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0965556B1 -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 Google Patents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5556B1
KR100965556B1 KR1020090054333A KR20090054333A KR100965556B1 KR 100965556 B1 KR100965556 B1 KR 100965556B1 KR 1020090054333 A KR1020090054333 A KR 1020090054333A KR 20090054333 A KR20090054333 A KR 20090054333A KR 100965556 B1 KR100965556 B1 KR 100965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bolt
toilet
inclined portion
coupl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현
Original Assignee
이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현 filed Critical 이성현
Priority to KR10200900543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5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5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5556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6Armrests mounted on or around the toil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17/02Body supports, other than seats, for closets, e.g. handles, back-rests, foot-rests; Accessories for closets, e.g. reading tables
    • A47K17/022Wall mounted grab bars or handles, with or without support on the flo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5/00Screw-bolts; Stay-bolts; Screw-threaded studs; Screws; Set screws
    • F16B35/005Set screws; Lock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7/00Other equipment, e.g. separate apparatus for deodorising, disinfecting or cleaning devices without flushing for toilet bowls, seats or covers; Holders for toilet brushes
    • A47K2017/006Defecation help for disabled pers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Flushing Toil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실용 안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평판의 형상을 가지며, 관통된 구멍인 볼트결합공을 가져서 화장실 좌변기와 결합되는 받침판부재와, 상기 받침판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부를 가지는 제1측방부재와, 상기 받침판부재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부를 가지는 제2측방부재와, 상기 제1측방부재에 결합되며, 관통공인 제1볼트통과공을 가지는 제1결합판부재와, 상기 제2측방부재에 결합되며, 관통공인 제2볼트통과공을 가지는 제2결합판부재 및 상기 제1볼트통과공과 제2볼트통과공을 각각 관통하여 그 끝단은 상기 좌변기의 표면과 밀착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간단하게 화장실의 좌변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노약자나 인체의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운 환자들이 화장실의 좌변기에 앉거나 일어설 때 용이하게 그 동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화장실용 안전손잡이{Safety handle for water closet}
본 발명은 화장실용 안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간단하게 화장실의 좌변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노약자나 인체의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운 환자들이 화장실의 좌변기에 앉거나 일어설 때 용이하게 그 동작을 할 수 있는 화장실용 안전손잡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실에는 좌변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국식으로 재래의 방식으로 사용되던 화장실은 근래 찾아보기가 힘들고, 현재의 화장실에는 물을 이용하여 인체의 배설물을 청소하는 좌변기(서양식 변기)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좌변기는 사용하고자 하는 사람이 좌변기에 앉아서 볼일을 보는 방식임은 누구에게나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하체의 힘이 부족한 노약자나 인체의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운 환자들은 화장실에 설치된 좌변기에 앉는 것도 힘들지만, 용변을 다 보고난 후 일어서는 것 역시 굉장히 힘들다.
이렇게 좌변기에 앉거나 일어서는 과정에서 다리에 힘이 없거나 인체의 움직 임이 부자유스러워 미끄러지거나 하는 경우 등에는 견고하게 형성된 화장실의 바닥에 인체가 충돌하여 불의의 사고를 당할 위험성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화장실의 좌변기에 앉거나 일어설 때 용이하게 보조를 받을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간단하게 화장실의 좌변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노약자나 인체의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운 환자들이 화장실의 좌변기에 앉거나 일어설 때 용이하게 그 동작을 할 수 있는 화장실용 안전손잡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는, 평판의 형상을 가지며, 관통된 구멍인 볼트결합공을 가져서 화장실 좌변기와 결합되는 받침판부재와, 상기 받침판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부를 가지는 제1측방부재와, 상기 받침판부재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부를 가지는 제2측방부재와, 상기 제1측방부재에 결합되며, 관통공인 제1볼트통과공을 가지는 제1결합판부재와, 상기 제2측방부재에 결합되며, 관통공인 제2볼트통과공을 가지는 제2결합판부재 및 상기 제1볼트통과공과 제2볼트통과공을 각 각 관통하여 그 끝단은 상기 좌변기의 표면과 밀착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여, 인체가 상기 제1측방부재와 제2측방부재 사이에 위치되었다가 상기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를 잡으면서 딛고 일어섬으로 해서 용이하게 좌변기로부터 일어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는, 상기 제1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되는 제1만곡부와, 상기 제2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되는 제2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의 상기 제1측방부재와 제2측방부재 사이의 거리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인체가 용이하게 상기 제1측방부재와 제2측방부재 사이를 출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의 상기 볼트결합공은 장공의 형상을 가져서, 좌변기에 부착된 볼트와의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에 의하면, 간단하게 화장실의 좌변기에 설치될 수 있으며, 노약자나 인체의 움직임이 부자유스러운 환자들이 화장실의 좌변기에 앉거나 일어설 때 용이하게 그 동작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 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손잡이의 측면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손잡이의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도 4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손잡이를 화장실의 좌변기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을, 도 10 내지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손잡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100)는 받침판부재(10)와, 제1측방부재(20)와, 제2측방부재(30)와, 제1결합판부재(40)와, 제2결합판부재(50)와, 볼트부재(6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받침판부재(10)는 평판의 형상을 가지며, 관통된 구멍인 볼트결합공(12)을 가져서 화장실 좌변기(3)와 결합된다.
이 때, 상기 볼트결합공(12)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의 형상을 가져서 좌변기에 부착된 볼트와의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볼트결합공(12)이 장공의 형태를 가지면 상기 받침판부재(10)가 다소 정확한 위치에서 벗어나더라도 상기 볼트결합공(12)을 좌변기에 설치된 볼트(도 4의 참조번호 5)가 용이하게 관통하게 되어, 좌변기(3)와 상기 받침판부재(10)와의 결합이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측방부재(20)는 상기 받침판부재(10)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수평부(22)와, 상기 제1수평부(2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부(24)를 가진다.(도 2 참조)
또한, 상기 제1측방부재(20)에는 상기 제1경사부(24)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되는 제1만곡부(2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측방부재(30)는 상기 받침판부재(10)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수평부(32)와, 상기 제2수평부(32)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부(34)를 가진다.
또한, 상기 제2측방부재(30)에는 상기 제2경사부(34)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되는 제2만곡부(3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결합판부재(40)는 상기 제1측방부재(20)에 결합되며, 관통공인 제1볼트통과공(42)을 가진다.
상기 제2결합판부재(50)는 상기 제2측방부재(30)에 결합되며, 관통공인 제2볼트통과공(52)을 가진다.
상기 볼트부재(60)는 상기 제1볼트통과공(42)과 제2볼트통과공(52)을 각각 관통하여 그 끝단은 상기 좌변기의 표면과 밀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측방부재(20)와 제2측방부재(30) 사이의 거리 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경사부(24)와 제2경사부(34) 사이의 수평 거리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제1경사부(24)와 제2경사부(34) 사이의 수평 거리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시키면, 인체가 용이하게 상기 제1측방부재(20)와 제2측방부재(30) 사이를 출입할 수 있게 되어, 결과적으로 용이하게 좌변기(3)에 앉았다가 일어서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100)는 다음과 같이 좌변기(3)에 결합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의 뒤쪽 저면과 인체의 엉덩이를 받치는 부위인 좌면 후방에 결합 관통된 볼트(5)를 제거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변기의 좌면 후방에 있는 구멍과 상기 볼트결합공(12)을 일치하게 맞춘 뒤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5)를 상기 볼트결합공(12)을 관통시킨 뒤에 다시 그 볼트(5)를 체결하여, 상기 좌변기(3)와 상기 받침판부재(10)를 상호 결합시킨다.
이어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볼트부재(60)의 끝단이 상기 제1볼트통과공(42)과 제2볼트통과공(52)을 각각 관통하여 그 볼트부재(60)들의 끝단이 각각 상기 좌변기(3)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결합시킨다.
이렇게 상기 볼트부재(60)들을 상기 좌변기(3)의 표면과 밀착되도록 결합시 킴으로써 인체가 상기 제1경사부(24)와 제2경사부(34)를 잡으면서 앉거나 일어설 때 힘을 받쳐줄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거쳐서 좌변기(3)에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결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먼저, 좌변기(3)에 앉을 때의 일례를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손으로 상기 제1경사부(24)와 제2경사부(34) 혹은 제1만곡부(26)와 제2만곡부(36)를 단단히 움켜 쥔 상태에서 안전한 자세를 유지한다.
이어서, 도 11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오른손을 잡고 있는 상태에서 몸을 천천히 돌려 회전하면서 왼쪽 손으로 옮겨 잡는다.
이어서, 도 13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경사부(24)와 제1만곡부(26)를 양손으로 잡고 있는 상태에서 다리에 힘을 주면서 좌변기(3)에 앉는다.
다음으로 좌변기(3)에서 일어서는 동작의 일례를 설명한다.
먼저, 도 16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을 손 쪽으로 끌어당기면서 상체를 앞으로 밀어준다.
이어서,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리에서 일어서되 상기 제1경사부(24)와 제2경사부(34)를 잡은 손을 밀면서 일어나면 되는 것이다.
이 때, 상기 제1경사부(24)와 제2경사부(34)가 상기 제1수평부(22) 및 제2수평부(32)에 대해서 각각 예각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제1경사부(24)와 제2경사부(34)를 손으로 밀 때, 더욱 편리하고 용이하게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즉, 일어서고자 하는 방향과 거의 직각인 방향으로 상기 제1경사부(24)와 제2경사부(3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체의 팔이 상기 제1경사부(24)와 제2경사부(34)를 밀 때, 작용과 반작용 법칙에 의해서 일어서는 방향으로 거의 모든 팔 힘을 전달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노약자나 신체의 움직임이 부자유스럽거나 힘이 부족한 환자들도 용이하게 좌변기(3)에 앉거나 일어설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100)는 그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용이하게 별도의 기구가 필요 없이 화장실의 좌변기(3)에 결합될 수 있으므로, 그 설치 비용이 저렴하고 그 생산 단가가 저렴하다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실용 안전손잡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손잡이의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손잡이의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안전손잡이를 화장실의 좌변기에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0 내지 도 21은 도 1에 도시된 안전손잡이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받침판부재 12. 볼트결합공
20. 제1측방부재 22. 제1수평부
24. 제1경사부 26. 제1만곡부
30. 제2측방부재 32. 제2수평부
34. 제2경사부 36. 제2만곡부
40. 제1결합판부재 42. 제1볼트통과공
50. 제2결합판부재 52. 제2볼트통과공
60. 볼트부재

Claims (4)

  1. 평판의 형상을 가지며, 관통된 구멍인 볼트결합공을 가져서 화장실 좌변기와 결합되는 받침판부재;
    상기 받침판부재의 일측면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1수평부와, 상기 제1수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1경사부를 가지는 제1측방부재;
    상기 받침판부재의 타측면에 결합되며,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제2수평부와, 상기 제2수평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되 예각으로 연장되는 제2경사부를 가지는 제2측방부재;
    상기 제1측방부재에 결합되며, 관통공인 제1볼트통과공을 가지는 제1결합판부재;
    상기 제2측방부재에 결합되며, 관통공인 제2볼트통과공을 가지는 제2결합판부재; 및
    상기 제1볼트통과공과 제2볼트통과공을 각각 관통하여 그 끝단은 상기 좌변기의 표면과 밀착되는 볼트부재;를 포함하여,
    인체가 상기 제1측방부재와 제2측방부재 사이에 위치되었다가 상기 제1경사부와 제2경사부를 잡으면서 딛고 일어섬으로 해서 용이하게 좌변기로부터 일어설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되는 제1만곡부와,
    상기 제2경사부로부터 연장되어 굴곡되는 제2만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측방부재와 제2측방부재 사이의 거리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그 거리가 점진적으로 멀어지도록 형성되어, 인체가 용이하게 상기 제1측방부재와 제2측방부재 사이를 출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결합공은 장공의 형상을 가져서, 좌변기에 부착된 볼트와의 결합이 더욱 용이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KR1020090054333A 2009-06-18 2009-06-18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Expired - Fee Related KR100965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333A KR100965556B1 (ko) 2009-06-18 2009-06-18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333A KR100965556B1 (ko) 2009-06-18 2009-06-18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5556B1 true KR100965556B1 (ko) 2010-06-23

Family

ID=42370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333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5556B1 (ko) 2009-06-18 2009-06-18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555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378B1 (ko) * 2013-07-22 2014-11-27 박미옥 노약자용 좌변기 보조 장치
KR101574477B1 (ko) 2014-04-09 2015-12-04 주식회사 천일피앤씨 노약자용 좌변기의 안전손잡이가 장착된 변기시트
KR20160145346A (ko) 2015-06-10 2016-12-20 이종영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
KR102038586B1 (ko) 2018-11-28 2019-10-31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 세정기의 안전 손잡이
KR20210131027A (ko) 2020-04-23 2021-11-02 최지인 인체감지형 led 안전 손잡이
KR20220037624A (ko) 2020-09-18 2022-03-25 윤경수 매트를 포함하는 안전 지지장치
KR102406329B1 (ko) 2022-02-27 2022-06-07 박우경 다리 지지 구조를 구비한 접이식 안전 손잡이
KR102466328B1 (ko) 2021-10-13 2022-11-14 주식회사 베스타 좌변기용 안전 손잡이
KR102665662B1 (ko) 2023-10-26 2024-05-13 주식회사 해마산업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손잡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7254A (ja) * 1988-10-15 1990-04-19 Oriental:Goushi ポータブル便器補助装置
JPH11169406A (ja) 1997-10-09 1999-06-29 Komura Seisakusho:Kk 用便装置
KR200187443Y1 (ko) * 2000-02-07 2000-07-01 박해준 좌변기용 받침대
KR100816873B1 (ko) 2007-01-05 2008-03-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기립보조부를 구비한 좌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07254A (ja) * 1988-10-15 1990-04-19 Oriental:Goushi ポータブル便器補助装置
JPH11169406A (ja) 1997-10-09 1999-06-29 Komura Seisakusho:Kk 用便装置
KR200187443Y1 (ko) * 2000-02-07 2000-07-01 박해준 좌변기용 받침대
KR100816873B1 (ko) 2007-01-05 2008-03-26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동기립보조부를 구비한 좌변기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6378B1 (ko) * 2013-07-22 2014-11-27 박미옥 노약자용 좌변기 보조 장치
KR101574477B1 (ko) 2014-04-09 2015-12-04 주식회사 천일피앤씨 노약자용 좌변기의 안전손잡이가 장착된 변기시트
KR20160145346A (ko) 2015-06-10 2016-12-20 이종영 벽 부착식 좌변기 안전 보호대
KR102038586B1 (ko) 2018-11-28 2019-10-31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온수 세정기의 안전 손잡이
KR20210131027A (ko) 2020-04-23 2021-11-02 최지인 인체감지형 led 안전 손잡이
KR20220037624A (ko) 2020-09-18 2022-03-25 윤경수 매트를 포함하는 안전 지지장치
KR102466328B1 (ko) 2021-10-13 2022-11-14 주식회사 베스타 좌변기용 안전 손잡이
KR102406329B1 (ko) 2022-02-27 2022-06-07 박우경 다리 지지 구조를 구비한 접이식 안전 손잡이
KR102665662B1 (ko) 2023-10-26 2024-05-13 주식회사 해마산업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손잡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5556B1 (ko) 화장실용 안전손잡이
US20140123382A1 (en) Gas spring lift assisted toilet seat assembly
US20110289666A1 (en) Foot actuated toilet seat lifting and self-lowering mechanism
KR20130072361A (ko) 좌변기용 물내림 레버 작동 연결장치
JP3694644B2 (ja) 便器用着座補助装置
JP5524895B2 (ja) 便器用手摺
KR20080003994U (ko) 좌변기의 배수 레버 작동장치
CN210354509U (zh) 一种自主式辅助固定排泄器
CN203334400U (zh) 一种改进坐便器
JP2008253295A (ja) 小便器用手すり
CN108797738B (zh) 一种蹲坐两用式马桶
CN2910085Y (zh) 新型清洗、坐便、坐厕多用椅
CN204728437U (zh) 一种坐椅式冲水马桶
JP2005253564A (ja) 洗面器取付用手摺り
JP2015213631A (ja) 便器用手摺
CN214906343U (zh) 一种可调节式坐便器扶手
KR200440292Y1 (ko) 유압을 이용한 페달식 좌변기
JP3169362U (ja) 起き上がり動作補助具
CN203247667U (zh) 一种带扶手脚蹬坐便器
JP4292579B2 (ja) 手すり機能を備えたトイレ内手洗器
KR20150047230A (ko) 남자 소변용 기구를 갖춘 좌변기
JPH11262504A (ja) 起立着席補助具
KR200434794Y1 (ko) 좌변기의 좌대 개폐장치
JP4530300B1 (ja) 身体を支える寄り添い器
CN205568860U (zh) 一种便于支撑站起的坐便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1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06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071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0707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4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6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3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