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6255B1 -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 Google Patents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255B1
KR100976255B1 KR1020080019120A KR20080019120A KR100976255B1 KR 100976255 B1 KR100976255 B1 KR 100976255B1 KR 1020080019120 A KR1020080019120 A KR 1020080019120A KR 20080019120 A KR20080019120 A KR 20080019120A KR 100976255 B1 KR100976255 B1 KR 10097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e
torsion spring
heel
shoes
automatic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548A (ko
Inventor
이봉주
Original Assignee
(주)슈맥스
이봉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슈맥스, 이봉주 filed Critical (주)슈맥스
Priority to KR1020080019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255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5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1/00Footwear with arrangements to facilitate putting-on or removing, e.g. with straps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발등을 감싸기 위해 신발밑창의 주변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고, 발목을 감싸기 위한 갑피의 뒷부분이 개방된 절개면이 형성된 발등 갑피와; 상기 발등 갑피의 절개면에 결합되어 발뒤꿈치를 둘러싸서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외주연부를 따라 스프링설치홈이 형성되는 발뒤꿈치 갑피와; 상기 스프링설치홈에 끼워지는 비틀림스프링; 및 상기 비틀림스프링이 회동가능토록 상기 발뒤꿈치 갑피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착화시 발 뒷부분의 접지에 의한 착용자의 하중과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반발탄성에 의해 발뒤꿈치 갑피가 상승하여 자동으로 신발을 신을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신발을 신을 때 발을 그냥 힘을 주어 넣기만 하면 발 뒷부분이 착화되어 종래와 같이 착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부리는 일도 없고 구두 주걱도 불필요한 편리한 신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신발, 갑피, 착화, 비틀림스프링, 힌지, 슬리브

Description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The shoes which back of the shoes is automatically worn}
본 발명은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신발 뒷부위에 비틀림스프링과 힌지를 결합시켜 착용자의 하중과 비틀림스프링의 반발탄성에 의해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에 관한 것이다.
걷기나 달리기 등 인간의 이동 동작에 있어서 발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고, 이러한 발을 보호할 뿐만 아니라 인체를 지탱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는 역할을 하는 것이 신발이다.
일반적으로 신발을 벗고 신을 때마다 신발끈을 풀었다가 다시 묶기 위해서는 허리를 숙여야만 풀거나 묶을 수 있기 때문에 불편함이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 제2007-0105550호(2001.11.29.공개)의 공보는 착화가 간편한 신발 또는 샌들을 제시하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 제안된 기술은 신발을 간편하게 신고 벗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일반적인 신사화 및 숙녀화 또는 운동화 등의 뒷굽(2) 부분에 절곡된 양 끝단이 삽입결합되며, 아킬레스건 및 발목을 감쌀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세워 고정설치되고, 신발을 신을 때 발에 의해 하강하였다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아킬레스건 및 발목을 지지하는 탄성부재(3)와, 상기 신발(1)의 외피(4) 중앙 양측에 형성되어 신발을 신을 때 발에 의해 하강하는 탄성부재(3)로 인해 신발의 외피(4)가 늘어나며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늘어나는 외피의 길이 만큼을 보상하며 신축작용하는 신축부(5)를 갖춘 신발(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샌들을 간편하고 신고 벗을 수 있도록 샌들의 뒷굽 부분에 절곡된 양 끝단이 삽입 고정되며, 아킬레스건 및 발목을 감쌀 수 있도록 일정각도로 세워 고정설치되고, 신발을 신을 때 발에 의해 하강하였다가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하여 아킬레스건 및 발목을 지지하는 탄성부재(3)를 갖춘 샌들(6)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 제안된 기술은 뒤축 부위에 탄성부재(3)가 구비되어 있고, 신발 외피의 중앙양측에 신축부(5)가 구비된 신발로서, 상기 탄성부재(3)는 아킬레스건과 발 뒷굽의 오목한 경계부를 감싸도록 성형하고, 상기 탄성부재(3)를 40~60° 정도의 경사로 세워 고정시키기 위하여 양 끝단부를 절곡하여 신발(1)의 뒷굽(2)에 삽입 설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탄성부재(3)의 절곡된 끝단부가 지지축이 되어 뒷굽(2)에 삽입 설치되기 때문에 매번 신발을 벗고 신고하는 일이 반복됨에 따라 뒷굽(2)이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되어 필요로 하는 탄성력을 얻기가 어려우며, 뒷굽(2)이 닳아 교체할 경우에는 이러한 기능을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되는 큰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와 외피(4)의 마찰소음 및 회동 시 부딪혀서 나는 소음이 발생되고, 회동작동 시 부드럽지 못한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3)의 하강운동에 대해 외피(4)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신축부(5)가 별도로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상의 어려움이 있으며, 이러한 신축부(5)를 신발 외피의 양측에 형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신발의 디자인 측면에서 제약을 가지게 되는 한계가 있다.
또한, 종래의 신발은 신축부(5)에 의해 갑피가 쉽게 휘어지거나 뒤틀리기 때문에 안정성이 떨어져 발을 삐게 되는 등 심하게 다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신발을 신을 때 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부리는 일도 없고 구두 주걱도 불필요한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 착화가 간편한 신발의 탄성부재의 문제점이던 소음발생 및 부드럽지 못한 회동작용을 일소토록 한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발의 디자인적 측면에서 자동으로 착화되는 기능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신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은, 발등을 감싸기 위해 신발밑창의 주변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고, 발목을 감싸기 위한 갑피의 뒷부분이 개방된 절개면이 형성된 발등 갑피와; 상기 발등 갑피의 절개면에 결합되어 발뒤꿈치를 둘러싸서 밀착되도록 형성되고, 외주연부를 따라 스프링설치홈이 형성되는 발뒤꿈치 갑피와; 상기 스프링설치홈에 끼워지는 비틀림스프링; 및 상기 비틀림스프링이 회동가능토록 상기 발뒤꿈치 갑피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힌지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착화시 발 뒷부분의 접지에 의한 착용자의 하중과 상기 비틀림스프링의 반발탄성에 의해 발뒤꿈치 갑피가 상승하여 자동으로 신발을 신을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발등 갑피 및 발뒤꿈치 갑피는, 아킬레스건 주위의 양측 에 힌지공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상기 비틀림스프링은, 스프링의 내측에 안내봉이 설치되고, 양측이 대칭되는 쌍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상기 비틀림스프링은, 상기 안내봉에 상기 힌지핀이 회동되도록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또한, 상기 비틀림스프링은, 외주로 내마모성과 열에 의한 변형온도가 높은 원통형의 슬리브(sleeve)를 끼움조립하여 구성하거나 인서트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신발을 신을 때 발을 그냥 힘을 주어 넣기만 하면 발 뒷부분이 착화되어 종래와 같이 착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부리는 일도 없고 구두 주걱도 불필요한 편리한 신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틀림스프링의 외주에 슬리브를 일체로 인서트몰딩하거나 비틀림스프링에 별도로 제작된 슬리브를 끼움조립으로 구성하여 비틀림스프링에서 발생하던 마찰 및 부딪힘에 의한 소음을 일소하고, 비틀림스프링에 의한 회동시 보다 부드럽게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고급화 및 차별화를 꾀하고 비틀림스프링의 수명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비틀림스프링에 의해 발뒤꿈치 갑피가 굽힘응력 이외에 다른 응력에 의해 신축부가 쉽게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여 갑피를 양호한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을 삐는 등 심하게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을 모습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은, 크게 신발밑창(10)과 갑피(20)로 구성되는 통상의 신발에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신발밑창(10)은 일반적으로 신발의 구조상 지면과 접하는 부위로써 내마모성, 내미끄럼성 등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바닥창 재질이면 족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신발밑창(10)은 통상의 공지된 기술에 의해 실시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갑피(20)는 상기 신발밑창(10)의 주변부로부터 사람의 발을 감싸도록 상부로 연장되어 신발의 외형을 한정하는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갑피(20)는 발등 갑피(210)와 발뒤꿈치 갑피(220)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발등 갑피(210)는 발등을 감싸기 위해 상기 신발밑창(10)의 주변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는 것으로, 발목이나 아킬레스건을 감싸기 위한 뒷부위에는 개방된 절개면(21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절개면(212)에는 발뒤꿈치 갑피(220)가 고무접착제나 재봉 등으로 상호 결합된다. 또한, 상기 발등 갑피(210)의 아킬레스건 주위의 양단에는 힌지공(21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뒤꿈치 갑피(220)는 양단이 상기 발등 갑피(210)의 양측 복사뼈 주위에 고정되고, 중심이 발목 뒷부분에 위치되어 아킬레스건 및 발뒤꿈치를 둘러싸서 밀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발뒤꿈치 갑피(220)의 외주연부를 따라서 스프링설치홈(222)이 형성되며, 아킬레스건 주위의 양단에는 힌지공(224)이 관통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뒤꿈치 갑피(220)는 발 뒷부분과 닿는 부위이므로 매끄러운 소재로 하여 신발을 신을 때 신속하게 신을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프링설치홈(222)에는 발뒤꿈치 갑피(220)를 상향 복원시키기 위한 비틀림스프링(230)이 구비된다.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은 철과 같은 금속재질로 제작되어 단위 체적당 저장된 탄성 에너지가 크기 때문에 경량이고, 공간을 적게 차지하고 형상이 간단하기 때문에 발뒤꿈치 갑피(220)의 좁은 공간에 매우 적합하고, 상기 스프링설치홈(222) 내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외부로 드러나지 않아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제한이 없어 유용하다.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은 상기 스프링설치홈(222)에 끼워지는 것으로, 사람의 체중에 의해 가해지는 수직하중을 고려하여 내측에 한 번 이상으로 비틀어 형성되는 안내봉(232)이 설치되고 양측이 대칭되는 쌍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의 안내봉(232)에는 힌지핀(240)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비틀 림스프링(230)이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굽힘응력이 생기도록 결합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비틀림스프링(230)은 착용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발뒤꿈치 갑피(220)가 쭈그러들게 되면 비틀림스프링(230)이 상방으로 작용하는 굽힘응력을 발생시키고, 하중이 제거되면 반발탄성에 의해 상기 발뒤꿈치 갑피(220)가 원래의 형태로 복원된다. 물론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은 발뒤꿈치 갑피(220)가 굽힘응력 이외에 다른 응력에 의해 신발의 쉽게 휘어지거나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수행하여 갑피(20)를 양호한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발을 삐는 등 심하게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핀(240)은 발등 갑피(210)와 발뒤꿈치 갑피(220)의 양측면에 형성된 힌지공(214,224)에 회동되도록 결합 구성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의 경우, 외주에는 내마모성과 열에 의한 변형온도가 높은 아세탈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원통형의 슬리브(sleeve)(23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34)는 비틀림스프링(230)에 끼움조립으로 구성하거나 인서트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의 외주에 슬리브(234)를 일체로 인서트몰딩하거나 비틀림스프링(230)에 별도로 제작된 슬리브(234)를 끼움조립으로 구성함으로써 비틀림스프링(230)과 갑피(20) 간에서 발생하던 마찰 및 부딪힘에 의한 소음을 일소하고, 비틀림스프링(230)에 의한 회동시 보다 부드럽게 회동하도록 함으로써 비틀림스프링(230)의 수명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힌지핀(240)에 의해 비틀림스프링(230)을 회동가능토 록 설치하고, 비틀림스프링(230)을 발뒤꿈치 갑피(220)의 스프링삽입홈(222)에 끼워 설치함으로써 발뒤꿈치 갑피(220)가 자동으로 상향 복원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사용관계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의 사용상태도이다.
먼저, 도 5a와 같이 우선 발뒤꿈치 갑피(220)의 스프링설치홈(222)에 비틀림스프링(230)을 끼워넣어 힌지핀(240)을 중심으로 탄성력에 의해 발뒤꿈치 갑피(220)가 펴지면서 상향 지지되도록 한다.
도 5b와 같이, 신발을 신기 위해서 착용자의 발 뒷부분으로 하중이 전달되어 발뒤꿈치 갑피(220)를 누르게 되면, 발뒤꿈치 갑피(220)가 쭈그러들면서 비틀림스프링(230)을 가압하게 된다. 이때, 발이 신발 앞으로 밀고 들어가게 되면 발 뒷부분이 미끄러지면서 발뒤꿈치 갑피(220)를 누르던 외력이 제거되기 때문에, 도 5c와 같이 비틀림스프링(230)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발뒤꿈치 갑피(220)가 수직 상측방향으로 이동되려는 탄성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발뒤꿈치 갑피(220)는 힌지핀(240)을 회전축으로 하여 자동으로 올라가면서 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의 외면에는 아세탈수지 등으로 이루어진 내마모성의 슬리브(234)를 별도로 감싸는 경우에는 비틀림스프링(230)과 발뒤꿈치 갑피(220)의 스프링삽입홈(222)과의 마찰을 일소토록 하고, 비틀림스프링(230)에 의한 발뒤꿈치 갑피(220)의 회동이 보다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신발을 신기 위해서 발을 신발의 앞 부분으로 밀어넣는 동작만으로 도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의 반발력에 의해 발뒤꿈치 갑피(220)가 상승하여 종래와 같이 착용자가 신발을 신을 때 손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부리는 일도 없고 구두 주걱도 불필요한 간단하고 신속하게 신발을 신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착화가 간편한 신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착화가 간편한 신발이 적용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을 모습을 나타낸 전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의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 신발밑창 20. 갑피
210. 발등 갑피 212. 절개면
214,224. 힌지공 220. 발뒤꿈치 갑피
222. 스프링설치홈 230. 비틀림스프링
232. 안내봉 234. 슬리브
240. 힌지핀

Claims (6)

  1. 신발밑창(10)과 갑피(20)로 이루어지는 신발에 있어서,
    발등을 감싸기 위해 상기 신발밑창(10)의 주변부로부터 상부로 연장형성되고, 발목을 감싸기 위한 상기 갑피(20)의 뒷부분이 개방된 절개면(212)이 형성된 발등 갑피(210)와;
    상기 발등 갑피(210)의 절개면(212)에 결합되어 발뒤꿈치를 둘러싸서 밀착되도록 형성되며, 외주연부를 따라 스프링설치홈(222)이 형성되는 발뒤꿈치 갑피(220)와;
    상기 스프링설치홈(222)에 끼워지는 비틀림스프링(230); 및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이 회동가능토록 상기 발뒤꿈치 갑피(220)의 양측 단부에 설치된 힌지핀(24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착화시 발 뒷부분의 접지에 의한 착용자의 하중과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의 반발탄성에 의해 발뒤꿈치 갑피(220)가 상승하여 자동으로 신발을 신을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등 갑피(210) 및 발뒤꿈치 갑피(220)는
    아킬레스건 주위의 양측에 힌지공(214)(224)이 각각 관통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은,
    스프링의 내측에 안내봉(232)이 설치되고, 양측이 대칭되는 쌍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은,
    상기 안내봉(232)에 상기 힌지핀(240)이 회동되도록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은,
    외주에 원통형의 슬리브(sleeve)를 끼움조립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6.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스프링(230)은,
    외주에 원통형의 슬리브(sleeve)를 인서트몰딩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KR1020080019120A 2008-02-29 2008-02-29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KR10097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120A KR100976255B1 (ko) 2008-02-29 2008-02-29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120A KR100976255B1 (ko) 2008-02-29 2008-02-29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48A KR20090093548A (ko) 2009-09-02
KR100976255B1 true KR100976255B1 (ko) 2010-08-18

Family

ID=41302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120A KR100976255B1 (ko) 2008-02-29 2008-02-29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2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828A1 (ko) 2019-04-24 2020-10-29 신승래 착용이 간편한 기능성 신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16746B (zh) 2016-04-22 2024-05-28 飞思特知识产权有限责任公司 具有回弹配合系统的快速进入式鞋类
US10568385B2 (en) 2016-10-26 2020-02-25 Nike, Inc. Footwear heel spring device
WO2020006490A1 (en) 2018-06-28 2020-01-02 Fast Ip, Llc Rapid-entry footwear having an actuator arm
EP3902426B1 (en) 2018-12-28 2023-07-12 NIKE Innovate C.V. Footwear element with locating peg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article of footwear
US10638810B1 (en) 2019-01-07 2020-05-05 Fast Ip, Llc Rapid-entry footwear having a compressible lattice structure
JP7225423B2 (ja) 2019-02-13 2023-02-20 ナイキ イノベイト シーブイ 履物踵支持装置
EP4025091A4 (en) 2019-09-03 2023-02-08 Fast IP, LLC QUICK-ON FOOTWEAR WITH A POCKET FOR A COMPRESSED MEDIUM
EP4096463A4 (en) 2020-01-28 2024-02-28 Fast IP, LLC QUICK ENTRY FOOTWEAR HAVING ROTATING STRAPS
US11910867B2 (en) 2022-03-28 2024-02-27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with heel entr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2242U (ko) 1977-04-12 1978-11-10
JPS5413739U (ko) 1977-06-29 1979-01-29
JPS61199201U (ko) 1985-05-31 1986-12-12
JPH0181910U (ko) * 1987-11-21 1989-06-01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42242U (ko) 1977-04-12 1978-11-10
JPS5413739U (ko) 1977-06-29 1979-01-29
JPS61199201U (ko) 1985-05-31 1986-12-12
JPH0181910U (ko) * 1987-11-21 1989-06-01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18828A1 (ko) 2019-04-24 2020-10-29 신승래 착용이 간편한 기능성 신발
US12029276B2 (en) 2019-04-24 2024-07-09 Sung Ne SHIN Easy-to-wear functional sho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48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6255B1 (ko) 신발 뒷부위가 자동으로 착화되는 신발
CN101548806B (zh) 具有整体的旋后肌装置的运动鞋和类似物品
US7823301B2 (en) Sports shoes, in particular for playing golf
CA1320406C (en) Foot and ankle brace
JP2004528931A (ja) 改良されたクッショニング及びサポートを有する靴
US20230210708A1 (en) Mechanical foot
GB2492587A (en) Footwear with rotatable sole portion
KR101870288B1 (ko) 무지외반증 치료용 신발
KR100719159B1 (ko) 슬리퍼 겸용 샌들
KR102450372B1 (ko) 착용이 간편한 신발용 백카운터
CN104605573A (zh) 一种护踝童鞋
KR100976256B1 (ko) 신축성 발목 밴드가 부착된 신발
KR100961520B1 (ko) 신발용 발 교정구조
KR100724274B1 (ko) 회전수단이 내장된 뒤축 개량 건강신발 장착용 미드솔
KR20120003651U (ko) 신발의 벗겨짐 방지용 받침구
KR100575138B1 (ko) 건강신발
CN215649490U (zh) 一种具有保护脚踝功能的板鞋
KR100668534B1 (ko) 양말형 기능성 깔창
KR200495829Y1 (ko) 기능성 신발
KR200392873Y1 (ko) 보행을 통하여 운동의 효과를 향상시켜 건강을 지켜주는 신발
KR200433570Y1 (ko) 양말
KR200342007Y1 (ko) 스포츠 양말
KR20010018860A (ko) 발레용 토슈즈
KR200422443Y1 (ko) 발목 보호용 신발
KR200395910Y1 (ko) 샌들형 인라인 스케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2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2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0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91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7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726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9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30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01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