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220B1 - G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Isolation Changes and Wireless Repeater - Google Patents
G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Isolation Changes and Wireless Repea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0220B1 KR100970220B1 KR1020080095547A KR20080095547A KR100970220B1 KR 100970220 B1 KR100970220 B1 KR 100970220B1 KR 1020080095547 A KR1020080095547 A KR 1020080095547A KR 20080095547 A KR20080095547 A KR 20080095547A KR 100970220 B1 KR100970220 B1 KR 1009702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ain
- value
- isolation
- gain control
- wireless repeat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562 fa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5 Aver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38 attenuat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30 elimin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79 elim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28—Control of operation parameters of a relay station to exploit the physical medium
- H04B7/15535—Control of relay amplifier gai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155—Ground-based stations
- H04B7/15564—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 H04B7/15578—Relay station antennae loop interference reduction by gain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solation의 변화에 따른 이득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change in isolation and a wireless repeater therefor.
본 발명은 측정된 Isolation의 평균값과 사전에 설정된 소거치 제한 설정값을 이용하여 이득 추정치를 산출한 뒤, 무선 중계기에 설정되어 있는 이득 제한값과 비교하여 이득 제어값을 결정하고, 결정된 이득 제어값을 통해 이득 제한값을 조절하는 무선 중계기의 이득 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입력 신호로부터 Isolation을 측정하는 Isolation 산출부; Isolation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는 Isolation 평균값 산출부; Isolation 평균값을 이용하여 이득 추정치를 산출하는 이득 추정치 산출부; 이득 제한값을 통해 이득을 조절하는 이득 제한값 설정부; 및 이득 제한값의 변경을 위한 이득 제어값을 산출하는 이득 제어값 산출부를 포함하는 무선 중계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a gain estimate using the measured average value of the isolation and a preset cancellation limit setting value, and then compares the gain control value set with the wireless repeater to determine a gain control value and determines the gain control value. It provides a gain control method of the wireless repeater to adjust the gain limit through.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n isolation calculation unit for measuring the isolation from the input signal; An isolation average valu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n average value for the isolation; A gain estimat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gain estimate using an isolation average value; A gain limit setting unit that adjusts gain through a gain limit value; And a gain control value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gain control value for changing the gain limit value.
본 발명에 따르면, 중계기에서 Isolation 및 페이딩 변화에 대한 자동 측정을 통해 해당 환경 조건에 적합한 이득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이동통신망을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stably operate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performing a gain adjustment suitable for the corresponding environmental conditions through automatic measurement of the change of isolation and fading in the repeater.
중계기, 무선 중계기, 이득제어, Isolation, 아이솔레이션, 페이딩 Repeater, Wireless Repeater, Gain Control, Isolation, Isolation, Fading
Description
본 발명은 아이솔레이션의 변화에 따른 이득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중계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무선 중계기에서 주변 환경 및 반사파에 의해 변화되는 아이솔레이션을 측정하여, 증폭 특성을 만족할 수 있도록, 이득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중계기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 change in isolation and a wireless repeater for the same. 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trolling gain so as to satisfy an amplification characteristic by measuring the isolation chang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reflected wave in the wireless repeater, and a structure of the wireless repeater therefor.
중계기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영 지역이나 기지국의 설치 비용이 부담스러운 지역에 구성되어,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된 신호를 수신하여 증폭시킨 후 재전송하는 장비이다.The repeater is a device that is configured in a shaded area or an area wher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base station is burdened in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receives and amplifies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then retransmits it.
중계기는 크게 유선으로 기지국과 연결된 유선 중계기와, 무선으로 기지국과 연결된 무선 중계기로 분류된다.Repeaters are largely classified into a wired repeater connected to a base station by wire and a wireless repeater connected to a base station by wireless.
유선 중계기는 중계기와 기지국 사이에 유선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양호한 통화 품질을 유지할 수 있으나, 무선 중계기에 비하여 고가이며, 중계기와 기지국 사이에 유선을 설치해야 함에 따라, 번거로울 뿐 아니라, 설치 비용이 상당히 소모되 는 문제점이 있다.The wired repeater can maintain good call quality because wired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However, the wired repeater is more expensive than the wireless repeater. Has a problem.
이에 비하여, 무선 중계기는 중계기와 기지국 사이에 무선 통신이 이루어지므로, 통화 품질은 유선 중계기에 비하여 떨어지나, 설치가 용이하며 운용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다.On the contrary, since the wireless repeater performs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the repeater and the base station, the call quality is inferior to the wired repeater, but it is easy to install and the operation cost is low.
이와 같은 무선 중계기는 빌딩 내부의 지하와 같이 구조물에 의한 전자파 차폐 영향으로 인하여 중계기가 담당하는 영역이 작은 경우에 고가의 유선 중계기보다 더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Such a wireless repeater may be more usefully applied than an expensive wired repeater when the area covered by the repeater is small due to the electromagnetic shielding effect of the structure such as the basement inside the building.
이와 같은 무선 중계기의 구조는 도 1과 같다.The structure of such a wireless repeater is shown in FIG.
무선 중계기의 수신 안테나(120)와 수신부(1310)는 기지국(110)으로부터 전송된 RF 신호를 수신하고, 피드백 제거 필터(1320)는 수신된 RF 신호에서 소정 신호 대역만을 필터링한다. 피드백 신호가 제거된 RF 신호는 증폭부(1330)에 의해서 증폭된 뒤, 송신부(1340)와 송신 안테나(140)를 통하여 동일 채널로 송출된다.The receiving
이와 같은 무선 중계기가 개방된 지역에 설치되는 경우, 무선 중계기의 송신 안테나(140)를 통해 송출한 신호가 수신 안테나(120)로 궤환(Feedback)하는 피드백 루프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출력된 신호가 피드백 루프에 의하여 감쇠되어 입력으로 들어오게 되는데, 이와 같이 피드백 루프를 통한 감쇠량을 아이솔레이션(Isolation, 이하 'Isolation'으로 칭함)이라고 한다. 무선 중계기에서는 Isolation이 중계기의 이득과 같거나 작은 경우 발진을 한다. When such a wireless repeater is installed in an open area, a feedback loop is formed in which a signal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ing
자동 레벨 조정부(ALC: Auto Level Control, 이하 'ALC'라 칭함)(1350)는 송신 안테나(140)를 통하여 송출되는 출력이 사전에 설정된 출력 값보다 큰 경우, 이 득을 자동 조절하여, 중계기(130)가 발진하지 않고 원활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auto level control unit (ALC) 1350 automatically adjusts the gain when the output transmitted through the transmitting
그러나, 이와 같이 ALC(1350)를 이용하여 이득을 조절하는 방법에서는 출력에 따라서 이득을 조절하기 때문에, 중계기(130) 내에서의 Isolation 값이 변하더라도 중계기(130)의 출력이 사전에 설정된 ALC 상한 출력까지 도달하지 않을 경우에는, 발진이 발생하더라도 이득 조절하는 절차를 수행하지 않으므로, 발진으로 인하여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However, in the method of adjusting the gain using the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중계기에서 주변 환경 및 반사파에 의해 변화되는 Isolation을 측정하고, 측정된 Isolation에 평균값 및 소거치 제한 설정값을 이용하여 최대 이득 추정치를 산출하며, 이득을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무선 중계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measuring the Isolation chang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nd the reflected wave in the repeater, calculating the maximum gain estimate by using the average value and the cancellation value limit set value in the measured isolation and the gain control method and It is to provide a structure of a wireless repeater for this purpose.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득 조절 방법은 무선 중계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중계기의 이득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a) 수신되는 신호로부터 아이솔레이션을 측정하는 단계; (b) 아이솔레이션의 측정 결과를 이용하여 이득 추정치를 산출하는 단계; (c) 이득 추정치와 무선 중계기에 설정되어 있는 이득 제한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이득 제어값을 결정하는 단계; 및 (d) 이득 제어값을 이용하여, 무선 중계기에 설정되어 있는 이득 제한값을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To this end, a gain adjusting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adjusting a gain of a wireless repeater, comprising: (a) measuring an isolation from a received signal; (b) calculating a gain estimate using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isolation; (c) comparing the gain estimate with the magnitude of the gain limit set in the wireless repeater to determine a gain control value; And (d) adjusting a gain limit value set in the wireless repeater using the gain control valu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중계기는 Isolation의 변화에 따라 이득을 조절하는 무선 중계기로서, 무선 중계기의 수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아이솔레이션을 측정하는 아이솔레이션 산출부; 아이솔레이션 산출부에서 산출된 아이솔레이션을 이용하여 이득 추정치를 산출하는 이득 추정치 산출부; 설정된 이득 제한값을 이용하여 무선 중계기에서의 이득 조절을 수행하는 이득 제한값 설정부; 및 이득 제한값 설정부에 설정되어 있는 이득 제한값과 이득 추정치 산출부에서 산출된 이득 추정치의 비교 결과에 따라, 이득 제한값의 변경을 위한 이득 제어값을 산출하는 이득 제어값 산출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the wireless repe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wireless repeater for adjusting the gain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isolation, the isolation calculator for measuring the isolation from the inpu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receiving antenna of the wireless repeater; A gain estimation calculator for calculating a gain estimate using the isolation calculated by the isolation calculator; A gain limit setting unit configured to perform gain control in the wireless repeater using the set gain limit value; And a gain control value calculating section for calculating a gain control value for changing the gain limiting value according to a comparison result of the gain limiting value set in the gain limiting value setting section and the gain estimation value calculated in the gain estimation value calculating s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Isolation 및 페이딩 변화가 심한 환경 조건에서 기존의 이득 조절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중계기의 원활한 성능 유지가 힘들었던 부분을 개선할 수 있으며, ILC(Interference Level Control) 기능 및 소거치 제한 설정값(Xth) 설정 기능을 통하여 Isolation 및 페이딩 변화에 대한 자동 측정을 통해 해당 환경 조건에 적합한 이득 조정을 수행함으로써 원활한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계기에서의 안정적으로 이동통신망을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using the existing gain control method in the environment conditions with severe isolation and fading changes,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art that it was difficult to maintain the smooth performance of the repeater, ILC (Interference Level Control) function and elimination value The limit setting value (X th ) setting function enables automatic measurement of the isolation and fading change to adjust the gain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maintain smooth performance. Accordingly, the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n be stably operated in the repeater.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 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As those skilled in the art would realize, the described embodiments may be modified in various different ways, all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like reference numerals designate like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mponent, it means that it can further include other components, withou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addition, the terms “… unit”, “… unit”, “module”, etc.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mean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which may be implemented by hardware or software or a combin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have.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220)는 수신부(2202), 피드백 제거 필터(2204), 증폭부(2206), 송신부(2208), Isolation 산출부(2210), 입력부(2212), 메모리부(2214), 표시부(2216), 아이솔레이션 평균값 산출부(2218), 이득 추정치 산출부(2220), 비교부(2222),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 및 이득 제한값 설정부(2226)를 포함한다.The
수신부(2202)는 수신 안테나(210)를 통하여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수신하는 부분이다. 이 때, 수신부(2202)를 통해서 수신되는 입력 신호는 기지국(110)으로부 터 송출된 원 신호와 송신 안테나(230)를 통하여 송출된 피드백 신호가 결합된 신호이다.The
피드백 제거 필터(2204)는 수신부(2202)를 통하여 수신된 신호 중에서 피드백 신호를 필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증폭부(2206)는 피드백 제거 필터(2204)에 의해 필터링된 신호를 재송출하기 위하여 증폭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송신부(2208)는 증폭부(2206)에 의하여 증폭된 신호를 송신 안테나(230)를 통하여 송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Isolation 산출부(2210)는 수신부(2202)를 통해 수신된 입력 신호의 전력 값과, 피드백 제거 필터(2204)에서 확인되는 피드백 신호의 전력 값을 이용하여, Isolation을 추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Isolation 산출부(2210)에서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단위로 Isolation을 산출하고, 산출된 값을 메모리부(221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입력부(2212)는 피드백 제거 필터(2204)에서의 필터링 작업을 위하여 사용자가 사전에 설정하는 소거치(Cancel)의 제한 설정값(Threshold) 및 중계기 운영을 위한 각종 프로그램의 명령을 입력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부분이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입력부(2212)를 통하여 입력하는 소거치 제한 설정값을 'Xth'로 칭하여 설명하기로 한다.The
메모리부(2214)는 중계기(2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Isolation 산출부(2210)에서 산출된 Isolation 값 및 입력부(2212)를 통해 입력된 Xth 값을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이득 제한값 설정부(2226)를 통해 산출되는 이득 제한값을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The
또한, 메모리부(2214)는 아이솔레이션 평균값 산출부(2218)로 저장된 Isolation 값을 제공하거나, 이득 추정치 산출부(2220)로 저장된 Xth 값을 제공하거나, 비교부(2222) 및 표시부(2216)로 저장된 이득 제한값을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In addition, the
아이솔레이션 평균값(이하, 'Imeans'라 칭함) 산출부(2218)는 사전에 설정된 시간 단위로 메모리부(2214)에 저장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Isolation 값을 호출하고, 호출된 하나 이상의 Isolation 값들에 대한 평균값을 산출하여 아이솔레이션 평균값인 Imeans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Isolation average value (hereinafter, referred to as 'I means ')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Imeans에 특정 수를 가감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평균값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In carrying out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used, such as adding or subtracting a specific number to the I means , but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using the average value as it is.
이득 추정치 산출부(2220)는 Imeans 산출부(2218)에서 산출된 Imeans와 메모리부(2214)로부터 전달되는 Xth 값을 이용하여, 순시적인 이득 추정치를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이득 추정치 산출부(2220)에서는 순시적인 최대 이득 추정치(Gmeans, 이하 ' Gmeans'라 칭함)를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이득 추정치 산출부(2220)는 최대 이득 추정치인 Gmeans를 산출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득 추정치 산출부(2220)는 Imeans와 Xth 값을 이용하여, 수학식 1을 통하여 Gmeans를 산출한다.Gain
여기서, Gmeans을 산출함에 있어서 Imeans와 Xth 값의 합산 결과에 특정 수를 가감하는 등 다양하게 변형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이하의 설명에서는 Imeans와 Xth 값의 합산 결과를 그대로 이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one can be used by variously modifying the like which will be added to or subtracted from the specified number to the summation result of the I means the X th value according as the calculated G mean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using a combined result of the I means the X th value as This will be described as a reference.
비교부(2222)는 이득 추정치 산출부(2220)에서 산출된 Gmeans와 메모리부(2214)에 저장되어 있던 이득 제한값의 크기를 비교하여, 그 결과를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는 비교부(2222)로부터 전달된 비교 결과에 따라, 이득 제어값(△G)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 비교부(2222)로부터 'Gmeans > 이득 제한값'의 결과를 수신하면, 이득 제어값(△G)을 양의 값으로 설정하고, 비교부(2222)로부터 'Gmeans < 이득 제한값'의 결과를 수신하면, 이득 제어값(△G)을 음의 값으로 설정하며, 비교부(2222)로부터 'Gmeans = 이득 제한값'의 결과를 수신하면, 이득 제어값(△G)을 '0' 으로 설정한다. 여기서는, Gmeans > 이득 제한값이면 이득 제어값을 '+1'로 설정하고, Gmeans < 이득 제한값이면 이득 제어값을 '-1'로 설정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The gain
그리고,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는 산출된 이득 제어값(△G)을 이득 제한값 설정부(2210)로 전달한다.The gain
이득 제한값 설정부(2210)는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로부터 전달되는 이득 제어값(△G)에 따라 사전에 설정된 이득 제한값을 변경하고, 변경된 이득 제한값을 다시 이득 제한값으로 재설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리고, 재설정된 이득 제한값을 이용하여 중계기(220)에서의 이득 조절을 수행한다. 또한, 이득 제한값 설정부(2210)는 재설정된 이득 제한값이 비교부(2222)에서의 크기 비교에 이용될 수 있도록, 메모리부(2214)로 전달하여 저장시킨다.The gain
여기서, 이득 제한값 설정부(2210)에서는 다수의 이득 제한값 중 최대 이득 제한값(Gmax, 이하 ' Gmax'라 칭함)을 이득 제한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도 최대 이득 제한값(Gmax)을 이용하여 Gmeans와의 크기 비교를 수행하여 이득 제어값을 산출하는 것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Here, the gain limit
여기서, 중계기(220)에서 수신 안테나(120)부터 수신된 RF 신호를 증폭하여 송신 안테나(140)로 송출함에 있어서, 증폭을 위한 이득은 한계치를 갖는다. 따라서, 이득 제한값 설정부(2210)에 의해 변경되는 최대 이득 제한값(Gmax)도 한계치를 갖게 된다. 이에 따라, 이득 제한값 설정부(2210)는 설정된 최대 이득 제한값에 의해 중계기(220)가 사전에 설정된 최대 이득을 갖는 경우, 이득 제어값(△G)에 의하여 이득 제한값이 더 이상 증가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중계기(220)가 사전에 설정된 최저 이득을 갖는 경우, 이득 제어값(△G)에 의하여 이득 제한값이 더 이상 감소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Here, in amplifying and transmitting the RF signal received from the receiving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의 이득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ain adjusting method in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중계기의 운영자는 입력부(2212)를 통하여 소거치(Cancel) 제한을 위한 설정값(Xth)을 입력한다. 입력된 소거치 제한 설정값은 메모리부(2214)에 저장된다(S302).First, the operator of the repeater inputs a setting value X th for limiting the cancel value through the
소거치 제한 설정값이 설정된 중계기의 수신부(2202)는 수신 안테나(210)를 통해서 수신되는 입력 신호를 측정하고, 측정된 입력 신호를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 간격으로 Isolation 산출부(2210)에 전달한다. The
Isolation 산출부(2210)에서는 수신부(2202)로부터 수신된 입력 신호로부터 중계기에서의 Isolation을 산출하고(S304), 산출된 Isolation을 메모리부(2214)에 임시로 저장한다(S306).The
Imeans 산출부(2218)는 사전에 설정된 일정 시간 단위로 메모리부(2214)에 저장되어 있던 Isolation 값을 호출하고(S308), 호출된 Isolation 값을 평균하여 Imeans를 산출한다(S310).The I means calculating
Imeans 산출부(2218)에서 Imeans가 산출되면, 이득 추정치 산출부(2220)에서는 산출된 Imeans와 메모리부(2214)에 저장되어 있던 설정값(Xth)를 호출하고, 수학식 1에 따라 두 값을 합산하여 순시적인 최대 이득 추정치(Gmeans)를 산출한다(S312).When I means is calculated in I means calculating
이득 추정치 산출부(2220)에서 Gmeans가 산출되면, 산출된 Gmeans는 비교부(2222)로 전달된다. 비교부(2222)는 전달된 Gmeans와 메모리부(2214)에 저장되어 있는 Gmax의 크기를 비교한다(S314).When the G means is calculated in the
비교부(2222)에서 Gmeans와 Gmax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Gmeans와 Gmax의 크기가 동일하다고 판단되면(S316),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에서는 이득 제어값 △G를 0으로 설정한다(S318).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agnitudes of G means and G max in the
그러나, 비교부(2222)에서 Gmeans와 Gmax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Gmeans가 Gmax보다 크다고 판단되면(S320),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는 이득 제어값 △G를 1로 설정한다(S322). 그러나, Gmeans가 Gmax보다 작다고 판단되면,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는 이득 제어값 △G를 -1로 설정한다.However,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magnitudes of G means and G max in the
여기서, Gmeans와 Gmax의 크기 비교 결과에 따라, 이득 제어 값을 설정함에 있어서 이득 제어 값의 크기를 1이나 -1로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크기로 설정할 수 있다(S324).Here,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agnitude comparison between G means and G max , the gain control value may be set to various sizes without limiting the magnitude of the gain control value to 1 or −1 (S324).
이와 같이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에 의하여 이득 제어값이 결정되면, 이 득 제한값 설정부(2226)는 결정된 이득 제어값을, 설정되어 있는 최대 이득 제한값(Gmax)에 합산한다(S326).When the gain control value is determined by the gain control
이득 제어값과 최대 이득 제한값의 합산 결과에 따라 산출되는 결과값(Gmax')은 다시 최대 이득 제한값으로 설정되며, 이에 따라서, 최대 이득 제한값이 조절된다(S328).The result value G max ′ calculated according to the sum of the gain control value and the maximum gain limit value is set again as the maximum gain limit value, and accordingly, the maximum gain limit value is adjusted (S328).
여기서, 이득 제어값 산출부(2224)에 의하여 산출되는 이득 제어값에 따라, 최대 이득 제한값을 업데이트하는 S326 단계와 S328 단계는 수학식 2 및 수학식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Here, according to the gain control value calculated by the gain
Gmax' → Gmax G max '' → G max
이와 같은 방법에 따라, 중계기에서는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Isolation 변화에 따라 안정적인 이득 조절을 수행할 수 있다.In this manner, the repeater can perform stable gain control according to the change of isolation in the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implemented only through the apparatus and the method, but may be implemented through a program for realizing a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or a recording medium on which the program is recorded. Implementation may be easi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of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t belongs to the scope of rights.
도 1은 무선 중계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나타낸 구성도, 1 is a configuration diagram briefly showing the structure of a wireless repeater;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의 내부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블록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internal configuration of the repeat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계기에서의 이득 조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gain adjusting method in a repea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5)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5547A KR100970220B1 (en) | 2008-09-29 | 2008-09-29 | G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Isolation Changes and Wireless Repeat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95547A KR100970220B1 (en) | 2008-09-29 | 2008-09-29 | G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Isolation Changes and Wireless Repeat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6092A KR20100036092A (en) | 2010-04-07 |
KR100970220B1 true KR100970220B1 (en) | 2010-07-16 |
Family
ID=4221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95547A KR100970220B1 (en) | 2008-09-29 | 2008-09-29 | G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Isolation Changes and Wireless Repeat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0220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7032A (en) * | 2004-05-07 | 2005-11-11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Apparatus and method for isolation check of repeater and repeater which includes the same apparatus |
KR100605674B1 (en) | 2005-11-16 | 2006-08-01 | 아이씨에스테크주식회사 | Interference signal canceller applying maximum, minimum and average theorem |
-
2008
- 2008-09-29 KR KR1020080095547A patent/KR10097022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50107032A (en) * | 2004-05-07 | 2005-11-11 |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 Apparatus and method for isolation check of repeater and repeater which includes the same apparatus |
KR100605674B1 (en) | 2005-11-16 | 2006-08-01 | 아이씨에스테크주식회사 | Interference signal canceller applying maximum, minimum and average theorem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36092A (en) | 2010-04-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982440B1 (en) | Repeater open loop gain measurement | |
JP3782616B2 (en) | Booster, monitoring device, booster system, control method and monitoring method | |
KR101298590B1 (en) | Apparatus and method of repeat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 |
US7593689B2 (en) | Method for detecting an oscillation in an on-frequency repeater | |
US7826801B2 (en) | Adaptive forward error corrector and method thereof, and TDD radio repeating apparatus using the same | |
CN104169815A (en) | Verifying oscillation in amplifiers and the mitigation thereof | |
KR20110040201A (en) | Automatic Gain Compensation Method of Interference Cancellation Repeater | |
CA2858985C (en) | Radio frequency amplifier noise reduction system | |
KR100970220B1 (en) | Gain Control Method According to Isolation Changes and Wireless Repeater | |
KR20090092136A (en) | Method and bluetooth device for power control | |
KR101825417B1 (en) | Interference cancellation repeater | |
CN104052422B (en) | Verifying Oscillation In Amplifiers And The Mitigation Thereof | |
KR101193515B1 (en) | Mobile repeater | |
JP2008283426A (en) | Radio relay amplifier | |
KR100897896B1 (en) | Repeat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reverse gain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 |
KR100995957B1 (en) | Isolation Measurement Method and Structure in Wireless Repeater | |
JP4886595B2 (en) | Mobile communication repeater device, slave station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 |
KR20090063853A (en) | Repeater Reverse Gain Control System, and Method | |
KR100918586B1 (en) | Method for controlling a gain of repeater and apparatus thereof | |
JP4811871B2 (en) | Relay amplifier | |
KR20070113887A (en) | Gain Setting Device Using Received Power in Wireless Communication Repeater and Its Method | |
KR20110067785A (en) | Connection node device having noise removing function due to optical repeater and method thereof | |
KR20090054341A (en) | Signal to noise ratio improvement device for microwave relay system | |
KR20090054342A (en) | Signal to noise ratio improvement device for M / 용 module of microwave relay system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9082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7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8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70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62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2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