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5633B1 - 전자부품의 로딩/언로딩장치 및 로딩/언로딩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부품의 로딩/언로딩장치 및 로딩/언로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633B1
KR100975633B1 KR1020080057837A KR20080057837A KR100975633B1 KR 100975633 B1 KR100975633 B1 KR 100975633B1 KR 1020080057837 A KR1020080057837 A KR 1020080057837A KR 20080057837 A KR20080057837 A KR 20080057837A KR 100975633 B1 KR100975633 B1 KR 100975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unloading
conveyor
elevator
magaz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7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1871A (ko
Inventor
유영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두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두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두오텍
Priority to KR1020080057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6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31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1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63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05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011Apparatus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 H01L21/67017Apparatus for fluid 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2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using a general scheme of a conveying path within a facto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Conveying cassettes, containers or c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7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conveying, e.g.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between different workstations
    • H01L21/67736Loading to or unloading from a convey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전자부품의 로딩/언로딩 장치 및 로딩/언로딩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로딩/언로딩장치는 도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로딩/언로딩 유닛; 및 도포장치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로딩/언로딩 유닛;을 포함하며,상기 제 1 및 제 2 로딩/언로딩 유닛 각각은 전자부품을 상기 도포장치에 공급하는 로딩기능과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도포장치로부터 수납하는 언로딩기능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부품, 수지, 도포장치, 히터유닛, 로딩/언로딩장치, 레일, 디스펜서

Description

전자부품의 로딩/언로딩장치 및 로딩/언로딩방법{loading-unloading device and loading-unloading method of electric component}
본 발명은 전자부품에 수지를 도포하는 도포장치에 사용되는 로딩/언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ED부품, IC 칩과 같은 전자부품은 외부공기 또는 외부충격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민감하여 반응하여 오동작을 일으키기 쉽다. 이에 따라, 전자부품의 제조에는 상기 전자부품을 외부의 기계적, 물리적 및 화학적 충격등으로부터 보호하도록 상기 전자부품에 에폭시 수지를 도포하는 도포공정이 포함된다.
도포장치의 레일에 전자부품이 실장된 프레임을 로딩하고 언로딩하기 위해서는 레일의 양측에 로더/언로더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로딩/언로딩 장치는 레일의 일측에 로더장치가 설치되고 타측에는 언로더장치가 설치되어 매거진에 삽입된 프레임이 로더 장치에 의해서 하나씩 상기 레일에 로딩되고, 도포공정이 완료되어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은 빈 매거진에 형성된 슬릿에 하나씩 끼워짐으로서 언로딩된다.
이처럼 종래의 로더/언로더 장치는 일방향으로만 전자부품을 이동시키는 싱 글레일을 갖는 도포장치에만 적용가능하였으나, 전자부품을 다방향으로 이동하는 멀티레일을 갖는 도포장치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2개 이상의 레일을 구비한 멀티레일을 가지는 도포장치에도 적용할 수 있는 로딩/언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로딩/언로딩장치는 도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로딩/언로딩 유닛; 및 도포장치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로딩/언로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딩/언로딩 유닛 각각은 전자부품을 상기 도포장치에 공급하는 로딩기능과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도포장치로부터 수납하는 언로딩기능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로딩/언로딩유닛은 상기 전자부품을 제 1 컨베이어 유닛; 상기 도포장치에 상기 전자부품이 공급되도록 상하이동가능한 제 1 로딩 엘리베이터; 상기 도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전자부품을 언로딩하도록 상하이동가능한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 및 상기 제 1 로딩 엘리베이터에 놓여있는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도포장치로 공급하는 제 1 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로딩/언로딩유닛은 상기 전자부품을 제 2 컨베이어 유닛; 상기 도포장치에 상기 전자부품이 공급되도록 상하이동가능한 제 2 로딩 엘리베이터; 상기 도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전자부품을 언로딩하도록 상하이동가능한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 및 상기 제 1 로딩 엘리베이터에 놓여있는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도포장치로 공급하는 제 2 푸셔;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 1 컨베이터 유닛은 높이 차에 따라 상단 제 1 컨베이어, 중단 제 1 컨베이어, 하단 제 1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베이터 유닛은 높이 차에 따라 상단 제 2 컨베이어, 중단 제 2 컨베이어, 하단 제 2 컨베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제 1 컨베이어 및 상기 상단 제 2 컨베이어에는 로딩작업이 완료된 빈 매거진이 놓여지고, 상기 하단 제 1 컨베이어 및 상기 중단 제 2 컨베이어에는 전체작업공정이 완료된 매거진이 놓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단, 중단 및 하단 제 1 컨베이어와, 상기 상단, 중단 및 하단 제 2 컨베이어 각각은 연장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로딩/언로딩유닛은 빈 매거진을 상기 상단 제 1 컨베이어에서 상기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로 옮기는 제 1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로딩/언로딩유닛은 빈 매거진을 상기 제 2 로딩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상단 제 2 컨베이어로 옮기는 제 2 이송유닛;을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언로딩 방법은 또한, 중단 제 1 컨베이어에 적재된 매거진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로 이동되고, 하단 제 2 컨베이어에 적재된 매거진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로 이동되는 단계; 제 1 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놓여진 프레임이 제 1 푸셔에 의해 제 2 레일상에 로딩되고, 제 2 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놓여진 프레임이 제 2 푸셔에 의해 제 1 레일상에 로딩되는 단계; 제 1 로딩 엘리베이터상의 빈 매거진이 상단 제 1 컨베이어로 옮겨지고, 제 2 로딩 엘리베이터상의 빈 매거진이 상단 제 2 컨베이어로 옮겨지는 단계;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이 제 1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을 언로딩하기 위한 빈 매거진을 제 1 컨베이어로부터 받아오고,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이 제 2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을 언로딩하기 위한 빈 매거진을 상단 제 2 컨베이어로부터 받아오는 단계; 도포공정이 완료되어 제 2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이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고정된 빈 매거진에 언로딩되고, 제 1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은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고정된 빈매거진에 언로딩되는 단계; 및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지지된 매거진의 슬릿에 프레임이 다 삽입되면 하단 제 1 컨베이어로 적재되고,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지지된 매거진의 스릿에 프레임이 삽입되면 중단 제 2 컨베이어로 적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로딩/언로딩방법은 중단 제 1 컨베이어에 적재된 매거진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로 이동되고, 하단 제 2 컨베이어에 적재된 매거진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로 이동되는 단계; 제 1 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놓여진 프레임이 제 1 푸셔에 의해 제 2 레일상에 로딩되고, 제 2 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놓여진 프레임이 제 2 푸셔에 의해 제 1 레일상에 로딩되는 단계; 제 1 이송유닛 및 제 2 이송유닛에 의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 및 제 2 로딩 엘리베이터에 있는 빈 매거진이 바로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 및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로 옮겨지는 단계; 도포공정이 완료되어 제 2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이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고정된 빈 매거진에 언로딩되고, 제 1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은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고정된 빈매거진에 언로딩되는 단계;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지지된 매거진의 슬릿에 프레임이 다 삽입되면 하단 제 1 컨베이어로 적재되고,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지지된 매거진의 스릿에 프레임이 삽입되면 중단 제 2 컨베이어로 적재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언로딩장치는 로딩 및 언로딩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로딩/언로딩 효율이 향상되며, 도포장치의 도포능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작업자가 수동으로 빈 매거진을 옮기지 않고 자동으로 매거진에 프레임이 로딩/언로딩되는 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공수가 줄어든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언로딩장치(2)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도포유닛(10)과 결합된 본 실시예의 로딩/언로딩장치(2)를 도시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로딩/언로딩장치(2)는 도포유닛(10)에 전자부품(E)이 실장된 프레임(P)을 로딩하거나 도포공정이 완료되어 제 1 및 제 2 레일(111,112)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P)을 매거진(M)으로 언로딩하도록 도포장치(10)의 양측면에 설치된다. 이를 위해 로딩/언로딩장치(2)는 제 1 로딩/언로딩유닛(200) 및 제 2 로딩/언로딩유닛(200')을 포함한다.
제 1 로딩/언로딩유닛(200)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레일(111) 로부터 도포공정이 완료되어 배출되는 프레임(P)을 받는 언로더(unloader) 역할과, 제 2 레일(112)에 도포공정이 행해지지 않은 프레임(P)을 공급하는 로더(loader)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1 로딩/언로딩유닛(200)은 제 1 컨베이어유닛(210), 제 1 푸셔(220),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230),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 및 제 1 이송유닛(250)을 포함한다. 참고로, 매거진(M)은 도 5와 같이, 다수의 슬릿(S)이 형성되어, 프레임(P)이 슬릿(S)상에 삽입될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제 1 컨베이어 유닛(210)은 프레임(P)이 삽입된 매거진(M)을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높이차이를 두고 설치되는 하단 제 1 컨베이어(211), 중단 제 1 컨베이어(212), 상단 제 1 컨베이어(213)를 포함한다. 하단, 중단 및 상단 제 1 컨베이어(211,212,213)는 각각은 연장부재(211a, 212a, 213a)를 구비한다. 연장부재(211a, 212a, 213a)는 각각 하단, 중단 및 상단 제 1 컨베이어(211,212,213)로부터 연장되어, 매거진(M)을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제 1 푸셔(220)는 제 2 레일(112)상에 다수의 전자부품(E)이 고정된 프레임(P)을 공급하며, 제 2 레일(112)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도 5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 1 푸셔(220)는 매거진(M)의 슬릿(S)에 끼워진 프레임(P)을 밀어 줌으로써, 제 2 레일(112)상에 프레임(P)이 로딩된다.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는 매거진(M)에 형성된 슬릿(S)의 간격만큼 매거진(M)을 점차적으로 상방향 또는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제 1 푸셔(220)가 프레임(P)을 제 2 레일(112)방향으로 밀어 매거진(M)에 끼워진 프레임(P)을 순차적으로 제 2 레일(112)상에 로딩한다.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230)는 매거진(M)을 지지하여 하단 제 1 컨베이어(211)부터 상단 제 1 컨베이어(213) 높이까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제 1 레일(111)의 좌측단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230)는 매거진(M)을 지지한 상태에서 제 1 레일(111)로 부터 배출되는 도포공정이 완성된 프레임(P)이 하나씩 슬릿(S)에 끼워질 수 있도록 슬릿(S)이 형성된 간격만큼 하부로 이동한다. 매거진(M)에 도포공정이 완성된 프레임이 모두 끼워지면, 매거진(M)을 하단 제 2 컨베이어(211)의 높이까지 하강시킨다. 이를 위해,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230)는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 본체(231), 연결부재(233) 및 암(235)을 포함한다. 제 1 로딩 엘리베이터 본체(231)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에 연결부재(233)의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부재(233)의 타측은 암(235)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암(235)은 하단 제 1 컨베이어(211)부터 상단 제 1 컨베이어(213) 높이까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 때, 암(235)은 실린더 방식에 의해서 매거진(M)을 고정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는 매거진(M)을 고정하여 중단 제 1 컨베이어(212)부터 상단 제 1 컨베이어(213) 높이까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제 2 레일(111)과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는 매거진(M)을 지지한 상태에서 슬릿(S) 간격만큼씩 상부로 이동한다. 이때, 제 1 푸셔(220)는 슬릿(S)에 끼워진 프레임(P)을 밀어 제 2 레일(112)에 공급한다. 프레임(P)이 다 빠져나가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는 빈 매거진(M)을 상단 제 1 컨베이어(213)로 넘겨준다. 이를 위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 (240)는,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230)와 마 찬가지로 제 1 로딩 엘리베이터 본체(241), 연결부재(243), 암(245)을 포함한다. 제 1 로딩 2 엘리베이터 본체(241)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에 연결부재(243)의 일측이 연결되고, 2 연결부재(243)의 타측은 암(245)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암(245)은 중단 제 2 컨베이어(212)부터 상단 제 1 컨베이어(213) 높이까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 1 이송 유닛(250)은 본체(11)의 좌측 천장부근에 설치되어, 상단 제 1 컨베이어(213)에 저장된 빈 매거진(M)을 제 1 언로딩 엘리베이어 유닛(230)의 암(235)에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1 이송 유닛(250)은 제 1 수평이동 실린더(251), 제 1 상하 이동 실린더(255) 및 제 1 집게부재(253)를 포함한다. 제 1 수평이동 실린더(251)는 본체(11)의 좌측 천장부근에 고정되어 있어, 매거진(M)을 수평이동시키며, 제 1 상하이동실린더(255)는 제 1 수평이동 실린더(251)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매거진(M)을 상하이동시킨다. 또한, 제 1 집게 부재(253)는 매거진(M)을 지지하도록 제 1 상하 이동실린더(255)의 자유단에 설치된다.
제 2 로딩/언로딩 유닛(200')은 제 2 레일(112)로부터 도포공정이 완료되어 배출되는 프레임(P)을 받는 언로더 역할과 제 1 레일(111)에 프레임(P)을 공급하는 로딩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제 2 로딩/언로딩 유닛(200')은 제 2 컨베이어유닛(210'), 제 2 푸셔(220'),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240') 및 제 2 이송유닛(250')을 포함한다.
제 2 컨베이어 유닛(210')은 본체(11)의 우측에 설치되어, 프레임(P)이 삽입된 매거진(M)을 이동시키며, 높이차이를 두고 설치되는 하단 제 2 컨베이어(211'), 중단 제 2 컨베이어(212'), 상단 제 2 컨베이어(213')를 포함한다. 하단, 중단 및 상단 제 1 컨베이어(211',212',213')는 연장부재(211'a, 212'a, 213'a)를 구비한다. 연장부재(211'a, 212'a, 213'a)는 각각 하단, 중단 및 상단 제 1 컨베이어(211',212',213')로부터 연장되어, 매거진(M)을 수평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제 2 푸셔(220')는 제 1 레일(111)상에 다수의 전자부품(E)이 실장된 프레임(P)을 로딩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 1 레일(11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제 2 푸셔(220')는 도 5와 같이, 매거진(M)의 슬릿(S)에 끼워진 프레임(P)을 밀어 줌으로써, 제 1 레일(111)상에 프레임(P)을 공급한다.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는 매거진(M)을 슬릿(S) 간격만큼 점차적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매거진(M)에 끼워진 프레임(P)을 순차적으로 제 1 레일(111)상에 로딩한다.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는 매거진(M)을 고정하여 하단 제 2 컨베이어(211')로부터 상단 제 2 컨베이어(213') 높이까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제 1 레일(111)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는 매거진(M)을 지지한 상태에서 슬릿(S)의 간격만큼 점차적으로 상승한다. 제 2 푸셔(220')는 매거진(M)에 끼워진 프레임(P)을 하나씩 밀어 줌으로써, 제 1 레일(111)상에 프레임(P)을 로딩한다. 매거진(M)으로부터 프레임(P)이 다 빠져나가 빈 매거진(M)이 되면,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는 빈 매거진(M)을 상단 제 2 컨베이어(213') 높이까지 상승시킨다. 이를 위해, 제 2 로딩 엘리베이터 유닛(230')은 제 2 로딩 엘리베이터 본체(231'), 연결부재(233') 및, 암(235')을 포함한다. 제 2 로딩 엘리베이터 본체(231')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에 연결부재(233')의 일측이 연결되고, 연결부재(233;'의 타측은 암(235')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암(235')은 하단 제 2 컨베이어(211')부터 상단 제 2 컨베이어(213') 높이까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240')는 매거진(M)을 지지하여 중단 제 2 컨베이어(212')부터 상단 제 2 컨베이어(213') 높이까지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제 2 레일(112)과 소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된다.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240')는 매거진(M)을 지지하여 제 2 레일(112)로부터 배출되는 도포공정이 완료된 프레임(P)이 매거진(M)의 슬릿(S)에 하나씩 끼워질 수 있도록 슬릿(S) 간격만큼 순차적으로 하부로 이동한다. 매거진(M)에 프레임(P)이 모두 끼워지면, 그 매거진(M)을 중단 제 2 컨베이어 유닛(212')로 넘겨준다. 이를 위해,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 (240')는,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과 마찬가지로,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 본체(241'), 연결부재(243'), 암(245')을 포함한다.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 본체(241')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슬라이드 홈에 연결부재(243')의 일측이 연결되고, 연결부재(243')의 타측은 암(245')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암(245')은 중단 제 2 컨베이어(212')부터 상단 제 2 컨베이어(213') 높이까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제 2 이송 유닛(250')은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로부터 빈 매거진(M)을 전달받아, 상단 제 2 컨베이어(213')로 이동시킨다. 이를 위해 제 2 이송 유닛(250')은 제 2 수평이동 실린더(251'), 제 2 상하 이동 실린더(255') 및 제 2 집게부재(253')를 포함한다. 제 1 수평이동 실린더(251')는 본체(11)의 우측 천장부 근에 고정되어 있어, 매거진(M)을 수평이동시키며, 제 2 상하이동실린더(255')는 제 2 수평이동 실린더(251')의 자유단에 설치되어 매거진(M)의 상하이동시킨다. 또한, 제 2 지게 부재(253')는 매거진(M)을 고정하도록 제 2 상하 이동실린더(255')의 자유단에 설치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언로딩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도포공정이 이루어지지 않은 다수의 프레임(P)이 삽입되어 있는 매거진(M2)을 중단 제 1 컨베이어(212) 및 하단 제 2 컨베이어(211')에 적재한다.
이하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M1은 빈 매거진, M2는 도포되지 않은 프레임이 삽입된 매거진, M3는 도포공정이 완료된 프레임이 삽입된 매거진으로 구분 표기한다.
이후, 도포유닛(10) 및 로딩/언로딩장치(2)에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이 시작되면, 중단 제 1 및 하단 제 2 컨베이어(212,211')에 적재된 매거진(M2)은 제 1 로딩 및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40,230')로 이동된다 (S1).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중단 제 1 컨베이어(212)의 매거진(M2)이 중단 제 1 컨베이어(212)의 연장부재(212a)로 전달되고, 하단 제 2 컨베이어(211')의 매거진(M2)은 제 2 컨베이어(211')의 연장부재(211'a)로 이동된다.
그런 다음,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중단 1 컨베이어(212)의 연장부재(212a)는 매거진(M2)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의 암(245)의 위치까지 이동하 도록 연장된다. 또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하단 제 2 컨베이어(211')의 연장부재(211'a)는 매거진(M)이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의 암(235')의 위치까지 이동하도록 연장된다. 이 경우,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의 암(245) 및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의 암(235')은 중단 1 컨베이어(212)의 연장부재(212a) 및 하단 제 2 컨베이어(211')의 연장부재(211'a)보다 낮은 위치에서 대기한다. 그런 다음, 도 2를 참조하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의 암(245)이 상승하고, 연장부재(212a)에 놓여진 매거진(M2)이 암(245)으로 옮겨진다. 암(245)에 놓여진 매거진(M2)의 상측단이 제 2 레일(112)과 동일한 위치가 되는 높이까지 메거진(M2)을 하강시킨다. 또한, 도 3를 참조하면, 제 2 로딩엘리베이터(230')의 암(235')이 상승하여, 연장부재(211'a)에 놓여진 매거진(M)이 암(235')으로 옮겨지면, 암(235')은 매거진(M)의 상측단이 제 1 레일(111)과 동일한 위치가 되는 높이까지 매거진(M)을 상승시킨다.
그러나,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의 암(245)에 놓여진 매거진(M2)에 삽입되어 있는 프레임(P)은 제 1 푸셔(220)에 의해 제 2 레일(112)상으로 로딩된다 (S2). 이 경우, 암(245)은 매거진(M2)의 슬릿(S)의 간격만큼 순차적으로 상승되도록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제 1 푸셔(220)가 매거진(M2)에 삽입되어 있는 프레임(P)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밀어 줌으로써, 프레임(P)이 제 2 레일(112)에 로딩된다. 한편, 매거진(M)에 삽입되어 있던 프레임(P)이 모두가 제 2 레일(112)에 로딩되어 빈 매거진(M1) 상태가 되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의 빈 매거진(M1)은 상단 제 1 컨베이어(213)로 옮겨진다(S3). 즉, 암(245)은 상단 제 1 컨베이어(213)의 연장부재(213a)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여 대기 하였다가, 연장부재(213a)가 암(245)의 위치까지 연장된 상태가 되면 암(245)이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암(245)에 놓여있던 빈 매거진(M1)은 연장부재(213a)로 옮겨지고, 이후, 연장부재(213a)가 수축하여 빈 매거진(M1)은 상단 제 1 컨베이어(213)에 옮겨진다.
또한,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의 암(235')에 놓여진 매거진(M2)에 삽입되어 있는 프레임(P)은 제 2 푸셔(220')에 의해 제 1 레일(111)상으로 로딩된다(S2). 이 경우, 암(235')은 매거진(M2)의 슬릿(S)의 간격만큼 순차적으로 상승되도록 이동하며, 이와 동시에 제 2 푸셔(220')가 매거진(M)에 삽입되어 있는 프레임(P)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밀어 줌으로써, 프레임(P)이 제 1 레일(111)에 로딩된다. 한편, 매거진(M2)에 삽입되어 있던 프레임(P)이 제 1 레일(111)에 모두 다 로딩되어 빈 매거진(M1) 상태가 되면,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상의 빈 매거진(M1)을 상단 제 2 엘리베이터(213')로 옮겨진다(S3). 즉, 암(235')은 상단 제 2 컨베이어(213')의 연장부재(213'a)의 높이까지 상승하여 대기한다. 이 상태에서 제 2 이송유닛(250')에 의해 암(235')에 놓여 있는 빈 매거진(M1)은 상단 제 2 컨베이어(213')로 옮겨지게 된다. 좀더 자세히 말하면, 제 2 집게부재(253')가 암(235')에 놓인 빈 매거진(M)을 잡은 후, 제 2 수평이동실린더 및 제 2 상하이동 실린더(251',255')에 의해 제 2 집게부재(253')에 있는 빈 매거진(M)은 상단 제 2 컨베이어(213')로 옮겨지게 된다.
제 1 및 제 2 레일(111,112)상에 로딩된 각각의 프레임(P)은 도포장치(10)에 의해 프레임(P)에 실장된 전자부품(E)에 수지를 도포한다. 이 경우,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 1 레일(111)에 놓여진 프레임(P)은 우측에서 좌측으로 즉 A 방향으로, 제 2 레일(112)에 놓여진 프레임(P)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즉 B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포공정이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제 2 레일(112)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P)를 언로딩하기 위한 빈 매거진(M1)이 암(245')에 놓여 대기상태에 있기 위해서는, 암(245')은 상단 제 2 컨베이어(213')로부터 빈 매거진(M1)을 받아온다(S4). 좀더 자세히 말하면, 빈 매거진(M)이 놓여진 상단 제 2 컨베이어(213)의 연장부재(213'a)가 연장하여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240')의 암(245')의 위치에 있으면, 암(245')이 연장부재(213'a)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여, 연장부재(213'a)에 놓여있던 빈 매거진(M1)이 암(245')으로 옮겨지고, 연장부재(213'a)가 수축되면, 암(245')은 하강하여 제 2 레일(112)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P)을 받도록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그런 다음, 도포공정이 완료되어 제 2 레일(112)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P)은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240')의 암(245')에 고정된 빈 매거진(M1)에 언로딩된다(S5). 이때, 암(245')은 매거진(M1)의 슬릿(S)의 간격만큼 순차적으로 하강하면서 제 2 레일(112)로부터 배출되는 도포과정이 완료된 프레임(P)을 다수의 슬릿(S)에 순차적으로 언로딩한다. 빈 매거진(M1)의 슬릿(S)에 프레임(P)이 다 삽입되면, 매거진(M3)은 중단 제 2 컨베이어(212')로 적재된다(S6). 암(245')은 중단 제 2 컨베이어(212')의 연장부재(212'a)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여 대기하다가, 연장부재(212'a)가 암(245')의 위치까지 연장되면, 암(245')이 하강되면서 암(245')에 놓여 있던 도포공정이 완료된 프레임(P)이 삽입된 매거진(M3)은 연장부재(212'a)로 옮겨진다. 이 후, 연장부재(212'a)가 수축되어 조립완료매거진(M3)을 중단 제 2 컨베이어(212')에 적재한다.
또한, 제 1 레일(111)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P)를 언로딩하기 위한 빈 매거진(M1)이 암(235)에 놓여 대기상태에 있기 위해서는, 암(235)은 빈 매거진(M1)을상단 제 1 컨베이어(213)로부터 받아온다(S4). 좀더 자세히 말하면, 암(235)이 상단 제 1 컨베이어(213)의 위치까지 상승해 있으면, 제 1 이송유닛(250)의 제 1 집게부재(253)가 상단 제 1 컨베이어(213)에 놓여진 빈 매거진(M1)을 잡아 제 1 수평 이동실린더 및 제 1 상하이동 실린더(250)의 상하/수평이동동작에 의해 빈 매거진(M1)을 암(235)에 옮겨놓는다. 이렇게 옮겨진 빈 매거진(M1)을 암(235)이 하강하여 제 1 레일(111)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P)이 언로딩되도록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도포공정이 완료되어 제 1 레일(111)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P)은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230)의 암(235)에 고정된 빈 매거진(M1)에 언로딩된다(S5). 이때, 암(235)은 매거진(M1)의 슬릿(S)의 간격만큼 순차적으로 하강하면서 제 2 레일(111)로부터 배출되는 도포과정이 완료된 프레임(P)을 다수의 슬릿(S)에 순차적으로 언로딩한다. 매거진(M1)의 슬릿(S)에 프레임(P)이 다 삽입되면, 암(235)은 하단 제 1 컨베이어(211)의 연장부재(211a)가 암(235) 위치까지 연장된 상태에서연장부재(211a)보다 낮은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암(235)에 놓여 있던 매거진(M3)은 연장부재(211)로 옮겨지고, 연장부재(211a)가 수축하여 매거진(M3)은 하단 제 1 컨베이어(211)에 저장된다(S6).
이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일을 가지는 도포장치에 적용된 로딩/언로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로딩/언로딩방법에 의하면 작업자가 도포공정을 하기 위한 프레임(P)이 삽입된 매거진(M2)을 중단 제 1 컨베이어(212) 및 하단 제 2 컨베이어(211')에 올려 놓기만 하면, 그 이후에 작업자가 수동으로 매거진을 이동하지 않아도 빈 매거진(M1)은 상단 제 1 및 제 2 컨베이어(213,213')에 저장되고, 조립완료매거진(M3)은 하단 제 1 컨베이어 및 중단 제 2 컨베이어(211,212')에 저장되기 때문에, 보다 용이하고 편리하게 로딩/언로딩과정이 이루어 질 수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에 따른 로딩/언로딩 방법에서는 빈 매거진(M1)이 모두 상단 제 1 컨베이어(213) 또는 상단 제 2 컨베이어(213')에 일시적재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제 1 이송 유닛(250) 및 제 2 이송유닛(250')에 의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240) 및 제 2 로딩 엘리베이터(230')에 있는 빈 매거진이 바로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230) 및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240')로 옮겨질 수 있다(S3).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일을 이용한 도포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일을 이용한 도포장치의 좌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멀티레일을 이용한 도포장치의 우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표시된 IV-IV선을 따라 나타낸 멀티레일을 이용한 도포장치의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매거진(M)에 끼어진 프레임(P)가 푸셔유닛에 의해 매거진으로부터 빠져나오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딩/언로딩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로딩/언로딩 방법을 나타낸 절차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로딩/언로딩장치
10... 도포장치 11... 본체
111, 112... 제 1 및 제 2 레일 121, 122... 제 1 및 제 2 히터유닛
131, 133... 제 1 및 제 2 디스펜서
200, 200'... 제 1 및 제 2 로딩/언로딩유닛
210, 210'... 제 1 및 제 2 컨베이어 유닛
220, 220'... 제 1 및 제 2 푸셔유닛
230, 230'...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 / 제 2 로딩엘리베이터
240, 240'... 제 1 로딩 엘리베이터 / 제 2 언로딩엘리베이터
250, 250'... 제 1 및 제 2 이송유닛

Claims (8)

  1. 도포장치의 일측에 설치되는 제 1 로딩/언로딩 유닛; 및
    도포장치의 타측에 설치되는 제 2 로딩/언로딩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딩/언로딩 유닛 각각은 전자부품을 상기 도포장치에 공급하는 로딩기능과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도포장치로부터 수납하는 언로딩기능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언로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딩/언로딩유닛은
    상기 전자부품을 제 1 컨베이어 유닛;
    상기 도포장치에 상기 전자부품이 공급되도록 상하이동가능한 제 1 로딩 엘리베이터;
    상기 도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전자부품을 언로딩하도록 상하이동가능한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 및
    상기 제 1 로딩 엘리베이터에 놓여있는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도포장치로 공급하는 제 1 푸셔;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로딩/언로딩유닛은
    상기 전자부품을 제 2 컨베이어 유닛;
    상기 도포장치에 상기 전자부품이 공급되도록 상하이동가능한 제 2 로딩 엘 리베이터;
    상기 도포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전자부품을 언로딩하도록 상하이동가능한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 및
    상기 제 1 로딩 엘리베이터에 놓여있는 상기 전자부품을 상기 도포장치로 공급하는 제 2 푸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언로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베이터 유닛은 높이 차에 따라 상단 제 1 컨베이어, 중단 제 1 컨베이어, 하단 제 1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컨베이터 유닛은 높이 차에 따라 상단 제 2 컨베이어, 중단 제 2 컨베이어, 하단 제 2 컨베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언로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제 1 컨베이어 및 상기 상단 제 2 컨베이어에는 로딩작업이 완료된 빈 매거진이 놓여지고,
    상기 하단 제 1 컨베이어 및 상기 중단 제 2 컨베이어에는 전체작업공정이 완료된 매거진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언로딩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중단 및 하단 제 1 컨베이어와, 상기 상단, 중단 및 하단 제 2 컨베이어 각각은 연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언로딩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딩/언로딩유닛은
    빈 매거진을 상기 상단 제 1 컨베이어에서 상기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로 옮기는 제 1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로딩/언로딩유닛은
    빈 매거진을 상기 제 2 로딩 엘리베이터에서 상기 상단 제 2 컨베이어로 옮기는 제 2 이송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언로딩장치.
  7. 중단 제 1 컨베이어에 적재된 매거진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로 이동되고, 하단 제 2 컨베이어에 적재된 매거진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로 이동되는 단계;
    제 1 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놓여진 프레임이 제 1 푸셔에 의해 제 2 레일상에 로딩되고, 제 2 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놓여진 프레임이 제 2 푸셔에 의해 제 1 레일상에 로딩되는 단계;
    제 1 로딩 엘리베이터상의 빈 매거진이 상단 제 1 컨베이어로 옮겨지고, 제 2 로딩 엘리베이터상의 빈 매거진이 상단 제 2 컨베이어로 옮겨지는 단계;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이 제 1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을 언로딩하기 위한 빈 매거진을 제 1 컨베이어로부터 받아오고,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이 제 2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을 언로딩하기 위한 빈 매거진을 상단 제 2 컨베이어로부터 받아오는 단계;
    도포공정이 완료되어 제 2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이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고정된 빈 매거진에 언로딩되고, 제 1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은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고정된 빈매거진에 언로딩되는 단계;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지지된 매거진의 슬릿에 프레임이 다 삽입되면 하단 제 1 컨베이어로 적재되고,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지지된 매거진의 스릿에 프레임이 삽입되면 중단 제 2 컨베이어로 적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언로딩방법.
  8. 중단 제 1 컨베이어에 적재된 매거진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로 이동되고, 하단 제 2 컨베이어에 적재된 매거진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로 이동되는 단계;
    제 1 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놓여진 프레임이 제 1 푸셔에 의해 제 2 레일상에 로딩되고, 제 2 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놓여진 프레임이 제 2 푸셔에 의해 제 1 레일상에 로딩되는 단계;
    제 1 이송유닛 및 제 2 이송유닛에 의해 제 1 로딩 엘리베이터 및 제 2 로딩 엘리베이터에 있는 빈 매거진이 바로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 및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로 옮겨지는 단계;
    도포공정이 완료되어 제 2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이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고정된 빈 매거진에 언로딩되고, 제 1 레일로부터 배출되는 프레임은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고정된 빈매거진에 언로딩되는 단계;
    제 1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지지된 매거진의 슬릿에 프레임이 다 삽입되 면 하단 제 1 컨베이어로 적재되고, 제 2 언로딩 엘리베이터의 암에 지지된 매거진의 스릿에 프레임이 삽입되면 중단 제 2 컨베이어로 적재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언로딩방법.
KR1020080057837A 2008-06-19 2008-06-19 전자부품의 로딩/언로딩장치 및 로딩/언로딩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975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837A KR100975633B1 (ko) 2008-06-19 2008-06-19 전자부품의 로딩/언로딩장치 및 로딩/언로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7837A KR100975633B1 (ko) 2008-06-19 2008-06-19 전자부품의 로딩/언로딩장치 및 로딩/언로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871A KR20090131871A (ko) 2009-12-30
KR100975633B1 true KR100975633B1 (ko) 2010-08-17

Family

ID=41690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78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5633B1 (ko) 2008-06-19 2008-06-19 전자부품의 로딩/언로딩장치 및 로딩/언로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184B1 (ko) 2015-08-20 2016-11-15 주식회사 두오텍 리드 프레임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552A (ko) * 2000-09-08 2000-12-05 송재식 칩 패키지용 디스펜싱장치
KR100327170B1 (ko) 1999-02-03 2002-03-13 최녹일 반도체칩 제조용 듀얼 로봇 디스펜싱장치
JP2002176090A (ja) 2000-12-07 2002-06-21 Anelva Corp インライン式基板処理装置
KR20040078723A (ko) * 2003-03-04 2004-09-13 주식회사 쎄크 4헤드 포팅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7170B1 (ko) 1999-02-03 2002-03-13 최녹일 반도체칩 제조용 듀얼 로봇 디스펜싱장치
KR20000072552A (ko) * 2000-09-08 2000-12-05 송재식 칩 패키지용 디스펜싱장치
JP2002176090A (ja) 2000-12-07 2002-06-21 Anelva Corp インライン式基板処理装置
KR20040078723A (ko) * 2003-03-04 2004-09-13 주식회사 쎄크 4헤드 포팅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184B1 (ko) 2015-08-20 2016-11-15 주식회사 두오텍 리드 프레임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1871A (ko)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35795B2 (ja) 物品搬送設備
TWI418505B (zh) Items storage equipment
JP5700119B2 (ja) ロードポート装置、搬送システム、及びコンテナ搬出方法
CN101209774B (zh) 用于被输送物体的存储设备
KR102409613B1 (ko) 물품 반송 설비
CA2601564A1 (en) Object loading and unloading conveyance device
CN109843751B (zh) 高架输送车以及输送系统
WO2014029202A1 (zh) 悬挂式自动存取系统
US20090022575A1 (en) Article storing apparatus
CN101445185B (zh) 储物调出、放入和在支承单元上装卸的方法及仓库装置
CN110461755B (zh) 用于在电梯设备的电梯竖井中执行安装过程的方法和装配装置
CN214582316U (zh) 烘干固化炉装置
JP6705227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KR100975633B1 (ko) 전자부품의 로딩/언로딩장치 및 로딩/언로딩방법
KR101509188B1 (ko) Ssd 트레이 및 ssd 로딩 및 언로딩 장치
JP2009154983A (ja) 保管庫及び入出庫方法
CN103448986A (zh) 一种储料架
KR100960830B1 (ko) 멀티 레일을 이용한 도포 장치 및 도포 방법
JP6476868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EP3272682A1 (en) Pallet handling device, palletizing apparatus and pallet handling method
JP5258122B2 (ja) 荷運搬具供給排出装置
CN213895046U (zh) 一种新型箱式提升机
KR101411163B1 (ko) 트레이 공급 장치 및 방법
CN103274215A (zh) 设备前端装置和硅片盒的储运方法
CN210504642U (zh) 一种电动汽车充电桩生产线的上下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80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8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8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8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9

Year of fee payment: 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309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3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51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3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