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513B1 - A method for construting tunel using polyamide fiber having two layer for reinforcing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construting tunel using polyamide fiber having two layer for reinforc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9513B1 KR100969513B1 KR1020090133487A KR20090133487A KR100969513B1 KR 100969513 B1 KR100969513 B1 KR 100969513B1 KR 1020090133487 A KR1020090133487 A KR 1020090133487A KR 20090133487 A KR20090133487 A KR 20090133487A KR 100969513 B1 KR100969513 B1 KR 10096951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hotcrete
- fiber
- constructing
- tunnel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33
- 239000004952 Polyamid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2
- 229920002647 polyamide Polymer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title 1
- 239000011378 shot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6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9941 weav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0049 Carbon (fib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3235 aromatic polyamid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917 carbon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VNWKTOKETHGBQD-UHFFFAOYSA-N methane Chemical compound C VNWKTOKETHGBQD-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528 membra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1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0
- 239000004568 ce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247 coating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76 aggre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054 agglom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216 antistatic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2148 este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36 nonionic surfac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329 compou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5846 sugar alcohols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220 aggre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977 d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04—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 E21D11/10—Lining with building materials with concrete cast in situ; Shuttering also lost shutterings, e.g. made of blocks, of metal plates or other equipment adapted therefor
- E21D11/105—Transport or application of concrete specially adapted for the lining of tunnels or galleries ; Backfilling the space between main building element and the surrounding rock, e.g. with 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3—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by applying waterproof flexible sheets; Means for fixing the sheets to the tunnel or cavity wall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11/00—Lining tunnels, galleries or other underground cavities, e.g. large underground chambers; Linings therefor; Making such linings in situ, e.g. by assembling
- E21D11/38—Waterproofing; Heat insulating; Soundproofing; Electric insulating
- E21D11/385—Sealing means positioned between adjacent lining 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6/00—Drainage
- E21F16/02—Drainage of tunne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6—Macromolecular compounds fibro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2중 구조를 가진 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를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터널의 숏크리트층을 2중 구조를 가진 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를 사용함으로서 낮은 슬럼프에서도 분사가 가능하며, 리바운드율이 저하되어 분진 발생 저감 및 숏크리트층으로 섬유가 노출되거나 섬유 분포의 비균일성을 방지하게 되어 숏크리트층 및 터널 전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2중 구조를 가진 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를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unnel using shotcrete in which fibers having a double structure are mixed. More specifically, the shotcrete layer may be sprayed at a low slump by using a shotcrete in which the fiber having a double structure is mixe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bound rate and to reduce dust generation and to expose the fiber to the shotcrete layer or to prevent the non-uniformity of the fiber distribution, so that the fiber having the double structure is mixed to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shotcrete layer and the entire tunnel. It relates to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tunnel using shotcrete.
일반적으로 터널 공사 시 터널 굴착면의 숏크리트층에 부직포를 먼저 고정시키고 부직포에 방수막을 열 접합 시킨 다음 그 위에 콘크리트 라이닝을 타설하는 DOUBLE CELL 공법(NATM 공법)이 사용된다.In general, during the tunnel construction, a double cell method (NATM method) is used, in which a nonwoven fabric is first fixed to the shotcrete layer of the tunnel excavation surface, a thermal film is bonded to the nonwoven fabric, and then a concrete lining is placed thereon.
한편, 저장탱크, 저장고 등 단면성형성의 문제로 상기에서 언급한 DOUBLE CELL 공법(NATM 공법)을 사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공법으로 콘크리트 라이 닝을 시공하지 않는 SINGLE CELL 공법도 제시되고 있다. Meanwhile, the SINGLE CELL method, which does not require concrete lining, has been proposed as a method applied when the above-mentioned double cell method (NATM method) cannot be used due to the problem of cross-sectional formation such as storage tanks and storage.
상기 DOUBLE CELL 공법 및 SINGLE CELL 공법에 있어서 터널의 굴착면에는 숏크리트를 분사하여 형성되는 숏크리트층을 구비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숏크리트층을 구성하는 숏크리트에 강섬유를 혼입하여 숏크리트층의 강도, 균열 등을 보강하였다. In the double cell method and single cell method, the excavation surface of the tunnel should have a shotcrete layer formed by spraying shotcrete. In the related art, steel fibers are incorporated into the shotcrete constituting the shotcrete layer to provide strength, cracks, etc. of the shotcrete layer. Reinforced.
그러나, 숏크리트에 강섬유를 혼입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분이 다량 존재하는 터널 등의 공사현장에 사용 시 강섬유가 쉽게 부식되고, 고가이고, 비중이 높아 도포 된 숏크리트층에서의 분산성이 떨어지고, 숏크리트층의 하중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when the steel fiber is mixed with the shotcrete, the steel fiber is easily corroded when used in construction sites such as tunnels in which a large amount of moisture is present, and the dispersibility in the applied shotcrete layer is low due to high cost and high specific gravity. There was a problem of increasing the load.
특히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널 시공 시에 숏크리트층을 시공하기 위해 숏크리트에 강섬유를 혼입하여 분사하는 경우에 강섬유가 숏크리트에서 분산성이 좋지 않아 노즐(1)에 있어 막힘현상이 발생하여 분사자체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러한 막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숏크리트의 슬럼프를 120mm 이상으로 배합하여 분사함에 따라 강섬유의 비중 때문에 리바운드가 커져 숏크리트층 외부로 강섬유가 노출되는 문제와 숏크리트의 강도에도 문제가 있었다. In particular, as shown in FIG. 1, when the steel fiber is mixed and sprayed on the shotcrete to construct the shotcrete layer during the tunnel construction, the steel fiber is not good in dispersibility in the shotcrete and thus clogging occurs in the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터널 시공 시 슬럼프를 낮추어도 노즐에 막힘현상이 없어 시공이 용이하고, 리바운드율이 낮아 숏크리트층 외부로 섬유가 노출되지 않아 터널의 내구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2중 구조를 가진 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를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배수파이프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even if the slump is lowered during the tunnel construction, there is no clogging phenomenon in the nozzle, the construction is easy, the rebound rate is low, the fiber is not exposed outside the shotcrete layer tunnel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constructing a tunnel using shotcrete in which a fiber having a double structure which does not degrade the durability thereof, and a drain pipe used therein.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굴착에 의해 형성된 터널 굴착면을 시공하는 단계(S10)와; 중앙부에 복수의 섬유가닥으로 구성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를 복수의 섬유가닥이 감싸면서 구성되는 외주연부와, 상기 직선부와 외주연부의 양단에서 각각의 섬유가닥이 풀어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부착부를 형성하는 2중 구조를 가진 섬유를 제작한 후, 숏크리트에 배합하여 그라우팅층의 내주연에 숏크리트층을 시공하는 단계(S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nstructing a tunnel excavation surface formed by excavation (S10)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traight portion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fiber strands in the central portion, an outer periphery configured to surround the plurality of fiber strands in the straight portion, and an attachment portion composed of a shape in which the respective fiber strands are loosened at both ends of the straight portion and the outer periphery After manufacturing the fiber having a double structure to form,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tep (S20) for constructing a shotcrete layer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grouting layer by blending in the shotcrete.
또한, 본 발명은 숏크리트층을 시공한 후에는, 숏크리트충에 부직포 및 방수막으로 구성된 배수.차수층을 시공하는 단계(S30)와; 배수.차수층에 콘크리트 라이닝층을 시공하는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hotcrete layer, the step of constructing a drainage / order layer consisting of a non-woven fabric and a waterproof film on the shotcrete (S30); It may be made, including the step (S40) for constructing a concrete lining layer in the drainage.
또한, 본 발명은 숏크리트층을 시공한 후에는, 상기 숏크리트층에 배수파이프를 시공하는 단계(S50)와; 상기 숏크리트층에 배수판을 시공하는 단계(S60)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ddition,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hotcrete layer,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constructing a drain pipe on the shotcrete layer (S50); It may be made of the step (S60) for constructing a drain plate on the shotcrete layer.
또한, 상기 숏크리트층에 배수파이프를 시공하는 단계(S50)에는 숏크리트층에 상기 배수파이프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을 형성하는 단계(S51)와; 상기 단계(S51)에서 형성된 천공에 배수파이프를 삽입하는 단계(S52)와; 숏크리트 층의 외부로 노출된 배수파이프 끝단을 가압하는 단계(S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step S50 of constructing the drain pipe on the shotcrete layer, forming a perforation to insert the drainage pipe into the shotcrete layer (S51); Inserting a drain pipe into the perforation formed in the step S51; And pressurizing the end of the drain pip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hotcrete layer (S53).
또한,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배수판을 시공하는 단계(S40)에는 상기 숏크리트 보강면의 내주연에 노출되는 배수파이프 끝단이 배수판의 일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복수의 유도홈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는 것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step (S40) of constructing the drainage plate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hotcrete reinforcement surface, the end of the drainage pipe exposed to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shotcrete reinforcement surface is installed so as to be located in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one surface of the drainage plate. 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the.
한편,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터널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배수파이프를 제시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배수파이프는 복수의 관통공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용관과, 상기 수용관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으며 끝단에 머리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봉과, 상기 슬라이드 봉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복수의 절곡단이 구성되어 상기 수용관의 끝단 및 상기 머리에 의해 절곡단이 절곡되는 확장관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drain pipe used in the above-mentioned tunnel construction method, the drai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ipe-shaped body portion form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nd a pipe integrally formed at the end of the body portion A receiving tube having a shape, a slide rod which can be slid from the receiving tube and forms a head at an end, and a plurality of bent ends are formed at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slide rod and are bent by the end and the head of the receiving tube. It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n extension tube to be bent.
본 발명인 2중 구조를 가진 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를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은 숏크리트 내에서 섬유의 분산성 및 뭉침이 발생하지 않아 낮은 슬럼프에서도 노즐막힘이 없으며, 리바운드율이 낮아져 숏크리트층 외부로 섬유가 노출됨이 없는 바, 터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unnel using the shotcrete in which the fiber having the dou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does not occur in the dispersibility and agglomeration of the fiber in the shotcrete, so there is no nozzle clogging even in a low slump, and the rebound ratio is low, so that the fiber is outside the shotcrete layer. There is no exposu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durability of the tunnel is improved.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터널의 측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터널의 측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2 및 도 3의 숏크리트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4b는 공기교락을 시키는 개략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2중구조를 가진 섬유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2중구조를 가진 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가 분사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배수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unnel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unnel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shotcrete layer of FIGS. 2 and 3, and FIG. 4B is air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ber having a double structure, and FIG.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shotcrete having a double structured fiber is injected therein;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 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2중 구조를 가진 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를 이용한 터널의 시공방법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터널의 굴착면(10)을 시공하는 단계(S10)를 먼저 갖는다.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tunnel using the shotcrete in which the fiber having the double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ixed has a step S10 of constructing the
상기 단계(S10)에서 시공된 터널 굴착면(10)의 내주연에는 상기 굴착면(10)의 거친 면을 고르게 하고, 터널 굴착면(10)으로부터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숏크리트(shotcreat)에 의해 보강한 숏크리트층(20)을 시공하는 단계(S20)를 갖는다. 특히 본 단계(S20)에서는 도 4a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앙부에 복수의 섬유가닥으로 구성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를 감싸면서 구성되는 외주연부와, 상기 직선부와 외주연부의 양단에서 각각의 섬유가닥이 풀어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부착부를 형성하는 2중 구조를 가진 섬유를 제작하여 숏크리트에 배합한 후 이를 상 기 터널 굴착면(10)에 분사하여 이루어지는 숏크리트층(20)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inner periphery of the
즉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숏크리트를 구성하는 물과 시멘트가 혼합된 시멘트 페이스트(21)와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를 배합하여 터널 굴착면(10)에 분사함에 의해 숏크리트층(20)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4A, the
특히 본 발명에서는 물과 시멘트가 혼합된 시멘트 페이스트(21)와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를 혼입하여 숏크리트를 배합하는 과정에서 숏크리트의 슬럼프를 80 내지 12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더욱 바람직하게는 숏크리트의 슬럼프를 8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종래기술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강섬유를 혼입하여 숏크리트를 배합하는 경우 뭉침, 노즐막힘 등의 문제에 기해 120mm이상으로 슬럼프를 맞추는데 이렇게 슬럼프를 높이면 숏크리트의 강도가 낮아질 뿐만 아니라 점성이 약해져 리반운드율이 높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여 결국 터널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를 혼입하여 숏크리트를 배합하므로 도 6에서는 보는 바와 같이 분사장치(1)의 노즐(2)에서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의 탄성에 기해 노즐(2)에서 막힘이 발생하지 않으며, 분산성이 좋아 슬럼프를 일반적인 숏크리트의 슬럼프인 80mm로 맞추어도 노즐(2)에서의 막힘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점성 및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의 재질 등에 기해 리바운드율이 낮아지므로 결국 터널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노즐(2)에서 분사되는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는 플렉시블하게 굴곡(A부분)을 형성하여 노즐(2)에서의 상호간의 뭉침 등에 기해 막힘이 발생하지 않으며, 노즐(2)로부터 분사된 후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상기 직선부(110)에 기해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가 직선성을 유지하게 되어 숏크리트의 강도 및 균열면에서 기여를 하게 되는 것이다. 즉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에 있어서 직선부(110)를 다수의 섬유가닥(S)으로 구성하되 폴리아라미드, 고강력 폴리에틸렌, 탄소섬유 등 고강력 원사를 사용함으로서 숏크리트 내에서 플렉시블 하게 될 수 있는 것이다.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lump of the shotcrete be 80 to 120 mm in the process of mixing the shotcrete by mixing the
여기서 시멘트 페이스트(21)는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시멘트, 물, 잔골재, 굵은 골재가 선택적으로 포함될 수 있는 것이다. Here, the
본 발명에 있어 2가지 실시 예의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 100a)를 제조함에 있어서, 중앙부에 복수의 섬유가닥(S)으로 구성되는 직선부(110, 110a)와 상기 직선부(110, 110a)를 복수의 섬유가닥(S)이 감싸도록 구성되는 외주연부(120, 120a)와 상기 직선부(110, 110a)와 외주연부(120, 120a)의 양단에서 각각의 섬유가닥(S)이 풀어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부착부(130, 130a)로 구성되도록 제조하는 것이다. In manufacturing the
상기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 100a)는 상기 직선부(110, 110a)와 상기 외주연부(120, 120a)에 의해 2중 구조를 형성하게 되는 것으로 이하에서는 "섬유(100, 100a)"라 칭한다.The fiber having a double structure (100, 100a) is to form a double structure by the straight portion (110, 110a) and the outer peripheral portion (120, 120a), hereinafter "fiber (100, 100a)" It is called.
우선 첫 번째 실시 예로서 섬유(100)는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섬유가닥으로 구성된 직선부(110)와 이를 감싸는 외주연부(120) 및 그 양단의 부착부(130)로 구성되되, 상기 직선부(110)와 상기 외주연부(120)는 도 4b에서 보는 바 와 같이 복수의 섬유가닥(S)에 의해 형성되는 직선부(110)와 외주연부(120)를 공기교락 시킴에 의해 각각의 섬유가닥(S)을 교락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이렇게 제조된 섬유(100)는 그 표면에 다수의 루프(R)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루프(R)가 숏크리트(20)와의 부착성능을 향상시키게 되는 것이다. First, as a first embodiment, the
여기서 "공기교락"이라함은 도 4b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교락장치 내에 복수의 섬유가닥(S)으로 구성된 직선부(110) 및 외주연부(120)로 구성된 모체를 공급하여 고압의 공기를 분사함에 의해 섬유가닥(S) 간을 교락시키는 것을 말한다.Here, "air entanglement" refers to supplying a matrix composed of a
이렇게 섬유(100)를 구성하는 경우에 직선부(110)는 강도 및 유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폴리아라미드, 고강력 폴리에틸렌, 탄소섬유 등 고강력섬유가닥(S)을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고, 외주연부(120)는 숏크리트와 접촉을 위해 친수성의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아미드 등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외주연부(120)는 친수성의 섬유가닥(S)으로 제조함에 의해 수소결합에 의해 숏크리트와의 부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When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 예로서 섬유(100a)가 제시되는 바, 복수의 섬유가닥(S)으로 구성되는 직선부(100a)와, 상기 직선부(100a)를 감싸면서 직조된 형상의 외주연부(120a)를 제시한다. 상기 외주연부(120a)는 복수의 섬유가닥(S)이 다방향에서 직조에 의해 형성됨에 의해 상기 직선부(110a)에 의해 직선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다방향에서의 인장강도가 보강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따라서 상기 외주연부(120a)는 복수의 섬유가닥(S)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섬유가닥(S)을 섬유(100a)의 원주방향(X축 방향)과 축방향(Y축 방향), 상기 원 주방향과 축방향 사이에 대각선 방향으로 4방향에서 각각의 섬유가닥을 직조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이렇게 다방향에서 섬유가닥을 직조함에 의해 외주연부(120a)를 형성하여 섬유(100a)는 축방향에서만이 아니라 원주방향 및 대각선 방향에서도 강도가 보강됨에 의해 다방향에서 외력에 의한 저항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외주연부(120a)가 복수의 섬유가닥(S)이 다방향에서 직조에 의해 형성됨으로서 외주연부(120a) 표면에 굴곡이 형성되어 시멘트 페이스트(21)와의 부착력이 향상되어 결국 숏크리트층(20)의 강도가 보강되는 것이다. Therefore, the outer
여기서 직선부(100, 100a)는 복수의 섬유가닥(S)에 의해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연부(120, 120a)의 내부에 안치되면서 섬유(100, 100a)의 형상(직선성)을 잡아주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이러한 직선부(110, 110a)에 기해 섬유(100, 100a)간에 뭉침에 의한 분산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숏크리트를 분사함에 있어 분사노즐이 막힘이 방지될 수 있는 것이며, 숏크리트의 슬럼프를 높게 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또한, 직선부(110, 110a)에 기해 시멘트 페이스트(21)에서 직선성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숏크리트층(20)에 인장강도가 보강되는 것이다. Wherein the straight portion (100, 100a) is formed by a plurality of fiber strands (S) to be placed inside the outer periphery (120, 120a) to hold the shape (linearity) of the fiber (100, 100a)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dispersion of the dispersibility due to agglomeration between the fibers (100, 100a) in the straight portion (110, 110a) to prevent the injection nozzle is blocked in the injection of shotcrete, the slump of shotcrete There is no need to make it higher. In addition, the tensile strength of the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섬유(100, 100a)는 상기 직선부(110, 110a)와 외주연부(120, 120a)의 양단에서 각각의 섬유가닥(S)이 풀어진 형상으로 구성되는 부착부(130, 130a)가 형성되도록 제조한다. In particula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iber (100, 100a) is the
상기 부착부(130, 130a)는 상기 직선부(110, 110a)와 외주연부(120, 120a)를 구성하는 섬유가닥(S)이 풀어진 형상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시멘트 페이스트(21)와의 부착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부착부(130, 130a)는 다양하게 형성되 도록 제조될 수 있는 바, 상기 직선부(110, 110a)와 상기 외주연부(120, 120a)만이 구성된 상태에서 시멘트 페이스트(21)를 구성하는 시멘트 입자에 기해 직선부(110, 110a) 및 외주연부(120, 120a) 양단에서 각각을 구성하는 섬유가닥(S)간의 부착이 헐거워지면서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배합과정에서 구성될 수 있고, 배합 전에 상기 직선부(110, 110a)와 상기 외주연부(120, 120a)만이 구성된 모체상태에서 느린 속도로 진동을 주면서 절단을 하여 섬유(100, 100a)의 양단에서 섬유가닥(S)들 상호간의 부착이 헐거워지도록 하여 직경이 확장되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이렇게 부착부(130, 130a)를 구성함에 의해 섬유가닥(S)간의 부착이 헐거워짐에 따라 발생하는 간극 사이로 시멘트가 충진 되어 섬유(100, 100a)와 시멘트 페이스트(21) 간의 결합력이 증대되는 것이다.The
또한, 상기 부착부(130, 130a)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섬유의 직선부(110, 110a)와 외주연부(120, 120a)를 구성하는 섬유가닥(S) 간에는 비부착으로 제조함이 타당한 바, 이는 각각의 섬유가닥(S) 간을 비부착으로 구성하여 상기 부착부(130, 130a)가 용이하게 형성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렇게 섬유가닥(S) 간을 비부착으로 구성하더라도 각각의 섬유가닥(S) 간에 마찰력이 작용하여 어느 정도의 부착력은 발생하는 바, 섬유(100, 100a)의 형상을 유지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 In addition, in forming the attachment portion (130, 130a) bar between the straight portion (110, 110a) of the fiber and the fiber strands (S) constituting the outer periphery (120, 120a), it is reasonable to manufacture non-adhesive, This is for the non-attachment between each fiber strand (S) so that the
또한, 상기와 같이 제조된 상기 섬유(100a)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외주연부(120a)에 다가알코올 에스테르 윤활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코팅층(140a)을 더 도포할 수 있는 바, 이렇게 외주연부(120a) 표면에 코팅층(140a)이 도포됨으로써 상기 섬유(100a)는 시멘트 페이스트(21) 내에서 분산성과 부착력이 크게 향상된다. 즉 상기 섬유(100a)는 상기 외주연부(120a)에 에스테르계 윤활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코팅층(140a)이 도포되어 이러한 코팅층(140a)을 통해 시멘트 페이스트(21) 내 분산성과 결합력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숏크리트의 분사 시 노즐에 섬유 간의 엉킴이 발생하지 않아 숏크리트층(20)의 시공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코팅층(140a)은 다가알코올 에스테르 윤활제 40 내지 50중량%,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30 내지 40중량% 및 대전방지제 10 내지 30중량%로 배합하여 코팅층(140a)을 도포하는 것이 타당하다.Preferably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와 같이 에스테르계 윤활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대전방지제를 포함하는 코팅액으로 코팅한 섬유를 사용함에 의해 분산성과 결합력이 증대되는 것에 대한 기술은 본 출원인이 기 출원한 특허출원 제 2008-79583호에 실험 예가 제시되고 있는 바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As described above, a technique for increasing dispersibility and bonding strength by using a fiber coated with a coating liquid containing an ester lubricant, a nonionic surfactant, and an antistatic agent is described in Patent Application No. 2008-79583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Since an example is given, the description is omitted.
또한, 상기 코팅층(140a)은 섬유(100a) 전체 중량대비 0.5~3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면 경우에는 분산성과 부착력의 개선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ating layer (140a) is preferably 0.5 to 3%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fiber (100a), if outside the above range can be reduced the effect of improving the dispersibility and adhesion.
또한, 상기 섬유(100, 100a)는 그 길이를 10 내지 200mm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바, 10mm미만의 경우는 상기 섬유(100, 100a)가 숏크리트 내에서 강도발현 및 균열제어에 효과를 발현하는 것이 미미하고, 상기 섬유(100, 100a) 자체가 숏크리트 내에서 모두 풀려버릴 수 있어 2중 구조의 섬유가 유지되지 않아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섬유(100, 100a)가 200mm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섬 유(100, 100a) 간에 뭉침이 발생하여 분산성이 저하될 수 있고, 노즐막힘 현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ength of the fibers (100, 100a) is limited to 10 to 200mm, in the case of less than 10mm, the fibers (100, 100a) are effective in expressing strength and crack control in shotcrete. Insignificant, the fibers (100, 100a) itself can be released in the shotcrete so that the dual structure of the fiber is not maintained can cause problems, and also, if the fibers (100, 100a) exceeds 200mm This is because agglomeration may occur between the
이와 같이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 100a)가 혼입된 숏크리트를 사용함에 의해 숏크리트를 터널 굴착면(10)에 분사 시 종래에 강섬유의 경우 리바운드에 의해 숏크리트층(20) 외부로 돌출이 되거나 배합 시 균일하게 분산된 강섬유가 리바운드에 의해 분산성이 비균일하게 되는 문제점이 해결되는 것으로 상기 섬유(100, 100a)는 숏크리트에 혼입되어 분사가 되는 경우에는 그 리바운드가 저감되어 숏크리트층(20) 외부로 돌출이 되거나 분산성이 비 균일 해지는 문제가 없게 되는 것이며, 숏크리트가 분사되어도 상기 섬유(100, 100a)의 경우 직선부(110, 110a)에 의해 직선성이 유지되어 직선부(110, 110a)에 의한 양방향 인장이 보강됨은 물론 공기교락에 의해 형성되는 루프 또는 다방향에서 직조에 의해 형성된 외주연부(120a)에 의해 부착강도가 증진되어 숏크리트층(20)의 강도가 보강이 되는 것이다.When the shotcrete is sprayed onto the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숏크리트층(20)을 시공한 후에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숏크리트충(20)에 부직포 및 방수막으로 구성된 배수.차수층(30)을 시공하는 단계(S30)를 갖는다. 상기 배수.차수층(3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는 바, 일 예로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부직포와 방수성의 차수막으로 구성하여 숏크리트층(20)으로 누수 된 물을 부직포를 통해 터널 저부로 유도케 하고, 차수층에 의해 이하에서 설명할 콘크리트 라이닝층(40)으로 누수를 방지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숏크리트층(20)은 숏크리트의 시멘트 페이스트(21)에 혼입된 2중 구조를 가진 섬유(100, 100a)에 의해 숏크리트층(20) 내부에서 분산성이 균일하게 되고 리바운딩이 작아 숏크리트층(20) 외부로 돌출됨이 없어 상기 배수.차수층(30)의 손상율을 줄일 수 있게 되어 터널의 통수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마지막으로 배수.차수층(30)에 콘크리트 라이닝층(40)을 시공하는 단계(S40)를 갖는다. Finally, the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 예를 제시하고 있는 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숏크리트층(20)을 시공한 후에 상기 숏크리트층(20)에 천공을 뚫고, 배수파이프(200)를 삽입한 후 상기 배수파이프(200)를 해머 등에 의해 가압하여 상기 배수파이프(200)에 의해 천공 내주연에서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After constructing the
그 다음으로 상기 숏크리트층(20)의 내주연에 배수판(300)을 연결시공 하는데, 상기 배수판(300)에 구성된 유도홈(310)이 각각 터널 원주방향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배수판(300)을 연결시공 하여야 할 것이며, 상기 유도홈(310)에는 상기 숏크리트층(20)의 외부로 유출된 배수파이프(200)의 끝단 또는 곡관(230)이 위치하도록 시공함이 바람직하다.Next, the
상기 배수파이프(20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숏크리트층(20)으로부터의 누수를 유입하여 외부로 유출시키는 유도관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몸체부(210)와 상기 터널 굴착면(10) 및 숏크리트층(20)에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하는 체결부(220)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몸체부(210)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터널 굴착면(10) 및 숏크리트층(20)으로부터의 누수를 유입하는 관통공(211)이 복수개가 형성되는데,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통공(211)이 몸체부(2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하게 형성되게 하여 몸 체부(210) 전체에서 누수가 유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공(211)의 크기는 상기 숏크리트층(20)의 입자구성에 따라 그 크기를 조절하여야 할 것이며 숏크리트층(20)을 구성하는 작은 골재 등이 상기 몸체부(210)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그 크기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야 한다.The
또한, 상기 몸체부(210)의 내부에는 상기 관통공(211)을 통해 유입되는 누수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도면번호 도시되지 않음.)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스펀지, 부직포 등이 사용될 수 있는 바, 부직포의 경우는 폐색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숏크리트층(20)의 구성입자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폐색현상이란 흙입자가 흙모체로부터 이탈한 후 부직포의 간극내 유체의 흐름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다가 부직포의 간극을 메우게 되는 현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로 인해 부직포의 통수능을 감소시켜 상기 몸체부(210) 내부에서 유입된 누수의 흐름이 차단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해 숏크리트층(20)의 구성입자, 터널 굴착면(10)의 지반분류 등을 고려하여 이에 따라 부직포의 입경을 조절하여 사용함이 타당하다. In addition, a filter (not shown in the figure) may be configured in the
상기 체결부(22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210)의 끝단에 일체형으로 구성되는 파이프 형상의 수용관(221)과, 상기 수용관(221)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으며 끝단에 직경이 커지는 머리(222a)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봉(222)과, 상기 수용관(221)의 끝단과 접하고 상기 슬라이드 봉(222)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복수의 절개부(223a)를 구성하고, 각각의 절개부(223a)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단(223b)이 형성되는 확장관(123)으로 구성된다.The
상기 수용관(221)은 파이프 형상으로 그 내주연으로 상기 슬라이드 봉(222)이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용관(221)은 상기 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수용관(221) 끝단에 나사부를 구성하여 몸체부(210)와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The
상기 슬라이드 봉(222)은 직봉 형상으로서 그 끝단에 머리(222a)를 형성하고 있는 바, 상기 수용관(221)의 내주연에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머리(222a)의 형상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봉(222)이 상기 수용관(221) 방향으로 슬라이드 됨에 따라 상기 절곡단(223b)이 측방향으로 확장된다.The
상기 확장관(223)은 파이프 형상으로서 상기 슬라이드 봉(222)의 외주연에 위치하며, 상기 수용관(221)의 끝단 및 상기 머리(222a)와 접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확장관(223)에는 길이방향으로 복수의 절개부(223a)를 구성하고, 각각의 절개부(223a)에 의해 형성되는 절곡단(223b)이 형성되는 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드 봉(222)이 상기 수용관(221)의 내주연에서 슬라이드 됨에 의해 상기 머리(222a)가 상기 확장관(223)을 가압함에 따라 각각의 절곡단(223b)이 각각 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이다. The expansion pipe 223 is located i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상기 배수파이프(200)를 상기 숏크리트층(20)에 시공 시에는 숏크리트층(20)에 상기 배수파이프(2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천공을 형성한다. 이러한 천공의 길이는 상기 배수파이프(200)의 길이보다 조금 작게 구성하여 상기 배수파이프(200)를 천공에 삽입하는 경우 상기 배수파이프(200)의 몸체부(210)의 일부분이 상기 숏크리트층(2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When the
이어 상기 배수파이프(200)의 몸체부(210)로서 상기 숏크리트층(20)외 외부로 노출된 끝단을 해머 등에 의해 가압함으로서 상기 체결부(220)가 상기 천공의 내주연에서 체결되는데,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슬라이드 봉(222)이 상기 수용관(221)의 내주연에서 슬라이드 되고, 상기 슬라이드 봉(222)의 머리(122a)가 상기 확장관(223)을 가압하여 절곡단(223b)을 각각 측방향으로 절곡시킴으로서 결국 각각의 절곡단(223b)이 상기 천공의 내주연에 묻히게 됨으로서 상기 배수파이프(200)가 상기 천공에서 견고하게 설치되는 것이다.Subsequently, as the
또한, 상기 몸체부(210)에는 상기 체결부(220)의 반대방향의 끝단에 상기 몸체부(210)에 유입된 누수를 터널 저부 방향으로 유출시키시 위한 곡관(230)이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곡관(230)은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곡관(230)과 상기 몸체부(210)에 각각 대향하는 나사부를 구성하여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In addition, a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해 시공되는 터널은 물이 잘 누수 되지 않는 암이 좋은 시공여건에 주로 사용될 것이므로(물이 누수량이 많은 시공여건에서는 도 1에서 제시하는 DOUBLE CELL 공법(NATM 공법)이 주로 사용될 것임.) 상기 배수파이프(200)는 숏크리트층(20)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부분에 부분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tunnel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ure 2 will be mainly used in the good construction conditions that the water is not well leaked (DOUBLE CELL method shown in FIG. NATM method) will be mainly used.) It may be desirable to partially install the
상기 배수판(300)은 상기 숏크리트층(20)의 내주연에 부착되어 배수파이프로(200)부터 유출되는 누수를 터널 저부로 유도하는 것으로 상기 배수판(300)은 판 형상으로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배수판(300)을 연결 시공함으로서 상기 숏크리트층(20)의 내주연 상에서 설치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수판(300) 을 연결 시공함에 있어서는 연결부위에 공지기술로서 실리콘 등에 의해 수밀처리 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배수판(300)의 일면에는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배수파이프(200)로부터 유입된 누수를 터널의 저부로 유도하기 위해 길이방향 즉 배수판(300)을 숏크리트층(20)에 설치 시 터널의 원주방향으로 복수의 유도홈(310)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유도홈(310)이 구성됨으로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수판(300)이 상기 숏크리트층(20)의 내주연에 부착 시 상기 숏크리트층(20)의 내주연에 노출되는 배수파이프(200) 끝단 또는 배수파이프(200)에 체결되는 곡관(230)이 상기 유도홈(310)에 위치하도록 설치함으로서 상기 배수파이프(200)로부터 유출되는 누수가 상기 배수판(300)의 유도홈(310)을 타고 터널 저부로 유도되는 것이다.The
이상 설명된 내용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여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이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에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described as an example by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refore,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contents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도 1은 종래 강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를 분사장치를 이용하여 분사하는 개략도이고,1 is a schematic diagram of spraying a shotcrete in which conventional steel fibers are mixed using an injector,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터널의 측단면도이고,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unnel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되는 터널의 측단면도이고,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tunnel formed by the present invention,
도 4a는 도 2 및 도 3의 숏크리트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4A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shotcrete layer of FIGS. 2 and 3;
도 4b는 공기교락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4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ir entanglement;
도 5는 2중구조를 가진 섬유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iber having a double structure,
도 6은 2중구조를 가진 섬유가 혼입된 숏크리트가 분사되는 형상을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6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shape in which shotcrete having a double structured fiber is injected therein;
도 7은 본 발명의 배수파이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 pi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배수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ain plat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main parts of drawing
10 : 터널 굴착면 20 : 숏크리트층10: tunnel excavation surface 20: shotcrete layer
30 : 배수.차수층 40 : 콘크리트 라이닝층30: drainage / order layer 40: concrete lining layer
100, 100a : 섬유 200 : 배수파이프100, 100a: fiber 200: drainage pipe
300 : 배수판 300: drain plate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3487A KR100969513B1 (en) | 2009-12-30 | 2009-12-30 | A method for construting tunel using polyamide fiber having two layer for reinforcing |
JP2012517385A JP5425304B2 (en) | 2009-06-23 | 2010-06-23 | Reinforcing fiber and shotcrete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PCT/KR2010/004088 WO2010151052A2 (en) | 2009-06-23 | 2010-06-23 | Reinforcing fiber and shotcret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
EP10792334.4A EP2447230A4 (en) | 2009-06-23 | 2010-06-23 | Reinforcing fiber and shotcrete composition compri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33487A KR100969513B1 (en) | 2009-12-30 | 2009-12-30 | A method for construting tunel using polyamide fiber having two layer for reinforc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69513B1 true KR100969513B1 (en) | 2010-07-12 |
Family
ID=42645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33487A Active KR100969513B1 (en) | 2009-06-23 | 2009-12-30 | A method for construting tunel using polyamide fiber having two layer for reinforc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951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359954A (en) * | 2019-08-02 | 2019-10-22 | 西南交通大学 | One kind passing through creep faults tunnel particle-filled layers error resilienc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KR20200017920A (en) * | 2018-08-10 | 2020-02-19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Removable and Attachable Tapered-Type Nozzle to Control and Improve the Direction and Dispersion of Fibers in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 Materials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6853B1 (en) * | 2002-08-28 | 2004-06-23 | 임철웅 | Method for tunnel construction using fiber glass shotcrete |
KR20060134754A (en) * | 2005-06-23 | 2006-12-28 | 김인태 | Partial film waterproof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
KR100740200B1 (en) | 2004-11-29 | 2007-07-18 | 서동현 | Tunnelling method using pre-support concept and an adjustable apparatus thereof |
KR20090036952A (en) * | 2007-10-10 | 2009-04-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crete composition for tunnel lining |
-
2009
- 2009-12-30 KR KR1020090133487A patent/KR10096951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36853B1 (en) * | 2002-08-28 | 2004-06-23 | 임철웅 | Method for tunnel construction using fiber glass shotcrete |
KR100740200B1 (en) | 2004-11-29 | 2007-07-18 | 서동현 | Tunnelling method using pre-support concept and an adjustable apparatus thereof |
KR20060134754A (en) * | 2005-06-23 | 2006-12-28 | 김인태 | Partial film waterproof tunnel and construction method |
KR20090036952A (en) * | 2007-10-10 | 2009-04-15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Concrete composition for tunnel lining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17920A (en) * | 2018-08-10 | 2020-02-19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Removable and Attachable Tapered-Type Nozzle to Control and Improve the Direction and Dispersion of Fibers in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 Materials |
KR102096247B1 (en) * | 2018-08-10 | 2020-04-02 | 대구대학교 산학협력단 | Removable and Attachable Tapered-Type Nozzle to Control and Improve the Direction and Dispersion of Fibers in Fiber-Reinforced Cement Composite Materials |
CN110359954A (en) * | 2019-08-02 | 2019-10-22 | 西南交通大学 | One kind passing through creep faults tunnel particle-filled layers error resilienc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CN110359954B (en) * | 2019-08-02 | 2024-05-24 | 西南交通大学 | Anti-fault structure for particle filling layer of tunnel penetrating through creeping fault and construction method of anti-fault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250131B2 (en) | Drainage pipe repair method | |
KR101851183B1 (en) | On-site Hydration Concrete Mat with warp directional reinforcing yarn | |
US20200376806A1 (en) | Cementitious composite mat | |
KR101447021B1 (en) | Soil nail assembly and Method for reinforcing slopes using the same | |
KR100969513B1 (en) | A method for construting tunel using polyamide fiber having two layer for reinforcing | |
JP2012531372A (en) | Reinforcing fiber and shot screen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 |
KR10212893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tunnel using fiber mesh for tunnel shotcrete | |
CN110284242A (en) | A kind of wicking reinforced earth fabric | |
KR102271040B1 (en) | Reinforcement mat of on-site hydration type using tufting connection threa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method for reinforcing concrete structure | |
CN100535352C (en) | Compacting apparatus for prestressed pore passage grouting | |
KR101309135B1 (en) | A Fiber Reinforced Concrete For Floor Slab | |
JP4488328B2 (en) | Internal member for repairing existing pipeline and repair method for existing pipeline | |
KR101070637B1 (en) | Tube non-excavation repair, reinforcement member, construction method and device | |
KR101180499B1 (en) | Vertical drain for soft foundation treatment,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
JP2022032353A (en) | Bridge structure | |
KR101126264B1 (en) | A Polyamide fiber having two layer for reinforcing cement structure | |
KR102265893B1 (en) | Reinforcement mat of on-site hydration type having textile grid reinforcement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and structure reinforcing method for accelerated construction using the same | |
KR102290394B1 (en) | Stiffness application method of high performance hyper fiber-net for tunnel support to improving constructability | |
CN115162142B (en) | Abutment-roadbed integrated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S58138827A (en) | Construction of composite anchor | |
CN118933085B (en) | Externally bonded fiber layer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underground structure and assemble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JP7285482B2 (en) | Law frame forming tool and law frame forming method | |
KR20200079092A (en) | Grout method for reservoir bank | |
JP7412991B2 (en) | Bending reinforcement method for concrete structures | |
KR20190059188A (en) | Fiber mesh for shotcret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unnel us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002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4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70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7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7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7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704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7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706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705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