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3437B1 - 원터치 철근 커플러 - Google Patents

원터치 철근 커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437B1
KR100973437B1 KR1020100037216A KR20100037216A KR100973437B1 KR 100973437 B1 KR100973437 B1 KR 100973437B1 KR 1020100037216 A KR1020100037216 A KR 1020100037216A KR 20100037216 A KR20100037216 A KR 20100037216A KR 100973437 B1 KR100973437 B1 KR 100973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r
lock
deformed
coupler body
reba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72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완
Original Assignee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372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4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43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04C5/163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the reinforcements running in one single direction
    • E04C5/165Coaxial connection by means of slee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직선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측방에서 이형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철근 커플러로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상기 이형철근이 삽입되어 2개의 철근이 결합 형태를 이루게 하는 커플러 바디와; 상기 커플러 바디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형철근의 마디를 잡아주어 상기 이형철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커플러 락과; 상기 커플러 바디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커플러 락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이 상기 커플러 바디에서 슬라이딩되게 탄성을 주는 상기 커플러 락과 같은 수량의 스프링과; 상기 커플러 바디와 상기 커플러 락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를 완전히 감싸는 커플러 하우징과; 상기 이형철근이 상기 커플러 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에 걸려 빠지지 않을 때 상기 이형철근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리테이너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러 바디는 원추기둥 형상이고, 상기 커플러 바디에는 중앙에 이형철근이 삽입되는 철근삽입중공과, 원주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 락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락 삽입오프닝과, 상기 스프링이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제1삽입홀이 형성된다.
상기 커플러 락은 직육면체를 대각선상으로 잘라놓은 형상으로 잘린 경사각도는 상기 커플러 바디의 원추기둥 경사각도와 동일하며, 상기 커플러 락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형철근의 마디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고 빠질 때는 걸릴 수 있게 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와,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 제2삽입홀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일자형 엘보형 티형 십자형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를 사용하여 철근의 철사로 묶는 작업이나 철근의 밴딩없이 철근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어 연결부위의 강도의 신뢰성과 높은 시공성으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터치 철근 커플러{One-Touch Type Steel Reinforcement Coupler for Concrete Construction}
본 발명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 사용되는 철근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원터치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2~4개의 이형철근 연결단부를 길이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양측방에서 이형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철근연결 장치의 구조 및 체결력을 개선하여, 작업 현장에서 이형철근의 연결작업이 신속하고 간편하게 실시될 수 있도록 시공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생산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원터치 철근 커플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는 시멘트, 모래, 자갈, 물 등이 적합한 비율로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복합 조성물로서, 압축강도는 비교적 높지만 인장강도는 압축강도에 비하여 매우 낮아 균열이 발생하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의 인장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 안에 철근을 결속시켜 설치한 다음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콘크리트의 강도를 보강하여 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존의 철근 콘크리트 구조는 압축 및 인장강도가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물리적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각종 건축 및 토목공사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철근콘크리트에 쓰이는 보강근(補强筋)으로 원형철근(圓形鐵筋)과 이형철근(異形鐵筋)이 있는데, 원형철근은 철근 표면에 마디가 없는 것을 말하며, 이형철근은 마디와 리브(rib)가 있다. 이형철근은 원형철근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크며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길 때는 균열 폭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어 일반적으로 주철근(主鐵筋)에는 원형철근을 쓰지 않고 이형철근을 쓴다.
철근의 종류는 원형철근(SBC) 2종, 이형철근(SBD) 5종이 있다. 철근의 길이는 따로 주문하지 않으면 3.5~10.0m 제품이, 주문을 하게 되면 6~12m 제품도 생산된다. 원형철근은 철근 표면에 마디가 없는 것을 말하며, 이형철근은 마디와 리브(rib)가 있으며 축방향으로 형성된 것은 리브라 하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것은 마디라고 한다. 이형철근은 원형철근보다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크며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길 때는 균열 폭이 작아지는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주철근(主鐵筋)에는 원형철근을 쓰지 않고 이형철근을 쓴다. 이형철근은 지름과 단면적을 공칭(公稱)지름·공칭단면적으로 나타낸다. 공칭지름이란 단위길이당의 무게가 이형철근과 같은 원형철근을 가정하여, 이 지름을 공칭지름, 공칭지름으로 계산한 단면적을 공칭단면적이라 한다. 철근의 탄성계수(彈性係數)는 2백 4만 kg/㎠이며 선팽창계수(線膨脹係數)는 약 1×10-5/℃로서 콘크리트와 거의 같다.
종래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해선 이형철근을 소정형태로 배열하는 배근작업이 수행되는데, 이형철근은 일반적으로 규격화된 길이로 제작됨에 따라 배근작업시 소정길이의 이형철근을 상호 연결하는 작업이 필요하고, 이러한 기존의 철근 연결방법은 주로 겹 이음방법, 용접 이음방법, 나사 이음방법, 연결장치 이음방법 등이 제시되고 있다.
겹 이음방법은 서로 겹쳐진 이형철근의 단부에 철사를 감아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배근작업이 비교적 쉽게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으나, 이형철근마다 철사를 일일이 감아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연결 부분의 굽힘강도가 취약하여 안전상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한편 용접 이음방법은 이형철근의 단부를 서로 맞대어 용접하는 방법으로, 연결 부분의 강도는 양호하여 문제가 없으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려 공사가 지연되는 단점이 있다. 나사 이음방법은 이형철근의 연결단부에 나사를 가공하여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연결단부의 가공을 위한 설비가 필요하며, 협소한 공간에서는 시공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연결장치 이음방법은 연결장치를 이용하여 이형철근의 양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방법으로, 종래의 선행기술은 연결 장치의 내부에서 이형철근이 흔들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여 철근 콘크리트의 인장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고, 연결장치를 구성하는 부품 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생산에 따른 코스트가 높았으며, 작업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공사가 지연됨은 물론 인건비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철근의 철사로 묶는 작업이나 밴딩없이 철근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고, 연결부위의 강도의 신뢰성과 높은 시공성으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일자형, 엘보형, 티형 또는 십자형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상기 이형철근이 삽입되어 2~4개의 철근이 결합 형태를 이루게 하는 커플러 바디와; 상기 커플러 바디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형철근의 마디를 잡아주어 상기 이형철근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커플러 락과; 상기 커플러 바디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커플러 락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이 상기 커플러 바디에서 슬라이딩되게 탄성을 주는 상기 커플러 락과 같은 수량의 스프링과; 상기 커플러 바디와 상기 커플러 락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를 완전히 감싸는 커플러 하우징과; 상기 이형철근이 상기 커플러 바디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에 걸려 빠지지 않을 때 상기 이형철근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리테이너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러 바디는 원추기둥 형상이고, 상기 커플러 바디에는 중앙에 이형철근이 삽입되는 철근삽입중공과, 원주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 락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락 삽입오프닝과, 상기 스프링이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제1삽입홀이 형성되며,상기 락 삽입오프닝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이 얹히고 슬라이딩되는 락 설치턱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락은 직육면체를 대각선상으로 잘라놓은 형상으로 잘린 경사각도는 상기 커플러 바디의 원추기둥 경사각도와 동일하며, 상기 커플러 락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형철근의 마디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고 빠질 때는 걸릴 수 있게 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와, 상기 스프링이 삽입되는 스프링 제2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하우징은 상기 커플러 바디와 상기 커플러 락이 내부에 삽입되는 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으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메일하우징과 상기 피메일하우징은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동일한 형상으로 분리되어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결합되고, 상기 메일하우징에는 내부에 상기 커플러 바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중공과, 상기 이형철근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와, 상기 피메일하우징이 삽입되는 피메일삽입부와, 상기 커플러 바디와 상기 리테이너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턱이 형성되며, 상기 피메일하우징에는 내부에 상기 커플러 바디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중공과, 상기 이형철근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와, 상기 메일하우징이 삽입되는 소켓부와, 상기 커플러 바디와 상기 리테이너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턱이 형성되는 구조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자형 엘보형 티형 십자형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를 사용하여 철근의 철사로 묶는 작업이나 철근의 밴딩없이 철근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어 연결부위의 강도의 신뢰성과 높은 시공성으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직선 연결형 커플러 전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직각 연결형 커플러 전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십자 연결형 커플러 전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티자 연결형 커플러 전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커플러 바디 상세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커플러 바디의 제2실시예 상세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커플러 락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커플러 하우징 상세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메일하우징 상세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피메일하우징 상세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리테이너 상세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이형철근 종류에 따른 여러가지 연결 예시도
먼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설명에 들어가기에 앞서, 본 발명에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 커플러를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직선 연결형 커플러 전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직각 연결형 커플러 전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십자 연결형 커플러 전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티자 연결형 커플러 전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커플러 바디 상세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커플러 바디의 제2실시예 상세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커플러 락 상세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커플러 하우징 상세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메일하우징 상세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피메일하우징 상세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리테이너 상세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이형철근 종류에 따른 여러가지 연결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2개의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직선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측방에서 이형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직선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이다.
상기 이형철근은 마디(62)와 리브(rib)(61)가 있으며 축방향으로 형성된 것은 리브(61)라 하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것은 마디(62)라고 한다.
상기 직선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상기 이형철근이 삽입되어 2개의 철근이 결합 형태를 이루게 하는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를 잡아주어 상기 이형철근(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커플러 락(2)과;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커플러 락(2)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서 슬라이딩되게 탄성을 주는 상기 커플러 락(2)과 같은 수량의 스프링(3)과;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이(2)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를 완전히 감싸는 커플러 하우징(4)과; 상기 이형철근(6)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에 걸려 빠지지 않을 때 상기 이형철근(6)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테이너(5)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는 메일하우징(41)과 피메일하우징(42)으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메일하우징(41)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은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동일한 형상으로 분리되어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결합된다.
상기 직선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결합방법은 상기 커플러 락(2)에 상기 스프링(3)을 끼우고, 상기 스프링(3)이 끼워진 상기 커플러 락(2)을 상기 커플러 바디(1)의 락 설치턱(121)에 끼우면 상기 커플러 락(2)에 끼워진 상기 스프링(3)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형성된 스프링 제1삽입홀(13)에 삽입된다.
상기 커플러 락(2)과 상기 스프링(3)이 삽입된 상기 커플러 바디(1)를 메일하우징(41)과 피메일하우징(42)에 각각 끼우고, 상기 메일하우징(41)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은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동일한 형상으로 분리되어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결합되며, 소켓타입으로 결합할 때는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선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사용방법은 상기 이형철근(6)을 삽입하면 상기 커플러 락(2)의 톱니(22)를 통과하여 삽입되고 상기 톱니(22)은 상기 톱니(22)의 경사각도가 삽입방향으로 되어 있어서 상기 이형철근이 들어갈 때는 들어가도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에 걸려서 역으로 빠지지는 않는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2개의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직각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측방에서 이형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엘보우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이다.
상기 엘보우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어 2개의 철근이 결합 형태를 이루게 하는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를 잡아주어 상기 이형철근(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커플러 락(2)과;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커플러 락(2)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서 슬라이딩되게 탄성을 주는 상기 커플러 락(2)과 같은 수량의 스프링(3)과;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를 완전히 감싸는 커플러 하우징(4)과; 상기 이형철근(6)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에 걸려 빠지지 않을 때 상기 이형철근(6)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 하우징(4)에 설치되는 리테이너(5)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는 2개의 피메일하우징(42)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삽입되는 메일엘보우(43)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메일엘보우(43)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은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결합된다.
상기 메일엘보우(43)의 양선단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의 소켓부(415)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보우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결합방법과 사용방법은 직선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와 동일하다.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4개의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십자 방향으로 교차 연결하기 위해 측방에서 이형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크로스형(십자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이다.
상기 크로스형(십자형) 철근 커플러는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어 4개의 철근이 결합 형태를 이루게 하는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를 잡아주어 상기 이형철근(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커플러 락(2)과;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커플러 락(2)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서 슬라이딩되게 탄성을 주는 상기 커플러 락(2)과 같은 수량의 스프링(3)과;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를 완전히 감싸는 커플러 하우징(4)과; 상기 이형철근(6)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에 걸려 빠지지 않을 때 상기 이형철근(6)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 하우징(4)에 설치되는 리테이너(5)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는 4개의 피메일하우징(42)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삽입되는 메일크로스(44)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메일크로스(44)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겹합된다.
상기 메일크로스(44)의 각 선단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의 소켓부(415)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일크로스(44)는 4개의 철근이 십자방향으로 교차 연결되도록 크로스 형상으로 4개의 선단은 각각 90°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크로스(44)의 4개의 선단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의 소켓부(415)에 삽입되는 구조인 철근 커플러 구조인 원터치 철근 커플러이다.
상기 크로스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의 결합방법과 사용방법은 직선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와 동일하다.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본 발명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는 3개의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티(T)자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측방에서 이형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티자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이다.
상기 티자형 철근 커플러는 상기 이형철근이 삽입되어 3개의 철근이 결합 형태를 이루게 하는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를 잡아주어 상기 이형철근(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커플러 락(2)과;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커플러 락(2)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서 슬라이딩되게 탄성을 주는 상기 커플러 락(2)과 같은 수량의 스프링(3)과;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를 완전히 감싸는 커플러 하우징(4)과; 상기 이형철근(6)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에 걸려 빠지지 않을 때 상기 이형철근(6)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 하우징(4)에 설치되는 리테이너(5)로 구성된다.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는 3개의 피메일하우징(42)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삽입되는 메일티(45)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 메일티(45)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겹합되고, 상기 메일티(45)는 3개의 철근이 T자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티(T) 형상으로 3개의 선단은 각각 90°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티(45)의 3개의 선단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의 소켓부(415)에 삽입되는 구조이며, 상기 메일티(45)의 각 선단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의 소켓부(415)에 형성된 나사와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커플러 바디(1)는 원추기둥 형상이고, 상기 커플러 바디(1)에는 중앙에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중공(11)과, 원주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2)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 락(2)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락 삽입오프닝(12)과, 상기 스프링(3)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제1삽입홀(13)이 형성되며, 상기 락 삽입오프닝(1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2)이 얹히고 슬라이딩되는 락 설치턱(121)이 형성된다.
상기 락 설치턱(121)에 상기 커플러 락(2)의 락 설치돌기(24)를 끼울 수 있으므로 상기 락 설치턱(121) 위에 얹혀서 끼워진 상태를 유지 할 수 있으며, 상기 원추기둥 경사각도(14)와 상기 커플러 락(2)의 경사각도(21)가 동일하며 상기 락 설치돌기(24)의 높이가 상기 락 설치턱(121)의 높이 보다 약간 적으므로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상기 커플러 락(2)를 끼우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상기 커플러 락(2)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딩 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형상의 상기 커플러 바디(1)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원추기둥 형상을 두개로 결합하여 제작할 수도 있으며 기능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원추기둥 형상이나 동일하고, 이와 같은 형상은 연결할려는 상기 이형철근(6)의 사이즈가 동일하고 직선 방향으로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1이나 도 12-3의 경우에 도 6과 같은 원추기둥이 좌우동형인 커플러 바디(1)를 사용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커플러 락(2)은 직육면체를 대각선상으로 잘라놓은 형상으로 잘린 경사각도(21)는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원추기둥 경사각도(14)와 동일하며, 상기 커플러 락(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고 빠질 때는 걸릴 수 있게 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22)와, 상기 스프링(3)이 삽입되는 스프링 제2삽입홀(23)과, 상기 락 설치턱(121)에 걸리게 되는 락 설치돌기(24)가 형성된다.
상기 커플러 락(2)는 상기 락 설치턱(121)에 상기 락 설치돌기(24)를 끼울 수 있으므로 상기 락 설치턱(121) 위에 얹혀서 끼워진 상태를 유지 할 수 있으며, 상기 원추기둥 경사각도(14)와 상기 커플러 락(2)의 경사각도(21)가 동일하며 상기 락 설치돌기(24)의 높이가 상기 락 설치턱(121)의 높이 보다 약간 적으므로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상기 커플러 락(2)를 끼우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상기 커플러 락(2)이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슬라이딩 할 수 있게 된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직선형 원터치 커플러에 사용되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는 메일하우징(41)과 피메일하우징(42)으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메일하우징(41)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은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나사 결합되거나, 동일한 형상으로 분리되어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결합된다.
상기 메일하우징(41)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은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끝부분을 용접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메일하우징(41)에는 내부에 상기 커플러 바디(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중공(411)과,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412)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삽입되는 피메일삽입부(413)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리테이너(5)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턱(414)이 형성된다.
상기 피메일삽입부(413)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의 소켓부(415)와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리테이너(5)를 먼저 끼운 후 상기 커플러 락(2)과 상기 스프링(3)이 삽입된 상기 커플러 바디(1)를 메일하우징(41)에 끼우는 순서로 조립되며, 상기 탈락방지턱(414)에 의해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리테이너(5)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피메일하우징(42)에는 내부에 상기 커플러 바디(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중공(411)과,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412)와, 상기 메일하우징(41)이 삽입되는 소켓부(415)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리테이너(5)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턱(414)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소켓부(415)에는 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메일하우징(42)의 피메일삽입부(413)과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메일하우징(42)에는 상기 메일하우징과 동일하게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리테이너(5)이 조립되며, 상기 메일하우징(41)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은 암수로만 구분되는 것이면 다른 기능이나 조립방법은 동일하다.
단,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하여 결합할 때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이 상기 메일하우징(41)과 피메일하우징(42)으로 약간 모양이 다르게 되지 않고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어지며 맞닿는 부분이 평평하며 용접시 용접비드가 들어갈 수 있도록 끝부분이 경사지게 되어 두 하우징을 맞대어 놓을 때 브이(V)자 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상기 리테이너(5)는 링 형상으로 내부 원주 방향에는 상기 이형철근(6)의 리브(61)가 삽입되고 좌우로 흔들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리테이너홈(51)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상기 이형철근(6)은 마디와 리브(rib)가 있으며 축방향으로 형성된 것은 리브라 하고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것은 마디라고 하며 축방향으로 형성된 리브가 상기 리테이너홈(51)에 삽입되어 좌우로 흔들림을 방지한다.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동일한 직경의 이형철근을 연결할 때는 도 12-1과 같은 형상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를 사용하고, 직경이 서로 다른 이형철근을 연결할 때는 도 12-2과 같은 형상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를 사용하고, 상기 커플러 하우징을 용접식으로 사용할 때는 도 12-3가 같은 형상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를 사용한다.
직경이 서로 다른 이형철근을 연결할 때는 상기 메일하우징(41)의 피메일삽입부(413)의 살 두께를 두껍게 하여 상기 소케부(415)에 삽입되게 한다.
도 12-1과 도 12-1에서 상기 메일하우징(41)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은 나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끝부분을 용접하여 연결할 수도 있다.
도 12-3에 도시되어 있는 것 같이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하여 결합할 때는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이 상기 메일하우징(41)과 피메일하우징(42)으로 약간 모양이 다르게 되지 않고 동일한 형상으로 제작되어지며 맞닿는 부분이 평평하며 용접시 용접비드가 들어갈 수 있도록 끝부분이 경사지게 되어 두 하우징을 맞대어 놓을 때 브이(V)자 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일자형 엘보형 티형 십자형의 원터치 철근 커플러를 사용하여 철근의 철사로 묶는 작업이나 철근의 밴딩없이 철근 연결작업을 신속하고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어 연결부위의 강도의 신뢰성과 높은 시공성으로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어 최종적으로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커플러 바디 11 : 철근삽입중공
12 :락 삽입오프닝 121 : 락 설치턱
13 : 스프링 제1삽입홀 14 : 원추기둥 경사각도
2 : 커플러 락 21 : 경사각도
22 : 톱니 23 : 스프링 제2삽입홀
24 : 락 설치돌기
3 : 스프링 4 : 커플러 하우징
41 : 메일하우징 411 : 중공
412 : 철근삽입부 413 : 피메일삽입부
414 : 탈락방지턱 415 : 소켓부
42 : 피메일하우징 43 : 메일엘보우
44 : 메일크로스 45 : 메일티
5 : 리테이너 51 : 리테이너홈
6 : 이형철근 61 : 리브
62 : 마디

Claims (5)

  1. 2개의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직선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측방에서 이형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상기 이형철근이 삽입되어 2개의 철근이 결합 형태를 이루게 하는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를 잡아주어 상기 이형철근(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커플러 락(2)과;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커플러 락(2)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서 슬라이딩되게 탄성을 주는 상기 커플러 락(2)과 같은 수량의 스프링(3)과;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이(2)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를 완전히 감싸는 커플러 하우징(4)과;
    상기 이형철근(6)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에 걸려 빠지지 않을 때 상기 이형철근(6)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의 내부에 설치되는 리테이너(5)로 구성되며,
    상기 커플러 바디(1)는 원추기둥 형상이고,
    상기 커플러 바디(1)에는 중앙에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중공(11)과, 원주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2)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 락(2)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락 삽입오프닝(12)과, 상기 스프링(3)의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제1삽입홀(13)이 형성되며,
    상기 락 삽입오프닝(1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2)이 얹히고 슬라이딩되는 락 설치턱(121)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락(2)은 직육면체를 대각선상으로 잘라놓은 형상으로 잘린 경사각도(21)는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원추기둥 경사각도(14)와 동일하며,
    상기 커플러 락(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고 빠질 때는 걸릴 수 있게 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22)와, 상기 스프링(3)이 삽입되는 스프링 제2삽입홀(23)과, 상기 락 설치턱(121)에 걸리게 되는 락 설치돌기(24)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는 메일하우징(41)과 피메일하우징(42)으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메일하우징(41)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은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동일한 형상으로 분리되어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결합되고,
    상기 메일하우징(41)에는 내부에 상기 커플러 바디(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중공(411)과,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412)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삽입되는 피메일삽입부(413)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리테이너(5)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턱(414)이 형성되며,
    상기 피메일하우징(42)에는 내부에 상기 커플러 바디(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중공(411)과,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412)와, 상기 메일하우징(41)이 삽입되는 소켓부(415)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리테이너(5)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턱(414)이 형성되는 구조인 원터치 철근 커플러.
  2. 2개의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직각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측방에서 이형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어 2개의 철근이 결합 형태를 이루게 하는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를 잡아주어 상기 이형철근(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커플러 락(2)과;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커플러 락(2)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서 슬라이딩되게 탄성을 주는 상기 커플러 락(2)과 같은 수량의 스프링(3)과;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를 완전히 감싸는 커플러 하우징(4)과;
    상기 이형철근(6)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에 걸려 빠지지 않을 때 상기 이형철근(6)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 하우징(4)에 설치되는 리테이너(5)로 구성되며,
    상기 커플러 바디(1)는 원추기둥 형상이고,
    상기 커플러 바디(1)에는 중앙에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중공(11)과, 원주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2)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 락(2)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락 삽입오프닝(12)과, 상기 스프링(3)이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제1삽입홀(13)이 형성되며,
    상기 락 삽입오프닝(1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2)이 얹히고 슬라이딩되는 락 설치턱(121)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락(2)은 직육면체를 대각선상으로 잘라놓은 형상으로 잘린 경사각도(21)는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원추기둥 경사각도(14)와 동일하며,
    상기 커플러 락(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고 빠질 때는 걸릴 수 있게 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22)와, 상기 스프링(3)이 삽입되는 스프링 제2삽입홀(23)과, 상기 락 설치턱(121)에 걸리게 되는 락 설치돌기(24)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는 2개의 피메일하우징(42)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삽입되는 메일엘보우(43)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메일엘보우(43)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은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결합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42)에는 내부에 상기 커플러 바디(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중공(411)과,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412)와, 상기 메일엘보우(43)가 삽입되는 소켓부(415)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리테이너(5)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턱(414)이 형성되며,
    상기 메일엘보우(43)는 2개의 철근이 직각되게 연결되도록 엘보우 형상으로 양선단은 90°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엘보우(43)의 양선단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의 소켓부(415)에 삽입되는 구조인 원터치 철근 커플러.
  3. 4개의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십자 방향으로 교차 연결하기 위해 측방에서 이형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어 4개의 철근이 결합 형태를 이루게 하는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를 잡아주어 상기 이형철근(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커플러 락(2)과;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커플러 락(2)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서 슬라이딩되게 탄성을 주는 상기 커플러 락(2)과 같은 수량의 스프링(3)과;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를 완전히 감싸는 커플러 하우징(4)과;
    상기 이형철근(6)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에 걸려 빠지지 않을 때 상기 이형철근(6)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 하우징(4)에 설치되는 리테이너(5)로 구성되며,
    상기 커플러 바디(1)는 원추기둥 형상이고,
    상기 커플러 바디(1)에는 중앙에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중공(11)과, 원주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2)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 락(2)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락 삽입오프닝(12)과, 상기 스프링(3)이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제1삽입홀(13)이 형성되며,
    상기 락 삽입오프닝(1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2)이 얹히고 슬라이딩되는 락 설치턱(121)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락(2)은 직육면체를 대각선상으로 잘라놓은 형상으로 잘린 경사각도(21)는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원추기둥 경사각도(14)와 동일하며,
    상기 커플러 락(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고 빠질 때는 걸릴 수 있게 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22)와, 상기 스프링(3)이 삽입되는 스프링 제2삽입홀(23)과, 상기 락 설치턱(121)에 걸리게 되는 락 설치돌기(24)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는 4개의 피메일하우징(42)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삽입되는 메일크로스(44)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메일크로스(44)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겹합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42)에는 내부에 상기 커플러 바디(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중공(411)과,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412)와, 상기 메일크로스(44)가 삽입되는 소켓부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리테이너(5)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턱(414)이 형성되며,
    상기 메일크로스(44)는 4개의 철근이 십자방향으로 교차 연결되도록 크로스 형상으로 4개의 선단은 각각 90°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크로스(44)의 4개의 선단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의 소켓부(415)에 삽입되는 구조인 원터치 철근 커플러.
  4. 3개의 이형철근의 연결단부를 티(T)자 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 측방에서 이형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철근 커플러에 있어서,
    상기 철근 커플러는 상기 이형철근이 삽입되어 3개의 철근이 결합 형태를 이루게 하는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슬라이딩 결합되어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를 잡아주어 상기 이형철근(6)이 빠지는 것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커플러 락(2)과;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일측이 삽입되고 타측이 상기 커플러 락(2)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서 슬라이딩되게 탄성을 주는 상기 커플러 락(2)과 같은 수량의 스프링(3)과;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이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를 완전히 감싸는 커플러 하우징(4)과;
    상기 이형철근(6)이 상기 커플러 바디(1)에 삽입되어 상기 커플러 락(2)에 걸려 빠지지 않을 때 상기 이형철근(6)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기 위해 상기 커플러 하우징(4)에 설치되는 리테이너(5)로 구성되며,
    상기 커플러 바디(1)는 원추기둥 형상이고,
    상기 커플러 바디(1)에는 중앙에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중공(11)과, 원주에서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2)이 삽입되고 상기 커플러 락(2)의 수량과 동일한 수량의 락 삽입오프닝(12)과, 상기 스프링(3)이 일측 단부가 삽입되는 스프링 제1삽입홀(13)이 형성되며,
    상기 락 삽입오프닝(1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커플러 락(2)이 얹히고 슬라이딩되는 락 설치턱(121)이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락(2)은 직육면체를 대각선상으로 잘라놓은 형상으로 잘린 경사각도(21)는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원추기둥 경사각도(14)와 동일하며,
    상기 커플러 락(2)에는 길이 방향으로 상기 이형철근(6)의 마디(62)가 삽입될 때는 쉽게 삽입되고 빠질 때는 걸릴 수 있게 한 방향으로 경사진 톱니(22)와, 상기 스프링(3)이 삽입되는 스프링 제2삽입홀(23)과, 상기 락 설치턱(121)에 걸리게 되는 락 설치돌기(24)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 하우징(4)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커플러 락(2)이 내부에 삽입되는 3개의 피메일하우징(42)과,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삽입되는 메일티(45)로 분리 구성되며,
    상기 메일티(45)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이 소켓 타입으로 삽입되어 결합되거나, 서로 맞대어 외부 용접되어 겹합되고,
    상기 피메일하우징(42)에는 내부에 상기 커플러 바디(1)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커플러 바디(1)의 외부 형상과 동일한 중공(411)과, 상기 이형철근(6)이 삽입되는 철근삽입부(412)와, 상기 메일티(45)가 삽입되는 소켓부(415)와, 상기 커플러 바디(1)와 상기 리테이너(5)가 외부로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탈락방지턱(414)이 형성되며,
    상기 메일티(45)는 3개의 철근이 T자 방향으로 연결되도록 티(T) 형상으로 3개의 선단은 각각 90°의 각도로 형성되고, 상기 메일티(45)의 3개의 선단은 상기 피메일하우징(42)의 소켓부(415)에 삽입되는 구조인 원터치 철근 커플러.
  5. 상기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5)는 링 형상으로 내부 원주 방향에는 상기 이형철근(6)의 리브(61)가 삽입되고 좌우로 흔들림을 방지하는 다수 개의 리테이너홈(51)이 형성되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20100037216A 2010-04-22 2010-04-22 원터치 철근 커플러 Expired - Fee Related KR100973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216A KR100973437B1 (ko) 2010-04-22 2010-04-22 원터치 철근 커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7216A KR100973437B1 (ko) 2010-04-22 2010-04-22 원터치 철근 커플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3437B1 true KR100973437B1 (ko) 2010-08-02

Family

ID=42759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72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3437B1 (ko) 2010-04-22 2010-04-22 원터치 철근 커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437B1 (ko)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02B1 (ko) 2010-10-04 2010-12-22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고강도 철근 커플러
KR101190382B1 (ko) * 2012-02-17 2012-10-16 김사현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WO2013037944A1 (en) * 2011-09-14 2013-03-21 Simon Bullivant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reinforcing bars
KR101259959B1 (ko) 2012-07-30 2013-05-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내화성이 확보된 철근 이음용 쐐기형 원터치식 퀵 커플러
US20140147198A1 (en) * 2011-09-07 2014-05-29 Hyun Ho Kim One-touch type quick coupler for connecting steel bars
KR101519471B1 (ko) * 2014-12-10 2015-05-13 (주)코스잭 다양한 형태의 리브를 가진 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강도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1528248B1 (ko) * 2013-12-13 2015-06-11 (주)바이텍코리아 사각 격자지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굴착면의 보강 공법
WO2018019246A1 (en) * 2016-07-26 2018-02-01 Jiangsu Ernest Technology Co Ltd A connector for joining bars
KR20180048092A (ko)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삼전 콘크리트 건축물에 사용하는 유니버설 철근 강화 커플러
KR101958635B1 (ko) 2018-09-13 2019-04-04 반석기초이앤씨(주)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시공의 관리, 감독 및 감리 방법
KR20190055280A (ko) 2017-11-13 2019-05-23 동림산업 주식회사 철근이음장치
KR20190091913A (ko) 2018-01-30 2019-08-07 정인욱 철근이음장치
KR20200016422A (ko) 2018-08-06 2020-02-17 (주)씨엔피텍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철근이음장치
CN111088873A (zh) * 2019-12-27 2020-05-01 烟台紫润建筑科技有限公司 螺纹钢智能连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315Y2 (ja) * 1988-09-09 1994-11-09 株式会社三ッ知 鋼棒の接続具
JPH09324495A (ja) * 1996-06-06 1997-12-16 Mitsuchi:Kk 接続具及びこれを用いた接続方法
KR100650376B1 (ko) 2005-08-03 2006-11-29 윤희연 철근 연결구
KR100665544B1 (ko) 2004-12-14 2007-02-27 오원석 철근 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3315Y2 (ja) * 1988-09-09 1994-11-09 株式会社三ッ知 鋼棒の接続具
JPH09324495A (ja) * 1996-06-06 1997-12-16 Mitsuchi:Kk 接続具及びこれを用いた接続方法
KR100665544B1 (ko) 2004-12-14 2007-02-27 오원석 철근 이음장치
KR100650376B1 (ko) 2005-08-03 2006-11-29 윤희연 철근 연결구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3302B1 (ko) 2010-10-04 2010-12-22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고강도 철근 커플러
WO2012046931A1 (ko) * 2010-10-04 2012-04-12 거성 이.엔.지 주식회사 고강도 철근 커플러
CN102597385A (zh) * 2010-10-04 2012-07-18 巨星Eng株式会社 高强度钢筋连接器
CN102597385B (zh) * 2010-10-04 2014-08-13 巨星Eng株式会社 高强度钢筋连接器
US20140147198A1 (en) * 2011-09-07 2014-05-29 Hyun Ho Kim One-touch type quick coupler for connecting steel bars
WO2013037944A1 (en) * 2011-09-14 2013-03-21 Simon Bullivant Coupling assembly and method for coupling reinforcing bars
KR101190382B1 (ko) * 2012-02-17 2012-10-16 김사현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WO2013122439A1 (ko) * 2012-02-17 2013-08-22 Kim Sa Hyon 슬라이드식 철근 이음장치
KR101259959B1 (ko) 2012-07-30 2013-05-02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내화성이 확보된 철근 이음용 쐐기형 원터치식 퀵 커플러
KR101528248B1 (ko) * 2013-12-13 2015-06-11 (주)바이텍코리아 사각 격자지보 및 이를 이용한 터널 굴착면의 보강 공법
KR101519471B1 (ko) * 2014-12-10 2015-05-13 (주)코스잭 다양한 형태의 리브를 가진 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강도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WO2016093443A1 (ko) * 2014-12-10 2016-06-16 (주)코스잭 다양한 형태의 리브를 가진 철근을 수용할 수 있는 고강도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WO2018019246A1 (en) * 2016-07-26 2018-02-01 Jiangsu Ernest Technology Co Ltd A connector for joining bars
EA037541B1 (ru) * 2016-07-26 2021-04-09 Джиангсу Эрнест Текнолоджи Ко Лтд Соединитель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стержней
KR20180048092A (ko) 2016-11-02 2018-05-10 주식회사 삼전 콘크리트 건축물에 사용하는 유니버설 철근 강화 커플러
KR20190055280A (ko) 2017-11-13 2019-05-23 동림산업 주식회사 철근이음장치
KR20190091913A (ko) 2018-01-30 2019-08-07 정인욱 철근이음장치
KR20200016422A (ko) 2018-08-06 2020-02-17 (주)씨엔피텍 각도 조절이 용이한 철근이음장치
KR101958635B1 (ko) 2018-09-13 2019-04-04 반석기초이앤씨(주) 철근 커플러를 이용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시공의 관리, 감독 및 감리 방법
CN111088873A (zh) * 2019-12-27 2020-05-01 烟台紫润建筑科技有限公司 螺纹钢智能连接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3437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101003302B1 (ko) 고강도 철근 커플러
KR101988611B1 (ko) 슬립 방지 철근 커플러
KR101770999B1 (ko) 콘크리트 건축물 고인장 철근 커플러
KR102062732B1 (ko) 나사체결 방식의 원터치형 철근 커플러
KR101570867B1 (ko) 고강도 원터치 철근 커플러
JP2021113489A (ja) 異形鉄筋つなぎ金具
KR101550383B1 (ko) 원터치 철근 커플러 및 그 제조방법
KR101285704B1 (ko) 철근 연결용 커넥터
KR101374598B1 (ko) 철근 커플러
KR200488788Y1 (ko) 건축 및 토목용 철근 결속기구
KR101552321B1 (ko) 철근 커플러 및 이를 이용한 철근 이음방법
KR100309611B1 (ko) 철근 연결구
KR20220110882A (ko) 원터치식 철근 커플러
KR102392467B1 (ko) 철근 연결용 키 커플러
KR102083942B1 (ko) 철근이음장치
KR20190091913A (ko) 철근이음장치
KR101807825B1 (ko) 철근 커플러
KR100724634B1 (ko) 철근 체결구
US20120051831A1 (en) Quick connect coupling for concrete rebar
KR20060110610A (ko) 철근 연결부 구조 및 철근 연결방법
KR20190031075A (ko) 볼충진 이음방식 철근커플러
KR20190067592A (ko) 양측 쇄기를 갖는 철근 커플러
KR102501205B1 (ko) 보강링을 가진 일체형 원터치 철근 커플러
KR20160103870A (ko) 고강도 원터치 철근 커플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7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2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4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06

Year of fee payment: 7

PR0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atent event code: PR04011E01D

Patent event date: 20170406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Resto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40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7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7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7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7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7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4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