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280B1 -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5280B1 KR100975280B1 KR20090099230A KR20090099230A KR100975280B1 KR 100975280 B1 KR100975280 B1 KR 100975280B1 KR 20090099230 A KR20090099230 A KR 20090099230A KR 20090099230 A KR20090099230 A KR 20090099230A KR 100975280 B1 KR100975280 B1 KR 1009752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supply unit
- pyrolysis
- fuel
- composi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02—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 F23G5/027—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with pretreatment pyrolising or gasifying stag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2201/00—Pretreatment
- F23G2201/30—Pyrolysing
- F23G2201/304—Burning pyrosoli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40—Valorisation of by-products of wastewater, sewage or 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Description
상기 폐기물이 고온의 열에 의해 열분해되는 열분해모듈(10);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30); 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유체에서 기체 및 액체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모듈(40); 상기 기화모듈(40)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 또는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킨 후, 상기 연소 시 발생된 열을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하거나,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시키는 복합공급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 상기 열분해모듈(10)과 연결된 복합바디(52); 상기 복합바디(52)에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켜 상기 열분해모듈(10)로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블로워(54); 상기 기화모듈(40)로부터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모듈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공급부(110); 상기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공급부(120); 상기 가스공급부(100) 또는 상기 연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냉각수공급부(110)에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는 복합공급부(90)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열분해모듈(10)은 상기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투입구(65)가 형성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모듈(30)로 안내하는 이너배기구(62)가 형성된 이너탱크(60); 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바디(52)와 연통되어 열을 공급받는 미들탱크(70); 미들배기구(72)를 통해 상기 미들탱크(70)와 연통되고, 상기 미들탱크(70)를 감싸게 형성된 아우터탱크(80); 상기 투입구(65)를 개폐시키는 도어(1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바디(52)는 상기 블로워(54)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미들탱크(70)로 안내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들탱크(70)는 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된 미들탱크바디(71); 상기 미들탱크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복합바디와 연통된 미들유입구(74); 상기 미들탱크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탱크와 연통된 상기 미들배기구(72)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유입구(74) 및 상기 미들배기구(72)는 상기 미들탱크바디를 기준으로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상기 미들유입구(74), 상기 복합바디(52) 및 상기 블로워(54)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우터탱크(80)는 상기 미들배기구(72)를 통해 토출된 기체를 상기 미들탱크(70) 외측에서 나선형으로 유동시키는 나선유로(8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스공급부(100)는 상기 기화모듈(40)과 연결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메인가스공급관(102);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가스공급관(104);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및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06)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공급부(110)는 상기 냉각모듈(30)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냉각수공급관(112);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냉각수공급관(114);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및 상기 서브냉각수공급관(11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16)를 포함하며, 상기 연료공급부(120)는 연료탱크(125); 상기 연료탱크(125)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연료관(122); 상기 메인연료관(12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연료관(124); 상기 메인연료관(122) 및 상기 서브연료관(12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2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기물이 고온의 열에 의해 열분해되는 열분해모듈(10);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30);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유체에서 기체 및 액체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모듈(40); 상기 기화모듈(40)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 또는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킨 후, 상기 연소 시 발생된 열을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하거나,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시키는 복합공급모듈(50)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 상기 열분해모듈(10)과 연결된 복합바디(52); 상기 복합바디(52)에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켜 상기 열분해모듈(10)로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블로워(54); 상기 기화모듈(40)로부터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모듈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공급부(110); 상기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공급부(120); 상기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수공급부(110) 또는 상기 연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는 복합공급부(90)를 포함하며,
상기 열분해모듈(10)은 상기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투입구(65)가 형성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모듈(30)로 안내하는 이너배기구(62)가 형성된 이너탱크(60); 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바디(52)와 연통되어 열을 공급받는 미들탱크(70); 미들배기구(72)를 통해 상기 미들탱크(70)와 연통되고, 상기 미들탱크(70)를 감싸게 형성된 아우터탱크(80); 상기 투입구(65)를 개폐시키는 도어(15)를 포함하고,
상기 가스공급부(100)는 상기 기화모듈(40)과 연결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메인가스공급관(102);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가스공급관(104);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및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06)를 포함하고, 상기 냉각수공급부(110)는 상기 냉각모듈(30)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냉각수공급관(112);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냉각수공급관(114);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및 상기 서브냉각수공급관(11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16)를 포함하고, 상기 연료공급부(120)는 연료탱크(125); 상기 연료탱크(125)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연료관(122); 상기 메인연료관(12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연료관(124); 상기 메인연료관(122) 및 상기 서브연료관(12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26)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Claims (13)
-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상기 폐기물이 고온의 열에 의해 열분해되는 열분해모듈(10);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30);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유체에서 기체 및 액체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모듈(40);상기 기화모듈(40)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 또는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킨 후, 상기 연소 시 발생된 열을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하거나,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시키는 복합공급모듈(50)을 포함하고,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상기 열분해모듈(10)과 연결된 복합바디(52);상기 복합바디(52)에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켜 상기 열분해모듈(10)로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블로워(54);상기 기화모듈(40)로부터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가스공급부(100);상기 냉각모듈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공급부(110);상기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공급부(120);상기 가스공급부(100) 또는 상기 연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거나 또는 상기 냉각수공급부(110)에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는 복합공급부(90)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열분해모듈(10)은상기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투입구(65)가 형성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모듈(30)로 안내하는 이너배기구(62)가 형성된 이너탱크(60);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바디(52)와 연통되어 열을 공급받는 미들탱크(70);미들배기구(72)를 통해 상기 미들탱크(70)와 연통되고, 상기 미들탱크(70)를 감싸게 형성된 아우터탱크(80);상기 투입구(65)를 개폐시키는 도어(15)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복합바디(52)는상기 블로워(54)에서 토출된 공기를 상기 미들탱크(70)로 안내하게 구성된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미들탱크(70)는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된 미들탱크바디(71);상기 미들탱크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복합바디와 연통된 미들유입구(74);상기 미들탱크바디에 형성되어 상기 아우터탱크와 연통된 상기 미들배기구(72)가 형성되고,상기 미들유입구(74) 및 상기 미들배기구(72)는 상기 미들탱크바디를 기준으로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상기 미들유입구(74), 상기 복합바디(52) 및 상기 블로워(54)는 일렬로 배치된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상기 아우터탱크(80)는상기 미들배기구(72)를 통해 토출된 기체를 상기 미들탱크(70) 외측에서 나선형으로 유동시키는 나선유로(84)가 더 형성된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가스공급부(100)는상기 기화모듈(40)과 연결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메인가스공급관(102);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가스공급관(104);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및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06)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냉각수공급부(110)는상기 냉각모듈(30)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냉각수공급관(112);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냉각수공급관(114);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및 상기 서브냉각수공급관(11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16)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연료공급부(120)는연료탱크(125);상기 연료탱크(125)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연료관(122);상기 메인연료관(12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연료관(124);상기 메인연료관(122) 및 상기 서브연료관(12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26)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폐기물을 열분해시키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상기 폐기물이 고온의 열에 의해 열분해되는 열분해모듈(10);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유체를 냉각시키는 냉각모듈(30);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면서 냉각된 유체에서 기체 및 액체를 분리시키고, 상기 분리된 액체를 가열하여 기화시키는 기화모듈(40);상기 기화모듈(40)에서 분리된 상기 기체 또는 연료를 공급받아 연소시킨 후, 상기 연소 시 발생된 열을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하거나, 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상기 열분해모듈(10)에 공급시키는 복합공급모듈(50)을 포함하고,상기 복합공급모듈(50)은상기 열분해모듈(10)과 연결된 복합바디(52); 상기 복합바디(52)에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켜 상기 열분해모듈(10)로 고속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블로워(54); 상기 기화모듈(40)로부터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공급받는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모듈로부터 상기 냉각수를 공급받는 냉각수공급부(110); 상기 연료를 공급받는 연료공급부(120); 상기 가스공급부(100), 상기 냉각수공급부(110) 또는 상기 연료공급부(120)에서 공급된 유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복합바디(52)에 공급하는 복합공급부(90)를 포함하며,상기 열분해모듈(10)은상기 폐기물이 투입될 수 있도록 일측이 개구된 투입구(65)가 형성되고, 상기 폐기물의 열분해 과정에서 생성된 상기 유체를 상기 냉각모듈(30)로 안내하는 이너배기구(62)가 형성된 이너탱크(60);상기 이너탱크(60)를 감싸게 형성되고, 상기 복합바디(52)와 연통되어 열을 공급받는 미들탱크(70);미들배기구(72)를 통해 상기 미들탱크(70)와 연통되고, 상기 미들탱크(70)를 감싸게 형성된 아우터탱크(80);상기 투입구(65)를 개폐시키는 도어(15)를 포함하고,상기 가스공급부(100)는상기 기화모듈(40)과 연결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메인가스공급관(102);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가스공급관(104); 상기 메인가스공급관(102) 및 상기 서브가스공급관(10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06)를 포함하고,상기 냉각수공급부(110)는상기 냉각모듈(30)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냉각수공급관(112);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냉각수공급관(114); 상기 메인냉각수공급관(112) 및 상기 서브냉각수공급관(11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16)를 포함하고,상기 연료공급부(120)는연료탱크(125); 상기 연료탱크(125) 및 상기 복합공급부(90)를 연결시키는 메인연료관(122); 상기 메인연료관(122)에서 바이패스되어 상기 복합공급부(90)에 연결된 서브연료관(124); 상기 메인연료관(122) 및 상기 서브연료관(124)을 분지시키는 바이패스밸브(126)를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기화모듈(40)은상기 냉각모듈(30)에서 공급된 유체가 저장되는 기화모듈바디(41);상기 기화모듈바디(41) 및 상기 냉각모듈(30)을 연결시켜 상기 냉각모듈(30)을 통과하며 냉각된 유체를 공급받도록 배치된 유체유입구(44);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 저장된 유체 중 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서 토출된 기체를 상기 복합공급모듈(50)에 공급하는 유체배기구(42);상기 기화모듈바디(41)에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기화모듈바디(41) 내부에 저장된 액체를 가열시키는 가열수단(43)을 포함하는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99230A KR100975280B1 (ko) | 2009-10-19 | 2009-10-19 |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090099230A KR100975280B1 (ko) | 2009-10-19 | 2009-10-19 |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5280B1 true KR100975280B1 (ko) | 2010-08-12 |
Family
ID=42759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090099230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5280B1 (ko) | 2009-10-19 | 2009-10-19 |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528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9679B1 (ko) | 2009-12-01 | 2012-01-31 | (주)메덱스피아 |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방법 |
WO2013142930A1 (pt) * | 2012-03-29 | 2013-10-03 | Bonetti Valdinei Antonio Domingues | Sistema para reaproveitamento de matéria orgânica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1606B1 (ko) | 2000-11-06 | 2003-12-18 | 주식회사 대경크리코 | 열분해 용융 방식을 이용한 폐기물 소각시스템 |
KR100538441B1 (ko) | 2002-05-15 | 2005-12-22 | 박수규 | 수소가스를 이용한 사체 열분해가스화용융사리화 화장시스템 |
KR100686370B1 (ko) | 2003-07-28 | 2007-02-22 | 구재완 | 연속식 액상 및 고상의 폐기물 열분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2009
- 2009-10-19 KR KR20090099230A patent/KR100975280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11606B1 (ko) | 2000-11-06 | 2003-12-18 | 주식회사 대경크리코 | 열분해 용융 방식을 이용한 폐기물 소각시스템 |
KR100538441B1 (ko) | 2002-05-15 | 2005-12-22 | 박수규 | 수소가스를 이용한 사체 열분해가스화용융사리화 화장시스템 |
KR100686370B1 (ko) | 2003-07-28 | 2007-02-22 | 구재완 | 연속식 액상 및 고상의 폐기물 열분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9679B1 (ko) | 2009-12-01 | 2012-01-31 | (주)메덱스피아 |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방법 |
WO2013142930A1 (pt) * | 2012-03-29 | 2013-10-03 | Bonetti Valdinei Antonio Domingues | Sistema para reaproveitamento de matéria orgânica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6897B1 (ko) | 가연성 폐기물의 열분해 처리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 폐기물처리 방법 | |
KR20110103315A (ko) | 폐기물 처리 시스템 | |
KR100670856B1 (ko) | 가연성 폐기물 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 방법 | |
KR100975280B1 (ko) |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
KR101788165B1 (ko) | 고분자 폐기물 고온소각장치 | |
KR101109679B1 (ko) | 열분해장치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방법 | |
WO2010053223A1 (en) | Waste incinerator and cogeneration system using the same | |
KR101723818B1 (ko) | 완전연소 시스템 및 완전연소 시스템의 운용 방법 | |
KR101415450B1 (ko) | 고형 폐기물의 연소설비 | |
KR101044841B1 (ko) | 진공방식 탄화로를 이용한 가연성 폐기물 처리시스템 | |
KR100777616B1 (ko) | 고탄소성 산업폐기물의 저온 열분해장치 | |
KR20080000207A (ko) | 동물 사체 및 폐목 소각 시설 | |
KR20230006750A (ko) | 분해로와 연소로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 |
KR200432376Y1 (ko) | 가연성 폐기물 처리 장치 | |
KR100893389B1 (ko) | 연소장치를 구비한 열회수시스템 | |
KR101071576B1 (ko) | 열분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장치 | |
KR102046329B1 (ko) | 온수 및 열풍용 소각 장치 | |
KR100822870B1 (ko) | 연소로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스템 | |
KR20100076757A (ko) | 분해로와 연소로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의 열분해 시스템 | |
US20190195490A1 (en) | Boiler apparatus for waste incineration | |
KR100799349B1 (ko) | 열분해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처리시스템 | |
KR200332773Y1 (ko) | 쓰레기 소각 시스템 | |
LT5938B (lt) | Padangų, gumos, plastiko, automobilių tepalo filtrų ir medienos plokščių atliekų utilizavimo ir šildymo įrenginys bei jo veikimo būdas | |
KR20050018473A (ko) | 쓰레기 소각 시스템 | |
JP2002061808A (ja) | 液体燃料燃焼装置用バーナ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1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0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8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8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7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