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6991B1 -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 Google Patents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991B1
KR100966991B1 KR1020080124116A KR20080124116A KR100966991B1 KR 100966991 B1 KR100966991 B1 KR 100966991B1 KR 1020080124116 A KR1020080124116 A KR 1020080124116A KR 20080124116 A KR20080124116 A KR 20080124116A KR 100966991 B1 KR100966991 B1 KR 100966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signal
lamp
flop
fli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4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5672A (ko
Inventor
황보현
민병운
천정인
장유진
공승곤
신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4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991B1/ko
Priority to US12/437,713 priority patent/US7898298B2/en
Publication of KR201000656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56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99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25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 H05B41/28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by means of a bridge converter in the final stage using control circuits for the switching el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26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 H05B41/28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 H05B41/282Circuit arrangements in which the lamp is fed by power derived from DC by means of a converter, e.g. by high-voltage DC using static convert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 H05B41/28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1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H05B41/2855Arrangements for protecting lamps or circuits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for protecting the circuit against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against abnormal lamp operating condi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05B45/14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using electrical feedback from LEDs or from LED modu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5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responsive to malfunctions or undesirable behaviour of LEDs; responsive to LED life; Protective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30Semiconductor lamps, e.g. solid state lamps [SSL] light emitting diodes [LED] or organic LED [O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ircuit Arrangements For Discharge Lamps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서로 동일한 주기를 가지며, 서로 다른 시간대역에 하이 레벨을 갖는 펄스신호인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 램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의 반파정류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램프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램프 상태 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램프 상태 신호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로우 레벨인 동시에 상기 램프 상태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까지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신호와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으로부터 상기 제1 감지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까지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 램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를 제공한다.
인버터(inverter), 오픈램프(open lamp)

Description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Inverter Driver Integrated Circuit}
본 발명은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백라이트 유닛(Back Light Unit)에서 램프로부터 피드백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램프의 오픈, 과전압 등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감지부가 집적회로 내에 내장된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다.
LCD(Liquid Crystal Display) TV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사용되는 BLU(Back Light Unit)의 휘도의 균일성을 보장하기 위한 램프로 다수의 냉음극 형광램프(CCFL: Cold Cathode Fluorescent Lamp)나 발광다이오드(LED:Light Emitting Diode)를 병렬로 구동시킬 수 있다.
냉음극 형광램프는 유리관 내벽에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있으며, 관 양단에 전극이 부착돼 있고, 관내에는 수십 Torr의 혼합가스와 정량의 수은이 봉입되어져 있는 것으로서, 높은 휘도와 고연색성, 낮은 소비전력, 긴 수명 등의 장점이 있어 LCD 백라이트 등의 조명 소자로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다수의 램프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 다수개의 램프 중에 어느 하 나가 먼저 점등되면 등가 병렬저항이 점등된 램프 하나의 저항으로 나타날 수 있다. 이 경우, 점등되지 못한 나머지 램프는 점등을 위한 충분한 전압을 받지 못하게 되어 점등이 되지 않은 상태로 머물러 있게 되고, 각 램프간의 과전류 편차로 인한 휘도 불균형이 문제되고 있다. 따라서 BLU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Integrated Circuit)는 기기를 보호할 수 있는 OVP(Over Voltage Protection), LCC(Limited Current Circuit), 및 OLP(Open Lamp Protection)와 같은 보호 회로 기능이 대단히 중요시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BLU 인버터의 소형화 설계 및 원가 경쟁력 확보를 위한 외장 부품의 최소화에 필요한 새로운 개념의 원-칩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멀티 램프를 구동하는 BLU 인버터에서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피드백 신호의 감지에 필요한 외장형 부품들을 IC 내부로 내장시킨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서로 동일한 주기를 가지며, 서로 다른 시간대역에 하이 레벨을 갖는 펄스신호인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 램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의 반파정류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램프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램프 상태 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램프 상태 신호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로우 레벨인 동시에 상기 램프 상태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까지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신호와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으로부터 상기 제1 감지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까지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 램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의 신호가 클럭 신호로 입력되는 제1 플립플롭과, 상기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의 신호가 클럭 신호로 입력되며,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제2 플립플롭과, 상기 제2 플 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입력으로 피드백시키는 NOT 게이트와,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의 반전신호를 입력받아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 및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리셋으로 입력받는 SR 래치회로,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의 반전신호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SR 래치회로의 세트로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1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세트로 입력받는 SR 래치회로, 및 상기 제1 감지부의 출력신호에 대한 반전신호와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SR 래치회로의 리셋으로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램프의 피드백 신호 감지기능을 실현하기 위해 기존의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의 외부에 부품으로 구현되었던 것을 집적회로 내부에 내장시킴으로서 인버터의 외장부품을 최소화하여 인버터의 소형화 설계 및 원가 경쟁력 확보가 가능한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100)는 제어신호 발생부(110), 비교기(120), 제1 감지부(130), 및 제2 감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100)는 LCD 백라이트 유닛에 사용되는 복수개의 램프에 연결되어 상기 램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를 감지하여 램프의 상태를 검출할 수 있는 복수개의 감지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100)는, 상기 복수개의 램프의 오픈램프, 과전압 등의 상태를 검출한 신호(OLPO1, OLPO2, OLPO3, OLPO4)를 NAND 게이트(101)를 통해 논리곱하여 상기 램프에 대한 구동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램프 중 하나의 램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에 의해 램프의 상태를 검출하는 감지회로를 중심으로 설명하겠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110)는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100) 내부에 있는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PWM OSC)의 신호를 이용하여 제1 제어신호(CON1) 및 제2 제어신호(CON2)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110)로 입력되는 신호는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로부 터 출력된 기준 클럭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 주기의 온/오프 듀티 비율이 조정된 펄스폭 변조 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110)는 상기 펄스폭 변조 신호를 이용하여 동일한 주기를 갖고, 동일 주기 내에서 서로 구동시간이 다른 펄스 신호인 제1 제어신호(CON1) 및 제2 제어신호(CON2)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의 구체적인 형태는 도 2에서 살펴보겠다.
상기 비교기(120)는, 램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의 반파정류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램프 상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램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에 대한 반파정류 신호는 다이오드 및 저항을 이용한 회로를 사용하여 간단히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상기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내부 또는 외부에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램프는 냉음극 형광램프(CCFL) 또는 발광 다이오드(LED)일 수 있다.
상기 램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는 램프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교류신호가 피드백될 수 있으며, 상기 램프가 오픈램프(open lamp) 상태라면 피드백되는 신호가 제로(zero)일 수 있다.
상기 비교기(120)에서 출력되는 램프 상태 신호는 상기 램프의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램프에서 정상적인 교류신호가 피드백되어 상기 비교기(120)로 입력되는 경우 상기 비교기(120)는 펄스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비교기(120)로 입력되는 피드백 신호가 제로인 경우에는 상기 비교기(120)에서 출력되는 램프 상태 신호가 로우(low)가 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130)는, 상기 비교기에서 출력되는 램프 상태 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CON2)를 입력받아 제1 감지신호(OLPT1)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130)는, 상기 제2 제어신호(CON2)를 리셋(R)으로 입력받는 SR 래치회로(131) 및 상기 제2 제어신호(CON2)의 반전신호와 상기 비교기(120)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SR 래치회로의 세트(S)로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132)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R 래치회로(131)는, 세트에 하이 신호가 입력된 후에는 리셋에 하이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하이 신호를 출력하는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앤드 게이트(132)에서 하이 신호가 상기 래치의 세트로 입력된 이후에는 상기 제2 제어신호(CON2)가 하이로 될 때까지는 상기 래치회로(131)는 하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140)는, 상기 제1 감지신호(OLPT1)와 상기 제1 제어신호(CON1)를 입력받아 제2 감지신호(OLPO1)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140)는, 상기 제1 감지부(130)의 출력 신호를 세트(S)로 입력받는 SR 래치회로(141) 및 상기 제1 감지부(130)의 출력신호에 대한 반전신호와 상기 제1 제어신호(CON1)를 입력받아 상기 SR 래치회로의 리셋(R)으로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14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SR 래치회로(141)의 특성에 의해, 상기 제1 감지신호(OLPT1)이 하이 상태로 된 이후에는 상기 앤드 게이트(142)의 출력신호가 하이 상태가 될 때까지는 상기 래치회로(142)는 하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 비교기, 제1 감지부, 및 제2 감지부는 모두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내에 내장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는 종래에 오픈 램프 등의 감지를 위해 드라이버 집적회로의 외부에 별도의 소자를 사용하여 구현하였던 기능부를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내부에 내장시킬 수 있어 인버터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에서 제어신호 발생부의 일실시 형태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신호 발생부(210)는, 제1 플립플롭(flip-flop)(211), 제2 플립플롭(flip-flop)(212), 및 복수개의 논리소자(213, 214, 21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플립플롭(211)은,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PWM OSC)의 신호가 클럭 신호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의 신호는 소정의 주기를 갖는 펄스신호일 수 있다.
상기 제2 플립플롭(212)은,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PWM OSC)의 신호가 클럭 신호로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립플롭(212)으로 상기 제1 플립플롭(211)의 출력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상기 제2 플립플롭(212)의 출력신호는 NOT 게이트(213)를 통해 상기 제1 플립플롭(211)의 입력으로 피드백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플립플롭(211)과 제2 플립플롭(212)을 상기와 같이 연결함으로써, 상기 제1 플립플롭(211)의 출력신호(Q0)와 상기 제2 플립플롭(212)의 출력신호(Q1)는 상기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의 신호의 1주기 만큼 시간적 차이를 가질 수 있다.
제1 앤드 게이트(214)는,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Q0)와 상기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Q1)의 반전신호를 입력받아 논리곱하여 제1 제어신호(CON1)를 출력할 수 있다.
제2 앤드 게이트(215)는,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Q0)와 상기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Q1)를 입력받아 논리곱하여 제2 제어신호(CON2)를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어신호(CON1)와 제2 제어신호(CON2)는 동일한 주기를 가지며, 1 주기 내에서 서로 다른 시간에 하이(high)상태가 인가되는 펄스신호일 수 있다.
도 3의 (a) 내지 (e)는, 각각 도 2에 개시된 제어신호 발생부에서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 신호,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 신호는 2 ㎲의 주기(① ~ ②)를 갖고, 상기 1 주기 중 1 ㎲ 동안 하이상태가 인가되는 펄스신호이다.
도 3의 (b)는, 상기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 신호가 상기 제1 플립플롭(211)을 거쳐 출력되는 신호(Q0)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플립플롭(211)의 출력신호(Q0)는 8 ㎲의 주기(① ~ ⑤)를 갖고, 상기 1 주기 중 4 ㎲ 동안 하이상태(① ~ ③)가 인가되는 펄스신호이다.
도 3의 (c)는, 상기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 신호가 상기 제2 플립플롭(212)을 거쳐 출력되는 신호(Q1)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 플립플롭(212)의 출력신호(Q1)는 8 ㎲의 주기(① ~ ⑤)를 갖고, 상기 1 주기 중 4 ㎲ 동안 하이상태(② ~ ④)가 인가되는 펄스신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2 플립플롭(212)의 출력신호(Q1)는, 상기 제1 플립플롭(211)의 출력신호(Q0)에 비해 상기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 신호의 1 주기만큼 지연된 형태의 신호이다.
도 3의 (d)는,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Q0)와 상기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Q1)의 반전신호를 논리곱(214)하여 출력되는 제1 제어신호(CON1)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제어신호(CON1)는, 8 ㎲의 주기(① ~ ⑤)를 갖고, 상기 1 주기 중 2 ㎲ 동안 하이상태(① ~ ②)가 인가되는 펄스신호이다.
도 3의 (e)는,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Q0)와 상기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Q1)를 논리곱(215)하여 출력되는 제2 제어신호(CON2)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 제어신호(CON2)는, 8 ㎲의 주기(① ~ ⑤)를 갖고, 상기 1 주기 중 2 ㎲ 동 안 하이상태(② ~ ③)가 인가되는 펄스신호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제1 제어신호(CON1)와 제2 제어신호(CON2)는, 각각 동일한 주기(8 ㎲)를 가지며, 동일한 1 주기 동안 서로 다른 시간에 하이 상태가 인가되는 펄스신호일 수 있다.
도 4의 (a) 내지 (e)는, 상기 도 1에 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에서, 제1 제어신호(a), 제2 제어신호(b), 비교기의 출력신호(c), 제1 감지부의 출력신호(d), 및 제2 감지부의 출력신호(e)를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도 1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4의 (a)는, 상기 제2 감지부(140)에 인가되는 제1 제어신호(CON1)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제어신호(CON1)는, 8 ㎲의 주기(② ~ ④)를 갖고, 상기 1 주기 중 2 ㎲ 동안 하이상태(② ~ ③)가 인가되는 펄스신호이다.
도 4의 (b)는, 상기 제1 감지부(130)에 인가되는 제2 제어신호(CON2)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 제어신호(CON2)는, 8 ㎲의 주기(② ~ ④)를 갖고, 상기 1 주기 중 2 ㎲ 동안 하이상태가 인가되는 펄스신호이다.
도 4의 (c)는, 상기 비교기(120)를 통과하여 상기 제1 감지부(130)로 입력되는 램프 상태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150 ㎲(①)까지는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펄스 신호가 입력되며, 소정시간(⑤와 ⑥사이) 까지는 램프가 오픈램프 상태로 되어 램프 상태 신호가 제로 상태이고, 상기 소정시간 이후에는 다시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펄스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의 램프 상태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의 (d)는, 상기 도 4의 (c)의 램프 상태 신호 및 상기 도 4의 (b)의 제2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1 감지부(13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1 감지부(130)에서는, 상기 비교기(120)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C0N2)의 반전신호를 논리곱(132)한 신호를 래치회로(131)의 세트로 입력하고, 상기 제2 제어신호(CON2)를 래치회로(131)의 리셋으로 입력하여 제1 감지신호(OLPT)를 출력할 수 있다.
램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여 상기 비교기(120)의 출력신호가 정상적인 펄스신호인 경우, 상기 제2 제어신호(CON2)가 하이일 때는 상기 제1 감지신호(OLPT)는 로우가 되고, 상기 제2 제어신호(CON2)가 로우일 때는 상기 제1 감지신호(OLPT)는 하이가 될 수 있다.
램프가 오픈 램프 상태이어서, 상기 비교기(120)의 출력신호가 로우로 되는경우(①), 이후 상기 제2 제어신호(CON2)가 하이상태로 되면 상기 제1 감지신호(OLPT)는 로우 상태로 되어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에 상기 비교기(120)의 출력신호가 정상적인 펄스신호로 되면(⑤) 상기 제2 제어신호(CON2)의 폴링 타임(⑥)이 상기 제1 감지신호(OLPT)의 라이징 타임이 될 수 있다.
도 4의 (e)는, 상기 도 4의 (d)의 제1 감지부 출력신호(OLPT) 및 상기 도 4의 (a)의 제1 제어신호가 입력되어 상기 제2 감지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 제2 감지부(140)에서는, 상기 제1 감지부(130)의 출력신호(OLPT)의 반전신호와 상기 제1 제어신호(C0N1)를 논리곱(142)한 신호를 래치회로(141)의 리셋으로 입력하고, 상기 제1 감지부(130)의 출력신호(OLPT)를 래치회로(141)의 세트로 입력하여 제2 감지신호(OLPO)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신호(OLPT)가 하이로 입력된 후에는, 상기 제1 감지신호(OLPT)가 로우이고 상기 제1 제어신호(CON1)가 하이가 되지 않는 이상 상기 제2 감지신호(OLPO)는 하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신호(OLPT)가 로우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신호(CON1)가 하이상태(④)로 된 이후에는 상기 제2 감지신호(OLPO)는 로우 상태를 유지한다.
상기 제1 감지신호(OLPT)가 다시 하이 상태로 변하는 때(⑥)에 상기 제2 감지신호(OLPO)도 하이상태가 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 상기 비교기(120)를 통과하여 제1 감지부(130)로 입력되는 램프 상태 신호에 대한 그래프(c)와 상기 제2 감지부(1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대한 그래프(e)를 비교하면, 상기 램프의 상태가 정상적인 동작을 하여 상기 램프 상태 신호가 펄스파로 입력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감지부의 출력신호(OLPO)는 하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램프가 오픈램프 상태가 되어 상기 램프 상태 신호가 제로로 변한 경우(①)에도 상기 제2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는 소정시간(① ~ ④)동안 하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가 하이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은 상기 제1 제어신호의 한주기에 해당하는 시간일 수 있다. 상기 제1 제어신호의 한주기에 해당하는 시간은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 신호의 4 주기에 해당하는 시간일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형태에서는 램프에 이상이 발생되더라도 소정시간동안 램프가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소정시간이 지난 후에도 램프의 이상이 감지되면 그 때 상기 제2 감지신호(OLPO)가 로우 상태로 변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는 램프에 순간적으로 이상이 발생되었다 정상으로 복귀되는 경우에는 램프를 셧다운(Shut-down)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어, 불필요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램프의 수명을 길게할 수 있다.
상기 램프에 발생된 이상 상태가 치유되어 상기 램프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된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신호(CON2)의 폴링타임이 상기 제2 감지신호(OLPO)의 라이징 타임이 되므로, 상기 램프가 정상적으로 작동한 후 비교적 빠른 시간내에 제2 감지신호(OLPO)를 하이 상태로 복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하고자 한다. 따라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의 회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에 사용되는 제어신호 발생부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도 3의 (a) 내지 (e)는, 각각 도 2에 개시된 제어신호 발생부에서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 신호,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의 (a) 내지 (e)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에서, 제1 제어신호, 제2 제어신호, 비교기의 출력신호, 제1 감지부의 출력신호, 및 제2 감지부의 출력신호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10 : 제어신호 발생부 120 : 비교기
130 : 제1 감지부 140 : 제2 감지부

Claims (5)

  1.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 신호를 이용하여 서로 동일한 주기를 가지며, 서로 다른 시간대역에 하이 레벨을 갖는 펄스신호인 제1 제어신호 및 제2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신호 발생부;
    램프에서 피드백되는 신호의 반파정류 신호를 기설정된 기준신호와 비교하여 램프 상태 신호를 출력하는 비교기;
    상기 램프 상태 신호와 상기 제2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램프 상태 신호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으로부터 상기 제2 제어신호가 로우 레벨인 동시에 상기 램프 상태 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까지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제1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신호와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제1 감지신호가 기 설정된 일정 시간을 초과하여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으로부터 상기 제1 감지신호가 하이 레벨이 되는 순간까지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제2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2 감지부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감지신호가 로우 레벨인 경우 램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신호 발생부는,
    상기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의 신호가 클럭 신호로 입력되는 제1 플립플롭;
    상기 펄스폭 변조 오실레이터의 신호가 클럭 신호로 입력되며,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입력받는 제2 플립플롭;
    상기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입력으로 피드백시키는 NOT 게이트;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의 반전신호를 입력받아 제1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 및
    상기 제1 플립플롭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 플립플롭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제2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는,
    상기 제2 제어신호를 리셋으로 입력받는 SR 래치회로; 및
    상기 제2 제어신호의 반전신호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SR 래치회로의 세트로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감지부는,
    상기 제1 감지부의 출력 신호를 세트로 입력받는 SR 래치회로; 및
    상기 제1 감지부의 출력신호에 대한 반전신호와 상기 제1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SR 래치회로의 리셋으로 출력하는 앤드 게이트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KR1020080124116A 2008-12-08 2008-12-08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Expired - Fee Related KR100966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116A KR100966991B1 (ko) 2008-12-08 2008-12-08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US12/437,713 US7898298B2 (en) 2008-12-08 2009-05-08 Inverter driver integrated circu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4116A KR100966991B1 (ko) 2008-12-08 2008-12-08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5672A KR20100065672A (ko) 2010-06-17
KR100966991B1 true KR100966991B1 (ko) 2010-06-30

Family

ID=42230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41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6991B1 (ko) 2008-12-08 2008-12-08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7898298B2 (ko)
KR (1) KR1009669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27195B2 (en) * 2021-04-22 2022-12-13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Display control system and related method of signal transmiss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7728A (ko) * 1998-01-05 1999-08-25 인터내셔널 렉터파이어 코퍼레이션 전집적 안정기 집적회로
KR20030036234A (ko) * 2000-06-19 2003-05-09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최소의 내부 및 외부 구성요소를 갖는 밸러스트 제어 ic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08590A (en) * 1996-05-03 1999-12-28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Integrated circuit inverter control having a multi-function pin
TWI345430B (en) * 2005-01-19 2011-07-11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c to ac power conversion for driving discharge lamps
US7423384B2 (en) 2005-11-08 2008-09-09 Monolithic Power Systems, Inc. Lamp voltage feedback system and method for open lamp protection and shorted lamp protection
US7545369B1 (en) * 2006-05-11 2009-06-09 Maxim Integrated Products, Inc. Methods and apparatus to improve efficiency in cold cathode fluorescent light controlle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7728A (ko) * 1998-01-05 1999-08-25 인터내셔널 렉터파이어 코퍼레이션 전집적 안정기 집적회로
KR20030036234A (ko) * 2000-06-19 2003-05-09 인터내쇼널 렉티파이어 코포레이션 최소의 내부 및 외부 구성요소를 갖는 밸러스트 제어 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98298B2 (en) 2011-03-01
US20100141300A1 (en) 2010-06-10
KR20100065672A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9438B2 (en) Driving circuits and controllers for controlling power to a load
US8421369B2 (en) Light emitting diode having protection function
US7825892B2 (en) LCD backlight driving signal generator
BRPI0715776A2 (pt) aparelho e mÉtodo para controlar tensço tÉrmica em um ou mais elementos emissores de luz
TW201304601A (zh) 發光二極體(led)驅動器電路
JP2007005285A (ja) 冷陰極蛍光ランプの駆動装置
JP5057790B2 (ja) 制御装置、照明装置、表示装置
KR20070050815A (ko) 광원 모듈 구동 장치
KR101002321B1 (ko) 액정 표시 장치의 램프 구동 장치 및 방법
KR100966991B1 (ko) 인버터 구동 집적회로
US9489898B2 (en) LED boost converter and backlight LED driver device using the same
KR20060109732A (ko) 백 라이트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US7183725B2 (en) Backlight inverter system and control method for starting the same
KR20130074069A (ko) 발광 다이오드 구동 장치
KR101229774B1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구동상태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994228B1 (ko)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구동장치
KR101201133B1 (ko) 백라이트 구동장치
KR101067041B1 (ko) 백라이트 구동방법
KR20110034809A (ko) 백라이트 유닛의 과전압 보호장치
KR101139520B1 (ko) 액정표시장치의 램프 구동장치
CN201303454Y (zh) 一种高压板之单灯驱动电路
KR20100089281A (ko) 램프 구동 장치
TWI409001B (zh) 適用於使用多根燈管的液晶顯示器之電源裝置
KR20060029890A (ko)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 어셈블리 구동장치
US20080048581A1 (en) Electronic ballast and method for driving fluorescent lam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12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505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