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5979B1 - 가변 방석 - Google Patents

가변 방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979B1
KR100975979B1 KR1020100000597A KR20100000597A KR100975979B1 KR 100975979 B1 KR100975979 B1 KR 100975979B1 KR 1020100000597 A KR1020100000597 A KR 1020100000597A KR 20100000597 A KR20100000597 A KR 20100000597A KR 100975979 B1 KR100975979 B1 KR 100975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support
supporting
variable
pul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0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의진
Original Assignee
(주)에다스
이의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다스, 이의진 filed Critical (주)에다스
Priority to KR1020100000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9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979B1/ko
Priority to PCT/KR2010/008028 priority patent/WO2011083912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크기나 형태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방석이 개시된다. 상기 방석은 앉는 사람의 엉덩이 일측을 받쳐주기 위한 제1받침부, 상기 제1받침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앉는 사람의 엉덩이 타측을 받쳐주기 위한 제2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의 일측과 상기 제2받침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방석본체와,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부분을 서로 연결하거나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부분을 상기 연결부에 연결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결된 부분을 서로를 향해 당겨줌으로써 상기 연결부에 대한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자세를 조정하여 상기 방석본체의 상기 엉덩이와 접촉되는 부위의 크기와 형상을 변형시키는 자세조정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가변 방석{Variable floor cushion}
본 발명은 방석에 관련된 것으로, 특히 딱딱한 의자에 앉아서 공부를 하는 학생 등의 의자에 설치되는 방석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한 방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의 의자는 앉는 부분이 딱딱한 나무나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의자에 앉아서 장시간 공부를 하는 많은 학생들이 딱딱한 의자 때문에 불편을 겪고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많은 학생들이 의자 위에 방석을 깔고 앉는다.
기존의 방석은 사각의 외피 내부에 스펀지나 천조각 등을 채운 것으로 표면이 편평한 것이 대부분이다. 표면이 편평한 일반적인 방석은 거기에 앉는 사람에게 쿠션을 제공하는 기능 외에는 다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다. 그리고 기존의 방석은 표면이 편평하기 때문에 앉는 사람의 신체의 형상과 맞지 않아서 장시간 앉아서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여전히 불편함을 주며 거기에 앉는 학생의 엉덩이를 펑퍼짐해 지게 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존의 방석 중 일부는 사람의 엉덩이 부분의 형상에 맞게 표면을 굴곡 시켜 형성한 것도 있다. 하지만 표면을 굴곡 시켜 형성한 기존의 방석은 엉덩이를 받쳐주는 부분의 크기와 형상이 특정 사이즈와 형상으로 정해져서 만들어진다. 이에 따라 표면을 굴곡 시켜 형성한 기존의 방석도 생산자 입장에서는 신체의 크기가 다른 여러 사람들을 고려하여 다양한 사이즈와 형상으로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제품의 생산성이 떨어지고 단가가 높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자기의 신체에 정확하게 맞는 방석을 찾기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교환에 따른 불편함 등을 피하기 위해서 사용하기에 조금 불편하더라도 참고서 그냥 사용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리를 벌린 상태로 의자에 앉는 사람들이 많이 있는 데, 이는 보기에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바른 자세가 아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기존의 방석은 다리를 벌린 상태로 앉는 것을 교정하는 데 도움을 주지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엉덩이의 크기나 형태에 따라 그 엉덩이를 지지하여주는 부분의 크기와 형상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가변 방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거기에 앉는 사람의 두 다리가 모아지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는 가변 방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기에 앉는 사람의 두 다리가 모아지는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앉는 사람의 자세를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되는 가변 방석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은 앉는 사람의 엉덩이 일측을 받쳐주기 위한 제1받침부, 상기 제1받침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앉는 사람의 엉덩이 타측을 받쳐주기 위한 제2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의 일측과 상기 제2받침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방석본체와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부분을 서로 연결하거나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부분을 상기 연결부에 연결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결된 부분을 서로를 향해 당겨줌으로써 상기 연결부에 대한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자세를 조정하여 상기 방석본체의 상기 엉덩이와 접촉되는 부위의 크기와 형상을 변형시키는 당김부재를 가지는 자세조정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방석본체는 U자형의 모양을 하고 있고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 상기 방석본체는 H자형의 모양을 하고 있고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에는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가 서로를 향해 당겨짐에 따라 용이하게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상기 방석본체는 외력을 가했다가 외력을 제거하면 외력을 가하기 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세조정구는 상기 당김부재에 설치되거나 상기 당김부재와 상기 방석본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당김부재가 상기 제1받침부를 상기 제2받침부를 향해 당겨주는 정도를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 당김부재를 그 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고정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석본체에는 숯, 방향제, 항균제, 황토볼, 한약재, 자석 등 사람의 신체에 유익한 소재를 내부에 넣어서 보관하기 위한 유익소재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은 이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엉덩이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 엉덩이를 지지하는 부위의 크기와 형상을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은 거기에 앉는 사람의 두 다리가 모아지는 정도를 조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본 발명의 가변 방석을 이용하는 사람의 자세를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은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경사면의 형상을 조정할 수 있어 엉덩이 형상을 예쁘게 교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의 사시도,
도 2는 도 1 가변 방석에서 자세조정구를 이용하여 가변 방석의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자세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 가변 방석의 정면도,
도 4는 도 1 가변 방석의 저면도,
도 5 내지 9는 도 1 자세조정구의 변형 예들을 각각 나타낸 저면도,
도 10은 방석본체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도 11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14는 도 1 가변 방석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 가변 방석에서 자세조정구를 이용하여 가변 방석의 제1받침부와 제2받침부의 자세를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 가변 방석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 가변 방석의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100)은 U자형의 방석본체(110)와 방석본체(110)의 형상을 조정하여주기 위한 자세조정구(150)를 구비한다.
방석본체(110)는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 및 이들을 연결하는 연결부(140)를 가진다. 제1받침부(120)는 앉는 사람의 엉덩이 일측을 받쳐주기 위한 부분으로 그 내측을 따라 경사면(12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받침부(130)는 앉는 사람의 엉덩이 타측을 받쳐주기 위한 부분으로 제1받침부(120)와 간격을 두고 마주보고 배치되어 있다. 이 제2받침부(130)의 내측을 따라서도 경사면(13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연결부(140)는 제1받침부(120)의 일단과 제2받침부(130)의 일단을 연결하여 제1받침부(120), 제2받침부(130) 및 연결부(140)가 일체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이 연결부(140)의 내측을 따라서도 경사면(142)이 형성되어 있다. 위 경사면(122, 132, 142)들은 대략 사람의 엉덩이 형태의 곡면을 이루고 있다. 이러한 방석본체(110)는 대략 U자 형의 스펀지 또는 메모리 폼 등의 쿠션재(112)와 이들을 둘러싸 보호하는 천, 가죽, 비닐 등의 외피(114)로 이루어져 있다. 외피(114)에는 쿠션재(112)를 쉽게 넣거나 뺄 수 있도록 지퍼(113)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140)의 좌우 중앙부 내측에는 홈(144)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144)은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가 용이하게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 홈(144)은 연결부(140)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 유용하다.
자세조정구(150)는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자세를 조정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100)을 이용하고자 하는 사람의 신체의 크기에 따라 가변 방석(100)의 엉덩이 접촉부위의 크기와 형상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자세조정구(150)는 당김부재(152)를 구비한다. 당김부재(152)는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부분을 연결하여 서로를 향해 당겨주는 정도를 조정하기 위한 것이므로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자세조정구(150)는 띠 형상의 당김부재(152)와 제1 및 제2접착포(154, 156)를 이용한 것이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받침부(120)에 제1접착포(154)가 부착되어 있는 띠 형상의 당김부재(152)를 설치하고, 제2받침부(130)의 일측에 제2접착포(156)를 부착하여 자세조정구(150)를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당김부재(152)를 제2받침부(130)쪽으로 적절하게 당긴 상태에서 제1접착포(154)를 제2접착포(156)에 부착하면 방석의 크기와 형태를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당김부재(152)는 제1받침부(120)를 제2받침부(130)를 향해 당겨줌으로써 연결부(140)에 대한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자세를 조정하여 방석본체(110)의 전체 형상을 변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1 내지 4에 나타낸 실시 예에서는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자세를 조정 시 연결부(140)의 자세도 변경됨은 물론이다.
위와 같은 자세조정구(150)는 1개의 당김부재(152)와 제1, 제2접착포(154, 156)로 구성할 수 있지만 당김부재(152)가 연결되는 부분의 외피(114)의 강도 등을 고려하여 당김부재(152) 등을 3개 이상씩 설치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자세조정구(150)에서 제1접착포(154)와 제2접착포(156)는 당김부재(152)가 제1받침부(120)를 제2받침부(130)를 향해 당겨주는 정도를 조정한 상태에서 당김부재(152)를 그 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고정구의 역할을 한다. 제2받침부(130)에는 당김부재(152)가 흩뜨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당김부재(152)가 삽입되어 걸릴 수 있는 고리(134)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과 2를 비교해보면 알 수 있듯이,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가 자세조정구(150)에 의해 서로를 향해 당겨져서 고정되면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가 형성하는 경사면(122, 132)의 전체 폭은 좁아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100)에 앉는 사람의 다리는 자연적으로 모아지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100)에서는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경사면(122, 132)의 전체 폭도 조정할 수 있다.
도 5 내지 9는 도 1 자세조정구의 변형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받침부(130)에 당김부재(152)가 걸릴 수 있는 고리(134)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1접착포(154)와 제2접착포(156)는 당김부재(152)에 각각 설치되어서 자세조정구(150)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즉, 당김부재(152)가 제1받침부(120)에서 고리(134) 쪽으로 연장된 후 고리(134)에 걸린 후 다시 제1받침부(120) 쪽으로 되돌아오도록 접힌 상태에서 제1접착포(154)를 제2접착포(156)에 부착하여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도6을 참조하면, 자세조정구(150)는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에 각각 설치된 끈 형태의 당김부재(152)들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에 마주보고 설치된 당김부재(152)들 끼리 서로 묶어서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된 당김부재(152)들 끼리 서로 묶어서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대응 위치에 다수의 고리(134)들을 각각 설치하고, 신발 끈 형태로 당김부재(152)를 양 측 고리(134)들에 연결하여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대응 위치에 당김부재(152)를 각각 설치하고, 일측 당김부재(152)에는 타측 당김부재(152)의 길이를 조정하여 고정할 수 있는 연결구(158)를 설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세조정구(150)를 구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양측 당김부재(152)에 암수로 된 연결구(158a, 158b)를 각각 설치하되 적어도 둘 중 하나는 당김부재(152)를 따라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자세조정구(150)는 제1받침부(120)의 외면에 띠 형태의 당김부재(152)를 설치하여 그 일 측면에 제1접착포(154)를 부착하고, 제2받침부(130)의 외면에 제2접착포(156)를 부착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위의 설명에서, 연결구(158), 제1접착포(154)와 제2접착포(156)는 당김부재(152)가 제1받침부(120)를 제2받침부(130)를 향해 당겨주는 정도를 조정한 상태에서 당김부재(152)를 그 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고정구의 역할을 한다.
도 10은 방석본체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바깥 면에 홈(125, 135)을 각각 형성하여 쉽게 변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홈(125, 135)의 개수는 1개 또는 2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를 좌우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이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중앙부를 연결부(140)로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100)을 H자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세조정구(150)는 연결부(14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9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다.
도 1과 도 11의 실시 예로부터 연결부(140)는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단부나 중앙부가 아닌 다른 위치로 변경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140)는 좁게 형성하여 간격을 두고 2이상 설치될 수 있음도 알 수 있다.
도 12는 도 11의 변형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를 전후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이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의 중앙부를 연결부(140)로 연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100)을 구현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세조정구(150)는 연결부(140)를 중심으로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받침부(120)와 제2받침부(130)는 그 형상이 서로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이 실시 예에서는 도 11의 실시 예와는 사람이 이용하는 방향이 90도 바뀌었으므로 그에 맞게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자세조정구(150)는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은 형태의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1에서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경우에 따라 고리(134)는 제1 및 제2받침부(120, 130) 뿐만 아니라 연결부(140)에도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당김부재(152)는 제1 및 제2받침부(120, 130)에 설치된 고리(134)와 연결부(140)에 설치된 고리(134)를 연결하여 이를 조아서 제1 및 제2받침부(120, 130)의 단부가 연결부(140)를 향해 당겨지도록 하여 제1 및 제2받침부(120, 130)의 자세를 조정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1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14는 도 1 가변 방석의 변형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방석본체(110)에는 유익소재 수용부(160)를 설치하고 그 내부에 숯, 방향제, 항균제, 한약재 등을 넣어서 불쾌한 냄새를 제거하거나 황토볼 등 음이온이 발생되는 물체, 자기를 발생하는 자석 등 인체에 유익한 소재를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 이 유익소재 수용부(160)는 수용되는 약품 등을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개폐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유익소재 수용부(160)는 방석본체(110)에 일체로 형성하거나 탈착식으로 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1 내지 4를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가변 방석은 학생들의 의자뿐만 아니라 음식점의 앉음 의자용, 사무실의 의자용, 차량 의자용 및 가정용의 방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100: 가변 방석 110: 방석본체
120: 제1받침부 130: 제2받침부
140: 연결부 150: 자세조정구
152: 당김부재 154: 제1접착포
156: 제2접착포 158, 158a, 158b: 연결구
160: 물품수용부

Claims (7)

  1. 앉는 사람의 엉덩이 일측을 받쳐주기 위한 제1받침부, 상기 제1받침부와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상기 앉는 사람의 엉덩이 타측을 받쳐주기 위한 제2받침부 및 상기 제1받침부의 일측과 상기 제2받침부의 일측을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방석본체; 및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부분을 서로 연결하거나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간격을 두고 배치된 부분을 상기 연결부에 연결하여 설치되고 상기 연결된 부분을 서로를 향해 당겨줌으로써 상기 연결부에 대한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의 자세를 조정하여 상기 방석본체의 상기 엉덩이와 접촉되는 부위의 크기와 형상을 변형시키는 당김부재를 가지는 자세조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 또는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에는 상기 제1받침부와 상기 제2받침부가 서로를 향해 당겨짐에 따라 용이하게 자세를 변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방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본체는 U자형의 모양을 하고 있고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방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본체는 H자형의 모양을 하고 있고 내측 가장자리를 따라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방석.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본체는 외력을 가했다가 외력을 제거하면 외력을 가하기 전의 형상으로 복원되는 쿠션재와 상기 쿠션재를 내부에 수용하는 외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방석.
  6.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세조정구는 상기 당김부재에 설치되거나 상기 당김부재와 상기 방석본체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당김부재가 상기 제1받침부를 상기 제2받침부를 향해 당겨주는 정도를 조정한 상태에서 상기 당김부재를 그 상태로 용이하게 고정하거나 해제하기 위한 고정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방석.
  7. 제1항 내지 제3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석본체에는 숯, 방향제, 항균제, 한약재, 황토볼, 자석 등 사람의 신체에 유익한 소재를 내부에 넣어서 보관하기 위한 유익소재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방석.
KR1020100000597A 2010-01-05 2010-01-05 가변 방석 KR100975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97A KR100975979B1 (ko) 2010-01-05 2010-01-05 가변 방석
PCT/KR2010/008028 WO2011083912A2 (ko) 2010-01-05 2010-11-15 가변 방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0597A KR100975979B1 (ko) 2010-01-05 2010-01-05 가변 방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979B1 true KR100975979B1 (ko) 2010-08-13

Family

ID=42759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0597A KR100975979B1 (ko) 2010-01-05 2010-01-05 가변 방석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5979B1 (ko)
WO (1) WO201108391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8414A (zh) * 2011-05-08 2011-09-14 曾瑞光 一种青草药保健床垫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963A (ko) * 2001-05-25 2003-05-27 이케이씨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산화세륨 슬러리, 및 기판의 제조 방법
KR200341963Y1 (ko) 2003-09-30 2004-02-14 노주상 기능성방석
KR20040022757A (ko) * 2002-09-05 2004-03-18 김선민 섬유원단에 장식을 행하기 위한 스팡글 장식물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하여 제조한 장식물 및 이를 부착한 원단
KR20040023120A (ko) * 2002-09-10 2004-03-18 남선산업 주식회사 주방용 조리기구 성형을 위한 다이캐스팅 금형
KR20050043566A (ko) * 2003-11-06 2005-05-11 원인호 랑습방지 기방석
KR200422757Y1 (ko) 2006-03-09 2006-08-01 지순덕 바른 자세 방석
KR200423120Y1 (ko) * 2006-03-10 2006-08-03 박경태 골반균형교정, 하체비만해소 및 자세교정용 방석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1963A (ko) * 2001-05-25 2003-05-27 이케이씨 테크놀로지 가부시키가이샤 산화세륨 슬러리, 및 기판의 제조 방법
KR20040022757A (ko) * 2002-09-05 2004-03-18 김선민 섬유원단에 장식을 행하기 위한 스팡글 장식물의제조방법과 이에 의하여 제조한 장식물 및 이를 부착한 원단
KR20040023120A (ko) * 2002-09-10 2004-03-18 남선산업 주식회사 주방용 조리기구 성형을 위한 다이캐스팅 금형
KR200341963Y1 (ko) 2003-09-30 2004-02-14 노주상 기능성방석
KR20050043566A (ko) * 2003-11-06 2005-05-11 원인호 랑습방지 기방석
KR200422757Y1 (ko) 2006-03-09 2006-08-01 지순덕 바른 자세 방석
KR200423120Y1 (ko) * 2006-03-10 2006-08-03 박경태 골반균형교정, 하체비만해소 및 자세교정용 방석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78414A (zh) * 2011-05-08 2011-09-14 曾瑞光 一种青草药保健床垫
CN102178414B (zh) * 2011-05-08 2012-10-17 曾瑞光 一种青草药保健床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83912A2 (ko) 2011-07-14
WO2011083912A3 (ko) 2011-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3466C (en) Feeding pillow with removable support surface
TWI274567B (en) Comfortable surface for seating
US7104604B1 (en) Waist supporting structure of a dual-layer chair back
US20110049951A1 (en) Portable chair cover for stackable chairs
TW378181B (en) Bicycle seat and seat cover
JP2017121334A (ja) 姿勢保持用クッション並びにそれに用いる姿勢保持用ベース材
KR100975979B1 (ko) 가변 방석
KR101963879B1 (ko) 농사용 방석형 작업의자
JP2004033529A (ja) 車椅子のシート
KR101677806B1 (ko) 다용도 수유 쿠션
KR101016723B1 (ko) 자세 교정을 위한 기능성 매트
JP2006346218A (ja) 局部高さ調節機能付き敷き布団
JP4859394B2 (ja) 乳児用椅子
JP6699998B2 (ja) 座位保持用クッション
KR102073647B1 (ko) 의자용 좌판쿠션
JP2016059577A (ja) 座具及び椅子
AU2021107278A4 (en) An adapter and method of use thereof
JP2003250665A (ja) 椅子用腰当て
KR200302692Y1 (ko) 의자의 등받이
JP3221369U (ja) クッション
KR100650977B1 (ko) 의자용 방석
KR0121005Y1 (ko) 등받침형태의 변형이 가능한 좌석의 등받이
JP2002172039A (ja) 家 具
JP3151402U (ja) 背あてクッション
KR101704595B1 (ko) 요추 지지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1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9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2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80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