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239B1 - The device which keeps the personal cup - Google Patents
The device which keeps the personal cup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4239B1 KR100974239B1 KR1020100030914A KR20100030914A KR100974239B1 KR 100974239 B1 KR100974239 B1 KR 100974239B1 KR 1020100030914 A KR1020100030914 A KR 1020100030914A KR 20100030914 A KR20100030914 A KR 20100030914A KR 100974239 B1 KR100974239 B1 KR 1009742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up
- main body
- personal
- storage mechanism
- sp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101100327917 Caenorhabditis elegans chup-1 gene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41001122767 Theaceae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0000035622 drink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034 dec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54 decomposi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20 organ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3/00—Other table equipment
- A47G23/02—Glass or bottle holders
- A47G23/0208—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 A47G23/0216—Glass or bottle holders for drinking-glasses, plastic cups, or the like for one glass or cup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34—Pencil boxes; Pencil etuis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14—Photograph stand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06—Humidity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6—Temperature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
- A47G2200/18—Time
- A47G2200/183—Time indicato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4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7G19/00-A47G23/16
- A47G2400/02—Hygiene
Landscapes
- Table Devices O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나 차를 담아 필요시 마실 수 있는 개인용 컵(1)을 보관하는 기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컵(1)을 수용하는 공간(11)을 구비하고 저면으로부터 결합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고무패드(12)를 구비하는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수용하는 공간(11)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컵(1)의 입구를 밀봉 상태로 지지하는 누름판(20);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소정의 수용부(31)를 구비하는 꽂이수단(30); 상기 본체(10) 상면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조절홈(41)을 형성한 각도조절대(45)를 구비하는 알림판(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구조가 경박단소함에 따라 개인용 컵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고,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 가능함과 함께 책상의 정리정돈이 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꽂이수단과 알림판이 개재되어 장식미와 함께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chanism for storing a personal cup (1) containing a drink or tea for drinking if necessary: having a space (11)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cup (1) and coupled from the bottom and preventing slipping A main body 10 having a rubber pad 12; And a pressing plate 20 installed on the space 11 for accommodating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supporting the inlet of the accommodated cup 1 in a sealed state. A mounting means (30) detachably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portion (31);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otification plate 40 having an angle adjuster 45, which is integrally rotatably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formed with an adjustment groove 41 at one end.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tructure is light and simple, the personal cup is always kept in a clean state, and can be stored in a state not significantly restricted by the space, and the arrangement of the desk is possible, and with this, the means for signing and the notice board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ttach and detach as necessary with the decorative taste interposed there is an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음용수를 담아 필요시 마실 수 있는 개인용 컵을 보관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조가 경박단소함에 따라 개인용 컵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면서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 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꽂이수단과 알림판이 개재되어 장식미와 함께 제품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개인용 컵 보관기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storing a drinking cup of drinking water when needed, and more specifically, the structure is light and simple, keeping the personal cup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while keeping the space is not significantly limited space It is possible, and together with the means and the notice board is interposed with a personal cup storage mechanism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together with the decoration.
근래에 들어 요즘 현대인들은 대부분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장시간 업무를 수행함에 따라 수시로 음료나 차 또는 물을 마시는 일이 빈번하며 이에 따라 개인용으로 컵을 하나이상 비치해 두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컵은 업무를 수행하는 주변 즉, 책상의 상단에 항상 비치해 두고 업무를 수행하면서 필요시 마시게 되는데 업무에 집중해 있다 보면 자신도 모르고 컵의 위치를 인식하지 못하여 팔이나 손 또는 기타 물건으로 컵을 쓰러뜨려 내용물이 책상에 쏟아지거나 심지어 바닥으로 컵을 떨어뜨려 파손 되는 행위가 매우 빈번히 발생되어 왔다. 특히, 컵을 장시간 비치해 두면 외부로부터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침투 할 우려가 발생되어 위생적으로 불결할 뿐더러 책상의 상단에 일정하지 않는 컵의 위치상으로 비치해 둠에 따라 정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Nowadays, most of modern people are working for a long time indoors, such as office, often drink, tea, or water frequently, and thus have more than one cup for personal use. These cups are always kept at the top of the desk, that is, at the top of the desk, and you can drink them when you need them. When you concentrate on your work, you don't know the location of the cup, It has been very often the case that the cup is knocked down and its contents are spilled on the desk or even dropped by dropping the cup to the floor. Particularly, if the cup is kept for a long time, foreign matter or dust may penetrate from the outside, which is not only sanitary but also ha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arranged due to the non-uniform position of the cup on the top of the desk. .
이외에도, 자판기 보급이 확산됨에 따라 일회용 컵의 사용량이 증가되는데, 이러한 일회용 컵 또한 하루에 여러 번 사용할 수 있지만 보관이 용이하지 않아 한번 쓰고 버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일회용 컵으로 인한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되어 환경오염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사용을 규제하는 캠페인이 일기도 하고 일회용 컵 회수대 설치를 통하여 자원화하려는 움직임도 있다. 그럼에도 일회용 컵의 사용량을 줄이는 근본적인 대책이 되지 않는 폐단이 있다.In addition, as the spread of the vending machine spreads, the usage amount of the disposable cups is increased, and such disposable cups can also be used several times a day, but there is a problem that they are not easily stored and used once. In other words, the amount of garbage generated by disposable cups is increased, and as a cause of environmental pollution, a campaign to regulate the use of the weather is also made, and there is a movement to make resources by installing disposable cup collection tables. Nevertheless, there are closures that are not fundamental measures to reduce the use of disposable cups.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83991호에 의하면, 좌우 수납부와, 복수개의 수분통과공이 형성된 수분분리대와, 상기 수분분리대의 하부에 구비되는 좌ㅇ우 수분배출함과, 상기 수납부의 상측 소정부위에 구비되는 걸이대를 일체로 포함하여 본체를 구성하고; 상기 걸이대의 상부에는 중앙통공을 구비된 상판과, 원통관 형상을 이루는 컵유도부와; 상기 컵유도부의 내외측에 복수개 구비된 내외측 세로대와, 손잡이가 일체로 포함된 깔대기가 안착결합되되; 상기 걸이대는 직선막대형의 전후면 장착부와, 반원형의 사용부로 구분구성되며, 상기 장착부와 사용부의 연결부위는 일정한 폭의 단턱을 형성하여 수거봉투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성을 제안한다.For example, according to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383991, the left and right accommodating portion, the water separator formed with a plurality of water passage holes, the left and right water discharg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water separator, and the upper side of the housing A main body is integrally included with a hanger provided at a predetermined portion; An upper plate provided with a central through hole in the upper part of the hanger, and a cup induction part forming a cylindrical tube shape; Inner and outer longitudinal rods provided in a plurality of inner and outer sides of the cup induction portion, and a funnel containing a handle integrally seated; The hanger is divided into a straight rod front and rear mounting portion and a semi-circular use portion, the connection portion of the mounting portion and the use portion to form a step of a constant width to propose a configuration to prevent the separation of the collection bag.
이는 1장씩 인출되는 수거봉투로 다량으로 일회용 컵을 수거하여 재활용 과정에서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지만, 외형이 커서 설치공간에 제약이 따를 뿐 아니라 일회용 컵의 재사용을 위한 위생적 보관이 곤란하여 쓰레기 발생량을 줄이는 효과가 크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This is a collection bag that is drawn out one by one, and it is effective to collect a large amount of disposable cups for the convenience of the recycling process.However, it is difficult to sanitize for reuse of disposable cups due to its large appearance, which constrains the installation space.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the effect of reducing the amount of waste generated is not great.
다른 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52993호에 의하면, 지지대(10)의 양 측면으로 고정 설치되어 통상의 컵들이 수납 지지되는 다수의 원형 홀더(14A)(14B)와, 상기의 수납된 컵(40)을 받침하기 위해 상기 원형 홀더(14A)(14B)의 하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고정 설치되는 받침링(22)과, 상기 받침링(22)이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받침함과 동시에 지지대(10)가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받쳐주기 위한 받침다리(30,32) 및 상기의 지지대(10)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절곡 형성되어져 휴대 운반시 파지하기 위한 손잡이(12)로 구성되는 기술을 제안한다.As another example, according to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152993, a plurality of circular holders 14A and 14B fixedly installed at both sides of the
이는 다수의 컵을 한꺼번에 수납 보관이 용이하고 휴대 운반을 안정되고 위생적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으나, 일회용 컵의 재사용을 위해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위생적으로 보관하는 측면에서 여전히 개선의 여지가 크다.Although it has been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cups can be easily stored and stored at a time, and portable transportation can be stable and hygienic,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terms of hygienic storage so that foreign substances do not enter for reuse of disposable cups.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조가 경박단소함에 따라 개인용 컵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고,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 가능함과 함께 책상의 정리정돈이 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꽂이수단과 알림판이 개재되어 장식미와 함께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개인용 컵 보관기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fundamentally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and as the structure is light and simple, the personal cup is always kept in a clean state, and can be stored in a state not greatly restricted by the space of the desk.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ersonal cup storage mechanism that can be organized and, in addition, interposed with a hook means and a notice board, which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according to necessity together with the decorative taste and can be efficiently used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료나 차를 담아 필요시 마실 수 있는 개인용 컵을 보관하는 기구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컵을 수용하는 공간을 구비하고, 저면으로부터 결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패드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공간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컵의 입구를 밀봉 상태로 지지하는 누름판; 상기 본체의 일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소정의 수용부를 구비하는 꽂이수단; 및 상기 본체의 상면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조절홈을 형성한 각도조절대를 구비하는 알림판;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evice for storing a personal cup that can be drunk when needed, including a drink or tea, comprising: a rubber pad having a space for accommodating at least one cup and being coupled from the bottom to prevent slipping; A main body having a; A pressing plate installed on the sp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movable up and down and supporting the inlet of the accommodated cup in a sealed state; A mounting means detachably mounted to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portion; And a notice plate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so as to be rotatable integrally and having an angle adjuster having an adjustment groove formed at one end thereof.
이때, 본 발명의 상기 누름판은 상면으로 하나이상의 요철홈과 배출공을 구비하고, 복수의 지점에서 절개하여 하방향으로 절곡한 탄성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press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surface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uneven grooves and discharge holes, and provided with an elastic piece cut in a plurality of points bent downward.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꽂이수단은 본체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돌부 또는 걸림홈 중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one or more of one or more locking projections or locking grooves to facilitate the removal from the main body.
이때, 본 발명의 상기 꽂이수단의 수용부는 그 형상이 원형 또는 각형 중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t this time, the receiving portion of the mount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ircle or a square.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알림판은 사진 또는 달력을 개재하도록 형성하거나, 시계 또는 온ㆍ습도계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notice boar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so as to interpose a photo or calendar, or to be equipped with a clock or a hygrometer.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the inventors should us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explain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s and concepts corresponding to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properly defined.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alternatives may be substituted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개인용 컵 보관기구는 구조가 경박단소함에 따라 개인용 컵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고,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 가능함과 함께 책상의 정리정돈이 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꽂이수단과 알림판이 개재되어 장식미와 함께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in the abov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the personal cup storag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kept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as the structure is light and simple, and can be stored in a state not significantly restricted by the space and the arrangement of the desk Arrangement is possible, and with the interlocking means and notice board interposed, it is possible to remove and attach as needed with the decoration, which can be effectively used to provid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의 주요부의 작동상태를 나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관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를 사용되는 적용예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ploded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part of the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tate of use using the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n exploded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n application example using the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의 주요부의 작동상태를 나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를 사용하는 사용상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n exploded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main part of the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invention, 4 is a state diagram using the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음료나 차를 담아 필요시 마실 수 있는 개인용 컵(1)을 보관하는 기구에 관련되며, 특히 개인용 컵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하면서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도록 보관하는 보관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개인용 컵(1)을 보관하는 보관기구는 본체(10), 누름판(20), 꽂이수단(30) 및 알림판(40)를 주요 구성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chanism for storing a personal cup (1) that can be stored if necessary to drink beverages or tea, and more particularly relates to a storage mechanism for keeping the personal cup in a clean state at all times without being greatly constrained by space.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mechanism for storing the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컵(1)을 수용하는 공간(11)을 구비하는 본체(10)는 저면으로부터 결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패드(12)를 구비한다. 본체(10)는 도 1 내지 도 4처럼 정면 상에 공간(11)이 구비되는데, 이는 ㄷ자형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개인용 컵(1)을 수용한다. 그리고 본체(10)는 저면에 합성수지재로 형성된 연질의 고무패드(12)가 결합되어 바닥면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에 따라, 본체(10)는 고무패드(12)에 의해 외부의 힘에 의해 유동이 방지된다. 그리고 도면을 통하여 도시하지 않았지만, 고무패드(12)는 본체(10)로부터 일체 또는 분리형으로 형성 가능하다 할 것이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흡착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서나 본체(10)를 바닥면으로부터 고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고무패드(12)에 국한되지 않는다할 것이다.Accordingly, the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수용하는 공간(11)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누름판(20)은 수용된 컵(1)의 입구를 밀봉 상태로 지지한다. 누름판(20)은 도 1 내지 도 4처럼 컵(1)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고, 후단에 형성된 후크(도면번호 미부여)를 이용하여 본체(10)의 내부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누름판(20)은 컵(1)의 저면 또는 상면에 접하면서 본체(10)의 상측으로 컵(1)을 밀어 입구를 밀봉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누름판(20)은 상면으로 하나 이상의 요철홈(21)과 배출공(22)을 구비하고, 복수의 지점에서 절개하여 하방향으로 절곡한 탄성편(25)을 구비한다. 도 2a처럼 탄성편(25)은 누름판(20)의 일측에 1개, 타측에 각각 2개의 지점에서 절개하여 절곡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누름판(20)은 탄성편(25)에 의해 본체(10)의 저면에 접촉되어 상측으로 탄성력이 작용한다. 물론 탄성편(25) 대신에 별도의 압축스프링을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그리고 누름판(20)은 상면으로 하나 이상의 요철홈(21)과 배출공(22)을 구비하는데, 이는 컵(1)의 내용물이나 외주면에 묻은 액체가 소량으로 흘러내려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시 컵(1)의 청결을 유지하도록 한다. 즉, 컵(1)의 내용물이 흘러내리면, 요철홈(21)의 사이로 흘러내려 배출공(22)으로 내용물이 배출되어 컵(1)의 바닥면이 더럽히지 않게 된다. 물론 컵(1)을 헹구거나 씻어서 입구를 누름판(20)으로부터 뒤집어 놓을 경우에도 요철홈(21)과 배출공(22)으로 물기가 빠지게 되고, 컵(1) 내부에 공기가 통하게 됨에 따라 건조되어 청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And th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꽂이수단(30)은 소정의 수용부(31)를 구비한다. 꽂이수단(30)은 도 1 내지 도 4처럼 본체(10)의 일면, 즉 배면으로부터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데, 이는 본체(10)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돌부(32) 또는 걸림홈(33) 중 택일하여 구비한다. 꽂이수단(30)은 후크방식의 걸림돌부(32)를 사용한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는 사용자의 공간에 따른 배치 및 용도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분리형으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일체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할 것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means 30 detachably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즉, 본체(10)와 꽂이수단(30)은 본체(10)의 일면에는 하나 이상의 관통공(도면번호 미부여)을 구비하고, 이와 대응되게 꽂이수단(30)의 일면에 후크를 지닌 걸림돌부(32)를 구비하여 상호 탈부착되는 방식이다. 이러한 후크방식의 걸림돌부(32)로 구비할 경우에는 꽂이수단(30)을 본체(10)에 한번 장착하면 거의 분리를 하지 않을 경우에 용이하다. 즉, 후크방식의 걸림돌부(32)는 꽃이수단(30)과 본체(10)를 더욱 긴밀하고 강도 있는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That is, the
그리고 꽂이수단(30)은 그 형상이 원형 또는 각형 중 택일하여 구비하는 수용부(31)가 구비되는데, 이는 다양한 물건 및 기구를 수납하여 정리할 수 있어 컵 보관기구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도 1 내지 도 4처럼 꽂이수단(30)의 수용부(31)는 원형으로 형성할 경우 필기구와 같은 물건 등을 수납하기 위한 것으로, 각형으로도 적용이 가능하다할 것이다.And the receiv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본체(10) 상면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알림판(40)은 일단에 조절홈(41)을 형성한 각도조절대(45)를 구비한다. 알림판(40)은 도 1 내지 도 4처럼 본체(10)와 성형시 동시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면의 끝단부에 미세한 크기로 형성된 이음부를 통하여 일체로 구비한다. 따라서 알림판(40)은 본체(10)로부터 이음부를 기준하여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러한, 알림판(40)의 일단에 각도조절대(45)를 구비하는데, 각도조절대(45)는 알림판(40)으로부터 이음부를 기준하여 회동이 가능한 바, 각도조절대(45)의 일단에는 알림판(40)의 다양한 시야각을 조절하고 고정할 수 있도록 하나 이상의 조절홈(41)을 구비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홈(41)은 본체(10)에 형성된 고정돌부(도면번호 미부여)에 삽입 장착되는 것으로 비교적 손쉽게 알림판(4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알림판(40)은 사진 또는 달력을 개재하도록 형성하거나, 시계 또는 온ㆍ습도계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데, 도 1 내지 도 4에서는 사진 또는 달력을 적용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알림판(4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데, 상술한 본체(10)와 꽂이수단(30)을 결합하는 것처럼 후크방식 또는 슬랏 방식에 의해 다른 객체를 더 장착할 수 있다.This, provided with an
일예로, 도 4처럼 가족이나 애인 등의 사진을 개재하기 위해 소정의 두께의 공간을 지닌 홈(도면번호 미부여)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후크방식의 고정돌부(도면번호 미부여)를 구비하는 보호판(도면번호 미부여)을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액자와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어 시각적으로 즐거움을 선사하면서 공간적으로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groov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of space (not given a number) is provided to interpose a picture of a family member or a lover, and one or more hook-type fixing protrusions (not given a number) are provided. Protective plates (not shown) can be fitted. Therefore, it can be said to have the same effect as a picture frame and provide visual enjoyment while being very efficient in spac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관기구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보관기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decomposition of the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block diagram shown.
본 발명의 보관기구는 도 5 및 도 6은 알림판(40)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꽂이수단(30)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보관기구는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적용한 것과 동일하고, 이에 따른 도 1 내지 도 4에 적용된 본체(10), 누름판(20), 꽂이수단(30) 및 알림판(40)은 동일하고 여타의 주요 구성은 전술한 도 1 내지 도 4에 적용에 차이가 없고 전술한 작용도 전술한 바와 같이 거의 동일하다. 그리고 본체(10), 누름판(20), 꽂이수단(30) 및 알림판(40) 등의 주요구성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 표시하여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5 and 6 show an embodiment of the
이때, 알림판(4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사진 또는 달력을 개재하도록 형성한 예를 적용한 것과는 달리 도 5 내지 도 7에서는 시계와 같은 별도의 조립장치를 개재하기 위해 이에 맞는 두께의 공간을 지닌 홈(도면번호 미부여)을 구비하고, 하나 이상의 후크방식의 고정돌부(도면번호 미부여)를 구비하는 보호판(도면번호 미부여)을 장착하여 시간 또는 온도 등의 정보를 알려주면서 공간적으로 매우 효율적이라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물론 전술한 방법 외에도 도면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알림판(40)은 사용자나 기타 외부에게 어떠한 정보를 알리는 용도이므로 상술한 별도의 객체를 장착하지 않고 알림판(40)의 자체에 로고나 문양 및 글자를 인쇄하거나 스티커와 같은 것은 라벨부착도 가능하다. 이는 광고효과를 위한 것으로 각 회사나 기관 또는 단체의 사은품이나 홍보물로도 충분히 이용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나 정보를 제공하는 알림판(40)의 기능 및 역할은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용가능하다 할 것이다.Of course,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method,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그리고 꽂이수단(30)은 도 1 내지 도 4에서 필기구와 같은 물건을 수납하기 위해 원형으로 형성한 예를 적용한 것과는 달리 도 5 내지 도 7에서는 명함을 꽂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당연히 각형으로 형성한 예를 적용한 것이다. 즉 명함과 같은 꽂이수단(30)을 적용할 경우, 본체(10)의 일면에 필기구를 장착 할 수 있도록 소정의 꽂이부(도면번호 미부여)를 더 구비하여 병행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형이나 각형 중 어느 경우에서나 수납의 구분을 요하기 위해 수용부(31)의 내부에 칸막이를 더 구비하여 하나이상의 수용부(31)를 더 형성할 수 있다할 것이다.In addition, unlike the case in which the
또한, 꽂이수단(30)은 도 1 내지 도 4에 적용한 것과는 달리, 즉 본체(10)와 후크방식의 걸림돌부(32)가 아닌 슬랏방식의 걸림홈(33)을 적용하여 상호 탈부착되는 방식이다. 즉 도 7처럼 꽂이수단(30)은 슬랏방식의 걸림홈(33)으로 구성할 경우, 본체(10)에 결합되는 일면에 하나 이상의 절곡편(도면번호 미부여)을 구비하고, 이러한 절곡편 상으로 대응되는 꽂이수단(30)의 일면에 슬랏을 지닌 걸림홈(33)과 슬라이드되어 상호 결합되는 방식이다. 슬랏방식의 걸림홈(33)으로 구비할 경우에는 꽂이수단(30)을 본체(10)로부터 자주 분리를 할 경우에 용이하다. 즉, 슬랏방식의 걸림홈(33)은 본체(10)로부터 꽃이수단(30)을 분리가 용이하면서 안정적인 결합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ounting means 30 is a method that is different from the one applied to Figures 1 to 4, that is, by applying a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관기구를 사용되는 적용예시도이다.Figure 8 is an application example using the storage mechanis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에서 개인용 컵 보관기구의 사용에 있어서, 우선 업무를 수행하는 책상의 상단에 비치해 두고, 차 또는 음료 및 물이 든 컵(1)을 본체(10)의 공간(11)에 넣어 두면 누름판(20)에 의해 컵(1)의 입구를 외부로부터 밀봉하게 된다. 이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오른손잡이를 감안하면 컵(1)을 오른쪽에 비치해 두기 때문에 보관 기구 또한 동일한 위치를 선호하게 된다. In the use of the personal cup storage device in FIGS. 1 to 8, first, a
하지만 빈번히 움직임이 많은 마우스 또한 오른쪽에 위치함에 따라 업무 수행중 자신도 모르게 보관 기구에 충격을 가해도 본체(10)의 저면에 결합된 고무패드(12)로 인해 책상으로부터 미끄러지거나 넘어지는 현상을 억제한다. 즉, 보관 기구는 이렇듯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위치에 비치해 둘 수도 있지만 주위로부터 안정된 자리에 비치해 둠으로서 사용자는 컵(1)을 보관 기구가 있는 위치에 넣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외부로부터 보관기구에 충격을 차단하게 된다. However, since the mouse with a lot of movements is also located on the right side, even if the user unknowingly impacts the storage mechanism during the work, the
설령, 보관기구가 완전히 넘어져 컵(1)으로부터 내용물이 유출이 되더라도 입구를 밀봉시키는 누름판(20)에 의해 소량의 내용물만이 외부로 유출된다. 한편, 내용물이 커피와 같은 당질이더라도 본체(10)로부터 누름판(20) 및 꽂이수단(30) 등이 분리가 용이하기 때문에 간편하게 세척하여 위생의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Even if the storage mechanism falls completely and the contents flow out from the
이와 더불어 꽂이수단(30)을 통하여 수용부(31)를 통한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어 공간효율이 증대되고, 알림판(40)을 통하여 시각적으로 미려해지면서 여러 가지 정보를 알려줌에 따라 사용자의 업무능력 또한 상승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means 31 can accommodate a variety of things through the receiving means (31) through the means to increase the space efficiency, visually beautiful through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어느 경우에 있어서나, 구조가 경박단소함에 따라 개인용 컵을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되고, 공간의 제약을 크게 받지 않은 상태에서 보관 가능함과 함께 책상의 정리정돈이 가능하고, 이와 더불어 꽂이수단과 알림판이 개재되어 장식미와 함께 필요에 따라 탈부착이 가능하여 효율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제품의 효율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structure is light and simple, the personal cup is always kept in a clean state, and can be stored in a state not greatly restricted by space, and the arrangement of the desk is possibl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attach and detach as necessary with the decorative means by the interposition of the means and the notice board has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product.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It is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will have to belong to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본체 11: 공간
12: 고무패드 20: 누름판
21: 요철홈 22: 배출공
25: 탄성편 30: 꽂이수단
31: 수용부 32: 걸림돌부
33: 걸림홈 40: 알림판
41: 조절홈 45: 각도조절대10: body 11: space
12: rubber pad 20: pressure plate
21: uneven groove 22: discharge hole
25: elastic piece 30: mounting means
31: accommodating part 32: jamming part
33: hanging groove 40: notice board
41: adjusting groove 45: angle adjuster
Claims (5)
적어도 하나의 컵을 수용하는 공간(11)을 구비하고, 저면으로부터 결합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고무패드(12)를 구비하는 본체(10);
상기 본체(10)의 공간(11) 상에 상하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수용된 컵(1)의 입구를 밀봉 상태로 지지하는 누름판(20);
상기 본체(10)의 일면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소정의 수용부(31)를 구비하는 꽂이수단(30); 및
상기 본체(10)의 상면에 일체로 회동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 조절홈(41)을 형성한 각도조절대(45)를 구비하는 알림판(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컵 보관기구.Apparatus for storing a personal cup (1) containing a drink or tea for drinking if necessary:
A main body (10) having a space (11) for receiving at least one cup and having a rubber pad (12) coupled from the bottom to prevent slipping;
A pressing plate 20 installed on the space 11 of the main body 10 so as to be movable upward and downward and supporting the inlet of the accommodated cup 1 in a sealed state;
A mounting means (30) detachably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10) and hav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portion (31); And
Personal board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notification plate 40 which is moun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0 integrally rotatable, and having an angle adjuster 45 having an adjustment groove 41 formed at one end thereof. Storage mechanism.
상기 누름판(20)은 상면으로 하나이상의 요철홈(21)과 배출공(22)을 구비하고, 복수의 지점에서 절개하여 하방향으로 절곡한 탄성편(2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컵 보관기구.The method of claim 1,
The pressing plate 20 is provided with at least one uneven groove 21 and the discharge hole 22 to the upper surface, and a personal cup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piece 25 cut in a plurality of points bent in the downward direction Storage mechanism.
상기 꽂이수단(30)은 본체(10)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하나 이상의 걸림돌부(32) 또는 걸림홈(33) 중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컵 보관기구.The method of claim 1,
The holder means 30 is a personal cup storag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one or more of one or more locking projections (32) or locking groove (33)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from the body (10).
상기 꽂이수단(30)의 수용부(31)는 그 형상이 원형 또는 각형 중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컵 보관기구.The method of claim 1,
Receiving portion 31 of the holder means 30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hape of the individual cup storage mechanism,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circle or a square.
상기 알림판(40)은 사진 또는 달력을 개재하도록 형성하거나, 시계 또는 온ㆍ습도계를 장착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인용 컵 보관기구.The method of claim 1,
The notification board 40 is formed to interpose a photo or calendar, or a personal cup storag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to be equipped with a clock or a hygromet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0914A KR100974239B1 (en) | 2010-04-05 | 2010-04-05 | The device which keeps the personal cup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30914A KR100974239B1 (en) | 2010-04-05 | 2010-04-05 | The device which keeps the personal cup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4239B1 true KR100974239B1 (en) | 2010-08-05 |
Family
ID=427593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30914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4239B1 (en) | 2010-04-05 | 2010-04-05 | The device which keeps the personal cup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4239B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27945U (en) | 1973-07-12 | 1975-03-31 | ||
JPS5257720U (en) | 1975-10-24 | 1977-04-26 | ||
KR19990022161U (en) * | 1999-03-09 | 1999-06-25 | 신기철 | A multipurpose pencil bucket |
KR200275575Y1 (en) | 2001-12-11 | 2002-05-16 | 최용범 | A rotary case for a stationary formed a container of a floppy-diskette |
KR20020075575A (en) * | 2001-03-26 | 2002-10-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shaped gate |
-
2010
- 2010-04-05 KR KR1020100030914A patent/KR10097423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027945U (en) | 1973-07-12 | 1975-03-31 | ||
JPS5257720U (en) | 1975-10-24 | 1977-04-26 | ||
KR19990022161U (en) * | 1999-03-09 | 1999-06-25 | 신기철 | A multipurpose pencil bucket |
KR20020075575A (en) * | 2001-03-26 | 2002-10-05 | 삼성전자 주식회사 |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shaped gate |
KR200275575Y1 (en) | 2001-12-11 | 2002-05-16 | 최용범 | A rotary case for a stationary formed a container of a floppy-diskett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151063U1 (en) | STAND FOR CUPS OR OTHER TANKS IN DRINKING MACHINES AND A DRINKING MACHINE | |
US11672368B2 (en) | Adjustable mounting bracket apparatus and method | |
US20110083588A1 (en) | Table cover system | |
USD662417S1 (en) | Combination cup holder and drip catcher for liquid detergent dispensers and liquid fabric softener dispensers | |
US6532117B2 (en) | Tableware magnifier | |
US8250791B2 (en) | Visual presentation clip assembly | |
PL66740Y1 (en) | Soap dispenser | |
KR100974239B1 (en) | The device which keeps the personal cup | |
US20070193651A1 (en) |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baby bottles, bottle nipples, lids and powdered baby formula | |
US8684210B2 (en) | Water cooler display apparatus for positioning, storing and displaying items thereon | |
US20110114812A1 (en) | Holder for a drinking glass | |
US20070254134A1 (en) | Placemat with ribs | |
KR20110139423A (en) | Rotary Personal Cup Storage Device | |
WO2008000690A1 (en) | Holding device for glasses, cups and the like | |
CN107692900A (en) | A kind of cutter storage device easy to assemble | |
KR200439537Y1 (en) | Cup stand trophy | |
JP3202040U (en) | Container holder | |
KR200379225Y1 (en) | An integral set of drinking water feeder | |
US20060207992A1 (en) | Coffee machine drip catcher | |
KR20130096429A (en) | Popcom cup holder | |
GB2528725A (en) | Bar drip tray with a permeable advertising insert | |
KR20080103876A (en) | Functional tablecloth feeder and dining table using the same | |
ES2529294T3 (en) | Combination of sink and drain element | |
KR101536003B1 (en) | The popcorn container which the holder is formed of the all | |
JP6512622B2 (en) | Space-forming stabilizer for stationary garbage container and guide surface for preventing water drop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6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8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6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