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8473B1 - 내장품의 연결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 Google Patents

내장품의 연결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473B1
KR100978473B1 KR1020080071272A KR20080071272A KR100978473B1 KR 100978473 B1 KR100978473 B1 KR 100978473B1 KR 1020080071272 A KR1020080071272 A KR 1020080071272A KR 20080071272 A KR20080071272 A KR 20080071272A KR 100978473 B1 KR100978473 B1 KR 100978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circumferential surface
shell case
retainer ring
manifol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346A (ko
Inventor
이명헌
주대현
박동진
조언정
Original Assignee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473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47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54Joining multiple sections toge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26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characterised by the means generating the charging effect
    • F02B27/0268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06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elements of the air intake system in direction of the air intake flow, i.e. between ambient air inlet and supply to the combustion chamber
    • F02M35/10072Intake run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55Arrangements of valves; Multi-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34Manufacturing and assembling intake systems
    • F02M35/10347Moulding, casting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4Intake manifol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회전축(52)을 갖는 엑츄에이터(50); 유체소통용 런너(62) 및 일측에 결합공(64)을 갖는 쉘케이스(60); 상기 쉘케이스(60)의 런너(62)을 개폐하는 개폐판(72) 및 이 개폐판(72)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74)을 갖는 밸브부재(70); 상기 쉘케이스(60)의 결합공(6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부에 상기 샤프트(74)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회전축(52)이 결합됨으로써, 엑츄에이터(50)의 구동력을 밸브부재(70)에 전달하는 원통형의 커플러(79); 상기 커플러(79)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널베어링(80); 상기 저널베어링(80)과 함께 상기 커플러(79)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기밀상태로 실링하는 탄성재 리테이너링(90) 및; 상기 리테이너링(90)을 상기 쉘케이스(6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저널베어링(80)이 적용됨에 따라 저널베어링(80)이 설치되는 쉘케이스(60)의 일부분을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매니폴드, 스월, 밸브, 베어링, 회전

Description

내장품의 연결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 MANIFOLD IMPROVED CONNECTING STRUCTURE OF INSIDE ASSEMBLY }
본 발명은 차량에 설치되는 매니폴드에 관한 것으로서, 매니폴드에 설치된 밸브부재 및 엑츄에이터의 연결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개량된 연결구조에 의해 콤팩트한 크기로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매니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실린더의 행정에 의해 발생되는 실린더의 부압에 의해 외기를 흡기하거나 고압의 공기를 강제로 공급한다. 이때, 외기는 엔진의 헤드에 설치된 매니폴드를 통해 흡기한다. 이러한 매니폴드는 흡기되는 외기를 스월시켜서 실린더에 공급한다. 따라서, 실린더에 분사되는 연료는 스월되는 외기에 의해 최적의 상태로 혼합된다.
이와 같은 매니폴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가 소통되는 관형태의 런너(RN)를 통해 외기를 공급한다. 이때, 매니폴드(MA)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장착된 엑츄에이터(AT)에 의해 내부의 밸브부재가 작동한다. 따라서, 매니폴드(MA)는 밸브의 개폐작동에 따라 외기를 공급하거나 공급을 차단한다.
한편, 전술한 밸브부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AT)에 연결된 원통형의 커플러(10)에 의해 샤프트(22)가 회전됨에 따라 개폐판(24)으로 런너(RN)의 포트를 개폐한다. 즉, 밸브부재는 커플러(10)에 연결됨에 따라 엑츄에이터(AT)에 의해 작동한다. 이때, 샤프트(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매니폴더(MA)에 내장된 커플러(10)를 통해 엑츄에이터(AT)의 회전축(XL)에 연결된다. 따라서, 샤프트(22)는 엑츄에이터(AT)에 의해 작동이 제어된다.
여기서, 전술한 샤프트(22)는 종단부가 커플러(10)의 일단부에 스플라인 결합됨에 따라 커플러(10)와 함께 회전한다. 물론, 커플러(10)는 타단부에 엑츄에이터(AT)의 회전축(XL)이 결합됨에 따라 회전한다. 즉, 커플러(10)는 샤프트(22) 및 엑츄에이터(AT)를 연결하는 동시에 엑츄에이터(AT)의 구동력을 샤프트(22)에 전달하는 요소이다.
한편, 커플러(10)는 도 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금속재 볼베어링(32)과 플라스틱재 전방리테이너(34a) 및 후방리테이너(34b)가 끼워져서 고정된다. 이러한 커플러(10)는 볼베어링(32)에 의해 매니폴드(MA)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되고, 전방 및 후방리테이너(34a, 34b)에 의해 회전이 지지된다. 또한, 커플러(10)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리테이너(34b)에 패킹(36)이 설치됨에 따라 외주면이 기밀상태로 실링된다.
여기서, 전술한 전방리테이너(34a)는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및 후면에 형성된 윤활홈(34')에 그리스와 같은 점성의 윤활제가 충전된다. 따라서, 전방리테이너(34a)는 윤활제의 점성을 통해 커플러(10)의 외주면을 실링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매니폴드(M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와 연결되는 커플러(10)의 단부에 볼베어링(32)이 끼워져서 고정되므로 커플러(10)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부위의 크기를 축소시킬 수 없는 문제가 있다. 즉, 일반적인 매니폴드(MA)는 밸부부재 및 엑츄에이터(AT)를 연결하는 커플러(10)에 볼베이링(32)이 설치됨에 따라 작은 크기로 제조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 전방 및 후방리테이너(34a, 34b)를 모두 구비하여야 커플러(10)의 외주면을 기밀상태로 실링할 수 있으므로 전방 및 후방리테이너(34a, 34b)를 제각기 제조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후방리테이너(34b)에 패킹(36)을 일일이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운 공정이 수반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커플러(10)의 회전에 의해 후방리테이너(34b)의 패킹(36)이 마모될 경우 전방 및 후방리테이너(34a, 34b)가 커플러(10)의 외주면에서 유동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박형의 두께를 갖는 원통형의 마찰부재를 이용하여, 밸브부재 및 엑츄에이터를 연결하기 위해 내장된 커플러의 외주면을 지지할 수 있는 매니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특히, 전술한 마찰부재가 제조성이 우수한 구조로 형성되어 마찰부재를 용이하게 마련할 수 있는 매니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그 목적이다.
또, 커플러의 외주면에 유체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된 단일체 형태의 탄성재 실링부재가 결합된 매니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다른 목적이다.
특히, 전술한 단일체 형태의 실링부재가 여러 차례에 걸쳐서 유체의 누출을 방지하는 구조를 갖는 매니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에 더하여, 전술한 탄성재 실링부재에 보강재가 내재되어 실링부재가 탄성력이 확보된 상태로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매니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더 나아가, 전술한 실링부재를 커플러의 외측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하는 매커니즘이 마련된 매니폴드를 제공하기 위함이 또 다른 목적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매니폴드는, 차량에 설치되는 매니폴드에 있어서, 회전축을 갖는 엑츄에이터; 유체가 소통되는 런너가 형성되 고, 일측에 결합공이 마련된 쉘케이스; 상기 쉘케이스의 런너을 개폐하는 개폐판 및 이 개폐판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를 갖는 밸브부재; 상기 쉘케이스의 결합공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부에 상기 밸브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샤프트의 종단부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엑츄에이터의 회전축이 결합됨으로써, 엑츄에이터 및 밸브부재를 분리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동시에, 엑츄에이터의 구동력을 밸브부재에 전달하는 원통형의 커플러; 상기 커플러에 끼워져서 상기 쉘케이스의 내부에서 커플러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널베어링; 상기 저널베어링과 함께 상기 커플러에 끼워져서 상기 쉘케이스의 내부에서 커플러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기밀상태로 실링하는 탄성재 리테이너링 및; 상기 리테이너링을 상기 쉘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저널베어링은 예컨대, 상기 커플러에 끼워지는 중공관 및; 상기 중공관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의 외주면과 마찰하는 테프론수지층;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중공관은 금속판이 원통형으로 밴딩되어 형성되는 금속성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링은 예컨대, 상기 커플러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커플러의 외주면에 압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돌기;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리테이너링는 내부에 강성을 보강하는 직각으로 절곡된 단면의 금속링이 내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링은, 상기 금속링의 단부가 위치하는 일측면의 표면에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는 그루브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고정수단은 예컨대, 상기 쉘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의 내측에 후크형태의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상기 리테이너링의 단부를 걸어서 구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매니폴드는, 내부에 내장되어 밸브부재 및 엑츄에이터를 연결하는 커플러의 외주면이 박형의 두께로 형성된 원통형의 저널베어링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므로, 저널베어링이 위치하는 쉘케이스의 일부분을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금속판을 이용하여 저널베어링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저널베어링을 매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널베어링의 내주면에 테프론수지층이 코팅되므로 커플러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리테이너링이 고무로 제조되어 커플러 및 쉘케이스의 결합공 사이에 탄력적으로 압입고정되고, 리테이너링에 금속링이 인서트된 동시에, 리테이너링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실링돌기가 압착상태로 커플러의 외주면을 실링하므로, 커플러의 외측을 매우우수하게 실링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리테이너링에 형성된 그루브에 누출되려는 공기가 수용되므로 공기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아울러, 리테이너링이 고정수단의 걸림돌기에 의해 결합공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조립작업시 리테이너링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테이너링을 결합공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매니폴드는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요부 "B"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엑츄에이터(50); 쉘케이스(60); 밸브부재(70); 커플러(79); 저널베어링(80) 및; 리테이너(9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요소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술한 엑츄에이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쉘케이스(60)와 별개로 제조된다. 이러한 엑츄에이터(50)는 모터나 부압에 의한 기계적 운동에 의해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엑츄에이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쉘케이스(60)의 결합공(64)에 결합된다.
다음, 전술한 쉘케이스(60)는 사출에 의한 성형물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로 이루어진 관형태의 런너(62)를 갖는다. 이러한 런너(62)는 단부에 형성된 후술되는 포트를 통해 유체(공기)가 흡기된다. 이와 같은 쉘케이스(6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에 결합공(64)이 전술한 런너(62)와 연통된 상태로 형성된다.
그 다음, 전술한 밸브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직선의 샤프트(74) 및 이 샤프트(74)에 등간격으로 장착되는 개폐판(72)을 갖는다. 이러한 밸브부재(70)는 런너(62)의 단부를 형성하는 포트(62a)에 설치되어 개폐판(72)을 통해 포트(62a)를 개폐한다. 즉, 밸브부재(70)는 런너(62)를 개폐하여 런너(62)에 소통되는 유체를 단속한다.
이어서, 전술한 커플러(79)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저널베어링(80) 및 리테이너링(90)과 함께 쉘케이스(60)의 결합공(64)에 삽입된다. 이러한 커플러(7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널베어링(80) 및 리테이너링(90)과 결합된 상태로 쉘케이스(60)의 결합공(64)에 삽입된다. 이와 같은 커플러(79)는 원통형의 중공관으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에 판상의 플랜지(79a)가 형성된다.
계속해서, 전술한 저널베어링(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환형관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저널베어링(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커플러(79)에 결합된 상태로 쉘케이스(60)의 결합공(64)에 삽입된다.
마지막으로, 전술한 리테이너링(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양단이 개방된 링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리테이너링(9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저널베어링(80)과 함께 커플러(79)에 결합된 상태로 쉘케이스(60)의 결합공(64)에 삽입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엑츄에이터(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52)을 갖는다. 이러한 회전축(52)은 엑츄에이터(50)에 내장된 전술한 모터의 축이다. 이와 같은 회전축(52)은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공(64)이 형성된 쉘케이스(60)의 일측에 엑츄에이터(50)가 고정됨에 따라, 자유단측 단부가 쉘케이스(60)의 내부로 삽입되어 커플러(79)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이렇게, 회전축(52)이 결합되는 커플러(7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저널베어링(80) 및 리테이너링(90)이 외주면에 제각기 끼워진 상태로 결합공(64)을 통해 쉘케이스(60)에 내장된다. 이러한 커플러(79)는 도시된 바와 같이 후단에 플랜지(79a)가 형성된 단차를 갖는 원통관 형태의 구조물이다.
여기서, 전술한 저널베어링(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79)의 선단측에 끼워진다. 그리고, 리테이너링(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79)의 후단측에 끼워져서 저널베어링(80)과 정렬된 상태를 이루면서 연속성을 형성한다. 즉, 저널베어링(80) 및 리테이너링(90)은 커플러(79)에 순차적으로 연속해서 끼워진다.
한편, 전술한 저널베어링(8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박형의 두께를 같는 원통형의 부재이다. 이러한 저널베어링(80)은 예컨대,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79)에 끼워지는 중공관(82) 및; 이 중공관(8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커플러(79)의 외주면과 마찰하는 테프론수지층(8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저널베어링(80)은 테프론수지층(84)이 코팅된 중공관(8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중공관(82)은 확대도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판을 원통형으로 밴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즉, 중공관(82)은 금속판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 한편, 전술한 리테이너링(90)은 약간을 탄성을 가지면서 우수한 기밀성을 갖는 고무재로 구성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저널베어링(80) 보다 두꺼운 두께로 형성된다. 이러한 리테이너링(90)은 확대도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 관통공(90')이 형성된 환상의 링이다. 이와 같은 리테이너링(9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이 커플러(79)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이 쉘케이스(60)에 형성된 결합공(64)의 내측면에 밀착된다. 따라서, 리테이너링(90)은 커플러(79)의 외측으로 유체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리테이너링(90)은 확대도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79)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내주면에 적어도 하나의 실링돌기(92, 92')가 돌출형성될 수 있 다. 이러한 실링돌기(92, 92')는 커플러 (79)에 끼워지면서 커플러(79)의 외주면에 압착된다. 따라서, 커플러(79)는 압착되는 실링돌기(92, 92')에 의해 외주면이 기밀상태로 실링된다. 즉, 실링돌기(92, 92')는 커플러(79)의 외주면을 기밀상태로 실링하는 요소이다.
여기서, 전술한 실링돌기(92, 92')는 확대도에 도면부호 92로 표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링돌기(92, 92')는 전술한 바와 달리 확대도에 도면부호 92'로 표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링(90)의 내주면 단부에서 외측을 향해 날개형태로 돌출형성될 수도 있다. 즉, 실링돌기(92, 92')는 삼각형형태의 단면을 갖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날개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리테이너링(9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직각으로 절곡된 단면을 갖는 금속링(96)이 인서트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링(96)은 리테이너링(90)의 내부에서 고무재로 형성된 리테이너링(90)의 강성을 보강한다. 즉, 리테이너링(90)은 금속링(96)에 의해 강성이 보강된다. 따라서, 리테이너링(90)은 커플러(79)의 외주면을 보다 견고하게 지지한다.
또한, 리테이너링(90)은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금속링(96)의 단부가 위치하는 일측면의 표면에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는 그루브(90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그루브(90a)는 리테이너링(90)의 표면에 유체의 흐름을 방해하는 굴곡을 제공한다. 따라서, 유체는 그루브(90a)로 인하여 누출이 억제된다. 물론, 설명되는 유체는 쉘케이스(60)의 런너(6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이다.
결론적으로, 리테이너링(90)은 쉘케이스(60)로 유입된 유체가 커플러(79)의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리테이너링(90)은 고정수단에 의해 쉘케이스(60)의 결합공(64)에 착탈가능한 상태로 견고하게 고정된다. 즉, 고정수단은 리테이너링(90)을 쉘케이스(60)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요소이다.
이러한 고정수단은 예컨대, 확대도 "라"에 도시된 바와 같이 쉘케이스(60)에 형성된 결합공(64)의 내측에 후크형태의 걸림돌기(64a)를 형성하여, 이 걸림돌기(64a)가 결합공(64)에 끼워지는 리테이너링(90)의 단부를 걸어서 구속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돌기(64a)는 리테이너링(90)이 작업자의 조작시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링(90)의 단부에 밀착되는 밀착면(64a')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술한 밸브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74)의 일단부가 커플러(79)의 일단부에 끼워져서 결합된다. 즉, 밸브부재(70)는 커플러(79)를 통해 엑츄에이터(50)에 연결된다. 이때, 샤프트(74)의 일단부는 커플러(79)의 일단부에 분리가능한 상태로 스플라인 결합된다. 이러한 샤프트(74)는 커플러(79)에 의해 회전된다. 물론, 샤프트(74)는 커플러(79)의 타단부에 결합된 엑츄에이터(50)의 회전축(52)이 커플러(79)를 회전시킴에 따라 커플러(79)와 함께 회전된다.
이와 같은 밸브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74)에 설치된 개폐판(72)이 쉘케이스(60)의 런너(62)에 형성된 포트(62a)에 위치한다. 이러한 개폐판(72)은 포트(62a)의 지름에 대응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개폐판(72)은 샤프트(74)와 함께 회전되면서 포트(62a)를 개폐한다. 따라서, 개폐판(72)은 포트(62a)로 유입되는 유체를 단속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의 작용을 첨부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의한 매니폴드는 쉘케이스(60)의 런너(62)를 통해 공기가 유입된다. 물론, 공기는 런너(62)의 포트(62a)를 통해 유입된다. 이때, 런너(6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재(70)의 개폐판(72)에 의해 포트(62a)가 개폐된다. 따라서, 런너(62)는 개폐판(72)의 개방작동시 포트(62a)로 유입된 공기를 스월시켜서 미도시된 엔진에 공급한다.
여기서, 전술한 밸브부재(7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쉘케이스(60)의 일측에 결합된 엑츄에이터(50)의 회전축(52)이 커플러(79)를 회전시킴에 따라 개폐판(72)을 작동시킨다. 물론, 개폐판(72)은 커플러(79)에 스플라인 결합된 샤프트(74)가 커플러(79)와 함께 회전됨에 따라 샤프트(74)와 함께 회전된다.
한편, 저널베어링(80)은 커플러(79)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커플러(79)의 외주면을 축지지한다. 이때, 저널베어링(80)은 내주면의 테프론수지층(84)을 통해 커플러(79)의 외주면에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을 감쇠시킨다. 따라서, 커플러(79)는 테프론수지층(84)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회전한다.
또, 리테이너링(90)은 커플러(79)의 외측을 기밀하게 실링한다. 즉, 리테이너링(90)은 커플러(79) 및 쉘케이스(60)의 결합공(64) 내주면을 기밀하게 실링한 다. 따라서, 쉘케이스(60)의 런너(62)로 유입되는 공기는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리테이너링(90)은 내부에 인서트된 금속링(96)에 의해 자체형상이 유지되는 상태로 커플러(79)의 외주면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특히, 리테이너링(90)은 실링돌기(92, 92')가 커플러(79)의 외주면에 압착됨에 따라 커플러(79)의 외주면을 매우 견고하게 실링한다. 그리고, 리테이너링(90)은 외주면이 결합공(64)의 내주면에 억지끼움식으로 압입고정됨에 따라 결합공(64)의 내주면을 견고하게 실링한다. 아울러, 리테이너링(90)은 표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 그루브(90a)로 누출되려는 공기를 수용하여 공기의 유출을 억제한다.
이와 같은 리테이너링(90)은 전술한 실링돌기(92, 92')가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복수개로 형성될 경우, 복수개의 실링돌기(92, 92')로 인하여 커플러(79)의 외주면을 여러 차례 실링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실링돌기(92, 92')는 커플러(79)의 외주면을 제각기 실링한다.
한편, 고정수단의 걸림돌기(64a)는 리테이너링(90)의 단부를 구속하여 리테이너링(9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걸림돌기(64a)는 리테이너링(90)의 이탈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링(90)의 단부를 차폐하면서 리테이너링(90)의 단부측 외주면을 실링한다. 따라서, 커플러(79)는 외측이 보다 확실하게 실링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는, 밸브부재(70) 및 엑츄에이터(50)를 연결하는 커플러(79)의 외주면이 박형의 두께로 형성된 원통형의 저널 베어링(80)에 의해 지지되므로, 저널베어링(80)이 위치하는 쉘케이스(60)의 일부분을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 금속판을 이용하여 저널베어링(80)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저널베어링(80)을 매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널베어링(80)의 내주면에 테프론수지층(84)이 코팅되므로 커플러(79)의 원활한 회전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리테이너링(90)이 고무로 제조되어 커플러(79) 및 쉘케이스(60)의 결합공(64) 사이에 탄력적으로 압입고정되고, 리테이너링(90)에 금속링(96)이 인서트된 동시에, 리테이너링(90)의 내주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실링돌기(92, 92')가 압착상태로 커플러(79)의 외주면을 실링하므로, 커플러(79)의 외측을 매우우수하게 실링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리테이너링(90)에 형성된 그루브(90a)에 누출되려는 공기가 수용되므로 공기의 누출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리테이너링(90)이 고정수단의 걸림돌기(64a)에 의해 결합공(64)의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므로, 조립작업시 리테이너링(90)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테이너링(90)을 결합공(64)의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적용 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동일 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한 변경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및 구조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이러한 형상 및 구조의 변형은 첨부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매니폴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요부 "A"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매니폴드의 분해사시도; 및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요부 "B"의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호 설명>
50 : 엑츄에이터
52 : 회전축
60 : 쉘케이스
70 : 밸브부재
72 : 개폐판
74 : 샤프트
79 : 커플러
80 : 저널베어링
82 : 중공관
84 : 테프론수지층
90: 리테이너링
92, 92' : 실링돌기
96 : 금속링

Claims (7)

  1. 차량에 설치되는 매니폴드에 있어서,
    회전축(52)을 갖는 엑츄에이터(50);
    유체가 소통되는 런너(62)가 형성되고, 일측에 결합공(64)이 마련된 쉘케이스(60);
    상기 쉘케이스(60)의 런너(62)을 개폐하는 개폐판(72) 및 이 개폐판(72)과 함께 회전하는 샤프트(74)을 갖는 밸브부재(70);
    상기 쉘케이스(60)의 결합공(6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일단부에 상기 밸브부재(70)를 구성하는 상기 샤프트(74)의 종단부가 스플라인 결합되고, 타단부에 상기 엑츄에이터(50)의 회전축(52)이 결합됨으로써, 엑츄에이터(50) 및 밸브부재(70)를 분리가능한 상태로 연결하는 동시에, 엑츄에이터(50)의 구동력을 밸브부재(70)에 전달하는 원통형의 커플러(79);
    상기 커플러(79)에 끼워져서 상기 쉘케이스(60)의 내부에서 커플러(79)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저널베어링(80);
    상기 저널베어링(80)과 함께 상기 커플러(79)에 끼워져서 상기 쉘케이스(60)의 내부에서 커플러(79)의 외주면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면서 기밀상태로 실링하는 탄성재 리테이너링(90); 및
    상기 리테이너링(90)을 상기 쉘케이스(60)에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널베어링(80)은,
    상기 커플러(79)에 끼워지는 중공관(82); 및
    상기 중공관(82)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플러(79)의 외주면과 마찰하는 테프론수지층(84);을 포함하는 매니폴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관(82)은 금속판이 원통형으로 밴딩되어 형성되는 금속성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링(90)은,
    상기 커플러(79)의 외주면과 대면하는 내주면에 돌출형성되어 커플러(79)의 외주면에 압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실링돌기(92, 92');를 포함하는 매니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링(90)에 내장되어 리테이너링(90)의 강성을 보강하고, 직각으로 절곡된 단면을 갖는 금속링(96);을 더 포함하는 매니폴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링(90)은,
    상기 금속링(96)의 단부가 위치하는 일측면의 표면에 유체의 흐름을 억제하 는 그루브(9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쉘케이스(60)에 형성된 상기 결합공(64)의 내측에 후크형태의 걸림돌기(64a)를 형성하여, 상기 걸림돌기(64a)가 상기 결합공(64)에 끼워지는 상기 리테이너링(90)의 단부를 걸어서 구속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니폴드.
KR1020080071272A 2008-07-22 2008-07-22 내장품의 연결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Active KR100978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272A KR100978473B1 (ko) 2008-07-22 2008-07-22 내장품의 연결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1272A KR100978473B1 (ko) 2008-07-22 2008-07-22 내장품의 연결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46A KR20100010346A (ko) 2010-02-01
KR100978473B1 true KR100978473B1 (ko) 2010-08-30

Family

ID=42085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1272A Active KR100978473B1 (ko) 2008-07-22 2008-07-22 내장품의 연결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4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94B1 (ko) 2013-08-05 2015-01-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0009A (ja) * 1991-12-27 1993-07-20 Aisan Ind Co Ltd 吸気制御弁装置
JP2004124933A (ja) 2002-07-29 2004-04-22 Denso Corp 可変吸気装置
KR100778431B1 (ko) 2006-11-20 2007-11-21 델파이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밸브 지지장치
JP2008008172A (ja) 2006-06-28 2008-01-17 Aisan Ind Co Ltd 吸気制御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80009A (ja) * 1991-12-27 1993-07-20 Aisan Ind Co Ltd 吸気制御弁装置
JP2004124933A (ja) 2002-07-29 2004-04-22 Denso Corp 可変吸気装置
JP2008008172A (ja) 2006-06-28 2008-01-17 Aisan Ind Co Ltd 吸気制御弁
KR100778431B1 (ko) 2006-11-20 2007-11-21 델파이파워트레인 주식회사 차량용 흡기 매니폴드의 가변밸브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6694B1 (ko) 2013-08-05 2015-01-08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엔진 흡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346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30150678A1 (en) Damper device that uses viscous fluid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4478684B2 (ja) 球面滑り軸受システム
US8092314B2 (en) Power transmission structure
KR20180013441A (ko) 다방향 전환 밸브장치 및 그 제작 방법
KR20090076985A (ko) 회전댐퍼
KR20210119516A (ko) 삼방향 워터 밸브
TW201641381A (zh) 罐頭密封總成
CN110966434B (zh) 球阀
WO2017217432A1 (ja) ダンパ
KR100978473B1 (ko) 내장품의 연결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US10816100B2 (en) Sealing member for a multi-direction changeover valve and a multi-direction changeover valve including the sealing member
CN112240404A (zh) 一种控制阀
JP2017061960A (ja) 流路切換弁
US10704694B2 (en) Rotary valve having a sliding seal
JP2005003022A (ja) スピンドル式切換弁
EP3301320B1 (en) A rotary damper
KR100475608B1 (ko) 분무용노즐구조체
WO2015115487A1 (ja) ダンパー装置
KR100978474B1 (ko) 내장품의 유동방지기능을 갖는 매니폴드
JP2001124273A (ja) ロータリジョイントのメカニカルシール潤滑構造
KR200354025Y1 (ko) 펌프용 축봉실링장치
US20120153206A1 (en) Ball Valve
JP3679849B2 (ja) 液体塗布具
KR100276819B1 (ko) 파워 스티어링 리저버의 누유방지 구조
KR100978475B1 (ko) 밸부부재의 고정구조가 개량된 매니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2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2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6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6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1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619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61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