동간(13)이 내측 공간부로 삽입될 때(도면에서 개폐로드(15)의 왼쪽 이동), 각각 상호 안쪽으로 모아주는 가이드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하측 세로 작동간(12) 및 상측 세로 작동간(13)과 개폐 로드(15)가 상기 탄성 수단(12-1)(13-1)과 함께 차량 통과 저지바(11)내에서 지탱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의 일단부와 상기한 차량 통과 저지바(1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개폐로드(15)가 탄성 수단(12-1)(13-1)에 의해 탄성 결합된 하나의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탄성 수단대신에 개폐 로 드(15)의 좌우 이동에 의해 각 한쌍의 하측 및 세로 작동간(12)(13)의 회전 삽입 및 인출될 수 있는 다른 모든 구조도 가능하며, 본 발명에 있어 그 구조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상기 개폐 로드(15)의 일단부에 연결되는 구동 수단(21)의 종류로는 작동부 수납 지주(20)내에 장착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일 수 있으나, 그 구동 수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개폐 로드(15)가 좌우 수평 이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그 구동 수단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한 제 1 구동 수단(21)은 공지된 리모컨 원격 조작에 의해 자동제어도 가능하며, 수동 스위치 조작 등에 의해 수동으로도 조작이 가능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1a)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차량 통과 저지 바(bar)가 들여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다수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은 각각 다른 힌지축(14-1)(14-2)에 의해 차량 통과 저지 바(11)에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복수개의 상측 세로 작동간(13)에 연결된 각 힌지축(14-2)만이 개폐로드(15)에 동시에 결합되는 점에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1)와 상이하며, 그 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1a)에서는, 복수개의 상측 세로 작동간(13)에 연결된 각 힌지축(14-2)만이 개폐로드(15)에 동시에 결합됨으로써, 차량 통과 저지바(11)가 차량 등의 통행을 저지 하기 위해 하측으로 내려진 경우에, 복수개의 하측 세로 작동간(12)은 하중에 의해 힌지축(14-1)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자동 회전하여 인출되고, 복수개의 상측 세로 작동간(13)은 상기 구동장치(21)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개폐 로드(15)가 우측으로 구동되어 이에 연결된 상측 세로 작동간(13)이 각 힌지축(14-2)의 우측으로 당겨짐으로써, 탄성 수단(13-1)(도 1c 참조)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회전하면서 인출되어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대략 상하로 대향하면서 돌출되어진다.
물론,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통과 저지 바(bar)(11)가 들어 올려진 경우에는, 복수개의 하측 세로 작동간(12)은 하중에 의해 힌지축(14-1)을 중심으로 하방향으로 자동 회전하여 차량 통과 저지 바(11)내로 삽입되고, 복수개의 상측 세로 작동간(13)은 상기 구동장치(21)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개폐 로드(15)가 좌측(도 2b에서 상측 방향)으로 구동되어 이에 연결된 상측 세로 작동간(13)이 각 힌지축(14-2)을 통해 하측으로 회전하면서 차량 통과 저지 바(11)내로 삽입되어,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12)(13)이 좌우로 대향하면서 차량 통과 저지 바(11)내로 삽입되어 진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1b)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작동부 수납 지주(20)를 중앙에 설치하여, 차량 통과 저지바(11)가 구동 축(11-1)을 경유하여 작동부 수납 지주(20)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한 점에서, 도 1a 내지 도 1c에 도시된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1)와 상이하며, 그 외의 구성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붙여서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차량 통과 저지바(11)를 작동부 수납 지주(20)를 중심으로 좌우로 양회전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공간상의 효율성을 보다 높일 수 있게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다양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예증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발명의 요지 및 스코프를 일탈하는 일 없이도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차량 통과 저지 바(bar)가 들여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의 상하측 세로 작동간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의 차량 통과 저지 바(bar)가 들여 올려진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bar) 구조체(1b)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1b: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11: 차량 통과 저지바 11-1: 구동축
11-2: 장홀
12: 하측 세로 작동간 12-1, 13-1: 탄성수단
13: 상측 세로 작동간 14: 힌지축
15: 개폐로드 20: 작동부 수납 지주(支柱)
21: 구동장치

Claims (7)

  1. 작동부 수납 지주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에 그 일단부가 구동 축을 경유하여 상하로 피벗 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 통과 저지 바와,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에 수직으로 이격하여 힌지축에 의해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과,
    상기 각 힌지축에 동시에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의 내측에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 로드와,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에 수납되며, 상기 개폐 로드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좌우 수평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장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에 따라 상기 개폐 로드가 좌우 수평 구동되고, 이에 연결된 복수개의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각 힌지축에 의해 상하 회전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 내로 삽입 및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 각각은 상기 개폐로드의 상하단에 탄성 수단에 의해 탄성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는 그 상하단에, 내측 공간부를 통해 대향하여 관통되며 길이 방향으로 이격하는 다수의 장홀이 형성되어, 상기 각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이 삽입되거나 회전에 의해 하부 및 상부로 인출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의 상기 내측 공간부의 측부의 일정 위치에는 상하로 대향하여 형성된 두 개의 가이드 턱이 길이방향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하측 및 상측 세로 작동간은 각각 다른 힌지축에 의해 상기 차량 통과 저지 바에 상하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가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차량 통과 저지바가 상기 구동 축을 통해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장치의 종류로는 상기 작동부 수납 지주내에 장착되는 유압 또는 공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KR1020080005211A 2008-01-17 2008-01-17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Active KR1009788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211A KR100978848B1 (ko) 2008-01-17 2008-01-17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5211A KR100978848B1 (ko) 2008-01-17 2008-01-17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324A KR20090079324A (ko) 2009-07-22
KR100978848B1 true KR100978848B1 (ko) 2010-08-31

Family

ID=412905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5211A Active KR100978848B1 (ko) 2008-01-17 2008-01-17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8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209440A1 (en) * 2017-05-16 2018-11-22 Menier Jean Francois Gate for controlling oncoming traffic on a roadway
CN108643078A (zh) * 2018-05-15 2018-10-12 张旭 一种多功能汽车车位地锁及充电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454B1 (ko) * 1996-09-26 2002-02-27 디. 제이. 우드, 스피겔 알렌 제이 곤충 퇴치 제제
JP2003147734A (ja) 2001-11-15 2003-05-21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阻止棒
KR100759957B1 (ko) 2007-02-26 2007-09-18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4454B1 (ko) * 1996-09-26 2002-02-27 디. 제이. 우드, 스피겔 알렌 제이 곤충 퇴치 제제
JP2003147734A (ja) 2001-11-15 2003-05-21 Hitachi Service & Engineering (East) Ltd 阻止棒
KR100759957B1 (ko) 2007-02-26 2007-09-18 케이에스아이 주식회사 차단 바 자동복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9324A (ko) 2009-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75884B (zh) 用于机动车的车门把手装置
ES2341218T3 (es) Pared corrediza con varios elementos de pared lateralmente desplazables.
KR100978848B1 (ko) 차량 통과 저지 바 구조체
KR100796273B1 (ko) 벨트로 동시 동작하는 개찰구용 게이트 장치
US3968596A (en) Vehicle barriers
EP3015639A1 (en) Automatic sliding and swing gate
CN208250976U (zh) 车牌识别道闸一体装置
CN101769099B (zh) 门机锁
KR200181685Y1 (ko) 주차 차단기용 바 고정장치
KR100405329B1 (ko) 주차장치
CN204571511U (zh) 一种扣栓防盗锁
CN212078857U (zh) 一种立体车库的链松检测装置
US20050044793A1 (en) Door with holding device
KR101260748B1 (ko) 타이어 파손형 하이브리드 바리케이드
KR20140055522A (ko) 차단기 겸용 바리케이드
KR200326214Y1 (ko) 지하통로용 차수장치
KR100963501B1 (ko) 수직 거치형 자전거 거치대
US4068410A (en) Railway car door locking mechanism
KR102529899B1 (ko) 차량용 스윙도어 스탠션 장치
KR200468317Y1 (ko) 철도 차량기지 전용도어장치
KR102712975B1 (ko) Cctv 안전 브라켓 시스템
JP4086678B2 (ja) 引戸門扉
KR100997257B1 (ko) 가변식 도로표지장치
CN102808559A (zh) 一种自动开闭旋转门的装置
CN113106896A (zh) 道闸车牌识别设备的同步道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1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50520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9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2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1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21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2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23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23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5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2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