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4284B1 -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기 - Google Patents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4284B1 KR100964284B1 KR1020080051137A KR20080051137A KR100964284B1 KR 100964284 B1 KR100964284 B1 KR 100964284B1 KR 1020080051137 A KR1020080051137 A KR 1020080051137A KR 20080051137 A KR20080051137 A KR 20080051137A KR 100964284 B1 KR100964284 B1 KR 1009642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ight source
- diffusion pattern
- angle
- degrees
- guide plat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4—Light-guides, e.g. fibre-optic bundles, louvered or jalousie light-guid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8—Linear indentations or grooves, e.g. arc-shaped grooves or meandering grooves, extending over the full length or width of the light guide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53—Reflecting element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의 백라이트유닛의 면광원 장치의 구조와 확산패턴 배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종래의 백라이트유닛의 면 광원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집광시트(1), 도광판(2), 광원(3),(11), 확산시트(5), 프리즘시트(6),(7), 확산패턴(8)(9),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도면부호 10은 광의 진행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는 광 산란성이 적고 광의 지향성이 우수한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광의 산란성이 우수하나 광의 로스가 많은 백라이트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1c는 도 1a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광판에서의 확산패턴의 배치 형태이다. 배치형태는 부채꼴 모양으로 빛의 진행 방향과 직각으로 확산 패턴을 배치한다. 여기서 화살표(10)는 빛이 진행되는 방향이다. 발광부(11)를 중심으로 하는 가상의 동심원 형상을 한 원호의 위에 다수의 확산패턴이 이산(離散)적으로 배치되어있다.
도 1d는 도 1b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도광판의 확산패턴 배치형태로 램덤하게 배치하며, 이때 확산패턴의 밀도는 광원에서 가까운 부분은 밀도가 적고 멀어질수록 밀도가 큰 형태이다. 도 1c에서도 확산패턴의 배치밀도는 광원에서 가까운 쪽은 밀도가 적고, 먼 쪽은 밀도가 크다.
도 2를 참조하면, 광원(3)에서 도광판(2)으로 입사하여 입사된 도광판(2)의 상하면을 통해 전반사를 반복하다가 확산패턴(7)에 반사된 광(光) 중 도광판(2)의 출사면(2a)의 임계각보다도 작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면, 출사면(2a)을 통하여 도광판(2)의 상면으로 출사된다.
도 2b는 확산패턴에 입사된 광이 확산패턴(7)에 반사되어 입사된 광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되고, 도 2c는 입사된 방향과 관계없이 산란되어 진다. 따라서 도 2b와 같이 지향성이 큰 확산패턴(7)으로 배치되어 있고, 광의 진행방향과 직각으로 배치된 것으로 이루어진 도광판(2)은 광원과 광원 사이에 암부와 광원의 세기가 큰 방향에서는 휘선(써치), 얼룩, 암부 등이 발생한다. 1개의 광원으로 이루어진 도광판(2)도 광원 광도 분포에 따라서 역시 휘선과 얼룩, 암부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도 2c와 같은 타원형 또는 원형과 같은 패턴은 광이 확산패턴에 의해 산란되어 광의 지향성이 없어 휘선, 얼룩, 암부 등의 발생은 적으나, 산란에 의한 광의 로스로 전체적인 휘도의 감소가 크다. 도 2b 외에 확산패턴(7)의 단면이 반원통형, 사다리꼴 형태와 같은 확산패턴도 지향성이 있어 역시 휘선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확산패턴은 단면이 대칭 또는 비대칭의 삼각형 형태, 사다리꼴 형태, 다각형 형태, 반원통형 형태, 피라미드 형태 중 하나로 오목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면광원 장치는 상기 도광판의 상면에 단면이 대칭 또는 비대칭의 삼각형, 사다리꼴, 반 원통형, 원형, 타원형 중 하나로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한 확산패턴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면광원 장치는 도 6e에서 처럼 상기 확산패턴의 전면 또는 상기 확산패턴의 광의 입사 부분에 원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보조 확산패턴을 구성하거나 또는 상기 확산패턴의 광의 입사 부분에 보조패턴을 구성하여 휘선과 암부를 개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 확산패턴은 광의 산란 효과가 좋은 원형 또는 타원형을 사용하며,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볼록하게 나오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조확산패턴의 깊이는 휘선 암부,얼룩 상태에 따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확산패턴을 단면에서 볼 때, 도 7a, 도 7b에서 처럼 확산패턴의 밑면과 이루는 양쪽 기울기의 각도(α)는 한쪽이 30도에서 70도 사이이고, 다른 쪽(β)이 45도에서 90도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광판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투명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은 1개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원과 상기 도광판 면이 인접한 광 입사면은 렌즈나 프리즘같이 요철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도 1b 프리즘 시트(6),(7)가 수직방향의 프리즘 시트와 수평방향의 프리즘 시트로 구성하는 경우, 상부 프리즘 시트 형상이 하부에 위치한 프리즘 시트 형상의 반대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일반 프리즘 시트는 수직방향의 프리즘 시트, 수평방향의 프리즘 시트를 2장 겹쳐 사용하거나 또는 이 중에서 1장만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프리즘 시트와 확산기능이 일체화된 시트, 그리고 여러 형태의 광학 시트를 포함한다.
상기 면광원 장치는 상기 프리즘 시트와 상기 도광판 사이에 확산 시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면광원 장치를 이용한 기기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면광원 장치를 이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 예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이고, 도 4는 그 개략 단면도이다.
상기 백라이트 유닛은 도 3과 같이, 반사판(21), 광원(22), 도광판(23), 프리즘시트(24) 1장 또는 여러 장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광판(23)은 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아크릴 수지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도광판(23)의 아래쪽 면에는 확산패턴(26)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광원(22)은 1개 또는 다수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광원(22)과 상기 도광판(23)이 인접한 부분은 광 입사면으로 렌즈나 프리즘 같은 요철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도광판(23) 상부에 위치한 상기 프리즘시트(24)는 시트 상부 또는 하부에 프리즘 또는 확산기능을 가지는 형상이 이루어져 있고, 일반 프리즘 시트는 수직 프리즘 시트와 수평 프리즘 시트를 2장 겹쳐 사용하거나 1장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반사판(21)은 표면에 은(Ag)을 도금하거나 증착하여 경면(鏡面) 가공하여 상기 도광판(23)의 하단에 배치한다.
상기 도광판(2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확산패턴(26)은 스탬퍼 또는 직가공 금형 등으로 만들 수 있고, 상기 도광판(23)은 사출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 다른 방법은 자외선 경화 수지를 이용하여 상기 도광판(23) 하단에 스탬퍼를 이용하여 가압 및 경화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23)의 하부에 형성되어있는 확산패턴(26)은 상기 광원(22)과 가까운 부분 즉, 입광부는 밀도가 적고 장축 길이방향과 X축과의 +, - 각도(θ)의 크기는 크고, 상기 광원(22)과의 거리가 먼 쪽은 상기 확산패턴(26)의 밀도가 많고, 장축 길이방향과 X축과의 +, - 각도(θ)의 크기는 적거나, 0도로 배치되어 있다. 입광부쪽의 광원과 광원 사이 부분은 밀도를 크게 하여 암부를 제거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확산패턴(26)은 상기 도광판(23)의 하단에 대칭 또는 비대칭 단면 삼각형(도 6a)으로 오목하게 형성하거나 볼록하게 형성하고, 사다리꼴 형태(도 6b), 다각형 형태 또는 반원 형태(도 6c)로 오목하게 형성하거나 볼록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꼭지점이 2개인 피라미드 형태(도 6d)로 오목하게 형성하거나 볼록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장축이 라운드 된 형태 즉 구부러진 형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확산패턴(26)은 모두 광의 진행 방향(도 1c의 10)은 휘도가 높고, 그의 좌우 쪽은 휘도가 작은 현상 즉 휘선과 암부, 얼룩이 발생한다. 또한 원형과 같은 확산패턴(26)은 광의 산란이 커서 휘선과 암부는 좋으나, 휘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휘선과 암부를 개선하고 전체적인 휘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확산패턴(26) 전면에 원형, 타원형과 같은 보조 확산패턴(도 6e)과 상기 확산패턴(26)의 광의 입사 부분에 보조 확산패턴(도 6f)을 이용하여 휘선과 암부를 개선하는 기술이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확산패턴(26)을 도 5의 도면부호 27과 같이, 장축 길이방향과 X축과의 +, - 각도(θ)로 램덤하게 각도를 변경시키고, 이때의 랜덤 각도(θ)의 최대각도는 광원(22)에 가까이에서는 크게, 광원(22)에서 장축 방향으로 멀수록 단계적으로 각도를 점점 작게 하여 광원(22)에서 가까운 부근에서의 최대각도(θ)는 ±80도에서 ±30도 사이가 적당하고, 장축 방향의 끝 부분에서의 각도(θ)는 0도, 또는 0 도에 가까운 각도가 적당하다. 장축 방향과 X축과의 각도(θ)는 확산패턴의 형태에 따른 휘선과 암부, 얼룩 정도에 따라 변화시키며, 또 다른 방법은 장축 방향에 따라 일정한 각도(θ)를 가지고, 계단식으로 각도를 점점 작게 하는 것으로, 광원부에서 멀어지면 멀어질수록 각도를 적게 한다. 광원부에서 가장 먼 쪽은 각도(θ)는 0도 또는 0도에 가까운 각도로 변경한다. 광원 부근에서의 각도(θ)는 ±80도에서 ±30도 사이가 적당하다. 이때의 단계적 각도변경은 0.1도에서 20도 사이가 적당하며, 단계별 각도가 작으면 직가공 방식에서 가공시 시간이 증가하고, 각도가 크면 클수록 세밀하게 얼룩 등을 콘트롤 하기가 어렵다.
직가공이 아닌 포토레지스터(PHOTO RESIST)를 이용하여 패턴을 제작할 경우에는 단계적 변경각도의 크기는 0.1도 이하로 해도 무방하다.
도 5의 확산패턴(26)의 장축 방향과 X축과의 각도(θ)는 도광판 두께, 도광판의 굴절률, 광원의 방사각도, 광원의 배치 등에 따라 변경한다. 광원부에 가까운 쪽의 확산패턴의 각도(θ)는 크면 클수록 휘선과 암부, 얼룩 등이 감소하나, 평균 휘도가 감소한다.
도 7의 확산패턴의 단면도의 각도 α는 30도에서 70도가 적당하나, 더욱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각도α는 40도에서 60도 사이가 좋다. 이때의 장축 길이는 일정한 사이즈도 좋고, 일정하지 않은 사이즈도 좋다.
도 7의 확산패턴(26)의 단면도의 또 다른 각도 Ф의 각도는 30에서 90도이고, 더욱 좋게는 45도에서 85도가 유리하다. 이 각도가 90도에 가까우면 가까울수록 사출시 성형 일그러짐 불량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각도가 적은 쪽이 유리하나, 각도가 작으면 작을수록 휘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백라이트 유닛에서의 도광판(23) 내로 입사된 광의 거동을 살펴보면, 도 7a 및 도 7b는 상기 도광판(23)의 단면도로 입사된 광은 상기 도광판(23)의 상면과 하면을 반복하여 에너지가 소멸 될 때까지 Y축, X축으로 이동하며, 확산패턴과 만나 반사되는 일부의 광은 도광판(23)의 상부로 출사된다.
도 7a의 출사각도 Ψ는 Y축과 Z축 사이의 출사 각이고, 도 8의 출사각도 ω는 X축과 Z축과의 출사 각이다. 종래의 도광판에서 휘선, 써치, 암부,얼룩 등이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타원형 확산패턴에 확산시트, 수직 프리즘시트, 수평 프리즘시트를 모두 사용한 제품에 대한 출사된 광의 지향 각 △ω, △Ψ 특성은 도 9a 및 도 9b와 같이 보여주고 있다.
도 9a 및 도 9b의 특성은 도 1b에서와 같은 구조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으로 확산패턴에서 광 산란이 많이 일어나기 때문에, 확산시트, 수직프리즘시트, 수평프리즘시트 등 이러한 집광시트 등을 모두 사용해야 백라이트 유닛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출사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패턴은 휘선, 얼룩, 및 암부 등이 우수하나, 집광시트류를 많이 사용해야하는 단점이 있다. 도 1b에서의 확산패턴(8) 모양은 타원형 형태(도 2c)이다. 도 9a는 도 1b에서의 출사각도 ω의 휘도 상대 강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9b는 출사각도 Ψ의 휘도 상대 강도를 나타낸 것이다. 여기서, 반치각을 광의 강도가 가장 큰 값의 50%지점의 각도를 반치각이라 정의하고, 각도 폭(각도 ω, Ψ에서 - 각도와 + 각도 사이)을 반치 폭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휘선, 써치, 암부,얼룩 발생은 출사되는 면에서 상하 또는 좌우에서 급격한 휘도 변화가 발생시 발생한다. 도 9에서 반치각 △ω는 60도이고, 반치각 △Ψ는 55도이다.
반치각 △Ψ과 반치각 △ω의 차이는 5도로 시야각별로 급격한 휘도 변화가 없어 얼룩 면이나 휘선 등에서 아주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 시야각 측면에서도 반치각을 ±15도 각도 폭을 30도로 편의상 구분하면 이 각도 내에서 급격한 휘도 변화가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좌우상하 편차가 적어 시인성이 우수하다.
도 10은 도 6d의 확산 패턴(26)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7b에서 α, β 각도를 50도, 80도로 하고, Ф의 각도는 55도인 확산패턴(26)을 장축 방향의 각도(θ)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23)에 대한 출사각도 ω를 나타내고, 도 11은 출사각도 Ψ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따라서 반치각 △Ψ는 40도이고, 반치각 △ω는 130도이다.
반치각 △Ψ과 반치각 △ω의 차이는 90도로 상하좌우 휘도 편차가 크고, 시야각 ±15도 범위 내에서도 휘도 편차가 있어서, 도 12의 경우 보다는 적으나, 도광판 자체만으로는 얼룩이 일부 발생함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도광판 상부에 여러 종류의 광학시트를 사용하면 도 13, 도 14처럼 휘선, 암부 등의 발생을 현저하게 감소시켜 시인성을 개선 시킬 수 있다.
도 12는 도 6a, 도 6b, 도 6c, 도 6d에서와 같은 광의 지향성이 큰 확산패턴을 광의 진행방향과 수직으로 배치 시 발생하는 휘선, 암부의 형태를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
도 13, 도 14는 도 10, 도 11에서 사용된 도광판에 수직 프리즘 시트를 1장을 사용한 경우의 각도에 따른 각도 그래프이다. 도 13에서 출사각도 Ψ방향에서의 반치 폭은 75이다. 출사각도 ω는 X축과 Z축과의 출사각으로 도 14에서 보면 반치폭은 80도이다. 따라서 출사각도 Ψ와 출사각도 ω이 반치폭의 각도 차이가 5도로 프리즘시트(수직 방향)를 사용하여 휘도 증대와 얼룩, 암부를 개선 시킬 수 있다.
수직 방향의 휘도를 높이기 위해서 프리즘 시트(수직 방향, 수평방향) 2장을 사용하면 도 15, 도 16에서와 같이 개선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5에서 출사각도 Ψ방향에서의 반치폭은 50이고, 출사각도 ω는 X축과 Z축과의 출사각으로 도 16에서 보면 반치폭은 60도이다. 따라서 출사각도 Ψ와 출사각도 ω의 반치폭의 각도 차이가 10도이고, 시야각 ±15도 범위 내에서 급격한 휘도 편차가 발생하여 휘선, 암부 및 얼룩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도 6e와 같이, 2종류의 확산패턴(메인 확산패턴, 보조 확산패턴)을 사용한 경우, 2종류의 확산패턴은 메인(main) 확산패턴과 보조 확산패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휘도를 결정하는 것은 메인 확산패턴이고, 보조 확산패턴은 얼룩감소와 휘선 감소 등으로 사용된다. 이때, 메인 확산 패턴은 장축 길이방향과 X축과의 각도 θ 를 메인 패턴만 있는 경우에서와 같이, 0도에서 최대 ±80도 범위 내에서 랜덤하게 변경하여 배치한다. 휘선, 암부, 얼룩이 적은 경우는 최대 ±80도보다 적은 각도를 사용한다.
상기 보조 확산패턴은 광의 산란 효과가 좋은 원형 또는 타원형 등을 사용한다. 이때,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볼록하게 나올 수 있다. 상기 보조 확산패턴의 깊이가 크면 클수록 광의 산란 효과가 크다. 여기서는 메인 확산패턴과 보조 확산패턴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메인 확산패턴의 장축 방향의 각도를 θ를 랜덤하게 변경하고 일정한 각도를 도광판의 Y축 방향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시키면서 보조 확산패턴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상기 보조 확산패턴은 하나 또는 다수의 개수를 메인 확산패턴 1개에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확산패턴과 관계없이 랜덤하게 배치하는 경우도 해당된다.
도 17은 도 6의 확산패턴(26)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7a에서 α,β각도를 50도, 80도로 하고, Ф의 각도는 55도인 상기 확산패턴에 도 6e에서와 같이 타원형의 보조 확산패턴을 결합한 후 확산패턴의 장축 방향의 각도 θ을 렌덤하게 배치한 것으로, 출사각도 Ψ방향에서의 반치폭은 85도이다. ω는 X축과 Z축과의 출사 각으로, 도 18에서 보면 반치폭은 120이다. 따라서 출사각도 Ψ와 출사각도 ω이 반치폭의 각도 차이가 35도로 상하좌우 휘도 편차가 발생한다. 그러나 도 10보다는 시야각 범위 내에서 급격한 휘도 변화가 적게 발생한다. 따라서 보조 확산패턴을 사용하지 않은 도 10보다는 휘선, 얼룩, 암부 등을 제어하는 데 유리하다. 그러나 보조 확산패턴 사용으로 전체적인 휘도는 감소한다.
도 19는 도 6e와 같은 보조 확산패턴을 사용한 도광판 상부에 프리즘 시트(수직 방향)를 사용한 것으로, 출사각도 Ψ방향에서의 반치폭은 80도이다. ω는 X축과 Z축과의 출사각으로, 도 20에서 보면 반치폭은 80도이다. 따라서 출사각도 Ψ와 출사각도 ω이 반치폭의 각도 차이가 0도가 발생하여 휘선, 얼룩, 암부 등이 대폭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출사각도 Ψ와 출사각도 ω이 반치폭의 각도 차이가 0도로 아주 우수하나, 보조 확산패턴을 사용할 경우가 휘선, 얼룩, 암부 등 면에서는 유리하나 도광판의 수직방향의 휘도면에서는 불리하다.
도 21은 도 6e와 같은 보조 확산패턴을 사용한 도광판에 프리즘 시트를 2장 사용한 것으로, 출사각도 Ψ방향에서의 반치폭은 50도이다. ω는 X축과 Z축과의 출사각으로 도22에서 보면 반치폭은 56도이다. 따라서 출사각도 Ψ와 출사각도 ω이 반치폭의 각도 차이가 6도가 발생하고, 출사각도 ω의 대칭성이 가장 우수하므로 휘도, 얼룩, 암부면에서 보조패턴을 사용할 경우가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확산패턴에 확산시트를 도광판에 사용할 경우 광의 산란이 크게 이루어져 출사각도 △Ψ와 출사각도 △ω가 넓어져 휘선, 얼룩, 암부 등이 개선되나 휘도가 감소함을 알 수 있다.
위와 같은 도광판의 하면에 언급된 보조 확산패턴이 없는 도광판이나, 보조 확산패턴이 있는 도광판에서 휘도를 더욱 증가시키고, 휘선, 얼룩, 암부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도광판 상면에 램프와 연직 방향 또는 수평방향, 사선방향으로 단면이 반원통형 또는 반타원형 형태의 패턴을 배치시킨다. 이때의 단면 패턴이 삼각형, 사다리꼴, 다각형 형태의 패턴이어도 무방하다. 이러한 패턴이 오목하게 들어가거나, 볼록하게 나올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광판의 상부에 단면이 오목 또는 볼록 형태의 패턴을 배치하면 Y축 방향과 X축 방향에서의 시인특성(visual direction)을 이와 같은 패턴을 배치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개선 시킬 수 있다. 그러나, 램프와 연직 방향에서 램프가 위치하고 있는 방향으로 휘도가 증가하여 휘선과 같은 시인 특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아직 존재하므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휘도가 증가한 부분의 패턴의 피치를 조절하여 휘도의 균일도를 좋게 할 수 있다. 도광판의 상부에 프리즘 시트를 추가하여 휘도를 증가시키거나, 시인 특성 즉, 휘선, 암부, 얼룩 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23은 도 7a의 α각도를 구현하기 위한 1차 노광시의 각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1차 노광시 α각도는 90-α이다.
도 24는 도 7a의 β각도를 구현하기 위한 2차 노광시의 각도를 나타내고 있으며 2차 노광시 β 각도는 90-β이다.
도 25는 1차 노광에서 자외선이 입사되는 방향이고, 도 26은 2차 노광시 자외선이 들어가 1차, 2차 노광 후 최종적으로 노광이 안 된 부분을 현상시에 제거되는 것을 나타낸다. 그 위에 니켈을 도금하여 스탬퍼를 제작한다.
또 다른 방법은, 다이아몬드로 확산패턴을 제작한 후 상기 다이아몬드를 사용하여 기판 위에 확산패턴의 X, Y좌표와 장축 방향의 각도대로 다이아몬드를 눌러서 확산패턴과 같은 홈을 만든다. 그리고 이 기판에 니켈을 이용하여 도금한 후 기판을 박리하여 스탬퍼를 제작하는 방법과 플라스틱 수지를 입혀 기판에서 분리하는 방법이 있다. 이렇게 만든 스탬퍼를 금형에 부착하여 사출하여 도광판을 제작한다.
도 27은 도광판 상면에 프리즘 패턴이 배치된 형태로 반원통형, 삼각형 사다리꼴형 등의 다양한 단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 28은 6d의 확산 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6d에서 α, β각도를 50도, 80도, Ф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 상면에 단면이 도 27에서 단면이 반원통형 형태 또는 반타원형 형태의 패턴을 도 8에서 Ψ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도광판의 출사각도(Ψ,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도 28은 또한 수평방향 출사각도 ω에서는 양호한 시인 특성이 있으나 , 수직 방향 출사각도 Ψ에서는 필요로하는 시야각(각도폭 30도)보다 +60도 내지 +70도 사이에서 출사각이 많아 광의 손실이 많음을 알 수 있다
도 29는 6d의 확산 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6d에서 α, β각도를 50도, 80도, Ф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 상면에 단면이 도 27에서 반원통형 형태, 또는 반타원형 형태의 패턴을 도 8에서 Ψ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도광판에 수직 프리즘 시트를 사용한 경우의 출사각도(Ψ,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상기도 29은 수직방향에서도 시인성이 양호한 특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30은 6d의 확산 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6d에서 α, β각도를 50도, 80도, Ф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 상면에 단면이 도 27에서 삼각형 형태의 패턴을 도 8에서 Ψ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도광판에 수직 프리즘 시트를 사용한 경우의 출사각도(Ψ,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1은 6d의 확산 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6d에서 α, β각도를 50도, 80도, Ф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 상면에 단면이 도 27에서 반원통형 형태, 또는 반타원형 형태의 패턴을 도 8에서 Ψ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도광판에 수직 프리즘 시트와 수평 프리즘 시트를 사용한 경우의 출사각도(Ψ,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따라서, 도광판 하부에는 확산 패턴을 위치하고, 도광판 상부에 단면이 반원통형 또는 반타원형, 삼각형, 사다리꼴, 다각형 형태의 패턴을 위치하고, 수직 프리즘시트, 수평 프리즘시트 2장을 추가하면 아주 우수한 시인 특성을 가진다.
물론, 확산 시트도 추가하면 더욱 좋은 시인 특성을 가지나, 휘도는 광의 확산으로 감소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된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들에 의해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을 가져올 수 있으며, 이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a는 광 산란성이 적고 광의 지향성이 우수하여 도광판의 상부에 집광시트류를 적게 사용할 수 있으나 , 휘선, 암부 , 얼룩 등이 심하게 나타나는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백라이트 유닛의 면광원 장치의 구조를 나타낸것으로 광 산란성이 우수하나 광의 로스가 많아 집광시트를 도 1a 보다 많이 사용하는 백라이트 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1c는 도 1a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광판에서의 확산패턴의 배치 형태로 빛의 진행 방향과 확산패턴의 빛의 반사면과 수직으로 확산패턴이 배치된 도면이고,
도 1d는 도 1b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도광판에서의 확산패턴의 배치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도 1a에서의 도광판의 단면도로 광원에서 도광판으로 입사된 광이 도광판의 상하면을 통해 전반사를 반복하다가 확산패턴에 반사된 광 중에서 도광판의 출사면의 임계각보다도 작은 입사각으로 입사하면 출사면을 통하여 도광판의 상면으로 출사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b는 도 1a에서 많이 사용되는 확산패턴으로 입사된 광이 확산패턴에 반사되어 입사된 광의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진행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c는 도 1b에서 많이 사용되는 확산패턴으로 입사된 방향과 관계없이 산란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백라이트 유닛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도 및 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도광판의 하면에 확산패턴을 배치하는 방법으로 확산패턴의 장축 길이방향과 X축과의 각도를 변화시켜 가면서 배치한 도면과 확산패턴의 장축 길이 방향과 X축과의 각도를 표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확산패턴의 형상을 예로서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6a는 확산패턴이 대칭 또는 비대칭 단면 삼각형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모양을 나타낸 것이고,
도 6b는 확산패턴이 다각형 형태 또는 사다리꼴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모양을 나타낸 것이고,
도 6c는 확산패턴이 반원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모양을 나타낸 것이고,
도 6d는 확산패턴이 꼭지점이 2개인 피라미드 형상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모양을 나타낸 것이고,
도 6e는 확산패턴의 전면에 원형, 타원형 같은 보조 확산패턴이 형성된 모양을 나타낸 것이고,
도 6f는 확산패턴의 광 입사 부분에 보조 확산패턴을 이용한 모양을 나타낸 것이다.
도 7 및 도 8은 도광판 내로 입사된 빛이 확산패턴의 반사면에 반사되어 도광판의 상면에서의 광의 출사 방향 및 각도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9a 및 도 9b는 도 1b의 형태를 가진 백라이트 유닛의 특성으로 확산패턴이 타원형 형태로 도광판의 상부로 출사된 광의 지향각 △Ψ, △ω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로이고,
도 10, 도 11은 도 6d의 확산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7d에서 α,β각도를 50도, 80도이고 φ의 각도는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에 대한 출사 각도(Ψ,ω)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2는 종래의 확산 패턴 배치 방법에서 도광판에서 빛의 진행방향과 확산패턴을 수직으로 배치하는 경우 발생되는 휘선 암부 형태이고,
도13, 도14는 도 6a의 확산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6d에서 α,β각도를 50도, 80도, φ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에 프리즘 시트 (수직)를 사용한 형태의 출사 각도(Ψ,ω)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15, 도16은 도 6d의 확산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6d에서 α,β각도를 50도, 80도, φ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램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에 수직 프리즘 시트와 수평 프리즘 시트를 사용한 형태의 출사 각도(Ψ,ω)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17, 도18은 확산패턴 도 6e 형태의 보조 확산패턴을 함께 사용하여, 도 6d에서 α,β각도를 50도, 80도, φ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에 대한 출사 각도(Ψ,ω)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19, 도20은 확산패턴 도 6e 형태의 보조 확산패턴을 함께 사용하여, 도 6d에서 α,β각도를 50도, 80도, φ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에 수직 프리즘 시트를 사용한 출사 각도(Ψ,ω)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1, 도22은 도19, 도20에서의 도광판에 수평 프리즘 시트를 추가한 형태에 대한 출사 각도(Ψ,ω)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23은 도 7a의 α각도를 구현하기 위한 1차 노광시의 각도를 나타내고,
도 24는 도 7a의 β각도를 구현하기 위한 2차 노광시의 각도를 나타내고,
도 25는 1차 노광에서 자외선이 입사되는 방향이고,
도 26은 2차 노광시 자외선이 들어가 1차, 2차 노광 후 최종적으로 노광이 안 된 부분을 현상시에 제거되는 것을 나타내고,
도 27은 도광판 상면에 프리즘 패턴이 배치된 형태의 단면도이고,
도 28은 6d의 확산 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6d에서 α, β각도를 50도, 80도, Ф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 상면에 단면이 도 27에서 단면이 반원통형 형태의 패턴을 도 8에서 Ψ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도광판의 출사각도(Ψ,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29는 6d의 확산 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6d에서 α, β각도를 50도, 80도, Ф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 상면에 단면이 도 27에서 반원통형 형태의 패턴을 도 8에서 Ψ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도광판에 프리즘 시트(수직)를 사용한 경우의 출사각도(Ψ,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0은 6d의 확산 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6d에서 α, β각도를 50도, 80도, Ф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 상면에 단면이 도 27에서 삼각형 형태의 패턴을 도 8에서 Ψ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도광판에 프리즘 시트(수직)를 사용한 경우의 출사각도(Ψ,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고,
도 31은 6d의 확산 패턴에서 단면이 비대칭이고, 도 6d에서 α, β각도를 50도, 80도, Ф의 각도를 55도로 하여 확산패턴을 장축방향의 각도를 랜덤하게 변경하면서 배치한 도광판 상면에 단면이 도 27에서 반원통형 형태의 패턴을 도 8에서 Ψ축 방향으로 길게 배치된 도광판에 수직 프리즘 시트와 수평 프리즘 시트를 사용한 경우의 출사각도(Ψ,ω)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Claims (18)
-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에 있어서,도광판 아랫면으로 빠져나오는 빛을 다시 반사시켜 상기 도광판 내로 돌려보내는 반사판과;상기 반사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광원으로부터 발산되는 빛을 하면에 형성된 일정 면적과 모양을 가진 확산패턴들을 통해 화면 전 영역에 걸쳐 빛을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도광판;상기 도광판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도광판에서 나오는 빛을 확산시키는 확산시트; 및상기 확산시트에서 나오는 빛을 굴절 및 집광시키는 프리즘시트를 포함하며,상기 확산패턴은:상기 점광원과 가까운 부분은 상기 확산패턴의 장축 길이방향과 X축과의 각도 θ를 0도에서 ±80도 사이로 형성하고, 상기 점광원과의 거리가 먼 쪽은 상기 확산패턴의 장축 길이방향과 X축과의 각도 θ를 0도에 가깝게 형성하되, 상기 점광원과 가까운 부분은 상기 점광원과의 거리가 먼 쪽에 비해 상기 확산패턴의 밀도를 적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확산패턴은,단면이 대칭 또는 비대칭의 삼각형 형태, 사다리꼴 형태, 다각형 형태, 반원통 형태, 반타원형 형태, 피라미드 형태 중 하나로 오목 또는 볼록하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확산패턴은,점광원과의 가까운 쪽은 확산패턴의 장축 길이 방향과 X축 과의 각도 θ을 ±30도에서 ±80도 사이에서 랜덤하게 형성 배치하고, 점광원에서 먼쪽으로 갈수록 θ의 절대치를 0도에 가깝게 형성하면서 랜덤하게 형성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확산패턴은,점광원과의 가까운 쪽은 확산패턴의 장축 길이 방향과 X축과의 각도 θ을 ±30도에서 ±80도에서 점광원으로 먼쪽으로 갈수록 θ의 각도를 0도에 가깝게 형성 배치하되 단계적으로 점점 줄여 가면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광원은,1개 또는 복수 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확산패턴의 단면이 대칭 또는 비대칭의 삼각형 형태는,삼각형 밑변의 한쪽 각도 α는 30도에서 70도 사이이고, 확산패턴의 삼각형 밑변의 다른쪽 각도 β는 45도에서 90도 사이이며, 확산패턴의 밑변과 확산패턴의 좌우면과의 각도 Ф는 30에서 90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확산패턴은,프리즘 시트는 수직 프리즘시트 또는 수평프리즘 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상기 프리즘 시트는 수직 프리즘 시트와 수평 프리즘시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서,도광판의 상부에 단면은,삼각형 형태의 프리즘, 반원통형 형태의 프리즘, 반타원형 형태의 프리즘, 사다리꼴 형태의 프리즘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1137A KR100964284B1 (ko) | 2008-05-30 | 2008-05-30 |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51137A KR100964284B1 (ko) | 2008-05-30 | 2008-05-30 |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4751A KR20090124751A (ko) | 2009-12-03 |
KR100964284B1 true KR100964284B1 (ko) | 2010-06-16 |
Family
ID=41686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51137A Expired - Fee Related KR100964284B1 (ko) | 2008-05-30 | 2008-05-30 |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4284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61234B2 (en) | 2017-01-13 | 2019-04-16 | Samsung Display Co., Ltd. | Light guide plate of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52582B1 (ko) | 2016-03-08 | 2023-07-0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홀로그래픽 디스플레이 |
CN108387968A (zh) * | 2018-03-23 | 2018-08-10 | 上海徕尼智能科技有限公司 | 一种背光模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52139A (ja) * | 1997-08-07 | 1999-02-26 | Copal Co Ltd | 導光部材の製造方法 |
-
2008
- 2008-05-30 KR KR1020080051137A patent/KR100964284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1152139A (ja) * | 1997-08-07 | 1999-02-26 | Copal Co Ltd | 導光部材の製造方法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261234B2 (en) | 2017-01-13 | 2019-04-16 | Samsung Display Co., Ltd. | Light guide plate of backlight unit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24751A (ko) | 2009-12-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3209B1 (ko) | 면 광원장치 | |
US7507011B2 (en) | Surface light source equipment and apparatus using the same | |
KR200201386Y1 (ko) | 광확산판 및 광확산판을 사용한 백 라이트 유니트장치 | |
KR100697613B1 (ko) | 광학필름 및 이를 이용한 면광원 장치 | |
US7868970B2 (en) | Light guide plate, as well as a planar lighting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5321767B1 (ja) | 照明装置、表示装置 | |
JPH10260315A (ja) | レンズ導光板、及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 |
JP4638752B2 (ja) | 光拡散板 | |
JP2006084813A (ja) | 集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集光素子を用いた面光源装置 | |
WO2008032775A1 (fr) | Élément de source de lumière planaire, élément de commande de lumière utilisé pour l'élément de source de lumière planaire et dispositif d'affichage d'images utilisant l'élément de source de lumière planaire | |
CN101025515A (zh) | 用于液晶显示器的侧光式背光模块 | |
KR101692888B1 (ko) | 도광판과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
JP5295721B2 (ja)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 |
CN104334962B (zh) | 照明装置 | |
KR100964284B1 (ko) | 점광원을 사용하는 면광원 장치 및 그를 이용한 기기 | |
KR20180108508A (ko) | 임프린팅 방법을 통하여 미세 굴절 홈이 형성된 투명 디스플레이용 도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 |
KR100879948B1 (ko) | 마이크로 사각형 렌즈 패턴을 이용한 측면 조광형 백라이트장치 | |
JP2009157074A (ja) | 光線制御ユニット | |
KR20030078305A (ko) | 반사형 도광판 및 이를 이용한 백라이트 유닛 | |
KR20030094527A (ko) | 도광판,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채용하는 면광원장치 | |
KR100844159B1 (ko) | 백라이트 장치용 도광판 및 그 도광판의 제조장치 | |
CN111367001B (zh) | 光学元件及应用该光学元件的显示装置 | |
JP2007080800A (ja)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の導光板 | |
JP2007041015A (ja) | 光透過フィルム、バックライト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TWI352861B (en) | Site edge backlight module of a liquid crystal di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6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03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6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8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