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140B1 - Torque type apparatus for separating screw - Google Patents
Torque type apparatus for separating screw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70140B1 KR100970140B1 KR1020090055972A KR20090055972A KR100970140B1 KR 100970140 B1 KR100970140 B1 KR 100970140B1 KR 1020090055972 A KR1020090055972 A KR 1020090055972A KR 20090055972 A KR20090055972 A KR 20090055972A KR 100970140 B1 KR100970140 B1 KR 1009701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w
- pipe nipple
- sling
- shaft
- circumferential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10000002445 nipple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JEIPFZHSYJVQDO-UHFFFAOYSA-N iron(III) oxide Inorganic materials O=[Fe]O[Fe]=O JEIPFZHSYJVQDO-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14—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8—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ssembling objects other than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withdrawing broken threaded parts or twist dri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2—Screwdrivers operated by rotating the hand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5/00—Screwdrivers
- B25B15/06—Screwdrivers operated by axial movement of the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오크형 나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나사축; 상기 이송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송나사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파이프니플; 및 상기 파이프니플의 외주면에 체결되고, 일측에는 슬링이 연결되며, 타측에는상기 슬링의 타측에 연결되는 링이 걸리는 걸고리가 구비되는 슬링고정용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홈이 손상되거나 녹이 발생하여 분리가 어려운 나사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나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무리하게 힘을 가하는 중 조립체 나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rque type screw separator. The present invention is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screw shaft; A pipe nipple screwed to the feed screw shaft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eed screw shaft; And a sling fixing base which is fasten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nipple,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a sling,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provided with a hook to which a r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ling. .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groove is damaged or rust is generated so that the screw can be easily removed by continuously applying pressure to the screw that is difficult to remove, and preventing the assembly screw from being damaged while applying excessive force.
Description
본 발명은 토오크형 나사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기계장치, 특히 원통형 구조물에서 녹이 슬거나 마모되어 풀리지 않는 나사를 분리하기 위하여 나사 머리 홈에 드라이버 비트를 견고하게 밀착시켜서 용이하게 나사를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orque type screw separator.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chine, in particular a device for easily removing a screw by tightly adhering a driver bit to a screw head groove in order to remove a screw that is not rusted or worn out in a cylindrical structure.
일반적으로 드라이버는 일(一)자형 또는 십(十)자형 나사홈을 갖는 나사를 체결하거나 분리해내기 위해 사용되는 공구로서 종래에는 송유관 및 원통형 구조물등의 이음새 나사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전동형 드라이버 또는 토오크 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왔다. Generally, a screwdriver is a tool used to fasten or detach a screw having a one-shaped or cross-shaped screw groove. Conventionally, an electric screwdriver or torque is used to remove a joint screw such as an oil pipe and a cylindrical structure. I have used a driver.
그런데, 체결된 나사에 녹이 슬거나 나사머리에 형성되는 나사홈이 반복되는 조립과 분해과정으로 인해 마모되었을 경우, 기존의 전동형 드라이브나 토오크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나사를 제거하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이었다.However, when the screw is rusted or the screw groove formed in the screw head is worn out due to repeated assembly and disassembly process, it was difficult to remove the screw using a conventional electric drive or torque driver.
즉, 이러한 경우 나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나사의 회전력보다는 나사를 누르는 힘이 더 필요하지만, 기존의 드라이브는 단지 나사의 회전 토오크만을 증가시킬 뿐 나사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전동형 드라이브 역시 나사의 회전력 즉 토오크를 변동시키는 장치가 있을 뿐 상기와 같은 경우에 나사를 분리하기 위해 나사의 전진방향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수단은 없었다.That is, in this case, the screw pressing force is required more than the screw rotation force in order to remove the screw. However, the conventional drive merely increases the rotation torque of the screw and provides no means for applying pressure to the screw.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electric drive also has a device for varying the rotational force, that is, the torque of the screw, in this case there was no means for applying pressure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crew to remove the screw in this case.
때문에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힘만을 이용하여 나사를 분리하여 왔으나 작업자가 나사에 가하는 힘에는 한계가 있고, 오히려 작업 중에 나사 또는 나사가 체결된 장비 및 구조물 등을 손상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in this case, the screw has been separated using only the force of the operator, but the force applied to the screw is limited, rather there is a problem that damage the equipment or structure, such as the screw or screw is fastened during operation.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나사에 나사의 전진방향으로 압력을 가하고, 가해진 압력을 유지한 상태에서 나사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용이하게 나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나사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crew detachment device that pressurizes the screw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screw, and transmits a rotational force to the screw while maintaining the applied pressure, so that the screw can be easily removed. For that purpose.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이송나사축; 상기 이송나사축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이송나사축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파이프니플; 및 상기 파이프니플의 외주면에 체결되고, 일측에는 슬링이 연결되며, 타측에는 상기 슬링의 타측에 연결되는 링이 걸리는 걸고리가 구비되는 슬링고정용 베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사 분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pipe nipple screwed to the feed screw shaft and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eed screw shaft; And a sling fixing base which is fasten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ipe nipple, one side of which is connected to a sling, and the other side of which is provided with a hook to which a r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ling. .
여기서, 상기 이송나사축의 전단에 구비되고,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후단부에는 장력조절용 너트가 체결되는 축어댑터; 상기 축어댑터의 외주면에 구비되며, 후단은 상기 장력조절용 너트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 및 상기 축어댑터의 전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의 탄성에 의해 전단방향으로 힘을 받으며, 전단부에는 드라이브 비트가 구비되는 홀슬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haft adapter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of the feed screw shaf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formed with a screw thread, the rear end portion is a nut for tension adjustment; A spring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haft adapter and having a rear end supported by the tension adjusting nut; And a hole sleeve provided at a front end of the shaft adapter, receiving a force in a front direction by elasticity of the spring, and having a drive bit provided at the front end.
또한, 상기 이송나사축에 형성되는 숫나사 및 상기 파이프니플에 형성되는 암나사는 왼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le thread formed on the feed screw shaft and the female thread formed on the pipe nipple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 left hand thread.
또한, 상기 파이프니플의 외주면에는 내부에 상기 파이프니플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베어링 하우징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nipp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earing housing including a bearing in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pipe nipple is provided.
또한, 상기 축어댑터의 전단부에는 상기 축어댑터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홀슬리브의 후단부에는 가이드핀 삽입홀이 천공되며, 상기 가이드핀 삽입홀에는 상기 장공을 관통하는 가이드핀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ront end of the shaft adapter is formed with a long ho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haft adapter, the rear end of the hole sleeve is formed with a guide pin insertion hole, the guide pin insertion hole is a guide pin penetrating the long hol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fastening.
또한, 상기 파이프니플의 후단에는 상기 파이프니플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슬링고정용 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rear end of the pipe nipple may be provided with a sling fixing handle for easily rotating the pipe nipple.
또한, 상기 이송나사축의 후단에는 상기 이송나사축을 용이하게 회전시키기 위한 토오크핸들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torque handle for easily rotating the feed screw shaft may be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feed screw shaft.
또한, 상기 파이프니플의 후단부 외주면에는 상기 슬링고정용 베이스의 후면에 접하는 고정와셔가 부착되고, 상기 파이프니플의 전단부에는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전면에 접하는 파이프캡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fixing washer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sling fixing base is attached to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pipe nipple, and a pipe cap contacting the front surface of the bearing housing is fastened to the front end of the pipe nipple.
본 발명에 의하면 나사홈이 손상되거나 녹이 발생하여 분리가 어려운 나사에 지속적으로 압력을 가하여 나사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무리하게 힘을 가하는 중 조립체나 나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나사를 분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crew groove is damaged or rust is generated, so that the screw can be easily removed by continuously applying pressure to the screw that is difficult to remove,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assembly or the screw during excessive forc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reduce the time required to remove the screw.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첨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 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irs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as much as possible even if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is abbreviate | omitted when it is determined that it may obscure the summary of this invention. In addition,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elow, bu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being limited or limited thereto.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오크형 나사 분리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토오크형 나사 분리장치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나사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나사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1 and 2 are a perspective view of a torque screw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torque screw removal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and 5 of the present invention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ocess of removing a screw using a screw separating devic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 분리장치(100)를 설명한다.Hereinafter, a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나사 분리장치(100)는 나사 분리장치(100)의 축의 역할을 하며, 원형막대형상으로 형성되는 이송나사축(104)을 구비한다. 이송나사축(104)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데, 이는 후술하는 파이프니플(110)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치합되어 나사결합된다. 나사결합된 파이프니플(110)이 회전됨에 따라 파이프니플(110)이 이송나사축(104)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된다.1 to 3, the
이때, 이송나사축(104)에 형성되는 숫나사 및 상기 파이프니플(110)에 형성되는 암나사는 왼나사로 형성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나사(202)를 풀기 위해 시계반대방향으로 이송나사축(104)을 회전시키면 이송나사축(104)이 나사(202)가 있는 방향으로 전진하면서 드라이브 비트(134)가 나사홈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male screw formed on the
이송나사축(104)의 후단에는 토오크 핸들(102)이 구비되는데, 토오크 핸들(102)에는 이송나사축(10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공이 형성되며, 이 삽입공에 이송나사축(104)의 후단부가 삽입되는 것이다. 한편, 토오크 핸들(102)에 이송나사축(104)이 삽입된 상태에서 핸들고정핀(106)이 토오크 핸들(102)과 이송나사축(104)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토오크 핸들(102)이 이송나사축(104)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rear end of the
이송나사축(104)의 가운데 부분에는 파이프니플(110)이 구비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파이프니플(110)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이송나사축(10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치합되며, 파이프니플(110)은 이송나사축(104)을 타고 전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조립체(200)에 걸쳐지는 슬링(116)에 의해 나사 분리장치(100)가 나사(202)에 형성된 나사홈에 더욱 견고하게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The pipe nipple 110 is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이하, 이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파이프니플(110)의 후단에는 슬링고정용 핸들(108)이 구비되어 파이프니플(110)을 회동시킬수 있도록 한다. 또한, 파이프니플(110)의 외측에는 고정와셔(112)가 용접되어 고정된다. The rear end of the
또한, 파이프니플(110)의 외측에는 조립체(200)에 걸쳐지는 슬링(116)을 고정시키는 슬링고정용 베이스(114)가 고정와셔(112)의 전면측에 구비되는데, 슬링고정용 베이스(114)의 중앙에는 홀이 형성되어 이송나사축(104)에 삽입되고, 상기 고정와셔(112)는 슬링고정용 베이스(114)가 나사 분리장치(100)의 후단으로 밀려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outer side of the
슬링고정용 베이스(114)의 양 측에는 슬링(116)이 체결되는데, 슬링고정용 베이스(114)의 일측은 걸고리형상으로 형성되고, 슬링(116)의 일단에는 링(11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걸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슬링고정용 베이스(114)의 일측에 상기 링(118)이 걸리게 됨으로써 슬링(116)이 조립체(200)에 감긴 상태로 슬링고정용 베이스(114)에 고정된다.
슬링고정용 베이스(114)의 전면측에는 내부에 베어링(121)을 구비하는 베어링 하우징(120)이 나사와 같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고, 베어링 하우징(120)의 전면측에는 파이프니플(110)의 전단부에 나사결합되는 파이프캡(122)이 구비되어 슬링고정용 베이스(114)와 베어링 하우징(120)이 파이프니플(1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The bearing
여기서, 상기 베어링(121)에 의해 파이프니플(110)이 회전될 때 파이프니플(110)의 외주면과 슬링고정용 베이스(108)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이 최소화되고, 파이프니플(110)이 원활하게 회전된다.Here, the friction generated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따른 나사 분리장치(100)는 축어댑터(124)와 축어댑터(124)에 체결되는 홀 슬리브(130)를 구비하여 나사(202)를 분리할때 나사(202)에 가해지는 힘을 유지시킨다.On the other hand, the
이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이송나사축(104)의 전단에는 축어댑터(124)를 삽입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어댑터 삽입홀(123)이 형성되고, 축어댑터(124)의 후단이 상기 홀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홀은 이송나사축(104)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다각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홀에 삽입되는 축어댑터(124)의 후단은 상기 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more detail, an
홀 슬리브(130)는 축어댑터(124)의 전단부에 삽입되고, 홀 슬리브(130)와 축어댑터(124)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가이드핀(132)에 의해 축어댑터(124)에 고정된다. 이때, 홀 슬리브(130)의 후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핀(132)이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핀 삽입홀(133)이 천공되고, 축어댑터(124)의 전단부에는 상기 가이드핀(132)이 관통되는 장공(131)이 형성된다. 가이드핀(132)에 의해 체결된 홀슬리브(130)는 가이드핀(132)에 의해 가이드되어 장공(131)의 길이범위 이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게 된다.The
한편, 축어댑터(124)의 외주면에는 축어댑터(124)의 후단측에 구비되는 장력조절용 너트(126)가 체결되어 회동될 수 있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축어댑터(124)의 외주면에는 스프링(128)이 상기 장력조절용 너트(126)와 홀슬리브(130)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장력조절용 너트(126)는 스프링(128)의 후단을 지지하여 스프링(128)에 의한 탄성력이 홀슬리브(130)로 전달될 수 있게 하며, 장력조절용 너트(126)를 회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함에 따라 스프링(128)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screw thread is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홀슬리브(130)의 전단에는 드라이브 비트(134)가 삽입되는 다각형의 홀이 천공되고, 상기 홀에는 상기 홀의 형상과 부합하는 다각형의 삽입부를 구비하는 드라이브 비트(134)가 삽입된다. 드라이브 비트(134)가 상기 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홀슬리브(130)에는 상기 홀을 관통하며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 체결공(136)이 천공되고, 스크류 체결공(136)에는 상기 드라이브 비 트(134)를 조여서 고정시키는 셋스크류(미도시)가 체결된다.The front end of the
상기한 나사 분리장치(100)를 이용하여 나사(202)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라이브 비트(134)를 나사(202)의 나사홈에 삽입하여 밀착시키고, 조립체(200)에 슬링(116)을 걸어서 슬링고정용 베이스(114)에 슬링(116)을 고정시킨 후, 파이프니플(110)이 나사 분리장치(100)의 후단방향으로 후진되도록 슬링고정용 핸들(108)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In order to remove the
이 상태에서 나사(202)를 풀기위해 토오크핸들(102)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도 5에서와 같이 나사(202)가 조립체(200)로부터 분리되어 나오는데, 이때 나사(202)가 돌아나오는 거리만큼 홀슬리브(130)가 후진되면서 스프링(128)을 압축시킨다. 한편, 이 과정에서 이송나사축(104)이 전진하게 되더라도 홀슬리브(130)가 스프링(128)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나사(202)가 분리되어 나올 수 있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when the
또한, 압축되는 스프링(128)은 나사(202)에 압축력을 가하여 드라이브 비트(134)가 나사홈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 분리장치(100)는 드라이브 비트(134)가 나사홈에 견고하게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나사(202)를 회전시켜 분리해내는 것으로서 나사홈이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고, 나사(202)를 용이하게 분리해 낼 수 있도록하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 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changes, and substitu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possible.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 분리장치의 사시도이다.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of a screw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나사 분리장치의 단면도이다.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crew detachment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도 1의 나사 분리장치를 이용하여 나사를 제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illustrating a process of removing a screw using the screw separating apparatus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나사 분리장치100: screw separator
102 : 토오크 핸들 104 : 이송나사축102: torque handle 104: feed screw shaft
106 : 핸들고정핀 108 : 슬링고정용 핸들106: handle fixing pin 108: sling fixing handle
110 : 파이프니플 112 : 고정와셔110: pipe nipple 112: fixing washer
114 : 슬링고정용 베이스 116 : 슬링114: sling fixing base 116: sling
118 : 링 120 : 베어링 하우징118
121 : 베어링 122 : 파이프캡121: bearing 122: pipe cap
123 : 어댑터 삽입홀 124 : 축어댑터123: adapter insertion hole 124: shaft adapter
126 : 장력조절용 너트 128 : 스프링126: tension adjusting nut 128: spring
130 : 홀슬리브 131 : 장공130: hole sleeve 131: long hole
132 : 가이드핀 133 : 가이드핀 삽입홀132: guide pin 133: guide pin insertion hole
134 : 드라이브 비트 136 : 스크류 체결공134: drive bit 136: screw fastening
200 : 조립체 202 : 나사200: assembly 202: screw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5972A KR100970140B1 (en) | 2009-06-23 | 2009-06-23 | Torque type apparatus for separating screw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55972A KR100970140B1 (en) | 2009-06-23 | 2009-06-23 | Torque type apparatus for separating screw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70140B1 true KR100970140B1 (en) | 2010-07-14 |
Family
ID=42645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55972A Active KR100970140B1 (en) | 2009-06-23 | 2009-06-23 | Torque type apparatus for separating screw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7014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91403A (en) * | 2014-07-30 | 2014-12-10 | 马钢(集团)控股有限公司 | Spinneret mounting tool and method |
CN114952712A (en) * | 2021-02-25 | 2022-08-30 | 中国航发商用航空发动机有限责任公司 | Air conduit subassembly twists instrument |
KR20240075447A (en) * | 2022-11-22 | 2024-05-29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Separation assembly apparatus for fasteners and separation assembly system comprising the sam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19306A (en) | 1980-02-26 | 1981-09-18 | Hitachi Koki Co Ltd | Holder for electric tool |
JPH1148155A (en) | 1997-08-01 | 1999-02-23 | Daiwa Rashi:Kk | Bolt separating method, bolt extracting tool and bolt used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KR100192426B1 (en) | 1996-12-19 | 1999-06-15 | 정몽규 | Assembly tool |
KR20020088077A (en) | 2001-02-23 | 2002-11-25 | 피터 제이. 베르가모 | Bit for removing damaged screws |
-
2009
- 2009-06-23 KR KR1020090055972A patent/KR10097014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6119306A (en) | 1980-02-26 | 1981-09-18 | Hitachi Koki Co Ltd | Holder for electric tool |
KR100192426B1 (en) | 1996-12-19 | 1999-06-15 | 정몽규 | Assembly tool |
JPH1148155A (en) | 1997-08-01 | 1999-02-23 | Daiwa Rashi:Kk | Bolt separating method, bolt extracting tool and bolt used for implementing the method |
KR20020088077A (en) | 2001-02-23 | 2002-11-25 | 피터 제이. 베르가모 | Bit for removing damaged screws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91403A (en) * | 2014-07-30 | 2014-12-10 | 马钢(集团)控股有限公司 | Spinneret mounting tool and method |
CN114952712A (en) * | 2021-02-25 | 2022-08-30 | 中国航发商用航空发动机有限责任公司 | Air conduit subassembly twists instrument |
KR20240075447A (en) * | 2022-11-22 | 2024-05-29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Separation assembly apparatus for fasteners and separation assembly system comprising the same |
KR102679587B1 (en) | 2022-11-22 | 2024-06-28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Separation assembly apparatus for fasteners and separation assembly system comprising the sam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62714B2 (en) | Hydraulic chuck with a reduction sleeve | |
US20070123909A1 (en) | Extractor For Broken Bone Screws | |
EP0582030A1 (en) | Chuck having a drive bit socket | |
JP5689876B2 (en) | Female threaded insert for a cylindrical hole and mounting device for such an insert | |
US7191504B1 (en) | Universal bushing tool and method of use | |
CN110848223A (en) | Locking device | |
KR100970140B1 (en) | Torque type apparatus for separating screw | |
US20140191563A1 (en) | Method for attaching a chisel and associates device | |
US2005009214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 bolt from an assembly | |
JP2011125998A (en) | Thread cutting device and tool for attaching thread cutting ring | |
KR100915285B1 (en) | Damaged bolt and screw removing devices | |
US10207338B2 (en) | Tool holder for connecting a diamond drill to a drill bit | |
JP2004281700A (en) | Blade attachment / detachment device | |
US8640315B1 (en) | Rotating adapter assembly | |
JP5215063B2 (en) | Circular tube cutting tool | |
JP4694122B2 (en) | Blade attaching / detaching auxiliary device | |
US5243749A (en) | Transmission pump removal tool | |
KR200465254Y1 (en) | Impeller manufacturing equipment | |
JP2011012731A (en) | Shaft holder | |
CN209698986U (en) | A kind of cutting ferrule dismounting tooling | |
TW201020053A (en) | EDM spindle assembly with fluid seal | |
WO2015166617A1 (en) | Drill chuck | |
JP3629653B2 (en) | Tool holder and unchucking method thereof | |
JP2002349499A (en) | Extracting tool of impeller of pump, impeller of pump, pump, and method for extracting impeller of pump | |
JP6534916B2 (en) | How to remove the reamer bolt and reamer bol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70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1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5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604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11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1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18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