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6450B1 - 접속단자 - Google Patents

접속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450B1
KR100976450B1 KR1020047011167A KR20047011167A KR100976450B1 KR 100976450 B1 KR100976450 B1 KR 100976450B1 KR 1020047011167 A KR1020047011167 A KR 1020047011167A KR 20047011167 A KR20047011167 A KR 20047011167A KR 100976450 B1 KR100976450 B1 KR 100976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contact
contact piece
ceiling plate
locking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1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5451A (ko
Inventor
츠기오 안보
유키후미 마치다
신지 야마구치
세이이치로 하야시
노부히로 기무라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214307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3331962A/ja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03/006146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98746A1/ja
Publication of KR200500654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54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5Resilient pins or blad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상대측 삽입접속단자의 삽입을 안정화하고, 가동 접촉편의 좌굴의 위험을 해소함과 동시에, 소망의 접촉 압력을 유지한다. 접속부(11)는 바닥판(13), 그 좌우 양측에 연속해 있는 측판(14, 15)(14는 나타내지 않음) 및 한쪽의 측판(14)에 연속 설치한 천정판(16)을 구부리고, 이들에 의해 거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11)내에는 후방으로부터 가동 접촉편(17)이 천정판(16)에 평행하게 완만한 만곡부(17a)를 통해서 되접히며, 접속부(11)내의 중앙부 근방에 아래쪽으로 부풀어오른 접점부(17b)를 가지는 역산 형사으로 되어 탄발성을 가지는 판 스프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17)의 선단에는 구멍부(17c)가 마련되어 있고, 이 구멍부(17c)에는 천정판(16)의 일부를 아래쪽으로 향해서 구부린 계지편(16b)이 끼워 넣어져 있다.

Description

접속단자{Connection terminal}
본 발명은, 상대측의 삽입 접속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받이용의 접속단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이러한 종류의 접속단자는, 전방(前方)에 상대측의 삽입 접속단자를 받아들이는 접속부와, 후방(後方)에 전선을 잇는 전선압착부를 갖고, 이들은 1매의 도전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종래 예의 접속단자의 종단면도이며, 1은 접속단자의 접속부, 2는 전선압착부이다. 접속부(1)는 안쪽으로 부풀어오른 접촉부(3a)를 갖는 바닥판(3), 그 좌우 양측에 연속해 있는 측판(側板)(4, 5)(5는 나타내지 않음), 한쪽의 측판(4)에 연속 설치한 천정판(6)에 의해 둘러싸여진 거의 상자형의 형상으로 되고, 그 내부에는 천정판(6)의 후방으로 연장하는 가동 접촉편(7)이 전방으로 되접혀져 있다.
이 가동 접촉편(7)은 천정판(6)에 연속 설치하는 베이스부(7a)와 자유단부(7b)와의 중간부의 정점을 접점부(7c)로 하는 역산(逆山)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자유단부(7b)는 천정판(6)의 내면에 슬라이딩 자유롭게 접촉하고, 접점부(7c)와 바닥판(3)의 접촉부(3a)와의 사이에 상대측의 삽입 접속단자의 편평한 칼날모양 접속부가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천정판(6)에는, 돌기부(6a)가 접점부(7c)의 이면 측에 형성되어, 가동 접촉편(7)의 과도한 변형을 규제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는 상대측의 삽입 접속단자가 삽입되면, 가동 접촉편(7)이 탄성변형해서 접점부(7c)에 의해 삽입 접속단자의 편평한 칼날모양 접속부를 가압한다.
그러나 상술의 종래 예에 있어서, 특히 상대측의 삽입 접속단자가 접속부(1)내에 비스듬한 방향으로 삽입되는 경우 등, 삽입 접속단자의 선단(先端)이 접촉하는 가동 접촉편(7)의 역산형의 경사면과의 사이의 마찰력이, 가동 접촉편(7)을 길이 방향으로 압축하도록 작용하고, 가동 접촉편(7)의 경사면의 경사를 증가시킨다. 따라서, 마찰력이 더욱 증대하고, 삽입 접속단자의 원활한 삽입이 곤란하게 되어, 가동 접촉편(7)을 좌굴(挫屈)시킬 우려가 있다.
특히, 다수의 접속단자를 동일한 하우징내에 수용한 다극 커넥터(connector)의 경우에는, 삽입 접속단자의 어느 것인가가 마찰 저항에 의해 삽입될 수 없으면, 전체의 삽입 접속단자의 삽입이 불가능하게 될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종래 예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상대측의 삽입 접속단자의 삽입을 안정화하며, 가동 접촉편의 좌굴의 위험을 해소함과 동시에, 소망의 접촉압력을 유지할 수 있는 접속단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한 접속단자는, 도전 금속판을 펀칭하고ㆍ구부려서 형성하며, 상기 접속단자의 앞쪽 부분에는 상대측 삽입 접속단자를 받아들이는 접속부(11)를 마련하고, 상기 접속단자의 뒤쪽 부분에는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전선압착부(12)를 마련하며, 상기 접속부는, 바닥판, 그 좌우 양측에 연속 설치하는 측판, 한쪽의 측판에 연속 설치하는 천정판에 의해 둘러싸여진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천정판의 후단으로부터 가늘고 긴 얇은 판(strip) 모양의 가동 접촉편을 후방으로 연장하고, 해당 가동 접촉편을 상기 천정판과의 경계를 베이스부로 하여 천정판에 평행하게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되접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중앙부 근방을 아래쪽으로 부풀리는 역산 형상으로 해서 탄발성(彈發性)을 갖는 판 스프링 모양으로 형성한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선단부에 구멍부를 마련하고, 해당 구멍부에 상기 천정판 전단부 근방의 일부를 아래쪽을 향해서 구부린 계지(係止)편을 끼워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접속단자의 전개도이다.
도 2는 접속단자의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접속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는 접속부의 확대 횡단면도이다.
도 5는 가동 접촉편의 조립 설명도이다.
도 6은 종래 예의 접속단자의 종단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도 1은 접속단자의 전개도, 도 2는 종단면도, 도 3은 접속부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접속부의 확대 횡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접속단자는 상대측 삽입 접속단자를 받아들이는 접속부(11) 및 후방의 전선압착부(12)를 포함하는 모든 부분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전 금속판을 펀칭하고, 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 부려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11)는 바닥판(13), 그 좌우 양측에 연속 설치한 측판(14, 15) 및 한쪽의 측판(14)에 연속 설치한 천정판(16)을 도 1의 1점 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구부리고, 이들에 의해 도 2 ~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선압착부(12)에는, 전선의 심선(芯線)을 압착하기 위한 제1 압착부(12a)와, 전선의 피복을 압착하는 제2 압착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판(13)에는, 안쪽으로 부풀어오른 접촉부(13a) 및 하우징의 바닥부 계지부에 끼워 맞추는 바닥판 계지 구멍(13b)이 마련되어 있다. 천정판(16)에는, 측판(15)이 맞닿아 서로 겹쳐지는 테두리 단부의 근방에, 1개 또는 복수개의 슬릿(slit) 모양의 계지 구멍(16a)이 형성되며, 측판(15)의 테두리 단부에 마련된 도전 금속판의 판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를 갖는 계지 돌편(15a)이 계지 구멍(16a)에 끼워 넣어져 있다. 여기서, 계지 돌편(15a)은 계지 구멍(16a)과 상응하므로 계지 구멍(16a)의 수에 맞추어 1개 또는 복수개가 된다.
천정판(16)의 후방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늘고 긴 얇은 판 모양의 가동 접촉편(17)이, 경사 방향을 향해서 연장되어 있다. 이 가동 접촉편(17)은 천정판(16)과의 경계를 베이스부로 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판(16)에 평행하게 접속부(11)의 내측으로 완만한 만곡부(17a)를 통해서 되접히고, 접속부(11)내의 중앙부 근방에 아래쪽으로 부풀어오른 정점을 접점부(17b)로 하는 역산 형상으로 되어, 탄발성을 갖는 판 스프링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촉편(17)의 선단에는 구멍부(17c)가 마련되어 있고, 이 구멍부(17c)에는 천정판(16)의 일부를 아래쪽을 향해서 구부린 계지편(16b)이 끼워 넣어져 있다.
천정판(16)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변부(邊部)(18)는 내측으로 되접히고, 상대측 접속단자에 대한 가이드로 됨과 동시에, 가동 접촉편(17)이 동작하여 구멍부(17c)로부터 계지편(16b)이 빠지지 않도록 가동 접촉편(17)의 선단부를 누르고 있다. 또한, 천정판(16)에는 접속부(11)내에 오목(凹)한 돌기부(16c)가 형성되어, 가동 접촉편(17)의 과도한 변형을 규제하고 있다.
또,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측판(14, 15)의 후방의 천정판(16)의 근방에는, 비교적 작은 계지 조편(19, 20)이 후방을 향해서 형성되고 있어, 조립할 때 내측으로 구부러져, 가동 접촉편(17)의 만곡부(17a)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접속단자는 포밍 프레스(forming press)에 의한 다수의 공정을 거쳐, 펀칭하고, 구부러지면서 형성되고, 가동 접촉편(17)은 도 5에 나타낸 과정을 거쳐서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 우선,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리 접점부(17b)가 형성되어 있는 가동 접촉편(17)을 전방으로 크게 되접으면서, 접속부(11)를 상자형으로 형성해 간다. 이 과정에서,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 접촉편(17)을 윗쪽의 Y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선단부를 전방으로 끌어 당기고,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의 구멍부(17c)에 천정판(16)에 마련한 계지편(16b)을 끼워 넣는다. 구멍부(17c)에 계지편(16b)을 끼워 넣은 후, (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정판(16)의 변부(邊部)(18)는, 가동 접촉편(17)의 선단부를 누르도록 내측으로 구부러지고, 가동 접촉편(17)이 동작하여 계지편(16b)으로부터 구멍부(17c)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 측판(14, 15)을 일으키고, 천정판(16)을 포개는 과정에서, 도 3에 나타 낸 바와 같이 양 측판(14, 15)에 마련한 계지 조편(19, 20)을 내측으로 구부림과 동시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판(15)의 단부에 마련한 계지 돌편(15a)를 천정판(16)의 계지 구멍(16a)에 끼워 넣는다.
이 접속단자는 합성수지제의 하우징내에 있어서, 바닥판 계지 구멍(13b)이 하우징의 바닥부 계지부에 끼워 맞추어져, 계지 조편(19, 20)에 하우징의 계지 런스(lance)가 계지하며, 접속부(11)의 선단이 하우징의 선단계지부와 계지하는 것에 의해 하우징에 고정되어, 접속단자의 하우징에 대한 전후방향으로의 빠져 나감이 방지된다.
특히, 가동 접촉편(17)의 구멍부(17c)에 천정판(16)의 계지편(16b)을 끼워 맞추고, 가동 접촉편(17)이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대측의 삽입 접속단자의 편평한 칼날모양 접속부가 가동 접촉편(17)의 판 스프링 모양의 접점부(17b)와 바닥판(13)의 접촉부(13a)의 사이에 삽입되어 끼워 맞추어질 때, 삽입 접속단자의 선단이 접촉하는 가동 접촉편(17)의 역산형의 경사면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가동 접촉편(17)에 후방으로의 힘이 가해져도, 가동 접촉편(17)을 후방으로 압축시키지 않고, 원활한 삽입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대측 삽입 접속단자가 비스듬한 방향으로 삽입되어, 가동 접촉편(17)과의 마찰력이 보다 큰 경우에 있어서도, 가동 접촉편(17)을 좌굴시킬 위험을 감소시킬수 있다.
삽입 접속단자가 접속부(11)내로의 삽입이 완료한 상태에서는, 삽입 접속단자는 완만한 만곡부(17a)를 갖는 베이스부를 고정점으로 하는 가동 접촉편(17)의 판 스프링 모양의 접점부(17b)와 바닥판(13)의 접촉부(13a)와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확실한 전기적 접속이 얻어진다.
또한, 동일한 하우징내에 다수의 접속단자를 수용한 다극 커넥터의 경우에는, 삽입 접속단자의 삽입력의 편차가 적은 것에 의해, 삽입의 조작성에 대한 개선 효과는 더욱 현저해진다.
이와 같은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접속단자가 하우징에 계지될 때, 하우징의 계지 런스가 가동 접촉편(17)의 비스듬하게 구부러진 베이스부(17a)와 접촉하지 않고, 양 측판에 마련한 계지 조편(19, 2O)과 안정적으로 계지하고 또는 가동 접촉편(17)의 베이스부(17a)에 응력이 집중해서 베이스부(17a)의 근방이 변형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계지 조편(19, 20)은 측판(14, 15)로부터 연장된다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천정판(16)의 가동 접촉편(17)의 베이스부(17a)의 양쪽으로부터 연장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가동 접촉편(17)을 갖지 않는 접속단자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접속단자는, 상대측 삽입 접속단자를 삽입할 때의 가동 접촉편의 좌굴의 위험을 제거하여, 안정한 원활한 삽입 조작을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충분한 접촉 압역을 확보할 수 있다.

Claims (7)

  1. 도전 금속판을 펀칭하고, 구부려서 형성하고, 그 앞쪽 부분에는 상대측 삽입 접속단자를 받아들이는 접속부를 마련하며, 그 뒤쪽 부분에는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전선압착부를 마련하고, 상기 접속부는 바닥판, 그 좌우 양측에 연속 설치하는 측판(側板), 한쪽의 측판에 연속 설치하는 천정판에 의해 둘러싸여진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천정판의 후단으로부터 가늘고 긴 얇은 판(strip) 모양의 가동 접촉편을 후방으로 연장하고, 해당 가동 접촉편을 상기 천정판과의 경계를 베이스부로 하여 천정판에 평행하게 상기 접속부의 내측으로 되접고, 상기 가동 접촉편의 중앙부 근방을 아래쪽으로 부풀어오른 역산(逆山) 형상으로 해서 탄발성을 갖는 판 스프링 모양으로 형성한 접속단자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편의 선단부에 구멍부를 마련하고, 해당 구멍부에 상기 천정판 전단부 근방의 일부를 아래쪽을 향해서 구부린 계지(係止)편을 끼워 맞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촉편을 전방으로 끌어 당기고, 상기 구멍부에 상기 계지편을 끼워 넣으며, 상기 계지편에 의해 상기 가동 접촉편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판에 전방으로 연장하는 변부(邊部)를 마련하고, 해당 변부는 상기 가동 접촉편의 선단부를 누르도록 내측으로 구부려서, 상기 구멍부에서 상기 계지편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의 후단부의 양 측부에 상기 하우징의 계지 런스와 계지(係止)하는 계지 조편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조편은 상기 양 측판의 후방으로 후방을 향해서 연장하고, 상기 접속부를 조립할 때 내측으로 구부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상기 천정판의 테두리부에 다른쪽의 측판의 단부 테두리를 맞닿게하여 상자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다른쪽의 측판의 단부 테두리에 계지 돌편을 형성하고, 상기 천정판의 테두리부에 상기 계지 돌편을 끼워 넣기 위한 슬릿 (slit)모양의 계지 구멍을 마련하고, 상기 계지 돌편 및 상기 계지 구멍에 의해 상기 다른쪽의 측판과 상기 천정판을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지 돌편과 상기 계지 구멍은 각각 복수개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단자.
KR1020047011167A 2002-05-17 2003-05-16 접속단자 KR100976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3072 2002-05-17
JP2002143072A JP2003331962A (ja) 2002-05-17 2002-05-17 接続端子
JPJP-P-2002-00143073 2002-05-17
JPJP-P-2002-00143074 2002-05-17
PCT/JP2003/006146 WO2003098746A1 (en) 2002-05-17 2003-05-16 Connection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451A KR20050065451A (ko) 2005-06-29
KR100976450B1 true KR100976450B1 (ko) 2010-08-17

Family

ID=37256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1167A KR100976450B1 (ko) 2002-05-17 2003-05-16 접속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4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07011B1 (ko) * 2019-06-05 2024-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07A (ja) 1997-04-25 1999-01-12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50041A (ja) 1998-09-11 2000-05-30 Jst Mfg Co Ltd コネクタの端子及びハウジング
JP2001043921A (ja) 1999-07-30 2001-02-1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用接触子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007A (ja) 1997-04-25 1999-01-12 Amp Japan Ltd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50041A (ja) 1998-09-11 2000-05-30 Jst Mfg Co Ltd コネクタの端子及びハウジング
JP2001043921A (ja) 1999-07-30 2001-02-16 Hirose Electric Co Ltd 電気コネクタ用接触子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5451A (ko) 2005-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71927B2 (en) Connection terminal
JP6342608B2 (ja) 雌端子
US7942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US8998656B2 (en) Terminal fitting having auxiliary spring with support
JP5107375B2 (ja) 接続端子
US8795007B2 (en) Terminal fitting
JP4620587B2 (ja) 電気コネクタ
US6447345B2 (en) Receptacle terminal
US7416446B2 (en) Connector
EP1624532A2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able
KR20100075724A (ko) 전기 커넥터
KR20070101119A (ko) 전기 접속 단자
US6629864B2 (en) Electrical contact for plug-in connector
JP3635629B2 (ja) コネクタ
JP2006134681A (ja) 雌端子およびこれを使用した電気コネクタ
KR100976450B1 (ko) 접속단자
JP4314106B2 (ja) メス端子
JP3993463B2 (ja) 接続端子
JP2003331965A (ja) 接続端子
JP2003331962A (ja) 接続端子
JP6916943B1 (ja) 圧着接続端子
JP7068512B2 (ja) 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用の接点及び直接差し込みコネクタ
JP4413836B2 (ja) 雌型端子および端子同士の接続構造
JPH07302638A (ja) コネクタ
CN112864641A (zh) 接触件和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0719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3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80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