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3514B1 - Safety grip in vehicle for disabilities - Google Patents
Safety grip in vehicle for disabilitie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63514B1 KR100963514B1 KR1020090111869A KR20090111869A KR100963514B1 KR 100963514 B1 KR100963514 B1 KR 100963514B1 KR 1020090111869 A KR1020090111869 A KR 1020090111869A KR 20090111869 A KR20090111869 A KR 20090111869A KR 100963514 B1 KR100963514 B1 KR 1009635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rame
- vehicle
- disabled
- horizontal portion
- front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7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3—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movab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handicapped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장애인의 신체 특성에 따라 손잡이의 거리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handle inside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and an object thereof is to provide a safety handle inside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configured to adjust a distance and an angle of a handle according to a physical characteristic of a disabled pers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는 차량에 탑승된 휠체어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차량에 고정된 좌측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차량에 고정된 우측 프레임과,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따라 상기 휠체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복수 지점에서 힌지결합되어 전방부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고정해제하거나 고정하는 제1조임쇠와, 상기 전방 프레임의 힌지결합된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방부가 선회하도록 고정해제하거나 고정하는 제2조임쇠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Safety handle inside the vehicle for the disable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eft frame fixed to the vehicle to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heelchair on the vehicle, and a right frame fixed to the vehicle to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wheelchair And a front fram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wheelchair along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frame and hinged at a plurality of points, the front frame pivoting up and down, and the front frame freely installed on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frame, respectively. Technical features include a first fastener for releasing or fixing to move, and a second fastener for being installed at the hinged portion of the front frame, respectively, to release or fix the front to pivot.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탑승한 장애인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안전손잡이의 거리와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구성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handle inside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in particular, in order to adjust the distance and angle of the safety handle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dicapped person.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장애인을 위한 장애인용 차량의 경우 장애인과의 신체적인 접촉을 피하기 위해 차량 내부로 휠체어가 진입해 들어갈 수 있는 리프트 또는 슬로프가 구성된다.In the case of a handicapped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in a wheelchair, a lift or a slope is formed through which the wheelchair can enter the vehicle to avoid physical contact with the handicapped person.
장애인은 리프트 또는 슬로프를 이용하여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차량에 탑승하게 되고 차량의 주행 시에 휠체어가 이동하지 않도록 휠체어를 차량 내에 장착된 잠금장치로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장애인은 휠체어에 앉은 상태로 차량 내에 설치된 안전손잡이를 잡고 몸을 유지한다.Persons with disabilities will be seated in a wheelchair using a lift or slope, and the wheelchair will be stably fixed with a locking device installed in the vehicle so that the wheelchair does not move when the vehicle is driven. Hold the safety handle inside and maintain your body.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인용 차량 내부에 설치된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safety handle installed in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손잡이(10)는 차량에 탑승된 휠체어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위치하는 좌측 프레임(11) 및 우측 프레임(12)과,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을 연결하며 휠체어의 전방에 위치하는 전방 프레임(2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여기에서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은 그 높이가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의 어깨 정도의 높이로서,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은 차량 바닥에 고정된다.Here, the
그리고 전방 프레임(20)은 한 쌍의 평행부(21)와 상기 평행부(21)를 연결하는 연결부(23)를 갖는 'ㄷ'형 구조로서, 두 평행부(21)가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에 각각 고정된다. 그러면 전방 프레임(20)이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의 전방에 위치하며 장애인은 팔을 뻗어 전방 프레임(20)을 파지하고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한다.In addition, the
여기에서 전방 프레임(20)의 평행부(21)가 U볼트(30)에 의해 좌측 프레임(11)과 우측 프레임(12)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전방 프레임(20), 좌측 프레임(11) 및 우측 프레임(12)은 고정된 상태로 움직이지 않게 된다.Here, the
하지만,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성인 또는 어린이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팔이 짧을 수 있다. 종래의 안전손잡이는 전방 프레임(20), 좌측 프레임(11) 및 우측 프레임(12)이 고정되며 휠체어가 잠금장치에 의해 정위치에 잠금된 상태에서, 장애인의 팔이 짧을 경우 전방 프레임을 잡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disabled person in the wheelchair may be an adult or a child, and in some cases, the arm may be short. In the conventional safety handle, the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장애인의 신체적 특징을 고려하여 프레임이 유동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장애인이 자신의 신체에 맞게 프레임의 위치를 조절한 후에 안정적인 자세를 취할 수 있게 구성한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inven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by configuring the frame to be able to flow in consideration of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the disabled afte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frame to fit his body stabl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afety handle inside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는 차량에 탑승된 휠체어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차량에 고정된 좌측 프레임과, 상기 휠체어의 우측에 위치하도록 차량에 고정된 우측 프레임과,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을 따라 상기 휠체어의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복수 지점에서 힌지결합되어 전방부가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전방 프레임과, 상기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방 프레임이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고정해제하거나 고정하는 제1조임쇠와, 상기 전방 프레임의 힌지결합된 부위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전방부가 선회하도록 고정해제하거나 고정하는 제2조임쇠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Safety handle inside the vehicle for the disabled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left frame fixed to the vehicle to be located on the left side of the wheelchair on the vehicle, and a right frame fixed to the vehicle to be located on the right side of the wheelchair And a front frame moving forward and backward of the wheelchair along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frame and hinged at a plurality of points, the front frame pivoting up and down, and the front frame freely installed on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frame, respectively. Technical features include a first fastener for releasing or fixing to move, and a second fastener for being installed at the hinged portion of the front frame, respectively, to release or fix the front to pivot.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좌측 프레임과 우측 프레임에는 중공이 형성된 수평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평부의 선단에 전방 프레임의 양단이 끼워져 수평부를 따라 전방 프레임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frame and the right frame is formed with a horizontal portion formed with a hollow, both ends of the front frame is fitted to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to move the front fram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horizontal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방 프레임은 좌측 프레임의 수평부와 우측 프레임의 수평부에 끼워져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며 선단에는 제1러그가 형성된 양측 이동부들과, 양단에 형성된 제2러그가 양측 이동부들의 상기 제1러그와 힌지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하는 폐쇄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is inserted into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left frame and the horizontal portion of the right frame is mov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both ends of the moving parts having a first lug formed at the front end, and the second formed on both ends A lug includes a closing portion hinged with the first lug of both moving parts to pivot in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의 선단에는 수평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절개부들이 원주를 따라 형성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tting portion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along the circumference at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절개부가 형성된 수평부의 선단에는 제1조임쇠가 설치되며, 상기 제1조임쇠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가 수평부의 선단을 감싸며 고리를 조이거나 벌리면서 전방 프레임을 고정하거나 고정해제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fastener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is formed with the incision, the first fastener is one side of the front frame while the open ring wraps around the front end of the horizontal portion tightening or spreading the ring Lock or unlock.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조임쇠는 제1러그와 제2러그를 관통한 스크루를 포함하며, 스크루의 일단에는 너트가 체결되고 타단에는 캠형 레버가 장착되어 캠형 레버의 선회에 의해 제1러그와 제2러그를 가압하거나 가압해제하면서 전방 프레임의 선회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한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fastener includes a screw passing through the first lug and the second lug, a nut is fastened to one end of the screw and a cam lever is mounted on the other end of the screw to pivot the cam lever. By pressing or releasing the first lug and the second lug by means of fixing or releasing the swing of the front frame.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수평부의 둘레를 쿠션부재가 감싼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member is wrapped around the horizontal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폐쇄부의 둘레를 쿠션부재가 감싼다.In addi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ushion member is wrapped around the closure.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는 전방 프레임이 장애인 앞쪽 또는 바깥쪽으로 선회하며 또한 전방 프레임이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장애인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장애인이 안정적으로 전방 프레임을 파지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handle inside the vehicle for the handicapped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ront frame can be turned to the front or the outside of the handicapped and the front frame can move forward and backward so that the disabled can grasp the front frame stably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handicapped. This can prevent the risk of an accident.
또한, 본 발명의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는 프레임들이 조임쇠들에 의해 고정 또는 고정 해체됨에 따라 장애인의 신체적 특징에 따라 프레임의 거리 및 각도의 조절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safety handle inside the vehicle for the disable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that the frame can be quickly adjusted according to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abled as the frame is fixed or dismantled by fasteners.
아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safety handle inside the vehicle for the disabl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면에서,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전방 프레임의 거리 이동에 따른 제1조임쇠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조임쇠에 의해 전방프레임의 거리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전방 프레임의 각도 조절에 따른 제2조임쇠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조임쇠에 의해 전방프레임의 각도조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safety handle inside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afety handle shown in Figure 2, Figure 4 is a distance movement of the front frame Figure 1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first fastener according to Figure 5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distance movement of the front frame by the first fastener shown in FIG.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second fastener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front frame, Figure 7 is a schematic view showing the angle control of the front frame by the second fastener shown in FIG.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손잡이(100)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휠체어의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 프레임(110)과, 휠체어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 프레임(120) 및,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에 장착되어 전후방으로 미끄러져 이동하는 전방 프레임(130)을 포함하며,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에는 전방 프레임(130)을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하는 제1조임쇠(140)가 각각 설치된다. 그리고 전방 프레임(130)에는 힌지결합부(125)가 형성되고 힌지결합부(125)에는 제2조임쇠(150)가 설치되어 전방 프레임(130)이 힌지결합부(125)를 중심으로 장애인이 위치한 앞쪽 또는 바깥쪽으로 선회하거나 각도가 조절된 상태에서 고정된다.As shown in Figures 2 and 3, the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safety handle inside the vehicle for the disable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은 길이 중간이 절곡된 절곡관(111)과, 상기 절곡관(111)을 받쳐주는 지지관(115)을 포함한다. 그리고 절곡관(111)의 수직부(111V) 하단은 차량의 바닥에 고정되고 수평부(111H)의 선단은 전방을 향해 위치하며, 지지관(115)은 전방을 향한 절곡관(111)의 수평부(111H) 저면에 용접 고정된 상태로 차량의 바닥에 고정된다. 여기에서,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의 사이에 위치한 장애인은 절곡관(111)의 수평부(111H)를 파지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한편, 좌측 프레임(110) 및 우측 프레임(120)의 수평부(111H) 선단에는 도 4 및 도 5에 보이듯이, 절개부(113)가 절곡관(111)의 원주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절개부(113)가 형성된 부위에 제1조임쇠(140)가 장착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4 and 5, a plurality of
제1조임쇠(140)는 일측이 개방된 고리 형태로서, 고리(141)의 양단에는 바깥쪽으로 러그(142)가 형성되고, 러그(142)를 관통한 스크루(143)의 일측에는 너트(145)가 체결되고 타측에는 캠형 레버(147)가 장착된다. 따라서 캠형 레버(147)를 회전시키면 캠의 곡면에 따라 고리(141)의 개방부가 좁혀지거나 넓혀지면서 고 리(141) 안쪽에 위치한 수평부(111H)의 선단을 가압하여 조이거나 조임을 해제한다.The
따라서 제1조임쇠(140)의 캠형 레버(147)를 회전시키면 고리(141)가 조여지면서 고리(141) 안쪽에 위치한 수평부(111H)의 선단이 좁혀진다. 절곡관(111)의 선단이 좁혀질 수 있는 이유는 수평부(111H)의 선단에 절개부(113)가 길이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Therefore, when the cam-
한편, 수평부(111H)의 선단에는 전방 프레임(130)의 양단이 삽입되어 위치하며, 전방 프레임(130)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1조임쇠(140)로 절곡관(111)의 수평부(111H) 선단을 조이면 절곡관(111)의 선단이 좁혀지면서 전방 프레임(130)의 양단을 가압하게 되고 더 이상 전방 프레임(130)이 전후방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캠형 레버(147)를 회전시켜 가압을 해제하면 전방 프레임(130)은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Meanwhile, both ends of the
이와 같이 전방 프레임(130)은 제1조임쇠(140)의 조임에 따라 고정되고 제1조임쇠(140)의 가압을 해제하면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다.In this way, the
아래에서는 전방 프레임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front frame.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프레임(130)의 양단부에 해당하는 이동부(121)는 직관 구조로서, 절곡관(111)의 수평부(111H) 선단에 끼워진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 프레임(130)의 폐쇄부(123)는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에 끼워진 이동부(121)에 힌지결합되어 힌지결합부(125)를 중심으로 폐쇄부(123)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선회한다. 이와 같이 폐쇄 부(123)가 선회하기 위해서는 이동부(121)의 단부에 한 쌍의 제1러그(121L)가 형성되고, 폐쇄부(123)의 단부에는 상기 한 쌍의 제1러그(121L) 사이에 끼워지는 제2러그(123L)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2조임쇠(150)가 제1러그(121L)와 제2러그(123L)를 관통한 상태에서 조이면 제1러그(121L) 사이의 간격이 좁혀져 제2러그(123L)를 가압하여 폐쇄부(123)를 고정한다. 반대로 제2조임쇠(150)의 캠형 레버(153)를 회전시켜 조임을 풀면, 폐쇄부(123)가 전후방향으로 선회한다. 6 and 7, the moving
여기에서 제2조임쇠(150)는 제1러그(121L)와 제2러그(123L)를 관통하는 스크루(151)와, 스크루(151)의 일단에 체결되며 제1러그(121L) 바깥쪽에 위치하는 너트(152)와, 스크루(151)의 타단에 체결되며 제1러그(121L)의 바깥에 위치하는 캠형 레버(153) 및, 캠형 레버(153)와 제1러그(121L) 사이에 위치하는 가압편(155)을 구비한다. 캠형 레버(153)의 회전에 의해 가압편(155)이 제1러그(121L)를 가압하여 폐쇄부(123)를 고정하거나 고정 해제한다.Here, the
그리고 휠체어에 앉은 장애인이 파지하는 부위인 전방 프레임(130)의 폐쇄부(123)와 좌우측 프레임(110, 120)의 수평부(111H)에는 쿠션이 있는 쿠션부재(160)가 폐쇄부(123) 및 수평부(111H)를 감싸 고정됨으로써, 장애인이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
아래에서는 이와 같이 구성된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의 작동관계에 대해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safety handle in the vehicle for the disabled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탑승된 휠체어는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의 사이에 위치하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잠금장치를 이용하여 휠체어가 움직이지 않도록 잠금 한다. The boarding wheelchair is positioned between the
그리고 보조자는 장애인이 전방 프레임(130)의 쿠션부재(160)를 파지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휠체어에 앉아 있는 장애인과 전방 프레임(130)의 쿠션부재(160)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거나 가까울 경우,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에 장착된 제1조임쇠(140)의 캠형 레버(147)를 선회시켜 고정 해제한다. 고정이 해제된 상태에서 보조자는 전방 프레임(1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전방 프레임(130)의 이동부(121)는 좌측 프레임(110)과 우측 프레임(120)의 수평부(111H)의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거리가 조절된다.And the assistant checks whether the disabled can grip the
장애인이 전방 프레임(130)의 쿠션부재(160)를 잡을 수 있을 정도의 위치에서 보조자는 제1조임쇠(140)의 캠형 레버(147)를 회전시켜 이동부(121)를 고정한다.At a position where the disabled can grasp the
이 상태에서 장애인이 전방 프레임(130)의 쿠션부재(160)를 파지함에 있어서 팔을 너무 높게 또는 낮게 뻗어야 하는지를 확인하고, 전방 프레임(130)에 장착된 제2조임쇠(150)의 캠형 레버(153)를 회전시켜 힌지결합부(125)의 고정을 해제한다. 제2조임쇠(150)의 조임이 풀리면 제1러그(121L) 사이에서 제2러그(123L)가 회전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전방 프레임(130)은 힌지결합부(125)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선회하거나 장애인이 위치한 후방 쪽으로 선회한다. In this state, it is checked whether the handicapped should extend the arm too high or too low to grip the
장애인이 전방 프레임(130)의 쿠션부재(160)를 파지함에 있어 편안하도록 전방 프레임(130)의 선회각도를 설정하고, 제2조임쇠(150)를 고정한다. 그러면 제1러그(121L)의 사이에 제2러그(123L)가 압착되어 설정된 선회각도에서 전방 프레 임(130)이 고정된다.The disabled sets the turning angle of the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100)는 장애인의 신체 특징에 따라 전방 프레임(130)의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장애인이 전방 프레임(130)의 쿠션부재(160)를 파지한 상태로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장애인용 차량 내부에 설치된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afety handle installed in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the prior art.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장애인용 차량 내부의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afety handle inside a vehicle for a disabled pers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안전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이며,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afety handle shown in FIG.
도 4는 전방 프레임의 거리 이동에 따른 제1조임쇠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4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first fastener according to the distance movement of the front frame;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제1조임쇠에 의해 전방프레임의 거리 이동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FIG. 5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distance movement of the front frame by the first fastener shown in FIG. 4.
도 6은 전방 프레임의 각도 조절에 따른 제2조임쇠의 체결구조를 나타낸 분해도이고, Figure 6 is an exploded view showing the fastening structure of the second fastener according to the angle adjustment of the front frame,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제2조임쇠에 의해 전방프레임의 각도조절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Figure 7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angle adjustment of the front frame by the second fastener shown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0 : 안전손잡이 110 : 좌측 프레임100: safety handle 110: left frame
111 : 절곡관 111H : 수평부111: bending
113 : 절개부 120 : 우측 프레임113: incision 120: right frame
130 : 전방 프레임 121 : 이동부130: front frame 121: moving part
123 : 폐쇄부 125 : 힌지결합부123: closure 125: hinge coupling
140 : 제1조임쇠 150 : 제2조임쇠140: first fastener 150: second fastener
160 : 쿠션부재160: cushion member
Claims (8)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1869A KR100963514B1 (en) | 2009-11-19 | 2009-11-19 | Safety grip in vehicle for disabiliti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11869A KR100963514B1 (en) | 2009-11-19 | 2009-11-19 | Safety grip in vehicle for disabilities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963514B1 true KR100963514B1 (en) | 2010-06-15 |
Family
ID=42370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11869A Active KR100963514B1 (en) | 2009-11-19 | 2009-11-19 | Safety grip in vehicle for disabilitie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63514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2451B1 (en) | 2011-05-24 | 2012-12-13 | 주식회사 오텍 | 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 |
KR101315716B1 (en) * | 2012-01-25 | 2013-10-08 | 주식회사 오텍 | Disabilities Vehicle With Wheel Chair Supporter |
KR102261499B1 (en) | 2021-02-17 | 2021-06-08 | 주식회사 오텍 | Apparatus of safety belt for welfare vehicle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44940A (en) | 1994-12-12 | 1996-08-13 | Quickie Designs Inc. | Pivotal rear latch assembly for an armrest apparatus for a wheelchair |
US5697628A (en) | 1995-08-24 | 1997-12-16 | Spear; Robert W. | Wheelchair exercise and support bar apparatus and method |
JP2005040282A (en) | 2003-07-28 | 2005-02-17 | Matsunaga Seisakusho:Kk | Detachable backrest part or seat part, and belt of wheelchair |
KR100561812B1 (en) | 2003-11-21 | 2006-03-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andicap for the bus |
-
2009
- 2009-11-19 KR KR1020090111869A patent/KR1009635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544940A (en) | 1994-12-12 | 1996-08-13 | Quickie Designs Inc. | Pivotal rear latch assembly for an armrest apparatus for a wheelchair |
US5697628A (en) | 1995-08-24 | 1997-12-16 | Spear; Robert W. | Wheelchair exercise and support bar apparatus and method |
JP2005040282A (en) | 2003-07-28 | 2005-02-17 | Matsunaga Seisakusho:Kk | Detachable backrest part or seat part, and belt of wheelchair |
KR100561812B1 (en) | 2003-11-21 | 2006-03-2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Handicap for the bus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2451B1 (en) | 2011-05-24 | 2012-12-13 | 주식회사 오텍 | Sliding Lift for Disabilities Vehicle |
KR101315716B1 (en) * | 2012-01-25 | 2013-10-08 | 주식회사 오텍 | Disabilities Vehicle With Wheel Chair Supporter |
KR102261499B1 (en) | 2021-02-17 | 2021-06-08 | 주식회사 오텍 | Apparatus of safety belt for welfare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195803A (en) | Reclining seat back assembly for a wheelchair | |
JP3910624B1 (en) | Wheelchair footplate control device | |
US8056979B2 (en) | Supporting device | |
KR100963514B1 (en) | Safety grip in vehicle for disabilities | |
CA2880252C (en) | Apparatus for adjusting height of armrest of construction machine | |
KR20010014564A (en) | Locking device | |
JP6722668B2 (en) | Assistance robot | |
JP3159622U (en) | wheelchair | |
JP4356810B2 (en) | Seat lift car | |
JP2011092522A (en) | Walk assisting vehicle | |
JP6298614B2 (en) | Walking car | |
JP5870021B2 (en) | Vehicle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 |
JP2012130569A (en) | Walking aid vehicle | |
JP3694644B2 (en) | Seating aid for toilet | |
JP4565643B2 (en) | Prop-mounting type assistance device | |
JP7148458B2 (en) | assistive device | |
IL275441B2 (en) | Head support system and head support unit | |
JP3553917B2 (en) | Wheelchair equipment | |
JP3888661B2 (en) | Portable wheelchair | |
EP0404574A2 (en) | Wheelchair | |
EP3831353B1 (en) | Backrest assembly and wheelchair therewith | |
JP3188074U (en) | Braking car braking mechanism | |
JP4029218B2 (en) | Wheelchair brake system | |
JP2012161505A (en) | Wheelchair | |
CN213157123U (en) | Chair back angle regulator for folding electric wheel chai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912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05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06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006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52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5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528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52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05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6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5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521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24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