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6393B1 - 모바일 데크 리프터 - Google Patents

모바일 데크 리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393B1
KR100976393B1 KR1020080021913A KR20080021913A KR100976393B1 KR 100976393 B1 KR100976393 B1 KR 100976393B1 KR 1020080021913 A KR1020080021913 A KR 1020080021913A KR 20080021913 A KR20080021913 A KR 20080021913A KR 100976393 B1 KR100976393 B1 KR 100976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vehicle body
axle
brackets
mobile deck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1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6846A (ko
Inventor
이종만
김상식
Original Assignee
(주) 대동인터내셔날
주식회사대동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대동인터내셔날, 주식회사대동이엔지 filed Critical (주) 대동인터내셔날
Priority to KR1020080021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39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6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6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39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68Steer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9Stabiliz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72Propulsion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86Suspension or mounting of wheels on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66F9/22Hydraulic device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출원인의 선 출원 발명을 개량하여 차체가 90°로 측면 주행할 때 각 바퀴의 회동을 제한시켜 각 바퀴가 임의로 회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 데크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모바일 데크 리프터는 자체의 90°측면주행 시 바퀴가 노면의 장애물과 충돌되거나, 각 바퀴의 트래드 마모 정도가 불 균일할 경우 각각의 바퀴가 임의로 회동되면서 정확한 방향으로 주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리프터는 엔진이 탑재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방 측에 구비되는 운전석 및 조향륜과; 차체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구동륜과; 차체의 전후방 양측에 구비되어서 리프팅과정에 있어 차체를 안정되도록 하는 아웃트리거부와; 모바일 데크를 승강시킬 수 있게 유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데크승강부로 구성되고, 전륜(1)과 후륜(2)의 모든 바퀴가 개별 구동될 수 있도록 각 바퀴의 휠 내부에 원동기(3)를 설치시키며, 원동기(3)가 설치되는 브라켓(30)(31)을 차축(4)에 힌지축(41)으로 연결시키고, 차축(4)의 일측에 상기 브라켓을 회동시킬 수 있게 하는 회동장치(5)를 설치시키며, 양측의 브라켓(30)(31)을 동조링크(6)로 연결시켜 동반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차축(4)에 브라켓(30)(31)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잠금장치(8)를 설치시켜 구성함으로써, 차체가 90°로 측면 주행할 때 브라켓이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바퀴가 노면의 장애물과 충돌되더라도 브라켓이 임의로 회동되지 않음으로써,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차체를 주행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리프터, 차축, 액슬

Description

모바일 데크 리프터{Mobile Deck Lifter}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리프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본 출원인의 선 출원 발명을 개량하여 차체가 90°로 측면 주행할 때 각 바퀴의 회동을 제한시켜 각 바퀴가 임의로 회동함으로써 발생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 데크 리프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데크 리프터는 차량 운반용 선박(PCC: Pure Car Carrier, PC & TC: Pure Car & Truck Carrier)에 있어서 선적되는 차량의 차고에 따라 각 데크의 높이 조절이 요구되는 경우에 사용하는 장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모바일 데크 리프터는 엔진이 탑재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방 측에 구비되는 운전석 및 조향륜과 차체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구동륜과, 차체의 전후방 양측에 구비되어서 리프팅 과정에 있어 차체를 안정되도록 하는 아웃트리거부와 모바일 데크를 승강시킬 수 있게 유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데크 승강부로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엔진에서 발생된 동력은 유압모터를 통하여 구동륜에 전 달되어서 구동이 이루어지게 구성되며, 상기 아웃트리거부와 데크 승강부의 동작을 위한 동력은 유압펌프를 구동하여서 발생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모바일 데크 리프터는 차체를 이동시키는 바퀴가 전방의 조향륜과 후방의 구동륜으로 구성됨에 따라 차체를 측면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전방의 조향륜 만을 이용하여 이동시켜야된다.
이로써 차체의 회전 반경이 커지게 되어 좁은 선박 내에서 이동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정확하게 원하는 위치로 차체를 이동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모바일 데크 리프터가 탑재되는 차체를 90°측면주행이 가능하게 하여 선박의 좁은 공간 내에서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원하는 위치로 데크 리프터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선적작업을 원활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 데크 리프터를 출원하여 특허등록을 받은 바 있다.(특허등록 제0756040호)
상기 선 등록 발명은 전륜과 후륜의 모든 바퀴가 개별 구동될 수 있도록 각 바퀴의 휠 내부에 유압모터를 설치시키고, 유압모터가 설치되는 브라켓을 차축에 힌지축으로 연결시키며, 차축의 일측에 유압장치를 설치시키고, 유압장치의 피스톤 선단을 양측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에 연결하고, 양측의 브라켓을 동조링크로 연결시켜 동반 회동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모바일 데크 리프터를 제작하여 시험 운행하는 과정에서 다소의 문제점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즉, 자체의 90°측면주행 시 바퀴가 노면의 장애물과 충돌되거나, 각 바퀴의 트래드 마모 정도가 불 균일할 경우 각각의 바퀴가 임의로 회동하면서 정확한 방향으로 주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체가 90°로 측면 주행할 때 각 바퀴의 회동을 제한시켜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차체를 주행시킬 수 있게 하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 데크 리프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륜과 후륜의 모든 바퀴가 개별 구동될 수 있도록 각 바퀴의 휠 내부에 유압모터를 설치시키고, 유압모터가 설치되는 브라켓을 차축에 힌지축으로 연결시키며, 차축의 일측에 유압장치를 설치시키고, 유압장치의 피스톤 선단을 양측의 브라켓 중 어느 하나의 브라켓에 연결하고, 양측의 브라켓을 동조링크로 연결시켜 동반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차축에 브라켓의 회동을 제한할 수 있는 잠금장치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차체가 90°로 측면 주행할 때 브라켓이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바퀴가 노면의 장애물과 충돌되더라도 브라켓이 임의로 회동하지 않음으로써,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차체를 주행시킬 수 있으며,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도 1 은 일반적인 모바일 데크 리프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액슬의 일반 주행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액슬의 측면 주행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의 따른 액슬의 측면 주행시 브라켓이 잠금된 상태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따른 액슬의 일반 주행을 위하여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액슬의 일반 주행상태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 데크 리프터는 엔진이 탑재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방 측에 구비되는 운전석 및 조향륜과; 차체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구동륜과; 차체의 전후방 양측에 구비되어서 리프팅 과정에 있어 차체를 안정되도록 하는 아웃트리거부와; 모바일 데크를 승강시킬 수 있게 유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데크승강부로 구성되고, 전륜(1)과 후륜(2)의 모든 바퀴가 개별 구동될 수 있도록 각 바퀴의 휠 내부에 원동기(3)를 설치시키며, 원동기(3)가 설치되는 브라켓(30)(31)을 차축(4)에 힌지축(41)으로 연결시키고, 차축(4)의 일측에 상기 브라켓을 회동시킬 수 있게 하는 회동장치(5)를 설치시키며, 양측의 브라 켓(30)(31)을 동조링크(6)로 연결시켜 동반 회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차축(4)에 브라켓(30)(31)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잠금장치(8)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잠금장치(8)는 브라켓(30)(31)에 걸림바(35)를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바(35)의 회동 경로와 일치되는 차축(4)의 일 측에 걸림바(35)가 삽입되는 걸림홈(84)을 형성시키며, 상기 걸림홈(84)의 내측에 스프링(83)에 탄력설치되는 걸쇠(82)를 설치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걸쇠(82)는 필요에 따라 잠금하고, 해제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걸쇠(82)의 일단에 로드(85)를 연결시키고, 로드(85)에 핸들(87)과 연결되는 와이어(88)를 연결시켜 걸쇠(82)의 잠금을 해제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다.
이러한 잠금장치(8)는 차축(4)의 일 측에만 설치시킬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차축(4)의 양측에 설치시켜 양측 모두의 브라켓(30)(31) 회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안정적이다.
이러한 경우 차체(4)에 링크(81)를 힌지축(80)으로 설치시키고, 링크(81)의 각 단에 양측 잠금장치의 로드(85)를 연결시키고, 링크(81)에 핸들(87)과 연결되는 와이어(88)를 설치시킴으로써, 양측의 브라켓(30)(31) 회동을 모두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모바일 데크 리프터의 일반 주행시 즉, 전륜(1)이 조향륜되고, 후륜(2)이 구동륜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후륜(2)에 설치되는 회동장치(5)로의 유압을 차단시켜 후륜(2)이 직진주행상태로 고정되게 하고, 전륜(1)의 회동장치(5)로만 유압을 유통시켜 조향을 하면서 일반주행을 하게 된다.
이어 차체(4)를 측면으로 90°측면 주행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전륜(1)과 후륜(2)의 회동장치(5)내로 유압을 전달시키게 되면 피스톤(51)이 돌출되면서 힌지축(41)을 중심으로 브라켓(30)을 90°회동시키고 양측의 브라켓(30)(31)을 연결하는 동조링크(6)에 의해 양측 모두의 바퀴가 90°회동되어 측면 주행상태를 준비하게 된다.
이때 회동되는 브라켓(30)(31)의 걸림바(35)는 걸림홈(84)의 내부로 삽입되면서 걸쇠(82)를 밀게 되고, 걸쇠(82)는 후방에 설치되는 스프링(83)을 압축시키며 후퇴되다가 걸림바(35)가 걸림홈(84)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면 스프링(83)의 복원력에 의해 전진되면서 걸림바(35)가 걸림홈(84)으로부터 이탈되지 못하게 하는 잠금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각 바퀴에 설치된 원동기(3)로 유압을 전달시키는 것에 의해 자체가 90°측면으로 주행하게 되며, 주행하는 바퀴가 노면의 장애물과 충돌되는 경우, 그 충격에 의해 브라켓(30)(31)이 임의로 회동하려 하나 걸림바(35)가 잠금장치에 의해 잠금되어 있어 임의로 회동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이어 일반 주행을 하기 위하여는 핸들(87)의 당김 동작에 의해 와이어(88)가 링크(81)를 회동시키려 하고, 링크(81)는 힌지축(80)을 중심으로 회동하면서 링크(81)의 각 단부에 설치된 로드(85)를 당김에 따라 걸쇠(82)가 스프링(83)을 압축시키며 후퇴되어 걸림홈(84)을 개방시키게 되고, 이어지는 회동장치(5)의 동작으로 브라켓(30)(31)이 회동되면서 걸림바(35)가 걸림홈(84)으로부터 이탈되어 일반 주행상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걸림바(35)가 걸림홈(84)으로부터 완전하게 이탈되면 핸들(87)을 본래의 위치로 되돌리는 것에 의해 걸쇠(82)가 스프링(83)의 복원력으로 전진되어 걸림홈(84)을 폐색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체가 90°로 측면 주행할 때 브라켓이 잠금장치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바퀴가 노면의 장애물과 충돌되더라도 브라켓이 임의로 회동하지 않음으로써, 주행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차체를 주행시킬 수 있고,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많은 수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도 1 은 일반적인 모바일 데크 리프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액슬의 일반 주행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액슬의 측면 주행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따른 액슬의 측면 주행시 브라켓이 잠금된 상태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따른 액슬의 일반 주행을 위하여 잠금이 해제된 상태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액슬의 일반 주행상태를 발췌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전륜 2. 후륜 3. 원동기
4. 차축 5. 회동장치 6. 동조링크
8. 잠금장치 30,31. 브라켓 82. 걸쇠
84. 걸림홈 85. 로드 87. 핸들

Claims (2)

  1. 모바일 데크 리프터는 엔진이 탑재된 차체와; 상기 차체의 전방 측에 구비되는 운전석 및 조향륜과; 차체의 후방 측에 구비되는 구동륜과; 차체의 전후방 양측에 구비되어서 리프팅과정에 있어 차체를 안정되도록 하는 아웃트리거부와; 모바일 데크를 승강시킬 수 있게 유압에 의하여 동작되는 데크승강부로 구성되고, 전륜(1)과 후륜(2)의 모든 바퀴가 개별 구동될 수 있도록 각 바퀴의 휠 내부에 원동기(3)를 설치시키며, 원동기(3)가 설치되는 브라켓(30)(31)을 차축(4)에 힌지축(41)으로 연결시키고, 차축(4)의 일측에 상기 브라켓을 회동시킬 수 있게 하는 회동장치(5)를 설치시키며, 양측의 브라켓(30)(31)을 동조링크(6)로 연결시켜 동반 회동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차축(4)에 브라켓(30)(31)의 회동을 제어할 수 있게 하는 잠금장치(8)가 설치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잠금장치(8)가 브라켓(30)(31)에 걸림바(35)를 형성시키고, 상기 걸림바(35)의 회동 경로와 일치되는 차축(4)의 일 측에 걸림바(35)가 삽입되는 걸림홈(84)을 형성시키며, 상기 걸림홈(84)의 내측에 스프링(83)에 탄력설치되는 걸쇠(82)를 설치시키고, 걸쇠(82)의 일단에 로드(85)를 연결시키며, 로드(85)에 핸들(87)과 연결되는 와이어(88)를 연결시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데크 리프터.
  2. 삭제
KR1020080021913A 2008-03-10 2008-03-10 모바일 데크 리프터 Active KR100976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913A KR100976393B1 (ko) 2008-03-10 2008-03-10 모바일 데크 리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1913A KR100976393B1 (ko) 2008-03-10 2008-03-10 모바일 데크 리프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846A KR20090096846A (ko) 2009-09-15
KR100976393B1 true KR100976393B1 (ko) 2010-08-18

Family

ID=413563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913A Active KR100976393B1 (ko) 2008-03-10 2008-03-10 모바일 데크 리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57B1 (ko) * 2010-10-14 2012-05-15 주식회사대동이엔지 모바일 데크 리프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413B1 (ko) * 2016-06-02 2016-11-17 박종용 작업용 조향장치가 구비된 다기능 트럭지게차
CN108238549B (zh) * 2018-01-31 2020-11-03 三一海洋重工有限公司 起重机大车机构及起重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629A (ja) * 1998-11-30 2002-01-23 Samsung Heavy Ind Co Ltd トランスファクレーンの走行装置(TravellingdeviceofTransferCrane)
KR100756040B1 (ko) * 2006-11-29 2007-09-07 (주) 대동인터내셔날 모바일 데크 리프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9629A (ja) * 1998-11-30 2002-01-23 Samsung Heavy Ind Co Ltd トランスファクレーンの走行装置(TravellingdeviceofTransferCrane)
KR100756040B1 (ko) * 2006-11-29 2007-09-07 (주) 대동인터내셔날 모바일 데크 리프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6257B1 (ko) * 2010-10-14 2012-05-15 주식회사대동이엔지 모바일 데크 리프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6846A (ko) 2009-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8687B1 (ko) 선로주행유닛이 구비된 무한궤도 굴삭기
KR100976393B1 (ko) 모바일 데크 리프터
EP1913206B1 (en) Boom uplock arrangement
CN104118410A (zh) 一种机动车轮胎爆胎后安全停车装置及其停车方法
CA2917043C (en) Rotatable rail device and method for placing a truck onto a set of tracks
US6021860A (en) Vehicle dislodging system
CN110696968B (zh) 一种电力推进长江客渡船的甲板结构
US20200238958A1 (en) Self-Lifting Vehicle with Flood Protection, U-Turn, Parallel Parking, and Bog-Down Escape Capabilities
US10502318B2 (en) Remote locking system for an autonomous vehicle
CN201761569U (zh) 电动车轮毂机械锁
JP2003054884A (ja) 高所作業車
CN204846131U (zh) 一种电动车防盗锁
JP4815609B2 (ja) モバイルデッキリフター
CN212639772U (zh) 一种起重机侧向安全结构
KR20100009346A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고정장치
GB2350387A (en) Post arrangement
JP2009101753A (ja) 車輪拘束装置
JP3141384U (ja) ダンプカーにおけるリアバンパ収納装置
KR200195470Y1 (ko) 윤거조절식 소형 궤도차
CN206644894U (zh) 双锁结构电动车
CN210793175U (zh) 轨道车辆
CN205395635U (zh) 轮胎轮毂螺栓安全防盗装置
RU2403164C1 (ru) Охранная система
JP2013043526A (ja) 作業用車両
CN220365440U (zh) 一种下拉式的轨道车门紧急解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61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8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0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3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8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81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810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810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81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1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812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