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5879B1 - 광 디스크 - Google Patents

광 디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879B1
KR100965879B1 KR1020030062682A KR20030062682A KR100965879B1 KR 100965879 B1 KR100965879 B1 KR 100965879B1 KR 1020030062682 A KR1020030062682 A KR 1020030062682A KR 20030062682 A KR20030062682 A KR 20030062682A KR 100965879 B1 KR100965879 B1 KR 100965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one
data
control data
recorded
recor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62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25456A (ko
Inventor
이경근
심재성
박창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62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879B1/ko
Priority to US10/929,765 priority patent/US7333417B2/en
Priority to JP2006525277A priority patent/JP2007505426A/ja
Priority to PCT/KR2004/002236 priority patent/WO2005024806A1/en
Priority to CNB2004800249930A priority patent/CN100395828C/zh
Priority to TW093126845A priority patent/TWI269282B/zh
Publication of KR20050025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5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879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8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 G11B20/1803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Testing, e.g. of drop-outs by redundancy in data representa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29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lead-in are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1217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 G11B2020/1218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 G11B2020/123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on disc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area of the disc lead-out are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64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concerns a specific kind of data
    • G11B2020/1265Control data, system data or management information, i.e. data used to access or process user data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0/12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 G11B2020/1291Formatting, e.g. arrangement of data block or words on the record carriers wherein the formatting serves a specific purpose
    • G11B2020/1292Enhancement of the total storage capacity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3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has a specific layer structure
    • G11B2220/235Multilayer discs, i.e. multiple recording layers accessed from the same sid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20Disc-shaped record carriers
    • G11B2220/25Disc-shaped record carriers characterised in that the disc is based on a specific recording technology
    • G11B2220/2537Optical dis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는 하나의 데이터 기록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층에는 리드 인 존, 데이터 존 및 리드 아웃 존이 마련된 광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의 상기 리드 인 존에는 제1 컨트롤 데이터 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리드 아웃 존에는 제2 컨트롤 데이터 존이 마련되어 있고, 광 디스크의 사용을 위한 컨트롤 데이터가 상기 제1 컨트롤 데이터 존 및 제2 컨트롤 데이터 존에 반복하여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 디스크의 사용에 관한 중요 정보인 컨트롤 데이터를 보다 신뢰성 있게 그리고 보다 많은 양을 기록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 디스크{Optical disc}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기록층(dual layer) 소형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바이-페이즈(bi-phase) 변조 또는 페이즈(phase) 변조된 와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광 디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다 많은 정보를 보다 신뢰성있게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에 관한 것이다.
정보를 저장하는 정보 저장 매체로는 플로피 디스크 및 하드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 테이프, ROM 이나 RAM과 같은 반도체 메모리 칩 및 레이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광 디스크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
이러한 정보 저장 매체들 중에서 광 디스크는 관련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정보 저장 용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여 매우 광범위 하게 사용되고 있다. 광 디스크는 정보저장용량에 따라 컴팩트 디스크(CD;compact disk),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digital versatile disk)로 구분된다. 그리고, 기록, 소거 및 재생이 가능한 광디스크로는 650MB CD-R, CD-RW, 4.7GB DVD+RW 등이 있다. 더 나아가 기록용량이 20GB 이상인 HD-DVD도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캠코더와 같이 음성뿐 아니라 영상 정보까지 함께 기록 및/또는 재생할 수 있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정보 저장 매체로서 광 디스크를 이용하고자 하는 시도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 디스크를 캠코더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에 이용하기에는 여러 가지 문제가 있다. 즉, 현재 주로 사용되는 80mm 또는 120mm 사이즈의 광 디스크를 캠코더의 정보 저장 매체로 이용하기에는 너무 크고, 전력 소비가 큰 문제가 있다.
따라서, 캠코더와 같은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정보 저장 매체로서 광 디스크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광 디스크보다 사이즈는 더 작은 반면에 데이터 기록 밀도는 더 향상된 소형의 광 디스크 개발이 진행중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이중기록층(dual layer) 소형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광 디스크는 제1 기록층인 L0 및 제2 기록층인 L1을 포함한다. 기록층 L0는 BCA 존, 리드-인 존, 데이터 존 및 리드-아웃 존을 포함한다. BCA 존은 BCA 정보 즉, 광 디스크의 시리얼 번호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리드-인 존은 컨트롤 데이터 존(control data zone), OPC(Optimum Power Control) 존, 디스크 인포메이션 존(disc information zone)을 포함한다.
컨트롤 데이터 존은 광 디스크의 크기, 규격의 버전 번호(version number), 기록층의 개수 등의 광 디스크의 구조에 관한 정보, writing strategy parameter 또는 기록 속도 등과 같은 광 디스크의 사용에 관한 중요 정보가 기록된다.
OPC 존은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기 위해 마련된 영역으로서 광 디스크가 로딩된 드라이브는 실제 데이터를 광 디스크에 기록하기 전에 OPC 존에 기록 파워를 변화시켜가면서 데이터를 기록해본 후 기록 품질이 최상인 경우에 사용된 기록 파워를 실제 데이터 기록 시 사용할 기록 파워로 결정한다.
디스크 인포메이션 존은 결함 관리(defect management)에 관한 정보, 드라이브에 대한 정보, 마지막으로 기록이 된 데이터 존의 주소 등의 광 디스크를 사용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할 디스크의 변화 정보, 및 기록 방지 정보 등이 기록된다.
리드 아웃 존에는 특정 목적을 위한 영역을 별도로 두지 아니하였으나, 데이터 용량의 가변에 따라 OPC 존 등을 배치할 수도 있다.
기록층 L1의 구조는 L0의 구조와 유사하다. 다만, BCA 존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L0의 컨트롤 데이터 존의 위치에 OPC1이 배치되어 있고, L0의 OPC0와 동일한 위치의 L1의 영역은 보류(reserved) 영역으로 남겨둔다.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단일 기록층 소형 광 디스크에 마련된 기록층의 구조는 도 1에 도시한 이중 기록층 광 디스크의 두 개의 기록층 중 기록층 L0의 구조와 동일하다.
종래 기술에 따르면, 광 디스크의 사용에 관한 중요 정보인 컨트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컨트롤 데이터 존이 리드 인 존에 하나 마련된다. 그러나 컨트롤 데 이터 존에 스크래치 또는 지문 등에 의한 결함이 발생하여 드라이브가 컨트롤 데이터를 읽을 수 없는 경우 전체 디스크를 전혀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소형 광 디스크 경우, 데이터 존을 가능한 넓게 확보하기 위해 리드 인 존 또는 리드 아웃 존을 감소시킨 경우 일반적인 광 디스크의 컨트롤 데이터 존에 비해 그 영역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컨트롤 데이터를 보다 신뢰성 있게 그리고 보다 많은 양을 기록할 수 있는 광 디스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한 광 디스크는,
하나의 데이터 기록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층에는 리드 인 존, 데이터 존 및 리드 아웃 존이 마련된 광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의 상기 리드 인 존에는 제1 컨트롤 데이터 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리드 아웃 존에는 제2 컨트롤 데이터 존이 마련되어 있고, 광 디스크의 사용을 위한 컨트롤 데이터가 상기 제1 컨트롤 데이터 존 및 제2 컨트롤 데이터 존에 반복하여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한 광 디스크는,
복수의 데이터 기록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층에는 리드 인 존, 데이터 존 및 리드 아웃 존이 마련된 광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록층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된 리드 인 존에는 제1 컨트롤 데이터 존이 마련되어 있고 리드 아웃 존에는 제2 컨트롤 데이터 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 데이터 존에는 광 디스 크의 사용을 위한 컨트롤 데이터가 반복하여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 디스크는 동일한 컨트롤 데이터가 상기 제1 컨트롤 데이터 존 또는 제2 컨트롤 데이터 존 중 하나에 반복하여 기록되거나 동일한 컨트롤 데이터가 상기 제1 컨트롤 데이터 존 및 제2 컨트롤 데이터 존에 각각 기록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 데이터 존에는 바이-페이즈(bi-phase) 변조된 와블 신호를 이용하여 컨트롤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컨트롤 데이터 존에는 페이즈(phase) 변조된 와블 신호를 이용하여 컨트롤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의 (a)는 단일 기록층(single layer) 광 디스크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이중 기록층(dual layer) 광 디스크를 나타낸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는 직경이 37mm인 소형의 광 디스크이다. 종래 광 디스크에 비해 사이즈가 줄어든 소형 광 디스크에 종래 ECC 블록 단위, 예컨대 64KB의 ECC 블록 단위로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소형 광 디스크의 내주 영역에 데이터 기록 시 하나의 ECC 블록이 래디얼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이 발 생할 수 있다. 하나의 ECC 블록이 래디얼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에 스크래치(scratch), 먼지 또는 지문 등에 의해 결함이 발생한다면, 래디얼 방향으로 겹쳐지지 않는 기록 블록에 결함이 발생한 경우에 비해 그 결함 발생의 영향이 배가되어 에러 정정 능력이 현저하게 감소하게 되어 재생 데이터의 신뢰성에 문제를 야기 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신뢰성있게 데이터 기록 및/또는 재생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제1 기록단위와, 제1 기록단위보다 데이터 용량이 큰 제2 기록 단위의 두 종류의 기록단위(recording unit)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광 디스크에 기록한다. 또한, 제2 기록단위의 길이와 동일한 원주 길이를 갖는 반경을 경계로 하여 그 경계 내측의 영역을 제1 기록단위영역이라 하고 그 경계 외측의 영역을 제2 기록단위영역이라 한다. 제1 기록단위영역에는 제1 기록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되고 제2 기록단위영역에는 제2 기록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됨으로써 전술한 바와 같이 하나의 기록 단위가 광 디스크의 반경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의 발생을 근본적으로 방지한다.
기록단위는 ECC 블록을 말하고, 본 실시예에서 제1 기록단위는 32KB의 ECC 블록이고 제2 기록 단위는 64KB의 ECC 블록을 이용한다. 64KB의 ECC 블록은 데이터 용량이 32KB ECC 블록보다 크므로 광 디스크에 기록할 경우, 그 물리적 길이는 64KB의 ECC 블록의 길이가 32KB ECC 블록의 길이보다 길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는 최소 마크 길이 0.119um, 변조 코드는 RLL(1,7), 제1 기록단위 영역에는 32KB ECC 블록단위로 기록하고 제2 기록단위 영 역에는 64KB ECC블록단위로 기록하고, 트랙 피치(pitch)는 0.32um, Pick access 가능 영역은 반경 8m 및 0.1mm cover layer coating에 의해 생기는 범프(bump)로 사용 못하는 영역은 1.0mm인 경우, 64KB ECC 블록의 길이와 광 디스크 상의 원주의 길이가 동일하게 되는 반경은 9.2mm에 해당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본 실시예에서는 반경 9.2mm를 기준으로 반경 9.2mm보다 내주의 영역은 제1 기록단위 영역으로 결정하고 반경 9.2mm보다 큰 영역은 제2 기록단위 영역으로 결정한다. 그리고 제1 기록단위영역에는 리드-인 존을 배치하고 제2 기록단위영역에는 데이터 존 및 리드-아웃 존을 배치한다.
한편, 다양한 크기의 소형 광 디스크를 고려하여, 도 2에 도시한 반경 및 데이터 용량에 있어서, 괄호 안에 표시한 것은 소형 광 디스크의 직경이 46mm인 경우에 해당하는 값이다.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소형 광 디스크의 내주 영역에 데이터 기록 시 하나의 ECC 블록이 래디얼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이 발생으로 인한 에러 정정 능력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도 2에 도시한 광 디스크에는 두 종류의 ECC 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였으나, 한 종류의 ECC 블록을 사용할 수도 있다.
64KB ECC 블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64KB ECC 블록의 길이와 동일한 원주 길이를 갖는 반경을 경계로 하여 그 경계 내측의 영역을 제1 데이터 영역이라 하고 그 경계 외측의 영역을 제2 데이터 영역이라 할 때, 제1 데이터 영역에는 에러정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는 데 이터 또는 에러정정 포맷과 다른 에러정정방식을 따르는 데이터를 기록하고, 제2 데이터 영역에는 에러정정 포맷에 따라 에러정정이 수행될 데이터를 기록한다. 제1 데이터 영역에는 에러정정을 할 필요가 없는 OPC 존 또는 컨트롤 데이터 존을 배치할 수 있다. 제2 데이터 영역에는 ECC 성능이 보장되어야 하는 정보들인 결함 관리 정보 및 드라이브 관련 정보가 기록되는 디스크 인포메이션 존과, 사용자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 존을 배치한다. 제1 데이터 영역과 제2 데이터 영역의 경계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경 9.2mm인 광 디스크 상의 위치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되는 ECC 블록의 길이와 동일한 원주 길이를 갖는 반경을 경계로 하여 영역을 구분하여 영역의 특성에 따라 데이터를 기록함으로써 디스크의 최내주 영역 데이터 기록 시 하나의 ECC 블록이 래디얼 방향으로 겹쳐지는 부분의 발생은 허용하되 이로 인한 에러 정정 능력의 현저한 감소는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광 디스크의 구조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의 (a)에 도시된 단일 기록층 광 디스크는 BCA 존, 리드-인 존, 데이터 존 및 리드-아웃 존을 포함한다. BCA 존은 BCA 정보 즉, 광 디스크의 시리얼 번호를 기록하기 위한 영역이다. BCA 정보는 미러(mirror)인 BCA 영역에 레이저에 의해 새겨질 수도 있고, 인접한 컨트롤 데이터 존에 기록된 정보와의 공정상의 연속성을 가지도록 하기 위해 컨트롤 데이터 존에 기록된 정보가 피트(pit) 또는 와블(wobble) 방식에 따라 데이터가 기록되었다면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BCA 정보를 기록한다.
리드-인 존은 디스크의 반경 8.8mm부터 9.2mm까지의 영역으로서 컨트롤 데이터 존 0, OPC 존, 디스크 인포메이션 존을 포함한다. 반경 9.2mm부터 17.358mm까지의 영역은 데이터 존으로 이용되고, 리드 아웃 존은 반경 17.358mm부터 17.5mm까지의 영역으로서 버퍼와 컨트롤 데이터 존 1을 포함한다. 버퍼는 광 디스크의 편심과 각 데이터 존의 시작 반경의 오차를 고려하여 마련된 것이다.
리드 인 존에는 32KB ECC 블록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되고, 데이터 존에는 64KB ECC블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된다.
OPC 존은 최적 기록 파워를 구하기 위해 마련된 영역으로서 광 디스크가 로딩된 드라이브는 실제 데이터를 광 디스크에 기록하기 전에 OPC 존에 기록 파워를 변화시켜가면서 데이터를 기록해본 후 기록 품질이 최상인 경우에 사용된 기록 파워를 실제 데이터 기록 시 사용할 기록 파워로 결정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의 리드 아웃 존에는 버퍼 영역이 마련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버퍼 영역 대신에 OPC 존을 할당할 수 있다. 리드 아웃 존에 OPC 존을 할당하는 경우, OPC 존에 데이터 기록 시 리드 인 존에 마련된 OPC 존에 데이터 기록 시와 마찬가지로 32 KB ECC 블록 단위로 데이터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드라이브가 리드 인 존 및 리드 아웃 존에 각각 마련된 OPC 존에 억세스(access)하는 능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해서이다.
디스크 인포메이션 존은 결함 관리(defect management)에 관한 정보, 드라이브에 대한 정보, 마지막으로 기록이 된 데이터 존의 주소 등의 광 디스크를 사용함에 따라 업데이트되어야 할 디스크의 변화 정보, 및 기록 방지 정보 등이 기록된 다.
리드 인 존 및 리드 아웃 존에 마련된 각 컨트롤 데이터 존에는 광 디스크의 크기, 규격의 버전 번호(version number), 기록층의 개수 등의 광 디스크의 구조에 관한 정보, writing strategy parameter 또는 기록 속도 등과 같은 광 디스크의 사용에 관한 중요 정보인 컨트롤 데이터가 기록된다.
본 발명에서는 광 디스크의 사용에 관한 중요 정보인 컨트롤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한 컨트롤 데이터 존을 리드 인 존 및 리드 아웃 존에 복수개 마련하고, 데이터 신뢰성 확보를 위해 동일 데이터를 반복하여 기록한다.
컨트롤 데이터를 반복 기록하는 방법은 다음 두 가지를 예로 들 수 있다. 첫째, 각 컨트롤 데이터 존에 동일 데이터를 반복하여 기록하고, 컨트롤 데이터 존 0을 먼저 사용하여 컨트롤 데이터 존 0가 컨트롤 데이터로 모두 채워지면 컨트롤 데이터 존 1에 기록하는 방식이다. 두 번째, 컨트롤 데이터 존 0 및 컨트롤 데이터 존 1을 동시에 사용하되, 동일 컨트롤 데이터를 컨트롤 데이터 존 0 및 컨트롤 데이터 존 1에 각각 기록하는 방식이다.
한편, 컨트롤 데이터 존에 기록되는 컨트롤 데이터는 피트(pit)를 형성하여 기록되거나 고주파 와블을 트랙에 성형함으로써 기록될 수 있다. 또한 프리-리코딩(pre-recording) 방식으로 데이터를 기록할 수도 있다. 프리-리코딩(pre-recording) 방식이라 함은 드라이브에 의한 데이터 기록 방식, 예컨대 상변화 기록방식 등과 동일한 방식으로 미리 데이터를 기록하는 것을 말한다.
나아가, 컨트롤 데이터 존에 고주파 와블 신호를 트랙에 성형함으로써 컨트 롤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 보다 많은 양의 컨트롤 데이터 기록이 가능한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와블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바이-페이즈(bi-phase) 변조 또는 페이즈(phase) 변조된 와블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바이-페이즈(bi-phase) 변조된 와블 신호는 소정 주기의 각 와블 신호가 zero를 crossing하는 경우에는 데이터 비트 "1을 할당하고, crossing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 비트 "0"을 할당함으써 데이터 비트를 나타낸다.
페이즈 변조된 와블신호는 소정 주기의 각 와블 신호가 바로 다음 주기의 와블 신호의 시작점에서 위상이 180도 바뀔 경우는 데이터 비트 "1"을 할당하고, 위상이 연속적인 경우에는 데이터 비트 "0"을 할당함으로써 데이터 비트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두 가지 변조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컨트롤 데이터 존에 기록되는 데이터의 집적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변조 방식에 따라 변조된 와블 신호를 이용하여 컨트롤 데이터를 기록하는 방식은 컨트롤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할당된 영역이 넓지 않은 소형 광 디스크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도 2의 (b)에 도시한 이중 기록층 광 디스크의 경우, 기록층 L0의 구조는 도 2의 (a)에 도시된 기록층 L0의 구조와 동일하다. 기록층 L1의 구조는 L0의 구조와 유사하나, 기록층 L1과 달리 BCA 존이 마련되어 있지 않고 L0의 컨트롤 데이터 존 0이 위치한 반경과 동일한 반경 범위에 OPC1이 배치되어 있고, L0의 컨트롤 데이터 존 1이 위치한 반경과 동일한 반경 범위는 보류 영역으로 남겨져 있다. 또한, L0의 OPC 0이 위치한 반경과 동일한 반경 범위 역시 보류(reserved) 영역으로 남겨져 있 다.
도 2의 (b)에 도시한 이중 기록층 광 디스크의 경우, 기록층 L1에는 컨트롤 데이터 존이 마련되어 있지 않으나, 기록할 컨트롤 데이터의 양이 증가하거나 컨트롤 데이터 신뢰도를 더 강화하기 위해 2회 이상 반복 기록하는 경우 등 필요에 따라 기록층 L0와 동일한 위치에 각각 컨트롤 데이터 존을 더 마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광 디스크는 종래에 비해 크기가 작은 소형의 광 디스크를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단일 기록층 또는 이중 기록층을 갖는 광 디스크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3층 이상의 데이터 기록층을 갖는 광 디스크의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광 디스크의 사용에 관한 중요 정보인 컨트롤 데이터를 보다 신뢰성 있게 그리고 보다 많은 양을 기록할 수 다. 특히, 본 발명은 컨트롤 데이터의 기록을 위해 할당된 영역이 넓지 않은 소형 광 디스크의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Claims (11)

  1.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 기록층을 포함하고, 상기 기록층에는 리드 인 존, 데이터 존 및 리드 아웃 존이 마련된 광 디스크에 있어서,
    상기 기록층의 상기 리드 인 존 및 상기 리드 아웃 존에는 컨트롤 데이터 존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컨트롤 데이터 존에는 컨트롤 데이터가 와블 신호를 이용하여 기록되며,
    상기 컨트롤 데이터는 상기 광 디스크의 크기 정보, 상기 데이터 기록층의 개수 정보 및 라이팅 스트래티지 파라미터(writing strategy paramet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동일한 컨트롤 데이터가 상기 리드인 존의 컨트롤 데이터 존 또는 상기 리드아웃 존의 컨트롤 데이터 존 중 하나에 반복하여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4. 제 1항에 있어서,
    동일한 컨트롤 데이터가 상기 리드인 존의 컨트롤 데이터 존 및 상기 리드 아웃 존의 컨트롤 데이터 존에 각각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데이터 존에는 바이-페이즈(bi-phase) 변조된 와블 신호 또는 페이즈(phase) 변조된 와블 신호를 이용하여 컨트롤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 데이터 존에는 피트 방식 또는 프리-리코딩(pre-recording) 방식 중 하나의 방식에 따라 컨트롤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는 제1 기록 단위와, 상기 제1 기록 단위보다 길이가 긴 제2 기록 단위의 두 가지 기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제2 기록 단위의 길이와 동일한 원주 길이를 갖는 반경을 경계로 상기 데이터 기록층이 제1 기록 단위 영역과 제2 기록 단위 영역으로 나뉘고, 상기 제1 기록 단위 영역에는 상기 제1 기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제2 기록 단위 영역에는 상기 제2 기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 디스크는 하나의 소정 기록 단위로 데이터가 기록되고, 상기 기록 단위의 길이와 동일한 원주 길이를 갖는 반경을 경계로 상기 기록 단위의 길이보다 짧은 원주 길이를 가지는 제1 데이터 영역과 상기 기록 단위의 길이보다 긴 원주 길이를 가지는 제2 데이터 영역으로 상기 데이터 기록층이 나뉘어져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 영역에는 상기 소정 에러정정이 수행될 필요가 없는 데이터 또는 상기 소정 에러정정포맷과 다른 에러정정방식을 따르는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터 영역에는 상기 소정 에러정정포맷에 따라 에러정정이 수행될 데이터가 기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디스크.
KR1020030062682A 2003-09-08 2003-09-08 광 디스크 Expired - Fee Related KR100965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682A KR100965879B1 (ko) 2003-09-08 2003-09-08 광 디스크
US10/929,765 US7333417B2 (en) 2003-09-08 2004-08-31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nd/or reading data from the same
JP2006525277A JP2007505426A (ja) 2003-09-08 2004-09-03 情報記録媒体、データの記録/再生方法及び装置
PCT/KR2004/002236 WO2005024806A1 (en) 2003-09-08 2004-09-03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nd/or reading data from the same
CNB2004800249930A CN100395828C (zh) 2003-09-08 2004-09-03 在信息存储介质上记录和/或从其读取数据的方法和设备
TW093126845A TWI269282B (en) 2003-09-08 2004-09-06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nd/or reading data from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62682A KR100965879B1 (ko) 2003-09-08 2003-09-08 광 디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5456A KR20050025456A (ko) 2005-03-14
KR100965879B1 true KR100965879B1 (ko) 2010-06-24

Family

ID=37064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62682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5879B1 (ko) 2003-09-08 2003-09-08 광 디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65879B1 (ko)
CN (1) CN100395828C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796A (ko) * 1998-03-24 1999-10-15 구자홍 광디스크
KR20020084671A (ko) * 2001-05-02 2002-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70605B2 (ja) * 2001-03-16 2013-03-27 ソニー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方法、再生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プログラム、並びにディスク媒体
JP3561256B2 (ja) * 2001-12-28 2004-09-02 株式会社東芝 情報記憶媒体、情報記録装置、情報再生装置、情報記録方法、及び情報再生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5796A (ko) * 1998-03-24 1999-10-15 구자홍 광디스크
KR20020084671A (ko) * 2001-05-02 2002-11-09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디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95828C (zh) 2008-06-18
KR20050025456A (ko) 2005-03-14
CN1846256A (zh) 2006-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9908A1 (en) Multi-layered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therefor
WO2003102930A1 (en) Optical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recording/reproducing method for the same
JP2005209322A (ja)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媒体
CN1329890C (zh) 在光学信息存储介质上记录数据的方法
EP1639581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US20050030853A1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JP5084963B2 (ja) 情報記録媒体及び再生装置
KR100965879B1 (ko) 광 디스크
CN101800055B (zh) 记录/再现方法
JP4991536B2 (ja) 情報記録媒体、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US7333417B2 (en)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on and/or reading data from the same
US7746754B2 (en) Method of allocating areas in optical disc, dat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dopting the same, and optical disc therefor
KR20050019650A (ko) 소형 광 디스크
KR100965882B1 (ko) 정보 저장매체, 데이터의 기록/재생 방법 및 장치
KR100727951B1 (ko) 다층 정보 저장 매체, 그 사전 기록 방법 및 기록/재생장치
JP2005531872A (ja) 情報保存媒体及びその記録及び/または再生方法
KR20040009002A (ko) 광정보 저장매체 및 그 기록 방법
JP2007220294A (ja) 光ディスク装置、光ディスク情報記録方法及び光ディスク媒体
KR20040009358A (ko) 광정보 저장매체 및 그 기록 방법
HK1086932A1 (zh) 记录物理地址信息的方法及数据记录和/或再现方法
HK1086932B (en) Method of recording physical address information and method of recording and/or reproducing data
KR20050015810A (ko) 정보 저장매체, 그 정보 저장매체에 데이터 기록 방법 및그 데이터 기록 장치
KR20070010970A (ko) 다층 정보 저장 매체의 포맷팅 방법 및 기록/재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309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0808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309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5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5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053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5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