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159B1 - Device for controling audio signal i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 - Google Patents
Device for controling audio signal i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2159B1 KR100972159B1 KR1020090093345A KR20090093345A KR100972159B1 KR 100972159 B1 KR100972159 B1 KR 100972159B1 KR 1020090093345 A KR1020090093345 A KR 1020090093345A KR 20090093345 A KR20090093345 A KR 20090093345A KR 100972159 B1 KR100972159 B1 KR 10097215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audio signal
- music
- voice
- wireless communic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Tone Control, Compression And Expansion, Limiting Amplitud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ransceiver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입력되는 음원, 즉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음성과 음악을 구분하여 서로 다르게 증폭하려는 유무선 통신기기의 오디오 신호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 to an audio signal control apparatus of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distinguishes between voice and music with respect to an input sound source, that is, an audio signal.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음성 또는 음악 신호를 포함하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음악 신호를 구분하는 음악신호 구분부와, 상기 구분된 음악 신호에 따른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usic signal division unit for dividing a music signal with respect to an input audio signal including a voice or music signal, a controller for outputting a determin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divided music signal, and a determination in the controller And a path selector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by selecting different paths according to the result.
Description
본 발명의 실시예는 유무선 통신기기의 오디오 신호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입력되는 음원, 즉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음성과 음악을 구분하여 서로 그 음원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증폭하려는 유무선 통신기기의 오디오 신호 제어장치에 관련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dio signal control apparatus for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distinguishes voice and music from an input sound source, that is, an audio signal and amplifies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sound source. Related to an audio signal control apparatus.
통신기기의 주 목적은 원거리의 상대와 음성 통화를 하는 것이다. 음성 통화시 송화자의 발음의 세기는 거의 일정하고, 수화자는 스피커 혹은 이어폰을 귀에 대고 듣기 때문에 수화자가 청취하기 편한 음량으로 듣기를 원한다. 이는 음성 통화시 송신 음의 세기가 작을 경우는 음성 앰프의 증폭도를 키우고, 큰 경우는 음성 앰프의 증폭도를 낮추는 자동 이득 증폭기가 필요하다.The main purpose of a communication device is to make a voice call with a remote party. The loudness of the talker's pronunciation during a voice call is almost constant, and the listener wants to listen at a volume that is easy for the listener to listen because the speaker or earphone is listened to the ear. This requires an automatic gain amplifier that increases the amplification of the voice amplifier when the intensity of the transmitted sound is small during a voice call, and decreases the amplification of the voice amplifier when the transmission tone is small.
그러나, 통신기기의 발달로 통화 이외의 기능을 내장한 경우가 많으며 이러한 기능 중에 음악 혹은 동화상 등을 재생하는 기능이 있다. 만약, 음악, 동화상 등의 소리를 상기에 언급한 자동이득 증폭기로 증폭하면 음의 강약이 없어져서 본래의 음악, 동화상의 느낌이 사라지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음원일 경우는 음의 크기와 무관하게 선형적으로 증폭을 하고, 음색을 조절하기 위한 이퀄라이저를 사용한다.However, du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on devices, functions other than calls are often embedded, and among these functions, there are functions of playing music or moving pictures. If the sound of music, moving pictures, etc. is amplified by the above-mentioned auto gain amplifier,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the sound are lost, and the original music and moving pictures are lost. Therefore, in the case of such a sound source, an equalizer is used to amplify linearly and adjust the tone regardless of the loudness of the sound.
현재 통신 기기에서는 음성 및 음악 신호의 구분 없이 선형적으로 증폭을 함으로써 음성 통화시 수화자는 송신자의 음의 세기에 따라 음량을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current communication devices, amplification is performed linearly without discriminating between voice and music signals. Therefore, when a voice call is made, the receiver has to adjust the volume according to the loudness of the sender.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입력되는 음원에 대하여 특정 주파수 이상의 대역만 통과시키는 음악 신호 구분부를 통해 음성과 음악을 쉽게 구별하고 음원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르게 증폭하려는 유무선 통신기기의 오디오 신호 제어장치를 제공함에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made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the object of which is to easily distinguish between voice and music through a music signal division unit that passes only a band above a specific frequency with respect to the input sound source and according to the type of sound sourc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udio signal control device for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that amplifies differentl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기기의 오디오 신호 제어장치는 입력된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음악 신호를 구분하는 음악신호 구분부와, 상기 구분된 음악 신호에 따른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 선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audio signal control apparatus for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usic signal division unit for classifying a music signal with respect to an input audio signal, and a determination result according to the classified music signal. And a path selector for outputting the audio signal by selecting different paths according to a determination result by the controller.
상기의 구성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디오 신호에 대하여 음성 또는 음악 대역의 신호를 구분하여 증폭 출력함으로써 음악 대역의 신호에 대하여는 박력있는 음을 재생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화자는 본인이 듣기 편한 음량으로 통화를 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of the above configura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produce a powerful sound for a signal of a music band by dividing and amplifying and outputting a signal of a voice or a music band for an audio signal. In addition, the receiver can make a call at a volume that is comfortable for them to hea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될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elem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elements may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because they may b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hen it is determine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lated well-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component of this invention, terms, such as 1st, 2nd, A, B, (a), (b), can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for distinguishing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If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be another configuration between each component.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elements may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기기의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1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voice and music signal discrimination apparatus of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기기의 오디오 신호 제어장치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즉 음원에 대하여 음성 대역의 신호 또는 음악 대역의 신호를 판별하는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부(100)와,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부(100)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판별하여 음악 대역 신호로 판별시 상기 오디오 신호를 가청 주파수 대역의 전 영역에 걸쳐 증폭하여 출력하는 이퀄라이저(110), 및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부(100)에서 상기 오디오 신호를 판별하여 음성 대역 신호로 판별시 상기 오디오 신호를 가변적으로 증폭 혹은 감쇠하여 출력하는 자동이득조절기(12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As shown in FIG. 1, an audio signal control apparatus of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riminates a voice and a music signal for determining an input audio signal, that is, a voice band signal or a music band signal with respect to a sound source. An
이때,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부(100)는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즉 음원에 대하여 특정 주파수 이상의 음악 신호만을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음악신호 구분 부(101)와, 상기 구분된 음악 신호의 판단 결과를 출력하는 제어부(103)과, 제어부(103)에서의 판단 결과에 따라 서로 다른 경로를 선택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경로 선택부(105)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낸 제어부(103)는 제어신호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In this case, the voice and music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나타낸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부(100)는 예를 들어, 음성통화가 가능하고 MP3 기능을 가지며, 라디오 및 TV 방송 수신이 가능한 휴대폰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기기에서 음성 및 음악신호(이하, 음원이라 함)의 독립 혹은 믹싱(mixing)된 오디오 신호가 외부에서 입력될 때, 고역통과 필터를 통과하는 음원은 음악 대역의 신호로 판단하고, 고역통과 필터를 통과하지 못하는 음원은 음성 대역의 신호로 판단하며, 그 판단된 결과에 따라 이퀄라이저(110) 및 자동이득조절기(120) 중 하나를 선택하여 신호를 보내어, 그 이퀄라이저(110) 및 자동이득조절기(120) 중의 하나에서 다시 가공된 신호, 즉 음은 음향재생증폭기(130)에서 전력 증폭된 후 일반적인 스피커, 이어폰, 헤드폰 등과 같은 음향재생기(140)에서 소리를 내게 하는 것이다.Here, the voice and music
이때, 가청주파수 대역이 20Hz에서 20KHz의 범위에 있는 것을 감안해 볼 때 본 발명의 음악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그 가청주파수 대역과 같은 전 영역에 걸쳐 있게 될 것이고, 디지털 통신시에는 8KHz로 샘플링을 하므로 음성신호의 주파수 대역은 대략 300Hz~3KHz의 범위에 속해 있게 된다. 따라서,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 부(100)는 그 음원에 대한 음성 및 음악 대역 신호를 판별하기 위하여 적어도 4KHz 이상의 주파수를 통과시킬 수 있는 필터를 고역통과 필터로 사용하면, 음악 신호가 입력될 때 4KHz 이상의 출력 신호를 얻을 수 있고, 음성통화 신호가 입력될 때, "0" 혹은 "0"에 가까운 출력신호를 얻을 뿐이다. 따라서, 그 고역통과 필터의 주파수 값은 얼마든지 변경될 수 있는 것이며,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오디오 신호, 즉 음원에 대하여 음성과 음악 대역 신호를 판별할 수만 있다면 다양한 종류의 필터뿐 아니라, 반도체 등의 다양한 소자들도 얼마든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At this time, considering that the audible frequency band is in the range of 20Hz to 20KHz, the frequency band of the music signal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ver the same area as that of the audible frequency band, and in digital communication, voice is sampled at 8KHz. The frequency band of the signal is in the range of approximately 300Hz to 3KHz. Therefore, the voice and music
또한,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부(100)의 제어부(103)는 음악신호 구분부(101)를 통과하는 4KHz 이상의 주파수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음악 신호로 판단하고 예컨대 그 판단 결과에 따라 생성된 제어신호로 경로 선택부(105)를 제어함으로써 입력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제어부(103)는 음악신호 구분부(101)를 통과하는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를 음악 대역의 신호로 판단하여 이퀄라이저(110)를 선택하도록 경로 선택부(105)를 제어하고, 음악 신호 구분부(101)를 통과하는 오디오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이를 음성 대역의 신호로 판단하여 자동이득조절기(120)를 선택하도록 경로 선택부(105)를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혹은 입력된 오디오 신호는 경로 선택부(105)를 통해 상시 자동 이득 조절기(120)로 입력되다가 음악신호 구분부(101)에서 음악 신호가 감지될 때만 제어부에서 경로 선택부(105)의 경로를 차단하거나 바꿔줌으로써 오디오 신호가 이퀄라이저(110)로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Alternatively, the input audio signal is always input to the automatic gain adjuster 120 through the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음성 및 음악 신호 판별부(100)의 경로 선택부(105)는 스위칭 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그리고, 이퀄라이저(110)는 경로 선택부(105)의 선택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 오 신호, 즉 음악 대역 신호에 대하여 가청 주파수 대역의 전 영역을 증폭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이퀄라이저(110)는 가청 주파수 대역의 전 영역에 걸쳐 음악 대역 신호를 증폭하기 위하여 초기 설계시 특정 이득(gain)을 갖도록 설정될 것이다. 이와 같이 가청 주파수 대역에 해당되는 전 대역을 증폭시킴으로써 신호의 손실을 막아 음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음악 대역 신호의 증폭 재생 충실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물론 본 발명의 이퀄라이저(110)는 더 나아가서 3 밴드 혹은 4 밴드와 같은 복수의 밴드(band)로 구분되는 이퀄라이저(110)를 사용함으로써 전송 과정에서 생기는 신호의 변형을 보정(補正)할 수 있고, 또 특정 대역의 음을 더 생동감 있게 듣기 위하여 특정 밴드의 이득 값을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Of course, the
또한, 본 발명의 자동이득조절기(120)는 경로 선택부(105)의 선택에 의해 입력되는 오디오 신호, 즉 음성 대역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게 된다. 이때 자동이득조절기(120)는 입력되는 신호의 크기―즉, 전파의 강함과 약함―에 관계없이 가변적으로 그 입력신호를 증폭하거나 감쇠―즉, 강한 신호에 대하여는 감쇠하고, 약한 신호에 대하여는 증폭―함으로써 초기 설계시 설정된 일정 레벨을 유지하여 음성 신호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물론,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더 나아가서 특정한 음성 대역만을 선택하여 원하는 이득만큼 증폭할 수 있을 것이다. 그 결과, 휴대폰을 포함하는 유무선 통신기기에서 일정하며 향상된 통화 품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음향재생증폭기(130)는 앞서 간략히 언급되었지만 이퀄라이저(110) 또는 자동이득조절기(120)에서 제공된 신호, 즉 음의 전력을 증폭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음향재생증폭기(130)는 음향재생기(140)가 스피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이어폰 또는 헤드폰 등을 포함할 수 있으므로, 그 선택된 음향재생기(140)의 특성에 맞게 전력을 적절히 증폭하는 앰프, 헤드폰 앰프 혹은 이어폰 앰프가 바람직할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그러면, 상기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좀더 돕기 위하여 MP3 기능이 가능한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폰을 상정(上程)하고, 또 도 1을 계속 참조하여 그 내용을 살펴보고자 한다.Then, in order to further understand the above configuration, 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phone capable of MP3 function is assumed, and the contents thereof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먼저, 휴대폰, 즉 DMB 폰 사용자가 기본적인 음성 통화를 한다고 가정할 때, 도 1에 도시된 바 있는 본 발명의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부(10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고역통과필터를 통과하지 못하므로 음성신호로 판별하여 외부 입력 신호를 자동이득조절기(120)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자동이득조절기(120)는 입력되는 해당 음성신호의 크기에 관계없이 초기 설정된 일정 레벨, 즉 일정 이득으로 증폭하여 음성신호를 출력하게 된다.First, when a mobile phone, ie, a DMB phone user, assumes a basic voice call, the voice and music
그리고, 통화가 끝난 후 휴대폰 사용자가 MP3 기능 모드를 선택하여 휴대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음악을 실행하게 될 때, 본 발명의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부(10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신호가 고역통과필터를 통과하므로 음악신호로 판별하여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를 이퀄라이저(110)로 전송하며, 이퀄라이저(110)는 그 외부에서 입력된 신호에 대하여 가청주파수의 전 대역에 걸쳐 초기 설계시 설정된 일정 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하게 된다.Then, when the mobile phone user selects the MP3 function mode to execute the music stored in the mobile phone memory after the call, the voice and music
또 음악 청취 중, 휴대폰 사용자가 다시 TV 수신 모드를 선택하게 될 때, 그리고 수신되는 방송이 음악방송일 때, 본 발명의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부(100)는 입력되는 음성 및 음악신호에 대하여 실시간으로 그 성분을 판별하고 음성 대역의 신호인 경우에는 자동이득조절기(120)를 작동시켜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며, 음악 대역의 신호인 경우에는 이퀄라이저(110)를 작동시켜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켜 출력하게 된다.In addition, when listening to music, when the mobile phone user selects the TV reception mode again, and when the received broadcast is a music broadcast, the voice and music
한편, 명세서상에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On the other hand, the terms "comprise", "comprise" or "having"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that a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included, unless otherwise stated, and thus excludes other components. It should be construed that it may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s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unless otherwise defined. Terms used generally,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to coincide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무선 통신기기의 오디오 신호 제어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다이어그램1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structure of an audio signal control apparatus of a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REFERENCE NUMERALS
100: 음성 및 음악신호 판별부 101: 음악신호 구분부100: voice and music signal discrimination unit 101: music signal separation unit
103: 제어부 105: 경로 선택부103: control unit 105: path selection unit
110: 이퀄라이저 120: 자동이득조절기110: equalizer 120: automatic gain controller
130: 음향재생증폭기 140: 음향증폭기130: sound reproduction amplifier 140: sound amplifier
Claims (4)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3345A KR100972159B1 (en) | 2009-09-30 | 2009-09-30 | Device for controling audio signal i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 |
PCT/KR2010/006514 WO2011040729A2 (en) | 2009-09-30 | 2010-09-24 | Audio signal controlling apparatus of wired /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93345A KR100972159B1 (en) | 2009-09-30 | 2009-09-30 | Device for controling audio signal i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2159B1 true KR100972159B1 (en) | 2010-07-26 |
Family
ID=4264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93345A Expired - Fee Related KR100972159B1 (en) | 2009-09-30 | 2009-09-30 | Device for controling audio signal i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2159B1 (en) |
WO (1) | WO2011040729A2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15409B2 (en) | 2015-08-11 | 2018-10-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daptive processing of sound data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477641A1 (en) * | 2017-10-26 | 2019-05-01 | Vestel Elektronik Sanayi ve Ticaret A.S. | Consumer electronics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99718A (en) | 1999-04-13 | 2000-10-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obile phone device and audio device |
JP2001095082A (en) * | 1999-09-24 | 2001-04-06 | Yamaha Corp | Directional loudspeaker |
KR100343776B1 (en) | 1999-12-03 | 2002-07-2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volume control of the ring signal and/or input speech following the background noise pressure level in digital telephone |
KR20020084044A (en) * | 2002-10-15 | 2002-11-04 | 박원섭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057597A (en) * | 2003-08-06 | 2005-03-03 | Sanyo Electric Co Ltd | Mobile phone |
-
2009
- 2009-09-30 KR KR1020090093345A patent/KR10097215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9-24 WO PCT/KR2010/006514 patent/WO2011040729A2/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99718A (en) | 1999-04-13 | 2000-10-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Mobile phone device and audio device |
JP2001095082A (en) * | 1999-09-24 | 2001-04-06 | Yamaha Corp | Directional loudspeaker |
KR100343776B1 (en) | 1999-12-03 | 2002-07-2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Apparatus and method for volume control of the ring signal and/or input speech following the background noise pressure level in digital telephone |
KR20020084044A (en) * | 2002-10-15 | 2002-11-04 | 박원섭 |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with a variable output volume according to the receiving signal and its realizing metho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15409B2 (en) | 2015-08-11 | 2018-10-3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daptive processing of sound data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1040729A3 (en) | 2011-07-07 |
WO2011040729A2 (en) | 2011-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508335B2 (en) | Active noise control and customized audio system | |
CN104521247B (en) | Hearing aid and noise resisting method and device for Bluetooth headset | |
US7680465B2 (en) | Sound enhancement for audio devices based on user-specific audio processing parameters | |
US10510361B2 (en) | Audio processing apparatus that outputs, among sounds surrounding user, sound to be provided to user | |
US20080165988A1 (en) | Audio blending | |
US10026416B2 (en) | Audio system, audio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audio signal control method | |
CN105874818A (en) | Apparatus with a speaker used as second microphone | |
JP2008092269A (en) | Hands-free call device | |
JP2013501969A (en) | Method, system and equipment | |
US8284975B2 (en) | Method of outputting audio sig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 |
US20130003990A1 (en) | Electronic device and audio output control method thereof | |
CN1988737B (en) | System for controlling a transfer function of a hearing aid | |
US20140294193A1 (en) | Transducer apparatus with in-ear microphone | |
JPH07131268A (en) | Telephone | |
KR100972159B1 (en) | Device for controling audio signal in wire and wireless communication instrument | |
KR101482420B1 (en) | Sound Controller of a Cellular Phone for Deafness and its method | |
KR101405847B1 (en) | Signal Processing Structure for Improving Audio Quality of A Car Audio System | |
KR101576680B1 (en) | Vehicle audio system and method of reproducing its radio signal | |
JP2003264885A (en) | Headphone output controller and mobile phone using the same | |
CN101958956A (en) | Vehicle-mounted electronic equipment and reproduction method thereof | |
JP2003125481A (en) | Audio playback device | |
US8185042B2 (en) | Apparatus and method of improving sound quality of FM radio in portable terminal | |
KR10143796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outputting audio of mobile terminal | |
KR100498293B1 (en) | Mobile terminal with multimedia recording and playing function | |
US20120163628A1 (en) | Method for reducing digital audio output nois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1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2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7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1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91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9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20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720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71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7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9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102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