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7165B1 - Probe substrate and probe card having same - Google Patents

Probe substrate and probe card having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165B1
KR100977165B1 KR1020080084977A KR20080084977A KR100977165B1 KR 100977165 B1 KR100977165 B1 KR 100977165B1 KR 1020080084977 A KR1020080084977 A KR 1020080084977A KR 20080084977 A KR20080084977 A KR 20080084977A KR 100977165 B1 KR100977165 B1 KR 1009771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be
substrate
wiring layer
via contact
connec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497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26109A (en
Inventor
정석
김형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 인스트루먼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 인스트루먼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 인스트루먼트
Priority to KR1020080084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165B1/en
Publication of KR20100026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61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1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165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01R1/0408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 G01R1/0491Test fixtures or contact fields; Connectors or connecting adaptors; Test clips; Test sockets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on wafers, e.g. wafer-level test cartrid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 G01R1/07307Multiple probes with individual probe elements, e.g. needles, cantilever beams or bump contacts, fixed in relation to each other, e.g. bed of nails fixture or probe car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asuring Leads Or Probes (AREA)
  • Testing Or Measuring Of Semicondu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 대상물인 반도체 소자에 대해 전기적인 성능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브 카드(probe card)와 이의 구성요소인 프로브 기판(substrate)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프로브 기판은,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일측 커넥터를 통하여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프로브로 전달하며, 상기 일측 커넥터와 접속되도록 상기 기판의 상면에 2열로 배열 형성된 상면 접속단자; 상기 상면 접속단자의 2열 배열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각각 위치되고, 상기 기판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배선층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비아 접촉부; 및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상기 상면 접속단자와 상기 비아 접촉부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상면 배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프로브 기판에 의하면, 상기 비아 접촉부와 상기 상면 배선층이 일측 커넥터에 의해 폐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일측 커넥터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상기 상면 배선층 또는 비아 접촉부를 세정할 수 있으므로, 세정작업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신속한 세정작업의 실시로 최대한 검사 중단을 방지하여 검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Figure R1020080084977

프로브 기판, 프로브 카드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card for conducting an electrical performance test on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inspected and a probe substrate thereof.

The prob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configured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ors installed on the substrate to the probe, and arranged in two ro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so as to be connected to the one connector; A via contact portion positioned in an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wo-row arrangement of the top connection terminals and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n internal wiring layer formed in the substrate; And a top wiring lay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op connection terminal and the via contact to each other on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obe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a contact portion and the upper wiring layer are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closed by the one connector so that the upper wiring layer or the via contact can be cleaned without detaching the one connecto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convenience of the cleaning operation, and to prevent the inspection interruption as much as possible by the rapid cleaning operation, thereby improving the inspection productivity.

Figure R1020080084977

Probe Board, Probe Card

Description

프로브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프로브 카드{PROBE SUBSTRATE AND PROBE CARD WITH THE SAME} PROBE SUBSTRATE AND PROBE CARD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검사 대상물인 반도체 소자에 대해 전기적인 성능 검사를 실시하기 위한 프로브 카드(probe card)와 이의 구성요소인 프로브 기판(substrate)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로브 기판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상면 배선층에 대한 세정작업을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프로브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프로브 카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card for conducting an electrical performance test on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inspected and a probe substrate that is a component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be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a probe substra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be substrate and a probe card having the same, which can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on the upper wiring layer.

일반적으로, 반도체 소자(semiconductor device)를 제조하는 과정은 여러 단계로 구성되는데, 최종적으로 반도체 소자를 조립하는 단계에서는 웨이퍼(wafer) 상에 개별 집적회로(IC)를 이루도록 제조된 복수개의 반도체 다이(die)(즉, 칩(chip))들 중 불량 다이를 제외한 양품 다이 만을 선택하여 조립한다. In general, a process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consists of a number of steps, the final step of assembling the semiconductor device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die manufactured to form a separate integrated circuit (IC) on a wafer (wafer) ( Only dies (ie chips) are selected and assembled except good dies.

따라서, 그 조립 전에 웨이퍼 상의 반도체 다이들의 양품 또는 불량품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각 반도체 다이에 프로브(probe)(즉, 탐침)를 접촉시켜 전기적으로 그 성능을 검사하며, 이때 자동화된 프로빙(probing) 검사장치(일명, 프로버(prober)라 함)를 이용한다. Therefore, a probe (i.e., a probe) is contacted with each semiconductor die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the semiconductor dies on the wafer are good or bad prior to assembly, and then electrically inspected for their performance, with automated probing inspections. Use a device (aka prober).

도 3을 참조하면, 프로빙 검사장치는, 반도체 다이들의 전기적 성능 검사를 위한 검사용 신호를 발생시키고 그 결과로서 반도체 다이들로부터 수신되는 응답 신호를 검출 및 분석하여 웨이퍼(w) 상의 개별 반도체 다이의 양부를 판별하는 일종의 컴퓨터 장치인 테스터(tester)(500)와, 테스터(500)와 검사 대상물인 반도체 다이를 중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프로브 카드(probe card)(400)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3, the probing inspection apparatus generates an inspection signal for inspecting the electrical performance of semiconductor dies, and detects and analyzes a response signal received from the semiconductor dies as a result of the individual semiconductor die on the wafer w. It is composed of a tester 500, which is a kind of computer device for discriminating good and bad, and a probe card 400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tester 500 and a semiconductor die, which is an inspection object, in the middle.

프로브 카드(400)는 테스터(500)와 검사 대상물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며, 그 구성은, 검사 시 검사 대상물 상에 외부 노출되도록 형성된 접속단자(contact pad)에 접촉될 수 있도록 해당 접속단자들에 대응되는 피치(pitch)로 이격되게 구비되는 복수개의 미세 프로브(110)와, 미세 프로브(110)들을 물리적으로 고정하고 해당 프로브(110)들과 테스터(500) 간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프로브 기판(100)으로 이루어진다. The probe card 400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tester 500 and the test object, and its configuration may be connected to a contact pad form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n the test object during the test. A plurality of fine probes 110 and spaced apart at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probe substrates to physically fix the fine probes 110 and electrically connect between the probes 110 and the tester 500. It consists of 100.

프로브(110)는 프로브 기판(100)의 하부 측에 복수 개가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며, 검사 시 검사 대상물 상의 접속단자에 접촉되어 전기적 신호를 전달한다. A plurality of probes 110 are provided in the lower side of the probe substrate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contact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on the inspection object to transmit an electrical signal.

프로브(110)로는 와이어 형태의 니들(needle)형, 얇은 박판 형태의 블레이드(blade)형, 스프링 핀(spring pin) 등이 이용되며, 통상 텡스텐, 니켈 합금과 같은 전도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As the probe 110, a needle-like wire, a thin thin blade-shaped blade, a spring pin, or the like is used, and is usually formed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such as tungsten or nickel alloy. .

프로브 기판(100)은 다소 넓은 면적을 갖는 원형 평판의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으로, 내부에 적층 형성된 신호 배선층을 갖는 다층 배선 인쇄회로기판으로 구현된다. The probe board 100 is a printed circuit board of a circular flat plate having a rather large area, and is implemented as a multilayer wiring printed circuit board having a signal wiring layer stacked therein.

프로브 기판(100)의 상면 상의 외곽 영역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일측 커넥터(connector)(200)가 배열 구비된다. In the outer reg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be substrate 100, a plurality of connectors 200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일측 커넥터(200)에 대응되는 배열로 테스터(500) 측에는 상대측 커넥터(300)가 복수개 구비된다. In addition, a plurality of counterpart connectors 300 are provided at the tester 500 in an arrangement corresponding to the one side connector 200.

따라서, 프로브 기판(100) 측의 일측 커넥터(200)와 테스터(500) 측의 상대측 커넥터(300)가 각기 서로 물리적 및 전기적인 결합을 이루어 접속되게 된다. Therefore, one connector 200 on the probe board 100 side and the mating connector 300 on the tester 500 sid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hysically and electrically coupling each other.

일측 커넥터(200)와 상대측 커넥터(300)의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팅 수단으로는, 착탈 시 그 파손을 방지하고, 프로브 기판(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도록 서로에 대한 삽입 결합 시에 삽입 방향으로 외력을 거의 가할 필요가 없는 ZIF(Zero Insertion Force) 커넥터가 통상 이용된다. The connecting means composed of a pair of the one side connector 200 and the mating connector 300, the insertion direction at the time of insertion coupling to each other so as to prevent the damage when detached and prevent deformation of the probe substrate 100 Zero insertion force (ZIF) connectors, which require little external force, are commonly used.

이와 관련하여, 커넥팅 수단은 암수 매칭(male and female matching) 방식으로 구현되며, 통상적으로 프로브 기판(100) 측에 탑재되는 일측 커넥터(200)로 볼록형(凸형) 커넥터가 사용되고, 테스터(500) 측에 탑재되는 상대측 커넥터(300)로 오목형(凹형) 커넥터가 사용된다. In this regard, the connecting means is implemented in a male and female matching manner, typically a convex connector is used as the one-side connector 200 mounted on the probe board 100 side, and the tester 500 A concave connector is used as the mating connector 300 mounted on the side.

이하에서는 프로브 기판(100)의 구조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probe substrate 1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4.

프로브 기판(100)은 전체적으로 절연성 재질로 형성되되, 도전성 재질로 형성되는 수평방향의 수평 배선층(112)을 상하로 구비한다. The probe substrate 10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s a whole, and includes a horizontal wiring layer 112 in a vertical direction formed of a conductive material.

이때, 수평 배선층(112)은 프로브 기판(100)의 상·하면 및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프로브 기판(100)의 경우 상면 상에 형성되는 상면 배선층(112a)과 내 부에 형성되는 내부 배선층(112b)을 갖는다. In this case, the horizontal wiring layer 112 may be formed on, under, and inside the probe substrate 100. In the case of the probe substrate 100, the upper wiring layer 112a and the internal wiring layer formed on the inside of the probe substrate 100 may be formed. Has 112b.

또한, 프로브 기판(100) 내에는 상하(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도전성 재질의 비아 접촉부(via contact)(113)가 구비되며, 이 비아 접촉부(113)는 상하의 수평 배선층(112) 간을 연결시켜 준다. In addition, a via contact 113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formed in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probe substrate 100 is provided, and the via contact 113 connects the upper and lower horizontal wiring layers 112 to each other. give.

참고로, 비아 접촉부(113)는 익히 주지된 바와 같이, 먼저 상하(수직)방향으로 비아 홀(via hole)을 형성한 다음, 해당 비아 홀의 내부를 도전성 재질로 충진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다. For reference, as is well known, the via contact 113 is formed by first forming a via hole in an up and down (vertical) direction, and then filling the inside of the via hole with a conductive material.

프로브 기판(100)의 상면 상에 형성되는 상면 배선층(112a)의 일단에는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 상면 접속단자(111)가 상면 배선층(112a)보다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며, 이 상면 접속단자(111) 상에는 일측 커넥터(200)가 탑재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An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111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is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wiring layer 112a at one end of the upper surface wiring layer 112a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be substrate 100, and on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111. One side connector 200 is mounted and electrically connected.

상세하게, 일측 커넥터(200)에는 상대측 커넥터(300)의 접촉단자(331)와 각기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핀(221)이 구비되며, 이 접촉핀(221)의 하단이 프로브 기판(100) 상의 상면 접속단자(111)와 접촉된다. In detail, the one side connector 200 is provided with contact pins 221 that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terminals 331 of the mating connector 300, respectively, and the lower end of the contact pin 221 is the probe board 100.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connecting terminal 111 on ().

여기서, 상대측 커넥터(300)의 접촉단자(331)는 내측에 2열로 구비되며, 그에 대응되도록 일측 커넥터(200)의 접촉핀(221)도 양측에 2열로 구비되고, 또한 그에 대응되도록 프로브 기판(100) 상의 상면 접속단자(111)도 양측에 2열로 구비된다. Here, the contact terminals 331 of the mating connector 300 are provided in two rows on the inner side, and the contact pins 221 of the connector 200 on one side are also provided in two rows on both sides so as to correspond thereto, and the probe substrate ( Top connection terminals 111 on 100 are also provided in two rows on both sides.

그리고, 프로브 기판(100)의 하면 상에는 비아 접촉부(113)에 의해 내부 배선층(112b)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하면 접속단자(114)가 형성되며, 이 하면 접속 단자(114)에 프로브(110)의 일단이 접속된다. In addition, a low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11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probe substrate 100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internal wiring layer 112b by the via contact portion 113. In this case, the probe 1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14. One end is connected.

상술한 바와 같이, 프로브 기판(100) 상의 양측에 2열로 형성되는 상면 접속단자(111)는 일측 커넥터(200)의 접촉핀(221)과 접촉되어 연결되는데, 이때 상면 배선층(112a)은 양측의 상면 접속단자(111) 사이의 내측에 위치되어 비아 접촉부(113)와 각기 연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s 111 formed in two rows on both sides of the probe substrate 100 are connected to contact with the contact pins 221 of the connector 200 on one side, wherein the upper wiring layer 112a is Located inside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1 is connected to the via contact portion 113, respectively.

즉, 도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 접속단자(111)로부터 비아 접촉부(113) 위치까지 연장되는 상면 배선층(112a)은 서로에 대해 근접되는 방향(즉,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5A, the top wiring layer 112a extending from the top connection terminal 111 to the via contact portion 113 position is formed to extend in a direction close to each other (ie, an inner direction).

다른 예로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을 따라서 상면 배선층(112a')이 내측 방향과 외측 방향으로 교번되게 연장되도록 형성되기도 한다. As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 5B, the upper wiring layer 112a ′ may be formed to alternately extend in an inner direction and an outer direction along a column.

그 결과, 상면 배선층(112a, 112a')의 모두 또는 일부가 탑재되는 일측 커넥터(200)에 의해 그 상부 측이 폐쇄되게 된다. As a result, the upper side is closed by the one-side connector 200 on which all or part of the upper wiring layers 112a and 112a 'are mounted.

덧붙여, 일측 커넥터(200)에는 상하 관통되는 제1체결홀(222)이 형성되고, 그에 대한 동축 위치의 프로브 기판(100)에는 제2체결홀(115)이 형성되며, 해당 체결홀(222, 115)들에 대해 결합수단(b)의 체결에 의해 일측 커넥터(200)는 프로브 기판(10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a first fastening hole 222 penetrating up and down is formed in one connector 200, and a second fastening hole 115 is formed in the probe substrate 100 at a coaxial position thereof, and a corresponding fastening hole 222 is formed. One connector 200 may be fixed on the probe substrate 100 by fastening the coupling means b to the ones 115.

그러나,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는 종래의 프로브 카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conventional probe card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the following problems.

즉, 상면 접속단자(111)와 비아 접촉부(113) 간을 연결하는 상면 배선층(112a, 112a')이 일측 커넥터(200)에 의해 그 상부 측이 폐쇄되도록 구비됨에 따 라 사용 도중에 상면 배선층(112a, 112a')을 세정(cleaning)하는 작업이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That is, the upper wiring layer 112a, 112a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1 and the via contact portion 113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side thereof is closed by the one side connector 200, so that the upper wiring layer 112a is in use. 112a ') has a very difficult problem.

구체적으로, 프로브 카드를 사용함에 따라 공기 중의 이물질, 산화성 불순물과 같은 각종 오염물질이 상면 배선층(112a, 112a')에 부착되어 전기 누설 등을 야기하고, 그 결과로서 신호 전달 특성이 악화되어 검사상의 오작동이 야기되고 검사 신뢰성이 저하되게 된다. Specifically, as the probe card is used, various contaminants such as foreign matters and oxidative impurities in the air adhere to the upper wiring layers 112a and 112a ', causing electrical leakage, etc. As a result, signal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deteriorate and Malfunctions are caused and inspection reliability is degraded.

따라서, 주기적으로 브러쉬(brush) 마찰 등을 이용하는 물리적 방법이나 세정액(C)을 이용하는 화학적 방법 등을 이용하여 상면 배선층(112a, 112a')을 세정해 주어야 하는데, 그 세정을 위해서는 상부 측을 폐쇄하고 있는 일측 커넥터(200)를 분리해낸 후에 노출되는 상면 배선층(112a, 112a')을 세정하고 다시 일측 커넥터(200)를 원래대로 탑재해야 하므로, 그 세정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과다한 시간의 소요로 막대한 검사 중단을 야기하여 검사 생산성을 저하 시킴과 함께, 일측 커넥터(200)의 탈착 과정에서 해당 일측 커넥터(200) 및 프로브 카드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Therefore, the upper wiring layers 112a and 112a 'should be cleaned periodically by using a physical method using brush friction or a chemical method using a cleaning liquid C. For the cleaning, the upper side is closed. Since the upper wiring layers 112a and 112a 'exposed after the one side connector 200 are removed must be cleaned and the one side connector 200 must be mounted again as it is, the cleaning work is very cumbersome and requires a great amount of time. In addition to reducing interruption productivity by causing interruption, a problem arises in that the one side connector 200 and the probe card are damaged during the detachment of the one side connector 200.

이러한 문제점은 하나의 프로브 기판(100) 상에 매우 많은 수의 일측 커넥터(200)가 장착됨을 고려할 때, 매우 심각한 문제가 아닐 수 없다.This problem is very serious problem considering that a large number of one side connectors 200 are mounted on one probe substrate 100.

아울러, 프로브 카드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액(C)을 사용하여 세정을 실시할 경우 일측 커넥터(200)을 분리하지 않고 세정을 한 후 압축 공기, 온풍 등으로 건조작업을 수행하여도 여전히 세정액(C)의 일부가 잔존하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만일 상기 세정액(C)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비아 접촉부(113) 또는 상면 배선층(112a, 112a')에 걸쳐서 잔존하게 되면 향후 프로브 카드를 이용한 전기적 성능 검사 시 쇼트가 발생되거나 단자 또는 배선이 부식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In addition, when cleaning using a cleaning solution (C) to remove the contaminants attached to the probe card, even if the cleaning without cleaning the one-side connector (200) after performing the drying operation with compressed air, warm air, etc. There is still a high possibility that some of the cleaning liquid C will remain, and if the cleaning liquid C is located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s. 5A and 5B, the upper contact layer 112a and 112a 'are located. ), Short circuits or corrosion of terminals or wires may occur in future electrical performance tests with probe card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일측 커넥터를 탈착시키지 않고서도 상면 배선층 또는 비아 접촉부에 대한 세정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는 프로브 기판 및 이를 구비하는 프로브 카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 probe substrate and a probe card having the same, which can conveniently and quickly perform the cleaning operation on the upper wiring layer or via contact without detaching one connector. The purpose is to provid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아래에 기술되는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below by those skilled in the art.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브 기판은,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일측 커넥터를 통하여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프로브로 전달하며, 상기 일측 커넥터와 접속되도록 상기 기판의 상면에 2열로 배열 형성된 상면 접속단자; 상기 상면 접속단자의 2열 배열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각각 위치되고, 상기 기판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배선층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비아 접촉부; 및 상기 기판의 상며에서, 상기 상면 접속단자와 상기 비아 접촉부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상면 배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Probe substrat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electrical signal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one-side connector provided on the substrate to the probe, the upper surface formed in two rows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connected to the one-side connector Connection terminal; A via contact portion positioned in an out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wo-row arrangement of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s and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n internal wiring layer formed in the substrate; And a top wiring lay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op connection terminal and the via contact to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substrate.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면 배선층은 상기 비아 접촉부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Preferably, the upper wiring layer may be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via contact portion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아 접촉부는 인접한 비아 접촉부와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이격되게 위치될 수도 있다.More preferably, the via contacts may be spaced apart in a zigzag fashion to prevent shorting with adjacent via contacts.

또한 상기 상면 접속단자 중 접지를 위한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면 배선층은 두 개 이상이 하나의 비아 접촉부와 연결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wo or more top wiring layers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nection terminals for grounding among the top connection terminals may be disposed such that at least two top connection layers are connected to one via contact portion.

아울러,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프로브 카드는,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일측 커넥터를 통하여 입력되는 전기적인 신호를 프로브로 전달하며, 상기 일측 커넥터와 접속되도록 상기 기판의 상면에 2열로 배열 형성된 상면 접속단자; 상기 상면 접속단자의 2열 배열에 대하여 외측 방향으로 각각 위치되고, 상기 기판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배선층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비아 접촉부;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상기 상면 접속단자와 상기 비아 접촉부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상면 배선층; 및 상기 내부 배선층을 통해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검사 대상 반도체 소자에 인가하는 프로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obe car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input through a plurality of one-side connector installed on the substrate to the probe, arranged in two ro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connected to the one-side connector Upper connection terminal formed; A via contact portion positioned in an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wo-row arrangement of the top connection terminals, and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n internal wiring layer formed in the substrate; An upper wir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upper wiring lay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via contact to each other; And a probe configured to apply the electrical signal to the inspection target semiconductor device through the internal wiring layer.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비아 접촉부와 상기 상면 배선층이 일측 커넥터에 의해 폐쇄되지 않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상기 일측 커넥터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상기 비아 접촉부와 상면 배선층을 세정할 수 있으므로, 세정작업의 편리성을 확보하고, 신속한 세정작업의 실시로 최대한 검사 중단을 방지하여 검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ia contact portion and the upper wiring layer are exposed to the outside without being closed by the one connector, the via contact portion and the upper wiring layer can be cleaned without detaching the one connector. The effect of ensuring convenience and improving inspection productivity by preventing inspection interruption as much as possible by performing a quick cleaning operation can be achieved.

또한, 일측 커넥터를 탈착시키지 않고서도 세정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탈착에 따른 일측 커넥터 및 프로브 카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can be performed without detaching the one side connector, the effect of preventing damage to the one side connector and the probe card due to the detachment can also be achieved.

그리고 상기 일측 커넥터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면 배선층에 대한 세정을 필요할 때마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 오염되지 않은 프로브 카드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어서, 검사 시의 오작동을 방지하고, 검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달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leaning of the upper wiring layer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ne side connector can be easily performed whenever necessary, inspection can be performed with an uncontaminated probe card, thereby preventing malfunction during inspection and improving inspection reliability. Achievable effects can also be achiev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a 내지 2c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기판상의 상면 접속단자와 상면 배선층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be c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2a to 2c is a plan view showing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upper wiring layer on the probe substrate according to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o be.

설명에 앞서, 종래의 프로빙 검사장치 및 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일부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함을 밝힌다. Prior to the description, some of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nventional probing inspection apparatus and the same components as the prior art will be omitted.

본 발명에 의한 프로브 카드에 구비되어 테스터와 검사 대상물 사이에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프로브 기판(1)은, 상면 상에 탑재되는 일측 커넥터(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면 접속단자(11)와; 하면 상에 형성되어 프로브(10)의 일단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하면 접속단자(14)와; 상면 및 내부에 상하로 배치되도록 복수개가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 배선층(12)과;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수평 배선층(12), 상기 상면 접속단자(11) 및 상기 하면 접속단자(14) 간을 선택적으로 연결하는 비아 접촉부(13)와; 상면 상에 형성되어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와 상기 비아 접촉부(13) 간을 연결하는 상면 배선층(12a)과; 상기 일측 커넥터(2)를 고정하기 위한 결합수단(b)이 체결되는 제2체결홀(15)을 포함한다. 여기 서, 상기 상면 접속단자(11)는 기판의 상면에 2열로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상면 접속단자(11)는 수평 배선층(12)과 하면 접속단자(14)에 의하여 반도체 다이에 형성된 각각의 패드(pad)에 접촉되는 프로브(1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Probe substrate (1) provided in the probe car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transmitting an electrical signal between the tester and the test object,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connector (2)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1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robe 10; A horizontal wiring layer 12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so as to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and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of; A via contact portion 13 formed vertically therein to selectively connect the horizontal wiring layer 12,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11 and the low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14; An upper wiring layer 12a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 and the via contact portion 13; And a second fastening hole 15 to which the coupling means b for fixing the one side connector 2 is fastened. Here,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s 11 are formed in two ro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and each of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s 11 is formed on the semiconductor die by the horizontal wiring layer 12 and the low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s 14, respectively. I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obe 10 in contact with the pad (pad) of the.

상기 일측 커넥터(2)는 단면이 볼록형(凸형)으로 이루어진 커넥터로서 상부 양 외측면에는 복수의 접촉단자(23)가 형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상기 접촉단자(23)와 상기 프로브 기판(1)의 상면 접속단자(11)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도록 접촉핀(2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일측 커넥터(2)의 상부면 중앙에는 상기 결합수단(b)이 삽입 관통되도록 수직방향으로 제1체결홀(22)이 형성되어 있고, 이때 상기 제1체결홀(22)은 상기 일측 커넥터(2)의 고정 시 상기 프로브 기판(1)의 제2체결홀(15)과 중심이 일치되도록 위치가 결정된다. The one side connector 2 is a connector having a convex cross section, and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23 are formed at both upper and outer surfaces thereof, and the contact terminal 23 and the probe substrate 1 are formed therein. The contact pins 21 are formed such that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s 11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In addition, a first fastening hole 22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one side connector 2 so that the coupling means b is inserted, and the first fastening hole 22 is the one side connector. When fixing (2), the position is determin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of the second fastening hole 15 of the probe substrate 1.

여기서, 상기 결합수단(b)으로는 볼트 또는 리벳(rivet) 등을 사용할 수 있다.Here, the coupling means (b) may be used, such as a bolt or rivet (rivet).

테스터 측에 구비되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3)는 단면이 오목형(凹형)으로 이루어진 커넥터로서 양 내측면에는 상기 일측 커넥터(2)의 상부 양 외측면에 형성된 접촉단자(23)와 일대일로 대응되도록 복수의 접촉단자(3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단자(31)는 상기 상대측 커넥터(3)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배선(미도시됨)과 연결되어 상기 테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mating connector 3 provided on the tester side is a connector whose cross section is concave (단면 -shaped), and on both inner surfaces thereof correspond one-to-one with the contact terminals 23 formed on both upper and outer surfaces of the one side connector 2. A plurality of contact terminals 31 are formed as possible. The contact terminal 31 is connected to an internal wire (not shown) formed inside the mating connector 3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ester.

따라서, 상기 상대측 커넥터(3)와 상기 일측 커넥터(2)가 결합되면 상기 상대측 커넥터(3)의 접촉단자(31), 일측 커넥터(2)의 접촉단자(23) 및 접촉핀(21), 상면 접속단자(11), 상면 배선층(12a), 비아 접촉부(13), 내부 배선층(12b), 하면 접속단자(14), 및 프로브(10)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Therefore, when the mating connector 3 and the one side connector 2 are coupled, the contact terminal 31 of the mating connector 3, the contact terminal 23 and the contact pin 21 of the one side connector 2, the upper surface The connection terminal 11, the upper wiring layer 12a, the via contact portion 13, the internal wiring layer 12b, the low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14, and the probe 10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도 2a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일측 커넥터(2)가 접속되도록 상기 프로브 기판(1)의 상면에는 2열로 상면 접속단자(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의 외측으로 상기 각 상면 접속단자(11)와 대응되도록 비아 접촉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와 상기 비아 접촉부(13)는 상면 배선층(12a)에 의하여 일대일로 연결되고, 상기 비아 접촉부(13)는 상기 프로브 기판(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배선층(12b)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 2A,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11 is formed in two ro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obe board 1 so that the one connector 2 is connected. The via contact 13 is formed outside the terminal 11 so as to correspond to each of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s 11.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 and the via contact portion 13 are connected in a one-to-one manner by an upper wiring layer 12a, and the via contact portion 13 has an internal wiring layer 12b formed inside the probe substrate 1. Connec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따라서, 상기 비아 접촉부(13)는 상기 일측 커넥터(2)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의 외측에 위치되고,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와 상기 비아 접촉부(13)를 연결해 주는 상기 상면 배선층(12a)이 상기 일측 커넥터(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있어서 프로브 카드의 사용 중 상기 일측 커넥터(2) 주위가 오염물질로 오염된 경우 종래와 같이 일측 커넥터(2)를 분리하지 않고도 편리하고 신속하게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세정을 실시할 수 있고, 만일 세정액(C) 등이 잔존하더라도 이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상면 배선층(12a)과 상기 비아 접촉부(13)에 부식을 유발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더라도 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via contact 13 is located outside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 when the one connector 2 is connected, and connects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 and the via contact 13 to each other. If the upper wiring layer 12a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ne connector 2 and the surroundings of the one connector 2 are contaminated with contaminants during the use of the probe card, it is convenient without removing the one connector 2 as in the prior art. And it can be quickly and physically or chemical clean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be surely removed even if the cleaning liquid (C) and the like remaining. In addition, even if a contaminant that causes corrosion is attached to the upper wiring layer 12a and the via contact 13, it can be easily removed.

통상 제1열을 이루는 상면 접속단자(11)는 신호단자(S)와 접지단자(G)가 번갈아 가면서 위치되고, 제2열을 이루는 상면 접속단자(11) 역시 상기 제1열을 이루는 상면 접속단자(11)와 같이 신호단자(S)와 접지단자(G)가 번갈아 가면서 위치되 는데, 이때 제1열의 상면 접속단자(11)와 측 방향(가로 방향)으로 대응되는 제2열의 상면 접속단자(11)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성이 서로 다른 단자가 위치되도록 배열된다. In general, the top connection terminal 11 constituting the first row is positioned while the signal terminal S and the ground terminal G are alternately positioned, and the top connection terminal 11 constituting the second row is also the top connection constituting the first row. Like the terminal 11, the signal terminal S and the ground terminal G are alternately positioned. In this case, the top connection terminal 11 in the second row corresponding to the top connection terminal 11 in the first row in the lateral direction (horizontal direction) is provided. 11 is arranged so that terminals having different characteristics are located as shown in FIG. 2A.

도 2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일측 커넥터(2)가 접속되도록 상기 프로브 기판(1)의 상면에는 2열로 상면 접속단자(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 접속단자(11)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신호단자(S)와 접지단자(G)가 번갈아 가면서 위치되되 이웃하는 단자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도록 위치되어 있다.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의 외측으로 상기 각 상면 접속단자(11)와 대응되도록 비아 접촉부(13, 13')가 형성되어 있는데, 제1열 또는 제2열에 대한 상기 비아 접촉부(13,13')는 인접한 비아 접촉부와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이격되게 위치되어 있다. 도 2b에서,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에서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되는 비아 접촉부를 도면 번호 13'로 지시하고,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와 상기 비아 접촉부(13')를 연결시켜 주기 위한 상면 배선층을 도면 번호 12a'로 지시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접지단자(G)의 상면 접속단자(11)와 대응되는 비아 접촉부(13')를 상대적으로 멀게 위치시키고, 상기 접속단자(11)와 상기 비아 접촉부(13')를 상면 배선층(12a')으로 연결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2B,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in which the top connection terminals 11 are formed in two rows on the top surface of the probe substrate 1 so that the one side connector 2 is connected. As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 is alternately positioned between the signal terminal S and the ground terminal G, but the neighboring terminals are positioned to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Via contact portions 13 and 13 'are formed outside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11 to correspond to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s 11, and the via contact portions 13 and 13' with respect to the first row or the second row. Are spaced apart in a zigzag fashion to prevent shorting with adjacent via contacts. In FIG. 2B, a via contact portion located relatively far from the top connection terminal 11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3 ′, and a top wiring layer for connecting the top connection terminal 11 and the via contact portion 13 ′. I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 12a '. Preferably,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a contact portion 13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11 of the ground terminal G is relatively far away,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1 and the via It is formed to connect the contact portion 13 'with the upper wiring layer 12a'.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와 상기 비아 접촉부(13, 13')는 상면 배선층(12a, 12a')에 의하여 일대일로 연결되고, 상기 비아 접촉부(13, 13')는 상기 프로브 기판(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배선층(12b)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다.The top connection terminal 11 and the via contact portions 13 and 13 'are connected one-to-one by top wiring layers 12a and 12a', and the via contact portions 13 and 13 'are connected to the probe substrate 1. It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wiring layer 12b formed therein in the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상기 비아 접촉부(13, 13')를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시키면 상기 제1실시예의 경우보다 비아 접촉부(13, 13') 간의 거리가 멀어져 쇼트를 유발하는 물질(세정액) 및 부식을 유발하는 오염물질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아 접촉부(13, 13')와 상기 상면 배선층(12, 12a')은 상기 일측 커넥터(2)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의 외측으로 위치되고 노출되어 있어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세정을 실시할 수 있고, 만일 세정액(C) 등이 잔존하더라도 이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shown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a contact parts 13 and 13 'are positioned in a zigzag form, the distance between the via contact parts 13 and 13' is shorter than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resulting in a short (cleaning liquid). ) And corrosion contaminants that cause corrosion can be prevented. In addition, the via contact parts 13 and 13 'and the upper wiring layer 12 and 12a' are position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 when the one connector 2 is connected, so that it is convenient and quick. Physical or chemical cleaning can be performed, and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liably removed even if the cleaning liquid (C) or the like remains.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 같이 상기 비아 접촉부(13, 13')가 지그재그 형태로 위치되면 이에 이웃하는 다른 일측 커넥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비아 접촉부는 상기 비아 접촉부(13, 13')의 위치와 반대의 양태가 되도록 각각 위치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신호단자(S)와 연결되는 비아 접촉부(13)가 상대적으로 후퇴(recess)된 경우 즉, 신호단자(S)와 비아 접촉부(13)을 연결시켜 주는 상면 배선층(12a)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은 경우, 이와 이웃하며 마주하는 비아 접촉부는 돌출(project)되게 위치시키는 방법으로 제1열 및 제2열에 대한 모든 비아 접촉부를 이와 같은 형태로 위치시킨다.As in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via contact parts 13 and 13 'are positioned in a zigzag form, the via contact part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connector adjacent to the via contact part is positioned with the position of the via contact parts 13 and 13'. It is preferable to position each so that an opposite aspect may exist. In more detail, when the via contact 13 connected to the signal terminal S is relatively recessed, that is, the upper wiring layer 12a connecting the signal terminal S and the via contact 13 to each other. In the case of relatively short lengths), all via contacts for the first and second rows are positioned in this manner by placing the adjacent and facing via contacts projected.

도 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면, 상기 일측 커넥터(2)가 접속되도록 상기 프로브 기판(1)의 상면에는 2열로 상면 접속단자(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면 접속단자(11)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신호단자(S)와 접지단자(G)가 번갈아 가면서 위치되되 이웃하는 단자는 서로 다른 특성을 갖도록 위치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상면 접속단자(11) 중 2개의 접지단자(G)로부 터 각각 연장되는 상면 배선층(12a")이 신호단자(S)의 외측까지 연장된 다음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결된 상면 배선층(12a")의 중간 지점에 하나의 비아 접촉부(13")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상면 접속단자(11) 중 신호단자(S)와 상기 비아 접촉부(13)는 상면 배선층(12a)에 의하여 연결된다. 상기 비아 접촉부(13, 13")는 상기 프로브 기판(1)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배선층(12b)과 수직 방향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비아 접촉부(13")는 상기 상면 접속단자(11) 중 2개의 접지단자(G)에서 외측 영역으로 연장된 상면 배선층(12")을 서로 연결한 다음 하나의 비아 접촉부(13")와 연결되도록 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접지단자(G)로부터 연장되는 상면 배선층들(12a")이 외측 영역에서 서로 연결된 다음 공통되게 하나의 비아 접촉부(13")와 연결되도록 회로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Referring to FIG. 2C,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urface connecting terminal 11 formed in two rows on an upper surface of the probe board 1 so that the one connector 2 is connected. As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inal 11 is alternately positioned with the signal terminal S and the ground terminal G alternately positioned so that neighboring terminal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Here, the upper wiring layer 12a "extending from the two ground terminals G of the upper connecting terminals 11 extends to the outside of the signal terminal S and i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onnected upper wiring layer ( One via contact portion 13 "is formed at an intermediate point of 12a". Meanwhile, the signal terminal S and the via contact portion 13 of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 are formed by the upper wiring layer 12a. The via contacts 13 and 13 ″ are connected to the internal wiring layer 12b formed in the probe substrate 1 in a vertical directio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a contact 13 ″ connects the upper wiring layer 12 ″ extending from the two ground terminals G of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s 11 to the outer region and then to each other. Although not limited thereto, upper wiring layers 12a "extending from two or more ground terminals G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outer region, and then one via contact portion may be commonly used. It is also possible to configure the circuit to be connected to 13 ").

상기 비아 접촉부(13, 13")와 상기 상면 배선층(12, 12a")은 상기 일측 커넥터(2)가 접속되었을 때 상기 상면 접속단자(11)의 외측으로 위치되고 노출되어 있어서 편리하고 신속하게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세정을 실시할 수 있고, 만일 세정액(C) 등이 잔존하더라도 이를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via contact parts 13 and 13 "and the upper wiring layer 12 and 12a" are located outside and exposed to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11 when the one connector 2 is connected, thereby providing a convenient and quick physical connection. Alternatively, the chemical cleaning can be performed, and even if the cleaning liquid (C) or the like remains,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reliably removed.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프로브 기판은 프로브 카드의 사용 중에 상면 배선층(12a, 12a', 12a")과 비아 접촉부(13, 13', 13")에 각종 오염물질이 부착되어 오염되더라도, 종래와 같이 일측 커넥터(2)를 분리시키지 않고서도 그 상태에서 그대로 상면 배선층(12a, 12a', 12a")과 비아 접촉부(13, 13', 13")를 물리적 또는 화학적 세정방법을 이용하여 세정할 수 있게 되므로, 세정작업이 매우 편리하 면서 신속하게 실시될 수 있고, 일측 커넥터(2)의 탈착에 따른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probe substr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taminated by attaching various contaminants to the upper wiring layers 12a, 12a ', 12a "and the via contact portions 13, 13', 13" during use of the probe car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wiring layers 12a, 12a ', and 12a "and the via contact portions 13, 13', and 13" can be cleaned by physical or chemical cleaning without removing the connector 2 on one side. Since it is possible, the cleaning operation can be carried out very conveniently and quickly,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detachment of the one-side connector (2).

그리고, 상기 일측 커넥터(2)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상면 배선층(12a, 12a', 12a")과 비아 접촉부(13, 13', 13")에 대한 세정을 빈번히 실시할 수도 있게 되므로, 더욱 청결한 상태에서 검사를 실시할 수 있음에 따라 검사 시의 오작동이 방지되고, 검사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upper wiring layers 12a, 12a ', and 12a "and the via contact portions 13, 13', and 13"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one-side connector 2 may be frequently cleaned, a cleaner state As the inspection can be performed at, the malfunction during the inspection can be prevented and the inspection reliability can be improve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첨부된 특허 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o the appended claims. D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robe card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기판상의 상면 접속단자와 상면 배선층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 2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top connection terminal and a top wiring layer on a probe substrat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기판상의 상면 접속단자와 상면 배선층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2B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top connection terminal and a top wiring layer on a probe substrat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프로브 기판상의 상면 접속단자와 상면 배선층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2C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top connection terminal and a top wiring layer on a probe substrat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종래의 프로빙 검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probing inspection apparatus,

도 4는 종래의 프로브 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4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probe card;

도 5a와 도 5b는 종래의 프로브 기판상의 상면 접속단자와 상면 배선층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5A and 5B are plan views illustrating an arrangement structure of a top connection terminal and a top wiring layer on a conventional probe substrate.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프로브 기판 2: 일측 커넥터1: probe board 2: one-side connector

3: 상대측 커넥터 10: 프로브3: counterpart connector 10: probe

11: 상면 접속단자 12: 수평 배선층11: top connection terminal 12: horizontal wiring layer

12a, 12a', 12a": 상면 배선층 12b: 내부 배선층12a, 12a ', 12a ": upper wiring layer 12b: internal wiring layer

13, 13', 13": 비아 접촉부 14: 하면 접속단자13, 13 ', 13 ": Via contact 14: Bottom connection terminal

15: 제2체결홀 21: 접촉핀15: second fastening hole 21: contact pin

22: 제1체결홀 23,31: 접촉단자22: 1st fastening hole 23,31: contact terminal

b: 결합 수단 c: 세정액b: bonding means c: cleaning liquid

w: 웨이퍼w: wafer

Claims (5)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일측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어 프로브로 전달되는 프로브 기판에 있어서,In the probe substrate to which an electrical signal is input and transmitted to the probe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ors provided on the substrate, 상기 일측 커넥터와 접속되도록 상기 기판의 상면에 2열로 배열 형성된 상면 접속단자;Upper connection terminals formed in two ro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o be connected to the one connector; 상기 상면 접속단자의 2열 배열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각각 위치되고, 상기 기판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배선층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비아 접촉부; 및A via contact portion positioned in an out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wo-row arrangement of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s and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n internal wiring layer formed in the substrate; And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상기 상면 접속단자와 상기 비아 접촉부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상면 배선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기판.And a top wiring lay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op connection terminal and the via contact to each other on the top surface of the substrate.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면 배선층은 상기 비아 접촉부와 일대일로 대응되게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기판. And the upper wiring layer is disposed to correspond to the via contact portion in a one-to-one correspondence. 제 1 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비아 접촉부는 인접한 비아 접촉부와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태로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기판.And the via contacts are spaced apart in a zigzag fashion to prevent shorting with adjacent via contacts. 제 1 항에 있어서, The method of claim 1, 상기 상면 접속단자 중 접지를 위한 접속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면 배선층은 두 개 이상이 하나의 비아 접촉부와 연결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기판.And at least two top wiring layers electrically connected to connection terminals for grounding among the top connection terminals, such that at least two top connection layers are connected to one via contact portion. 기판에 설치된 복수의 일측 커넥터를 통하여 전기적인 신호가 입력되어 프로브로 전달되는 프로브 기판을 구비하는 프로브 카드에 있어서,A probe card comprising a probe substrate on which electrical signals are input and transmitted to a probe through a plurality of connectors provided on a substrate, 상기 일측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상기 기판의 상면에 2열로 배열 형성된 상면 접속단자;An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 formed in two rows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ard to connect the one side connector; 상기 상면 접속단자의 2열 배열에 대하여 외측방향으로 각각 위치되고, 상기 기판의 내부에 형성된 내부 배선층과 수직방향으로 연결되는 비아 접촉부; A via contact portion positioned in an oute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two-row arrangement of the upper surface connection terminals and connected in a vertical direction with an internal wiring layer formed in the substrate; 상기 기판의 상면에서, 상기 상면 접속단자와 상기 비아 접촉부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주는 상면 배선층; 및An upper wiring lay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bstrate, the upper wiring lay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upper connection terminal and the via contact to each other; And 상기 내부 배선층을 통해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검사 대상 반도체 소자에 인가하는 프로브;A probe that applies the electrical signal to a semiconductor device to be inspected through the internal wiring lay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브 카드.Probe card comprising a.
KR1020080084977A 2008-08-29 2008-08-29 Probe substrate and probe card having same Expired - Fee Related KR1009771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977A KR100977165B1 (en) 2008-08-29 2008-08-29 Probe substrate and probe card hav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4977A KR100977165B1 (en) 2008-08-29 2008-08-29 Probe substrate and probe card hav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109A KR20100026109A (en) 2010-03-10
KR100977165B1 true KR100977165B1 (en) 2010-08-20

Family

ID=42177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497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7165B1 (en) 2008-08-29 2008-08-29 Probe substrate and probe card having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165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10976A1 (en) 2001-07-11 2003-01-16 Formfactor,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rd
KR100454546B1 (en) 1999-10-12 2004-11-03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Contact structure having silicon finger contactors and total stack-up structure using same
KR100454540B1 (en) 2000-10-25 2004-11-05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Contac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US20080116925A1 (en) 2006-11-21 2008-05-22 Shinko Electric Industries Co., Ltd. Probe devic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4546B1 (en) 1999-10-12 2004-11-03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Contact structure having silicon finger contactors and total stack-up structure using same
KR100454540B1 (en) 2000-10-25 2004-11-05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Contact structur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probe contact assembly using same
US20030010976A1 (en) 2001-07-11 2003-01-16 Formfactor,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probe card
US20080116925A1 (en) 2006-11-21 2008-05-22 Shinko Electric Industries Co., Ltd. Probe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6109A (en) 2010-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96347B2 (en) Test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icrocircuit and wafer level IC testing
US8102184B2 (en) Test contact system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with packages having an array of signal and power contacts
JP452161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1384714B1 (en) Device for semiconductor test
KR20100052959A (en) Interface structure for wafer test equipments
US9606143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pins for load boards lacking Kelvin capability for microcircuit testing
KR100934914B1 (en) Electrical connection device
JP2005106482A (en) Connection pin
KR20100065916A (en) Probe card for inspecting wafer
JP491936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11002760B1 (en) High isolation housing for testing integrated circuits
JP2007212472A (en) Manufacturing method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nd probe card
KR100977165B1 (en) Probe substrate and probe card having same
KR100600230B1 (en) Contactor for solder balls
KR20090079271A (en) Probe card
KR101229233B1 (en) Probe card
KR100889146B1 (en) Probe Card for Semiconductor Device Testing
KR100720122B1 (en) Probe Device of Semiconductor Wafer Inspector
KR100635524B1 (en) Probe Device of Semiconductor Wafer Inspector
KR102456348B1 (en) Interposer and test socket having the same
KR100865352B1 (en) Integrated Probe Card
KR100707878B1 (en) Vertical probe card
KR100679167B1 (en) Probe card for semiconductor wafer test using coaxial cable
KR100840878B1 (en) Probe Card for Semiconductor Device Testing
TWM547674U (en) Improved structure of wafer testing probe and prob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3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1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1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