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71609B1 -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 Google Patents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609B1
KR100971609B1 KR1020080020451A KR20080020451A KR100971609B1 KR 100971609 B1 KR100971609 B1 KR 100971609B1 KR 1020080020451 A KR1020080020451 A KR 1020080020451A KR 20080020451 A KR20080020451 A KR 20080020451A KR 100971609 B1 KR100971609 B1 KR 100971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terminal
session
setup
connection
fl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5239A (ko
Inventor
김건식
이두형
최혁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팬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팬택
Priority to KR102008002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609B1/ko
Priority to US12/398,607 priority patent/US8320534B2/en
Publication of KR20090095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5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069Session establishment or d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1066Session management
    • H04L65/1101Session protocols
    • H04L65/1106Call signalling protocols; H.323 and relat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017Customized ring-back t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24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 H04M7/0039Services and arrangements where telephone services are combined with data services where the data service is provided by a stream of packets which are rendered in real time by the receiving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006Networks other than PSTN/ISDN providing telephone service, e.g. Voice over Internet Protocol (VoIP), including next generation networks with a packet-switched transport lay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50Telephonic communication in combination with video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예, 동영상 링백톤 서버)에 접속한 다음 수신단말로의 접속시, 수신단말과의 연결 셋업을 빠르게 하는 퀄컴 빠른 셋업이 확률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속 성능을 향상시키는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을 개시한다. 본 발명인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은,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에 연동하여,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수신단말로부터 응답이 입력되기 이전의 제1 대기시간 동안, 상기 형성된 제1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단말과의 접속 환경을, 퀄컴 빠른 셋업(QUALCOMM FAST SETUP)으로 설정하기 위한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응답의 입력에 연동하여 상기 수신단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세션을 통해, 상기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상기 수신단말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링백톤 영상데이터, 퀄컴 빠른 셋업, 셋업플래그, 세션, 접속

Description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METHOD AND SYSTEM FOR IMPROVING PERFORMANCE OF CONNECTION TO RECEIVER}
본 발명은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예, 동영상 링백톤 서버)에 접속한 다음 수신단말로의 접속 시, 수신단말과의 연결 셋업을 빠르게 하는 퀄컴 빠른 셋업이 확률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속 성능을 향상시키는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발신단말이 수신단말로 통신 연결을 요청하였지만 수신단말이 발신단말의 요청에 응답하지 못하는 경우, 그 대기시간 동안에 발신사용자에게 정해진 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해 발신단말은 링백톤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링백톤 서버는 수신단말로부터의 응답을 대기하는 발신사용자에게 음성 또는 화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역할을 하며, 발신사용자로 하여금 대기 시간 동안 음성 또는 화상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한다.
수신단말이 발신단말의 통신 연결 요청에 응답하는 경우, 발신단말은 링백톤 서버와의 통신을 차단하면서 수신단말과 통신 연결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발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의 통신 연결을 위한 셋업이 이루어지는데, 보다 빠른 셋업을 위해 퀄컴 빠른 셋업이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발신단말이 기존의 링백톤 서버와의 통신을 차단하고, 수신단말과의 새로운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데에는 일정한 요구 시간이 필요하고, 이에 따라 발신단말은 상기 응답이 입력된 이후에도 상기 시간 동안에, 상기 링백톤 서버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예, 스터핑데이터)를 계속적으로 발생하게 된다.
반면, 수신단말은 상기 응답에 따라, 아직 통신 연결을 완료하지 못한 발신단말에 일방적으로 통신 연결하게 되고, 경우에 따라 발신단말이 링백톤 서버로 송출하려던 상기 스터핑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 경우, 수신단말에서는 스터핑데이터 수신에 따라, 접속 환경을 일반적인 노말 셋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는, 수신단말이 퀄컴 빠른 셋업을 위한 플래그를 수신하기 전에 스터핑데이터를 수신하게 되어, 접속 환경을 퀄컴 빠른 셋업이 아닌 노말 셋업으로 오인하는 데에 기인한다.
즉, 발신단말과 수신단말 간에는 퀄컴 빠른 셋업의 의도하에서도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하지 못하고, 노말 셋업을 수행하게 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에 접속한 다음 수신단말로의 접속 시, 수신단말과의 연결 셋업을 빠르게 하는 퀄컴 빠른 셋업이 확률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속 성능을 향상시키는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원발명의 목적은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와의 접속 중에도, 수신단말과의 퀄컴 빠른 셋업을 위한 셋업플래그를 미리 발생 시키고, 발신단말이 접속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신단말이 일방적으로 접속해오더라도 미리 발생시킨 셋업플래그가 수신단말로 최적한 시점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수신단말이 노말 셋업으로의 오인 없이 정확하게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은,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에 연동하여,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수신단말로부터 응답이 입력되기 이전의 제1 대기시간 동안, 상기 형성된 제1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단말과의 접속 환경을, 퀄컴 빠른 셋업(QUALCOMM FAST SETUP)으로 설정하기 위한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응답의 입력에 연동하여 상기 수신단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세션을 통해, 상기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상 기 수신단말로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으로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은,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에 연동하여,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하는 세션 형성수단과,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수신단말로부터 응답이 입력되기 이전의 제1 대기시간 동안, 상기 형성된 제1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링백톤 영상데이터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단말과의 접속 환경을, 퀄컴 빠른 셋업으로 설정하기 위한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셋업플래그 발생수단, 및 상기 응답의 입력에 연동하여 상기 수신단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세션을 통해, 상기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상기 수신단말로 송출하는 셋업플래그 송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에 접속한 다음 수신단말로의 접속 시, 수신단말과의 연결 셋업을 빠르게 하는 퀄컴 빠른 셋업이 확률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와의 접속 중에도, 수신단말과의 퀄컴 빠른 셋업을 위한 셋업플래그를 미리 발생 시키고, 발신단말이 접속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신단말이 일방적으로 접속해오더라도 미리 발생시킨 셋업플래그가 수신단말로 최적한 시점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수신단말이 노말 셋업으로의 오인 없이 정확하게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영상서버와 주고 받던 PADDING 데이터에 level stuffing data와 QUALCOMM FLAG를 주기 적으로 보냄으로써, 수신단말과의 빠른 연결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H.324M 화상전화 단말기에서 수발신 단말간 세션 네고를 빠르게 처리하는 기존 QUALCOMM 빠른 연결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망간의 신호 딜레이 및 신호 왜곡으로 인한 데이터 오버헤드 증가 및 재전송 발생 상황에서도 영상서버 접속 후, 다시 수신단말 응답으로 인한 수신단말 접속 시 영상서버와 주고 받던 레벨 DETECTION 값이 수신단말에 전송 되어 수신단말이 빠른 연결이 되지 않고, 일반 연결이 되는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발명의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을 구현하는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을, 호연결을 요청하는 발신단말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는 제1 세션은, 발신단말에 의해 형성되는 접속 연결로 일 수 있으며, 예컨대 영상서버와의 접속 연결로로서의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 수신단말과의 접속 연결로로서의 '수신단말로의 제1 세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제2 세션은 발신단말과 통신하는 다른 단말기기들(영상서버, 수신단 말)에 의해 형성되는 접속 연결로 일 수 있으며, 상기 제1 세션과 형성되는 시기가 상이할 수 있다(영상서버와 접속 중인 발신단말에 대해서는 제1 세션보다 제2 세션이 먼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세션과 제2 세션이 모두 형성된 채널은, 양자간(발신단말 vs 영상서버/수신단말)에 통신 연결이 완전하게 이루어졌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세션 형성수단(101), 링백톤 영상데이터 수신수단(102), 셋업플래그 발생수단(103), 및 셋업플래그 송출수단(104)을 포함할 수 있다.
세션 형성수단(101)은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에 연동하여,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세션 형성수단(101)은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이 발생하였으나 수신단말의 응답이 없는 경우,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와 통신 연결을 수행한다. 이때, 영상서버는 상기 제1 세션의 형성에 대응하여, 발신단말로의 제2 세션을 형성하고, 발신단말과의 채널 형성을 완료할 수 있다.
링백톤 영상데이터 수신수단(102)은 요청에 대해 수신단말로부터 응답이 입력되기 이전의 제1 대기시간 동안, 형성된 제1 세션을 이용하여 영상서버로부터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링백톤 영상데이터 수신수단(102)은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이 발생하고부터 요청에 대한 수신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입력되기 전까지 시간인 제1 대기시간 동안, 형성된 제1 세션(또는 제2 세션)을 통해 영상서버로부터 음성 또는 화상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인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셋업플래그 발생수단(103)은 수신단말과의 접속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셋업플래그 발생수단(103)은 퀄컴 빠른 셋업을 위한 셋업플래그를 수신단말과 접속하기 전에 미리 발생시켜, 추후 수신단말과의 접속 시 수신단말과 빠르게 연결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한다.
셋업플래그 발생수단(103)은 상기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통해 영상서버로 송출되는 스터핑데이터의 발생 주기를 고려하여,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킨다. 즉, 셋업플래그 발생수단(103)은 셋업플래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스터핑데이터가 5회 발생할 때마다 1회 간격으로 상기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셋업플래그 발생수단(103)은 상기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통해 영상서버로 송출되는 스터핑데이터의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킨다. 즉, 셋업플래그 발생수단(103)은 셋업플래그를 스터핑데이터와 동시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셋업플래그 송출수단(104)은 응답의 입력에 연동하여 수신단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세션을 통해,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수신단말로 송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셋업플래그 송출수단(104)은 수신단말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으면, 제2 세션을 통해, 상기 미리 발생한 셋업플래그를 수신단말로 송출하여 수신단말이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셋업플래그 송출수단(104)은 상기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해지하고 상기 형성된 제2 세션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단말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하기 이전의 제2 대기시간 동안에, 상기 셋업플래그를 송출할 수 있다. 즉, 셋업플래그 송출수단(104)은 수신단말로의 제1 세션이 형성되기 이전이라도, 미리 발생시켜 놓은 셋업플래그가 제2 세션을 통해, 스터핑데이터와 함께 또는 스터핑데이터보다 먼저 수신단말로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신단말이 노말 셋업으로의 오인 없이 정확하게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 셋업플래그 송출수단(104)은 제1 세션의 형성이 유지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제1 세션을 통해 영상서버로 송출할 수도 있다. 즉, 셋업플래그 송출수단(104)은 셋업플래그의 발생에 연동하여 이를 제1 세션을 통해 송출 함으로써, 제1 세션이 그 연결 대상을 영상서버에서 수신단말로 대기시간(제2 대기시간) 없이 변경하는 경우, 셋업플래그가 실시간적으로 수신단말로 송출되도록 대비한다.
이하, 도 2,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H.324M 화상전화 단말기에서 발신단말과 수신단말간에 세션 형성을 빠르게 처리하는 기존의 퀄컴 빠른 연결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망간의 신호 딜레이 및 신호 왜곡으로 인한 데이터 오버헤드 증가 및 재전송 발생 상황에서도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 접속 후, 다시 수신단말의 응답으로 인한 수신단말의 접속 시, 영상서버와 주고 받던 스터핑 데이터(Stuffing Data), 레벨 DETECTION 등의 데이터 값이 수신단말에 전송 되어 수신단말이 빠른 연결이 되지 않고, 일반 연결이 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H.324M 규격을 만족하는 이동통신 단말간 신호 왜곡 및 신호 딜레이 상황에서도 영상서버 접속 후, 두 이동통신 단말간 주고 받는 TCS(Terminal Capability Set), MSD(MASTER SLAVE DETERMINATION) 데이터의 전송을 생략하고 상호간 약속된 빠른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으로, 두 이동통신 단말간 셋업을 빠르게 하는 퀄컴 빠른 연결을 이용하여 두 이동통신 단말간 셋업을 빨리 이루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의 접속 시퀀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2는, 영상서버(예, 영상링투유, MTRU/3GIP 등)로의 접속 후 수신단말의 응답 시 수신단말과의 셋업 과정을 설명하는 메니지 시퀀스 챠트(Message Sequence Chart)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신단말은 수신단말과의 실질적인 통화 연결전에 영상서버와 1차 H.245 네고 과정(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 형성)과, 2차 수신단말과의 H.245 네고 과정(수신단말로의 제1 세션 형성)을 수행하여야 한다.
서비스의 개요는 발신단말이 동일 사업자의 수신단말로 화상전화 연결을 시도하는 경우, 망으로부터 특정한 Call indication(예, Progress Desc 0x41)을 받게 되고 이를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수신단말과 연결되기 전(수신측이 ANSWER하여 발신측이 CONNECT 메시지를 받기 전)에 H.245 Fast Negotiation 형태의 H.324 session 을 영상서버와 형성하게 된다.
또한, 발신단말은 형성된 H.324 session을 통해, 영상서버로부터 화상전화 형태의 RBT화면을 수신하여 발신사용자에게 보여 주게 된다. 이후, 수신단말로부터 CONNECT 메시지를 수신하는 경우, 발신단말은 기존 영상서버와의 H.324 Session을 종료하고, 새로운 H.245 Negotiation을 수행하여 수신단말과의 H.324 session을 이루어 통신을 하게 된다.
수신단말과의 H.324 session에서는, QVP_APP_WAIT_FOR_LEVEL_DETECTION_DONE에서 기존 TCS 송수신부와 CAPABILITY EXCHANGE부를 하지 않고, QVP_H324_FAST_SETUP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퀄컴 빠른 연결을 이루기 위해서는 레벨 DETECTION 과정에서 QUALCOMM FLAG를 수신하여야 한다.
수신단말이 응답하면 발신측 교환기는 기존 영상서버로 연결되어 있던 Call Channel을 수신측 교환기 쪽으로 전환하게 된다.
이 동작은 수신측 응답 즉시 바로 행해지지만 발신측 단말의 H.324 Session의 경우에는 영상서버와 연결되어 있던 session을 닫고 다시 수신단말과의 H.324 Session을 만드는데 시간이 소요되게 된다.
그 시간 동안, 수신단말은 발신단말과의 Session을 열기 위해 이미 준비되어 있으므로 발신단말이 기존에 영상서버와의 Session이 바로 종료되지 않아 보내고 있던 메시지 및 기존 영상서버와 주고 받는 PADDING DATA로서의 스터핑데이터(E1 4D 00 00 00)를 받아 들이게 된다.
이때 받아 들이게 되는 스터핑데이터(E1 4D 00 00 00)는, 사실 초기 Session 연결 과정, 즉 Level detection을 위한 데이터는 아니지만, 수신단말 입장에서는 이를 알 수 없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level detection 및 뒤이어 QUALCOMM fast setup detection까지 수행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수신단말은, QUALCOMM fast setup 메시지를 놓치게 되어 노말 셋업 과정으로 진입할 우려가 높다.
영상서버와의 접속을 거친 후 수신단말에서 받아들이는 데이터에는, normal Stuffing data와 발신단말이 기존 영상서버와의 Session에서 주고 받는 데이터 만을 포함하고 있다.
이를 이용하여 수신단말이 level detection을 해 버리는 경우, 수신단말은 퀄컴 fast setup과 관련된 특정의 플래그 패턴(약 5 바이트)을 일정 기간 동안 찾게되나, 퀄컴 fast setup flag가 새로운 session이 열리는 경우에 보내주도록 되어 있었으므로 이 경우에는 발신 측이 보내주지 않고 있어, 수신단말은 접속 연결 형태를 Normal setup으로 인식하게 될 확률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본 발명의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은 수신단말로의 제1 세션이 형성되기 이전이라도, 미리 발생시켜 놓은 퀄컴 fast setup flag(셋업플래그)가, 수신단말의 응답에 따라 수신단말에 의해 형성된 제2 세션을 통해, 수신단말로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신단말이 노말 셋업으로의 오인 없이 정확하게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셋업데이터에 대한 발생 일례를 상세화한 도면이다.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제1 세션의 형성이 유지되는 동안에, 미리 발생시킨 퀄컴 빠른 셋업을 위한 셋업플래그를, 제1 세션을 통해 영상서버로 주기 적으로 또는 스터핑데이터와 함께 송출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제1 세션의 형성이 유지되는 동안에, 영상서버로 송출되는 스터핑데이터(301)와 스터핑데이터(303) 사이에 셋업플래그(302)를 삽입하여 영상서버로 송출한다.
즉, 발신측에서 영상서버와 접속하게 되는 경우, 이후 수신단말과의 접속 시 Session recreation시까지의 시간을 줄일 수 있는 부분은 한계가 있으므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스터핑데이터(E1 4D 00 00 00)를 보낼 때 연속적인 5번의 스터핑데이터를 보낸 후 1번의 퀄컴 빠른 셋업용 셋업플래그를 주기적으로 보내도록 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수신단말은 셋업 과정에서 qualcomm fast setup flag를 수신하게 되어 빠른 연결을 이룰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영상서버로의 스터핑데이터 송출에 연동하여 셋업플래그가 함께 영상서버로 송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를 통해 수신단말 측에서는, 발신단말 측이 새로운 session을 연결할 때까지, 발신단말이 기존 session과 연결된 상태에서 보낸 스터핑데이터와 함께 퀄컴 빠른 셋업용 셋업플래그를 받을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수신단말과의 제2 세션이 형성되면서, 불가피하게 영상서버로 전송하던 스터핑데이터 등의 메시지를 제2 세션을 통해 전송하더라도 수신단말이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에 관한 작업 흐름도이다.
단계 401에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에 연동하여,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한다. 즉, 본 단계는 세션 형성수단(101)이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이 발생하였으나 수신단말의 응답이 없는 경우,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하는 과정이다.
단계 402에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요청에 대해 수신단말로부터 응답이 입력되기 이전의 제1 대기시간 동안, 형성된 제1 세션을 통해 영상서버로부터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수신한다. 즉, 본 단계는 링백톤 영상데이터 수신수단(102)이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이 발생하고부터 요청에 대한 수신단말로부터의 응답이 입력되기 전까지 시간인 제1 대기시간 동안, 형성된 제1 세션을 통해 영상서버로부터 음성 또는 화상 서비스에 관한 데이터인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이다.
단계 403에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수신단말과의 접속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킨다. 즉, 본 단계는 셋업플래그 발생수단(103)이 퀄컴 빠른 셋업을 위한 셋업플래그를 수신단말과 접속하기 전에 미리 발생시켜 수신단말과 빠르게 연결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과정이다.
또한, 단계 403에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상기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통해 영상서버로 송출되는 스터핑데이터의 발생 주기를 고려하여,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셋업플래그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으며, 예컨대 스터핑데이터가 5회 발생할 때마다 1회 간격으로 상기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단계 403에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상기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통해 영상서버로 송출되는 스터핑데이터의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셋업플래그를 스터핑데이터와 동시간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단계 404에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응답의 입력에 연동하여 수신단말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세션을 통해,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수신단말로 송출한다. 즉, 본 단계는 셋업플래그 송출수단(104)이 수신단말로부터 요청에 대한 응답을 입력받으면, 제2 세션을 통해 발생된 셋업플래그를 수신단말로 송출하여 수신단말이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하는 과정이다.
또한, 단계 404에서의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상기 영상서버로의 제1 세션을 해지하고 상기 형성된 제2 세션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단말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하기 이전의 제2 대기시간 동안에, 상기 셋업플래그를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셋업플래그 송출수단(104)은 수신단말로의 제1 세션이 형성되기 이전이라도, 미리 발생시켜 놓은 셋업플래그가 제2 세션을 통해, 스터핑데이터와 함께 또는 스터핑데이터보다 먼저 수신단말로 송출되도록 함으로써, 수신단말이 노말 셋업으로의 오인 없이 정확하게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단계 404에서의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100)은 제1 세션의 형성이 유지되는 동안에,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제1 세션을 통해 영상서버로 송출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셋업플래그 송출수단(104)은 셋업플래그의 발생에 연동하 여 이를 제1 세션을 통해 송출 함으로써, 제1 세션이 그 연결 대상을 영상서버에서 수신단말로 대기시간(제2 대기시간) 없이 변경하는 경우, 셋업플래그가 실시간적으로 수신단말로 송출되도록 대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에 접속한 다음 수신단말로의 접속 시, 수신단말과의 연결 셋업을 빠르게 하는 퀄컴 빠른 셋업이 확률 높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속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와의 접속 중에도, 수신단말과의 퀄컴 빠른 셋업을 위한 셋업플래그를 미리 발생 시키고, 발신단말이 접속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신단말이 일방적으로 접속해오더라도 미리 발생시킨 셋업플래그가 수신단말로 최적한 시점에 전송되도록 함으로써, 수신단말이 노말 셋업으로의 오인 없이 정확하게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인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5의 ?)에서, 본 발명의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500)을 포함하는 발신단말(501)은 수신단말(502)로 호연결 요청을 송출하고, 수신단말(503)이 상기 호연결 요청에 응답하지 않는 경우에 영상서버(503)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한다. 또한, 영상서버(503)는 상기 제1 세션에 대응하여 단말수단(501)로의 제2 세션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발신단말(501)과 영상서버(503) 사이에는 채널이 완성되며,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500)은 영상서버(503)로부터 음성 또는 화상 서비스 관련 데이터 등의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수신하고, 영상서버(503)로 스터핑데이터 등의 PADDING DATA 를 송출하게 된다.
상기 발신단말(501)과 영상서버(503) 사이의 채널이 완성되는 시간은,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수신단말(502)로부터 응답이 입력되기 이전까지의 제1 대기시간동안 유지되며,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500)은 상기 제1 대기시간 동안, 수신단말(502)과의 접속 환경을 설정하기 위한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킨다.
도 5의 ?)에서와 같이, 수신단말(502)로부터 호연결 요청에 대한 응답이 입력되는 경우,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500)을 포함하는 발신단말(501)은 영상서버(503)로의 제1 세션을 닫고, 수신단말(502)로의 제1 세션을 열기 위한 준비를 하게 된다. 다만, 발신단말(501)과 수신단말(502) 사이에는, 상기 응답의 입력에 따라 수신단말(502)에 의해 형성되는 제2 세션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500)은 상기 형성된 제2 세션을 통해, 미리 발생시킨 셋업플래그를 수신단말(502)로 송출하게 된다.
특히,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500)은 상기 영상서버(503)로의 제1 세션을 완전히 해지하고 상기 형성된 제2 세션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단말(502)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하기 이전의 제2 대기시간 동안에, 상기 셋업플래그를 송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500)에 의해서는, 먼저 접속 준비가 된 수신단말(502)에 의해 형성된 제2 세션을 통해, 발신단말(501)에서 영상서버(503)로 전송되어야 할 스터핑데이터를 포함한 메시지가 수신단말(502)로 송출되더라도 퀄컴 빠른 셋업을 위한 셋업플래그가 수신단말(502)로 안정하게 송출 됨으로써 수신단말(502)에서 셋업플래그를 송신받아 퀄컴 빠른 셋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의 ?)에서는, 퀄컴 빠른 셋업이 수행되는 상태 하에서, 발신단말(501)에서 수신단말(502)로의 제1 세션을 형성하고, 이에 따라 발신단말(501)과 수신단말(502) 사이에는 채널이 완성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해서는, 동영상 링백톤 서버에 접속한 다음 수신단말로의 접속 시, 수신단말과의 연결 셋업을 빠르게 하는 퀄컴 빠른 셋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접속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서는, 동영상 링백톤 서버에 접속한 다음 수신단말로의 접속 시, 수신단말과의 연결 셋업을 빠르게 하는 퀄컴 빠른 셋업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발신단말의 대기 시간을 감소 함으로서, 발신단말의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 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제공하는 영상서버의 접속 시퀀스에 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셋업데이터에 대한 발생 일례를 상세화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에 관한 작업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
101 : 세션 형성수단
102 : 링백톤 영상데이터 수신수단
103 : 셋업플래그 발생수단
104 : 셋업플래그 송출수단

Claims (11)

  1. 발신단말에서,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에 연동하여, 영상서버 사이에 제1 세션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발신단말에서,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수신단말로부터 응답이 입력되기 이전의 제1 대기시간 동안, 상기 형성된 제1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발신단말에서, 상기 수신단말과의 접속 환경을, 퀄컴 빠른 셋업(QUALCOMM FAST SETUP)으로 설정하기 위한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단계; 및
    상기 응답의 입력에 연동하여 상기 수신단말에 의해 상기 발신단말 사이에 제2 세션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발신단말에서, 상기 형성된 제2 세션을 통해, 상기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상기 수신단말로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상기 수신단말로 송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세션을 해지하고 상기 형성된 제2 세션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단말과의 접속 연결로를 형성하기 이전의 제2 대기시간 동안에, 상기 셋업플래그를 송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세션을 통해 상기 영상서버로 송출되는 스터핑데이터의 발생 주기를 고려하여, 상기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세션을 통해 상기 영상서버로 송출되는 스터핑데이터의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단말에서, 상기 제1 세션의 형성이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상기 제1 세션을 통해 상기 영상서버로 송출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7. 수신단말로의 호연결 요청에 연동하여, 발신단말과 영상서버 사이에 제1 세션을 형성하는 세션 형성수단;
    상기 요청에 대해 상기 수신단말로부터 응답이 입력되기 이전의 제1 대기시간 동안, 상기 형성된 제1 세션을 이용하여 상기 영상서버로부터 링백톤 영상데이터를 수신하는 링백톤 영상데이터 수신수단;
    상기 수신단말과의 접속 환경을, 퀄컴 빠른 셋업으로 설정하기 위한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셋업플래그 발생수단; 및
    상기 응답의 입력에 연동하여 상기 수신단말에 의해 상기 발신단말 사이에 제2 세션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형성된 제2 세션을 통해, 상기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상기 수신단말로 송출하는 셋업플래그 송출수단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플래그 송출수단은,
    상기 제1 세션을 해지하고 상기 형성된 제2 세션에 대응하여 상기 수신단말과의 접속 연결로를 형성하기 이전의 제2 대기시간 동안에, 상기 셋업플래그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플래그 발생수단은,
    상기 제1 세션을 통해 상기 영상서버로 송출되는 스터핑데이터의 발생 주기를 고려하여, 상기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플래그 발생수단은,
    상기 제1 세션을 통해 상기 영상서버로 송출되는 스터핑데이터의 발생에 연동하여, 상기 셋업플래그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셋업플래그 송출수단은,
    상기 제1 세션의 형성이 유지되는 동안에, 상기 발생되는 셋업플래그를 상기 제1 세션을 통해 상기 영상서버로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속 성능 향상 시스템.
KR1020080020451A 2008-03-05 2008-03-05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KR100971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451A KR100971609B1 (ko) 2008-03-05 2008-03-05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US12/398,607 US8320534B2 (en) 2008-03-05 2009-03-05 Method and system for establishing connection to called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0451A KR100971609B1 (ko) 2008-03-05 2008-03-05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5239A KR20090095239A (ko) 2009-09-09
KR100971609B1 true KR100971609B1 (ko) 2010-07-20

Family

ID=41053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0451A KR100971609B1 (ko) 2008-03-05 2008-03-05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320534B2 (ko)
KR (1) KR1009716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62637A1 (en) 2002-07-25 2004-08-19 Yulun Wang Medical tele-robotic system with a master remote station with an arbitrator
US7813836B2 (en) 2003-12-09 2010-10-12 Intouch Technologies, Inc. Protocol for a remotely controlled videoconferencing robot
US8077963B2 (en) 2004-07-13 2011-12-13 Yulun Wang Mobile robot with a head-based movement mapping scheme
US9198728B2 (en) 2005-09-30 2015-12-01 Intouch Technologies, Inc. Multi-camera mobile teleconferencing platform
US8849679B2 (en) 2006-06-15 2014-09-30 Intouch Technologies, Inc. Remote controlled robot system that provides medical images
US9160783B2 (en) 2007-05-09 2015-10-13 Intouch Technologies, Inc. Robot system that operates through a network firewall
KR100971609B1 (ko) * 2008-03-05 2010-07-20 주식회사 팬택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US10875182B2 (en) 2008-03-20 2020-12-29 Teladoc Health, Inc. Remote presence system mounted to operating room hardware
US8179418B2 (en) 2008-04-14 2012-05-15 Intouch Technologies, Inc. Robotic based health care system
US8170241B2 (en) 2008-04-17 2012-05-01 Intouch Technologies, Inc. Mobile tele-presence system with a microphone system
US9193065B2 (en) 2008-07-10 2015-11-24 Intouch Technologies, Inc. Docking system for a tele-presence robot
US9842192B2 (en) 2008-07-11 2017-12-12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presence robot system with multi-cast features
US8340819B2 (en) 2008-09-18 2012-12-25 Intouch Technologies, Inc. Mobile videoconferencing robot system with network adaptive driving
US8996165B2 (en) 2008-10-21 2015-03-31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presence robot with a camera boom
US8463435B2 (en) 2008-11-25 2013-06-11 Intouch Technologies, Inc. Server connectivity control for tele-presence robot
US9138891B2 (en) 2008-11-25 2015-09-22 Intouch Technologies, Inc. Server connectivity control for tele-presence robot
US8849680B2 (en) 2009-01-29 2014-09-30 Intouch Technologies, Inc. Documentation through a remote presence robot
US8897920B2 (en) 2009-04-17 2014-11-25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presence robot system with software modularity, projector and laser pointer
US11399153B2 (en) 2009-08-26 2022-07-26 Teladoc Health, Inc. Portable telepresence apparatus
US8384755B2 (en) 2009-08-26 2013-02-26 Intouch Technologies, Inc. Portable remote presence robot
US11154981B2 (en) 2010-02-04 2021-10-26 Teladoc Health, Inc. Robot user interface for telepresence robot system
US8670017B2 (en) 2010-03-04 2014-03-11 Intouch Technologies, Inc. Remote presence system including a cart that supports a robot face and an overhead camera
US10343283B2 (en) 2010-05-24 2019-07-09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presence robot system that can be accessed by a cellular phone
US10808882B2 (en) 2010-05-26 2020-10-20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robotic system with a robot face placed on a chair
US9264664B2 (en) 2010-12-03 2016-02-16 Intouch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bandwidth allocation
US12093036B2 (en) 2011-01-21 2024-09-17 Teladoc Health, Inc. Telerobotic system with a dual application screen presentation
US9323250B2 (en) 2011-01-28 2016-04-26 Intouch Technologies, Inc. Time-dependent navigation of telepresence robots
US8965579B2 (en) 2011-01-28 2015-02-24 Intouch Technologies Interfacing with a mobile telepresence robot
US11482326B2 (en) 2011-02-16 2022-10-25 Teladog Health, Inc.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based counseling
US10769739B2 (en) 2011-04-25 2020-09-08 Intouch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management of information among medical providers and facilities
US9098611B2 (en) 2012-11-26 2015-08-04 Intouch Technologies, Inc. Enhanced video interaction for a user interface of a telepresence network
US8836751B2 (en) 2011-11-08 2014-09-16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presence system with a user interface that displays different communication links
US9258334B2 (en) * 2012-03-14 2016-02-09 Avaya Inc. Universe media shuffling
US8902278B2 (en) 2012-04-11 2014-12-02 Intouch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d managing telepresence devices in healthcare networks
US9251313B2 (en) 2012-04-11 2016-02-02 Intouch Technolog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visualizing and managing telepresence devices in healthcare networks
US9361021B2 (en) 2012-05-22 2016-06-07 Irobot Corporation Graphical user interfaces including touchpad driving interfaces for telemedicine devices
WO2013176758A1 (en) 2012-05-22 2013-11-28 Intouch Technologies, Inc. Clinical workflows utilizing autonomous and semi-autonomous telemedicine devices
US11862302B2 (en) 2017-04-24 2024-01-02 Teladoc Health, Inc. Automated transcription and documentation of tele-health encounters
US10483007B2 (en) 2017-07-25 2019-11-19 Intouch Technologies, Inc. Modular telehealth cart with thermal imaging and touch screen user interface
US11636944B2 (en) 2017-08-25 2023-04-25 Teladoc Health, Inc. Connectivity infrastructure for a telehealth platform
US10617299B2 (en) 2018-04-27 2020-04-14 Intouch Technologies, Inc. Telehealth cart that supports a removable tablet with seamless audio/video switching
CN111314543A (zh) * 2018-12-11 2020-06-1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呼叫处理方法及装置、计算机可读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493A (ko) * 2003-05-28 2004-1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링백톤과 함께 제공되는 영상 서비스 방법
KR20060062659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회선 교환 방식망에서의 착신 연결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70049384A (ko) * 2005-11-08 200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KR20070095435A (ko) * 2005-07-22 2007-09-2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링백톤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15266A (en) * 1995-07-13 1997-03-25 Motorola, Inc Secure communication setup method
US7215663B1 (en) * 1996-01-16 2007-05-08 C2 Global Technologies, Inc. Private IP communication network architecture
ATE255316T1 (de) * 1999-05-12 2003-12-15 Nokia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verbindungsaufbau
US7460518B1 (en) * 2001-08-31 2008-12-02 Cisco Technology, Inc. Devices, softwares and methods for rule based determination of attributes of called device for network telephone call setup
US8068593B2 (en) * 2004-12-30 2011-11-29 Alcatel Lucen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back services to mobile user devices in pre-IMS networks
US7693134B2 (en) * 2004-12-30 2010-04-06 Alcatel-Lucent Us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multimedia ringback services to user devices in IMS networks
CA2606773C (en) * 2005-06-20 2011-08-09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making a call-setup
US7885266B2 (en) * 2005-10-24 2011-02-08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for IP multimedia services session setup
US20070177616A1 (en) * 2006-01-13 2007-08-02 Dilithium Networks Pty Ltd. Interactive multimedia exchange architecture and services
US20070189474A1 (en) * 2006-01-27 2007-08-16 Lucent Technologies Inc. Initiating ecommerce sessions using multimedia ringback tones
US20070207782A1 (en) * 2006-03-06 2007-09-06 Tran Bao Q Multimedia telephone
WO2009052582A1 (en) * 2007-10-25 2009-04-30 Mcomms Design Pty Ltd Ringback tone monitoring apparatus and method
US8634536B2 (en) * 2007-12-19 2014-01-21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ringback video
KR100971609B1 (ko) * 2008-03-05 2010-07-20 주식회사 팬택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2493A (ko) * 2003-05-28 2004-12-0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링백톤과 함께 제공되는 영상 서비스 방법
KR20060062659A (ko) * 2004-12-06 2006-06-12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회선 교환 방식망에서의 착신 연결 영상 서비스 제공 방법및 그 시스템
KR20070095435A (ko) * 2005-07-22 2007-09-28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링백톤 서비스를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070049384A (ko) * 2005-11-08 2007-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화대기 시 멀티미디어 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225960A1 (en) 2009-09-10
KR20090095239A (ko) 2009-09-09
US8320534B2 (en) 2012-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1609B1 (ko) 수신단말로의 접속 성능 향상 방법 및 접속 성능 향상시스템
US8374171B2 (en) Method for reducing the risk of call connection failure and system to perform the method
US9602553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implementing VOIP call in cloud computing environment
EP2712146B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media stream data in cloud computing system
CN105119877A (zh) 语音验证方法、装置以及系统
US9894128B2 (en) Selective transcoding
CN109714494B (zh) 话单生成方法及系统、话单生成服务器
KR20170008862A (ko) 비디오 미디어 플레이 방법, 장치 및 시스템, 컴퓨터 저장 매체
CN111193688B (zh) 实现视频彩铃的方法、装置、设备及介质
RU2430478C2 (ru) Аутентификация устройства персональным компьютером дл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в режиме реального времени
CN102130888B (zh) 通话过程中继续播放彩铃和彩振的方法和服务器
CN101815257A (zh) 文本消息语音通信方法、装置及系统、终端设备
CN111212192B (zh) Ims固话用户拨打volte用户的放音方法、装置和存储介质
CN104683402B (zh) 通信方法和用户设备
CN110493022B (zh) 一种三方会话的建立方法、装置及系统
US93444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rvice control
KR10138719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실행 제어 시스템 및 그제어방법
WO2022257988A1 (zh) 通话建立方法、应用服务器系统、终端和通信网络设备及系统
CN103024334A (zh) 一种实现可视电话业务的方法、系统和设备
CN102668487B (zh) 一种媒体网关实现呼叫的方法及系统
CN108650425B (zh) 监听方法及监听系统
CN110505070A (zh) 一种三方会话的建立方法及装置
CN105656863B (zh) 一种语音呼叫方法及装置
KR100695393B1 (ko) 화상 통화 중 추가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공 방법 및 그시스템
CN115484566B (zh) 视频彩铃业务的实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3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7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6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70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60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621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703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