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814B1 - Power saving method in standby mode for public address system and the system therewith - Google Patents
Power saving method in standby mode for public address system and the system therewith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2814B1 KR100972814B1 KR1020090014675A KR20090014675A KR100972814B1 KR 100972814 B1 KR100972814 B1 KR 100972814B1 KR 1020090014675 A KR1020090014675 A KR 1020090014675A KR 20090014675 A KR20090014675 A KR 20090014675A KR 100972814 B1 KR100972814 B1 KR 1009728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mplifier
- standby mode
- controller
- signal
-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53—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 H04H20/61—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e.g. for traffic information or for mobile receivers for local area broadcast, e.g. instore broadcas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04H20/46—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 H04H20/47—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systems covered by groups H04H20/53-H04H20/95 specially adapted for stereophonic broadcast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3—Generation or supply of power specially adapted for television receive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mplif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관방송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신호가 일반방송용 PGM신호 또는 긴급상황에 해당하는 우선권신호인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에 따라 전관방송시스템의 앰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대기모드시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소비되는 전원을 최소화하여, 시스템 전체의 전원소비를 줄일 뿐만 아니라 긴급상황 발생시 비상전원의 사용시간을 최대한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은, 컨트롤러(100)에서 전관방송시스템으로 입력되는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를 검출하는 제1단계(S100);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5~15초 후에 컨트롤러의 제어로 전관방송시스템을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증폭부의 바이어스 전압이 0㎷가 되도록 설정하는 제2단계(S200); 컨트롤러에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S300); 만일, 컨트롤러에서 대기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모드를 강제로 해제시키는 제4단계(S400); 컨트롤러의 제어로 앰프상태 자가진단 검출기를 이용하여 전관방송시스템의 앰프를 자가진단하는 제5단계(S500); 및 앰프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모드로 변환하는 제6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signal input to the public address system, checks whether the detected signal is a priority signal corresponding to a PGM signal or an emergency situation for general broadcasting, and minimizes the power supplied to the amplifier of the public address system according to the checking result. PA system minimizes the power consumed by the amplifier stage of PA system in standby mode,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entire system and extending the use time of emergency power in case of emergenc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 device for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in the amplifier sta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hod for reducing the current consumption in the standby mode in the amplifying stage of the P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first step (S100) of detecting the PGM signal or priority signal input from the controller 100 to the PA system ; If the PGM signal or the priority signal is not detected, the second step (S200) of switching the public address system to the standby mode by controlling the controller after 5 to 15 seconds and setting the bias voltage of the amplifier to be 0 ㎷; A third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a waiting time preset in the controller has elapse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iting time has elapsed in the controller, a fourth step S400 of forcibly releasing the standby mode; A fifth step (S500) of self-diagnosing the amplifier of the PA system using the amplifier state self-diagnosis detec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plifier is normal, the sixth step (S600) of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기모드시 앰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낮춰 전원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standby mode and an apparatus for reducing the same in an amplifier stage of a public address system.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ndby mode in an amplifier stage of a public address system capable of minimizing power consumption by reducing power applied to an amplifier in standby mod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rrent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and a reduction device thereof.
최근에는 고층빌딩이라든가 아파트 등에 대한 보안이라든가 화재감시를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형태의 전관방송시스템(Public Address)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전관방송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지속적인 감시를 위해서는 1년 내내 지속적으로 동작을 하게 된다.Recently, various types of public address systems have been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monitoring high-rise buildings, apartments, and fires. Such PA systems generally operate continuously throughout the year for continuous monitoring.
전관방송시스템은 이처럼 보안이나 화재감시 뿐만 아니라, 일반적으로 고속도로터미널이라든가 백화점 또는 지하철 등과 같이 많은 사람들을 위한 안내방송이 라든가 화재방송 뿐만 아니라 배경음악(BGM)이라든가 음향시스템을 통틀어서 의미하기도 한다.The public address system is not only a security or fire monitoring, but also a general public announcement for many people, such as a highway terminal, a department store or a subway, a fire broadcasting as well as a background music (BGM) or a sound system.
이러한 전관방송시스템은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하게 된다. 예를 들어, 화재감시라든가 보안을 목적으로 하는 경우, 전관방송시스템은 항상 가동되는 상태로 구성을 하게 된다. 그리고, 음향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음향스시템으로 사용하고, 화재나 천재지변이 발생한 경우, 이를 방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PA system is configu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use. For example, in case of fire monitoring or security purpose, PA system is configured to be always in operation. In the case of the sound system, the sound system is used as a sound system in a general situation, and is broadcasted when a fire or natural disaster occurs.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전관방송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However, the existing PA system has the following problems.
1) 항시 전관방송시스템을 가동하여야 하기 때문에, 과도한 전원소비가 이루어지게 되었다.1) As the PA system should be operated at all times, excessive power consumption was achieved.
2) 이러한 전원소비를 줄이기 위해 일시적으로 전관방송시스템을 중지시키는 경우, 화재나 천재지변이 발생하게 되면 신속하게 대처할 수 없게 된다. 이 경우 대형 인명피해로 이어질 수 있다.2) If the PA system is temporarily stopped to reduce such power consumption, it will not be possible to respond quickly if a fire or natural disaster occurs. This can lead to large casualties.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관방송시스템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검출신호가 일반방송용 PGM신호 또는 긴급상황에 해당하는 우선권신호인가를 확인하고, 그 확인결과에 따라 전관방송시스템의 앰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대기모드시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소비되는 전원을 최소화하여, 시스템 전체의 전원소비를 줄일 뿐만 아니라 긴급상황 발생시 비상전원의 사용시간을 최대한으로 연장할 수 있도록 한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 및 그 저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view of this point, and detects a signal input to the public address system, checks whether the detected signal is a PGM signal for general broadcasting or a priority signal corresponding to an emergency, an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onfirmation, public address broadcast By minimiz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amplifier of the system,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A system in the standby mode is minimized to reduce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ntire system and to maximize the use of emergency power in case of an emergenc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in standby mode and an apparatus for reducing the same in an amplifier stage of a PA system.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은,In the amplification stage of the P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current consumption reduction method in the standby mode,
컨트롤러(100)에서 전관방송시스템으로 입력되는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를 검출하는 제1단계(S100);A first step (S100) of detecting a PGM signal or a priority signal input from the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5~15초 후에 컨트롤러의 제어로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을 대기모드로 전환하고, 증폭부의 바이어스 전압이 0㎷가 되도록 설정하는 제2단계(S200);If the PGM signal or the priority signal is not detected, a second step (S200) of switching the amplifier stage of the PA system to the standby mode after 5 to 15 seconds and setting the bias voltage of the amplifier to 0 kV;
컨트롤러에 미리 설정된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제3단계(S300);A third step (S300) of determining whether a waiting time preset in the controller has elapsed;
만일, 컨트롤러에서 대기시간이 경과한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모드를 강제로 해제시키는 제4단계(S400);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iting time has elapsed in the controller, a fourth step S400 of forcibly releasing the standby mode;
컨트롤러의 제어로 앰프상태검출기를 이용하여 전관방송시스템의 앰프를 자가진단하는 제5단계(S500); 및A fifth step (S500) of self-diagnosing the amplifier of the PA system using the amplifier state detect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앰프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모드로 변환하는 제6단계(S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amplifier is normal, the sixth step (S600) for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그리고, 제1단계(S100)는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가 검출되면, 컨트롤러에서 전관방송시스템 증폭단에 정상전원을 공급하여 앰프를 동작시켜 주는 앰프동작단계(S1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step S100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operation step S110 for operating the amplifier by supplying normal power to the PA system amplifier stage when the PGM signal or the priority signal is detected.
또한, 제3단계(S300)는 대기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대기모드로 전환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waiting time has not elapsed, the third step S300 is characterized by switching to the standby mode.
또한, 제5단계(S500)는 앰프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앰프의 이상에 관한 경고를 발생시키는 앰프이상경고출력단계(S5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fth step S500 may further include an amplifier abnormality warning output step S510 for generating a warning regarding an abnormality of the amplifier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amplifier is abnormal.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전관방송시스템의 증폭단에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류 저감장치는, 전관방송시스템으로 입력되는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를 검출하는 컨트롤러; 및 전관방송시스템의 앰프의 상태를 검출하는 앰프상태검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On the other hand, the current consumption reduction device in the standby mode in the amplifier stage of the PA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ler for detecting the PGM signal or priority signal input to the PA system; And an amplifier state detector for detecting a state of an amplifier of the public address system.
컨트롤러는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의 검출결과에 따라 전관방송시스템에 공급되는 전원의 공급 여부 및 앰프상태검출기의 이상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determines whether the power supplied to the PA system and the amplifier status detector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of the PGM signal or the priority signal.
그리고, 컨트롤러는,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전관방송시스템의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슬립컨트롤러; 및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전원의 인가여부를 결정하고, 앰프상태검출기로부터 검출된 검출결과에 따라 앰프의 이상여부를 제어하는 마이콤;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troller may include: a sleep controller for monitoring a PGM signal or a priority signal and controlling a power supply of the PA system; And a microcomputer for determining whether to apply power according to the monitoring result and controlling whether the amplifier is abnormal according to the detection result detected by the amplifier state detector.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effects.
긴급 상황에 따른 방송과 같은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가 없는 경우 전관방송시스템의 앰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주전원의 소비전력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주전원이 차단되더라도 보조전원을 이용한 전관방송시스템의 운용시간을 연장시켜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re is no PGM signal or priority signal such as broadcasting in an emergency situation, power applied to the amplifier of the PA system can be minimized. Accordingly, power consumption of the main power source can be minimized. In addition, even if the main power is cut off, it is possible to extend the operating time of the PA system using the auxiliary powe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저감장치의 구성)(Configuration of Reduc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소비전류의 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20"은 통상적으로 운용되는 전관방송시스템을 의미한다.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본 발명에 따르는 저감장치는, 크게 전관방송시스템(20)으로 입력되는 신호 를 검출하여 그 결과에 따라 전관방송시스템(20)의 앰프를 제어하는 컨트롤러(100)와, 대기시간의 경과 후 이 앰프의 이상유무를 판단하는데 이용하기 위한 앰프상태검출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abatemen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컨트롤러(100)는 전관방송시스템(20) 증폭단의 신호입력단으로부터 신호를 검출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이때, 신호입력단이란, 전관방송시스템(20)으로 신호가 입력되는 단자를 말하는 것으로, 볼륨조절기(10)가 있는 경우 볼륨조절기(10)의 앞쪽을 의미한다. 여기서, 신호란 기기의 운용상태라든가 이상유무의 판단 등에 이용되는 PGM신호와 전관방송시스템(20)의 신호입력단에 의해 제어되는 각종 기기 중에서 우선순위에 의해 동작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우선권신호를 포함한다.The
그리고, 컨트롤러(100)는 이러한 신호의 검출결과에 따라 전관방송시스템(20)에 인가되는 외부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슬립컨트롤러(100a)와, 이 슬립컨트롤러(100a)를 통해 앰프의 동작이라든가 신호검출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마이콤(10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들 슬립컨트롤러(100a)와 마이콤(100b)의 동작 상태의 제어에 관한 내용을 후술하는 저감방법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The
앰프상태검출기(200)는 전관방송시스템(20)의 출력측에 연결되어 앰프의 이상유무를 검출하고, 그 검출결과를 컨트롤러(100)에 입력하게 된다.The
특히, 앰프상태검출기(200)는 일정한 시간, 예를 들어, 앰프가 장시간 작동 되지 않고 대기 상태에 있을 때 미리 컨트롤러(100)에 입력된 대기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대기모드 해제 후 앰프의 이상여부를 판단하여 그 결과를 컨트롤러(100)에 통지하게 된다. 도 1에서는, 앰프상태검출기(200)가 마이콤(100b)의 제어를 받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한편, 도 1에서 미설명부호는 통상적으로 전관방송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로서, "30"은 전관방송시스템(2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출력변압기를, "40"은 증폭된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스피커와 같은 출력대상을 각각 나타낸다.Meanwhile, in FIG. 1, reference numerals refer to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A system, in which “30” is an output transformer for amplifying a signal output from the
(소비전류의 저감방법)(Reduction method of power consump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소비전류의 저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이다.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르는 전관방송시스템(20)의 증폭단에서 대기모드시 소비전류 저감방법은, 전관방송시스템(20)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여 그 검출결과에 따라 전관방송시스템(20)의 앰프에 공급되는 전원을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다음과 같이 6단계에 걸쳐 이루어지게 된다.In the amplification stage of the
제1단계(S100)는 전관방송시스템(20)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신호는 상술한 PGM신호라든가 우선권신호를 의미한다. 이러한 신호의 검출은 컨트롤러(100), 바람직하기로는 슬립컨트롤러(100a)에서 신호를 검출하고, 검출결과를 마이콤(100b)에 전송하게 된다.The first step (S100) is a step of detecting a signal input to the
마이콤(100b)은 전송된 결과에 따라 앰프를 동작시킬 것인지 또는 증폭부의 전압을 설정할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즉, 검출된 신호가 PGM신호라든가 우선권신호라면, 그 신호에 따라 앰프를 동작시키는 앰프동작단계(S110)를 수행하고 대기모드로 돌아가게 된다. 그리고, 검출신호가 PGM신호라든가 우선권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제2단계(S200)를 수행하게 된다.The
제2단계(S200)는 증폭부의 바이어스 전압을 0㎷로 설정하는 단계이다. 이때의 설정은 마이콤(100b)의 제어를 통해 슬립컨트롤러(100a)가 전관방송시스템(20)의 앰프로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앰프에 공급되는 전압 DC18V를 조절하여 증폭부의 바이어스 전압(11㎷)를 낮춰 0㎷가 되도록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전압은 도 3에서와 같이, 예시적인 전관방송시스템(20)의 전압으로 이러한 전관방송시스템(20)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second step (S200) is a step of setting the bias voltage of the amplifier to 0 ㎷. The setting at this time is made by controlling the power supplied to the amplifier of the
한편, 마이콤(100b)은 전원제어와 함께 모드를 재설정하게 된다. 즉, 슬립컨트롤러(100a)에서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마이콤(100b)은 미리 설정된 시간이 경과한 후 대기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여기서, 설정시간은 임의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설정시간은 5-15초,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0초 후에 대기모드를 전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기모드란 다음 PGM신호 또는 우선권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모드를 말한다.On the other hand, the
제3단계(S300)는 대기시간의 경과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대기시간이란 앰프의 고장유무를 일정한 시간간격을 두고 검출하기 위해 컨트롤러(100)에 미리 설정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대기모드가 장시간 지속되는 경우, 앰프도 장시간 가동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적인 요소 등에 의해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와 같이, 제3단계(S300)에서는 마이콤(100b)를 이용하여 앰프가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서의 대기시간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The third step S300 i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 waiting time has elapsed. The standby time means a time set in advance in the
마이콤(100b)은 대기시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게 되면, 대기모드로 전환하여 대기시간이 경과하기를 대기하게 된다. 그리고, 대기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제4단계(S400)를 수행하게 된다.If it is determined that the waiting time has not elapsed, the
제4단계(S400)는 대기모드를 강제로 해제하는 단계이다. 대기모드에서는 전관방송시스템(20), 즉 앰프에 공급되는 전압의 설정 등으로 정상작동 상태가 아니기 때문에, 제4단계(S400)에서는 마이콤(100b)의 제어로 대기모드를 해제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관방송시스템(20)에는 정상적인 전원공급이 이루어지게 되고, 특히 앰프에 설정전압이 정상 전압으로 인가되게 된다.The fourth step S400 is a step of forcibly canceling the standby mode. In the standby mode, since the
제5단계(S500)는 앰프를 자가진단하는 단계이다. 앰프의 자가진단은 앰프상태검출기(200)를 통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그 진단결과는 마이콤(100b)에 전송되게 된다.The fifth step S500 is to self-diagnose the amplifier. Self-diagnosis of the amplifier is performed through the
마이콤(100b)은 진단결과, 앰프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 앰프에 대하여 이상이 있음을 경고하는 앰프이상경고출력단계(S510)를 수행하게 된다. 물론, 앰프이상경고출력단계(S510)후에는 앰프의 수리라든가 교체와 같은 작업을 하게 된다. 그리고, 앰프가 정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6단계(S600)를 수행하게 된다.If the
제6단계(S600)는 대기모드로 모드변환을 하게 된다. 즉, 앰프가 대기시간동안 작동하지는 않았지만, 앰프의 상태를 검출한 결과 정상이기 때문에 다시 대기상태, 즉 신호 검출이 있을 때까지 대기모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The sixth step (S600) is the mode conversion to the standby mode. That is, although the amplifier did not operate during the standby time, the detection of the state of the amplifier is normal, so the standby state, that is, the standby mode state until the signal is detected.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소비전류 저감장치의 구성의 일예를 보여주는 회로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20"은 통상의 전관방송시스템 구성의 일예로서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을 보여준다.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ere,
전관방송시스템(20)은 앰프 또는 출력축 등을 통해 도 3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스피커와 같은 출력대상에 연결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관방송시스템(2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주전원공급부(50)가 구비되어 있다. 뿐만 아니라, 천재지변 등으로 주전원공급부(50)로부터 전원이 차단되는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전원공급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된다.Th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는 소비전류 저감장치는, 전관방송시스템(20)으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입력단(110)과, 이 입력단(110)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중에서 PGM신호라든가 우선권신호를 검출(sleep monitor)하기 위한 슬립컨트롤러(100a)와, 이 검출결과에 따라 앰프의 작동(amp run)과 전원을 제어하는 마이 콤(100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In addition, the apparatus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tects a PGM signal or a priority signal among an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f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소비전류의 저감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럭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device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르는 소비전류의 저감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2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method for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소비전류 저감장치의 구성의 일예를 보여주는 회로도. 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the current consumption reduc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0 : 볼륨조절기10: volume control
20 : 전관방송시스템20: PA system
30 : 출력변압기30: output transformer
40 : 출력대상40: output destination
50 : 주전원공급부50: main power supply
60 : 비상전원공급부60: emergency power supply
100 : 컨트롤러100: controller
100a : 슬립컨트롤러100a: Slip Controller
100b : 마이콤100b: micom
200 : 앰프상태검출기200: amplifier status detector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4675A KR100972814B1 (en) | 2009-02-23 | 2009-02-23 | Power saving method in standby mode for public address system and the system therewith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4675A KR100972814B1 (en) | 2009-02-23 | 2009-02-23 | Power saving method in standby mode for public address system and the system therewith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2814B1 true KR100972814B1 (en) | 2010-07-28 |
Family
ID=42646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4675A Active KR100972814B1 (en) | 2009-02-23 | 2009-02-23 | Power saving method in standby mode for public address system and the system therewith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2814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9793B1 (en) * | 2011-12-22 | 2012-07-30 |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 Automatic power off digital amp in non input signal |
KR101243350B1 (en) | 2012-10-22 | 2013-03-13 | 일성미디어통신 주식회사 | Digital amp |
KR101293244B1 (en) * | 2012-12-28 | 2013-08-09 | 주식회사 윈미디텍 |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
KR101717272B1 (en) * | 2016-12-21 | 2017-03-17 | 동광전자 주식회사 | Adaptive Amp Routing System to Changing Speaker Loads |
WO2017078262A1 (en) * | 2015-11-06 | 2017-05-11 | 주식회사 에스트론 | Speaker switch and controller added to public address system, and powerless speaker switch |
KR102049464B1 (en) | 2019-04-04 | 2019-11-27 |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 Broadcasting apparatus for evergy saving |
KR102058862B1 (en) | 2019-04-04 | 2019-12-24 |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 Broadcasting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audio source |
KR102252014B1 (en) * | 2020-08-27 | 2021-05-14 | 주식회사 바이콤 | Broadcasting system comprising power saving type power supply devic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7059A (en) * | 1997-06-27 | 1999-01-29 | Kenwood Corp | Idling control circuit for a-class amplifier |
KR100587966B1 (en) * | 2006-03-14 | 2006-06-08 |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 Central Control Power Amplifier |
JP2008113424A (en) * | 2006-10-03 | 2008-05-15 | Seiko Epson Corp | Class D amplifier control method, class D amplifier control circuit, capacitive load drive circuit, transducer, ultrasonic speaker, display device, directional acoustic system, and printing apparatus |
KR100867722B1 (en) * | 2008-04-14 | 2008-11-10 | (주)전전사 | Removable communication module for P.A.power amplifier applying front self-diagnosis system part |
-
2009
- 2009-02-23 KR KR1020090014675A patent/KR1009728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27059A (en) * | 1997-06-27 | 1999-01-29 | Kenwood Corp | Idling control circuit for a-class amplifier |
KR100587966B1 (en) * | 2006-03-14 | 2006-06-08 | 동화음향산업주식회사 | Central Control Power Amplifier |
JP2008113424A (en) * | 2006-10-03 | 2008-05-15 | Seiko Epson Corp | Class D amplifier control method, class D amplifier control circuit, capacitive load drive circuit, transducer, ultrasonic speaker, display device, directional acoustic system, and printing apparatus |
KR100867722B1 (en) * | 2008-04-14 | 2008-11-10 | (주)전전사 | Removable communication module for P.A.power amplifier applying front self-diagnosis system part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69793B1 (en) * | 2011-12-22 | 2012-07-30 | 제이디미디어 주식회사 | Automatic power off digital amp in non input signal |
KR101243350B1 (en) | 2012-10-22 | 2013-03-13 | 일성미디어통신 주식회사 | Digital amp |
KR101293244B1 (en) * | 2012-12-28 | 2013-08-09 | 주식회사 윈미디텍 |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electric power consumption |
WO2017078262A1 (en) * | 2015-11-06 | 2017-05-11 | 주식회사 에스트론 | Speaker switch and controller added to public address system, and powerless speaker switch |
KR101717272B1 (en) * | 2016-12-21 | 2017-03-17 | 동광전자 주식회사 | Adaptive Amp Routing System to Changing Speaker Loads |
KR102049464B1 (en) | 2019-04-04 | 2019-11-27 |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 Broadcasting apparatus for evergy saving |
KR102058862B1 (en) | 2019-04-04 | 2019-12-24 | 주식회사 엘앤비기술 | Broadcasting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ple audio source |
KR102252014B1 (en) * | 2020-08-27 | 2021-05-14 | 주식회사 바이콤 | Broadcasting system comprising power saving type power supply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72814B1 (en) | Power saving method in standby mode for public address system and the system therewith | |
US8457330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boosting an audible signal in a notification system | |
KR100587966B1 (en) | Central Control Power Amplifier | |
JP7482609B2 (en) | Broadcasting Equipment | |
KR100972816B1 (en) | Power divider using a sound broadcasting system in the off-idle power saving mode control methods | |
JP6193769B2 (en) | Automatic fire alarm equipment | |
CN210405327U (en) | Intelligent emergency broadcasting system | |
CN210442912U (en) | Fire alarm system | |
JP4686900B2 (en) | Signaling device used for emergency lighting with flashing light and sound | |
JP4562056B2 (en) | Tunnel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 |
JP3638184B2 (en) | Fire alarm system and relay for apartment house | |
JP2004110641A (en) | Fire receiver | |
JPH1186163A (en) | District voice alarm system for fire alarm system | |
JP4240353B2 (en) | Tunnel disaster prevention equipment | |
KR100690402B1 (en) | Power supply checking device using RF system | |
JP4076299B2 (en) | Alarm | |
JP2824002B2 (en) | Emergency broadcast equipment | |
KR101809495B1 (en) | Public Address System and method | |
KR102078659B1 (en) | Speaker device capable of self emergency broadcasting | |
JP4664197B2 (en) | Lighting control server, disaster lighting control system, and lighting control method | |
JP4284404B2 (en) | Disaster prevention monitoring equipment and combined alarm | |
JP2782812B2 (en) | Home security equipment | |
JP7486173B2 (en) | Broadcasting systems and equipment | |
US9875646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upervising audio system during battery mode | |
JP3863667B2 (en) | Fire alarm system for apartment hous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525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2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7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2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7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2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9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712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72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