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097B1 - Switch device - Google Patents
Switch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8097B1 KR100968097B1 KR1020080006954A KR20080006954A KR100968097B1 KR 100968097 B1 KR100968097 B1 KR 100968097B1 KR 1020080006954 A KR1020080006954 A KR 1020080006954A KR 20080006954 A KR20080006954 A KR 20080006954A KR 100968097 B1 KR100968097 B1 KR 10096809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 holding member
- movable contact
- fixed contact
- c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3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75 s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06 elast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6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01H15/102—Operating parts comprising cam devices
Landscapes
- Slide Switche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과제assignment
가동 접점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이 접촉하는 고정 접점 사이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Even if the movable contact does not have an elastic force,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that the movable contact contacts can be ensured.
해결 수단Resolution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에, 가동 접점 (5) 을 유지하는 조작체 (6) 와, 이 조작체 (6)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 (4) 을 구비함과 함께, 조작체 (6) 가, 가동 접점 (5) 을 유지하고,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를 슬라이딩 가능한 유지 부재 (7) 와, 이 유지 부재 (7) 에 맞닿고, 이 유지 부재 (7) 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부개 (8) 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을 조작체 (6) 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이 변환 수단은 예를 들어, 구동 부재 (8) 에 형성된 경사면 (8c) 과, 이 경사면 (8c) 에 맞닿고, 유지 부재 (7) 에 형성된 경사면 (7b) 으로 이루어져 있다. In the accommodating part 1a of the case 1, the operating body 6 holding the movable contact 5 and the coil spring 4 which returns this operating body 6 to an initial position are provided, The holding member 7 which hold | maintains the movable contact 5 and which can slide the inside of the accommodating part 1a of the case 1 with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4, and this holding member It consists of the drive part 8 which abuts on 7 and slides this holding member 7. Moreover, the conversion means which converts the elastic force of the coil spring 4 to the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ng body 6 is provided, This conversion means is the inclined surface 8c formed in the drive member 8, for example. And the inclined surface 7b which abuts on the inclined surface 8c and is formed in the holding member 7.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전화의 키 잠금 (key locking) 등에 활용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이런 종류의 종래 기술로서, 특허 문헌 1 에 나타나는 것이 있다. 이 특허 문헌 1 에는 고정 접점이 형성된 수납부를 가짐과 함께, 상방으로 개구부를 갖고,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를 덮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케이스의 수납부 내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고정 접점에 접촉 가능한 탄성 가동 접편 즉 탄성을 갖는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이 유지되고,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슬라이딩체 즉 조작체가 구비되어 있다. 또, 케이스의 수납부 내에 배치되고,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 즉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조작체를 슬라이드 조작시켜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자동 복귀식 슬라이드 스위치, 즉 스위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As this kind of prior art, there exist some which are shown by
이 종래 기술은, 초기 위치에서는 예를 들어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되고, 조작체를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면, 가동 접점이 소정의 고정 접점의 조합에 접촉하여 스위치가 온으로 작동된다. 조작체에 부여된 조작력을 제거하면,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접점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어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된다. 이러한 스위치 장치는, 휴대 전화의 키 잠금 등에 활용되고 있다. In this prior art, when the switch is operated at an initial position, for example, and the operating body is slid in one direction against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the movable contact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a predetermined combination of fixed contacts, and the switch is turned on. It works. 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operating body is removed, the movable contact is returned to the initial posi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switch is operated to be off. Such a switch device is utilized for key lock of a cellular phone.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9-326217호[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326217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가동 접점의 자체 보유하는 탄성력에 의해 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 사이의 바람직한 접점압을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나타나는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키려고 하는 경우에는, 가동 접점을 작게 형성시켜야 하지만, 이와 같이 가동 접점을 작게 하면 자기의 보유하는 탄성력이 작아져 상기 서술하는 바람직한 접점압의 확보가 곤란해진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원하는 접점압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교적 큰 가동 접점을 형성해야 하고, 이것에 수반하여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키는 것이 어려웠다. In the above-described prior art, the preferred contact pressure between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is ensur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movable contact itself. In the switch device shown in the related art, when attempting to realize a miniaturization of the device, the movable contact must be made small. However, when the movable contact is made small, the elastic force retained by the magnet becomes small, so that the above-mentioned preferred contact pressure It becomes difficult to secure. That is, in the prior art, a relatively large movable contact must be formed in order to secure a desired contact pressure, and it has been difficult to realize miniaturization of the switch device.
또한, 종래 기술에 나타나는 스위치 장치가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케이스의 수납부 내에 조작체, 가동 접점 및 탄성 부재를 수납한 조립체로 이루어지는 스위치 장치가 회로 기판 상에 탑재된 상태에서, 땜납에 의해 회로 기판의 회로와 케이스의 수납부 내에 형성되는 고정 접점이, 접속 단자를 개재하여,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 납땜할 때에 실시되는 조립체에 대한 가열에 의해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탄성을 갖는 가동 접점에 열에 의한 달라붙음을 일으켜, 그 가동 접점의 탄성력이 저하되어, 바람직한 접점압의 확보가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또, 가동 접점의 탄성력이 고정 접점을 개재하여, 케이스에 부여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서술한 조립체에 가열됨으로써, 케이스에 변형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 기술에서는, 스위치 장치를 납땜에 의해 회로 기판에 장착 되었을 때의 신뢰성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도 있다. In addition, when the switch device shown in the prior art is mounted on a circuit board, in the state where the switch device which consists of the assembly which accommodated the operation body, the movable contact, and the elastic member in the accommodating part of a case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soldering is carried out. By this, the fixed contact formed in the circuit of the circuit board and the housing portion of the case is connected via the connection terminal.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by heating to the assembly performed at the time of soldering, the elastic contact of the movable contact is caused by heat, and the elastic force of the movable contact is lowered, so that it is difficult to secure the desired contact pressure. There is. Moreover, when the elastic force of a movable contact is heated to the assembly mentioned above in the state provided to the case via the fixed contact, there exists a possibility that a deformation | transformation may be caused to a case. Thus, in the prior art,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the reliability when the switch device i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by soldering tends to be lowered.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실상으로부터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가동 접점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가동 접점과 이 가동 접점이 접촉하는 고정 접점 사이의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This invention is made | formed from the actual state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The objective is that even if a movable contact does not have elastic force, the contact pressure between a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which this movable contact contacts can be ensured. It is to provide a switch device.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고정 접점이 형성된 수납부를 갖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 이간 가능한 가동 접점과,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조작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동 접점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와,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 내에 배치되고, 조작된 상기 조작체에 이 조작체를 복귀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조작체를 조작시켜,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스위치 장치로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상기 조작체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수반하여 슬라이딩하는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변환된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상기 고정 접점측에 눌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switch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se body having a housing portion with a fixed contact formed thereon, a movable contact slidably disposed in the housing portion of the case body, and a contact contact spaced apart from the fixed contact; An operating body arranged to be operable in the housing part of the case body and sliding the movable contact; and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to return the operating body to the operated body disposed in the housing part of the case body; A switch device having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 resistance to the elastic member of the elastic member to operate the operating member to contact the movable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wherei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in the operation direction of the operating member. An image having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the one sliding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body The movable contact is pressed against the fixed contact side by a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converted elastic member via the conversion means.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작체가 초기 위치에 유지되고, 예를 들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이 떨어져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조작체를 조작시키면, 변환 수단에 의해 조작체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따라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측으로 눌러지고, 이 상태에서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스위치가 온으로 작동된다. 또한, 조작체를 초기 위치 방향으로 돌리면,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으로부터 떨어져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된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ng body is held at an initial position, and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are separated, and the switch is operated off, for example, the operating body is operated by resis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By this, the movable contact is pressed toward the fixed contact side in accordance with a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onverted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body, and in this state, the movable contact contacts the fixed contact, and the switch is operated on. . Further, when the operating body is turned in the initial position direction, the movable contact is separated from the fixed contact, and the switch is operated to be off.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조작체의 조작에 의해 가동 접점을 슬라이딩시켜, 이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킬 수 있지만, 가동 접점이 슬라이딩되는 동안에, 이 가동 접점은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고정 접점측에 압압되면서 슬라이딩한다. 또, 조작체의 조작에 의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상응하여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강하게 압하되어 접촉한다. 따라서, 가동 접점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원하는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contact can be slid by operating the operating body, and the movable contact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However, while the movable contact is slid, the movable contact is interposed between the elastic members and the elastic member. It slides while being pressed by the fixed contact side by the force based on an elastic force. Moreover,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strength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body, and the movable contact is strongly pressed against the fixed contact to correspond to this. Therefore, even if the movable contact does not have an elastic force, the desired contact pressure can be secured by a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또,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이 슬라이딩 조작되는 동안, 이 가동 접점은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고정 접점측에 눌러지면서 슬라이딩하므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면의 클리닝을 실현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contact slides while being pushed to the fixed contact side by a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ile the movable contact is slidi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is moved. Cleaning can be realized.
또한, 본 발명은, 조작체를 조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되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약해지고,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고, 또, 가동 접점을 개재하여, 케이스체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고, 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회로 기판에 대한 납땜시에, 열에 의한 가동 접점이 달라붙거나, 케이스체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Moreover, in this state, in the state which does not operate an operating body, the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onverted by a conversion means becomes weak, and the force applied to a movable contact becomes weak by this, and interposes a movable contact. As a result, the force applied to the case body is weakened, and at the time of soldering to the circuit board of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vable contact due to heat sticks or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of the case body can be suppressed.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체가 상기 가동 접점을 유지하고,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수납부내를 슬라이딩 가능한 유지 부재와, 상기 케이스체로부터 노출하는 조작부를 갖고, 상기 유지 부재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변환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작체가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이 유지 부재는 별체의 구동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작체의 조작시에, 이 조작체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에 휨 등의 원하지 않는 힘이 부여되어도, 그러한 원하지 않는 힘이 유지 부재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In the switch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body maintains the movable contact, the holding member is capable of sliding the inside of the housing of the case body against resistanc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an operation unit exposed from the case body. It has a drive member which slides the said holding member, The said conversion means is comprised by the said holding member and the said drive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holding member for holding the movable contact with the operating body, and the holding member includes a separate drive member, and thus, when the operating body is operated, it is bent to the driving member included in the operating body. Even if an unwanted force such as back is applied, such unwanted force is not transmitted directly to the holding member.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서로 대향하는 맞닿음부를 개재하여, 맞닿게 하고, 상기 구동 부재의 맞닿음부가, 상기 조작체의 조작시에, 상기 유지 부재의 맞닿음부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이루고, 상기 유지 부재의 맞닿음부가, 상기 조작체의 조작시에,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압부를 이루고, 상기 구동 부재의 압압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피압압부에 의해 상기 변환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구동 부재의 압압부로부터 유지 부재의 피압압부로 전달할 수 있고, 이것에 의해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누를 수 있어, 원하는 접점압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Moreover, this invention WHEREIN: The said switch apparatus WHEREIN: The said holding member and the said drive member are made to contact abutting part which mutually opposes, and the abutting part of the said drive member is the said holding | maintenance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said operation body. A pressing portion for pressing the abutting portion of the member, the abutting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forms a pressurized portion pressed by the pressing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at the time of operation of the operating body, and a pressing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And the pressurized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is configured to constitute the conversion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transmitted from the pressing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to the pressing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whereby the movable contact held by the holding member can be pressed against the fixed contact, The desired contact pressure can be secured.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 중 적어도 일방을, 상기 조작체의 조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고정 접점측에 서서히 압하되도록 하는 변환면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조작체의 조작시에,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구동 부재의 압압부, 및 유지 부재의 피압압부 중 적어도 일방을 이루는 변환면을 개재하여, 유지 부재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변환면을 개재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따른 힘을, 서서히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누르는 힘으로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said switch apparatus, in this switch apparatus, at least one of the said press part of the said drive member and the said to-be-pressed part of the said holding member is carried out so that the said movable contact may be gradually reduced to the said fixed contact side with operation of the said operation body. It is characterized by making a conversion surfa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transmitted to the holding member through a conversion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pressing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and the pressing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when the operating body is operated. have. That is, the force according to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smoothly transmitted as the force for gradually pushing the movable contact to the fixed contact via the conversion surface.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변환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고, 이 경사면을, 상기 맞닿음부를 이루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의 각각에 형성하고, 이들 경사면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변환 수단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구동 부재의 압압부와 유지 부재의 피압압부의 쌍방이 경사면에 형성되므로, 조작체의 조작시에, 구동 부재와 유지 부재를 경사면끼리의 면접촉에 의해 맞닿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이들 경사면의 절삭을 억제하여 이러한 절삭에 의한 절삭분(切削粉) 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다. Moreover, in the said switch apparatus, the said conversion surface consists of inclined surfaces, The inclined surface is formed in each of the said press part of the said drive member and the said to-be-pressed part of the said holding member which comprise the said contact part, These The said converting means is comprised by making inclined surfaces contact each oth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both the pressing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and the pressed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are formed on the inclined surface, the driving member and the holding member can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by the surface contact between the inclined surfaces during operation of the operating body. Therefore, cutting of these inclined surfaces can be suppressed and generation | occurrence | production of the cutting powder by such a cutting can be reduc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상기 고정 접점이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 상기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덮개부재에 상기 고정 접점측으로 돌출하고, 상기 조작체의 조작시에 이 조작체가 맞닿는 돌부를 형성하고, 상기 조작 체와 상기 돌부가 상기 변환 수단을 구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변환 수단이 조작체와 덮개부재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변환 수단과 관련되는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덮개부재의 돌부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을 압하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witch device, wherein the case body is formed of a case having the holding portion formed with the fixed contact, the housing portion having an opening, and a cover member covering the opening of the case, It protrudes toward the said fixed contact side, and forms the protrusion which this operation body contacts at the time of the operation of the said operation body, The said operation body and the said protrusion part comprise the said conversion means,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converting means can be constituted by the operating body and the cover membe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ssociated with the converting means can be suppressed. In addition,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protrusion of the lid member, the position at which the movable contact pushes down the fixed contact can be freely selec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상기 고정 접점이 형성되고, 개구부를 갖는 상기 수납부를 구비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덮개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케이스체의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했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가 상기 변환면을 개재하여, 들뜨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상기 유지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규제부에 의해 변환면을 개재한 구동 부재와 유지 부재의 들뜸이 규제되므로, 케이스의 수납부에 유지 부재 및 탄성 부재와, 구동 부재를 조합할 때에, 구동 부재와 유지 부재가 케이스의 수납부로부터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의 수납부에 대한 유지 부재 및 탄성 부재와 구동 부재의 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witch device, wherein the case body is formed of a case having the receiving portion having the fixed contact and having an opening portion, and a cover member covering the opening portion of the case. When the holding member, the elastic member, and the driving member ar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art from the opening of the case, the holding member and the driving member are lif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via the conversion surface. The regulating part which regulates this is provided in the said holding member and the said drive member,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Since the lift-up of the drive member and the holding member via the conversion surface is regulated by the restricting por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driving member and the holding member are combined when the holding member, the elastic member, and the driving member are combined with the housing portion of the case. The member can be prevented from protruding from the housing of the case. Therefore, the holding member and the elastic member and the drive member for the housing portion of the case can be easily combined.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규제부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 또는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에 형성된 걸어맞춤부와, 상기 유지 부재의 상기 피압압부 또는 상기 구동 부재의 상기 압압부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유지 부재 및 상기 탄성 부재와, 상기 구동 부재를 상기 수납부 내에 수납했을 때에, 상기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피걸어맞춤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어맞춤부와 상기 피걸어맞춤부를, 상기 덮개부재가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서로 이간되도록 이룬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규제부를, 구동 부재와 유지 부재에 의해 구성할 수 있으므로, 이 규제부를 형성하기 위한 특별한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덮개부재를 케이스에 장착했을 때에는, 즉 조작체의 비조작 위치 및 조작 위치에 있어서는, 구동 부재 또는 유지 부재의 걸어맞춤부와, 유지 부재 또는 구동 부재의 피걸어맞춤부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므로, 이 스위치 장치의 조립 후의 조작체의 조작을 문제없이 실시할 수 있다. In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tricting portion includes an engaging portion formed in the pressing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or the pressed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and the pressing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or the pressing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An engaging portion that is formed in the housing and is engaged with the engaging portion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en the holding member, the elastic member, and the driving member are accommodated in the housing portion from the opening of the case. The engaging portion and the engaged portion ar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n the lid member is attached to the ca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stricting portion can be configured by the driving member and the holding member, no special separate member for forming the restricting portion is required. In addition, when the lid member is attached to the case, that is, at the non-operational position and the operation position of the operating body, the engaging portion of the driving member or the holding member and the engaged portion of the holding member or the driving member are located apart from each other.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body after assembling this switch device can be performed without a problem.
또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이, 강성을 갖는 도전성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접점부를 구비하고, 이 접점부가 상기 고정 접점과 접촉 이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의 접점부가 강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이 가동 접점의 접점부를 고정 접점에 확실히 압하할 수 있어,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사이에 양호한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Moreover, the said switch apparatus WHEREIN: The said movable contact is provided with the contact part which consists of a conductive metal material which has rigidity, This contact part is characterized by the contact space | interval of the said fixed contact point, It is characterized by the above-mentioned. Since the contact part of a movable contact has rigidity in this structure comprised by this, the contact part of this movable contact can be reliably pressed down to a fixed contact by the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onverted by the conversion means, and it is movable Good contact pressure can be ensured between th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가 도전성을 갖고, 상기 조작체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접점이 적어도 제 1 고정 접점과 제 2 고정 접점을 구비하고, 상기 코일 스프링을, 상기 가동 접점과 상기 제 1 고정 접점을 도통시키도록 배치하고,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제 2 고정 접점에 접촉 이간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을 스위치 조작에 있어서의 도전 경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선의 회선을 간략화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witch device, wherein the elastic member is conductive and comprises a coil spring for returning the operating body to the initial position, the fixed contact is provided with at least a first fixed contact and a second fixed contact The coil spring is arranged to allow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rst fixed contact to conduct, and the movable contact is formed to be in contact with the second fixed contact.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utilize the coil spring as a conductive path in switch operation. This can simplify the wiring lin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접점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고정 접점을 상기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맞닿는 면을 노출시켜 상기 수납부의 측면에 매설하고, 상기 제 2 고정 접점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2 고정 접점은, 상기 가동 접점의 상기 접촉부가 접촉하는 면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상기 수납부의 내저면에 매설하고,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타단을 수용하는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코일 스프링의 권회부에 삽입되는 돌부를 구비하고, 이 돌부 및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가동 접점의 상기 접점부는 동일한 금속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 접점을, 상기 스프링 수용부와 상기 돌부와 상기 접점부를 노출시켜 상기 유지 부재에 매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케이스체의 수납부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의 노출면에 지지되고, 코일 스프링의 타단이 가동 접점의 스프링 수용부에 지지됨과 함께, 코일 스프링의 권회부가 가동 접점의 돌부에 유지되므로, 조작체가 조작되는 동안, 이 코일 스프링을 케이스체의 수납부 내에 압축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확실히 도전 경로로서 활용시킬 수 있다. In the switch device, the first fixed contact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plate, and the first fixed contact is embedd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accommodating portion by exposing a surface where one end of the coil spring abuts, The second fixed contact is made of a conductive metal plate, and the second fixed contact is embedded in an inner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portion in a state where the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of the movable contact is exposed, and the movable contact is A spring accommodating portion accommodating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and a protrusion inserted into the winding portion of the coil spring, the protrusion and the spring accommodating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made of the same metal body, and the movable contact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the protrusion and the contact portion are exposed and embedded in the holding memb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one end of the coil spring is supported on the exposed surface of the first fixed contact form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of the case body, and the other end of the coil spring is supported on the spring receiving portion of the movable contact. Since the winding part of is held in the protrusion of the movable contact, this coil spring can be stably held in the compressed part of the housing part of the case body while the operating body is operated. That is, the coil spring can be kept stable and can be utilized as a conductive path.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에, 이 조작체를 복귀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함과 함께, 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을 조작체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조작체의 조작에 수반하여 슬라이딩하는 상기 가동 접점이,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변환된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고정 접점측에 눌러지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조작체의 조작에 의해 탄성 부재의 탄성력이 강해지고, 이것에 상응하여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눌러진 상태에서 접촉한다. 즉, 가동 접점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원하는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가동 접점을 접점압을 확보하기 위한 탄성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작은 형상 치수로 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수반하여 종래 곤란했던 이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elastic member for imparting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operating body is returned to the operating body that slides the movable contact, and converts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nto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operating direction of the operating body. The movable contact which is provided with the conversion means to slide along with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body is pressed against the fixed contact side by a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converted elastic member via the conversion means. By this structure,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strengthened by the operation of the operating body, and the movable contact is in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in accordance with this. That is, even if the movable contact does not have elastic force, the desired contact pressure can be ensured. Therefore, the movable contact can be made small in size without requiring the elastic force for securing the contact pressure, thereby miniaturizing the switch device, which has been difficult in the past.
또, 본 발명은, 가동 접점이 슬라이딩 조작되는 동안, 이 가동 접점은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고정 접점측에 눌러지면서 슬라이딩하므로, 가동 접점과 고정 접점의 접촉면의 클리닝을 실현할 수 있고, 우수한 스위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ovable contact slides while being pushed to the fixed contact side by a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while the movable contact is sliding, the contact surface of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is moved. Cleaning can be realized, and excellent switch function can be ensured.
또한, 본 발명은, 조작체를 조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되는 탄성 부재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약해지고,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며, 또, 가동 접점을 개재하여, 케이스체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이 스위치 장치의 회로 기판에 대한 납땜시에, 열에 의한 가동 접점이 달라붙거나, 케이스체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이 스위치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Moreover, in this state, in the state which does not operate an operating body, the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converted by the conversion means becomes weak, and the force applied to the movable contact becomes weak, and also the movable contact Intervening, the force applied to the case body becomes weak, and at the time of soldering to the circuit board of this switch device, the movable contact by heat adheres or the occurrence of deformation of the case body can be suppressed, and the reliability of this switch device is achieved. Can increase.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EMBODIMENT OF THE INVENTION Hereinafter, the best form for implementing the switch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demonstrated based on drawing.
[제 1 실시형태의 구성] [Configuration of First Embodiment]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체가 초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도,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도 5 는 조작체가 스위치 작동 위치까지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은 도 5 의 B-B 단면도,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body in the first embodiment is held at an initial position, FIG. 3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2, and FIG. 4 is a plan view with the lid member remov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body is operated to a switch operating position, Fig. 6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5, and Fig. 7 is a plan view with the lid member remov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5.
도 1, 3, 4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는, 예를 들어 셀프 리턴형 슬라이드 스위치로서, 복수의 고정 접점, 예를 들어 제 1 고정 접점 (2a) 과 제 2 고정 접점 (2b) 이 형성된 수납부 (1a) 를 갖고,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1) 와 이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부 (1a1) 를 덮는 덮개부재 (9) 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서술한 2 개의 고정 접점 (2a, 2b) 중 제 2 고정 접점 (2b) 에 접촉 이간 가능한 가동 접점 (5)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에 수납되고, 가동 접점 (5) 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 (6) 와, 이 조작체 (6)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 예를 들어 가동 접점 (5) 과 제 1 고정 접 점 (2a) 을 도통시키는 도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 (4) 을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to FIG. 1, 3, 4, etc., 1st Embodiment of the switch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 self-return type slide switch, for example, A some fixed contact, for example, 1st fixed
이 제 1 실시형태는,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을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하여 슬라이딩하는 가동 접점 (5) 이,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변환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제 2 고정 접점 (2b) 에 눌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This 1st Embodiment is equipped with the conversion means which converts the elastic force of the
상기 서술한 조작체 (6) 는, 가동 접점 (5) 을 유지하고,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유지 부재 (7) 와, 케이스체로부터 노출하는 조작부, 예를 들어 케이스 (1) 로부터 돌출하는 조작 돌기 (8b) 를 갖고, 유지 부재 (7) 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부재 (8) 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부재 (7) 와 구동 부재 (8) 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맞닿음부 (7a, 8a) 를 개재하여, 맞닿아 있다. 구동 부재 (8) 의 맞닿음부 (8a) 는,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유지 부재 (7) 의 맞닿음부 (7a) 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이루고, 유지 부재 (7) 의 맞닿음부 (7a) 는,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구동 부재 (8) 의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압부를 이루고 있다. 이들 구동 부재 (8) 의 맞닿음부 (8a) 로 이루어지는 압압부와, 유지 부재 (7) 의 맞닿음부 (7a) 로 이루어지는 피압압부에 의해,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을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 으로 변환하는 상기 서술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The operating
또,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8) 의 압압부와 유지 부재 (7) 의 피압압부 중 적어도 일방, 예를 들어 쌍방을,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하여 가동 접점 (5) 이 제 2 고정 접점 (2b) 측에 서서히 압하되도록 하는 변환면으로 되어 있다. 이 변환면은, 예를 들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맞닿음부 (8a) 를 이루는 구동 부재 (8) 의 압압부에 경사면 (8c) 을 형성하고, 맞닿음부 (7a) 를 이루는 유지 부재 (7) 의 피압압부에 경사면 (7b) 을 형성하고, 이들 경사면 (8c, 7b) 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서술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과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의 각각은 제 2 고정 접점 (2b) 이 배치된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를 형성하는 면부에 가까워짐에 따라, 예를 들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부 (1a) 의 내저면 (1g) 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4) 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Moreover, at least one, for example, both of the press part of the
상기 서술한 케이스 (1)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측벽에 절결부 (1b) 를 갖고, 이 절결부 (1b) 에 구동 부재 (8) 의 조작 돌기 (8b) 가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케이스 (1) 에는, 도 4,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부재 (8) 의 걸어맞춤부 (8d) 가 걸리는 걸림부 (1c) 외에, 외벽에 복수의 걸어맞춤 돌기 (1d)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스 (1) 에는, 제 1 고정 접점 (2a), 제 2 고정 접점 (2b) 의 각각 해당하는 것에 도통하는 접속 단자 (3a, 3b) 도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케이스 (1) 에는, 도 1,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 (6) 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 (8) 에 형성된 제 1 피가이드부 (8e) 를 안내하는 상기 서술하는 걸림부 (1c) 외에, 구동 부재 (8) 에 형성된 제 2 피가이드부 (8f1) 를 안내하는 내벽 (1f1) 과, 구동 부재 (8) 에 형성된 제 3 피가이드부 (8f2) 를 안내하는 내벽 (1f2) 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1) 의 걸림부 (1c) 및 내벽 (1f1, 1f2) 은,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부재 (8) 에 형성되고 슬라이드 이동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홈 (8g) 은 덮개부재 (9) 에 형성된 벽 (안내부) 에 안내되도록 되어 있다. 또, 구동 부재 (8) 에 맞닿는 유지 부재 (7) 의 제 1 피가이드부 (7c1) 는, 케이스 (1) 의 가이드벽 (1e) 에 의해 안내되고, 유지 부재 (7) 의 제 2 피가이드부 (7c2) 는, 케이스 (1) 의 내벽 (1f2) 에 의해 안내되게 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제 1 고정 접점 (2a) 은,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1 고정 접점 (2a) 은 코일 스프링 (4) 의 일단 (4a) 이 맞닿는 면 (2a1) 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측면에 매설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점 (2b) 도,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2 고정 접점 (2b) 은,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가 접촉하는 면 (2b1) 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케이스 (1) 의 내저면 (1g) 에 매설되어 있다. 이들 제 1 고정 접점 (2a) 및 제 2 고정 접점 (2b) 은, 케이스 (1)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The 1st fixed
가동 접점 (5) 은, 강성을 갖고, 반원구면 형상의 곡면 형상을 한 접점부 (5a) 를 갖고 있다.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의 반대측 부분은 도 3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7) 의 받이부 (7c)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한, 이 가동 접점 (5)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4) 의 타단 (4b) 을 지지하는 스프링 수용부 (5b) 와, 코일 스프링 (4) 의 권회부 (4c) 에 삽입되는 돌부 (5c) 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수용부 (5b) 는 예를 들어, 돌부 (5c) 의 양측에 배치된 1 쌍의 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수용부 (5b), 돌부 (5c) 및 상기 서술하는 접점부 (5a) 는, 동일한 금속체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가동 접점 (5) 의 전체는, 도전성 금속체, 예를 들어 제 1, 제 2 고정 접점 (2a, 2b) 을 구성하는 금속판보다도 판두께가 두꺼운 1 장의 도전성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가동 접점 (5) 은 스프링 수용부 (5b) 와 돌부 (5c) 와 접점부 (5a) 를 노출시키도록 유지 부재 (7)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The
금속 선재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 (4) 은, 도 3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 (4a) 이 제 1 고정 접점 (2a) 의 면 (2a1) 에 상시 탄성 접촉되고, 타단 (4b) 이 가동 접점 (5) 의 스프링 수용부 (5b) 에 지지되고, 권회부 (4c) 가 가동 접점 (5) 의 돌부 (5c) 에 유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As also shown in FIG. 3, the
또한,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상기 서술하는 덮개부재 (9) 에는, 케이스 (1) 의 걸어맞춤 돌기 (1d) 의 각각에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구멍 (9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서술한 유지 부재 (7) 및 이 유지 부재 (7) 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는, 케이스 (1) 의 내저면 (1g)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에 배치되어 있다. Moreover, the engaging
[제 1 실시형태의 동작][Operation of First Embodiment]
도 2 ∼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체 (6) 가 초기 위치에, 즉 비조작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4) 의 일단 (4a) 이 제 1 고정 접점 (2a) 의 면 (2a1) 에 탄성 접촉되고, 코일 스프링 (4) 의 권회부 (4c) 가 가동 접점 (5) 의 돌부 (5c) 에 유지되고, 코일 스프링 (4) 의 타단 (4b) 이 가동 접점 (5) 의 스프링 수용부 (5b) 에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5) 이 코일 스프링 (4) 을 개재하여, 제 1 고정 접점 (2a) 에 도통하고 있으나, 유지 부재 (7) 에 대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의 부여에 의해, 이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는,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으로부터 떨어진 상태에서 유지되고, 제 2 고정 접점 (2b) 과 제 1 고정 접점 (2a) 사이가 차단되어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되어 있다. 이 때,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은, 조작체 (6) 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에 접합되고, 구동 부재 (8) 는, 예를 들어 가동 접점 (5) 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면부를 형성하는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일방의 내측면 (1h) 에 맞닿는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코일 스프링 (4) 은 원래 길이에 가까운 길이로 약간 압축되어 있고, 이 코일 스프링 (4) 에 의한 구동 부재 (8) 에 대한 탄성력을 작게 할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 부재 (7) 및 구동 부재 (8) 를 포함하는 조작체 (6) 가,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상기 서술한 내측면 (1h) 에 눌러지는 힘 및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유지 부재 (7) 및 가동 접점 (5) 이,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 (1g) 에 눌러지는 힘을 매우 작게 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2-4, in the state in which the
이러한 상태로부터 구동 부재 (8) 의 조작 돌기 (8b) 를 도 2 의 화살표 (10)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동시키면, 구동 부재 (8) 의 홈 (8g) 이 덮개부재 (9) 에 형성된 벽에 안내됨과 함께, 구동 부재 (8) 의 제 1 피가이드부 (8e), 제 2 피가이드부 (8f1), 제 3 피가이드부 (8f2) 의 각각이, 케이스 (1) 의 걸림부 (1c), 내벽 (1f1, 1f2) 의 해당하는 것에 의해 안내되어 구동 부재 (8) 이 슬라이딩되지만, 이 때에 구동 부재 (8) 에 가해져 있는 조작력이, 이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과, 이 경사면 (8c) 에 맞닿아 있는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을 개재하여, 유지 부재 (7) 의 슬라이딩력으로서 전달되고, 유지 부재 (7) 가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저항되고, 또, 그 제 1 피가이드부 (7c1), 제 2 피가이드부 (7c2) 가 케이스 (1) 의 가이드벽 (1e), 내벽 (1f2) 의 해당하는 것에 안내됨으로써 동 도 2 의 화살표 (10)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또, 이 유지 부재 (7) 와 일체적으로 가동 접점 (5) 이 동 도 2 의 화살표 (10) 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도 5 ∼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5) 이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 (1g) 에 형성된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에 접촉됨으로써 스위치가 온으로 작동된다. When the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는, 조작체 (6) 를 형성하는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과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을 개재하여, 가동 접점 (5) 을 슬라이딩시켜, 이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를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에 접촉시킬 수 있지만,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으로부터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에 조작력이 전달될 때에, 그 만큼의 힘 즉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유지 부재 (7) 가 조작체 (6) 의 조작 방향과는 상이한 직교 방향이 되는 제 2 고정 접점 (2b) 측에, 즉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 (1g) 방향으로 압압되면서 슬라이딩된다. 또, 유지 부재 (7) 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즉 조작체 (6) 의 조작에 의해,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을 강하게 할 수 있어, 이것에 상응하여 조작력이 강해진다. 즉, 유지 부재 (7) 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상기 서술하는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강하게 됨으로써, 유지 부재 (7) 에 유지된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가,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과의 접촉시, 이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에 강하게 압하되어, 이것에 의해 원하는 접점압을 얻을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1st Embodiment provides the
이와 같이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가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에 접촉하면, 이 제 2 고정 접점 (2b) 과 제 1 고정 접점 (2a) 이 도전성을 갖는 압축된 코일 스프링 (4) 및 가동 접점 (5) 을 개재하여, 도통되고,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스위치가 온으로 작동된다. Thus, when the
또한, 구동 부재 (8) 에 가해진 조작력을 제거하면, 압축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접점 (5)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7) 및 구동 부재 (8) 이 초기 위치로 복귀되고,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가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으로부터 떨어지고, 다시 제 2 고정 접점 (2b) 과 제 1 고정 접점 (2a) 사이가 차단되어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된다. Further, when the operating force applied to the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Effect of 1st Embodiment]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에 의해 가동 접점 (5) 을 슬라이딩시켜, 이 가동 접점 (5) 을 제 2 고정 접점 (2b) 에 접촉시킬 수 있지만, 가동 접점 (5) 이 슬라이딩되는 동안에, 이 가동 접점 (5) 은,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과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에 의해 형성되는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제 2 고정 접점 (2b) 이 형성되는 케이스 (1) 의 내저면 (1g) 방향으로 압압되면서 슬라이딩된다. 또, 조작체 (6) 의 조작에 의해 압축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을 강하게 할 수 있고, 이것에 상응하여 가동 접점 (5) 이 제 2 고정 접점 (2b) 에 강하게 압하되어 접촉한다. 따라서, 가동 접점 (5) 이 탄성력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원하는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5) 을 접점압을 확보하기 위한 탄성력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작은 형상 치수로 할 수 있게 되어, 이 스위치 장치의 소형화를 실현시킬 수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first embodiment, as described above, the
또, 가동 접점 (5) 이 슬라이딩 조작되는 동안, 이 가동 접점 (5) 은 경사면 (7b, 8c) 으로 이루어지는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상응하는 힘에 의해 제 2 고정 접점 (2b) 측에 눌러지면서 슬라이딩하므로, 가동 접점 (5) 과 제 2 고정 접점 (2b) 의 접촉면의 클리닝을 실현할 수 있어, 우수한 스위치 기능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while the
또한, 조작체 (6) 를 슬라이드 조작시키지 않는 상태에서는, 경사면 (7b, 8c) 으로 이루어지는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되는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약해지고,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5) 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지고, 또 한, 가동 접점 (5) 을 개재하여,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케이스 (1) 에 가해지는 힘이 약해져, 이 스위치 장치의 회로 기판에 대한 납땜시에, 열에 의한 가동 접점 (5) 이 달라붙거나, 케이스 (1) 의 변형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어 이 스위치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를 회로 기판에 납땜하는 경우, 리플로우 땜납에 의해 납땜하도록 해도 되고, 또, 회로 기판에 형성된 구멍에, 이 제 1 실시형태의 단자 (3a, 3b) 를 삽입시켜, 딥 땜납에 의해 납땜하도록 해도 된다. 어느 경우에도, 상기 서술한 가동 접점 (5) 이 달라붙음 등을 억제할 수 있다. Moreover, in the state which does not slide-operate the
또, 이 제 1 실시형태는, 조작체 (6) 가, 가동 접점 (5)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7) 와, 이 유지 부재 (7) 와는 별체의 구동 부재 (8) 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이 조작체 (6) 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 (8) 에 휨 등의 원하지 않는 힘이 부여되어도, 그러한 원하지 않는 힘이 유지 부재 (7) 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하지 않는 힘에 대해 유지 부재 (7) 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 (5) 과, 이 가동 접점 (5) 이 접촉 이간되는 제 2 고정 접점 (2b) 을 보호할 수 있다. Moreover, this 1st Embodiment has the point that the operating
또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구동 부재 (8) 의 맞닿음부 (8a) 를 형성하는 압압부로부터 유지 부재 (7) 의 맞닿음부 (7a) 를 형성하는 피압압부로 전달되고, 이것에 의해 유지 부재 (7) 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 (5) 을 제 2 고정 접점 (2b) 에 눌러질 수 있고, 원하는 접점압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어 우수한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Further, a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또,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이 구동 부재 (8) 의 압압부, 및 유지 부재 (7) 의 피압압부의 쌍방에 형성되는 경사면 (8c, 7b) 으로 이루어지는 변환면을 개재하여, 유지 부재 (7) 로 전달할 수 있다. 즉, 변환면을 개재하여, 압축되는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따른 힘을, 서서히 가동 접점 (5) 을 제 2 고정 접점 (2b) 에 누르는 힘으로서 원활하게 전달할 수 있어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Moreover, the force based on the elastic force of the
또한, 조작체 (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구동 부재 (8) 와 유지 부재 (7) 를 경사면 (8c, 7b) 끼리의 면접촉에 의해 맞닿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이들 경사면 (8c, 7b) 의 절삭을 억제하여, 절삭분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고, 이러한 절삭분에 의한 가동 접점 (5) 과 제 2 고정 접점 (2b) 의 접촉 불량을 잘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다. In addition, at the time of slide operation of the operating
또,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가 강성을 갖는다는 점에서, 경사면 (8c, 7b) 으로 이루어지는 변환 수단에 의해 변환된 코일 스프링 (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이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를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에 확실히 압하할 수 있고, 가동 접점 (5) 의 접점부 (5a) 와 제 2 고정 접점 (2b) 의 면 (2b1) 사이에 양호한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도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Moreover, since the
또, 도전성을 갖고, 조작체 (6)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코일 스프링 (4) 과, 제 1 고정 접점 (2a) 및 제 2 고정 접점 (2b) 을 구비하고, 코일 스프링 (4) 을, 가동 접점 (5) 과 제 1 고정 접점 (2a) 을 도통시키도록 배치한 점에서, 코일 스프링 (4) 을 스위치 조작에 있어서의 도전 경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배선의 회선을 간략화시킬 수 있고, 이 제 1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이 스위치 장치의 조립이 용이해진다.Moreover, it has electroconductivity and is provided with the
또한, 코일 스프링 (4) 의 일단 (4a) 이 케이스체를 형성하는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측면에 형성된 제 1 고정 접점 (2a) 의 노출면 (2a1) 에 지지되고, 코일 스프링 (4) 의 타단 (4b) 이 가동 접점 (5) 의 스프링 수용부 (5b) 에 지지됨과 함께, 코일 스프링 (4) 의 권회부 (4c) 가 가동 접점 (5) 의 돌부 (5c) 에 유지되므로, 조작체 (6) 가 슬라이드 조작되는 동안, 이 코일 스프링 (4) 을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내에 압축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코일 스프링 (4) 을 압축한 상태에서 안정적인 도전 경로로서 활용시킬 수 있어 이것에 의해서도 높은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Moreover, one
[제 2 실시형태의 구성] [Configuration of Second Embodiment]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 도 11 은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구동 부재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지 부재 및 가동 접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13 의 (a) 는 측면도, 도 13 의 (b) 는 이면도이다.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의 측단면도, 도 15 는 제 2 실시형태의 케이스 내의 유지 부재, 코일 스프링, 및 구동 부재의 조립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또한, 이 해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도 10 에 있어서는, 케이스에 매설되는 고정 접점도 분해하여 나타내고 있다. FIG.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with a lid member removed from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8, FIG.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case provided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riving member provided in the second embodiment as seen from the back side, and FIG. 13 is a view showing the holding member and the movable contact provided in the second embodiment. FIG. 13A is a side view and FIG. 13B is a back view. FIG. 1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and FIG. 1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n the holding member, the coil spring, and the drive member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are assembled. In addition, in order to make it easy to understand, in FIG. 10, the fixed contact embedded in the case is also disassembled and shown.
도 8, 9, 10, 11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도 예를 들어 셀프 리턴형 슬라이드 스위치로서, 기본 구성은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즉, 복수의 고정 접점, 예를 들어 제 1 고정 접점 (12a) 과 제 2 고정 접점 (12b) 이 형성된 수납부 (11a) 를 갖고, 합성 수지재로 이루어지는 케이스 (11) 와, 이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의 상방에 형성된 개구부 (11a1) 를 덮는 덮개부재 (19) 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체와, 이 케이스체의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서술한 2 개의 고정 접점 (12a, 12b) 중 제 2 고정 접점 (12b) 에 접촉 이간 가능한 가동 접점 (15)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수납되어 가동 접점 (15) 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 (16) 와, 이 조작체 (16) 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 부재, 예를 들어 가동 접점 (15) 과 제 1 고정 접점 (12a) 을 도통시키는 도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 (14) 을 구비하고 있다. As shown to FIG. 8, 9, 10, 11 etc., 2nd Embodiment of the switch apparatus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is also a self-return type slide switch, for example, and a basic structure is equivalent to 1st Embodiment mentioned above. That is, the
또,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을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고,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하여 슬라이딩하는 가동 접점 (15) 이, 변환 수단을 개재하여, 변환된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제 2 고정 접점 (12b) 에 눌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Moreover, the
상기 서술한 조작체 (16) 는, 도 10, 12, 13 에도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 (15) 을 유지하고,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를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한 유지 부재 (17) 와, 케이스체로부터 노출하는 조작부, 예를 들어 케이스 (11) 로부터 돌출하는 조작 돌기 (18b) 를 갖고, 유지 부재 (17) 를 슬라이딩시키는 구동 부재 (18) 를 구비하고 있다. 유지 부재 (17) 와 구동 부재 (18) 는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맞닿음부 (17a, 18a) 를 개재하여, 맞닿아 있다. 구동 부재 (18) 의 맞닿음부 (18a) 는,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유지 부재 (17) 의 맞닿음부 (17a) 를 압압하는 압압부를 이루고, 유지 부재 (17) 의 맞닿음부 (17a) 는,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구동 부재 (18) 의 압압부에 의해 압압되는 피압압부를 이루고 있다. 이들 구동 부재 (18) 의 압압부와 유지 부재 (17) 의 피압압부에 의해,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을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 (예를 들어 직교 방향) 으로 변환하는 상기 서술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0, 12, and 13, the
또,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18) 의 맞닿음부 (18a) 로 이루어지는 압압부와, 유지 부재 (17) 의 맞닿음부 (17a) 로 이루어지는 피압압부 중 적어도 일방, 예를 들어 쌍방을,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에 수반하여 가동 접점 (15) 이 제 2 고정 접점 (12b) 측에 서서히 압하되도록 하는 변환면으로 되어 있다. 이 변환면은, 예를 들어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 (18a) 를 이루는 구동 부재 (18) 의 압압부에 경사면 (18c) 을 형성 하여 도 13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 (17a) 를 이루는 유지 부재 (17) 의 피압압부에 경사면 (17b) 을 형성하고, 이들 경사면 (18c, 17b) 을 서로 맞닿게 함으로써 상기 서술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구동 부재 (18) 의 경사면 (18c) 과 유지 부재 (17) 의 경사면 (17b) 의 각각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접점 (12b) 이 배치된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를 형성하는 면부, 예를 들어 수납부 (11a) 의 내저면 (11g) 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14) 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Moreover, at least one, for example, both of the press part which consists of the
상기 서술한 케이스 (11) 는, 도 8, 9,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의 측벽에 절결부 (11b) 를 갖고, 이 절결부 (11b) 에 구동 부재 (18) 의 조작 돌기 (18b) 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케이스 (11) 에는 조작체 (16) 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제 1 피가이드부 (18e) 를 안내하는 가이드벽 (11e) 과,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제 2 피가이드부 (18f1) 를 안내하는 내벽 (11f1) 과,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제 3 피가이드부 (18f2) 를 안내하는 내벽 (11f2) 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 (11) 의 가이드벽 (11e) 및 내벽 (11f1, 11f2f) 은,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따르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부재 (18) 에 맞닿는 유지 부재 (17) 의 제 1 피가이드부 (17c1) 는, 케이스 (11) 의 가이드벽 (11e) 에 의해 안내되고, 유지 부재 (17) 의 제 2 피가이드부 (17c2) 는, 케이스 (11) 의 내벽 (11f2) 에 의해 안내되게 되어 있다. The
제 1 고정 접점 (12a) 은,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1 고정 접점 (12a) 을 코일 스프링 (14) 의 일단 (14a) 이 맞닿는 면 (12a1) 을 노출시켜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의 측면에 매설되어 있다. 제 2 고정 접점 (12b) 도, 예를 들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이 제 2 고정 접점 (12b) 을 가동 접점 (15) 의 접점부 (15A) 가 접촉하는 면 (12b1) 을 노출시켜 케이스 (11) 의 내저면 (11g) 에 매설되어 있다. 이들 제 1 고정 접점 (12a) 및 제 2 고정 접점 (12b) 은 케이스 (11)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The 1st fixed
가동 접점 (15) 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고정 접점 (12b) 에 접촉 이간할 수 있도록 강성을 갖고, 반구 형상 등의 곡면 형상을 한 접점부 (15A) 를 갖고 있다. 가동 접점 (15) 의 접점부 (15A) 의 반대측 부분은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유지 부재 (17) 의 받이부 (17c) 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또, 이 가동 접점 (15) 은, 도 1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14) 의 타단 (14b) 를 지지하는 스프링 수용부 (15b) 와, 코일 스프링 (14) 의 권회부 (14c) 에 삽입되는 돌부 (15c) 를 구비하고 있다. 스프링 수용부 (15b) 는 예를 들어, 돌부 (15c) 의 양측에 배치된 1 쌍의 단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스프링 수용부 (15b), 돌부 (15c) 및 상기 서술하는 접점부 (15A) 는 동일한 금속체로 이루어져 있다. 즉, 가동 접점 (15) 의 전체는, 도전성 금속체, 예를 들어 1 장의 도전성 금속판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이 가동 접점 (15) 은, 스프링 수용부 (15b) 와 돌부 (15c) 와, 예를 들어 프레스 가공에 의해 반구 형상으로 형성된 접점부 (15A) 를 노출시키도록 유지 부재 (17)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3, the
코일 스프링 (14) 은, 도 9,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 (14a) 이 제 1 고정 접점 (12a) 의 면 (12a1) 에 상시 탄성 접촉되고, 타단 (14b) 이 가동 접점 (15) 의 스프링 수용부 (15b) 에 지지되고, 권회부 (14c) 가 가동 접점 (15) 의 돌부 (15c) 에 유지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9 and 14, the
또한, 상기 서술한 유지 부재 (17) 및 이 유지 부재 (17) 에 유지시킨 가동 접점 (15) 의 접점부 (15A) 는, 케이스 (11) 의 내저면 (11g) 상을 슬라이딩 가능하게,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이상의 기본 구성에 대해서는,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하다. In addition, 15 A of contact parts of the holding
이 제 2 실시형태는,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수납했을 때에,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 부재 (17) 와 구동 부재 (18) 가 변환면을 개재하여, 즉 유지 부재 (17) 의 경사면 (17b) 및 구동 부재 (18) 의 경사면 (18c) 을 개재하여, 들뜨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유지 부재 (17) 와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holding
상기 서술하는 규제부는, 예를 들어 도 1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부재 (18) 의 맞닿음부 (18a) 로 이루어지는 압압부에 인접하게 형성된 볼록 형상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맞닿음부 (17a) 로 이루어지는 피압압부에 인접하게 형성되고, 케이스체의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수납부 (11a) 내에 수납시에,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서술하는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에 걸어맞추는 오목 형상의 피걸어맞춤부 (21) 를 구비하고 있다. 걸어맞춤부 (20) 와 피걸어맞춤부 (21) 는, 조작체 (16) 가 조작되지 않는 비조작 위치, 및 조작체 (16) 가 슬라이드 조작되는 조작 위치, 즉, 덮개부재 (19) 가 케이스 (11) 에 장착된 상태에서는, 도 14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서로 이간되도록 배치된다.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5 and the like, the restricting portion described above includes a convex engaging
또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케이스체의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수납부 (11a) 내에 수납했을 때에,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에 걸어맞추는 지점이, 도 15 의 1 점 쇄선 (23) 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 (14) 의 중심선 (22) 에서 거리 (S) 만큼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미리 설정되어 있다. 즉, 동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수납하고, 덮개부재 (19) 가 케이스 (11) 에 장착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압축된 상태에서 수납된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 부재 (17) 가 압압되어 경사면 (17b, 18c) 을 개재하여, 구동 부재 (18) 는,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도 상방으로 돌출된 케이스 (11) 의 내측면에 맞닿는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 부재 (18) 에 동 도 15 의 화살표 (24) 로 나타내는 오른쪽 회전인 모멘트를 발생하고, 이것에 의해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는 케이스 (11) 의 내저면 (11g) 을 향해 압하되는 경향이 된다.In addition, when the holding
또한, 상기 서술한 상태로부터, 케이스 (11) 에 덮개부재 (19) 를 씌우면, 이 덮개부재 (19) 에 의해 구동 부재 (18) 가 하방으로 압압되고, 이 구동 부재 (18) 의 경사면 (18c) 과 유지 부재 (17) 의 경사면 (17b)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 동작을 개재하여, 유지 부재 (17) 가 코일 스프링 (14)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가 서로 떨어지고, 도 14 에 예시하는 상태, 즉, 걸어맞춤부 (20) 와 피걸어맞춤부 (21) 가, 조작체 (16) 가 조작되지 않는 비조작 위치, 및 조작체 (16) 가 슬라이드 조작되는 조작 위치에 있어서, 서로 이간되도록 배치된 상태가 된다. Moreover, from the state mentioned above, when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제 2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을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으로, 즉 유지 부재 (17) 에 의해 유지된 가동 접점 (15) 의 접점부 (15A) 를, 제 2 고정 접점 (12b) 에 누르는 방향으로 변환하는 구동 부재 (18) 의 경사면 (18c) 과 유지 부재 (17) 의 경사면 (17b) 을 포함하는 변환 수단을 구비하는 점에서,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so has the movable contact held by the holding
또, 케이스체의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수납부 (11a) 내에 수납하고, 덮개부재 (19) 가 씌워져 있지 않는 상태에서는,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로 이루어지는 규제부에 의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동 부재 (18) 에 도 15 의 화살표 (24) 로 나타내는 오른쪽 회전인 모멘 트가 발생하고,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는 케이스 (11) 의 내저면 (11g) 을 향해 압하되는 경향이 된다. 이것에 의해, 변환면 즉 경사면 (18c, 17b) 을 개재한 구동 부재 (18) 와 유지 부재 (17) 의 들뜸이 규제되고,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에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조합시의, 구동 부재 (18) 와 유지 부재 (17) 의 케이스 (11) 로부터의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스 (11) 에 대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의 조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고, 이 제 2 실시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조립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Moreover, in the opening part 11a1 of the
또한, 이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규제부가,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에 형성된 피걸어맞춤부에 의해 구성되므로, 이 규제부를 형성하기 위한 특별한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덮개부재 (19) 를 케이스 (11) 에 조립했을 때에는, 즉 조작체 (16) 의 비조작 위치 및 조작 위치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의 피걸어맞춤부 (21) 는 서로 떨어져 위치하므로, 이 스위치 장치의 조립 후의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조작을 문제없이 실시할 수 있어 조작체 (16) 의 양호한 슬라이드 조작성을 확보할 수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second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the engaging
또한, 상기한 제 2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체를 구성하는 케이스 (11) 의 개구부 (11a1) 에서,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수납부 (11a) 내에 수납했을 때에, 코일 스프링 (14) 의 탄성력에 의해 유지 부재 (17) 와 구동 부재 (18) 가 들뜨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걸어맞춤부 (20) 와, 유지 부재 (17) 에 형성되고, 구동 부재 (18) 의 걸어맞춤부 (20) 에 걸어맞추는 오목 형상의 피걸어맞춤부 (21) 에 의해 구성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규제부를 상기 서술한 것과는 반대로, 유지 부재 (17) 에 형성된 볼록 형상의 걸어맞춤부와, 구동 부재 (18) 에 형성되고, 유지 부재 (17) 의 걸어맞춤부에 걸어맞추는 오목 형상의 피걸어맞춤부와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는 지점은, 코일 스프링의 중심선보다 상방에 미리 설정된다. 이것에 의해, 제 2 실시형태에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규제부를 구성하는 걸어맞춤부와 피걸어맞춤부의 맞닿음면이, 조작체 (16) 의 슬라이드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른 상태로 설정되거나, 경사면 (18c, 17b) 의 맞닿음면과는 역방향인 경사면이 되도록 설정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유지 부재 (17) 및 코일 스프링 (14) 과, 구동 부재 (18) 를 케이스 (11) 의 수납부 (11a) 내에 수납하고, 덮개부재 (19) 가 씌워져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구동 부재 (18) 의 피걸어맞춤부와, 유지 부재 (17) 의 걸어맞춤부는 케이스 (11) 의 내저면 (11g) 를 향하여 압하되는 경향이 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부재 (18) 와 유지 부재 (17) 의 들뜸을 규제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holding
[제 3 실시형태의 구성] [Configuration of Third Embodiment]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 3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 돌기 (25a) 를 갖는 구동 부재 (25) 와, 가동 접점 (27)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26) 에 의해 조작체가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 부재 (25) 에 형성된 경사면 (25b) 과, 이 경사면 (25b) 에 접합하고, 유지 부재 (26) 에 형성된 경사면 (26a) 에 의해,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이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구동 부재 (25) 와 유지 부재 (26) 로 이루어지는 조작체에 이 조작체를 복귀시키는 방향의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로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 (4) 과는 상이하고, 도전성을 갖는 토션 스프링 (28)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토션 스프링 (28) 의 일단 (28a) 은, 가동 접점 (27) 의 스프링 수용부 (27a) 에 지지되고, 타단 (28b) 은 도시하지 않은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일한 제 1 고정 접점에 상시 탄성 접촉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is third embodiment is configured by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제 3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토션 스프링 (28) 의 탄성력을, 가동 접점 (27) 에 대한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측에 대한 압하력으로서 전달할 수 있고,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를,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코일 스프링 (4), 혹은 제 3 실시형태에 나타낸 토션 스프링 (28) 에 대신하여 회선이 스프링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third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an also transmit the elastic force of the
[제 4 실시형태의 구성] [Configuration of Fourth Embodiment]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4 실시형태는, 케이스 (29) 를 덮는 덮개부재 (30) 가 케이스 (29) 내에 배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측에 돌출되고, 예를 들어 곡면 형상으로 형성된 돌부 (30a) 를 가짐과 함께, 가동 접점 (32) 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 (31) 가,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에 맞닿을 수 있는 경사면 (31a) 을 갖는 일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 조작체 (31) 의 경사면 (31a) 은 케이스 (29) 의 수납부 (29a) 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33) 에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32) 은 전체가 도전성 금속체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조작체 (31)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등한 케이스 (29) 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접촉 이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 (29) 의 수납부 (29a) 내에는 탄성 부재로서 도전성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 (33) 을 배치하고 있고, 이 코일 스프링 (33) 의 일단 (33a) 은 케이스 (29) 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제 1 고정 접점에 상시 탄성 접촉되고, 타단 (33b) 은 가동 접점 (32) 에 지지되어 있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this fourth embodiment, the
이 제 4 실시형태는, 코일 스프링 (33) 의 탄성력을 조작체 (31)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이,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와 조작체 (31) 에 형성된 경사면 (31a)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In this fourth embodiment, the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제 4 실시형태도 조작체 (31) 를 코일 스프링 (33) 을 압축하도록 화살표 (31b)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하면, 조작체 (31) 의 경사면 (31a) 이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에 맞닿고, 압축되어 강해진 코일 스프링 (30)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와 조작체 (31) 의 경 사면 (31a) 의 맞닿음을 개재하여, 조작체 (31) 에 유지된 가동 접점 (32) 이 케이스 (29) 의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측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변환 수단이 조작체 (31) 와 덮개부재 (30) 로 이루어지므로, 변환 수단과 관련되는 부품수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어, 제작이 용이해진다. 또,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가동 접점 (32) 이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을 압하하는 위치를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고, 가동 접점 (32) 과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의 위치 관계에 대한 설계의 자유도를 크게 할 수 있다. In the four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ng
또한, 부품수의 증가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에는, 상기 서술한 일 부재로 이루어지는 조작체 (31) 에 대신하여 조작체를, 덮개부재 (30) 의 돌부 (30a) 에 맞닿는 경사면을 갖는 구동 부재와, 이 구동 부재는 별체로 형성되지만, 구동 부재와의 맞닿음부를 갖는 유지 부재, 즉 가동 접점 (32)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의 2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것은,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이 조작체에 포함되는 구동 부재에 휨 등의 원하지 않는 힘이 부여되어도, 그러한 원하지 않는 힘이 별도의 부재인 유지 부재에 직접 전달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하지 않는 힘에 대해 유지 부재에 유지되는 가동 접점 (32) 과, 이 가동 접점 (32) 이 접촉 이간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을 보호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t is not necessary to consider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arts, a drive member having an inclined surface that contacts the
[제 5 실시형태의 구성] [Configuration of Fifth Embodiment]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5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를 구동 부재 (34) 와, 가동 접점 (36)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35)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부재 (34)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압압부 (34a) 에, 곡면 (34b) 을 형성하고 있고, 유지 부재 (35)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피압압부 (35a) 에, 구동 부재 (34) 의 곡면 (34b) 에 접합하는 경사면 (35b) 을 형성하고 있다. 유지 부재 (35) 의 경사면 (35b) 은 제 1 실시형태의 것과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34) 의 곡면 (34b) 과, 유지 부재 (35) 의 경사면 (35b) 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구동 부재 (34) 와 유지 부재 (35) 를 포함하는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면, 즉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5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is 5th Embodiment is comprised by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제 5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구동 부재 (34) 의 곡면 (34b) 과 유지 부재 (35) 의 경사면 (35b) 의 슬라이딩 접촉을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가동 접점 (36)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35) 가 슬라이딩되고,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가동 접점 (36) 의 접점부 (36a) 가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f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so has a sliding contact between the
또한, 이 제 5 실시형태는, 구동 부재 (34) 에 곡면 (34b) 을 형성하고, 유지 부재 (35) 에 구동 부재 (34) 의 곡면 (34b) 에 접합하는 경사면 (35b) 을 형성 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구동 부재 (34) 에 경사면을 형성하고, 유지 부재 (35) 에 구동 부재 (34) 의 경사면에 접합하는 곡면을 형성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Moreover, this 5th Embodiment is the structure which provided the
[제 6 실시형태의 구성] [Configuration of Sixth Embodiment]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6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를 구동 부재 (37) 와, 가동 접점 (39)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38)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 부재 (37)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압압부 (37a) 에, 곡면 (37b) 를 형성하고 있고, 유지 부재 (38)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피압압부 (38a) 에, 구동 부재 (37) 의 곡면 (37b) 에 접합하는 곡면 (38b)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37) 의 곡면 (37b) 과, 유지 부재 (38) 의 곡면 (38b) 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구동 부재 (37) 와 유지 부재 (38) 를 포함하는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면, 즉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6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is 6th Embodiment is also comprised by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제 6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구동 부재 (37) 의 곡면 (37b) 과 유지 부재 (38) 의 곡면 (38b) 의 슬라이딩 접촉을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가동 접점 (39)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38) 가 슬라이딩되고,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가동 접점 (39) 의 접점부 (39a) 가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ix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provided with sliding contact between the
[제 7 실시형태의 구성] [Configuration of Seventh Embodiment]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7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를 구동 부재 (40) 와, 가동 접점 (42)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41)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 부재 (40)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압압부 (40a) 에 경사면 (40b) 을 형성하고 있고, 유지 부재 (41)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피압압부 (41a) 에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에 대향하는 경사면 (41b) 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유지 부재 (41) 의 경사면 (41b) 에 반구 형상 오목부 (41c) 를 형성하고 있고, 이 반구 형상 오목부 (41c) 내에,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에 접합하는 구 (43) 를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도록 수용하고 있다.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및 유지 부재 (41) 의 경사면 (41b) 의 각각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과, 유지 부재 (41) 의 반구 형상 오목부 (41c) 에 수용된 구 (43) 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구동 부재 (40) 와, 유지 부재 (41) 를 포함하는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7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This 7th Embodiment is also comprised by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제 7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는,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유지 부재 (41) 에 유지된 구 (43) 의 전동을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가동 접점 (42)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41) 가 슬라이딩되고,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가동 접점 (42) 의 접점부 (42a) 가 도시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seven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so has the
또한, 이 제 7 실시형태는, 유지 부재 (41) 에 반구 형상 오목부 (41c) 를 형성하고, 이 반구 형상 오목부 (41c) 에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 (40b) 에 접합하는 구 (43) 를 수용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구동 부재 (40) 의 경사면에 반구 형상 오목부를 형성하고, 이 반구 형상 오목부에 유지 부재 (41) 의 경사면에 접합하는 자유롭게 전동할 수 있는 구를 수용한 구성으로 해도 된다. In addition, in the seventh embodiment, a spherical
[제 8 실시형태의 구성] [Configuration of Eighth Embodiment]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8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를 구동 부재 (45) 와, 가동 접점 (47)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46)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제 7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구동 부재 (45)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압압부 (45a) 에, 경사면 (45b) 을 형성하고 있고, 유지 부재 (46) 의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피압압부 (46a) 에, 구동 부재 (45) 의 경사면 (45b) 에 대향하는 경사면 (46b) 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이 유지 부재 (46) 의 경사면 (46b) 에 구동 부재 (45) 의 경사면 (45b) 에 접합하는 반구 형상 볼록부 (46c) 를 형성하고 있다. 구동 부재 (45) 의 경사면 (45b) 및 유지 부재 (46) 의 경사면 (46b) 의 각각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도시하지 않 은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구동 부재 (45) 의 경사면 (45b) 과, 유지 부재 (46) 의 반구 형상 볼록부 (46c) 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을, 구동 부재 (45) 와 유지 부재 (46) 를 포함하는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8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is eighth embodiment is constituted by the driving
이와 같이 구성된 제 8 실시형태도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시에, 구동 부재 (45) 의 경사면 (45b) 과 슬라이딩 접촉하는 유지 부재 (46) 의 반구 형상 볼록부 (46c) 를 개재하여,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가동 접점 (47)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46) 가 슬라이딩되고,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가동 접점 (47) 의 접점부 (47a) 가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imilarly to the first embodiment, the eigh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lso has the hemispherical
또한, 이 제 8 실시형태는, 유지 부재 (46) 에 반구 형상 볼록부 (46c) 를 형성하고, 이 반구 형상 볼록부 (46c) 에 접합하는 경사면 (45b) 을 구동 부재 (45) 에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이와는 반대로, 구동 부재 (45) 에 반구 형상 볼록부를 형성하고, 이 반구 형상 볼록부에 접합하는 경사면을 유지 부재 (46) 에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Moreover, this 8th Embodiment forms the hemispherical
[제 9 실시형태의 구성] [Configuration of 9th Embodiment]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 제 9 실시형태는,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 (48a) 를 덮는 덮개부재 (49) 가,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내에 배치되는 제 2 고정 접점측에 돌출하고, 예를 들어 곡면 형상의 돌부 (49a) 를 가짐과 함께, 가동 접점 (51) 을 슬라이딩시키는 조작체 (50) 가, 덮개부재 (49) 의 돌부 (49a) 에 맞닿을 수 있는 경사면 (50a) 을 갖는 일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이 조작체 (50) 의 경사면 (50a) 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 (48a) 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53) 에 가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51) 은, 전체가 도전성 금속체로 이루어지고, 예를 들어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조작체 (50) 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형성되고, 제 1 실시형태에서와 동등한 케이스에 매설되지 않는 제 2 고정 접점에 접촉 이간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케이스의 수납부 (48a) 내에는, 탄성 부재로서 도전성을 갖는 코일 스프링 (53) 을 배치하고 있고, 이 코일 스프링 (53) 의 일단 (53a) 은 케이스에 매설된 도시하지 않은 제 1 고정 접점에 상시 탄성 접촉되고, 타단 (53b) 은 가동 접점 (51) 에 지지되어 있다. 또한, 조작체 (50) 의 조작에 수반하여 함께 이동되고,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로 클릭감을 발생시킴과 함께, 조작체 (50) 의 위치를 유지 가능한 클릭 기구 (52) 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 9 실시형태는, 셀프 리턴형이 아니고, 조작체 (50) 는 코일 스프링 (53) 에 의한 탄성력을 받지만, 클릭 기구 (52) 에 의해 초기 위치, 및 가동 접점 (51) 이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에 접하는 위치에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9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In the ninth embodiment, similarly to the fourth embodiment, the
이 제 9 실시형태도 제 4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코일 스프링 (53) 의 탄성력을 조작체 (50) 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이, 덮개부재 (49) 의 돌부 (49a) 와, 조작체 (50) 에 형성된 경사면 (50a)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As in the ninth embodiment as in the fourth embodiment, the conversion means for converting the elastic force of the
이와 같이 구성된 제 9 실시형태도 조작체 (50) 가 코일 스프링 (53) 을 휘게 하도록 슬라이드 조작하면, 조작체 (50) 의 경사면 (50a) 이 덮개부재 (49) 의 돌부 (49a) 에 걸어맞추고, 압축되어 강해진 코일 스프링 (53) 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덮개부재 (49) 의 돌부 (49a) 와 조작체 (50) 의 경사면 (50a) 의 맞닿음을 개재하여, 조작체 (50) 에 유지된 가동 접점 (51) 이 케이스의 도시하지 않은 제 2 고정 접점측에 눌러져, 제 1 실시형태와 거의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조작체 (50) 를 초기 위치로 돌리려면, 클릭 기구 (52) 에 의한 조작체 (50) 의 유지 상태를 해제하고, 조작체 (50) 를 초기 위치로 돌릴 수 있다. In the ninth embodimen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ng
[제 10 실시형태의 구성] [Configuration of Tenth Embodiment]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지 부재 및 가동 접점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4 는 도 23 에 나타내는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고정 접점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2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ing member and the movable contact provided in the ten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back side, and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the holding member and the fixed contact holding the movable contact shown in FIG. 23.
이 제 10 실시형태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 (54) 에 유지된 도전성 금속체로 이루어지는 가동 접점 (55) 이,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2 개의 접점부, 즉 서로 도통하는 제 1 접점부 (55a) 와 제 2 접점부 (55b) 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유지 부재 (54) 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유지 부재 (54) 와 함께 조작체를 구성하는 도시 하지 않은 구동 부재의 예를 들어 경사면과 맞닿는 경사면 (54a) 을 가짐과 함께, 그 이면에, 가동 접점 (55) 의 제 1 접점부 (55a) 및 제 2 접점부 (55b) 의 하단 위치와 거의 동일 위치가 되는 하단을 갖는 절연성의 돌부 (54b) 를 구비하고 있다.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의 경사면, 및 이 경사면과 맞닿는 유지 부재 (54) 의 경사면 (54a) 의 각각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의 내저면 (56) 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In this tenth embodiment, as shown in FIG. 23, the two contact portions in which the
또,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내저면 (56) 에는, 조작체의 슬라이드 조작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2 개의 고정 접점, 즉 가동 접점 (55) 의 제 1 접점부 (55a) 가 상시 접촉되는 길이가 긴 제 1 고정 접점 (57) 과 이 제 1 고정 접점 (57) 에 비해 짧게 형성되고, 가동 접점 (55) 의 제 2 접점부 (55b) 가 접촉 이간 가능한 제 2 고정 접점 (58) 을 병렬 형성하고 있다. 이들 제 1 고정 접점 (57) 및 제 2 고정 접점 (58) 은,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되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Moreover, as shown in FIG. 24, the
이 제 10 실시형태에서는, 유지 부재 (54) 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 부재로서,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금속 부재로 이루어지는 코일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지만, 이 코일 스프링은 도전성을 가질 필요는 없다. 또, 그 코일 스프링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스의 수납부에 수납되는데,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의 것과는 상이하고, 제 1 고정 접점 (57) 과는 접촉하지 않게 유지된다. 이들 제 1 접점부 (55a) 및 제 2 접점부 (55b) 를 갖는 가동 접점 (55) 와 케이스 의 내저면 (56) 에 배치되는 제 1 고정 접점 (57) 및 제 2 고정 접점 (58) 을 제외한 구성은,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동등하다. In this tenth embodiment, a coil spring made of, for example, a metal member (not shown) is provided as an elastic member that imparts elastic force to the holding
이 제 10 실시형태는, 조작체가 조작되지 않는 초기 위치에 있어서는, 유지 부재 (54) 에 유지된 가동 접점 (55) 의 제 1 접점부 (55a) 가 제 1 고정 접점 (57) 에 접촉하고 있으나, 가동 접점 (55) 의 제 2 접점부 (55b) 는 제 2 고정 접점 (58) 에 접촉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되고, 제 1 고정 접점 (57) 과 제 2 고정 접점 (58) 사이가 차단되어 스위치가 오프로 작동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체, 즉 조작체를 구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를 도 24 의 화살표 (59) 방향으로 슬라이드 조작시키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 부재의 경사면과 유지 부재 (54) 의 경사면 (54a) 을 개재하여, 가동 접점 (55) 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 (54) 가, 압축되는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동일 화살표 (59) 방향으로 슬라이딩된다. 이 때에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유지 부재 (54) 는 케이스의 내저면 (56) 측에 눌러지면서 슬라이딩한다. 유지 부재 (54) 가 소정 위치까지 슬라이딩하면, 가동 접점 (55) 의 제 2 접점부 (55b) 가 제 2 고정 접점 (58) 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 (55) 의 제 1 접점부 (55a) 및 제 2 접점부 (55b) 를 개재하여, 제 1 고정 접점 (57) 과 제 2 고정 접점 (58) 이 도통되어, 스위치가 온으로 작동된다. 이 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기초하는 힘에 의해 가동 접점 (55) 의 제 1 접점부 (55a) 와 제 2 접점부 (55b) 의 쌍방이, 제 1 고정 접점 (57) 및 제 2 고정 접점 (58) 중 해 당하는 고정 접점에 각각 압하되어, 원하는 접점압을 확보할 수 있다. 즉,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거의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is tenth embodiment, the
또, 이 제 10 실시형태는, 제 1 고정 접점 (57) 및 제 2 고정 접점 (58) 의 형상을 간단하게 할 수 있고, 유지 부재 (54) 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코일 스프링이 도전 경로를 형성할 필요는 없기 때문에, 이 스위치 장치의 제작이 간단하다. 또한, 이 제 10 실시형태는, 탄성 부재가 도전성을 갖지 않아도 된다는 점에서, 탄성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에 대신하여 고무, 엘라스토머 등을 구비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in this tenth embodiment, the shapes of the first fixed
[기타의 실시형태][Other Embodiments]
상기 실시형태,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제 2 고정 접점 (2b) 을 가동 접점 (5) 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르도록,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 (1g) 에 형성함과 함께,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및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의 형상을,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4) 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 1 실시형태에 있어 고려했을 경우, 제 2 고정 접점 (2b) 을 가동 접점 (5) 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르도록, 케이스 (1) 의 수납부 (1a) 의 내측면, 예를 들어 케이스 (1) 에 형성된 도 1 에 나타내는 절결부 (1b) 에 대향하는 내측면에 형성함과 함께, 구동 부재 (8) 의 경사면 (8c) 및 유지 부재 (7) 의 경사면 (7b) 의 형상을, 수납부 (1a) 의 상기 서술한 내측면에 가까워짐에 따라 점차 코일 스프링 (4) 으로부터 떨어지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했을 경우도,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와 동등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the said embodiment, for example, 1st embodiment, the 2nd fixed
또, 상기 각 실시형태는, 조작체가 슬라이드 조작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조작체를 슬라이드 조작시키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조작체를 푸시 조작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Moreover, although each said embodiment is set as the structure which slide operation of the operation body,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making a sliding operation of an operation body, You may comprise an operation body so that a push operation is possible.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고정 접점 및 제 2 고정 접점이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케이스에 인서트 성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제 1 고정 접점 및 제 2 고정 접점을 이와 같이 구성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고, 이들 제 1 고정 접점 및 제 2 고정 접점이 인쇄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the 1st fixed contact and the 2nd fixed contact consist of a conductive metal plate, and are insert-molded in the case which consists of synthetic resins, this invention is a 1st fixed contact and a 2nd fixed It is not limited to what comprises a contact in this way, These 1st fixed contact and 2nd fixed contact may consist of a printing pattern.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조작체가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조작체가 직선적으로 슬라이드 조작되는 구성에는 한정되지 않고, 조작체가 원호를 그리도록 슬라이드 조작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Moreover, in each said embodiment, although an operating body is comprised so that linearly slide operation may be carried out, this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by which an operating body slides linearly in this way, Even if it is set as the structure in which an operating body slides so that an arc may be drawn. do.
도 1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조작체가 초기 위치에 유지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body in 1st Embodiment is hold | maintained at an initial position.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4 는 도 2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4 is a plan view of the cover member remov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2.
도 5 는 조작체가 스위치 작동 위치까지 조작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5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operating body is operated to the switch operating position.
도 6 은 도 5 의 B-B 단면도이다.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5.
도 7 은 도 5 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FIG. 7 is a plan view with the lid member removed from the state shown in FIG. 5. FIG.
도 8 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switch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는 도 8 에 나타내는 제 2 실시형태로부터 덮개부재를 제거한 평면도이다. FIG. 9 is a plan view with the lid member removed from the second embodiment shown in FIG. 8. FIG.
도 10 은 제 2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이다. 10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embodiment.
도 11 은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케이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case provided in 2nd Embodiment.
도 12 는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구동 부재를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drive member provided in 2nd Embodiment from the back surface side.
도 13 은 제 2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지 부재 및 가동 접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 의 (a) 는 측면도, 도 13 의 (b) 는 이면도이다. It is a figure which shows the holding member and movable contact provided in 2nd Embodiment, FIG. 13 (a) is a side view and FIG. 13 (b) is a back view.
도 14 는 제 2 실시형태의 측단면도이다. 14 is a side sectional view of a second embodiment.
도 15 는 제 2 실시형태의 케이스내에의 유지 부재, 코일 스프링, 및 구동 부재의 조립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FIG. 1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of assembly of the holding member, the coil spring, and the drive member in the case of the second embodiment; FIG.
도 16 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It is a top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3rd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7 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4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8 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5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19 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6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0 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7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1 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8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2 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형태의 요부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It is a side view which shows the principal part of 9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도 23 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형태에 구비되는 유지 부재 및 가동 접점을 이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It is a perspective view which looked at the holding member and movable contact which are equipped in 10th Embodiment of this invention from the back surface side.
도 24 는 도 23 에 나타내는 가동 접점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와 고정 접점과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arrangement relationship between a holding member holding a movable contact shown in FIG. 23 and a fixed contact; FIG.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the sign
1 케이스 1 case
1a 수납부 1a compartment
1a1 개구부 1a1 opening
1e 가이드벽 1e guide wall
1f1 내벽 1f1 inner wall
1f2 내벽 1f2 inner wall
1g 내저면 1g inner bottom
2a 제 1 고정 접점 2a first fixed contact
2a1 면 2a1 side
2b 제 2 고정 접점 2b second fixed contact
2b1 면 2b1 side
4 코일 스프링 (탄성 부재) 4 coil spring (elastic member)
4a 일단 4a once
4b 타단 4b other end
4c 권회부 4c winding
5 가동 접점5 movable contacts
5a 접점부5a contact
5b 스프링 수용부 5b spring receptacle
5c 돌부 5c stone
6 조작체 6 operating body
7 유지 부재7 retaining member
7a 맞닿음부 7a abutment
7b 경사면 (변환 수단) 7b slope (conversion means)
7c1 제 1 피가이드부 7c1 1st guide part
7c2 제 2 피가이드부 7c2 2nd guide part
8 구동 부재 8 drive member
8a 맞닿음부 8a abutment
8c 경사면 (변환 수단) 8c slope (conversion means)
8e 제 1 피가이드부 8e 1st guide part
8f1 제 2 피가이드부 8f1 2nd guide part
8f2 제 3 피가이드부 8f2 3rd guide part
8g 홈 8g home
9 덮개부재 9 Cover member
11 케이스 11 cases
11a 수납부 11a compartment
11a1 개구부 11a1 opening
11e 가이드벽 11e guide wall
11f1 내벽 11f1 inner wall
11f2 내벽 11f2 inner wall
11g 내저면 11g inner bottom
12a 제 1 고정 접점 12a first fixed contact
12a1 면 12a1 side
12b 제 2 고정 접점 12b 2nd fixed contact
12b1 면 12b1 side
14 코일 스프링 (탄성 부재) 14 coil spring (elastic member)
14a 일단 14a once
14b 타단 14b other end
14c 권회부 14c winding
15 가동 접점 15 movable contacts
15a 접점부 15a contact
15b 스프링 수용부15b spring receptacle
15c 돌부 15c stone
16 조작체 16 operating body
17 유지 부재 17 retaining member
17a 맞닿음부 17a abutment
17b 경사면 (변환 수단) 17b slope (conversion means)
17c1 제 1 피가이드부 17c1 first guided part
17c2 제 2 피가이드부 17c2 2nd guide part
18 구동 부재 18 drive member
18a 맞닿음부 18a abutment
18c 경사면 (변환 수단) 18c slope (conversion means)
18e 제 1 피가이드부 18e 1st guide part
18f1 제 2 피가이드부 18f1 2nd guide part
18f2 제 3 피가이드부 18f2 3rd guide part
19 덮개부재 19 cover member
20 걸어맞춤부 (규제부) 20 Hanging Part (Regulating Part)
21 피걸어맞춤부 (규제부) 21 Blood Fitting (Regulator)
25 구동 부재 25 drive member
25b 경사면 (변환 수단) 25b slope (conversion means)
26 유지 부재 26 retaining member
26a 경사면 (변환 수단) 26a slope (conversion means)
27 가동 접점 27 movable contacts
27a 스프링 수용부 27a spring receptacle
28 토션 스프링 (탄성 부재) 28 torsion spring (elastic member)
28a 일단 28a once
28b 타단 28b other end
29 케이스 29 cases
29a 수납부 29a compartment
30 덮개부재 30 cover member
30a 돌부 (변환 수단) 30a protrusion (conversion means)
31 조작체 31 Operator
31a 경사면 (변환 수단) 31a slope (conversion means)
32 가동 접점 32 movable contacts
33 코일 스프링 (탄성 부재) 33 coil spring (elastic member)
33a 일단 33a once
33b 타단 33b other end
34 구동 부재 34 drive member
34a 압압부 34a pressing part
34b 곡면 (변환 수단) 34b curved surface (conversion means)
35 유지 부재 35 retaining member
35a 피압압부 35a Pressed part
35b 경사면 (변환 수단) 35b slope (conversion means)
36 가동 접점 36 movable contacts
36a 접점부 36a contact
37 구동 부재 37 drive member
37a 압압부 37a pressing part
37b 곡면 (변환 수단) 37b surface (conversion means)
38 유지 부재 38 retaining member
38a 피압압부 38a Pressed part
38b 곡면 (변환 수단) 38b surface (conversion means)
39 가동 접점 39 movable contacts
39a 접점부 39a contact
40 구동 부재 40 drive member
40a 압압부 40a pressing part
40b 경사면 (변환 수단) 40b slope (conversion means)
41 유지 부재 41 retaining member
41a 피압압부 41a Pressed part
41b 경사면 41b slope
41c 반구 형상 오목부 41c hemispherical recess
42 가동 접점 42 movable contacts
42a 접점부 42a contact
43 구 (변환 수단) 43 spheres (conversion means)
45 구동 부재 45 drive member
45a 압압부 45a pressing part
45b 경사면 (변환 수단) 45b slope (conversion means)
46 유지 부재 46 retaining member
46a 피압압부 46a Pressed part
46b 경사면 46b slope
46c 반구 형상 볼록부 (변환 수단) 46c hemispherical convex (conversion means)
47 가동 접점 47 movable contacts
47a 접점부 47a contact
48a 수납부 48a compartment
49 덮개부재 49 cover member
49a 돌부 (변환 수단) 49a protrusion (conversion means)
50 조작체 50 operator
50a 경사면 (변환 수단) 50a slope (conversion means)
51 가동 접점 51 movable contact
52 클릭 기구 52 click mechanism
53 코일 스프링 (탄성 부재) 53 coil spring (elastic member)
53a 일단 53a once
53b 타단 53b other end
54 유지 부재 54 retaining member
54a 경사면 (변환 수단) 54a slope (conversion means)
54b 돌부 (변환 수단) 54b protrusion (conversion means)
55 가동 접점 55 movable contacts
55a 제 1 접점부 55a first contact
55b 제 2 접점부 55b 2nd contact part
56 내저면 56 inner bottom
57 제 1 고정 접점 57 1st fixed contact
58 제 2 고정 접점 58 2nd fixed contact
Claims (11)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7-00012788 | 2007-01-23 | ||
JP2007012788 | 2007-01-23 | ||
JP2007313799A JP4932690B2 (en) | 2007-01-23 | 2007-12-04 | Switch device |
JPJP-P-2007-00313799 | 2007-12-0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69541A KR20080069541A (en) | 2008-07-28 |
KR100968097B1 true KR100968097B1 (en) | 2010-07-06 |
Family
ID=39782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06954A Active KR100968097B1 (en) | 2007-01-23 | 2008-01-23 | Switch device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4932690B2 (en) |
KR (1) | KR100968097B1 (en) |
CN (1) | CN101231914B (en) |
TW (1) | TW200842920A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88940B2 (en) * | 2020-02-06 | 2023-11-29 | Idec株式会社 | switch device |
CN114446690B (en) * | 2022-02-22 | 2024-06-1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Key assembly and electronic equipment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2685A (en) * | 1999-12-30 | 2001-07-07 |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 Laterally actuated electrical switch |
KR200270985Y1 (en) | 2002-01-15 | 2002-04-06 | 장선규 | Power source switch |
KR20020070985A (en) * | 2000-10-26 | 2002-09-11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Engine start controlle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83630A (en) * | 1980-11-13 | 1982-05-25 | Suzuki Motor Co Ltd | Internal combustion engine |
JPS5841946A (en) * | 1981-09-07 | 1983-03-11 |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 Manufacturing method of mesh knitted fabric |
JPS61162917A (en) * | 1985-01-14 | 1986-07-23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Lid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cooker |
US4775952A (en) * | 1986-05-29 | 1988-10-04 | General Electric Company | Parallel processing system apparatus |
JP2000311551A (en) * | 1999-04-27 | 2000-11-07 | Alps Electric Co Ltd | Slide operation type switch |
-
2007
- 2007-12-04 JP JP2007313799A patent/JP4932690B2/en active Active
-
2008
- 2008-01-07 TW TW097100592A patent/TW200842920A/en unknown
- 2008-01-22 CN CN2008100051239A patent/CN101231914B/en active Active
- 2008-01-23 KR KR1020080006954A patent/KR10096809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62685A (en) * | 1999-12-30 | 2001-07-07 | 아이티티 매뉴팩츄어링 엔터프라이즈, 인코포레이티드 | Laterally actuated electrical switch |
KR20020070985A (en) * | 2000-10-26 | 2002-09-11 |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 Engine start controller |
KR200270985Y1 (en) | 2002-01-15 | 2002-04-06 | 장선규 | Power source switch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I362048B (en) | 2012-04-11 |
JP4932690B2 (en) | 2012-05-16 |
CN101231914A (en) | 2008-07-30 |
TW200842920A (en) | 2008-11-01 |
CN101231914B (en) | 2011-05-04 |
JP2008204941A (en) | 2008-09-04 |
KR20080069541A (en) | 2008-07-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47849A (en) | Shift lever construction | |
JP4469878B2 (en) | Push button switch | |
JP4061946B2 (en) | Slide switch | |
JP4248563B2 (en) | Push switch | |
EP1148524B1 (en) | Seesaw-type power-supply switch device | |
JP2016154077A (en) | Push switch | |
KR100968097B1 (en) | Switch device | |
JP4280761B2 (en) | Side push type push switch | |
KR19980023941A (en) | Complex operation type electric parts | |
CN101752130B (en) | Housing with fixed contact and slide switch with the housing | |
US11037744B2 (en) | Switch device | |
JP4899644B2 (en) | Electronic device switch mechanism | |
JP2012230926A (en) | Push switch | |
JP2004273199A (en) | Switch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3882251B2 (en) | Slide switch with push mechanism | |
JPH113630A (en) | Push switch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 |
US7208689B2 (en) | Switch | |
JP4295599B2 (en) | Switch device | |
JP4524247B2 (en) | Switch device | |
JP4649393B2 (en) | Horizontal push type 2-stage operation switch | |
KR100551920B1 (en) | Slide type electric component | |
KR200431025Y1 (en) | Seesaw switch device | |
KR20080065915A (en) | Composite input device | |
JP4619196B2 (en) | Sliding electronic parts with pressure switch | |
KR101192401B1 (en) | Sliding-type microswitc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1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41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6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330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3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1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