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8621B1 -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621B1
KR100968621B1 KR1020100030929A KR20100030929A KR100968621B1 KR 100968621 B1 KR100968621 B1 KR 100968621B1 KR 1020100030929 A KR1020100030929 A KR 1020100030929A KR 20100030929 A KR20100030929 A KR 20100030929A KR 100968621 B1 KR100968621 B1 KR 100968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base frame
sensor
tilting bracket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9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석호
Original Assignee
신석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석호 filed Critical 신석호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력방향 일 단과 힌지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틸팅(tilting) 가능하며 바깥쪽 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할 수 있는 틸팅 브래킷; 일 단이 상기 틸팅 브래킷에 연결되는 로프; 및 상기 로프의 타 단을 감거나 풀어 상기 틸팅 브래킷의 틸팅 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로프의 타 단에 연결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모터; 및 일 단은 상기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일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기어 연결에 의해 타 단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의 타 단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로프를 감거나 푸는 로프 드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Mounting apparatus for adjusting tilting angle of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벽면에 장착 후 틸팅(tilting) 가능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평판 컴퓨터 모니터, LCD, PDP 등과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최근 디스플레이 패널의 주기종 을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종래에 길이방향의 공간을 필요로 하는 음극선과는 얇은 두께로 제작이 가능하며 넓은 화면의 구현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은 벽면 탑재를 통해 공간 사용을 극대화하고 장식성을 높일 수 있어 널리 대중화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의 벽면 거치는 벽면에 한번 고정하게 되면 그 틸팅(tilting) 각도를 조절할 수 없어 오히려 시청자의 불편함을 초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력 전달부를 이용하여 벽면에 탑재된 디스플레이 패널의 틸팅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기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력방향 일 단과 힌지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틸팅(tilting) 가능하며 바깥쪽 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할 수 있는 틸팅 브래킷; 일 단이 상기 틸팅 브래킷에 연결되는 로프; 및 상기 로프의 타 단을 감거나 풀어 상기 틸팅 브래킷의 틸팅 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로프의 타 단에 연결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모터; 및 일 단은 상기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일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기어 연결에 의해 타 단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의 타 단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로프를 감거나 푸는 로프 드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모터의 회전으로 상기 로프가 감기는 중 장애물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 소정 이상의 회전력이 상기 모터에 가해지면 상기 모터는 상기 구동력 전달부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와 공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는 웜 기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감속 기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감속 기어부는 상기 모터의 웜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웜 휠; 상기 제1 축 상에서 마찰 고정되어 상기 웜 휠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안전기어; 상기 제1 안전기어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와셔; 상기 와셔 일 측에 배치되는 접시스프링 와셔; 및 상기 접시스프링 와셔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축과 나사 결합되는 마찰조절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축의 일 단은 단차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축 일 단의 단차와 상기 마찰조절너트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 안전기어, 상기 와셔, 및 상기 접시스프링이 마찰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프 드럼은 상기 제1 안전기어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제1축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제1축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로프의 방향을 지지 또는 변경하는 도르래를 포함하며 상기 도르래는 상기 로프의 감김과 풀림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 평면상에서 이동 가능한 움직 도르래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의 일 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움직 도르래와 상기 틸팅 브래킷은 고정 로프로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일 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틸팅 브래킷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틸팅 브래킷의 거리를 소정 거리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틸팅 브래킷이 소정의 각도 이상 틸팅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 근처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틸팅 브래킷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는 상기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서로 제1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 피봇축 근처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는 2절 링크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는 상기 지지부의 상기 2절 링크의 제1 링크와 제2 링크는 서로 제2 피봇축을 중심으로 결합하며 상기 제2 피봇축 근처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의 상기 각 링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는 상기 틸팅 브래킷 상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할 수 있는 패널탑재 브래킷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탑재 브래킷은 상기 틸팅 브래킷에 착탈 가능하도록 가이드훅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패널탑재 브래킷은 상기 틸팅 브래킷에 대한 상기 패널탑재 브래킷의 위치를 지지하는 고정훅 어셈블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훅 어셈블리는 고정훅 및 상기 고정훅과 연결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훅은 상기 패널탑재 브래킷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틸팅 브래킷의 고정홈에 지지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틸팅 브래킷은 상기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접힐 수 있다. 이때,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틸팅 브래킷이 상기 힌지 결합에 의해 접힐 때 상기 기준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는 1인치와 작거나 같도록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 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틸팅 브래킷에 연결되며 상기 틸팅 브래킷의 틸팅에 따라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틸팅 브래킷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상기 틸팅 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틸팅 브래킷의 측벽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팅할 때 상기 틸팅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벽에 걸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틸팅 브래킷의 틸팅 각도를 제어하도록 사용자의 명령값을 입력받아 상기 틸팅 브래킷의 틸팅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명령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틸팅 브래킷의 각도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틸팅 브래킷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모터의 전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광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통과하는 이동체의 개구구간과 폐구구간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틸팅 브래킷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통과하는 이동체의 개구구간과 폐구구간의 순서와 간격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틸팅 브래킷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는 상기 로프의 장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로프 상에 안전 센서 조립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안전 센서 조립체는 센서 조립체 및 센서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감지부는 상기 로프의 장력에 의해 상기 센서 조립체에 대해 회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센서 조립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 홀더 상기 제1 탄성체 홀더 상에 배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탄성체 홀더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제2 탄성체 홀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탄성체 홀더는 상기 센서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센서 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 센서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탄성체 홀더 사이에 겹판 스프링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겹판 스프링부는 제1 겹판 스프링 및 제2 겹판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각 겹판 스프링은, 둔덕부 상기 둔덕부의 일부가 연장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일부가 연장된 바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 조립체는 제3 센서 및 제4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감지부는 상기 제3 센서 및 상기 제4 센서 사이를 상기 로프의 장력에 따라 회동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에 따르면 자동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틸팅(tilting)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장치를 통하여 구동시 안전성이 높아지며, 더욱 콤팩트한 구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실시예가 틸팅 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실시예가 틸팅 되기 전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4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탑재된 패널탑재 브래킷과 틸팅 브래킷이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5는 패널탑재 브래킷 및 틸팅브래킷 후측방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은 고정 훅 어셈블리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는 틸팅 브래킷이 지지부에 의해 지지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8는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된 모터 및 구동력 전달부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9은 구동력 전달부 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도이다.
도 11은 도 2a에 따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12a는 제1 움직 도르래가 적용되어 틸팅 브래킷이 초기 틸팅 값을 가지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2b는 제1 움직 도르래가 적용되어 틸팅 브래킷이 틸팅 완료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3a는 제1 움직 도르래와 제2 움직 도르래가 적용되어 틸팅 브래킷이 초기 틸팅 값을 가지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3b는 제1 움직 도르래와 제2 움직 도르래가 적용되어 틸팅 브래킷이 틸팅 완료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4는 베이스 프레임과 틸팅 브래킷 사이에 보호부재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5는 틸팅 브래킷 측벽에 돌기가 형성되어 틸팅 브래킷이 베이스 프레임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6은 제1 힌지점 근처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략적사시도이다.
도 17은 탄성부재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8은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9a는 지지부가 펼쳐진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9b는 지지부가 접힌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시스템을 통해 틸팅 브래킷의 위치를 제어하는 순서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2는 센서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3a 내지 23c는 센서부의 제1 변형예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는 개략적 개념도이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안전 센서 조립체의 작동원리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25는 안전 센서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a 또는 도 26b는 안전 센서 조립체의 겹판 스프링부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7은 안전 센서 조립체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 조정장치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도 2a, 도 2b,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실시예가 틸팅 된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실시예가 틸팅 되기 전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실시예의 개략적 배면도이다.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는 베이스 프레임(110), 틸팅 브래킷(120), 패널탑재 브래킷(130), 모터(150), 로프(160), 지지부(170) 및 구동력 전달부(200)를 구비한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10)은 기준면(100) 등의 지지물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기준면(100)은 벽 또는 벽면에 부착하는 월플레이트(미도시)일 수 있다. 틸팅 브래킷(120)은 베이스 프레임(110)의 중력방향 일 단의 제1 힌지점(111)과 힌지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틸팅(tilting) 가능하게 연결되어있다. 이때, 틸팅 브래킷(120)의 바깥쪽 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장착할 수 있다. 이때, 틸팅 브래킷(120)에 패널탑재 브래킷(130)을 장착하고 패널탑재 브래킷(130)에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장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모터(150)는 베이스 프레임(110)상에 장착되며 베이스 프레임(110)과 틸팅 브래킷(120) 사이에 위치하여, 베이스 프레임(110) 및 틸팅 브래킷(120)이 제1 힌지점(111)을 중심으로 모터(150)를 내부에 수납하도록 접힐 수 있다. 이때, 베이스 프레임(110) 또는 틸팅 브래킷(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110)만 측벽을 가지거나 또는 틸팅 브래킷(120)만 측벽을 가지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프레임(110)과 틸팅 브래킷(120) 모두에 측벽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10)과 틸팅 브래킷(120) 모두가 측벽을 구비할 경우, 제1 힌지점(111)을 중심으로 베이스 프레임(110)과 틸팅 브래킷(120)은 모터(150)를 내부에 수납하며 서로 포개어 질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 프레임(110)과 틸팅 브래킷(120)이 제1 힌지점(111)을 중심으로 접힐 때 베이스 프레임(110)과 틸팅 브래킷(120)의 거리는 1인치 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
이때, 모터(150)의 위치는 베이스 프레임(110)상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모터(150)는 틸팅 브래킷(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로프(160)의 일 단은 틸팅 브래킷(120) 상에 배치된 모터(150)와 연결되고 로프(160)의 타 단은 베이스 프레임(1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로프(160)는 일 단이 모터(150)에 연결되고 타 단은 틸팅 브래킷(120)에 연결될 수 있다. 로프(160)는 모터(150)가 구동함에 따라 감기거나 풀려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로프(160)의 연결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로프(160)의 일 단이 모터(150)에 연결되고 타 단은 베이스 브래킷(110) 상의 한 점에 고정되어 모터(150)의 구동에 의해 로프(160) 상의 움직 도르래를 움직이게 할 수도 있다.
여기서, 패널탑재 브래킷(130)에 대해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디스플레이 패널(250)이 탑재된 패널탑재 브래킷(130)과 틸팅 브래킷(120)이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배면도이다. 도 5는 패널탑재 브래킷(130) 및 틸팅 브래킷(120) 후측방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6은 고정훅 어셈블리(131)의 개략적 분해 사시도이다.
디스플레이 패널(250)은 패널탑재 브래킷(130)에 장착된 후 패널탑재 브래킷(130)을 틸팅 브래킷(120)에 배치할 수 있다. 이때, 패널탑재 브래킷(130)은 가이드훅(130a)을 구비할 수 있고, 틸팅 브래킷(120)은 홈(h)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이드훅(130a)이 홈(h)에 거치되어 틸팅 브래킷(120)에 대한 패널탑재브래킷(13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패널탑재 브래킷(130)을 가이드훅(130a)에 의해 틸팅 브래킷(120)에 결합함으로써 착탈시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패널탑재 브래킷(130)은 틸팅 브래킷(120)에 대한 패널탑재 브래킷(130)의 위치를 지지하는 고정훅 어셈블리(131)를 더 구비할 수 있다. 고정훅 어셈블리(131)는 고정훅(132a), 고정훅 바닥부(132b), 연결부재(133) 및 전환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훅(132a)은 고정훅 바닥부(132b)에 탄성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이때, 고정훅(132a)에 대응하여 틸팅 브래킷(120)상에 음각부가 형성된 고정홈(120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패널탑재 브래킷(130)이 가이드훅(130a)을 따라 틸팅 브래킷(120)의 측면을 미끄러져 내려가는 동안 고정훅(132a)이 고정홈(120a) 방향(x축방향)으로 탄성력에 의해 연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훅(132a)이 고정홈(120a)에 지지되면 패널탑재 브래킷(130)이 틸팅 브래킷(120)에 대하여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이때, 패널탑재 브래킷(130)과 틸팅 브래킷(120)과의 분리시 고정훅(132a)을 고정홈(120a) 반대 방향(-x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다. 이때, 연결부재(133)는 고정훅(132a)과 연결되어 사용자가 연결부재(133)를 지면의 아래 방향(-y축 방향)으로 당김으로 고정훅(132a)이 고정홈(120a)의 반대 방향(-x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연결부재(133)의 당기는 방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환부(134)가 배치될 수 있다. 전환부(134)를 통하여 연결부재(133)의 당기는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도 4내지 도 6에서 가이드훅(130a)이 패널탑재 브래킷(130)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가이드훅(130a)은 패널탑재 브래킷(130) 또는 틸팅 브래킷(1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부(170)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틸팅 브래킷(120)이 지지부(170)에 의해 지지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지지부(170)는 예를 들어 제1 링크(170a) 및 제2 링크(170b)를 구비하는 2절 링크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링크(170a)가 베이스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제2 링크(170b)가 틸팅 브래킷(120)에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70)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틸팅 브래킷(120)의 거리를 소정의 거리로 유지하여 틸팅 브래킷(120)이 소정의 각도 이상 자중에 의해 틸팅하지 못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즉, 틸팅 브래킷(120)이 자중에 의해 틸팅 되더라도 지지부(170)에 의해 소정 각도 이상 틸팅은 저지된다. 지지부(170)는 이와 같이 틸팅 브래킷(120)의 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함으로 로프(160) 등이 끊어지는 경우 안전장치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부(170)의 구성은 여기서 2절 링크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2절 링크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와이어 로프 등 틸팅 브래킷(120)이 베이스 브래킷(120)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가지도록 지지하는 다양한 부재로 구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시되어있지 않으나,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는 지지부(170)를 구비하지 않고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프(160)의 일 단은 틸팅 브래킷(120)에 연결되고 모터(150)의 구동으로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모터(150)가 회전하지 않고 지지하는 힘으로 틸팅 브래킷(120)을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동력 전달부(200)는 모터(150)의 구동력을 로프(160)에 전달하기 위하여 일 단은 모터(150)와 연결되고 타 단은 로프(160)와 연결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구동력 전달부(200)를 설명한다. 도 8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배치된 모터(150) 및 구동력 전달부(200)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구동력 전달부(200)는 안전장치(180)와 기어부(190)를 구비한다.
기어부(190)는 웜(191), 웜 휠(192), 및 제2 기어(193)를 포함한다. 이때, 모터(150)의 회전축 상의 웜(191)과 구동력 전달부(200) 일 단의 웜 휠(192)이 맞물려 회전할 수 있다. 이때, 모터(15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기어 구성 형태는 웜 기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어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모터(150) 회전축 상의 웜(191)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웜 휠(192)은 안전장치(180)의 제1 안전기어(184)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이때, 웜 휠(192)과 제1 안전기어(184)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어(193) 등의 기어가 배치될 수 있으나 기어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기어 구성으로 모터(150)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기어의 지름 비를 조절하여 모터(150)가 부담해야 하는 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기어(193)의 지름이 윔 휠(192)의 지름의 두 배일 경우, 제2 기어(193)가 전달하는 회전 속도는 1/2로 줄어들지만 모터(150)가 부담하는 힘의 크기는 1/2로 줄어든다. 이와 같이 기어의 지름 비를 통해 모터(150)가 부담해야 하는 힘의 크기를 줄임으로 같은 중량의 디스플레이 패널(250)의 틸팅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모터(150)를 구비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는 보다 컴팩트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안전기어(184)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1 안전기어(184)가 회전함에 따라 제1 안전기어(184)와 같은 제1 축(187)에 연결된 로프 드럼(189)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축(187)는 도 1 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의 회전축과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모터의 회전축은 제1 축(187)과 공간상에서 서로 어긋나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모터의 회전축과 제1 축(187)은 평행방향으로 서로 수직할 수 있다.이때, 모터의 회전축은 기준면(100)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모터의 배치에 따른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1 축(187)은 기준면(100)에 대하여 수직으로 배치되어 로프 드럼(189)이 회전이 기준면(100)과 평행하게 발생하여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즉, 모터의 회전축과 제1축(187)을 서로 어긋나게 배치하여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로프 드럼(189)이 회전함에 따라 로프 드럼(189)의 회전 방향에 따라 로프(160)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로프(160)가 감기거나 풀림으로써 로프(160)의 일 단이 고정 결합된 틸팅 브래킷(120)이 제1 힌지점(111)을 중심으로 틸팅 될 수 있다. 로프(160)가 풀리게 되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브래킷(120)이 틸팅되며 이때,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은 모터(150)의 회전력에 의한 틸팅이 아닌 틸팅 브래킷(120)과 디스플레이 패널(250)의 자중에 의해 틸팅될 수 있다. 로프(160)가 감기게 되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 브래킷(120)이 베이스 프레임(110)과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이때, 틸팅 브래킷(120)은 모터(150)의 회전력에 의해 당기어져 베이스 프레임(110)과 가까워진다. 여기서, 제1 안전기어(184)와 로프 드럼(189)은 제1 축(187)에 각각 고정 결합 될 수도 있다.
안전장치(180)는 이와 달리, 제1 안전기어(184)가 제1 축(187)에 마찰 결합되어, 소정의 회전력을 받게 되면 제1 축(187)에 대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장애물에 의해 로프(160)가 감기는 것이 인체의 일부에 의해 지지되는 경우 제1 안전기어(184)가 안전장치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 중 인체 등의 장애물이 외력으로 작용하여 틸팅 브래킷(120)에 전달된 경우, 만약 모터(150)의 회전력보다 장애물이 방해하는 힘이 더 크게 작용하여 모터(150)가 회전할 수 없는 경우에는 모터(150)에 과부하가 걸릴 수 있다. 이와 달리 모터(150)의 회전력이 장애물의 지지력 보다 클 경우 틸팅 브래킷(120)은 멈추지 않고 로프(160)에 의해 감기어 올라와 안전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그 장애물이 어린이의 신체 일부인 경우, 심각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이때, 장애물에 의해 지지된 로프 드럼(189)과 모터(150)에 의해 회전하려는 제1 안전기어(184) 사이에 소정의 회전력 차가 생길 경우 제1 안전기어(184)가 제1 축(187)에 대하여 회전하여 모터(150)와 공회전 하도록 구성함으로 안전장치(180)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과 10을 참조하여 안전장치(180)를 설명한다. 도 9는 구동력 전달부 안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결합도이다. 안전장치(180)는 마찰조절너트(181), 제1 접시스프링 와셔(182a), 제2 접시스프링 와셔(182b), 제1a 와셔(183a), 제1b 와셔(183b), 제l 안전기어(184), 제2a 와셔(185a), 제2b 와셔(185b), 로프 드럼(189)을 구비한다. 안전장치(180)의 구성요소는 제1 축(187)을 축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제1 축(187)은 나사산(186)을 가지며 제1 축(187)의 일 단은 제1 축 단차(188)를 가진다. 나사산(187)에 마찰조절너트(181)를 나사결합하면, 마찰조절너트(181)와 제1 축 단차(188) 사이의 조이는 마찰력에 의해 안전장치(180)의 구성요소를 마찰 지지할 수 있다.
접시 스프링 와셔(182a, 182b)는 탄성력에 의해 마찰조절너트(181)가 조이는 마찰력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제1 와셔(183a, 183b)와 제2 와셔(185a, 185b)는 제1 안전기어(184)의 양 측면에 배치된다.
이때, 마찰조절너트(181)의 조이는 힘에 의해 제1 안전기어(184)는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므로 모터(150)에 의해 제2 기어(193)가 회전하면 제1 안전기어(184)는 회전하고 마찰력에 의해 제1 축(187)과 로프 드럼(189)도 회전한다. 그러나 만약 틸팅 브래킷(120)이 장애물에 의해 지지되어 제1 안전기어(184)에 마찰조절너트(181)에 의해 인가된 마찰력 이상의 회전력이 작용하면 제1 안전기어(184)는 제1 축(187)에 대해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1 안전기어(184)가 단독으로 또는 제1 안전기어(184) 및 안전장치(180)의 일부 구성요소들과 함께 제1 축(187)에 대해 공회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공회전 발생하는 경우 제1a 와셔(183a)와 제1b 와셔(183b) 사이 및, 제2a 와셔(185a)와 제2b 와셔(185b) 사이에서 공회전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같이 안전장치(180)의 구성요소가 공회전하므로 모터(150)에 불필요한 무리를 주지 않고 장애물에 대해 안전장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마찰조절너트(181)의 조임 압력에 의해 제1 안전기어(184)에 미치는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으므로, 안전상의 이유로 필요에 따라 소정의 마찰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슬립고정 와셔(미도시)는 마찰조절너트(181)와 제1 접시스프링 와셔(182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축(187)은 슬립고정 와셔에 대응하는 부분에 슬립고정 와셔 걸림턱을 구비할 수 있고, 슬립고정 와셔는 슬립고정 와셔 걸림턱의 형상에 대응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슬립고정 와셔는 걸림턱에 걸려있어 회전하지 않으므로 와셔(183, 185)또는 접시스프링 와셔(182)가 회전하는 경우에도 그 회전력을 마찰조절너트(181)에 전달하지 않게 되고, 그럼으로써 마찰조절너트(181)의 풀림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안전장치(180)의 구성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안전장치(180)를 구성함에 있어 상기 부재들을 균등한 타 부재들로 교체하는 등 다양한 구성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때, 로프 드럼(189)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프 드럼(189)은 제1안전기어(184)와 기준면(1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은 도 2a에 따른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로프 드럼(189)의 위치가 제1안전기어(184)에 대하여 기준면(100)쪽으로 베이스 프레임(110) 바닥면에 가깝게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로프 드럼(189)이 기준면(100)쪽에 가깝게 배치되면 로프 드럼(189)에 감기는 로프(160)와 베이스 프레임(110)의 바닥면과의 거리(D1)가 보다 짧아지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은 도 1에서 로프(160)가 제1 도르래(141)와 제2 도르래(141)를 통하여 방향을 전환하는 것과 비교하여 몇 가지 유리한 점이 있다. 먼저, 로프 드럼(189)의 제1축(187)은 일종의 외팔보(cantilever)로 제1축(187)상에 로프 드럼(189)이 배치된 점에서 굽힘 모멘트(bending moment)를 받게 되는데, 로프(160)와 베이스 프레임(110)의 바닥면과의 거리(D1)이 짧아져 굽힘 모멘트를 받는 점이 짧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도르래(141) 또는 제2 도르래(141)를 거칠 경우 두 번의 힘 방향의 전환으로 힘의 손실이 발생하지만 도 11에 따르면 제1 도르래(141)를 한 번만 거치게 되므로 힘의 손실이 줄어든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제1 도르래(141)와 베이스 프레임(110)간의 거리(D2)와 로프 드럼(189)에 감기는 로프(160)와 베이스 프레임(110)의 바닥면과의 거리(D1)를 조절하여 로프 드럼(189)의 제1축(187)에 미치는 힘의 방향을 조절 할 수 있다. 즉, 제1 도르래(141)의 위치를 조절하여 로프 드럼(189)에 로프(160)의 장력에 의해 미치는 힘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는 도르래부(140)를 구비한다. 도 1에 도시된 도르래부(140)는 제1 도르래(141)와 제2 도르래(142)를 구비하며, 제1 도르래(141)와 제2 도르래(142)는 각각 고정 도르래로써 로프(160)의 이동방향을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에서 도르래부(140)는 고정 도르래 뿐만 아니라 움직 도르래를 적용하여 고정 도르래와 움직 도르래의 조합으로 다양하게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a 및 12b는 한 개의 움직 도르래를, 도 13a 및 13b는 두 개의 움직 도르래를 적용하여 도르래부(140)를 구성한 실시예이다.
도 12a, 12b, 13a, 및 1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a는 제1 움직 도르래(145)가 적용되어 틸팅 브래킷(120)이 초기 틸팅 값을 가지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2b는 제1 움직 도르래(145)가 적용되어 틸팅 브래킷(120)이 틸팅 완료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2a 및 12b에서, 제1 움직 도르래(145)는 베이스 프레임(110) 평면상에서 이동한다. 이때, 로프(160)의 일 단은 베이스 프레임(110)상에 고정되어 로프 드럼(180)의 회전에 따라 로프(160)가 감기거나 또는 풀려 제1 움직 도르래(145)가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제1 고정 도르래(146)가 로프(160)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움직 도르래(145)와 틸팅 브래킷(120)은 고정 로프(161)로 연결되고 베이스 프레임(110) 평면 상을 이동하는 제1 움직 도르래(145)와 틸팅 브래킷(120)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2 고정 도르래(143)는 고정 로프(161)의 방향을 바꿔주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움직 도르래를 사용함으로 모터(150)는 보다 적은 힘으로 틸팅 브래킷(120)과 틸팅 브래킷(120)에 부착된 디스플레이 패널(250)의 틸팅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3a 및 13b는 두 개의 움직도르래를 적용한 실시예이다. 도 13a는 제1 움직 도르래(145)와 제2 움직 도르래(147)가 적용되어 틸팅 브래킷(120)이 초기 틸팅 값을 가지는 것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3b는 제1 움직 도르래(145)와 제2 움직 도르래(147)가 적용되어 틸팅 브래킷(120)이 틸팅 완료된 것을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이때, 제1 움직 도르래(145)와 제2 움직 도르래(147)는 베이스 프레임(110) 평면상에서 이동한다. 이때, 로프(160)의 일 단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고정되어 로프 드럼(180)의 회전에 따라 제1 움직 도르래(145) 또는 제2 움직 도르래(147)가 이동한다. 이때, 각각의 제1 움직 도르래(145)와 제2 움직 도르래(147)는 고정 로프(161)로 고정되어 있고 고정 로프(161)는 틸팅 브래킷(120)에 도르래로 연결되어 있다. 이때, 고정도르래(143, 146, 148)는 각각 로프(160) 및 고정 로프(161)의 회전 방향을 전환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모터(150)의 회전에 따라 움직 도르래(145,147)들이 이동하게 되고, 움직 도르래(145,147)들이 이동함에 따라 이와 연결된 틸팅 브래킷(120)이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움직 도르래의 개수를 증가시키면 모터(150)가 부담해야하는 힘이 줄어들기 때문에, 같은 하중의 디스플레이 패널(250)을 움직이기 위해 보다 작은 모터(150)로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다 콤팩트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도 12a, 12b, 13a, 13b에서 움직 도르래는 한 개 또는 두 개로 구성되었으나 움직 도르래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두 개 이상의 움직 도르래를 적용할 수도 있다.
도 14를 참조하여 보호부재(210)를 설명한다. 도 14는 베이스 프레임(110)과 틸팅 브래킷(120) 사이에 보호부재(210)를 도시한 개략적 측면도이다. 보호부재(210)는 일 단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타 단이 틸팅 브래킷(120)에 연결되며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에 따라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보호부재(210)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베이스 프레임(110)과 틸팅 브래킷(120)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15는 틸팅 브래킷(120) 측벽에 돌기가 형성되어 틸팅 브래킷(120)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하는 것을 설명하는 개략적 측면도이다. 틸팅 브래킷(120) 측벽에는 돌기(112b, 113b)가 형성되어 틸팅 브래킷(120)이 베이스 프레임(110)과 힌지 결합시 베이스 프레임(110)의 돌기홈(112a, 113a)에 걸려 틸팅 브래킷(120)과 베이스 프레임(110)이 소정의 각도를 이룰 수 있다.
이때, 돌기(112b, 113b)와 돌기홈(112a, 113a)은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팅 브래킷(120)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하여 15° 틸팅할 수 있을 때, 돌기(112b, 113b)가 타고 돌아갈 수 있는 돌기홈(112a, 113a)의 길이를 상대적으로 조정하여 틸팅 브래킷(120)이 10° 또는 5°로 틸팅하게 할 수 있다. 즉, 모터(150)가 로프(160)를 풀어주어 틸팅 브래킷(120)이 제1 힌지점(111)을 중심으로 자중에 의해 틸팅시 틸팅 브래킷(120)의 돌기(112b, 113b)가 돌기홈(112a, 113a)에 걸려 틸팅이 중지되어 소정의 틸팅각을 만들 수 있다. 이때, 틸팅 브래킷(120)이 돌기(112b, 113b)에 의해 지지가 되더라도 모터(150)는 계속작동하여 로프(160)를 소정의 길이만큼 풀어줄 수 있다.
이와 같이 돌기(112b, 113b)를 설치함으로 자중에 의해 틸팅 브래킷(120)이 기울기를 가지며 틸팅 할 때 사용자가 선호도에 따라 기울기를 미리 설정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돌기(112b, 113b)는 각도 셋팅 핀에 의해 구성될 수 있으며 틸팅 브래킷(120) 측벽에 위치시킬 수 있다. 여기서, 돌기에 의해 조정되는 소정의 틸팅각이 10° 또는 5°인 경우에 한해 설명하였으나 소정의 틸팅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각도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6은 제1 힌지점(111) 근처에 설치된 탄성부재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개략적사시도이다. 제1 힌지점(111) 부근에 제1 탄성부재(112)를 포함하여 제1 탄성부재(112)의 일 측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연결되고, 타 측이 틸팅 브래킷(120)에 탄성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힌지점(111)에 탄성부재(112)가 틸팅 브래킷(120)에 틸팅 브래킷(120)이 자중에 의해 회전하려는 방향의 반대 방향(A)으로 탄성력을 제공함으로써 구동력 전달부(200)를 움직이는 모터(150)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의 배치 위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탄성부재(177, 178)가 배치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의 부분 사시도이다.
제2 탄성부재(177)는 지지부(170)의 제1 링크(170a)와 베이스 프레임(110)이 연결되는 제1 피봇축(P1)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부재(177)의 일단(177a)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지지되며, 타단(177b)은 제1 링크(170a)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부재(177)는 예를 들어 원래 형상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자중에 의해 틸팅 브래킷(120)이 기울어지게 되면 제1 링크(170a)가 경사각을 가지게 되는데, 제2 탄성부재(177)는 제1 링크(170a)가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는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틸팅 브래킷(120)이 모터(150)에 의해 자중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제2 탄성부재(177)의 복원력이 모터(150)의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제3 탄성부재(178)는 예를 들어 지지부(170)의 제1 링크(170a)과 제2 링크(170b)를 연결하는 제2 피봇축(P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탄성부재(178)의 일단(178a)은 제1 링크(170a)에 연결 지지되며, 타단(178b)은 제2 링크(170b)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제3 탄성부재(178)는 제2 탄성부재(177)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원래 형상을 유지하려는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자중에 의해 틸팅 브래킷(120)이 기울어지게 되면 제1 링크(170a)와 제2 링크(170b)가 이루는 각이 증가하게 되는데, 제3 탄성부재(178)는 제1 링크(170a)와 제2 링크(170b)가 이루는 각을 원래 각으로 유지하려는 복원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틸팅 브래킷(120)이 모터(150)에 의해 자중 반대방향으로 이동시 제3 탄성부재(178)의 복원력에 의해 모터(150)의 부담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8, 19a 및 19b를 참조하여 센서(171, 172)의 구동원리를 설명하고 도 20 및 21을 참조하여 제어시스템(300)을 설명한다. 도 18은 지지부(170)가 펼쳐진 상태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19a는 지지부(170)가 펼쳐진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9b는 지지부(170)가 접힌 상태의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시스템을 통해 틸팅 브래킷의 위치를 제어하는 순서도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시스템(300)은 감지부(310), 제어부(320) 및 구동부(330)로 구성될 수 있다. 감지부(31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틸팅 브래킷(120)의 위치를 감지한다. 제어부(320)는 감지부(310)가 수신한 틸팅 브래킷(120)의 위치를 입력받아 제어값을 출력한다. 구동부(330)는 제어부(320)가 출력한 제어값을 받아 모터(150)를 구동시킨다.
도 18, 19a 및 19b를 참조하여 감지부(310)가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 각도를 감지하는 것을 설명한다. 감지부(310)는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틸팅 브래킷(12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센서부는 예를 들어 제1, 2광센서(171, 172)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2광센서(171, 172)는 예를 들어 지지부(170)의 움직임을 통해 틸팅 브래킷(12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부(170)는 제1 링크(170a)와 제2 링크(170b)를 구비하며 제1 링크(170a)의 일 단은 개구구간(o)과 폐구구간(c)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링크(170a)의 일 단은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에 따라 회전하며 제1 광센서(171)와 제2 광센서(172)를 통과한다. 이때, 제1, 2광센서(171, 172)는 빛의 통과/차단에 따라 On/Off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제1 링크(170a)의 개구구간(o)에 의해 광센서에 빛이 통과하면 On신호를 발생시키고, 폐구구간(c)에 의해 빛이 차단되면 Off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시스템은 이와 같이 두 개의 제1, 2 광센서(171, 172)를 통해 발생되는 On/Off신호를 수신하여 틸팅 브래킷(120)의 위치를 감지하고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감지부(310)가 틸팅 브래킷(120)의 각도를 감지하는 방법은 도 19a를 참조하면, 제1 링크(170a)의 폐구구간(c)이 제1 광센서(171)의 빛을 막고 있어 제1 광센서(171)는 Off신호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제1 링크(170a)의 개구구간(o)에 의해 제2 광센서(172)에 빛이 통과하므로 제2 광센서(172)는 On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1 광센서(171)가 Off을, 제2 광센서(172)가 On 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부(300)는 틸팅 브래킷(120)이 베이스 프레임(110)과 제1 힌지점(111)을 중심으로 접혀있는 초기 위치에 있다고 감지한다. 만약 틸팅이 진행되면 제1 링크(170a)의 개구구간(o)이 제1 광센서(171)와 제2 광센서(172)를 통과하여 제1 광센서(171)와 제2 광센서(172)는 모두 On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1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이 완료되면 제1 링크(170a)는 회전을 완료하고, 제1 링크(170a)의 개구구간(o)이 제1 광센서(171)의 빛을 통과시켜 제1 광센서(171)는 On신호를 발생시키고 동시에 제1 링크(170a)의 폐구구간(c)에 의해 제2 광센서(172)에 빛이 통과하므로 제2 광센서(172)는 Off신호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제1 광센서(171)가 On을, 제2 광센서(172)가 Off 신호를 발생시키면 제어부(300)는 틸팅 브래킷(120)이 베이스 프레임(110)과 제1 힌지점(111)을 중심으로 틸팅을 완료한 위치에 있다고 감지하고 모터(150)의 구동을 종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지부(310)의 센서 감지를 통해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며, 감지부(310)의 센서를 구성하는 방법은 광센서(171, 172)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1은 사용자가 틸팅 브래킷(120)에 0˚ 초기위치명령, 15˚ 틸팅 명령 및 정지 명령의 세 가지 명령을 내리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자라면 다양한 제어시스템(300)을 구성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21에 따르면 명령값을 받기 전 제어시스템(300)은 명령대기모드(S401)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사용자는 15˚틸팅, 0˚틸팅, 정지명령의 세 가지 명령 중 하나를 명령값으로 내릴 수 있다. 이때 15˚틸팅은 틸팅 브래킷(120)을 기준값으로부터 15˚틸팅시키는 명령을 의미하고, 0˚틸팅은 15˚틸팅된 틸팅 브래킷(120)을 원 기준값으로 복귀하는 명령을 의미하며, 정지명령은 구동 중 모터(150)를 정지하는 명령을 의미한다. 명령을 입력 받으면(S402) 먼저 명령값이 15˚틸팅 인지를 판단한다(S403). 명령값이 15˚틸팅일 경우 모터는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을 시작(S404)한다. 이때, 명령값은 15˚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값을 취할 수 있다.
이때, 제어시스템(300)은 제1 광센서(171)가 감지한 신호를 판단한다(S405). 이때 제1 광센서(171)가 On인지를 판단하며 On이 아닐 경우 On 신호를 수신할때까지 모터는 정회전 구동한다. 제1 광센서(171)가 On신호를 송신하면, 제어시스템(300)은 제2 광센서(171)가 감지한 신호를 판단한다(S406). 이때 제2 광센서(172)가 Off인지를 판단하며 Off가 아닐 경우 Off신호를 수신할때까지 모터를 더 정회전 구동시킨다. 제2 광센서(172)가 Off신호를 송신하면 제어시스템(300)은 틸팅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의 구동을 중지(S407)시키고 명령대기모드(S401)로 복귀한다.
입력받은 명령이 15˚틸팅이 아닐 경우(S402) 명령값이 0˚인지를 판단한다.이때, 명령값이 0˚가 아닌 경우, 정지 명령이므로 모터(150)의 구동을 정지시킨다(S490). 만약, 명령값이 0˚인 경우(S450). 모터(150)를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 시킨다(S451). 이때, 제어시스템(300)은 제1 광센서(171)가 감지한 신호를 판단한다(S452). 제1 광센서(171)가 Off인지를 판단하며 Off이 아닐 경우 Off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모터(150)를 역회전 구동시킨다. 제1 광센서(171)가 Off신호를 송신하면, 제어시스템(300)은 제2 광센서(171)가 감지한 신호를 판단한다(S453). 이때 제2 광센서(172)가 On인지를 판단하며 On이 아닐 경우 On신호를 수신할때까지 모터를 더 역회전 구동시킨다. 제2 광센서(172)가 On신호를 송신하면 제어시스템(300)은 틸팅이 초기상태로 복귀된 것으로 판단하고 모터(150)의 구동을 중지(S454)시키고 명령대기모드(S401)로 복귀한다.
여기서, 제어시스템(300)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감지부(310)는 틸팅 브래킷(120)의 각도를 측정하지 위하여 다양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 각도 또는 이동거리를 제어하기 위하여 감지부(310)는, 베이스 프레임(110)의 일 면에 위치하여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틸팅 브래킷(120)의 회전각을 측정하는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에 따라 회전하는 슬롯을 구비한 회전자를 통해 틸팅 각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또는, 감지부(310)는 모터(150)의 전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전류 감지 센서는 모터(150)에 연결되어 모터(150)의 전류 변화를 측정하며, 모터(150)의 전류 변화를 통해 모터(150)의 상태 및 틸팅 정도를 판단 할 수도 있다.
제어시스템(300)은 또한 모터(150)의 전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구비하여 안전장치를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초기 입력값에 따라 틸팅하는 틸팅 브래킷(120)을 저지하도록, 틸팅 브래킷(120)과 베이스 프레임(110) 사이에 끼일 경우, 센서부는 모터(150)의 구동 중 전류 변화를 감지하여 모터(150)의 구동을 멈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 신체 일부 등에 의해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을 저지되어 모터(150)의 전류값이 변화되면, 제어시스템(300)은 모터(150) 전류값의 변화를 명령값으로 입력받아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 각도를 정지 명령을 내려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모터(150)의 정지력에 의해 틸팅 브래킷(120)이 지지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 신체 일부 등의 장애물이 제거되면 모터(150)에 미치는 토크값이 바뀌게 되므로 센서부는 모터(150)에 전류값이 변화됨을 감지하고 모터(150)의 구동을 재개시켜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 각도를 초기 입력값을 추종하도록 모터(150)를 구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틸팅 브래킷(120)의 각도를 제어하는 제어시스템(300)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22 내지 도 23a, 23b 및 23c를 참조하여 센서부의 제1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22는 센서부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3a 내지 23c는 센서부의 제1 변형예의 작동방법을 설명하는 개략적 개념도이다. 센서부는 제1 센서(171') 및 제2 센서(172')를 구비하며, 제1 센서(171') 및 제2 센서(172')를 통과하는 이동체(175)의 개구구간(o)과 폐구구간(c)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틸팅 브래킷(120)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이동체(175)는 예를 들어 투명한 필름형태일 수 있으며 일단은 예를 들어 탄성연결부재(176) 등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에 부착될 수 있다. 이때, 틸팅 브래킷(120)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해 기울어질수록 이동체(175)는 이동하게 되며 이동체(175) 상의 개구구간(o)과 폐구구간(c)이 번갈아 가며 제1 센서(171') 및 제2 센서(172')를 통과한다. 개구구간(o)과 폐구구간(c)의 반복적인 센서부(171', 172')의 통과에 따라 제어시스템(300)은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틸팅 브래킷(120)의 회전 각도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는 제1 센서(171') 및 제2 센서(172')를 통과하는 이동체(175)의 개구구간(o)과 폐구구간(c)의 순서와 간격에 의해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틸팅 브래킷(120)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23a에서 제1 센서(171')에 비해 제2 센서(172')가 폐구구간(c)에 의해 더 오랜 시간 빛을 차단당하게 된다. 이때, 제어 시스템(300)은 이를 시작점 즉, 베이스 프레임(110)에 대한 틸팅 브래킷의 기울임 각도를 0˚로 감지할 수 있다. 도 23b와 같이 개구구간(c)과 폐구구간(o)이 반복적으로 제1, 2 센서(171', 172')를 통과할 경우, 통과하는 개,폐구간(o, c)의 개수 및 속도에 따라 제어시스템(300)이 틸팅 브래킷(120)의 틸팅각을 감지할 수 있다. 또한, 장애물이 발생하여 일정시간 개, 폐구간(o, c)의 통과가 지연될 경우 제어시스템(300)이 이를 감지하고 모터(150)를 멈추는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힌지점(111) 하단의 기준면(100)과 디스플레이 패널(250)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일부가 끼었을 경우 제어시스템(300)이 이를 감지하고 동작을 멈출 수 있다. 또한, 틸팅시 디스플레이 패널(250)에 물건이나 신체가 접촉하여 로프(160)의 처짐이나 로프(160)의 역감김 등의 동작 불량을 감지하여 멈출 수 있다. 또한, 제1 힌지점(111) 상단의 기준면(100)과 디스플레이 패널(250)의 뒷면에 사용자의 손이나 신체일부가 끼었을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동작을 멈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는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안전 센서 조립체(500)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4a 내지 도 24c는 안전 센서 조립체(5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한 개념도이다. 도 25는 안전 센서 조립체(5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6a 또는 도 26b는 안전 센서 조립체(500)의 겹판 스프링부(520)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7은 안전 센서 조립체(500)가 적용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 조정장치(1)를 도시한 개략적 사시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안전 센서 조립체(500)는 하우징(510), 겹판 스프링부(520), 탄성체 홀더부(530), 탄성체(540), 와셔(550) 및 볼트(560)를 구비할 수 있다.
하우징(510)은 센서 조립체(173, 17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센서 조립체(173, 174)는 하우징(510)의 중심축에서 소정의 각도를 가지고 배치된 제3 센서(173), 제4 센서(17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센서 조립체(173, 174)의 개수가 도 25에는 두 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세 개 또는 그 이상의 센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3, 4센서(173, 174)는 광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센서로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510)의 일 면은 단차가 형성되어 높은 둔덕부(510a)와 낮은 바닥부(510b) 및 둔덕부(510a)와 바닥부(510b)를 연결하는 경사부(510c)를 구비할 수 있다.
겹판 스프링부(520)는 적어도 두 개의 겹판 스프링(521, 522)을 구비할 수 있다. 각 겹판 스프링(521, 522)는 높은 둔덕부(521a, 522a)와 낮은 바닥부(521b, 522b)를 구비하며 둔덕부(521a, 522a)와 바닥부(521b, 522b)를 연결하는 경사부(521c, 522c)를 가질 수 있다. 도 26a와 같이 겹쳐진 두 개의 겹판 스프링(521, 522)에 대하여 서로 다른 방향의 힘(B1, B2)이 인가될 경우 도 2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겹판 스프링(522)의 경사부(522c)는 제1 겹판 스프링(521)의 경사부(521c)를 타고 미끄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겹판 스프링(522)이 제1 겹판 스프링(521)에 대하여 회전시 겹판 스프링(521, 522)의 경사부(521c, 522c)등이 탄성적으로 작용하여 예를 들어 회전력을 감쇠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탄성체 홀더부(530)는 제1 탄성체 홀더(531)와 제2 탄성체 홀더(53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 탄성체 홀더(531, 532) 사이에는 탄성체(5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탄성체(540)는 예를 들어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체(540)의 일단(540a)은 제1 탄성체 홀더(531)에 수용될 수 있으며 탄성체(540)의 타단(540b)은 제2 탄성체 홀더(532)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체 홀더(532)는 탄성체(54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1 탄성체 홀더(531)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예를 제2 탄성체 홀더(532)의 일면에는 로프(160)가 엇갈려 걸리는 지지대(532a, 532b)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탄성체 홀더(532)의 측면에는 제3, 4 센서(173, 174)와 대응하는 센서 감지부(532c)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탄성체 홀더(532)가 회전함에 따라 센서 감지부(532c)가 회전하여 제3 센서(173) 또는 제4 센서(174)와 반응할 수 있다.
와셔(550) 및 볼트(560)는 탄성체 홀더부(530) 및 겹판 스프링부(520)를 하우징(510)에 결합하는 역할을 한다.
안전 센서 조립체(500)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1)의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도 27을 참조하면, 안전 센서 조립체(500)는 제2 도르래(142)의 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안전 센서 조립체(500)의 동작에 대해 도 24a 내지 도 2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4a를 참조하면, 안전 센서 조립체(500)의 제2 탄성체 홀더(532)는 예를 들어 R1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탄성체(540)의 탄성력과 로프(160)의 장력(T1, T2)간의 힘의 평형으로 기준선과 이루는 각도가
Figure 112010021575375-pat00001
를 이루도록 회전하게 된다. 즉, 틸팅 브래킷(120)이 틸팅하는 동안 또는 정지한 동안에 장력(T1, T2)과 탄성체(540)의 회전력의 평형 상태가 이루어지며 센서 감지부(532c)는 제3, 4센서(173, 17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틸팅 브래킷(120)이 모터(150)가 로프(160)를 풀어줌에 따라 자중에 의해 틸팅되는 경우 만약 사용자 또는 장애물에 의해 틸팅 브래킷(120)의 하강이 멈출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도 2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틸팅 브래킷(120)은 장애물등에 의해 멈추었지만 모터(150)는 로프(160)를 계속해서 풀어줌으로 로프(160)의 장력(T1, T2)이 줄어들게 된다. 이때, 안전 센서 조립체(500)의 제2 탄성체 홀더(532)는 예를 들어 R1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준선과 이루는 각도가
Figure 112010021575375-pat00002
가 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때,
Figure 112010021575375-pat00003
Figure 112010021575375-pat00004
보다 작은 값일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체 홀더(532)가 R1방향으로 회전하여 센서 감지부(532c)와 제3 센서(173)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센서 감지부(532c)는 제어시스템(300)에 신호를 주어 모터(150)의 동작을 중지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 다른 경우로, 틸팅 브래킷(120)이 자중의 반대 방향으로 즉, 틸팅 브래킷(120)의 상부가 기준면(10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 중에 사용자의 손 또는 장애물 등에 의해 틸팅이 저지될 수 있다. 도 24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틸팅 브래킷(120)은 장애물 등에 의해 저지되지만 모터(150)는 로프(160)를 계속 감기 때문에 로프(160)의 장력(T1, T2)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로프(160)의 장력(T1, T2)의 증가로 장력(T1, T2)과탄성체(540)의 탄성력의 힘의 평형에 의해 제2 탄성체 홀더(532)는 R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안전 센서 조립체(500)의 제2 탄성체 홀더(532)는 예를 들어 R1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기준선과 이루는 각도가
Figure 112010021575375-pat00005
가 되도록 회전하게 된다. 이때,
Figure 112010021575375-pat00006
Figure 112010021575375-pat00007
보다 큰 값일 수 있다. 이때, 제2 탄성체 홀더(532)가R1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여 센서 감지부(532c)와 제4 센서(174)가 서로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때, 예를 들어 센서 감지부(532c)는 제어시스템(300)에 신호를 주어 모터(150)의 동작을 중지하거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Figure 112010021575375-pat00008
,
Figure 112010021575375-pat00009
,
Figure 112010021575375-pat00010
의 값이 소정의 값을 가지도록 탄성체(540)의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는 도 24c에서
Figure 112010021575375-pat00011
Figure 112010021575375-pat00012
의 차이만큼 R1의 방향으로 제2 탄성체 홀더(532)를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겹판 스프링(520)의 회전력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로프(160)의 장력(T1, T2)의 크기에 따라 도 24a의 실시예에서 제2 탄성체 홀더(532)가 기준선과
Figure 112010021575375-pat00013
의 각도를 이루기까지 로프(160)의 장력(T1, T2)과 힘의 평형은 탄성체(540)가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탄성체 홀더(532)가 기준선과
Figure 112010021575375-pat00014
의 각도를 지나
Figure 112010021575375-pat00015
의 각도를 만들기까지 겹판 스프링부(520)의 탄성력이 로프(160)의 장력(T1,T2)과 평형을 이루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안전 센서 조립체(500)는 겹판 스프링부(520)를 생략하고 탄성체(540)의 탄성력만으로 작동할 수도 있다. 또는 안전 센서 조립체(500)는 겹판 스프링부(520), 탄성체(540) 및 기타 탄성력을 가진 장치를 사용하여 안전 센서 조립체(500)가 단계적인 탄성력 적용을 받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할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를 제조 및 사용하는 모든 산업에 이용될 수 있다.
1: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00:기준면
110:베이스 프레임 111:제1 힌지점
112: 제1 탄성부재 120:틸팅 브래킷
130:패널탑재브래킷 130a: 가이드훅
131: 고정훅 어셈블리 132a:고정훅
132b: 고정훅 바닥부 133: 연결부재
134: 전환부 140:도르래부
141:제1 도르래 142:제2 도르래
143,146,148: 고정도르래 150:모터
160:로프 170:지지부
170a:제1 링크 170b:제2 링크
171, 171':제1 광센서 172, 172':제2 광센서
173: 제3 센서 174: 제4 센서
175: 이동체 176: 탄성연결부재
177: 제2 탄성 부재 178: 제3 탄성부재
180: 로프 드럼 안전장치 182a:제1접시스프링 와셔
182b:제2 접시스프링 와셔 183a:제1a 와셔
183b:제1b 와셔 184:제l 안전기어
185a:제2a 와셔 185b:제2b 와셔
186:나사산 187: 제1 축
188:제1 축 단차 189:로프 드럼
190:기어부 191:웜
192:웜 휠 193: 제2 기어
200:구동력 전달부 210:보호부재
250: 디스플레이 패널 300: 제어 시스템
500: 안전 센서 조립체 510: 하우징
520: 겹판 스프링부 530: 탄성체 홀더부
540: 탄성체 550: 와셔
560: 볼트 P1: 제1 피봇축
P2: 제2 피봇축

Claims (31)

  1. 기준면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중력방향 일 단과 힌지 결합되어 자중에 의해 틸팅(tilting) 가능하며 바깥쪽 면에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할 수 있는 틸팅 브래킷;
    일 단이 상기 틸팅 브래킷에 연결되는 로프; 및
    상기 로프의 타 단을 감거나 풀어 상기 틸팅 브래킷의 틸팅 각을 조절하도록 상기 로프의 타 단에 연결된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장착된 모터; 및
    일 단은 상기 모터와 연결되며 상기 일단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기어 연결에 의해 타 단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의 타 단은 제1 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상기 로프를 감거나 푸는 로프 드럼;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으로 상기 로프가 감기는 중 장애물에 의해 외력이 가해져 소정 이상의 회전력이 상기 모터에 가해지면 상기 모터는 상기 구동력 전달부의 적어도 일부 구성요소와 공회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웜 기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감속 기어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감속 기어부는
    상기 모터의 웜 기어와 맞물려 회전하는 웜 휠;
    상기 제1 축 상에서 마찰 고정되어 상기 웜 휠과 맞물려 회전하는 제1 안전기어;
    상기 제1 안전기어 양 측에 각각 배치되는 와셔;
    상기 와셔 일 측에 배치되는 접시스프링 와셔; 및
    상기 접시스프링 와셔의 일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축과 나사 결합되는 마찰조절너트;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축의 일 단은 단차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축 일 단의 단차와 상기 마찰조절너트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제1 안전기어, 상기 와셔, 및 상기 접시스프링이 마찰 지지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드럼은 상기 제1 안전기어 및 상기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제1축은 서로 다른 방향인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상기 제1축은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배치되어 상기 로프의 방향을 지지 또는 변경하는 도르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도르래는 상기 로프의 감김과 풀림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 평면상에서 이동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움직 도르래를 포함하며 상기 로프의 일 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움직 도르래와 상기 틸팅 브래킷은 고정 로프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 근처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틸팅 브래킷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가 구비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일 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틸팅 브래킷에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틸팅 브래킷의 거리를 소정 거리로 유지함으로써 상기 틸팅 브래킷이 소정의 각도 이상 틸팅하지 못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서로 제1 피봇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며 상기 제1 피봇축 근처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지지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2절 링크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기 2절 링크는 제1 링크와 제2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서로 제2 피봇축을 중심으로 결합하며 상기 제2 피봇축 근처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지 않는 방향으로 상기 지지부의 상기 각 링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3 탄성부재를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브래킷 상에 장착되며 디스플레이 패널을 장착할 수 있는 패널탑재 브래킷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탑재 브래킷은 상기 틸팅 브래킷에 착탈 가능하도록 가이드훅을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탑재 브래킷은 상기 틸팅 브래킷에 대한 상기 패널탑재 브래킷의 위치를 지지하는 고정훅 어셈블리를 더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훅 어셈블리는 고정훅 및 상기 고정훅과 연결된 연결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훅은 상기 패널탑재 브래킷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틸팅 브래킷의 고정홈에 지지 가능하게 연결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및 상기 틸팅 브래킷은 상기 힌지 결합에 의해 상기 구동부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접힐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틸팅 브래킷이 상기 힌지 결합에 의해 접힐 때 상기 기준면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거리는 1인치와 작거나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19. 제1 항에 있어서,
    일 단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연결되고 타 단이 상기 틸팅 브래킷에 연결되며 상기 틸팅 브래킷의 틸팅에 따라 접힘과 펼침이 가능하여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틸팅 브래킷 사이에 끼는 것을 방지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 또는 상기 틸팅 브래킷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측벽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 브래킷의 측벽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부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틸팅할 때 상기 틸팅 브래킷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상기 돌기가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측벽에 걸리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틸팅 브래킷의 틸팅 각도를 제어하도록 사용자의 명령값을 입력받아 상기 틸팅 브래킷의 틸팅 각도가 상기 사용자의 명령값을 추종하도록 상기 모터를 구동시키고 상기 틸팅 브래킷의 각도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틸팅 브래킷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광센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통과하는 이동체의 개구구간과 폐구구간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틸팅 브래킷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26.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제1 센서 및 제2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센서 및 상기 제2 센서를 통과하는 이동체의 개구구간과 폐구구간의 순서와 간격에 의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대한 상기 틸팅 브래킷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27.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모터의 전류 변화를 측정하는 센서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2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의 장력에 따라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도록 상기 로프 상에 안전 센서 조립체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안전 센서 조립체는
    센서 조립체; 및
    센서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감지부는 상기 로프의 장력에 의해 상기 센서 조립체에 대해 회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 조정장치.
  29.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센서 조립체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상에 배치되는 제1 탄성체 홀더;
    상기 제1 탄성체 홀더 상에 배치되는 탄성체; 및
    상기 탄성체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탄성체 홀더에 대하여 회동 가능한 제2 탄성체 홀더를 더 구비하며, 상기 제2 탄성체 홀더는 상기 센서 감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센서 조립체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 조정장치.
  30. 제29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 센서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제1 탄성체 홀더 사이에 겹판 스프링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겹판 스프링부는 제1 겹판 스프링 및 제2 겹판 스프링을 구비하며,
    상기 각 겹판 스프링은,
    둔덕부;
    상기 둔덕부의 일부가 연장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일부가 연장된 바닥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 조정장치.
  31. 제28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 조립체는 제3 센서 및 제4 센서를 구비하며, 상기 센서 감지부는 상기 제3 센서 및 상기 제4 센서 사이를 상기 로프의 장력에 따라 회동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 조정장치.
KR1020100030929A 2009-09-10 2010-04-05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KR100968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5502 2009-09-10
KR1020090085502 2009-09-1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8621B1 true KR100968621B1 (ko) 2010-07-09

Family

ID=42645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929A KR100968621B1 (ko) 2009-09-10 2010-04-05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6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52Y1 (ko) * 2011-01-06 2013-04-03 휴먼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장착장치
KR101416605B1 (ko) 2012-10-04 2014-07-08 안국모 유지보수가 편리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설치구조
KR20210131708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인식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CN116465625A (zh) * 2023-06-19 2023-07-21 陕西誉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齿轮啮合度检测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87B1 (ko) 2001-06-05 200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487B1 (ko) 2001-06-05 2003-11-17 엘지전자 주식회사 벽걸이용 디스플레이 장치의 고정 및 각도 조절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152Y1 (ko) * 2011-01-06 2013-04-03 휴먼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장착장치
KR101416605B1 (ko) 2012-10-04 2014-07-08 안국모 유지보수가 편리한 디스플레이 패널용 설치구조
KR20210131708A (ko) * 2020-04-24 2021-11-03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인식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KR102402022B1 (ko) * 2020-04-24 2022-05-26 주식회사 슈프리마 지문인식장치의 브라켓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지문인식기구
CN116465625A (zh) * 2023-06-19 2023-07-21 陕西誉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齿轮啮合度检测装置
CN116465625B (zh) * 2023-06-19 2023-09-12 陕西誉邦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齿轮啮合度检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8621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틸팅조정장치
EP3591643B1 (en) Display device
KR101217123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US20100207006A1 (en) Supporting apparatus for display device
AU2013240206B2 (en) Counterbalancing lift mechanisms and methods
US7883069B2 (en) Lifting device of a display apparatus
US7494099B2 (en) Wall mount usable with display apparatus
US20090278006A1 (en) Lifting device for display apparatus
EP2045689B1 (en) Supporting device and dual display unit having the same
CN103348083B (zh) 用于操作窗帘或投影屏装置的具有可卷绕帘布的活动幕帘的电动操作装置
KR100821530B1 (ko) 디스플레이 회동 장치 및 회동 방법
US20080149800A1 (en) Flat display drive apparatus
KR100975575B1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KR100985223B1 (ko) 디스플레이 패널 회전조정장치
KR20190084728A (ko)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US9106818B2 (en) Display device with camera and transmission unit for automatically adjusting camera angle
US20130240686A1 (en) Support device with inclination adjustment function
US8282062B2 (en) Tilting device
KR100930113B1 (ko) 디스플레이 장치용 각도 및 기울기 조절 가능 마운팅 장치
US20080165484A1 (en) Display tilting apparatus and display rotation apparatus
KR100984110B1 (ko) 디스플레이장치의 각도 조절용 고정장치
KR20050080139A (ko) 텔레비젼 거치대의 원격 자동 각도 조절장치
US5794881A (en) Gel tensioning device
WO2009139526A1 (en) Mounting device for adjusting tilt of display panel
CN115202143A (zh) 一种投影屏幕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6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7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7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6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7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